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370B1 - 차량용 조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370B1
KR102413370B1 KR1020200144636A KR20200144636A KR102413370B1 KR 102413370 B1 KR102413370 B1 KR 102413370B1 KR 1020200144636 A KR1020200144636 A KR 1020200144636A KR 20200144636 A KR20200144636 A KR 20200144636A KR 102413370 B1 KR102413370 B1 KR 102413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force
clutch
pull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025A (ko
Inventor
손성효
임경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44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3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75Controlling other elements
    • B62D5/0478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lutch means between driving element, e.g. motor, and driven element, e.g. steering column or steering gear
    • B62D5/043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lutch means between driving element, e.g. motor, and driven element, e.g. steering column or steering gear the clutch being of on-off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조향 시스템이 제공된다. 차량용 조향 시스템은, 운전자의 조타에 의해 제 1 조향력을 생성하는 조향 휠 및 상기 조향 휠과 연결되는 조향 축을 포함하는 조타부; 상기 조향 축에 연결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조타부로부터 생성된 제 1 조향력을 증대시키는 유압식 조향 기어박스; 구동 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력을 소정 감속비로 증폭하여 제 2 조향력을 생성하는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조향 축에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되, 선택적으로 단절 또는 연결되어 상기 제 2 조향력을 차단하거나 상기 조향 축에 전달하는 클러치가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조향 시스템{STEER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 시스템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Hydraulic Power Steerin_g, HPS)은, 운전자가 조향 휠을 회전시켜 조향력을 발생시키면, 유압의 힘을 이용하여 이를 증폭시켜 적은 힘만으로도 바퀴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은, 전자장비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순수하게 운전자의 조타에 의해서만 조향이 기계적으로 조절되므로, 직관적이고 섬세한 조향이 가능해 조향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 따라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은 종래의 차량에 널리 적용되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은 유체에서 발생된 힘만으로 타이어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운전자의 조타로 토션 바가 비틀려서 밸브가 열릴 때에만 힘이 전달되므로, 운전자의 조타 없이 기어박스에 힘을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에는 운전자의 조향 없이도 자동적으로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조향 기술이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자동조향 기술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전동식 조향 시스템(Motor Driven Power Steering, MDPS) 등 전자장비에 의해 조향이 제어되는 조향 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동식 조향 시스템은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에 비해서 조향감의 직관성이 떨어지고, 전자장비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조향력이 상실되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정성에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이미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경우, 조향 시스템 자체를 전동식 조향 시스템 등으로 변경하기가 극히 어려우므로, 자동조향에 관한 최신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전동식 조향 시스템 등이 적용된 새로운 차량을 구입해야 하였으므로, 경제적으로 부담이 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을 적용한 차량에 있어서,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자동조향에 관한 최신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을 간단히 개조하여 전동식 조향 시스템의 요소를 부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을 간단히 개조하여 적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유압식 조향 방식과 전동식 조향 방식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조향 시스템이 제공된다. 차량용 조향 시스템은, 운전자의 조타에 의해 제 1 조향력을 생성하는 조향 휠 및 상기 조향 휠과 연결되는 조향 축을 포함하는 조타부; 상기 조향 축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조타부로부터 생성된 제 1 조향력을 증대시키는 유압식 조향 기어박스; 구동 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력을 소정 감속비로 증폭하여 제 2 조향력을 생성하는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조향 축에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되, 선택적으로 단절 또는 연결되어 상기 제 2 조향력을 차단하거나 상기 조향 축에 전달하는 클러치가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조향 시스템은, 상기 조타부 및 상기 유압식 조향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향 축의 일측에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구동부를 장착하여 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평상 시에는 상기 클러치를 단절하여 상기 제 2 조향력이 상기 조향 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자동조향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저속주행 상태에는 상기 클러치를 연결하여 상기 제 2 조향력을 상기 조향 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 축에 장착되며, 상기 조향 휠이 회전한 각도인 조향각을 감지해 조향각 신호를 생성하는 각도 센서 및 차량의 조향 토크를 감지하여 조향 토크 신호를 생성하는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각 신호와 상기 조향 토크 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의 동작 또는 상기 제 2 조향력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클러치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클러치와 상기 조향 축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 1 벨트; 및 상기 제 1 벨트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기 클러치에 연결되는 제 2 풀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클러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 3 풀리; 상기 제 3 풀리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 2 벨트; 및 상기 제 2 벨트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기 조향 축에 연결되는 제 4 풀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향감과 안정성이 우수한 종래의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자동조향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을 간단한 방법으로 개조해, 자동조향에 관한 최신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과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조향력으로 제 1 조향력을 보조하거나 댐핑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감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시스템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시스템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시스템을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시스템을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시스템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시스템(1000)은, 조타부(100), 유압식 조향 기어박스(200), 구동부(300), 연결부(400) 및 센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타부(100)는, 운전자의 조타에 의해 제 1 조향력을 생성하는 조향 휠(110) 및 조향 휠(110)과 연결되는 지지축인 조향 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는 조향 휠(110)을 손으로 잡고 조향 축(120)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 1 조향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후 조향 축(120)이 조향 휠(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운전자의 조타에 의해 생성된 제 1 조향력을 피트맨암(PA)을 통해 조향 링키지(Steering Linkage)로 전달할 수 있다.
유압식 조향 기어박스(200)는, 조향 축(120)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조타부(100)로부터 생성된 제 1 조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식 조향 기어박스(200)는, 리서큘레이팅 볼(Recirculating Ball), 랙 앤 피니언(Rack and Pinion), 웜 섹터(Worm Sector) 또는 웜 섹터 롤러(Worm Sector Roller)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구동 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310) 및 상기 회전력을 소정 감속비로 증폭하여 제 2 조향력을 생성하는 감속기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300)로부터 생성된 제 2 조향력은 조향 축(120)으로 전달되어, 운전자의 조타에 의해 생성된 제 1 조향력을 보조하거나, 댐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운전자가 조향 휠(110)을 회전시키지 않아 제 1 조향력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제 2 조향력이 생성되어 조향 축(120)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직접적인 조타가 없더라도 구동부(3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400)는, 조향 축(120)에 구동부(300)를 연결할 수 있고, 클러치(4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0)에서 생성된 제 2 조향력이 선택적으로 조향 축(120)에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결부(400)는 조타부(100) 및 유압식 조향 기어박스(200)만으로 구성된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부(300)를 조향 축(120)에 장착시키는 것일 수 있다.
클러치(420)는, 선택적으로 단절 또는 연결되어 제 2 조향력을 차단하거나 조향 축(12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클러치(420)는, 예를 들어, 건식 클러치, 습식 클러치, 유체 클러치 또는 전자식 클러치 등의 클러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단절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클러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결부(400)는 제 1 연결부(410) 및 제 2 연결부(4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410)와 제 2 연결부(430)에 의한 조향 축(120)과 구동부(300)의 구체적인 연결구조에 관해서는, 중복서술을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시에 관한 도 2 내지 도 4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센서부(500)는, 조향 축(120)에 장착되며, 조향 휠(110)이 회전한 각도인 조향각을 감지해 조향각 신호를 생성하는 각도 센서 및 차량의 조향 토크를 감지하여 조향 토크 신호를 생성하는 토크 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부(500)는,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부(400)를 통해 구동부(300)를 조향 축(120)에 장착하면서, 함께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500)에서 발생한 조향각 신호와 조향 토크 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는 조향각 신호와 조향 토크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클러치(420) 또는 제 2 조향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시스템(1000)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구동부(300), 클러치(420) 및 센서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부(500)로부터 조향각 신호와 조향 토크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자동조향이 필요한지 또는 저속주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평상 시에는 클러치(420)를 단절하여 구동부(300)에서 생성된 제 2 조향력이 조향 축(12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자동조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저속주행 상태라고 판단될 경우 클러치(420)를 연결하여 제 2 조향력이 조향 축(120)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자동조향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저속주행 상태에서, 운전자의 조타가 없더라도 제 2 조향력에 의해 조향 축(120)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자율주행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조향각 신호와 조향 토크 신호를 분석한 후,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제 2 조향력의 세기를 조절함을 통해, 제 2 조향력에 의한 제 1 조향력의 보조 또는 댐핑 제어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조향 시스템(1000)은 조타부(100) 및 유압식 조향 기어박스(200)를 포함하는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에 있어서, 조향 축(120)의 일측에 연결부(400)를 통해 구동부(300)와 센서부(500)를 장착하여 개조된 것일 수 있다. 즉, 차량용 조향 시스템(1000)은 구동부(300), 연결부(400) 및 센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은 전자장비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순수하게 운전자의 조타에 의해서만 조향이 기계적으로 조절되므로, 직관적이고 섬세한 조향이 가능해 조향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운전자의 조향 없이도 자동적으로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조향 기술이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르면,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조향 축(120)의 일측에 구동부(300)를 장착함으로써, 자동조향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즉, 간단한 개조만으로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으며, 이에 따라 조향감과 안정성이 우수한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경제적이고 간편하게 최신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시스템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시스템을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시스템을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시스템(1000)의 연결부(400)는, 제 1 연결부(410), 클러치(420) 및 제 2 연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400)는 구동부(300)와 클러치(4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0)에서 생성된 제 2 조향력이 제 1 연결부(410)를 거쳐 클러치(42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연결부(410)는 풀리 벨트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부(410)는, 구동부(300)와 연결되는 제 1 풀리(도면부호 미도시), 클러치(420)와 연결되는 제 2 풀리(도면부호 미도시) 및 제 1 풀리와 제 2 풀리를 연결하는 제 1 벨트(도면부호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구동부(300)가 회전하면, 이에 대응하여 제 1 풀리가 회전하고, 제 1 풀리의 회전에 따라 제 1 벨트가 회전되며, 제 1 벨트의 회전에 따라 제 2 풀리가 회전되고, 제 2 풀리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420)의 일면이 회전될 수 있다.
클러치(420)는, 제 1 연결부(410)와 제 2 연결부(430) 사이에 구비되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420)가 단절될 경우, 제 2 풀리와 연결되는 클러치(420)의 일면만이 회전되고, 클러치(420)의 타면은 회전되지 않으나, 클러치(420)가 연결될 경우, 제 2 풀리에 의해 클러치(420)의 일면이 회전할 때, 클러치(420)의 타면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러치(420)는 선택적으로 단절 또는 연결되어 제 1 연결부(410)로부터 전달되는 제 2 조향력을 차단하거나, 제 2 조향력을 제 2 연결부(4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430)는, 클러치(420)와 조향 축(1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러치(420)로 전달된 제 2 조향력이 조향 축(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연결부(430)는 풀리 벨트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연결부(430)는, 클러치(420)와 연결되는 제 3 풀리(도면부호 미도시), 조향 축(120)과 연결되는 제 4 풀리(도면부호 미도시) 및 제 3 풀리와 제 4 풀리를 연결하는 제 2 벨트(도면부호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풀리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420)가 회전하면, 이에 대응하여 제 3 풀리가 회전하고, 제 3 풀리의 회전에 따라 제 2 벨트가 회전되며, 제 2 벨트의 회전에 따라 제 4 풀리가 회전되고, 제 4 풀리의 회전에 의해 조향 축(120)에 제 2 조향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조타부 110: 조향 휠
120: 조향 축 200: 유압식 조향 기어박스
300: 구동부 310: 모터
320: 감속기어 400: 연결부
410: 제 1 연결부 420: 클러치
430: 제 2 연결부 500: 센서부
1000: 차량용 조향 시스템

Claims (7)

  1. 운전자의 조타에 의해 제 1 조향력을 생성하는 조향 휠 및 상기 조향 휠과 연결되는 조향 축을 포함하는 조타부; 및 상기 조향 축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조타부로부터 생성된 제 1 조향력을 증대시키는 유압식 조향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종래의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차량용 조향 시스템으로서,
    구동 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력을 소정 감속비로 증폭하여 제 2 조향력을 생성하는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
    일 측이 상기 감속기어와 연결되고, 타 측이 조향 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를 상기 조향 축에 장착하는 연결부; 및
    상기 조향 휠이 회전한 각도인 조향각을 감지해 조향각 신호를 생성하는 각도 센서 및 차량의 조향 토크를 감지하여 조향 토크 신호를 생성하는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조향 축과 연결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를 연결 또는 단절하여 상기 조향 축에 상기 제 2 조향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 1 벨트; 및 상기 제 1 벨트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기 클러치에 연결되는 제 2 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클러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 3 풀리; 상기 제 3 풀리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 2 벨트; 및 상기 제 2 벨트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기 조향 축에 연결되는 제 4 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조향각 신호와 상기 조향 토크 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의 동작 또는 상기 제 2 조향력이 제어되고,
    상기 차량용 조향 시스템은, 상기 순수 유압식 조향 시스템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상기 조향 축의 일측에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구동부를 장착하여 상기 제 2 조향력을 상기 조향 축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개조됨으로써, 상기 차량에 자율 주행 기술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조향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평상 시에는 상기 클러치를 단절하여 상기 제 2 조향력이 상기 조향 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자동조향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저속주행 상태에는 상기 클러치를 연결하여 상기 제 2 조향력을 상기 조향 축으로 전달하는, 차량용 조향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44636A 2020-11-02 2020-11-02 차량용 조향 시스템 KR102413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36A KR102413370B1 (ko) 2020-11-02 2020-11-02 차량용 조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36A KR102413370B1 (ko) 2020-11-02 2020-11-02 차량용 조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025A KR20220060025A (ko) 2022-05-11
KR102413370B1 true KR102413370B1 (ko) 2022-06-27

Family

ID=8160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636A KR102413370B1 (ko) 2020-11-02 2020-11-02 차량용 조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3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0588A (ja) * 2006-12-28 2008-10-0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操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208B1 (ko) * 2012-09-12 2014-05-08 주식회사 만도 조향제어 방법, 전자제어장치 및 조향제어 시스템
KR101406558B1 (ko) * 2012-10-10 201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08926B1 (ko) * 2014-07-29 2020-05-13 현대자동차(주)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0588A (ja) * 2006-12-28 2008-10-0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操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025A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1775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6442462B1 (en) Motor vehicle steering system
US20050279562A1 (en) Steering apparatus for steerable vehicle
JP3867682B2 (ja) 車両用操舵装置
US7726439B2 (en) Apparatus for steering a vehicle
CN105358408B (zh) 用于车辆的转向系统
US7374015B2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US6763907B2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CN110588767B (zh) 一种线控转向系统的多电机冗余装置及控制方法
US20110186361A1 (en) Differential steering control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achine
JP3464781B2 (ja) ステアリングポンプ監視付きの無限軌道車両用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US20080190687A1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US6904346B2 (en) Steering system for motor vehicle
KR102413370B1 (ko) 차량용 조향 시스템
JP3861985B2 (ja) 車両の操舵装置
JP4434261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285180B2 (ja) 車両用操舵装置
US20240043064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steering system
JP4876433B2 (ja) 車両用操舵制御装置
US11414123B2 (en) Steering control device and power steering device
JPH01115773A (ja) 四輪操舵車の後輪転舵装置
KR20230021931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0559906B1 (ko) 이중 동기 모터 타입 차량용 전동 동력 조향장치
KR20220005145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240049957A (ko) 스티어링 휠과 차륜 미정렬시 정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