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178B1 -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178B1
KR101669178B1 KR1020150067968A KR20150067968A KR101669178B1 KR 101669178 B1 KR101669178 B1 KR 101669178B1 KR 1020150067968 A KR1020150067968 A KR 1020150067968A KR 20150067968 A KR20150067968 A KR 20150067968A KR 101669178 B1 KR101669178 B1 KR 10166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image
generating
curve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3788A (ko
Inventor
정정운
김태환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8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14
    • G06T7/007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은 악궁궤적을 추출하기 위한 제어점을 환자의 치아영역뿐만 아니라 턱관절 부위까지 연장 추출함으로써, 정교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은 악궁궤적을 추출하기 위한 제어점을 곡선 변화율일 가장 큰 지점을 선택함으로써 환자의 치아상태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정교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Method for Generating Dental Panoramic Imag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아의 악궁궤적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치아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직접 악궁궤적을 그린 후 파노라마 영상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한편, 미리 정의된 악궁궤적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도 있으나, 이는 환자에 상관없이 획일적인 악궁궤적을 적용하는 것으로 환자의 정확한 악궁궤적이 아니므로 사용자가 환자에 맞추어 매번 수정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악궁궤적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에 의하여 생성된 악궁궤적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악궁궤적을 치아 부분에 대해서만 추출하여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치아 부분에 대해서만 악궁궤적을 추출하게 되면 신경관(Nerve canal)의 시작 부위 및 턱관절(Tempromandibular Joint: TMJ)부분은 치아 보다 뒤쪽에 위치하고 있어 이미지의 일부가 잘려서 제대로 보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전체적인 파노라마 영상이 실제와 불일치되어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한 영상 분석 및 치료 계획 시 정교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줄이면서도 환자에 따른 정확한 파노라마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치아영상에서 자동으로 악궁궤적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턱관절 부근까지 악궁궤적이 연장되도록 하고, 치아곡선에서 곡률 변화율을 가장 큰 지점을 제어점으로 하여 악궁궤적을 추출함으로써 환자의 치아상태를 정확히 반영한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에 있어서, 치아영상을 생성하는 치아영상생성부; 상기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할하는 치아영역분할부; 상기 분할된 치아영역에서 악궁궤적을 생성하는 악궁궤적생성부; 및 상기 악궁궤적을 이용하여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파노라마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악궁궤적생성부는 상기 치아영역에서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치아곡선추출부, 상기 치아곡선에서 상기 악궁궤적에 관한 적어도 4개 이상의 제어점을 추출하는 제어점추출부, 및 상기 악궁궤적에 관한 제어점에 기초하여 상기 악궁궤적을 추출하는 악궁궤적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점은 상기 치아곡선이 시작되는 지점과 인접한 턱뼈의 끝부위의 제1 연장점과, 상기 치아곡선이 끝나는 지점과 인접한 턱뼈의 끝부위의 제2 연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점은 상기 치아곡선의 곡률 변화율이 가장 큰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치아곡선추출부는, 상기 치아영역을 연결 성분 레이블링을 통해 연결 성분을 추출하는 연결성분분석부, 상기 연결 성분에 세선화 작업을 통해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세선화부, 및 상기 치아곡선에 일정 함수식을 이용하여 곡선 적합을 수행하는 곡선적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치아곡선추출부는, 상기 치아영역에서 홀 채우기 기법을 이용하여 빈 영역을 메우는 홀필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영상생성부는, 상기 악궁궤적을 생성할 축상 이미지로부터 일정 영역에서 Z축 방향으로 MIP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에 있어서, 치아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상기 치아영역에서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치아곡선에서 악궁궤적에 관한 적어도 4개 이상의 제어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악궁궤적의 제어점에 기초하여 상기 악궁궤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악궁궤적을 이용하여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치아영역에서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영역을 연결 성분 레이블링을 통해 연결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결 성분에 세선화 작업을 통해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치아곡선에 일정 함수식을 이용하여 곡선 적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아영역에서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영역에서 홀 채우기 기법을 이용하여 빈 영역을 메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아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환자의 영상 중에서 상기 악궁궤적을 생성할 축상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축상 이미지로부터 일정 영역에서 Z축 방향으로 MIP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는 환자의 치아영상에서 자동으로 악궁궤적을 추출하여 환자에 맞는 정교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쉽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악궁궤적을 턱관절 부근까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이 잘려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치아곡선에서 곡률 변화율을 가장 큰 지점을 제어점으로 하여 악궁궤적을 추출함으로써 환자의 치아상태를 정확히 반영한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악궁궤적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에 의하여 생성된 악궁궤적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에서 치아영역 생성의 과정 및 결과의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궁궤적생성부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점 추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악궁궤적 및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2의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를 이용한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9는 치아곡선 추출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100)는 치아영상생성부(10), 치아영역분할부(20), 악궁궤적생성부(30), 및 파노라마생성부(40)를 포함한다.
치아영상생성부(10)는 환자의 치아영상을 계산해서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환자의 축상 영상(Axial View)에서 상하악의 악궁궤적을 그릴 이미지 슬라이스를 선택한다. 여기서 환자의 축상 영상은 환자의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CT, Computed Tomography Image)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의 수동 선택이 아닌 자동으로 상악과 하악의 이미지 슬라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CT 영상 이외에도 MRI 등 다양한 형태의 환자 촬영 영상을 치아영역 계산에 활용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된 환자의 축상 이미지 슬라이스로부터 일정 영역을 일정 방향으로 투사하여 치아영상을 생성한다. 예컨대 선택된 이미지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상하영역을 Z축 방향으로 MIP(Maximum Intensity Projection)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100)에서 치아영역 생성의 과정 및 결과의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PR(Multi Planar Reformating) 화면에서 Coronal, Sagittal, Axial, 3D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환자의 CT 3D 화면에서 악궁궤적을 추출할 Axial 이미지를 선택하면 해당 Axial 이미지에 대해 MIP 기법을 이용하여 치아영상을 생성한다.
치아영역분할부(20)는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할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영상에서 픽셀 밝기 등의 문턱치 값을 이용하여 치아영역 즉, 치아가 위치해 있는 영역을 분리해낸다.
악궁궤적생성부(30)는 분할된 치아영역에서 환자의 악궁궤적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궁궤적생성부(30)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악궁궤적생성부(30)는 치아곡선추출부(31), 제어점추출부(33), 및 악궁궤적추출부(35)를 포함한다.
치아곡선추출부(31)는 분리해낸 치아영역에서 치아 배열에 관한 치아곡선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치아곡선추출부(31)는 홀필링부(31a), 연결성분분석부(31b), 세선화부(31c) 및/또는 곡선적합부(31d)를 포함한다.
홀필링부(31a)는 치아영역에서 이미지 형태 연산 중에서 예컨대, 팽창연산(Dilation) 및 축소연산(Erosion) 기법을 이용하거나 홀 채우기 기법을 이용하여 빈 영역을 메우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치아가 결손된 부위나 치아 근관 부위 등의 빈 영역이 채워지는 효과가 있다.
연결성분분석부(31b)는 연결 성분 분석(CCA; Connected Component Analysis)을 통해 치아영역의 연결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연결 성분 레이블링 기법을 통해 뼈 영역을 레이블링하고 이미지 중앙 하단 부위의 가장 큰 레이블을 연결성분으로 추출한다.
세선화부(31c)는 연결 성분을 세선화 작업을 통해 세선화된 곡선 즉, 치아곡선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연결 성분의 중심선을 치아곡선으로 생성할 수 있다.
곡선적합부(31d)는 추출된 치아곡선에 일정 함수식을 이용하여 곡선 적합(Curve Fitting)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세선화부(31c)를 통해 추출된 치아곡선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나오지 않기 때문에 일정 함수식을 이용하여 곡선 적합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일정 함수식으로는 일반적인 다항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비스플라인 곡선(B-Spline Curve)에 일치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점추출부(33)는 곡선 적합된 치아곡선에 기초하여 악궁궤적에 관한 4개 이상의 제어점(Control Point)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제어점은 환자의 악궁궤적의 특징점 또는 주요지점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점 추출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는 MPR 영상에서 제어점 추출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5의 MPR 영상을 MIP영상으로 변경한 예로서 MIP영상에서의 제어점 추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점은 총 7개로 구성되는데, 먼저 치아곡선이 시작되는 시작점(제어점1), 치아곡선이 종료되는 종료점(제어점2), 시작점에서 인접한 턱뼈의 끝지점에 있는 연장점 1(제어점3), 종료점에서 인접한 턱뼈의 끝지점에 있는 연장점 2(제어점4), 중앙점(제어점5), 시작점에서 중앙점까지의 치아곡선 중에서 곡률 변화율이 가장 큰 지점(제어점6), 중앙점에서 종료점까지의 치아곡선 중에서 곡률 변화율이 가장 큰 지점(제어점7)으로 구성된다.
시작점에서 연장점 1, 종료점에서 연장점 2까지의 곡선의 모양이나 기울기 등은 일정 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고, 제어점1~제어점6 사이의 곡선이나 제어점2~제어점4까지의 곡선의 모양이나 기울기에 따라 정해지거나 환자의 나이나 성별 등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연장점1, 연장점2는 각각 턱관절 부위로서 턱뼈의 끝지점으로 결정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턱뼈의 끝지점에서 일정 마진을 두고 상하좌우 조정 가능하다.
여기서, 연장점1 및 연장점2는 턱뼈의 끝지점이나 턱관절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턱뼈의 끝지점이나 턱관절 부위가 신경관이 지나가는 위치와 인접하다는 점에서 악궁궤적을 그릴 때 신경관의 위치를 염두에 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즉, 치아 파노마라 영상을 생성한 후에는 이에 기초해서 의사가 추후 환자의 치료나 진료 계획을 세우게 되는데, 임플란트 등의 시술 시 신경관의 위치를 피해서 치료를 해야 하기 때문에 파노라마 영상 생성을 위한 악궁궤적을 그릴 때 신경관 위치를 염두에 두고 그리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에서의 연장점1 및 연장점2는 턱뼈의 끝지점이나 턱관절 부위에 한정되지 않고 신경관의 끝 부근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악궁궤적추출부(35)는 치아곡선에서 추출된 제어점을 기초로 하여 악궁궤적을 생성하는 것으로, 예컨대 각 제어점을 지나는 횡단면 곡선을 악궁궤적으로 생성한다.
파노라마생성부(40)는 생성된 악궁궤적에 따라 환자의 치아를 배열하여 치아 파노라마영상을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악궁궤적 및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른쪽 하단(701)에 추출한 악궁궤적이 도시되어 있고, 왼쪽 화면(703 내지 706)에는 악궁궤적에 따라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이 그 종류에 따라 각각 도시되어 있다. 703 내지 706에서 초록색 라인은 신경관을 의미하며, 주황색 라인은 전체 영상 중 표시되는 영상의 단면에 위치해 있는 신경관을 나타낸다.
도 7의 701 화면에서 갈색 실선은 악궁궤적을 의미하고, 초록색 라인은 신경관을 나타내며, 신경관 라인에서 주황색 점은 축상면에 위치하는 신경관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의 701 화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악궁궤적의 연장점이 신경관 끝 부근에 위치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점을 치아영역에서뿐만 아니라 턱관절(TMJ, Temporomandibular Joint) 근방 부위까지 추출하여 악궁궤적이 턱관절 근방까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파노라마 영상이 잘리게 보이거나 왜곡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정교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향후 신경관(Nerve Canal)을 그릴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점 6 및 7과 같이 치아곡선에서 곡률 변화율이 가장 큰 지점을 제어점으로 추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악궁궤적을 추출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배열이나 상태를 정확히 재현해낼 수 있어 종래 보다 정교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 또는 대체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2의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100)를 이용한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9는 치아곡선 추출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은 우선 환자의 CT 영상 등에서 악궁궤적을 추출할 영상 슬라이스를 선택하고 이의 일정 영역을 투사 기법을 이용하여 치아영상을 생성한다(S10).
문턱치 값을 이용하여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할해 내고(S11), 분할된 치아영역에서 치아 배열에 관한 세선화된 하나의 치아곡선을 추출한다(S12).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분할된 치아영역에서 이미지 형태 연산 중에서 팽창연산 및 축소연산을 이용하거나 홀채우기 기법을 이용하여 빈 영역 즉,구멍을 채운다(S20). 즉, 치아의 최외각 픽셀을 확장하거나 배경을 확장 또는 치아영역을 축소 처리하여 치아 결손된 부위나 치아 근관 부위 등의 빈 영역이 채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 채우기가 수행된 치아영역에서 연결 성분 분석을 통해 뼈 영역을 레이블링하고 이미지 중앙 하단 부위의 가장 큰 레이블을 연결성분으로 추출한다(S21).
그 다음, 연결성분분석이 수행된 치아영역에서 연결성분의 세선화 작업을 통해 하나의 곡선 즉, 치아곡선을 추출한다(S22).
추출된 치아 곡선은 부드럽지 않기 때문에 비스플라인 곡선(B-Spline Curve)에 일치시키는 등의 곡선 적합을 수행한다(S23).
이렇게 곡선 적합 처리한 후 치아곡선에서 환자의 악궁궤적에 관한 적어도 4개 이상의 제어점을 추출하게 된다(13).
그리고, 추출한 제어점에 기초하여 악궁궤적을 생성하고(S14), 악궁궤적에 따라 환자의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S15).
위와 같이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 맞춤화된 악궁궤적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조작되었던 종래 기술에 비하여 더욱 정교한 파노라마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100)는 RAM, ROM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또는 특정 용도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100) 및 방법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기계 판독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로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전술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치아영상생성부 20: 치아영역분할부
30: 악궁궤적생성부 31: 치아곡선추출부
33: 제어점추출부 35: 악궁궤적추출부
40: 파노라마생성부

Claims (11)

  1.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가 환자에 관한 치아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가 상기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가 상기 치아영역에서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가 상기 치아곡선에 기초하여 악궁궤적에 관한 적어도 4개 이상의 제어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가 상기 악궁궤적의 제어점에 기초하여 상기 악궁궤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가 상기 악궁궤적을 이용하여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점은 상기 치아곡선이 시작되는 지점에 인접한 턱뼈의 끝 부위나 턱관절 부위의 일 지점인 제1 연장점과, 상기 치아곡선이 끝나는 지점에 인접한 턱뼈의 끝 부위나 턱관절 부위의 일 지점인 제2 연장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점은 상기 치아곡선의 곡률 변화율이 가장 큰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가 상기 치아영역에서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영역을 연결 성분 레이블링을 통해 연결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결 성분에 세선화 작업을 통해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치아곡선에 일정 함수식을 이용하여 곡선 적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가 상기 치아영역에서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영역에서 홀 채우기 기법을 이용하여 빈 영역을 메우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가 상기 치아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환자의 영상 중에서 상기 악궁궤적을 생성할 축상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축상 이미지로부터 일정 영역에서 Z축 방향으로 MIP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상기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에 있어서,
    치아영상을 생성하는 치아영상생성부;
    상기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할하는 치아영역분할부;
    상기 분할된 치아영역에서 악궁궤적을 생성하는 악궁궤적생성부; 및
    상기 악궁궤적을 이용하여 치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파노라마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악궁궤적생성부는 상기 치아영역에서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치아곡선추출부,
    상기 치아곡선에 기초하여 상기 악궁궤적에 관한 적어도 4개 이상의 제어점을 추출하는 제어점추출부, 및
    상기 악궁궤적에 관한 제어점에 기초하여 상기 악궁궤적을 추출하는 악궁궤적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곡선추출부는,
    상기 치아영역을 연결 성분 레이블링을 통해 연결 성분을 추출하는 연결성분분석부, 상기 연결 성분에 세선화 작업을 통해 치아곡선을 추출하는 세선화부, 및 상기 치아곡선에 일정 함수식을 이용하여 곡선 적합을 수행하는 곡선적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곡선추출부는,
    상기 치아영역에서 홀 채우기 기법을 이용하여 빈 영역을 메우는 홀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영상생성부는,
    상기 악궁궤적을 생성할 축상 이미지로부터 일정 영역에서 Z축 방향으로 MIP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장치.
KR1020150067968A 2014-12-31 2015-05-15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669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5223 2014-12-31
KR1020140195223 2014-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788A KR20160083788A (ko) 2016-07-12
KR101669178B1 true KR101669178B1 (ko) 2016-10-27

Family

ID=5650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968A KR101669178B1 (ko) 2014-12-31 2015-05-15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1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504A (ko) * 2019-05-09 2020-11-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배열 분석 방법, 이를 이용한 파노라마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31564A (ko) *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디오 악궁 궤적 검출 장치
KR20210055436A (ko) * 2019-11-07 2021-05-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치 형태를 이용한 개인맞춤 치과용 파노라마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106554A (ko) * 2021-01-22 2022-07-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t 영상을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489867B1 (ko) 2022-05-19 2023-01-18 (주)비포덴트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구강영상 생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650B1 (ko) * 2016-11-30 2019-04-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954845B1 (ko) * 2017-10-30 2019-03-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의 악궁 라인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4210B1 (ko) * 2018-03-06 2019-1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ct 영상을 이용한 자동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08648146A (zh) * 2018-05-08 2018-10-12 南京齿贝犀科技有限公司 基于局部优化算法的牙齿舌腭侧全景图像拼接方法
KR102091836B1 (ko) * 2018-07-09 2020-04-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셋업 과정의 공간 확보 술식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123660B1 (ko) 2018-10-12 2020-06-16 라온피플 주식회사 치아 교정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182649B1 (ko) * 2018-11-01 2020-11-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92377B1 (ko) * 2018-12-05 2020-12-18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두개악안면영상에서의 자동 치아 분리방법 및 시스템
KR102200060B1 (ko) * 2019-02-20 2021-01-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210341B1 (ko) * 2019-02-26 2021-02-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영상처리 및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신경관 자동 검출방법 및 그 장치
KR102251651B1 (ko) * 2019-03-19 2021-05-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파노라믹 영상 생성을 위한 커브 라인 자동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CN111833244A (zh) * 2019-04-11 2020-10-27 深圳市深图医学影像设备有限公司 一种牙科全景图像生成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02245B1 (ko) 2019-11-07 2021-09-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을 이용한 파노라마 이중상 및 허상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39870B1 (ko) 2020-09-23 2022-09-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복수의 치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30981B1 (ko) * 2020-12-30 2021-12-02 이마고웍스 주식회사 딥러닝을 이용한 ct 영상의 악안면골 자동 분할 방법
KR102468958B1 (ko) * 2021-11-01 2022-11-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인공지능 모델 학습용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136B1 (ko) 2011-09-09 2013-03-1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X선 파노라마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악궁 x선 파노라마 촬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259B1 (ko) * 2009-12-23 2012-03-20 주식회사 바텍 고해상도 파노라마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KR20130030336A (ko) * 2011-09-08 2013-03-27 주식회사바텍 파노라마 영상획득 장치
KR101389841B1 (ko) * 2012-05-16 2014-04-29 주식회사바텍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136B1 (ko) 2011-09-09 2013-03-1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X선 파노라마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악궁 x선 파노라마 촬영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504A (ko) * 2019-05-09 2020-11-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배열 분석 방법, 이를 이용한 파노라마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1334B1 (ko) * 2019-05-09 2021-03-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배열 분석 방법, 이를 이용한 파노라마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31564A (ko) *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디오 악궁 궤적 검출 장치
KR102263110B1 (ko) 2019-05-14 2021-06-09 주식회사 디오 악궁 궤적 검출 장치
KR20210055436A (ko) * 2019-11-07 2021-05-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치 형태를 이용한 개인맞춤 치과용 파노라마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92080B1 (ko) * 2019-11-07 2021-08-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치 형태를 이용한 개인맞춤 치과용 파노라마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106554A (ko) * 2021-01-22 2022-07-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t 영상을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471011B1 (ko) * 2021-01-22 2022-11-2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t 영상을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489867B1 (ko) 2022-05-19 2023-01-18 (주)비포덴트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구강영상 생성 시스템
KR20230162900A (ko) 2022-05-19 2023-11-29 (주)비포덴트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구강영상 생성 시스템
KR20230162899A (ko) 2022-05-19 2023-11-29 (주)비포덴트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구강영상 생성 시스템
KR20230162901A (ko) 2022-05-19 2023-11-29 (주)비포덴트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구강영상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788A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178B1 (ko) 치아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EP2895100B1 (en) A digital splint
EP2895102B1 (en) An improved virtual splint
EP2895101B1 (en) An improved surgical template
KR20150039028A (ko) 치아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1212556B1 (ko) 치아 교정용 고정체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4426B1 (ko) 치식번호 부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아영상 처리장치
KR102292872B1 (ko) 보철물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08686A (ko) 치과용 서지컬 가이드 설계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320857B1 (ko)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9358B1 (ko) 임플란트 중심선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346199B1 (ko) 파노라믹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처리장치
KR20220118074A (ko) 치과 교정치료 계획 수립방법 및 그 장치
KR102334435B1 (ko) 치료계획 수립을 위한 투명 교정기 설계방법 및 그 장치
KR102568247B1 (ko) 치아 치료를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89747B1 (ko)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251651B1 (ko) 파노라믹 영상 생성을 위한 커브 라인 자동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482953B1 (ko) 덴탈 아치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04435B1 (ko) 앵커핀 식립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KR102649559B1 (ko)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가이드 디자인 장치
WO20231104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dental panoramic images with sharpened depiction of clinically relevant, patient-specific pre-selected anatomical structures
CN117222376A (zh) 显示多骨密度的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
KR20220104427A (ko) 신경관 라인 생성방법 및 치과 임플란트 수술계획 수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