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694B1 -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694B1
KR102413694B1 KR1020200083570A KR20200083570A KR102413694B1 KR 102413694 B1 KR102413694 B1 KR 102413694B1 KR 1020200083570 A KR1020200083570 A KR 1020200083570A KR 20200083570 A KR20200083570 A KR 20200083570A KR 102413694 B1 KR102413694 B1 KR 102413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ion
image
software
user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873A (ko
Inventor
최규옥
이도현
주원형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6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94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using additional data, e.g. patient information, image labeling, acquisition parame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병변 검출 연동방법은 검출한 병변 내역을 소프트웨어 간에 연동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병변을 판독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Method for interlocking lesion detection and dentistry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치과영상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영상 분석 및 처리기술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소프트웨어는 치과영상을 획득하여 다양한 영상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CT 촬영을 통해 획득된 CT 영상을 분석하여 병변을 검출하는 기능이 있다. 그런데 영상 판독에 숙달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병변을 판독하지 못하거나, 사용자의 실수로 병변 판독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병변 발생을 인지하더라도 영상을 효과적으로 판독하기 위해 영상의 각도, 위치 등을 조정하지 않거나 조정하는 방법을 모르면 병변 판독률이 더 낮아질 수 있다. 또한 환자 검색부터 병변 판독 영상 확인까지 단계가 많아 시간 소모가 많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영상 진단 시 병변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정확도를 높이며 병변을 효과적으로 판독하여 제시할 수 있게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병변 검출 연동방법은, 제1 소프트웨어가 환자를 촬영한 치과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제1 소프트웨어가 획득된 치과영상을 분석하여 생성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환자의 병변 리스트 또는 치과영상을 대상으로 사용자 지정을 통해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는 단계와, 병변 선택 시 제2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호출하는 단계와, 호출된 제2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검출된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소프트웨어는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이고, 제2 소프트웨어는 영상 뷰어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병변 검출 연동방법은, 촬영한 치과영상으로부터 분할, 영상 생성 및 병변 검출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병변 리스트에 검출된 병변 내역을 표시하고, 자동 생성된 영상에 검출된 병변의 심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분할은 치아, 병변 및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분할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치아번호 및 치아번호 별 병변 내역을 포함하는 병변 리스트를 대상으로 소정의 치아번호 또는 병변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치아, 병변 및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분할이 이루어진 치과영상을 대상으로 소정의 치아번호, 병변 또는 해부학적 구조물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할 수 있다.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제2 소프트웨어가 제2 치과영상을 불러와 제1 소프트웨어에서 병변 리스트 또는 제1 치과영상 지정을 통해 선택한 병변과 대응하는 제2 치과영상 내 병변 영역을 검색한 후 검색된 병변 영역에서 병변을 검출하여 검출된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검출된 병변을 포함하는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연속 단면영상, 파노라믹 영상 및 3D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병변의 정보 또는 병변에 대응되는 치아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 영역을 표시할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영상 축 방향을 기준으로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축 방향은 Arch Axis(AA, 이하 ‘AA’라 칭함) 방향, Buccal-Lingual Axis(BA, 이하 ‘BA’라 칭함) 방향 및 Mesial-Distal Axis(MA, 이하’ MA’라 칭함) 방향을 포함하며, AA 방향, BA 방향 및 MA 방향은 서로 수직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병변의 유형에 따라 화면에 대표로 표시되는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하되, 병변이 매복치, 치아 우식증, 치주염, 골소실, 악안면부 질환 중 어느 하나이면 BA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하고, 병변이 상악동 이상이면 MA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하며, 병변이 상악동 거상술이면 멀티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할 수 있다.
병변 검출 연동방법은, 제2 소프트웨어를 통해 현재 표시되는 영상을 대상으로 방향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영상의 축 방향을 전환하는 단계와, 전환된 축 방향을 기준으로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병변 검출 연동방법은, 제2 소프트웨어를 통해 현재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대상으로 레이아웃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경된 레이아웃으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화면의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이 멀티 레이아웃 선택이면, 병변 영역을 AA 방향, BA 방향 및 MA 방향 중 적어도 두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영상 처리장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와,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제1 소프트웨어를 통해 환자를 촬영한 치과영상을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제1 소프트웨어를 통해 획득된 치과영상을 분석하여 생성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환자의 병변 리스트 또는 치과영상을 대상으로 사용자 지정을 통해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고 병변 선택 시 제2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호출한 후 호출된 제2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검출된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병변의 정보 또는 병변에 대응되는 치아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을 표시할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고, 출력부는 결정된 영상 축 방향을 기준으로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병변의 유형에 따라 제2 소프트웨어의 화면에 대표로 표시되는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되, 병변이 매복치, 치아 우식증, 치주염, 골소실, 악안면부 질환 중 어느 하나이면 BA 방향으로 결정하고, 병변이 상악동 이상이면 MA 방향으로 결정하며, 병변이 상악동 거상술이면 멀티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에 따르면, 검출한 병변 내역을 소프트웨어 간에 연동하여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병변을 판독할 수 있고, 환자 검색부터 병변 판독까지 거치는 단계를 줄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변 검출 연동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와 CT 뷰어 간 병변 검출 연동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에서 환자를 검색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에서 CT 촬영 오더를 전송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에서 치과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된 PI 리스트(또는 차트)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에서 PI 리스트를 선택하여 CT 뷰어를 호출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호출된 CT 뷰어에서 병변을 중심으로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 뷰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A 방향으로 연속 단면영상의 축 방향을 전환한 CT 뷰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 방향으로 연속 단면영상의 축 방향을 전환한 CT 뷰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 방향으로 연속 단면영상의 축 방향을 전환한 CT 뷰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 뷰어에서 레이아웃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병변의 유형에 따라 화면에 대표로 표시되는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CT 뷰어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영상 처리장치(1)는 치과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치과영상을 획득하고 다양한 영상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치과영상 처리장치(1)는 치과용 소프트웨어를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와, 전자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휴대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소프트웨어는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Practice Management System: PMS) 소프트웨어(이하, 'PMS 소프트웨어'라 칭함)일 수 있다. PMS 소프트웨어는 PMS, 즉, 실무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환자의 내원/접수부터 각종 영상진단 및 데이터 확보, 진단 및 치료계획, 치료, 치료 후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동하는 원스톱 디지털 덴티스트리(One Stop Digital Dentistry)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PMS 소프트웨어는 업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PMS 소프트웨어 화면 내에서 보험청구 소프트웨어, 영상 뷰어 소프트웨어, 수술 가이드 제작 소프트웨어, 교정진단 소프트웨어, CAD 소프트웨어, 치과 환자 상담 소프트웨어 등의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유기적으로 연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폭 넓은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영상 뷰어 소프트웨어와 연동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영상 뷰어 소프트웨어 중 하나인 CT 뷰어는 CT 촬영을 통해 획득한 단층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다양한 영상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목적에 특화된 화면 구성 및 도구를 제공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영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하, 치과영상 처리장치(1)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후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영상 처리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촬영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데, 촬영은 CT, 센서, 파노라마 촬영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0)는 CT 촬영을 통해 환자의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CT 데이터를 획득한다. 영상 데이터는 2차원, 3차원 형태일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10)는 영상 데이터를 소프트웨어에서 실행하거나 웹 페이지 및 서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CT 데이터는, CT(Computed Tomography)를 사용하여 환자의 두부 단층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각각의 단층 이미지를 하나로 취합하여 3D 형태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CT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CT 데이터는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상악 치아 아래에서 상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벌린 상태에서 하악 치아 위에서 하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다문 상태에서 국소부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구강 방사선 사진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4)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14)는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보이는 화면정보를 관리하고, 영상 데이터에 대한 2차원, 3차원 구조물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소프트웨어 간 치과영상에서의 병변 검출 연동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PMS를 통해 병변을 검출하고 병변을 선택하면, CT 뷰어를 통해 생성된 영상에서 대응되는 병변을 검출하여 검출된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PMS에서 사용자가 병변을 관찰하고자 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CT 뷰어를 호출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환자의 병변 리스트(Present Illness list, 이하, ' PI 리스트'라 칭함) 또는 치과영상을 대상으로 사용자 지정을 통해 병변을 관찰하고자 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PI 리스트는 제어부(14)가 데이터 획득부(10)를 통해 획득된 치과영상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고, 입력부(16)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PI 리스트에는 치료한 내역, 치료할 내역(검출된 병변 내역 포함), 분리된 치아번호 정보가 포함된다.
PI 리스트를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는 방법은, 치아번호와 함께 병변 내역이 포함되는 PI 리스트를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PI 리스트 상에서 입력부(16)를 통해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병변을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 내역 또는 그 치아번호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PI 리스트 자동 생성 시에는 치아번호와 병변 내역이 자동으로 생성되고, PI 리스트 수동 생성 시에는 사용자가 병변 내역을 치아번호를 함께 입력하여 작성하므로, 사용자가 병변을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 내역을 선택했을 때 해당 치아번호를 특정하여 병변을 검출할 수 있다.
치과영상에서의 사용자 지정을 통해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는 방법은, 치아 분할이 자동으로 이루어진 치과영상에서 입력부(16)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치아번호 또는 해부학적 구조물을 선택 입력 받는 동작을 통해 병변을 지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치과영상은 CT 촬영 전 일반 파노라마 영상일 수 있고 CT 촬영 후 획득된 파노라믹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반 파노라마 영상 또는 파노라믹 영상에서 병변을 관찰하고자 하는 부분을 클릭하여 영역을 지정한다. 이때, 제어부(14)는 CT 뷰어를 자동으로 호출하고 CT 뷰어에서 CT 영상을 불러와 일반 파노라마 영상 또는 파노라믹 영상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과 대응하는 CT 영상 내 병변 영역을 검색한 후 검색된 병변 영역에서 병변을 검출할 수 있다. 파노라마 영상이나 파노라믹 영상은 둘 다 치아 분할이 되어 있으므로 치아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CT 뷰어는 다수의 CT 영상 중에서 병변을 관찰하고자 하는 영역에서 병변을 검출하고 병변이 검출된 CT 영상(예를 들어, 병변이 검출된 연속 단면영상들)만을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우선적으로' 라는 의미는 관심 있는 영역에서만 병변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관심 있는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병변을 검출함으로써 병변 검출을 위한 소요시간을 감소시키고 검출 정확도를 높인다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제1 소프트웨어가 획득된 치과영상을 분석하여 생성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환자의 병변 리스트 또는 치과영상을 대상으로 사용자 지정을 통해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면, 제2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호출한 후 호출된 제2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검출된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부(18)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4)는 제2 소프트웨어에서 제2 치과영상을 불러와 제1 소프트웨어에서 PI 리스트 또는 제1 치과영상 지정을 통해 지정한 병변과 대응하는 제2 치과영상 내 병변 영역을 검색한 후 검색된 병변 영역에서 병변을 검출하고 검출된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소프트웨어는 PMS 소프트웨어이고, 제2 소프트웨어는 영상 뷰어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영상 뷰어 소프트웨어는 CT 뷰어일 수 있다. 이때 출력부(18)는 호출된 제2 소프트웨어를 통해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포함하는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연속 단면영상, 자동 생성된 파노라믹 영상, 자동 분할된 3D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병변의 정보 또는 병변에 대응되는 치아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을 표시할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한다. 그러면, 출력부(18)는 결정된 영상 축 방향을 기준으로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병변의 정보는 병변의 위치나 각도일 수 있다. 치아 정보는 병변이 검출된 치아의 치아번호일 수 있다. 제어부(14)는 병변의 유형에 따라 제2 소프트웨어의 화면에 대표로 표시되는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입력부(1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병변을 관찰하고자 하는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출력부(18)는 제어부(14)를 통해 생성된 화면 구성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치과영상에서 검출된 병변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18)는 CT 뷰어를 통해 병변을 중심으로 한 단일 단면영상, 연속 단면영상, 자동 생성된 파노라믹 영상, 해부학적 구조물이 자동 분할된 3D 영상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치과영상 처리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고, 치과치료 시뮬레이션 시 전체 영상 데이터들 중에서 특정 환자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변 검출 연동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소프트웨어가 환자를 촬영한 치과영상을 획득한다(S21). 이때, 파노라마 촬영, 센서 촬영, CT 촬영 등을 통해 환자의 치과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소프트웨어가 획득된 치과영상을 분석하여 생성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환자의 PI 리스트 또는 치과영상을 대상으로 사용자 지정을 통해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한다(S22). 환자의 PI 리스트는 치료 내역, 병변을 포함하여 치료할 내역, 분리된 치아번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소프트웨어는 치과영상 획득 시에 치과영상으로부터 해부학적 구조물 분할, 병변 검출 및 영상(예를 들어, 파노라믹 영상) 생성 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PI 리스트를 통해 검출된 병변 내역을 제공하고, 자동 생성된 영상을 통해 병변을 심볼 형태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자동 분할 대상은 병변, 치아, 해부학적 구조물 등이 있고, 해부학적 구조물은 신경, 상하악, 상악동 등이 있다.
병변 선택 단계(S22)에서, 제1 소프트웨어는 치아번호 및 치아번호 별 병변 내역을 포함하는 병변 리스트를 대상으로 소정의 치아번호 또는 병변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소프트웨어는 치아, 병변 및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분할이 이루어진 치과영상을 대상으로 소정의 치아번호, 병변 또는 해부학적 구조물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병변 선택 시, 제1 소프트웨어는 제2 소프트웨어를 자동 호출(S23) 하고, 호출된 제2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검출된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한다(S24).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24)에서, 제2 소프트웨어는 제2 치과영상을 불러와 제1 소프트웨어에서 병변 리스트 또는 제1 치과영상 지정을 통해 선택한 병변과 대응하는 제2 치과영상 내 병변 영역을 검색한 후 검색된 병변 영역에서 병변을 검출하여 검출된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24)에서, 제2 소프트웨어는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연속 단면영상, 파노라믹 영상 및 3D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24)에서, 제2 소프트웨어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병변의 정보 또는 병변에 대응되는 치아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 영역을 표시할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축 방향을 기준으로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병변의 정보는 병변의 위치나 각도일 수 있다. 치아 정보는 병변이 검출된 치아의 치아번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된 치과영상(예를 들어, 파노라마 영상)으로부터 받은 치아번호 정보를 통해 영상 축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CB)CT 영상에서 병변을 검출하고 병변이 검출된 치아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축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축 방향은 Arch Axis(AA, 이하 ‘AA’라 칭함) 방향, Buccal-Lingual Axis(BA, 이하 ‘BA’라 칭함) 방향, Mesial-Distal Axis(MA, 이하’ MA’라 칭함) 방향 등이 있다.
AA 방향의 평면은 치축에 수직인 방향의 평면으로서, 치아 또는 병변 영역에 대한 Axial 방향의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AA 평면은 치축의 각도에 따라 악궁라인과 평행한 평면과 유사하게 보일 수도 있다.
BA 방향의 평면은 치축에 평행한 Buccal-Lingual Axis 방향의 평면으로서, 치아 또는 병변 영역에 대한 Coronal 방향의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포함하는 단면 중 치축과 평행한 단면 방향의 평면일 수 있다.
MA 방향의 평면은 치축에 평행한 Mesial-Distal Axis 방향의 평면으로서, 치아 또는 병변 영역에 대한 Sagittal 방향의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의 최대 풍융부로 이루어진 라인에 수직인 평면일 수 있다.
한편, AA 평면, BA 평면 및 MA 평면은 서로 수직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24)에서, 제2 소프트웨어는 병변의 유형에 따라 화면에 대표로 표시되는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변이 매복치, 치아 우식증, 치주염, 골소실, 악안면부 질환 중 어느 하나이면 BA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할 수 있다. 병변이 상악동 이상이면 MA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할 수 있다. 병변이 상악동 거상술이면 멀티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할 수 있다. 병변 별 대표 영상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나아가, 제2 소프트웨어는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축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소프트웨어는 방향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영상의 축 방향을 전환하고, 전환된 축 방향을 기준으로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한다.
제2 소프트웨어는 현재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고, 변경된 레이아웃으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2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멀티 레이아웃'을 선택하면, 병변 영역을 AA 방향, BA 방향 및 MA 방향 중 적어도 두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표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제1 소프트웨어는 PMS 소프트웨어이고, 제2 소프트웨어는 영상 뷰어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영상 뷰어 소프트웨어는 CT 뷰어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명세서에서는 제1 소프트웨어는 PMS 소프트웨어로, 제2 소프트웨어는 CT 뷰어로 한정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와 CT 뷰어 간 병변 검출 연동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PMS 소프트웨어(40)에서 환자를 검색한다(S31). 환자 검색 후 촬영 오더를 통해 영상 촬영을 요청(S32)하여 환자를 촬영한 치과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촬영은 파노라마, 센서, CT 촬영 등이 있다.
이어서, PMS 소프트웨어(40)는 촬영한 치과영상으로부터 3D 아나토미(Anatomy)(S33)를 통한 자동 분할, 영상(예를 들어, 파노라마 영상) 생성(S34) 및 병변 검출(S35)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PI 리스트에 검출된 병변 내역을 표시하고, 자동 생성된 영상에 검출된 병변의 심볼을 치아번호 별로 표시할 수 있다. 자동 분할은 치아, 병변 및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분할을 포함할 수 있다. PI 리스트는 PMS 소프트웨어(40)에서 치과영상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치과영상이나 환자 증상을 보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PI 리스트에서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 내역 또는 치아번호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PI 리스트를 선택한다(S36). 사용자의 PI 리스트 선택 시, PMS 소프트웨어(40)는 CT 뷰어(80)를 호출한다(S37). 호출된 CT 뷰어(80)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검출된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CT 뷰어(80)가 CT 영상을 불러와 PMS 소프트웨어(40)에서 PI 리스트 또는 치과영상 지정을 통해 선택한 병변과 대응하는 CT 영상 내 병변 영역을 검색한 후 검색된 병변 영역에서 병변을 검출하여 검출된 병변을 중심으로 CT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CT 뷰어(80)는 진단 모듈 화면을 통해 병변 중심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CT 뷰어(80)가 병변을 중심으로 한 연속 단면영상, 자동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 자동 분할된 3D 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CT 뷰어(80)가 생성하여 표시한 병변 중심의 영상으로부터 치아 구조, 매복치, 상악동 이상, 치아 우식, 치주 질환, 악안면 질환 등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에서 환자를 검색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MS 소프트웨어(40)는 환자정보 검색영역 상에서 사용자 동작(예를 들어, 환자정보 검색영역을 클릭하는 동작)을 통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환자검색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에서 CT 촬영 오더를 전송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MS 소프트웨어(40)는 검색된 환자에 대해 사용자 동작(예를 들어, CT 버튼을 클릭하는 동작)을 통한 CT 촬영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CT 촬영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 센서 촬영, 파노라마 촬영 등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에서 치과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된 PI 리스트(또는 차트)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MS 소프트웨어(40)는 전자차트 화면을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 치료계획, 진료내용 등을 차팅(Charting)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자차트 화면은 크게 차팅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영역과 치식 영역(치과영상 또는 그림치아 치식)과 메모 입력 영역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치식 영역의 예로, 도 4에서는 PI/Plan 영역에 그림치아 서식이 표시되어 있고, 도 6에서는 치과영상(63)으로서 파노라마 영상이 표시되고 있다. 이때, 치과영상(63)은 파노라마 영상 외에 CT 영상, 파노라믹 영상, 구강 스캔 영상, 3D 영상, 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정합한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치과영상(63)에는 해당하는 치아번호에 병변이 심볼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치료 입력 영역(61)에서는 사용자가 현재증상(PI), 치료계획(Plan), 치료내역(Tx), 다음 치료(Next. Tx), 과별 검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메모 입력 영역에서는 사용자가 일반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치료내역 영역(62)에는 치료 입력 영역(61)을 통해 입력된 현재증상(PI), 치료계획(Plan), 진료내용(Tx)에 대해 항목들을 치료날짜를 기준으로 치아번호와 함께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다. 도 6에서는 PI 리스트를 도시하고 있다. PI 리스트를 통해 치아 번호 별로 병변 내역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전자차트 화면에 표시된 치과영상(예를 들어, 파노라마 영상)이나 환자의 증상을 보면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PI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PMS 소프트웨어(40)에서 치과영상을 분석하여 PI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치과영상에서 치아 분할은 자동으로 수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에서 PI 리스트를 선택하여 CT 뷰어를 호출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PMS 소프트웨어(40)의 치료내역 영역(62) 내 PI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예를 들어, 클릭) 하면 해당 치아번호와 그 주변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한다. PMS 소프트웨어(40)에서의 관심영역 설정 시, PMS 소프트웨어(40)는 PMS 소프트웨어(40)와 치과영상을 연동하는 CT 뷰어(80)를 자동으로 호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호출된 CT 뷰어에서 병변을 중심으로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CT 뷰어(80)는 병변을 중심으로 한 연속 단면영상(81), 자동 생성된 파노라믹 영상(82) 및 자동 분할된 3D 영상(83)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 뷰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CT 뷰어는 방향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90)와 레이아웃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92)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CT 뷰어는 현재 표시되는 영상을 대상으로 방향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90)의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영상의 축 방향을 전환하고, 전환된 축 방향을 기준으로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방향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 방향, BA 방향, AA 방향 등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CT 뷰어는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대상으로 레이아웃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92)의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고 변경된 레이아웃으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레이아웃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단면영상의 구성을 2×3, 3×4, 멀티(Multi) 등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멀티(Multi)는 병변 영역을 AA 방향, BA 방향 및 MA 방향 중 적어도 두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9에서는 연속 단면영상의 축 방향이 AA 방향이고, 레이아웃이 3×4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CBCT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활성화하면, 검출된 병변을 포함하는 병변 영역을 AA 방향, BA 방향 및 MA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A 방향으로 연속 단면영상의 축 방향을 전환한 CT 뷰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CT 뷰어는 사용자가 BA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선택하면, 연속 단면영상의 축 방향을 BA 방향으로 전환하고, BA 방향에서 바라본 병변 영역을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 방향으로 연속 단면영상의 축 방향을 전환한 CT 뷰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CT 뷰어는 사용자가 AA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선택하면, 연속 단면영상의 축 방향을 AA 방향으로 전환하고, AA 방향에서 바라본 병변 영역을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 방향으로 연속 단면영상의 축 방향을 전환한 CT 뷰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CT 뷰어는 사용자가 MA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선택하면, 연속 단면영상의 축 방향을 MA 방향으로 전환하고, MA 방향에서 바라본 병변 영역을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 뷰어에서 레이아웃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CT 뷰어는 현재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대상으로 '레이아웃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레이아웃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연속 단면영상의 레이아웃을 2×3, 3×4, 멀티(Multi) 등으로 선택하기 위한 버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멀티(Multi)'를 선택한 경우, 병변 영역을 AA 방향, BA 방향 및 MA 방향 중 적어도 두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멀티(Multi)를 선택한 경우, 병변 영역을 AA 방향의 영상 6장, BA 방향의 영상 6장 및 MA 방향의 영상 6장을 하나의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병변의 유형에 따라 화면에 대표로 표시되는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CT 뷰어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CT 뷰어는 병변의 유형에 따라 화면에 대표로 표시되는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이 '매복치'이면, BA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이 '상악동 이상'이면 MA 방향의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이 '치아 우식증'이면, BA 방향의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이 '치주염(골소실)'이면, BA 방향의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이 '악안면부 질환'이면 BA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이 '상악동 이상'이면 MA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한다. 병변이 '상악동 거상술'이면 멀티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9에서는 병변 영역을 MA 방향의 영상 6장, BA 방향의 영상 6장 및 AA 방향의 영상 6장을 하나의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병변 별 대표 영상 화면은 변경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제1 소프트웨어가 환자를 촬영한 치과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제1 소프트웨어가 획득된 치과영상을 분석하여 생성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환자의 병변 리스트 또는 치과영상을 대상으로 사용자 지정을 통해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는 단계;
    병변 선택 시 제2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호출하는 단계; 및
    호출된 제2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검출된 병변의 영상을 영상 축 방향을 기준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영상 축 방향은 Arch Axis(AA, 이하 ‘AA’라 칭함) 방향, Buccal-Lingual Axis(BA, 이하 ‘BA’라 칭함) 방향 및 Mesial-Distal Axis(MA, 이하’ MA’라 칭함) 방향을 포함하며, AA 방향, BA 방향 및 MA 방향은 서로 수직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소프트웨어는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이고,
    제2 소프트웨어는 영상 뷰어 소프트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병변 검출 연동방법은
    촬영한 치과영상으로부터 분할, 영상 생성 및 병변 검출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병변 리스트에 검출된 병변 내역을 표시하고, 자동 생성된 영상에 검출된 병변의 심볼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분할은 치아, 병변 및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분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는 단계는
    치아번호 및 치아번호 별 병변 내역을 포함하는 병변 리스트를 대상으로 소정의 치아번호 또는 병변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거나,
    치아, 병변 및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분할이 이루어진 치과영상을 대상으로 소정의 치아번호, 병변 또는 해부학적 구조물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하는 단계는
    제2 소프트웨어가 제2 치과영상을 불러와 제1 소프트웨어에서 병변 리스트 또는 제1 치과영상 지정을 통해 선택한 병변과 대응하는 제2 치과영상 내 병변 영역을 검색한 후 검색된 병변 영역에서 병변을 검출하여 검출된 병변을 중심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검출된 병변을 포함하는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연속 단면영상, 파노라믹 영상 및 3D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병변의 정보 또는 병변에 대응되는 치아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 영역을 표시할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영상 축 방향을 기준으로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하는 단계는
    병변의 유형에 따라 화면에 대표로 표시되는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하되,
    병변이 매복치, 치아 우식증, 치주염, 골소실, 악안면부 질환 중 어느 하나이면 BA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하고,
    병변이 상악동 이상이면 MA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하며,
    병변이 상악동 거상술이면 멀티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을 대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병변 검출 연동방법은
    제2 소프트웨어를 통해 현재 표시되는 영상을 대상으로 방향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영상의 축 방향을 전환하는 단계; 및
    전환된 축 방향을 기준으로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병변 검출 연동방법은
    제2 소프트웨어를 통해 현재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대상으로 레이아웃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변경된 레이아웃으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화면의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이 멀티 레이아웃 선택이면, 병변 영역을 AA 방향, BA 방향 및 MA 방향 중 적어도 두 방향의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검출 연동방법.
  13.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제1 소프트웨어를 통해 환자를 촬영한 치과영상을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및
    제1 소프트웨어를 통해 획득된 치과영상을 분석하여 생성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환자의 병변 리스트 또는 치과영상을 대상으로 사용자 지정을 통해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병변을 선택하고 병변 선택 시 제2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호출한 후 호출된 제2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검출된 병변의 영상을 영상 축 방향을 기준으로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영상 축 방향은 AA 방향, BA 방향 및 MA 방향을 포함하며, AA 방향, BA 방향 및 MA 방향은 서로 수직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영상 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병변의 정보 또는 병변에 대응되는 치아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을 표시할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고,
    출력부는
    결정된 영상 축 방향을 기준으로 병변 영역을 단일 단면영상 또는 연속 단면영상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영상 처리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병변의 유형에 따라 제2 소프트웨어의 화면에 대표로 표시되는 영상의 축 방향을 결정하되, 병변이 매복치, 치아 우식증, 치주염, 골소실, 악안면부 질환 중 어느 하나이면 BA 방향으로 결정하고, 병변이 상악동 이상이면 MA 방향으로 결정하며, 병변이 상악동 거상술이면 멀티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0200083570A 2020-07-07 2020-07-07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413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70A KR102413694B1 (ko) 2020-07-07 2020-07-07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70A KR102413694B1 (ko) 2020-07-07 2020-07-07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73A KR20220005873A (ko) 2022-01-14
KR102413694B1 true KR102413694B1 (ko) 2022-06-28

Family

ID=7934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570A KR102413694B1 (ko) 2020-07-07 2020-07-07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6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502A (ja) * 2003-11-28 2005-06-23 Hitachi Medical Corp 画像診断支援装置
JP2010148590A (ja) * 2008-12-24 2010-07-08 Imagunooshisu Kk 医用三次元画像における切断面画像の表示方法、医用三次元画像の表示装置および医用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1723654B1 (ko) * 2016-04-22 2017-04-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차트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349B1 (ko) * 2014-09-15 2021-11-04 (주)바텍이우홀딩스 병변 검출 장치
KR102142336B1 (ko) * 2018-11-14 2020-08-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영상 제공 방법, 치아 영상 제공 장치 및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502A (ja) * 2003-11-28 2005-06-23 Hitachi Medical Corp 画像診断支援装置
JP2010148590A (ja) * 2008-12-24 2010-07-08 Imagunooshisu Kk 医用三次元画像における切断面画像の表示方法、医用三次元画像の表示装置および医用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1723654B1 (ko) * 2016-04-22 2017-04-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차트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73A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0680B2 (ja) 医用画像表示装置
JP609113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044974B2 (en) Image creating apparatus and image creating method
US1022295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umbnail images
US7965907B2 (en) Medical image handling system and method
JP535563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20108028A (ko) 자동화된 의료 이미지 주석 및 분석
JP454518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416845B2 (ja) 医用画像表示装置、医用情報管理サーバ
JP2006502751A (ja) コンピュータ診断(cad)システムのためのi/oインタフェース
US20220249202A1 (en) Multiple bone density displaying method for establishing implant procedure plan, and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KR102413695B1 (ko) 병변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JP2018055278A (ja) 医用情報処理装置、医用情報処理システム、医用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13694B1 (ko)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223475B1 (ko) 다중 파노라믹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장치
JP5398791B2 (ja) 医用画像表示装置
US20200219329A1 (en) Multi axis translation
JP7433750B2 (ja) 診療用画像作製および診断に用いるビデオクリップ選択器
JP2009080545A (ja) 医療情報処理装置
JP583228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00060B1 (ko)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JP7246912B2 (ja) 医用情報処理装置及び医用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4203275A (ja) 歯科治療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歯科治療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20080229246A1 (en) Digital system for plastic and cosmetic surgery
KR102369100B1 (ko) 멀티 파노라마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