KR102155407B1 -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407B1
KR102155407B1 KR1020170136442A KR20170136442A KR102155407B1 KR 102155407 B1 KR102155407 B1 KR 102155407B1 KR 1020170136442 A KR1020170136442 A KR 1020170136442A KR 20170136442 A KR20170136442 A KR 20170136442A KR 102155407 B1 KR102155407 B1 KR 10215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ece
point
piece
dispose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253A (ko
Inventor
남진호
Original Assignee
남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진호 filed Critical 남진호
Priority to KR102017013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4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57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우선, 본 발명은 일정 높이를 가지며 제1, 2, 3, 4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에 회동 가능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호 회동하여 서로 접촉되거나 펼쳐져 서로 직교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완전히 접혀져 운반과 수납 및 다단 적층 등의 보관이 가능한 상태(이하 '절첩 상태') 또는 전시용 부스의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한 상태(이하 '준비 상태')로의 상호 스위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며 운반과 수납 및 적층 등 보관 유지도 효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FOLDABLE BOOTH ASSEMBLY FOR EXHIBITION}
본 발명은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며 운반과 수납 및 적층 등 보관 유지도 효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 전시진행이나 일반 행사진행에 있어서, 진행하게 되는 설비를 갖추어 물건을 전시하거나 일반 행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에 해당 물건을 전시함에 있어 물건의 전시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기 위해 전시 시설물의 설치를 어떻게 하느냐가 전시행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470273호의 "전시회장 또는 박람회장 부스용 광고판 고정대"와, 등록특허 제10-1022975호의 "실내외 전시행사를 위한 컨테이너형 시스템부스"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장치들은 모두 복수의 포스트와 바(bar)와 플레이트 등의 제반 부품들이 분리 구성된 제품을 일일이 조립하여 설치 및 시공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조립 및 설치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행사가 끝난 후에는 다시 조립 및 설치 시공의 역순으로 분리하여 정해진 장소에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장치들은 시공이나 철거 등에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현실이므로, 작업 공수 및 불필요한 노동력의 낭비로 인한 시간과 비용의 증대를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470273호 등록특허 제10-10229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며 운반과 수납 및 적층 등 보관 유지도 효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높이를 가지며 제1, 2, 3, 4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외곽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 각각에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편 및 제2 연결편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은 회동하여 서로 접촉된 상태로부터, 회동하여 펼쳐저 서로 직교된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1 지점과 마주보는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을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과,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2 지점과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4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곽 프레임 각각에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연결편 및 제4 연결편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3 연결편 및 상기 제4 연결편은 회동하여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상태로부터, 회동하여 접혀져 서로 직교된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호 회동하여 서로 접촉되거나 펼쳐져 서로 직교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완전히 접혀져 운반과 수납 및 다단 적층 등의 보관이 가능한 상태(이하 '절첩 상태') 또는 전시용 부스의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한 상태(이하 '준비 상태')로의 상호 스위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이 상호 회동 접촉하여 평행하게 배치됨에 의하여,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점 및 상기 제4 지점은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3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이 상호 회동하여 펼쳐져 직교되게 배치됨에 의하여,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4 지점은 상기 제1 지점과 일직선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3 지점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과 상기 제3 연결편 및 상기 제4 연결편은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길이를 가진 제1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상부 연결 바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를 가진 제1 하부 연결 바와,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1 길이를 가진 제2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상부 연결 바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를 가진 제2 하부 연결 바와,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길이와 같거나 다른 제2 길이를 가진 제3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2 길이를 가진 제3 하부 연결 바와,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길이를 가진 제4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길이를 가진 제4 하부 연결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의 상기 제3 연결편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1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제1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2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의 상기 제4 연결편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4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4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4 지점을 기준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제2 측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의 상기 제3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2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점의 상기 제2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의 상기 제4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제3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3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의 내측 단부 및,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의 내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외곽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 상호간의 상대적인 절첩 회동과, 상기 외곽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 상호간의 상대적인 절첩 회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절첩 회동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절첩 구동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첩 구동 지지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접촉된 상태로부터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직교된 상태까지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상태로부터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직교된 상태까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및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외곽 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덮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서로 접촉하는 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높낮이 조절 레일과, 상기 제1 높낮이 조절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 높낮이 조절편과, 상기 제1 높낮이 조절편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높낮이 조절 레일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높낮이 조절편을 고정시키는 제1 지지용 볼트와,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끝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체결용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편 및 상기 제4 연결편 각각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높낮이 조절 레일과, 상기 제2 높낮이 조절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 높낮이 조절편과, 상기 제2 높낮이 조절편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높낮이 조절 레일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제2 높낮이 조절편을 고정시키는 제2 지지용 볼트와, 상기 제3 연결편 및 상기 제4 연결편 각각의 끝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체결용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일정 높이를 가지며 제1, 2, 3, 4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에 회동 가능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호 회동하여 서로 접촉되거나 펼쳐져 서로 직교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완전히 접혀져 운반과 수납 및 다단 적층 등의 보관이 가능한 상태(이하 '절첩 상태') 또는 전시용 부스의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한 상태(이하 '준비 상태')로의 상호 스위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회동시켜 펼치기만 하면 설치 준비가 완료되고, 회동시켜 접기만 하면 수납 및 다단 적층 보관이 가능하므로,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며 운반과 수납 및 적층 등 보관 유지도 효율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이 상호 회동 접촉하여 평행하게 배치됨에 의하여,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점 및 상기 제4 지점은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3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이 상호 회동하여 펼쳐져 직교되게 배치됨에 의하여,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4 지점은 상기 제1 지점과 일직선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3 지점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고 운반과 수납 및 적층 등 보관 유지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과 상기 제3 연결편 및 상기 제4 연결편은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시용 부스나 쇼케이스 등 용도 및 전시 환경에 맞는 다양한 구조의 설치물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범용성을 지닌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길이를 가진 제1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상부 연결 바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를 가진 제1 하부 연결 바와,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1 길이를 가진 제2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상부 연결 바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를 가진 제2 하부 연결 바와,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길이와 같거나 다른 제2 길이를 가진 제3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2 길이를 가진 제3 하부 연결 바와,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길이를 가진 제4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길이를 가진 제4 하부 연결 바를 더 구비함으로써, 구조적 강도를 높이고 조립 및 설치 과정에서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접어서 부피를 줄이면 운반과 수납 및 다단 적층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도 변형이나 손상 또는 파손의 우려없이 형상 유지가 가능한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을 다양한 수요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의 상기 제3 연결편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1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제1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2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의 상기 제4 연결편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4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4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4 지점을 기준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제2 측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의 상기 제3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2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점의 상기 제2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의 상기 제4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제3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3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장치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과 충격을 분산 지지하는 구조의 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의 내측 단부 및,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의 내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외곽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 상호간의 상대적인 절첩 회동과, 상기 외곽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 상호간의 상대적인 절첩 회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절첩 회동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절첩 구동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첩 구동 지지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접촉된 상태로부터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직교된 상태까지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상태로부터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직교된 상태까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조립된 상태에서 쓰러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 및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견고한 조립과 설치 시공 상태의 유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및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외곽 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덮개 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써, 전시용 부스 또는 쇼케이스의 손쉬운 완성 조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덮개 유닛의 안착 고정에 따른 구조적 안정감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서로 접촉하는 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높낮이 조절 레일과, 상기 제1 높낮이 조절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 높낮이 조절편과, 상기 제1 높낮이 조절편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높낮이 조절 레일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높낮이 조절편을 고정시키는 제1 지지용 볼트와,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끝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체결용 레일을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재질의 선반 플레이트를 제1 지지용 볼트 외주면 상에 올려놓으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시용 부스와 쇼케이스의 구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편 및 상기 제4 연결편 각각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높낮이 조절 레일과, 상기 제2 높낮이 조절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 높낮이 조절편과, 상기 제2 높낮이 조절편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높낮이 조절 레일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제2 높낮이 조절편을 고정시키는 제2 지지용 볼트와, 상기 제3 연결편 및 상기 제4 연결편 각각의 끝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체결용 레일을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재질의 선반 플레이트를 제2 지지용 볼트 외주면 상에 올려놓으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시용 부스와 쇼케이스의 구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절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준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덮개 유닛이 덮이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준비 상태에서 결합될 덮개 유닛 중 연결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 3(a)와 같이 결합전, 도 3(b)와 같이 결합후로 각각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준비 상태에서 결합될 덮개 유닛 중 연결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 4(a)와 같이 결합전, 도 4(b)와 같이 결합후로 각각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준비 상태에서 결합될 덮개 유닛 중 연결구를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준비 상태에서 결합될 덮개 유닛 중 연결구를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7은 도 1의 VII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연결부의 절첩 상태일 때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
도 8은 도 1의 VIII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연결부의 절첩 상태일 때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
도 9는 도 2의 IX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연결부의 준비 상태일 때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분해 사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연결부의 준비 상태일 때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분해 사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연결부 주변의 결합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절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준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덮개 유닛(600)이 덮이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III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준비 상태에서 결합될 덮개 유닛(600) 중 연결구(610)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 3(a)와 같이 결합전, 도 3(b)와 같이 결합후로 각각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준비 상태에서 결합될 덮개 유닛(600) 중 연결구(610)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 4(a)와 같이 결합전, 도 4(b)와 같이 결합후로 각각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준비 상태에서 결합될 덮개 유닛(600) 중 연결구(610)를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준비 상태에서 결합될 덮개 유닛(600) 중 연결구(610)를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1의 VII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연결부(100)의 절첩 상태일 때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1의 VIII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연결부(200)의 절첩 상태일 때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2의 IX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연결부(100)의 준비 상태일 때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연결부(100)의 준비 상태일 때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연결부(100) 주변의 결합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b)에서 괄호안의 도면부호는 보이지않고 바로 밑에 평행하게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각각 가리키는 것이다.
아울러, 도 9 및 도 10에서 괄호안의 도면부호는 후술할 제2 연결부(200)에서도 동일하게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각각 가리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정 높이를 가지며 제1, 2, 3, 4 지점(p1, p2, p3, p4)에 각각 배치되는 외곽 프레임(3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2 연결부(100, 20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00)는 외곽 프레임(300) 각각에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편(101) 및 제2 연결편(102)을 각각 구비하고, 제1 연결편(101) 및 제2 연결편(102)은 회동하여 서로 접촉된 상태로부터, 회동하여 펼쳐저 서로 직교된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제2 연결부(200)는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제1 지점(p1)과 마주보는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을 서로 연결한다.
이와 동시에, 제2 연결부(200)는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과,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2 지점(p2)과, 제2 지점(p2)과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4 지점(p4)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2 연결부(200)는 외곽 프레임(300) 각각에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연결편(203) 및 제4 연결편(204)을 각각 구비하고, 제3 연결편(203) 및 제4 연결편(204)은 회동하여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상태로부터, 회동하여 접혀져 서로 직교된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는 상호 회동하여 서로 접촉되거나 펼쳐져 서로 직교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도 1과 같이 완전히 접혀져 운반과 수납 및 다단 적층 등의 보관이 가능한 상태(이하 '절첩 상태') 또는 도 2와 같이 전시용 부스의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한 상태(이하 '준비 상태')로의 상호 스위칭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2 지점(p2)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4 연결편(204)은,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과 연결되며, 제2 지점(p2)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3 연결편(203)은,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연결된다.
아울러, 제4 지점(p4)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3 연결편(203)은,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연결되며, 제4 지점(p4)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4 연결편(204)은,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과 연결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2 연결부(100, 200)는 도 1과 같이 완전히 접혀져 절첩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하 절첩 상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즉,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는, 제1 단부(e1)를 구비한 제1 연결편(101)과 제2 단부(e2)를 구비한 제2 연결편(102)을 포함한다.
절첩 상태에서는, 제1 연결편(101) 및 제2 연결편(102)이 상호 회동 접촉하여 평행하게 배치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는, 제3 단부(e3)를 구비한 제1 연결편(101)과 제4 단부(e4)를 구비한 제2 연결편(102)을 포함한다.
절첩 상태에서는,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이 상호 회동 접촉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면, 제1 단부(e1)와 제4 단부(e4)가 일직선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2 단부(e2)와 제3 단부(e3)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지점(p2)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는, 제5 단부(e5)를 구비한 제3 연결편(203)과 제6 단부(e6)를 구비한 제4 연결편(204)을 포함한다.
절첩 상태에서는, 제3 연결편(203) 및 제4 연결편(204)이 상호 회동하여 제5 단부(e5) 및 제6 단부(e6)가 제2 단부(e2) 및 제3 단부(e3)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5 단부(e5)는 제3 단부(e3)와 마주보며 제6 단부(e6)는 제2 단부(e2)와 마주보게 된다.
또한, 제4 지점(p4)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는, 제7 단부(e7)를 구비한 제3 연결편(203)과 제8 단부(e8)를 구비한 제4 연결편(204)을 포함한다.
절첩 상태에서는, 제3 연결편(203) 및 제4 연결편(204)이 상호 회동하여 제7 단부(e7) 및 제8 단부(e8)가 제1 단부(e1) 및 제4 단부(e4)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7 단부(e7)는 제1 단부(e1)와 마주보며 제8 단부(e8)는 제4 단부(e4)와 마주보게 된다.
다음으로, 제1, 2 연결부(100, 200)는 도 2와 같이 직교되게 펼쳐져 준비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절첩 상태에서 제2 지점(p2) 및 제4 지점(p4)은, 도 1(a)와 같이 제1 지점(p1) 및 제3 지점(p3)의 제1 연결편(101) 및 제2 연결편(102)이 상호 회동 접촉하여 평행하게 배치됨에 의하여, 제1 지점(p1)과 제3 지점(p3)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ℓ, 이하 도 1(a) 참조)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지점(p1) 및 제3 지점(p3)의 제1 연결편(101) 및 제2 연결편(102)이 도 2와 같이 상호 회동하여 펼쳐져 직교되게 배치됨에 의하여, 준비 상태에서 제4 지점(p4)은 제1 지점(p1)과 일직선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지점(p2)은 제3 지점(p3)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과 제3 연결편(203) 및 제4 연결편(204)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외곽 프레임(3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연결부(100, 200)의 상,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바(411a, 412a, 411b, 412b, 421a, 422a, 421b, 422b)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우선, 제1 상부 연결 바(411a)는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제4 지점(p4)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3 연결편(203)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길이(d1)를 가진 것이다.
제1 하부 연결 바(412a)는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제4 지점(p4)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3 연결편(203)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제1 상부 연결 바(411a)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길이(d1)를 가진 것이다.
제2 상부 연결 바(411b)는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제2 지점(p2)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3 연결편(203)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길이(d1)를 가진 것이다.
제2 하부 연결 바(412b)는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제2 지점(p2)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3 연결편(203)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제2 상부 연결 바(411b)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길이(d1)를 가진 것이다.
제3 상부 연결 바(421a)는 제4 지점(p4)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4 연결편(204)과,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제1 길이(d1)와 같거나 다른 제2 길이(d2)를 가진 것이다.
제3 하부 연결 바(422a)는 제4 지점(p4)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4 연결편(204)과,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 길이(d2)를 가진 것이다.
제4 상부 연결 바(421b)는 제2 지점(p2)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4 연결편(204)과,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제2 길이(d2)를 가진 것이다.
제4 하부 연결 바(422b)는 제2 지점(p2)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4 연결편(204)과,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제2 길이(d2)를 가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준비 상태에서 전시용 부스나 쇼케이스 등의 네 측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2 측면 플레이트(431, 43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431)는 제1 지점(p1)의 제1 연결편(101)과, 제4 지점(p4)의 제3 연결편(203)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1 상부 연결 바(411a) 및 제1 하부 연결 바(412a)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유리나 합성수지 또는 합판 등과 같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2 측면 플레이트(432)는 제3 지점(p3)의 제2 연결편(102)과, 제4 지점(p4)의 제4 연결편(204)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4 상부 연결 바(421b) 및 제4 하부 연결 바(422b) 사이에 고정되어 제1 측면 플레이트(431)와 제4 지점(p4)을 기준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유리나 합성수지 또는 합판 등과 같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제1 측면 플레이트(431)는 제3 지점(p3)의 제1 연결편(101)과, 제2 지점(p2)의 제3 연결편(203)에도 고정되어 제2 상부 연결 바(411b) 및 제2 하부 연결 바(412b) 사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측면 플레이트(432)는 제1 지점(p1)의 제2 연결편(102)과, 제2 지점(p2)의 제4 연결편(204)에도 고정되어 제3 상부 연결 바(421a) 및 제3 하부 연결 바(422a) 사이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2 연결부(100, 200)의 회동 동작을 지지하기 위하연 절첩 구동 지지부(5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절첩 구동 지지부(500)는, 외곽 프레임(300)의 내측면과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의 내측 단부 및, 외곽 프레임(300)의 내측면과 제3 연결편(203)과 제4 연결편(204)의 내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절첩 구동 지지부(500)는, 외곽 프레임(300)에 대한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 상호간의 상대적인 절첩 회동과, 외곽 프레임(300)에 대한 제3 연결편(203)과 제4 연결편(204) 상호간의 상대적인 절첩 회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절첩 회동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절첩 구동 지지부(500)는, 절첩 상태에서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이 회동하여 상호 접촉된 상태로부터 준비 상태에서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이 회동하여 상호 직교된 상태까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절첩 구동 지지부(500)는, 절첩 상태에서 제3 연결편(203)과 제4 연결편(204)이 회동하여 상호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상태로부터 준비 상태에서 제3 연결편(203)과 제4 연결편(204)이 회동하여 상호 직교된 상태까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절첩 구동 지지부(500)의 구조에 대하여 도 7 및 도 8과 함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2 회동 지지 리브(510, 520)와 메인 지지 리브(530)와 제1, 2 회동 기어이(511, 521)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메인 지지 리브(530)는 절첩 상태에서 제1 지점(p1)과 제3 지점(p3)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ℓ)과 평행하게 외곽 프레임(3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곽 프레임(30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회동 지지 리브(510)는 제1 연결편(101) 또는 제3 연결편(203) 각각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연결편(101) 또는 제3 연결편(203) 각각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그리고, 제2 회동 지지 리브(520)는 제2 연결편(102) 또는 제4 연결편(204) 각각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연결편(102) 또는 제4 연결편(204) 각각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복수의 제1 회동 기어이(511)는 제1 회동 지지 리브(51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복수의 제2 회동 기어이(521)는 제2 회동 지지 리브(5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제1 회동 기어이(511)들과 각각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메인 지지 리브(530)와 제1 회동 지지 리브(510) 및 제2 회동 지지 리브(520) 각각의 상단부는, 후술할 회동지지 받침편(540)과 복수의 회동지지 볼트(55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외곽 프레임(300)과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과 제3 연결편(203) 및 제4 연결편(204) 각각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절첩 구동 지지부(500)는, 메인 지지 리브(530)와 제1 회동 지지 리브(510) 및 제2 회동 지지 리브(520) 각각의 상부 끝면에 안착되는 회동지지 받침편(5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지지 받침편(540)은, 도 9와 같이 안장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외곽 프레임(30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메인 지지 리브(530)와, 제1, 2 회동 지지 리브(510, 520) 각각의 상단부가 회동 중심축 및 회동 작용편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라면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회동지지 받침편(540)은 예를 들면, 도 9와 같이 메인 지지 리브(530)를 회동축으로 하고, 회동축으로서의 메인 지지 리브(530)를 중심으로 회동 양단부인 제1, 2 회동 지지 리브(510, 520)가 각각의 제1, 2 회동 기어이(511, 521)들의 맞물림에 따른 회동 동작에 이탈이나 변형됨이 없도록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회동지지 받침편(540)에는 도 10과 같이 메인 지지 리브(530)를 중심으로 제1, 2 회동 기어이(511, 521)들의 맞물림에 따른 회동 동작시 이탈이나 제1, 2 연결편(101, 102)의 뒤틀림 등 변형을 미연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변형 규제편(541)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 규제편(541)은 회동지지 받침편(540)의 일단부, 즉 메인 지지 리브(530)의 상단부와 대응하는 부분 근방으로부터 연장되며, 변형 규제편(541)의 외측 가장자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장 형상으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함몰된 외곽 프레임(300)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 규제편(541)의 외측 가장자리가 외곽 프레임(300)의 내측면에 맞닿아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회동 절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조적 특성상 전체적으로 발생할 우려가 있는 비틀림이나 휨 등의 변형을 일정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절첩 구동 지지부(500)는, 회동지지 받침편(540)의 상면으로부터 삽입되어 메인 지지 리브(530)와 제1 회동 지지 리브(510) 및 제2 회동 지지 리브(520) 각각의 상부 끝면에 나사 체결되어 회동지지 받침편(540)의 상면에 각각 헤드가 고정되는 복수의 회동지지 볼트(5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절첩 구동 지지부(500)는, 도 10과 같이 복수의 회동지지 볼트(550)들 중 제1 회동 지지 리브(5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볼트 체결홀(512)에 결합되는 회동지지 볼트(550)와, 제2 회동 지지 리브(5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2 볼트 체결홀(512)에 결합되는 회동지지 볼트(550)가, 메인 지지 리브(5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메인 볼트 체결홀(532)에 결합된 회동지지 볼트(550)를 회동축으로 하는 회동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회동지지 부싱(560)들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회동지지 부싱(560)은 회동지지 받침편(540)에 관통되어 전술한 제1, 2 볼트 체결홀(512, 522) 및 메인 볼트 체결홀(53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부싱지지 홀(542)에 삽입되어 정, 역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의 회동지지 볼트(550) 각각의 헤드부 바로 아래에는 양단 관통인 회동지지 부싱(560)의 내경을 형성하는 관통홀(561)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고정 단차부(551)를 구비할 수 있으며, 고정 단차부(551)로부터 연장되어 나사산(도시 생략)이 형성된 볼트 몸체(552)가 관통홀(561)을 통과하여, 각각 전술한 제1, 2 볼트 체결홀(512, 522) 및 메인 볼트 체결홀(532)에 나사 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회동지지 부싱(560)이 도 10의 실시예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체결 구조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도 9의 실시예에도 같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와 함께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준비 상태에서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과 제3 지점(p3) 및 제4 지점(p4)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곽 프레임(300)과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 각각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덮개 유닛(6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덮개 유닛(600)은, 크게 연결구(610)와 덮개 외곽 프레임(620)과 마감 플레이트(6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연결구(610)는 준비 상태에서 제1 지점(p1)과 제3 지점(p3)에 각각 배치된 외곽 프레임(300)과 제1 연결부(100)와, 제2 지점(p2)과 제4 지점(p4)에 각각 배치된 외곽 프레임(300)과 제2 연결부(200) 각각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이다.
또한, 덮개 외곽 프레임(620)은 준비 상태에서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과 제3 지점(p3) 및 제4 지점(p4)에 각각 안착되는 연결구(610)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아울러, 마감 플레이트(630)는 복수의 덮개 외곽 프레임(620) 내측에 결합되어 덮개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연결구(610)의 구조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연결구(610)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부 덮개(611)와, 체결 블록(612)과, 하부 덮개(613)와, 걸림 리브(614)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덮개(611)는 준비 상태에서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과 제3 지점(p3) 및 제4 지점(p4)에 각각 배치된 외곽 프레임(300)들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인 곡면을 포함하는 외측면(611t)과, 외측면(611t)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덮는 제1 상면(611u)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체결 블록(612)은 제1 상면(611u) 내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쐐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또한, 하부 덮개(613)는 체결 블록(612)의 하면에 맞물리는 복수의 체결 돌편(613p)이 돌출 형성되는 제2 상면(613u)을 가진 것이다.
아울러, 걸림 리브(614)는 하부 덮개(613)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외곽 프레임(300)의 외측면 상단부에 접촉 고정되는(이하 도 11(b) 참조) 것이다.
여기서, 연결구(610)의 외측면(611t)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 2 평측면(611ta, 611tb)와 곡측면(611tc)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1 평측면(611ta)은 준비 상태에서 제1 연결부(100) 또는 제2 연결부(200)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제2 평측면(611tb)은 준비 상태에서 제1 연결부(100) 또는 제2 연결부(200)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제1 평측면(611ta)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부재이다.
곡측면(611tc)은 외곽 프레임(300) 상단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제1 평측면(611ta) 및 제2 평측면(611tb) 각각의 가장자리를 원호 형상으로 연결하는 곡면을 이루는 부재이다.
따라서, 체결 블록(612)의 상면은 제1 상면(611u)의 하부에 고정되고, 체결 블록(612)의 일단부는 제1 평측면(611ta)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체결 블록(612)의 타단부는 제2 평측면(611tb)의 내측면에 고정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제1 상면(611u)의 가장자리는 제1 평측면(611ta)과 곡측면(611tc) 및 제2 평측면(611tb)의 상단부 가장자리와 맞닿으며, 제1 평측면(611ta)과 곡측면(611tc) 및 제2 평측면(611tb)의 하단부 내측 가장자리에는 하부 덮개(613)의 외측 가장자리가 맞닿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체결 블록(612)은 제1 평측면(611ta)의 내측면과 제1 상면(611u)의 하부에 동시 고정되는 제1 블록(612a)과, 체결 블록(612)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2 평측면(611tb)의 내측면과 제1 상면(611u)에 하부 및 제1 블록(612a)의 끝면에 동시 고정되는 제2 블록(612b)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구(610)는 덮개 외곽 프레임(620) 및 마감 플레이트(630) 등과의 결합 체결 구조 마련을 위하여 제1, 2 상부 체결슬롯 형성편(615a, 616a) 및 제1, 2 하부 체결슬롯 형성편(615b, 616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상부 체결슬롯 형성편(615a)은 제1 블록(612a)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상면(611u)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제1 평측면(611ta)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것이다.
제1 하부 체결슬롯 형성편(615b)은 제1 블록(612a)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상면(613u)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하여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제1 평측면(611ta)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접촉 가능한 것이다.
제2 상부 체결슬롯 형성편(616a)은 제2 블록(612b)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상면(611u)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제2 평측면(611tb)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것이다.
제2 하부 체결슬롯 형성편(616b)은 제2 블록(612b)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상면(613u)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하여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제2 평측면(611tb)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접촉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상부 체결슬롯 형성편(615a)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제1 하부 체결슬롯 형성편(615b)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도 3(b) 및 도 4(b)와 같이 제1 체결슬롯(615)이 형성되며, 제2 상부 체결슬롯 형성편(616a)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제2 하부 체결슬롯 형성편(616b)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도 3(b) 및 도 4(b)와 같이 제2 체결슬롯(616)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제1 체결슬롯(615) 및 제2 체결슬롯(616)에는 도 11(b)와 같이 덮개 외곽 프레임(620) 각각의 양단부에 구비된 고정구(621)가 고정되며, 제1 체결슬롯(615) 및 제2 체결슬롯(616) 각각의 내측 단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부(618)에는 마감 플레이트(630)의 네 꼭지점을 각각 형성하는 모서리부(631)가 수용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연결구(610)는 다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 하부 덮개(611, 613)의 상호 체결을 위하여 제1, 2 체결홈(612ag, 612bg)와 제1, 2, 3 체결 볼트(617a, 617b, 617c)와 제1, 2 통공(613ha, 613hb, 613hc)과 제1, 2 볼트 체결홈(612cg, 612dg, 612eg)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체결홈(612ag)은 제1 블록(612a)의 하면에 복수로 상측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어 제2 상면(613u)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체결 돌편(613p)을 각각 수용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제2 체결홈(612bg)은 제2 블록(612b)의 하면에 복수로 상측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어 제2 상면(613u)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체결 돌편(613p)을 각각 수용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제1 체결 볼트(617a)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하부 덮개(613)로부터 삽입되어 제1 블록(612a)에 고정되며, 제2 체결 볼트(617b)는 하부 덮개(613)로부터 삽입되어 제2 블록(612b)에 고정된다.
제1 체결 볼트(617a)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하부 덮개(613)로부터 삽입되어 제1 블록(612a)에 고정되며, 제2 체결 볼트(617b)는 하부 덮개(613)로부터 삽입되어 제2 블록(612b)에 고정되고, 제3 체결 볼트(617c)는 걸림 리브(614) 중간에 하부 덮개(613)측을 향하여 절개된 리브 절개부(614p, 이하 도 6 참조)를 통하여 삽입되어 제1, 2 블록(612a, 612b)이 만나는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통공(613ha)은 도 3 및 도 5와 같이 하부 덮개(613)에 관통되어 제1 체결 볼트(617a)의 헤드가 안착 고정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며, 제2 통공(613hb)은 하부 덮개(613)에 관통되어 제2 체결 볼트(617b)의 헤드가 안착 고정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1 통공(613ha)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하부 덮개(613)에 관통되어 제1 체결 볼트(617a)의 헤드가 안착 고정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며, 제2 통공(613hb)은 하부 덮개(613)에 관통되어 제2 체결 볼트(617b)의 헤드가 안착 고정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고, 제3 통공(613hc)은 전술한 리브 절개부(614p)를 통하여 하부 덮개(613)에 관통되어 제3 체결볼트(617c)의 헤드가 안착 고정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1 볼트 체결홈(612cg)은 도 3 및 도 5와 같이 제1 통공(613h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블록(612a)의 하면에 상측으로 함몰되어 제1 체결 볼트(617a)가 나사 고정되는 것이며, 제2 볼트 체결홈(612dg)은 제2 통공(613hb)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2 블록(612b)의 하면에 상측으로 함몰되어 제2 체결 볼트(617b)가 나사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1 볼트 체결홈(612cg)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제1 통공(613h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블록(612a)의 하면에 상측으로 함몰되어 제1 체결 볼트(617a)가 나사 고정되는 것이며, 제2 볼트 체결홈(612dg)은 제2 통공(613hb)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2 블록(612b)의 하면에 상측으로 함몰되어 제2 체결 볼트(617b)가 나사 고정되는 것이다.
동시에, 제3 볼트 체결홈(612eg)은 도 6과 같이 제3 통공(613hc)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2 블록(612a, 612b)이 서로 만나는 부분의 하면에 상측으로 함몰되어 제3 체결볼트(617c)가 나사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1 상면(611u)에는 제1, 2 상부 체결 슬롯 형성편(615a, 616a)이 각각 형성된 제1 상면(611u)의 내측 가장자리들이 각각 만나는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된 표시 사면(611s)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사면(611s)은 뒤에서 언급할 마감 플레이트(630)의 네 모서리 중 한 부분이 정확하게 삽입될 부분임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체결 작업을 실시함에 편의를 제공하고자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덮개 외곽 프레임(620) 각각의 내측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마감 플레이트(630)의 네 가장자리가 수용 고정되는 플레이트 수용 슬롯(622, 이하 도 11(b) 참조)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연결부(100)는, 다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양한 전시 환경과 다양한 종류의 전시용 부스 및 쇼케이스 조립 설치 및 시공을 위하여 제1 높낮이 조절 레일(110)과 제1 높낮이 조절편(120)과 제1 지지용 볼트(130)와 제1 체결용 레일(1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높낮이 조절 레일(110)은 절첩 상태에서 제1 연결편(101) 및 제2 연결편(102) 각각의 서로 접촉하는 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 높낮이 조절편(120)은 제1 높낮이 조절 레일(110)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다.
제1 지지용 볼트(130)는 제1 높낮이 조절편(120)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제1 높낮이 조절 레일(110)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여 제1 높낮이 조절편(12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제1 체결용 레일(140)은 제1 연결편(101) 및 제2 연결편(102) 각각의 끝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연결부(200)는, 다양한 전시 환경과 다양한 종류의 전시용 부스 및 쇼케이스 조립 설치 및 시공을 위하여 제2 높낮이 조절 레일(210)과 제2 높낮이 조절편(220)과 제2 지지용 볼트(230)와 제2 체결용 레일(2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 높낮이 조절 레일(210)은 준비 상태에서 제3 연결편(203) 및 제4 연결편(204) 각각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2 높낮이 조절편(220)은 제2 높낮이 조절 레일(210)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다.
제2 지지용 볼트(230)는 제2 높낮이 조절편(220)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제2 높낮이 조절 레일(210)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여 제2 높낮이 조절편(22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제2 체결용 레일(240)은 제3 연결편(203) 및 제4 연결편(204) 각각의 끝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지지용 볼트(130) 및 제2 지지용 볼트(230)의 외주면에 선반 플레이트(700)가 올려져 도 12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전시용 부스(10)나 쇼케이스(20) 등의 구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일정 높이를 가지며 제1, 2, 3, 4 지점(p1, p2, p3, p4)에 각각 배치되는 외곽 프레임(300)과, 외곽 프레임(300) 각각에 회동 가능한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는 상호 회동하여 서로 접촉되거나 펼쳐져 서로 직교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완전히 접혀져 운반과 수납 및 다단 적층 등의 보관이 가능한 상태(이하 '절첩 상태') 또는 전시용 부스의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한 상태(이하 '준비 상태')로의 상호 스위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를 회동시켜 펼치기만 하면 설치 준비가 완료되고, 회동시켜 접기만 하면 수납 및 다단 적층 보관이 가능하므로,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며 운반과 수납 및 적층 등 보관 유지도 효율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지점(p1) 및 제3 지점(p3)의 제1 연결편(101) 및 제2 연결편(102)이 상호 회동 접촉하여 평행하게 배치됨에 의하여, 절첩 상태에서 제2 지점(p2) 및 제4 지점(p4)은 제1 지점(p1)과 제3 지점(p3)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ℓ)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 지점(p1) 및 제3 지점(p3)의 제1 연결편(101) 및 제2 연결편(102)이 상호 회동하여 펼쳐져 직교되게 배치됨에 의하여, 준비 상태에서 제4 지점(p4)은 제1 지점(p1)과 일직선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지점(p2)은 제3 지점(p3)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고 운반과 수납 및 적층 등 보관 유지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과 제3 연결편(203) 및 제4 연결편(204)은 외곽 프레임(3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시용 부스(10)나 쇼케이스(20) 등 용도 및 전시 환경에 맞는 다양한 구조의 설치물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범용성을 지닌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제4 지점(p4)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3 연결편(203)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길이(d1)를 가진 제1 상부 연결 바(411a)와,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제4 지점(p4)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3 연결편(203)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제1 상부 연결 바(411a)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길이(d1)를 가진 제1 하부 연결 바(412a)와,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제2 지점(p2)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3 연결편(203)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길이(d1)를 가진 제2 상부 연결 바(411b)와,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1 연결편(101)과, 제2 지점(p2)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3 연결편(203)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제2 상부 연결 바(411b)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길이(d1)를 가진 제2 하부 연결 바(412b)와, 제4 지점(p4)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4 연결편(204)과,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제1 길이(d1)와 같거나 다른 제2 길이(d2)를 가진 제3 상부 연결 바(421a)와, 제4 지점(p4)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4 연결편(204)과, 제3 지점(p3)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 길이(d2)를 가진 제3 하부 연결 바(422a)와, 제2 지점(p2)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4 연결편(204)과,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제2 길이(d2)를 가진 제4 상부 연결 바(421b)와, 제2 지점(p2)에 배치된 제2 연결부(200)의 제4 연결편(204)과, 제1 지점(p1)에 배치된 제1 연결부(100)의 제2 연결편(102)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제2 길이(d2)를 가진 제4 하부 연결 바(422b)를 더 구비함으로써, 구조적 강도를 높이고 조립 및 설치 과정에서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접어서 부피를 줄이면 운반과 수납 및 다단 적층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도 변형이나 손상 또는 파손의 우려없이 형상 유지가 가능한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을 다양한 수요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지점(p1)의 제1 연결편(101)과, 제4 지점(p4)의 제3 연결편(203)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1 상부 연결 바(411a) 및 제1 하부 연결 바(412a)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제1 측면 플레이트(431)와, 제3 지점(p3)의 제2 연결편(102)과, 제4 지점(p4)의 제4 연결편(204)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4 상부 연결 바(421b) 및 제4 하부 연결 바(422b) 사이에 고정되어 제1 측면 플레이트(431)와 제4 지점(p4)을 기준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제2 측면 플레이트(432)를 더 포함하며, 제1 측면 플레이트(431)는 제3 지점(p3)의 제1 연결편(101)과, 제2 지점(p2)의 제3 연결편(203)에 고정되어 제2 상부 연결 바(411b) 및 제2 하부 연결 바(412b) 사이에 고정 배치되고, 제2 측면 플레이트(432)는 제1 지점(p1)의 제2 연결편(102)과, 제2 지점(p2)의 제4 연결편(204)에 고정되어 제3 상부 연결 바(421a) 및 제3 하부 연결 바(422a) 사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장치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과 충격을 분산 지지하는 구조의 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외곽 프레임(300)의 내측면과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의 내측 단부 및, 외곽 프레임(300)의 내측면과 제3 연결편(203)과 제4 연결편(204)의 내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외곽 프레임(300)에 대한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 상호간의 상대적인 절첩 회동과, 외곽 프레임(300)에 대한 제3 연결편(203)과 제4 연결편(204) 상호간의 상대적인 절첩 회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절첩 회동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절첩 구동 지지부(500)를 더 포함하며, 절첩 구동 지지부(500)는, 절첩 상태에서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이 회동하여 상호 접촉된 상태로부터 준비 상태에서 제1 연결편(101)과 제2 연결편(102)이 회동하여 상호 직교된 상태까지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절첩 상태에서 제3 연결편(203)과 제4 연결편(204)이 회동하여 상호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상태로부터 준비 상태에서 제3 연결편(203)과 제4 연결편(204)이 회동하여 상호 직교된 상태까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조립된 상태에서 쓰러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 및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견고한 조립과 설치 시공 상태의 유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준비 상태에서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과 제3 지점(p3) 및 제4 지점(p4)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곽 프레임(300)과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 각각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덮개 유닛(600)을 더 구비함으로써, 전시용 부스(10) 또는 쇼케이스(20)의 손쉬운 완성 조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덮개 유닛의 안착 고정에 따른 구조적 안정감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부(100)는, 절첩 상태에서 제1 연결편(101) 및 제2 연결편(102) 각각의 서로 접촉하는 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높낮이 조절 레일(110)과, 제1 높낮이 조절 레일(110)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 높낮이 조절편(120)과, 제1 높낮이 조절편(120)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제1 높낮이 조절 레일(110)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여 제1 높낮이 조절편(120)을 고정시키는 제1 지지용 볼트(130)와, 제1 연결편(101) 및 제2 연결편(102) 각각의 끝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체결용 레일(140)을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재질의 선반 플레이트(700)를 제1 지지용 볼트(130) 외주면 상에 올려놓으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시용 부스(10)와 쇼케이스(20)의 구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부(200)는, 준비 상태에서 제3 연결편(203) 및 제4 연결편(204) 각각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높낮이 조절 레일(210)과, 제2 높낮이 조절 레일(210)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 높낮이 조절편(220)과, 제2 높낮이 조절편(220)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제2 높낮이 조절 레일(210)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여 제2 높낮이 조절편(220)을 고정시키는 제2 지지용 볼트(230)와, 제3 연결편(203) 및 제4 연결편(204) 각각의 끝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체결용 레일(240)을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재질의 선반 플레이트(700)를 제2 지지용 볼트(230) 외주면 상에 올려놓으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시용 부스와 쇼케이스의 구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며 운반과 수납 및 적층 등 보관 유지도 효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전시용 부스
20...쇼케이스
100...제1 연결부
101...제1 연결편
102...제2 연결편
110...제1 높낮이 조절 레일
120...제1 높낮이 조절편
130...제1 지지용 볼트
140...제1 체결용 레일
200...제2 연결부
203...제3 연결편
204...제4 연결편
210...제2 높낮이 조절 레일
220...제2 높낮이 조절편
230...제2 지지용 볼트
240...제2 체결용 레일
300...외곽 프레임
411a...제1 상부 연결 바
411b...제2 상부 연결 바
412a...제1 하부 연결 바
412b...제2 하부 연결 바
421a...제3 상부 연결 바
421b...제4 상부 연결 바
422a...제3 하부 연결 바
422b...제4 하부 연결 바
431...제1 측면 플레이트
432...제2 측면 플레이트
500...절첩 구동 지지부
510...제1 회동 지지 리브
511...제1 회동 기어이
512...제1 볼트 체결홀
520...제2 회동 지지 리브
521...제2 회동 기어이
522...제2 볼트 체결홀
530...메인 지지 리브
532...메인 볼트 체결홀
540...회동지지 받침편
541...변형 규제편
542...부싱지지 홀
550...회동지지 볼트
551...고정 단차부
552...볼트 몸체
560...회동지지 부싱
561...관통홀
600...덮개 유닛
610...연결구
611...상부 덮개
611s...표시 사면
611t...외측면
611ta...제1 평측면
611tb...제2 평측면
611tc...곡측면
611u...제1 상면
612...체결 블록
612a...제1 블록
612ag...제1 체결홈
612b...제2 블록
612bg...제2 체결홈
612cg...제1 볼트 체결홈
612dg...제2 볼트 체결홈
612eg...제3 볼트 체결홈
613...하부 덮개
613ha...제1 통공
613hb...제2 통공
613hc...제3 통공
613p...체결 돌편
613u...제2 상면
614...걸림 리브
614p...리브 절개부
615...제1 체결슬롯
615a...제1 상부 체결슬롯 형성편
615b...제1 하부 체결슬롯 형성편
616...제2 체결슬롯
616a...제2 상부 체결슬롯 형성편
616b...제2 하부 체결슬롯 형성편
617a...제1 체결 볼트
617b...제2 체결 볼트
617c...제3 체결 볼트
618...절개부
620...덮개 외곽 프레임
621...고정구
622...플레이트 수용 슬롯
630...마감 플레이트
631...모서리부
700...선반 플레이트
e1...제1 단부
e2...제2 단부
e3...제3 단부
e4...제4 단부
e5...제5 단부
e6...제6 단부
e7...제7 단부
e8...제8 단부
d1...제1 길이
d2...제2 길이
ℓ...가상선
p1...제1 지점
p2...제2 지점
p3...제3 지점
p4...제4 지점

Claims (9)

  1. 일정 높이를 가지며 제1, 2, 3, 4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외곽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 각각에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편 및 제2 연결편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은 회동하여 서로 접촉된 상태로부터, 회동하여 펼쳐져 서로 직교된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제1 연결부;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1 지점과 마주보는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을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과,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2 지점과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4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곽 프레임 각각에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연결편 및 제4 연결편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3 연결편 및 상기 제4 연결편은 회동하여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상태로부터, 회동하여 접혀져 서로 직교된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제2 연결부; 및,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의 내측 단부 및,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의 내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외곽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 상호간의 상대적인 절첩 회동과, 상기 외곽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 상호간의 상대적인 절첩 회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절첩 회동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절첩 구동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 구동지지부는,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3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과 평행하게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 지지 리브;
    상기 제1 연결편 또는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편 또는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회동 지지 리브;
    상기 제2 연결편 또는 상기 제4 연결편 각각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편 또는 상기 제4 연결편 각각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회동 지지 리브;
    상기 제1 회동 지지 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1 회동 기어이;
    상기 제2 회동 지지 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2 회동 기어이;
    상기 메인 지지 리브와 상기 제1 회동 지지 리브 및 상기 제2 회동 지지 리브 각각의 상부 끝면에 안착되는 회동지지 받침편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지지 받침편에 안장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메인 지지 리브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회동 기어이 및 상기 제2 회동 기어이들의 맞물림에 따른 회동 동작시 이탈이나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규제편을 구비하여,
    상기 변형 규제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이 상호 회동 접촉하여 평행하게 배치됨에 의하여,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점 및 상기 제4 지점은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3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이 상호 회동하여 펼쳐져 직교되게 배치됨에 의하여,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4 지점은 상기 제1 지점과 일직선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3 지점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과 상기 제3 연결편 및 상기 제4 연결편은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길이를 가진 제1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상부 연결 바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를 가진 제1 하부 연결 바와,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1 길이를 가진 제2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3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상부 연결 바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를 가진 제2 하부 연결 바와,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길이와 같거나 다른 제2 길이를 가진 제3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2 길이를 가진 제3 하부 연결 바와,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길이를 가진 제4 상부 연결 바와,
    상기 제2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4 연결편과,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길이를 가진 제4 하부 연결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의 상기 제3 연결편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1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제1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2 연결편과, 상기 제4 지점의 상기 제4 연결편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4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4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4 지점을 기준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제2 측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3 지점의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의 상기 제3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2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점의 상기 제2 연결편과, 상기 제2 지점의 상기 제4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제3 상부 연결 바 및 상기 제3 하부 연결 바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첩 구동 지지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접촉된 상태로부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직교된 상태까지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상태로부터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편과 상기 제4 연결편이 회동하여 상호 직교된 상태까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및 상기 제4 지점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외곽 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덮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서로 접촉하는 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높낮이 조절 레일과,
    상기 제1 높낮이 조절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 높낮이 조절편과,
    상기 제1 높낮이 조절편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높낮이 조절 레일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높낮이 조절편을 고정시키는 제1 지지용 볼트와,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 각각의 끝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체결용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편 및 상기 제4 연결편 각각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높낮이 조절 레일과,
    상기 제2 높낮이 조절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 높낮이 조절편과,
    상기 제2 높낮이 조절편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높낮이 조절 레일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제2 높낮이 조절편을 고정시키는 제2 지지용 볼트와,
    상기 제3 연결편 및 상기 제4 연결편 각각의 끝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체결용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KR1020170136442A 2017-10-20 2017-10-20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KR10215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442A KR102155407B1 (ko) 2017-10-20 2017-10-20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442A KR102155407B1 (ko) 2017-10-20 2017-10-20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253A KR20190044253A (ko) 2019-04-30
KR102155407B1 true KR102155407B1 (ko) 2020-09-11

Family

ID=6628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442A KR102155407B1 (ko) 2017-10-20 2017-10-20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4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568A (ko) * 2020-12-07 2022-06-14 한상미 캐빈(cabin) 조립용 프레임
KR102662998B1 (ko) * 2023-12-07 2024-05-07 (주)엠에스이엔지 다용도 조립식 부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603A (ja) * 2000-04-24 2001-07-27 Itoki Co Ltd 間仕切り装置およびその構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762B2 (ja) * 1992-11-26 1997-04-23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組立建物における組立て分解自在な側壁
KR101022975B1 (ko) 2010-09-20 2011-03-22 유승협 실내외 전시행사를 위한 컨테이너형 시스템부스
KR101470273B1 (ko) 2014-01-16 2014-12-05 신호근 전시회장 또는 박람회장 부스용 광고판 고정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603A (ja) * 2000-04-24 2001-07-27 Itoki Co Ltd 間仕切り装置およびその構築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568A (ko) * 2020-12-07 2022-06-14 한상미 캐빈(cabin) 조립용 프레임
KR102415190B1 (ko) 2020-12-07 2022-06-29 한상미 캐빈(cabin) 조립용 프레임
KR102662998B1 (ko) * 2023-12-07 2024-05-07 (주)엠에스이엔지 다용도 조립식 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253A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2262B2 (en) Connecting corner for knock down racks
US7631605B2 (en) Connection system for furniture
US6418861B1 (en) Modular pallet construction
EP3429429B1 (en) Interlocking panels, modules with interlocking panels, and a modular display case with interlocking modules with interlocking panels
US5561960A (en) Modular wall panel system
US8011156B1 (en) Construction set
US7516708B2 (en) Interlocking table with integral magazine holder
KR101253462B1 (ko) 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US9187208B2 (en) Joint building system for box structures
US20070256614A1 (en) Platform-Type Shelf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2155407B1 (ko)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KR100694203B1 (ko) 선반 기능을 가진 조립식 파레트 겸용 박스
US6189271B1 (en) Building systems
KR20190087840A (ko) 공간 가변형 가건물
KR19990064711A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US20040150306A1 (en) Portable display, storage and transport case
KR101665254B1 (ko)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US11172771B2 (en) Modular display booth assembly that requires no tools
KR20030021331A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KR101970404B1 (ko) 모듈식 조립구조의 건축물
KR102061666B1 (ko) 수직판과 배면판 및 수평판으로 자체 조립되는 조립식 책장 및 그 조립방법
US20190078598A1 (en) Panel lock construct
CA3146397A1 (en) Coupling device for modular construction of structures or objects
EP1550614B1 (en) Set of junction fittings and sections used to form frames which are intended for the production of packaging boxes and chests
KR200257658Y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