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060B1 -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060B1
KR102200060B1 KR1020190019589A KR20190019589A KR102200060B1 KR 102200060 B1 KR102200060 B1 KR 102200060B1 KR 1020190019589 A KR1020190019589 A KR 1020190019589A KR 20190019589 A KR20190019589 A KR 20190019589A KR 102200060 B1 KR102200060 B1 KR 10220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tooth
module
diagnosis module
pre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584A (ko
Inventor
최규옥
이도현
정진아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0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Robo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적절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으로 분할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분석하여 병변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병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함으로써, 정밀 진단 모듈로 이동하기 위해 다수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지시하는 입력 하나만으로 간단히 정밀 진단 모듈을 실행할 수 있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MHTHOD AND APPARATUS FOR EASY MOVING TO PRECISION DIAGNOSTIC MODULE FOR TEETH}
본 발명은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분석하여 병변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적합한 정밀 진단 모듈 실행을 제안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노라마 영상 기법은 악궁과 같이 곡면에 있는 물체의 관심영역을 평면의 영상으로 펼쳐 보이는 것을 말한다. 치과 분야에서 파노라마 영상 기법은 치아 전체를 하나의 이미지에서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턱뼈나 턱관절의 이상도 함께 확인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 시술 시 상악동, 신경관 등의 위치를 이해하는데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러한 이점으로 인해, 파노라마 영상 기법은 치과 분야를 비롯하여 구강을 다루는 의료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은 2D 뷰어를 통해 파노라마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생성된 2차원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2D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파노라마 영상을 통해 치아를 한눈에 볼 수 있지만, 치아의 상태를 단면적으로 밖에 볼 수 없기 때문에, 치아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치아의 상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 및 영상을 제공하는 3D 뷰어를 2D 뷰어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2D 뷰어와 3D 뷰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환자의 치아 전체적인 영상을 보기 위해 2D 뷰어를 사용하고, 세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3D 뷰어를 사용하는 등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오가야 하기 때문에, 치과 진료를 수행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의 3D 뷰어 만을 사용하는 경우, 각 모듈에서 3D 및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구강 내의 전체적인 진단이 어려우며, 치아의 사전 진단이 불가하고 치아에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병변을 놓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3D 뷰어의 단점을 개선하여,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만으로 치아의 전체적인 상태와 세부적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의 사전 진단 및 병변 발생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984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뷰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치아 전체의 파노라마 영상과 세부 정보가 포함된 단면 영상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을 선택할 시, 분할 영역에 대한 정밀 진단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버튼 입력만으로 치아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분석하여 병변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고, 병변 발생 가능성에 따라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할 수 있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서 잇몸뼈 라인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잇몸뼈 라인에 따라 상기 치아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및 상기 잇몸뼈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아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영역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부비강(Sinus)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과 상기 부비강 영역을 그룹화하여 임플란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영역 중 윗니의 좌우측 끝단에 위치한 치아와 상기 잇몸뼈 라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상기 치아 영역의 좌우측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턱관절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임플란트 영역과 상기 턱관절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아래턱뼈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잇몸뼈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치아의 치관부 및 치근부를 구획하는 단계, 골밀도(Bone Density) 분석을 이용하여 상기 치관부 및 상기 치근부에 대한 우식증 및 치근낭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우식증 및 치근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치열궁(Dental Arch) 모듈 또는 다중 평면 재구성(Multiplanar Reconstruction; MPR)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영역에 대하여 치아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여 상기 치아 영역을 개별 치아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개별 치아 영역을 이용하여 결손치의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결과, 상기 결손치가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임플란트(Implant)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플란트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임플란트 모듈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결손치의 위치에 임플란트 픽스쳐(Fixture)를 자동적으로 식립하는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수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는, 골밀도 분석을 이용하여 상기 아래턱뼈 영역에 대한 종양 발생 및 신경관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종양 발생 및 상기 신경관 이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치열궁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문제 영역이 상기 치아 영역인 경우 상기 치아 영역에 기 매칭된 임플란트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고, 상기 문제 영역이 상기 턱관절 영역인 경우 상기 치아 영역에 기 매칭된 턱관절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며, 상기 문제 영역이 상기 아래턱뼈 영역인 경우 상기 치아 영역에 기 매칭된 치열궁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되, 상기 문제 영역에 발생한 병변 종류에 따라, 상기 문제 영역에 기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과 상이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과 매칭된 상기 정밀 진단 모듈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과 매칭된 상기 정밀 진단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이 상기 치아 영역인 경우, 임플란트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이 상기 턱관절 영역인 경우, 턱관절 진단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이 상기 아래턱뼈 영역인 경우, 치열궁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따라 복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이 로드 되는 메모리,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은,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인스트럭션,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결손치에 따른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치아 세그먼테이션 단계 S210에 따라 분할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종양 및 신경관 이상에 따른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우식증 및 치근낭에 따른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위치에 따라 정밀 진단 모듈이 제공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과 분야에 적용되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노라마 영상 기법을 이용할 수 있는 어떠한 분야에서든 적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아 세그먼테이션(tooth segmentation)이란,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서 치아와 잇몸 사이, 치아와 치아 사이를 구분하여 개별 치아영역을 구획하는 것을 의미한다. 치아 세그먼테이션이 수행된 결과의 예는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스트럭션(instruction)이란, 기능을 기준으로 묶인 일련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이자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가리킨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시스템은 촬영 장치(10),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 및 복수의 정밀 진단 모듈(31, 32, 33, 3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의 뷰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이고, 복수의 정밀 진단 모듈(31, 32, 33, 34)은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와 다른 컴퓨팅 장치(3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 요소(10, 20, 30, 100)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즉,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와 복수의 정밀 진단 모듈(31, 32, 33, 34)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30)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정밀 진단 모듈(31, 32, 33, 34)은 치아 파노라마 영상의 뷰어 애플리케이션의 내부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 각각의 구성 요소(10, 20, 30, 100)들은 복수의 세부 기능 요소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령,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시스템의 제1 기능은 제1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고, 제2 기능은 제2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촬영 장치(10)는 환자의 치아 배열을 파악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일 수 있다.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촬영 장치(10)로부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고, 분할된 영역 각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문제 영역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문제 영역에 따라 복수의 정밀 진단 모듈(30) 중 병변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영역과 매칭되는 정밀 진단 모듈을 실행할 것을 제안하는 정밀 진단 모듈 제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문제 영역은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아래턱뼈 영역 중 병변 또는 이상이 발생되었거나 혹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한다는 것은, 치아 파노라마의 병변에 위치에 따라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밀 진단 모듈을 실행할지 여부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에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밀 진단 모듈을 실행할지 여부를 안내 문구가 포함된 팝업(Pop-up)창을 띄움으로써,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복수의 정밀 진단 모듈(30)은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와 다른 구성 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치아의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하나의 3D 뷰어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8을 참조하여,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가 수행하는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을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촬영 장치(10)로부터 실시간 촬영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을 수 있고, 외부 서버에 기 저장된 복수의 치아 파노라마 영상 중 분석하고자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S110단계에서 얻은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S120 및 S130). 이하,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S120 및 S130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의 파노라마 영상에서 잇몸뼈 라인을 검출하고(S1210), 검출된 잇몸뼈 라인에 따라 치아 영역(40)을 설정할 수 있다(S1220).
여기서 잇몸뼈 라인은,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 속한 각 픽셀의 밝기 값 및 골밀도 값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치아 사이 및 잇몸 사이에 형성되는 폐곡면의 잇몸측 중심점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잇몸 뼈 경계선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40)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부비강(Sinus) 영역(50)으로 설정할 수 있고, 치아 영역(40)과 부비강 영역(50)을 그룹화 하여 임플란트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S1230).
다음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40)과 잇몸뼈 라인을 기준으로 좌우측 상단에 턱관절 영역(60-1, 60-2)으로 설정할 수 있다(S1310).
일 실시예에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S1220단계에서 설정된 치아 영역 중 윗니의 좌우측 끝단에 위치한 치아(도 6에 41)와 잇몸뼈 라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치아 영역(40)의 좌우측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턱관절 영역(60-1, 60-2)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S1230단계에서 설정된 임플란트 영역(40 및 50)과 S1310단계에서 설정된 턱관절 영역(60-1, 60-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아래턱뼈 영역(70)으로 설정할 수 있다(S1320).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치아 파노라마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치아 영역(40), 부비강 영역(50), 턱관절 영역(60-1, 60-2) 및 아래턱뼈 영역(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적절하게 분할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이든지 적용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S120 및 S130단계에 걸쳐 분할된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에 대하여 각각 분석을 수행(S140)하여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에 병변이 발생될 가능성을 판단함으로써, 문제 영역을 선정할 수 있다(160). 예를 들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에 대하여 골밀도(Bone Density)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골밀도 분석을 수행함에 따라 치아의 우식증 및 치근낭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치아의 우식증 및 치근낭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을 문제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가 골밀도 분석을 수행하는 방식을 예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 각각에 발생할 수 있는 병변에 따라 다양한 분석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S150단계에서 선정된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할 수 있다(S160). 이를 위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사전에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 각각에 대한 정밀 진단 모듈을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과 임플란트 모듈을 매칭하고, 턱관절 영역과 턱관절 진단 모듈을 매칭하며, 아래턱뼈 영역과 치열궁 모듈을 매칭할 수 있다. 이후, S150단계에서 선정된 문제 영역이 치아 영역인 경우,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과 매칭된 임플란트 모듈의 실행을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안내 문구가 포함된 팝업창을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밀 진단 모듈의 연결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안한 정밀 진단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외부에서 얻은 치아의 파노라마 영상을 사전 진단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 발생 영역을 보다 세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모듈로 연결할 수 있는 팝업창을 띄워 줌으로써, 사용자가 연결 버튼 하나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치아에 대한 보다 세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문제 영역에 따른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에 대한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도 2의 S150단계에서 선정된 문제 영역이 치아 영역인 경우, 치아 영역을 분석하여 임플란트 모듈 실행을 제안하는 임플란트 모듈 제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먼저, 치아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여 치아 영역을 개별 치아 영역(도 6의 41, 42, 43)으로 구획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치아 세그먼테이션의 결과로 치아 파노라마 영상(40)에 치아영역 구획선(50)이 형성될 수 있고, 치아영역 구획선(50)을 통해 치아영역이 복수의 개별 치아영역(41, 42, 4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치아 세그먼테이션 방법과 관련해서는 "A Problem of Automatic Segmentation of Digital Dental Panoramic X-Ray Images for Forensic Human Identication", Robert Wanat, 2011, 등 다양한 문헌이 참조될 수 있다. 다만,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하는 치아 세그먼테이션은 치근측 구획선이 형성되어 치아영역이 박스 형태로 닫혀 있도록 치아영역 구획선(e.g. 40)을 형성해 주는 방식의 알고리즘이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개별 치아 영역(도 6의 41, 42, 43)을 기반으로 결손치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S220), 결손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치아 영역을 문제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고, 치아 영역과 매칭된 임플란트 모듈의 실행을 제안할 수 있다(S240).
마지막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S240단계에서 제안한 임플란트 모듈 실행에 대한 응답으로써, 정밀 진단 모듈 연결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임플란트 모듈 실행과 동시에 S220단계에서 검출된 결손치의 위치에 임플란트 픽스쳐(Fixture)를 자동적으로 식립하는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수행을 제안할 수 있다.
만약, S230단계에서 결손치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임플란트 모듈 제안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즉, 치과 의사가 결손치가 있는 환자와 임플란트를 시술에 대한 상담을 진행하는 경우,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결손치가 있는 사용자의 치아 파노라마 영상만으로 결손치의 위치, 임플란트 모듈을 통한 보다 상세한 정보 및 임플란트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진료를 위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는 과정이 생략되고, 단순한 동작만으로 치아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 및 새부적인 정보를 모두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치과 의사의 진료 효율이 상승한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도 2의 S150단계에서 선정된 문제 영역이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인 경우,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을 분석하여 치열궁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치열궁 모듈 제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먼저,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골밀도 분석을 이용하여 아래턱뼈 영역에 대한 종양, 신경관 이상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서의 하우스필드 단위(Hounsfield unit; HU) 값을 이용하여 종양의 발생 및 신경관 이상을 판정하는 방식 또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하여 종양이 발생하거나 신경관에 이상이 발생한 복수의 치아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를 학습시킴으로써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서 종양의 발생 및 신경관 이상을 판정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양의 발생 및 신경관의 이상을 판정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S310 단계는 종양, 신경관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양 및 신경관 이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아래턱뼈 영역에서 종양 및 신경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320),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아래턱뼈 영역을 문제 영역으로 선정하고, 아래턱뼈 영역과 매칭된 치열궁 모듈의 실행을 제안할 수 있다(S330). 이후,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치열궁 모듈 연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치열궁 모듈 실행과 함께 종양 및 신경관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된 영역에 대한 단면 영상을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만약, S330단계에서 종양 및 신경관 이상 발생 가능성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열궁 모듈 제안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도 2의 S150단계에서 선정된 문제 영역이 턱관절 영역인 경우, 턱관절 영역을 분석하여 턱관절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턱관절 진단 모듈 제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먼저,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골밀도 분석을 이용하여 턱관절 영역에 대한 관절염 발생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턱관절 영역에서 관절염이 발생 또는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턱관절 영역을 문제 영역으로 선정하고, 턱관절 영역과 매칭된 턱관절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할 수 있다. 이후,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턱관절 진단 모듈 연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턱관절 진단 모듈 실행과 함께 관절염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된 영역에 대한 단면 영상을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만약, 관절염의 발생 또는 발생 가능성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턱관절 진단 모듈 제안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문제 영역이 치아 영역인 경우, 임플란트 모듈 제공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임플란트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고, 문제 영역이 턱관절 영역인 경우, 턱관절 진단 모듈 제공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턱관절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며, 문제 영역이 아래턱뼈 영역인 경우, 치열궁 모듈 제공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치열궁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되, 문제 영역에 발생한 병변 종류에 문제 영역에 기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종류를 변경하여 제안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가 수행하는 정밀 진단 모듈 변경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잇몸뼈 라인을 기준으로 치아의 치관부 및 치근부를 구획하고(S410), 골밀도 분석을 이용하여 치관부 및 치근부에 대한 우식증 및 치근낭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AI 기술을 이용하여 치아의 우식증 및 치근낭이 발생한 복수의 치아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영상 데이터를 학습시킬 수 있고, 학습 결과를 토대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의 HU 값을 이용하여 치아의 우식증 및 치근낭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S420단계는 우식증 및 치근낭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우식증 및 치근낭이 발생될 가능성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치관부 및 치근부에 대한 우식증 및 치근낭 발생 가능성이 검출되는 경우(S430),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을 문제 영역으로 선정하고, 치아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할 수 있다.
이때, 치아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은 임플란트 모듈로써, 치아의 우식증 및 치근낭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획득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정밀 진단 모듈이다. 따라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과 기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을 우식증 및 치근낭 발생 가능성이 있는 치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치열궁 모듈 또는 다중 평면 재구성(Multiplanar Reconstructions; MPR) 모듈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S440).
일 실시예에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 각각에 대하여 발생될 수 있는 병변 중 각각의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을 변경할 필요성이 있는 병변에 대한 리스트를 저장하고, 추후, 골밀도 분석을 통해 검출된 병변의 종류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정밀 진단 모듈을 변경하여 제안할 수 있다.
즉,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문제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되는 정밀 진단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문제가 있는 치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변의 종류에 따라 유동적으로 정밀 진단 모듈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볼륨 렌더링(Volume Rendering)을 이용하여 생성된 볼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볼륨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기존의 3D 뷰어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 시, 시상면(Sagittal), 관상면(Coronal) 및 수평면(Axial)의 3축을 이동하여 진단 부위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화면을 이동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3축을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볼륨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생성된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서 한번의 클릭을 통해 정밀 진단 모듈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쉽게 정밀 진단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9 내지 12을 참조하여,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가 수행하는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여기서, 입력 신호는 터치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가 화면의 일정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아래턱뼈 영역 중 S510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을 감지하고,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이 치아 영역인 경우(S520), 치아 영역과 매칭된 임플란트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S530).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치아 파노라마 영상(1)에 대하여 치아 영역(40)에 해당하는 부분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영역과 매칭된 임플란트 모듈과 임플란트 모듈에서 수행 가능한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S510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이 턱관절 영역인 경우(S540), 턱관절 영역과 매칭된 턱관절 진단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S550).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치아 파노라마 영상(1)에 대하여 치아 영역(40)의 좌우측 상단에 위치한 턱관절 영역(60-1, 60-2)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턱관절 영역(60-1, 60-2)과 매칭된 턱관절 진단 모듈을 제공할 수 있으며, 턱관절 진단 모듈 실행과 동시에 입력 신호가 수신된 위치의 단면 영상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치아 영역(40)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제1 턱관절 영역(60-1)과 우측 상단에 위치한 제2 턱관절 영역(60-2)은 입력 신호에 따라 서로 동일한 턱관절 진단 모듈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정밀 진단 모듈을 제공하거나 동일한 정밀 진단 모듈의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S510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이 아래턱뼈 영역인 경우(S540), 아래턱뼈 영역과 매칭된 치열궁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S550).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치아 파노라마 영상(1)에 대하여 치아 영역(40)의 하단에 위치한 아래턱뼈 영역(70)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아래턱뼈 영역(70)과 매칭된 치열궁 모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치열궁 모듈의 실행과 동시에 입력 신호가 수신된 위치의 단면 영상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서 신경관이 위치한 영역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신경관이 위치한 영역과 매칭된 횡단면(cross-section) 출력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HU 값을 이용하여 치아 파노라마 영상으로부터 치아의 신경관이 위치한 영역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신경관이 위치한 영역과 신경관의 횡단면을 출력할 수 있는 횡단면 출력 모듈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외부로부터 신경관이 위치한 영역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횡단면 출력 모듈을 실행함과 동시에 입력 신호가 수신된 신경관의 횡단면 영상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기존의 3D 뷰어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환자 치아의 진단을 위해 다수의 절차를 수행해야 된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치아에 대한 임플란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환자 및 영상 검색 단계, 임플란트 모듈 이동 단계, 픽스쳐 식립 부위로 영상을 이동하는 단계, 임플란트 식립 버튼 입력 단계, 픽스쳐 세부 모델 선택 단계 및 신경(Nerve) 입력 단계를 모두 거쳐야한다. 이러한 다수의 과정 때문에,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진료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의 경우, 환자 및 영상 검색 단계,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서 진료 부위 선택하는 단계 및 임플란트 모듈 이동 단계만을 수행하더라도 임플란트 모듈에서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기능까지 모두 수행되기 때문에 진료 효율이 상승한다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20), 버스(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및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2120)에 컴퓨터 프로그램(151)이 로드되면, 프로세서(21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30)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3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100)를 통해 정밀 진단 모듈 제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스토리지(150)는 정밀 진단 모듈 제안 프로세스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병변 이력 정보, 분할된 치아 파노라마 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메모리(12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인스트럭션,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인스트럭션 및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을 각각 분석하여,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 중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서 잇몸뼈 라인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잇몸뼈 라인에 따라 상기 치아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및 상기 잇몸뼈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영역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부비강(Sinus)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과 상기 부비강 영역을 그룹화하여 임플란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영역 중 윗니의 좌우측 끝단에 위치한 치아와 상기 잇몸뼈 라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상기 치아 영역의 좌우측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턱관절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임플란트 영역과 상기 턱관절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아래턱뼈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5.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 영역, 턱관절 영역 및 아래턱뼈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서 잇몸뼈 라인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잇몸뼈 라인에 따라 상기 치아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및 상기 잇몸뼈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잇몸뼈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치아의 치관부 및 치근부를 구획하는 단계;
    골밀도(Bone Density) 분석을 이용하여 상기 치관부 및 상기 치근부에 대한 우식증 및 치근낭의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우식증 및 치근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치열궁(Dental Arch) 모듈 또는 다중 평면 재구성(Multiplanar Reconstruction; MPR)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6.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영역에 대하여 치아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여 상기 치아 영역을 개별 치아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개별 치아 영역을 이용하여 결손치의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결과, 상기 결손치가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임플란트(Implant)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임플란트 모듈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결손치의 위치에 임플란트 픽스쳐(Fixture)를 자동적으로 식립하는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수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8.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는,
    골밀도 분석을 이용하여 상기 아래턱뼈 영역에 대한 종양 발생 및 신경관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종양 발생 및 상기 신경관 이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치열궁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9.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문제 영역이 상기 치아 영역인 경우 상기 치아 영역에 기 매칭된 임플란트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고, 상기 문제 영역이 상기 턱관절 영역인 경우 상기 치아 영역에 기 매칭된 턱관절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며, 상기 문제 영역이 상기 아래턱뼈 영역인 경우 상기 치아 영역에 기 매칭된 치열궁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되, 상기 문제 영역에 발생한 병변 종류에 따라, 상기 문제 영역에 기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과 상이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10. 삭제
  1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과 매칭된 상기 정밀 진단 모듈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과 매칭된 상기 정밀 진단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이 상기 치아 영역인 경우, 임플란트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이 상기 턱관절 영역인 경우, 턱관절 진단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된 영역이 상기 아래턱뼈 영역인 경우, 치열궁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방법.
  12.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따라 복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이 로드 되는 메모리;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은,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인스트럭션;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 제공 장치.
  13.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치아(Tooth) 영역,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영역 및 아래턱뼈(Mandible)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치아 영역,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 중 문제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문제 영역과 매칭된 정밀 진단 모듈의 실행을 제안하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에서 잇몸뼈 라인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잇몸뼈 라인에 따라 상기 치아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치아 영역 및 상기 잇몸뼈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턱관절 영역 및 상기 아래턱뼈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치아 영역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부비강(Sinus)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영역과 상기 부비강 영역을 그룹화하여 임플란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19589A 2019-02-20 2019-02-20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20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589A KR102200060B1 (ko) 2019-02-20 2019-02-20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589A KR102200060B1 (ko) 2019-02-20 2019-02-20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584A KR20200101584A (ko) 2020-08-28
KR102200060B1 true KR102200060B1 (ko) 2021-01-08

Family

ID=7229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589A KR102200060B1 (ko) 2019-02-20 2019-02-20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567B1 (ko) * 2021-10-05 2023-02-06 주식회사 인비전랩 구강 건강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841B1 (ko) 2012-05-16 2014-04-29 주식회사바텍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84998B1 (ko) 2013-07-09 2016-12-12 주식회사바텍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78B1 (ko) * 2014-12-31 2016-10-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80070365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바텍 치과용 x선 영상에서 복수의 병변을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841B1 (ko) 2012-05-16 2014-04-29 주식회사바텍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84998B1 (ko) 2013-07-09 2016-12-12 주식회사바텍 의료영상을 이용한 구강병변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584A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heen et al. A novel deep learning system for multi-class tooth segmentation and classification on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A validation study
JP6327845B2 (ja) 口腔内画像と体積画像の統合
US11734825B2 (en) Segmentation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learning model
US9652873B2 (en) Method for creating an image from a 3D device
EP3050534A1 (en) Dental variation tracking and prediction
KR102289610B1 (ko) 치아 부가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06244A (ko) 디지털 치아 영상에 치아 진료 데이터를 기록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80166B1 (ko) 치주염 자동 판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US20220249202A1 (en) Multiple bone density displaying method for establishing implant procedure plan, and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KR102344521B1 (ko) 진단 및 진료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3차원 치과영상 제공장치
US20220246269A1 (en) Implant surgery planning method using automatic placement of implant structure,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for, and teeth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WO2023274690A1 (en) Non-invasive periodontal examination
KR102200060B1 (ko)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346199B1 (ko) 파노라믹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처리장치
KR20200088977A (ko) 치아 병변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378548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dental image
KR20210092925A (ko) 치아 교정 모델 분석 방법 및 장치
JP7269587B2 (ja) セグメンテーション装置
KR102268433B1 (ko) 치아교정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2155745B1 (ko) Fmx 자동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70365A (ko) 치과용 x선 영상에서 복수의 병변을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30252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Patch-Loaded Multi-Planar Reconstruction (MPR)
KR102369100B1 (ko) 멀티 파노라마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장치
CN114663345B (zh) 定点测量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73722B1 (ko) 치아 단면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