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983B1 -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4983B1 KR102414983B1 KR1020220003304A KR20220003304A KR102414983B1 KR 102414983 B1 KR102414983 B1 KR 102414983B1 KR 1020220003304 A KR1020220003304 A KR 1020220003304A KR 20220003304 A KR20220003304 A KR 20220003304A KR 102414983 B1 KR102414983 B1 KR 1024149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rotation
- coupled
- rotating part
- mobi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접착부재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전단이 베이스의 후단과 암수로 축 결합되고, 전후 방향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권취측 또는 풀림측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와, 회전부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조작돌기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그립부 및, 형태 변형 가능하게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부의 반경 방향에 권취 및 풀림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 및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대부분 얇은 두께의 바 형태를 갖고 기술 발전으로 점차 두께도 얇아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두께가 얇고 무게도 가벼워 휴대성은 발전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휴대할 때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최근에는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의 후방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부위를 후방에서 지지하거나 걸림 위치시키는 그립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는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낙하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휴대단말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휴대단말기를 일정 각도로 거치시키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는 휴대단말기를 일정 각도로 거치시키는 경우 설치면의 각도와 형상 등의 영향을 받는 구조이므로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위치가 제한적이었고, 휴대단말기를 불안정한 위치에 거치시커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거치 상태가 변경되거나 낙하되어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3-0034563호(2013년 04월 0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 및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는 접착부재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전단이 상기 베이스의 후단과 암수로 축 결합되고, 전후 방향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권취측 또는 풀림측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조작돌기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그립부 및, 형태 변형 가능하게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회전부의 반경 방향에 권취 및 풀림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그립부를 상기 권취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부의 반경방향에 권취되면서 길이가 축소되고, 상기 그립부를 상기 풀림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부로부터 풀리면서 외부로 길이가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는 변형된 형태가 유지되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회전부의 반경방향에 결합되는 가변 와이어 및, 상기 가변 와이어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피복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회전부의 반경방향 양측에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회전부의 반경방향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에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부는 폭방향으로 중공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그립부를 상기 권취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와이어부의 폭방향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가 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부의 형태 변형이 가능하므로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거치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립부의 회전을 통해 와이어부를 축소된 길이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그립부를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를 권취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를 설치 구조물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를 이용해 휴대단말기를 설치면에 경사지게 거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가이드돌기에 지지단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가이드돌기에 지지단을 형성시키고, 와이어부를 권취시키는 경우 지지단이 와이어부를 지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고리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고리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고리부를 형성시키고, 와이어부를 권취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에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및 탄성부재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에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및 탄성부재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측 분리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그립부를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를 권취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를 설치 구조물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를 이용해 휴대단말기를 설치면에 경사지게 거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가이드돌기에 지지단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가이드돌기에 지지단을 형성시키고, 와이어부를 권취시키는 경우 지지단이 와이어부를 지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고리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고리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고리부를 형성시키고, 와이어부를 권취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에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및 탄성부재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에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및 탄성부재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측 분리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그립부를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를 권취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를 설치 구조물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를 이용해 휴대단말기를 설치면에 경사지게 거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가이드돌기에 지지단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가이드돌기에 지지단을 형성시키고, 와이어부를 권취시키는 경우 지지단이 와이어부를 지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고리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고리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변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의 와이어부에 고리부를 형성시키고, 와이어부를 권취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에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및 탄성부재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에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및 탄성부재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측 분리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는 베이스(100)와, 회전부(200)와, 그립부(300) 및, 와이어부(40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전면이 접착부재(30)에 의해 휴대단말기(10)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베이스(100)는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베이스(100)의 후단이 후술될 회전부(200)의 전단과 암수로 축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는 후술될 회전부(200)를 결합시키기 위해 베이스(10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축(110)이 돌출될 수 있다. 회전축(110)은 전후 방향의 회전중심(C)을 형성하고, 회전축(110)의 반경방향을 원주를 이를 수 있으며, 회전축(110)의 원주면으로부터 체결돌기(111)가 돌출될 수 있다.
체결돌기(111)는 회전축(110)의 원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5에서처럼 회전축(11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후술될 회전부(200)가 권취측 또는 풀림측으로 회전 가능하고, 후술될 제2걸림돌기(211)가 체결돌기(111)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회전축(110)의 후단이 축 삽입홈(21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회전부(200)는 후술될 와이어부(400)를 권취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부(200)의 전단이 베이스(100)의 후단과 암수로 축 결합되고, 전후 방향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권취측 또는 풀림측으로 회전 가능하며, 회전부(200)는 반경방향이 원주를 이루는 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부(200)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를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손가락의 검지와 중지의 사이 등에 파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는 체결돌기(111)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전단에 축 삽입홈(21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축 삽입홈(210)의 내주면은 회전축(110)의 원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축 삽입홈(210)의 전방영역에는 체결돌기(111)의 돌출된 끝단을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제2걸림돌기(211)가 돌출될 수 있다.
제2걸림돌기(211)는 축 삽입홈(21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거나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4와 5에서처럼 회전축(11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후술될 회전부(200)가 권취측 또는 풀림측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때 제2걸림돌기(211)가 체결돌기(111)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회전축(110)이 축 삽입홈(21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립부(300)는 회전부(200)의 후단에 구비되어 휴대단말기(1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가락(검지와 중지 등) 또는 손등의 후방에 걸림 위치되는 부분으로, 회전부(200)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회전부(200)의 후단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그립부(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조작돌기(310)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된다.
조작돌기(310)들은 회전부(200)를 권취측 또는 풀림측으로 양방향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부(2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조작돌기(310)들의 사이에 일정 넓이의 간격이 형성된다. 여기서 조작돌기(310)는 그립부(30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즉, 조작돌기(310)들의 사이 간격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거나 조작돌기(310)의 돌출된 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그립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고, 그립부(3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조작돌기(310)들에 걸림 위치되어 미끄러짐이 방지되므로 그립부(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조작돌기(310)는 양측으로 길이를 갖는 타원 형상(꽃잎 형상 등)을 가질 수 있고, 조작돌기(310)의 길이방향 일측이 그립부(300)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조작돌기(310)는 그립부(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배열되어 꽃 모양을 형성하므로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립부(3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단말기(10)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등의 후방에 걸림 위치되므로, 휴대단말기(10)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10)를 설치면에 경사지게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경우 그립부(300)의 일측이 설치면에 안착되어 휴대단말기(10)를 후방을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다.
와이어부(400)는 휴대단말기(10)를 설치면에 거치시키거나 설치 구조물(사용자의 손가락, 자전거의 프레임, 유모차의 프레임 등, 40) 등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형태 변형 가능하게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부(200)의 반경 방향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부(400)는 그립부(300)를 권취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부(200)의 반경방향에 권취되면서 길이가 축소되고, 그립부(300)를 풀림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부(200)로부터 풀리면서 외부로 길이가 신장된다.
또한, 와이어부(400)는 도 2 내지 4에서처럼 변형된 형태가 유지되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부(200)의 반경방향에 결합되는 가변 와이어(410) 및, 가변 와이어(410)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피복층(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와이어(410)는 와이어부(400)는 변경시키는 경우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지 않는 금속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가변 와이어(410)의 길이와 직경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피복층(420)은 가변 와이어(410)의 외부에 일정 두께로 피복될 수 있고, 탄성 변형 가능한 실리콘(silicone)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복층(420)이 가변 와이어(410)의 외면을 커버하므로 와이어부(400)의 표면을 부드러운 질감으로 마감할 수 있다.
또한, 피복층(420)에 의해 와이어부(400)의 표면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와이어부(400)를 설치 구조물(40)에 결합(권취 등)시키는 경우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와이어부(400)의 결합력이 향상되므로 설치 구조물(40)에 결합시 휴대단말기(40)의 위치가 쉽게 변경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400)는 도 1 내지 7에서처럼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부(200)의 반경방향 양측에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부(400)들의 길이방향 일측은 회전부(200)의 내부에 삽입될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와이어부(400)들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와이어부(400)는 서로 다른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와이어부(400)를 변형시킬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와이어부(4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립부(300)를 권취측으로 회전시켜 회전부(200)의 외부에 권취시킬 수 있어 축소된 부피로 보관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를 설치 구조물(자전거의 프레임, 유모차의 프레임 등, 40)에 고정시키는 경우 와이어부(400)들을 설치 구조물(40)의 외부에 권취시킬 수 있고, 휴대단말기(10)를 설치면에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경우 와이어부(400)들의 길이방향 일측을 다양한 형태로 절곡시켜 설치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400)는 도 11 내지 14에서처럼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부(200)의 반경방향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에 고리부(4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부(401)에는 폭방향으로 중공(402)이 관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부(400)의 고리부(401)를 이용해 다양한 구조물에 와이어부(400)를 거치시킬 수 있고, 고리부(401)의 중공(402)을 통해 사용자의 손(20)을 끼워 넣거나 사용자의 손가락(21)을 끼워 넣은 상태로 휴대단말기(10)를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휴대단말기(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부(4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켜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와이어부(4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립부(300)를 권취측으로 회전시켜 회전부(200)의 외부에 권취시킬 수 있어 축소된 부피로 보관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를 설치 구조물(자전거의 프레임, 유모차의 프레임 등, 40)에 고정시키는 경우 와이어부(4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설치 구조물(40)의 외부에 권취시킬 수 있고, 휴대단말기(10)를 설치면에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경우 와이어부(400)의 길이방향 일측을 다양한 형태로 절곡시켜 설치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즉 와이어부(400)를 설치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어 휴대단말기(10)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10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회전부(2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배치되며, 회전부(200)의 반경방향으로부터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돌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부(300)를 권취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가이드돌기(120)의 일측이 와이어부(400)의 폭방향을 지지하므로, 회전부(200)에 권취되는 와이어부(400)가 베이스(100)의 외곽으로 이탈되지 않고, 와이어부(400)가 가이드돌기(120)의 일측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권취되므로 와이어부(400)를 베이스(100)의 후면에 곡선 형태로 권취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120)의 돌출된 끝단으로부터 회전부(200)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단(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단(121)은 회전부(200)에 권취된 와이어부(400)의 폭방향을 후방에서 지지하므로, 회전부(200)에 권취된 와이어부(400)가 베이스(100)의 후면에 고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120)가 베이스(100)의 가장자리에서 회전부(200)에 권취된 와이어부(400)의 폭방향을 지지함과 아울러 지지단(121)이 와이어부(400)의 폭방향을 후방에서 지지하므로, 회전부(200)에 권취된 와이어부(400)가 베이스(100)의 외곽으로 이탈되거나 베이스(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는 도 15와 16에서처럼 회전축(110)의 후단이 축 삽입홈(21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체결돌기(111)의 돌출된 끝단이 축 삽입홈(2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회전부(200)를 전방의 회전 위치와 후방의 걸림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110)의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베이스(100)의 후단과 간격부(G)를 사이에 두고 이격 위치되는 제1걸림돌기(112) 및, 축 삽입홈(21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제2걸림돌기(211)는 축 삽입홈(210)의 내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이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1걸림돌기(112)는 축 삽입홈(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걸림돌기(211)의 회전방향을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110)의 원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이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200)를 후방의 걸림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제2걸림돌기(211)가 제1걸림돌기(112)들의 사이에 교차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회전부(200)의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부(200)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으므로 회전부(200)에 권취된 와이어부(400)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회전부(200)를 전방의 회전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제2걸림돌기(211)가 제1걸림돌기(112)들의 전방으로 이탈되어 간격부(G)에 위치되므로 회전부(200)를 권취측 또는 풀림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부(200)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와이어부(400)를 풀어 외부로 연장시키거나 회전부(200)의 외부에 권취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도 15에서처럼 전단이 회전축(110)의 후단을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고, 후단이 축 삽입홈(210)의 후면을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탄성부재(22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부(200)를 후방의 걸림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제2걸림돌기(211)가 제1걸림돌기(112)들의 사이에 교차된 상태로 위치됨과 동시에 탄성부재(220)가 전후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부(200)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으므로 회전부(200)에 권취된 와이어부(400)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회전부(200)를 전방의 회전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제2걸림돌기(211)가 제1걸림돌기(112)들의 전방으로 이탈되어 간격부(G)에 위치됨과 동시에 탄성부재(22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신장된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부(200)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와이어부(400)를 풀어 외부로 연장시키거나 회전부(200)의 외부에 권취시킬 수 있다.
즉, 회전부(200)가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 위치로 탄성 복귀되므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 파지용으로 사용시 회전부(200)가 불필요하게 회전되지 않으며, 회전부(200)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와이퍼부(400)를 권취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10)가 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부(400)의 형태 변형이 자유로우므로 휴대단말기(10)를 다양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거치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립부(300)의 회전을 통해 와이어부(400)를 축소된 길이로 보관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휴대단말기 20: 손
21: 손가락 30: 접착부재
40: 설치 구조물 100: 베이스
110: 회전축 111: 체결돌기
112: 제1걸림돌기 120: 가이드돌기
121: 지지단 122: 경사면
200: 회전부 210: 축 삽입홈
211: 제2걸림돌기 220: 탄성부재
300: 그립부 310: 조작돌기
400: 와이어부 401: 고리부
402: 중공 410: 가변 와이어
420: 피복층 C: 회전중심
G: 간격부
21: 손가락 30: 접착부재
40: 설치 구조물 100: 베이스
110: 회전축 111: 체결돌기
112: 제1걸림돌기 120: 가이드돌기
121: 지지단 122: 경사면
200: 회전부 210: 축 삽입홈
211: 제2걸림돌기 220: 탄성부재
300: 그립부 310: 조작돌기
400: 와이어부 401: 고리부
402: 중공 410: 가변 와이어
420: 피복층 C: 회전중심
G: 간격부
Claims (5)
- 접착부재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전단이 상기 베이스의 후단과 암수로 축 결합되고, 전후 방향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권취측 또는 풀림측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조작돌기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그립부; 및
형태 변형 가능하게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회전부의 반경 방향에 권취 및 풀림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그립부를 상기 권취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부의 반경방향에 권취되면서 길이가 축소되고, 상기 그립부를 상기 풀림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부로부터 풀리면서 외부로 길이가 신장되되,
상기 그립부는 상기 회전부의 후단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부는,
변형된 형태가 유지되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회전부의 반경방향에 결합되는 가변 와이어 및,
상기 가변 와이어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는 피복층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회전부의 반경방향 양측에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그립부를 상기 권취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와이어부의 폭방향을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가이드돌기의 일측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곡선 형태로 권취되며,
상기 베이스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축이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은 전후 방향의 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가 권취측 또는 풀림측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회전부의 반경방향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에 고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는 폭방향으로 중공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3304A KR102414983B1 (ko) | 2022-01-10 | 2022-01-10 |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3304A KR102414983B1 (ko) | 2022-01-10 | 2022-01-10 |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4983B1 true KR102414983B1 (ko) | 2022-06-30 |
Family
ID=8221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3304A KR102414983B1 (ko) | 2022-01-10 | 2022-01-10 |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498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5943A (ko) * | 2014-08-28 | 2016-03-09 | 노동현 | 이어폰 감김부가 구비되는 휴대폰 케이스 |
KR20180005417A (ko) * | 2016-07-06 | 2018-01-16 | 장종환 | 천장 부착형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KR20200042337A (ko) * | 2018-10-15 | 2020-04-23 | 주식회사 코너스톤 |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
-
2022
- 2022-01-10 KR KR1020220003304A patent/KR1024149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5943A (ko) * | 2014-08-28 | 2016-03-09 | 노동현 | 이어폰 감김부가 구비되는 휴대폰 케이스 |
KR20180005417A (ko) * | 2016-07-06 | 2018-01-16 | 장종환 | 천장 부착형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KR20200042337A (ko) * | 2018-10-15 | 2020-04-23 | 주식회사 코너스톤 |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59922B1 (en) | Resistance adjustment mechanism for easy pull exerciser | |
US11002308B2 (en) | Hook device with opposing jaws | |
US6480611B2 (en) | Headphone having a cord reel | |
KR102414983B1 (ko) | 휴대단말기용 파지장치 | |
JP4819390B2 (ja) | ベルト取付治具 | |
US4986790A (en) | Rotatable disk string toy | |
TW550047B (en) | Reel seat and fishing rod using the same | |
CN109230877A (zh) | 线夹紧装置 | |
CN211657212U (zh) | 卷线器固定装置 | |
KR100970563B1 (ko) | 골프클럽의 그립 파지 지지구 | |
JP6802475B2 (ja) | ベルトクリップ及びそれを有した携帯型無線通信装置システム | |
KR100757385B1 (ko) | 진공청소기 파워코드 정리장치 | |
JP7065524B2 (ja) | ヘルメット用のペンライトホルダ | |
JP4051612B2 (ja) | 取付治具 | |
JP2010522121A (ja) | 柔軟性のある螺旋部材を具えた容器 | |
KR200261133Y1 (ko) | 휴대폰걸이 | |
JP6998566B2 (ja) | イヤホンコード巻き取り具 | |
JPH083295Y2 (ja) | ヘアーブラシ | |
JP3058970U (ja) | 携帯電話機 | |
JP3215452U (ja) | 弾性ヘアピックの構造 | |
JP3515863B2 (ja) | 釣り竿 | |
JP3001004U (ja) | ソフト太刀 | |
JP3108894U (ja) | カメラ用ストラップ | |
JP3087454U (ja) | 小型家電用電源コード | |
JP2570784Y2 (ja) | 釣り竿の紐取付け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