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853B1 -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853B1
KR102412853B1 KR1020200071886A KR20200071886A KR102412853B1 KR 102412853 B1 KR102412853 B1 KR 102412853B1 KR 1020200071886 A KR1020200071886 A KR 1020200071886A KR 20200071886 A KR20200071886 A KR 20200071886A KR 102412853 B1 KR102412853 B1 KR 102412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unit
mold
main chamber
mo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650A (ko
Inventor
정영화
이연형
정동연
Original Assignee
(주)대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테크 filed Critical (주)대호테크
Priority to KR102020007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85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2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in machines with rotary t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16Gear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금형을 처리하기 위해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피성형물이 수납된 금형 유니트를 처리하는 메인 챔버; 상기 금형 유니트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메인 챔버의 일측에 마련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금형 유니트의 이송 거리 전체를 이동하고, 상기 금형 유니트에 접근 및 대면하고 소정 거리 상기 금형 유니트를 이송한 다음, 다시 금형 유니트로부터 이격되고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금형 유니트를 이송하는 성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Forming Device with Sealing Structure}
본 발명은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금형을 처리하기 위해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휘어진 곡면부를 갖는 유리 또는 렌즈는 스마트폰의 정면 커버, 후면 커버, 카메라용 렌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피성형물을 금형에 넣고 금형을 가열 및 가압하면 원하는 3D 형상의 유리 또는 렌즈를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송 수단에 의해 챔버내에 투입되는 각 금형 유니트의 직선 이동을 보장하고, 챔버내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성형물이 수납된 금형 유니트를 처리하는 메인 챔버; 상기 금형 유니트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메인 챔버의 일측에 마련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금형 유니트의 이송 거리 전체를 이동하고, 상기 금형 유니트에 접근 및 대면하고 소정 거리 상기 금형 유니트를 이송한 다음, 다시 금형 유니트로부터 이격되고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금형 유니트를 이송하는 성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챔버안에 투입되는 금형 유니트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해 동시 작동하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의 이송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동작하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 수단을 구비하고,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는 금형 유니트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3 이송부는 금형 유니트를 이송하는 방향 또는 그 역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 챔버내에서 이송되는 금형 유니트의 총 이송 거리를 커버할 수 있도록 메인 챔버의 일 측면에 복수의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가 마련되고,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에는 각각 금형 유니트의 측면에 대면된 상태로 이송하는 제1 이젝터 부재와 제2 이젝터 부재가 구비되며, 단수의 제3 이송부를 통해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를 동시에 금형 유니트의 이송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면, 제1 이젝터 부재와 제2 이젝터 부재는 동시에 금형 유니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챔버내의 금형 유니트의 총 이송 거리를 복수의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가 각각 나누어서 담당함으로써, 메인 챔버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메인 챔버내의 밀폐성을 유지 또는 높일 수 있다.
메인 챔버의 일측면 즉, 배면에는 밀폐 커버를 마련하고, 그 내부에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제1 이송부의 직선 이동을 위해 메인 챔버의 배면에 형성된 장공에 의해 밀폐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챔버에 공정 수행을 위한 예열 유니트, 성형 유니트 및 냉각 유니트의 설치 갯수를 늘려서 보다 품질이 향상된 피성형물을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 수단에 의해 금형 유니트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쌍의 이젝터 부재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성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포크 핀 및 제2 포크 핀의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투입 챔버에 대한 공급 유니트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투입 챔버를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제1 이송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이송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메인 챔버의 배출구에서 처리된 금형 유니트를 배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 수단에 의해 금형 유니트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성형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송부(200), 제1 이송부(200)를 함께 제1 방향과 직교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200)에는 한쌍의 이젝터 부재(240)(340)가 마련될 수 있고, 이젝터 부재(240)(340)는 피성형물을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금형 유니트(700)를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한쌍의 이젝터 부재(240)(340)는 서로 동기화되고 동시에 이동하도록 결합 부재(440)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부재(440)는 메인 챔버(3)에 형성된 장공(3a)(3b)의 범위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송부(200)에 의해 이젝터 부재(240)(340)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금형 유니트(700)에 접근 또는 이격되어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젝터 부재(240)(340)는 제1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여 복수의 금형 유니트(700)의 사이에 끼워진 다음, 제3 이송부(400)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금형 유니트(700)는 공정 수행을 위해 제2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젝터 부재(240)(340)는 제2 방향으로 연속해서 이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각 단계별 공정 처리를 위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금형 유니트(700)를 이송한 다음, 다시 제1 이송부(200)에 의해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금형 유니트(700)의 사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젝터 부재(240)(340)는 금형 유니트(700)로부터 분리된 다음, 다시 제 2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방향으로 전진하여 금형 유니트(700)의 측면에 끼워지며, 이 상태에서 금형 유니트(70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챔버(3)안에 새로 투입된 금형 유니트(700)를 다음 공정 단계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한쌍의 이젝터 부재(240)(340)는 금형 유니트(700)에 접근하는 제1 방향(①)으로부터 금형 유니트(700)를 이송하는 제2 방향(②), 공정 처리를 위한 다음 단계 이송후 후퇴하는 제3 방향(③), 후속 금형 유니트(700)를 이송하기 위해 제2 방향(②)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방향(④)으로 동작하고, 이러한 이동 동작의 반복에 의해 금형 유니트(700)를 순차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성형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성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금형 유니트(700)는 피성형물을 휴대 단말기의 커버 글라스, 렌즈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금형 유니트(700)를 가열 및 가압하면 금형 유니트(700) 내부에 수납된 피성형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곡면으로 성형될 수 있다.
피성형물은 카메라 렌즈, 곡면부를 갖는 글라스, 시계 커버 유리, 자동차 계기판 유리, 각종 계측기 커버 유리, 사파이어, 광투과성 플레이트, 휴대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및 백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피성형물은 렌즈, 반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유리로부터 렌즈가 성형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며, 피성형물의 종류는 본 발명의 한정 사항이 아니다.
피성형물에 곡면부를 형성하는 금형 유니트(700)는 메인 챔버(3)의 내부를 통과하며, 예열, 성형 또는 냉각될 수 있다. 메인 챔버(3)의 입구측으로부터 메인 챔버(3)의 출구측을 향하여 예열 유니트, 성형 유니트, 냉각 유니트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열 유니트에서 금형 유니트(700)를 예열 온도로 예열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는 성형 온도로 금형 유니트(700)를 가열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는 금형 유니트(700)를 가열 및 가압하여 피성형물을 성형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의 하류측에는 피성형물의 성형이 완료된 금형 유니트(700)를 서서히 냉각시키는 냉각 유니트가 마련될 수 있다.
예열 유니트, 성형 유니트, 냉각 유니트는 메인 챔버(3)의 바닥에 설치된 하부 블록(5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블록(510)은 금형 유니트(700)를 지지하고, 금형 유니트(700)를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다.
제1 방향을 금형 유니트(700)의 이송 방향으로서 x축 방향이고,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은 이송 방향과 동일 평면에 위치한 y축 방향이며, 제3 방향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모두 수직한 z축 방향으로서 높이 방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 장치는, 메인 챔버(3) 및 투입 챔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챔버(3)에는 예열 유니트, 성형 유니트, 냉각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투입 챔버(800)는 메인 챔버(3)의 입구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금형 유니트(700)가 투입 챔버(800)의 외부에서 투입 챔버(800)를 향하여 접근하는 방향(제2 방향)과, 금형 유니트(700)가 투입 챔버(8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제3 방향)이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입 챔버(800)의 외부에서 금형 유니트(700)가 접근하는 방향과 투입 챔버(800)의 내부로 금형 유니트(700)를 삽입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이며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라는 점이다. 이는 투입 챔버(800)의 진공 형성 또는 불활성 기체 주입시 기밀성을 좋게 할 수 있다. 기밀을 위하여 실링부(850)를 마련할 때, 실링부(850)를 설치해야 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투입 챔버(800)의 개방된 부분에서 움직이는 부품들은 실링부(850)에 의하여 밀봉될 수 있으며, 실링부(850)가 최소화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입 챔버(800)의 기밀성 향상을 위하여 개구는 최소 개수로 천공될 수 있다. 투입 챔버(800)는 제1 개구(801) 및 제2 개구(8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801)는 메인 챔버(3)와 투입 챔버(800)를 연결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금형 유니트(700)를 투입 챔버(800)로부터 배출하는 투입 챔버(800)의 출구가 되며, 투입 챔버(800)의 내부로부터 메인 챔버(3)의 내부로 금형 유니트(700)를 이송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1 개구(801)는 투입 셔터(710)에 의하여 오픈 또는 클로즈될 수 있다.
제2 개구(802)는 금형 유니트(700)를 투입 챔버(80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삽입하는 투입 챔버(800)의 입구가 될 수 있다. 메인 챔버(3)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개구(801) 및 제2 개구(802)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802)를 제1 개구(801)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하면, 제2 개구(802)를 캡부(890)의 승강에 의하여 폐쇄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부(810)의 승강에 필요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테이블부(810)의 승강은 마치 주사기와 같고, 제2 개구(802)는 주사기 바늘 구멍에 비유할 수 있다.
테이블부(810)의 승강에 따라 투입 챔버(800) 내부의 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 투입 챔버(800) 내부의 진공화 및 불활성 기체 주입을 위하여, 금형 유니트(700)의 투입시마다 피스톤 역할을 하는 테이블부(810)의 승강에 의하여 매번 투입 챔버(800) 내부를 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진공 수단에 의하여 일부러 투입 챔버(800)를 진공화시키지 않아도 캡부(890)를 막고 테이블부(810)를 하강시키면 마치 피스톤 방식의 진공 펌프와 같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투입 챔버(800)가 메인 챔버(3)와 대면되는 부분에는 투입 챔버(800)를 개방시킬 수 밖에 없고, 투입 셔터(710)에 의하여 제1 개구(801)를 클로즈할 수 있다. 투입 챔버(800)의 제1 개구(801)는 불가피하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투입 챔버(800)에 금형 유니트(700)를 투입하는 통로는 제2 방향 및 제3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제3 방향에 제2 개구(802)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투입 챔버(800)의 주변에서 금형 유니트(700)를 공급하는 공급 유니트(750)는 제2 방향으로 금형 유니트(700)를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1 방향 이송을 가정하면, 메인 챔버(3)의 이송 방향과 투입 챔버(800)에 대한 공급 방향이 일치하므로 장치의 제1 방향 길이가 길어져서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며, 작업자의 동선도 길어져서 생산 수율 향상에 좋지 않을 수 있다.
메인 챔버(3)의 이송 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공급 유니트(750)의 이송 방향을 선택하면 성형 장치의 형태가 메인 챔버(3) 입구 부분에서 "ㄱ" 자 형태로 꺾일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와 작업자 동선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공급 유니트(750)의 공급 방향을 높이 방향인 제3 방향으로 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작업자의 키에 따라 닿기 어려운 높이가 있을 수 있으며 금형 유니트(700)의 무게와 제3 방향 이송 구조를 감안하면 제3 방향 공급은 최적화된 방향이 아닐 수 있다.
한편, 공급 유니트(750)의 이송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했을 때, 제2 개구(802)의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하는 경우, 제2 개구(802)를 별도의 셔터로 클로즈하는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가정적으로 설치된 셔터의 접촉면에서 기밀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투입 챔버(800)의 내부 공간의 크기는 상수이므로 테이블부(810) 왕복에 의한 주사기 효과는 전혀 기대할 수 없을 수 있다.
금형 유니트(700)를 투입 챔버(800)의 외부에 가깝게 대면시키는 공급 유니트(750)가 마련될 수 있다. 투입 챔버(800)는 서로 직교하는 제1 면, 제2 면 및 제3 면을 구비하며, 제1 면에는 제1 개구(801)가 형성되고, 제2 면에는 공급 유니트(750)가 대면되며, 제3 면에는 제2 개구(80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며 제1 포크 핀(820)과 제2 포크 핀(730)을 설명한다.
공급 유니트(750)는 제1 포크 핀(820)과 제2 포크 핀(7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포크 핀(820)이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포크 핀(730)이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포크 핀(820)에 적재된 금형 유니트(700)가 제2 포크 핀(7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포크 핀(820)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포크(721)를 포함하고, 제2 포크 핀(730)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포크(7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크 핀(820)과 제2 포크 핀(730)의 충돌을 방지하고, 손가락 모양으로 서로 겹칠 수 있게 하며, 금형 유니트(700)가 다른 포크 핀에 접근할 때 다른 포크 핀에 충돌하지 않게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제1 포크(721)와 제2 포크(732)는 높이 차이(H)를 가질 수 있다.
제1 포크 핀(820)과 제2 포크 핀(730)이 접근하면, 제1 포크(721)는 제2 포크 핀(730)에 돌출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 포크(732) 사이로 진입될 수 있다. 제1 포크(721)에 안착된 금형 유니트(700)는 제2 포크(732)의 상측에 이격된 상태로 제2 포크(732)와 대면되며, 이는 높이 차이 때문이다.
제2 포크 핀(730)이 제1 포크 핀(820)보다 높게 상승하면 제1 포크 핀(820)에 안착된 금형 유니트(700)가 제2 포크 핀(730)에 안착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두 포크 핀의 대면 및 제2 포크 핀(730)의 상승에 불구하고, 금형 유니트(700)의 충돌 회피가 달성될 수 있다.
제2 개구(802)는 투입 챔버(800)의 상면에 개구되고, 제2 포크 핀(730)의 상승에 따라 투입 챔버(800)의 상면과 제2 포크 핀(730)의 높이가 정렬될 수 있다. 왕복 막대(719)가 제2 포크 핀(730)에 안착된 금형 유니트(700)를 투입 챔버(800)의 상면에 개구된 제2 개구(802)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투입 챔버(800)의 상면과 제2 포크 핀(730)은 서로 다른 부재이므로, 수평 방향의 이격 거리(G)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격 거리(G)는 금형 유니트(700)의 폭 또는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격 거리(G)가 금형 유니트(700)의 크기에 비하여 매우 작으므로 금형 유니트(700)가 두 부재의 이격 틈새에 빠지지 않고 매끄럽게 직선 이동하면서 투입 챔버(800)의 상면으로 건너갈 수 있다.
테이블부(810)는 투입 챔버(800)의 내부에서 제2 개구(802)를 향하여 승강될 수 있다.
캡부(890)는 투입 챔버(800)의 외부에서 제2 개구(802)를 향하여 승강되며 제2 개구(802)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캡부(890)는 금형 유니트(700)가 안착되는 테이블부(810) 및 금형 유니트(700)를 감싸는 뚜껑일 수 있다. 테이블부(810)는 투입 챔버(800)의 내부에서 승강되며, 캡부(890)는 투입 챔버(800)의 외부에서 승강될 수 있다.
테이블부(810)의 하강 및 캡부(890)의 클로징은 투입 챔버(800) 내부의 진공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캡부(890)의 오픈 및 테이블부(810)의 승강은 투입 챔버(800) 내부의 기체 배출 및 공간 최소화를 기대할 수 있다. 금형 유니트(700)는 투입 챔버(800)의 상측으로부터 제2 개구(802)를 통하여 테이블부(810)에 안착될 수 있다. 테이블부(810)에 안착된 금형 유니트(700)는 투입 막대(715)에 의하여 메인 챔버(3)의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테이블부(810)와 투입 챔버(800)가 접촉되는 위치 및 캡부(890)와 투입 챔버(800)가 접촉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밀봉하는 실링부(850)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이블부(810)는 메인 테이블(811)과 보조 테이블(81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테이블(811)은 투입 챔버(800)의 내벽에 이동 가능하게 밀착될 수 있다. 보조 테이블(812)은 메인 테이블(811) 위에 돌출될 수 있다. 보조 테이블(812)은 메인 테이블(811) 또는 테이블부(810)의 상승시 제2 개구(802)에 삽입되며 투입 챔버(800)의 상면에 정렬되므로 금형 유니트(700)의 단턱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테이블부(810)와 제2 개구(802)가 정렬된 후 금형 유니트(700)가 보조 테이블(812)로 이동될 수 있고, 테이블부(810)의 하강 준비가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 챔버(3)안에 금형 유니트(700)가 순차적으로 투입되면 공정 처리를 위해 이송 동작이 이루어지고, 금형 유니트(700)의 이송을 위한 이송 수단(1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송 수단(100)은 금형 유니트(700)에 접근하거나 또는 이격되는 제1 방향으로 동작하는 제1 이송부(200) 및 제2 이송부(300), 금형 유니트(700)를 공정(예열, 성형, 냉각 공정) 처리를 위한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 이송부(400)로 구성될 수 있다.
금형 유니트(700)에 접근하거나 또는 이격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한 것은, 설명의 편의상 도 3에 의거 설명한 제1 방향(①)과 제3 방향(③)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이송부(200) 및 제2 이송부(300)는 메인 챔버(3)의 배면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메인 챔버(3)의 내부로 전후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액츄에이터(210)와 제2 액츄에이터(310), 제1 액츄에이터(210)와 제2 액츄에이터(310)의 작동시 이동하도록 제1 액츄에이터(210)와 제2 액츄에이터(310)의 양측에 마련되는 이동 부재(220)(320), 제1 액츄에이터(210)와 제2 액츄에이터(310)의 후단에 마련되고 한쌍의 이동 부재(220)(320)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 부재(230)(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210)와 제2 액츄에이터(310)의 선단에는 한쌍의 이동 부재(220) 사이를 연결해주는 고정 연결 부재(232)(33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 부재(220)(320)의 단부는 메인 챔버(3)의 내부로 입출되고, 금형 유니트(700)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젝터 부재(240)와 제2 이젝터 부재(34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젝터 부재(240)와 제2 이젝터 부재(340)는 이동 부재(220)(320)와 지지대(250)(350)를 통해 연결되고, 지지대(250)(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이송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이송부(400)는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제3 액츄에이터(410), 제3 액츄에이터(410)의 작동으로 가이드 레일(42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430)를 포함하고, 가이드(430)는 제1 이송부(200) 및 제2 이송부(300)와 연결되며,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이송부(400)는 LM 가이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이송부(400)는 가이드(430)와 제1 이송부(200) 및 제2 이송부(300)를 결합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결합 부재(440)(점선으로 표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의 각 이동 부재(220)(320)는 메인 챔버(3)를 관통하고, 제3 이송부(400)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메인 챔버(3)에는 장공(3a)(3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각 장공(3a)(3b)에는 플렉시블한 부재로 차단하고, 이동 부재(220)(320)의 이송시에는 아무런 지장없이 동작하도록 절개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의 측면 이동을 위해 형성된 장공(3a)(3b)은 메인 챔버(3)내의 밀폐성이 저하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 챔버(3)의 일면에는 밀폐성을 높이기 위한 밀폐 커버(600)가 갖추어질 수 있다. 밀폐 커버(600)는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밀폐 커버(6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밀폐 커버(600)에는 그 내부가 보이도록 하는 투명체로 폐쇄되는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고, 메인 챔버(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가 보이지 않고 격리되어 있으므로,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의 이동시 아무 간섭없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 커버(600)는 메인 챔버(3)의 밀폐성을 높이는 한편,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를 보호해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송 수단(100)을 통해 메인 챔버(3)안에 투입된 금형 유니트(700)를 이송시킬 때에는, 먼저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의 제1 액츄에이터(210)와 제2 액츄에이터(310)를 작동시켜서 제1 이젝터 부재(240)와 제2 이젝터 부재(340)를 금형 유니트(700)의 측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3 이송부(400)를 작동시켜서 금형 유니트(70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제3 이송부(400)의 제3 액츄에이터(410)를 작동시키면, 가이드 레일(420)을 따라 가이드(430)가 직선 이동하기 시작하고, 그러면 가이드(430)와 결합 부재(440)를 통해 연결된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는 동시에 직선 이동하며, 그에 따라 제1 이젝터 부재(240)와 제2 이젝터 부재(340)도 함께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젝터 부재(240)와 제2 이젝터 부재(340)의 직선 이동에 따라 금형 유니트(700)는 바닥면에서 메인 챔버(3)의 측면 방향으로 밀려서 이송될 수 있다.
금형 유니트(700)가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각 처리 공정 수행을 위한 거리)만큼 이송되면, 다시 제3 이송부(400)의 동작을 정지한 상태에서, 제1 이송부(200)의 역동작에 의해 금형 유니트(700)로 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이젝터 부재(240)는 금형 유니트(700)로부터 빠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3 이송부(400)의 역동작에 의해 제4 방향을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고, 다음 금형 유니트(700)를 이송하기 위해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의 동작으로 제1 이젝터 부재(240)와 제2 이젝터 부재(340)는 금형 유니트(700)의 측면에 위치하고, 이어서 제3 이송부(400)의 작동으로 금형 유니트(700)는 제2 방향을 따라 다음 공정 수행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는 서로 구역을 나누어서 메인 챔버(3)내의 이동 경로를 모두 커버하여 금형 유니트(700)를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금형 유니트(700)는 연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만일, 메인 챔버(3)의 배면에 하나의 제1 이송부(200)(또는 제2 이송부(300))로만 마련한 경우, 메인 챔버(3)내에 있는 금형 유니트(700)는 각 공정 수행을 위한 총 이송 거리만큼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이송부(200)(또는 제2 이송부(300)의 이동 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
금형 유니트(700)의 공정 수행을 위한 제2 방향으로의 이송시, 제1 이송부(200)(또는 제2 이송부(300))는 메인 챔버(3)의 배면에서 직선 이동하기 때문에, 메인 챔버(3)에 형성되는 장공의 길이가 길어질 수 밖에 없다. 장공의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메인 챔버(3)내의 밀폐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형 유니트(700)의 이송시 총 이송 거리만큼 이송이 가능하고, 메인 챔버(3)내의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의 직선 이동을 위한 장공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2개의 장공(3a)(3b)을 형성한 것이며, 이럼으로써, 각 장공(3a)(3b)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메인 챔버(3)내의 밀폐성을 효과적으로 유지 또는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메인 챔버의 배출구에서 처리된 금형 유니트를 배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챔버(3)내에서 소정의 공정을 거쳐서 처리된 금형 유니트(700)는 배출 이송대(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메인 챔버(3)의 배출구(5)쪽에는 회전판(9)이 마련될 수 있고, 회전판(9)의 하부에는 회전판(9)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챔버(3)의 내부에서 배출구(5)를 통해 배출되는 금형 유니트(700)가 회전판(9)에 안착되면, 회전판(9)이 회전(90도)하여 금형 유니트(700)를 메인 챔버(3)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음 처리 단계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①... 제1 방향 ②... 제2 방향
③... 제3 방향 ④... 제4 방향
3...메인 챔버 3a,3b... 장공
5... 배출구 6... 투입 이송대
7... 배출 이송대 9... 회전판
100... 이송 수단 200... 제1 이송부
210... 제1 액츄에이터 220... 가이드 부재
230... 연결 부재 232... 고정 연결 부재
240... 제1 이젝터 부재 250... 지지대
300... 제2 이송부 310... 제2 액츄에이터
320... 가이드 부재 330... 연결 부재
332... 고정 연결 부재 340... 제2 이젝터 부재
350... 지지대
400... 제3 이송부 410... 제3 액츄에이터
420...가이드 레일 430... 가이드
440... 결합 부재 510... 하부 블록
700...금형 유니트 710...투입 셔터
715...투입 막대 719...왕복 막대
720...제1 포크 핀 721...제1 포크
730...제2 포크 핀 732...제2 포크
750...공급 유니트 800...투입 챔버
801...제1 개구 802...제2 개구
810...테이블부 811...메인 테이블
812...보조 테이블 850...실링부
890...캡부

Claims (8)

  1. 피성형물이 수납된 금형 유니트를 처리하는 메인 챔버;
    상기 금형 유니트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메인 챔버의 일측에 마련되는 이송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메인 챔버안에 투입된 상기 금형 유니트에 접근하여 대면하거나 이격되는 제1 방향으로 동시에 동작하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는 각각 상기 메인 챔버내에 투입되는 상기 금형 유니트를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금형 유니트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이젝터 부재와 제2 이젝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금형 유니트에 접근 및 대면하고 소정 거리 상기 금형 유니트를 이송한 다음, 다시 금형 유니트로부터 이격되고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금형 유니트를 이송하는 성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금형 유니트가 상기 메인 챔버내에서 공정 처리를 위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제2 방향으로 동작하는 제3 이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 유니트의 이송시, 상기 제3 이송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는 메인 챔버의 측면에서 제2 방향을 따라 동시에 직선 이동하는 성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에는 제1 이젝터 부재와 제2 이젝터 부재를 상기 금형 유니트에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와 제2 액츄에이터가 각각 마련되는 성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는 제1 이젝터 부재와 제2 이젝터 부재를 상기 금형 유니트에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와 제2 액츄에이터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는 제1 액츄에이터와 제2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 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동 부재 각각에는 금형 유니트를 이송하기 위한 상기 제1 이젝터 부재와 제2 이젝터 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메인 챔버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 부재의 직선 이동을 위한 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성형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금형 유니트를 상기 메인 챔버내에서 공정 처리를 위해 이송시키는 제2 방향으로 동작하는 제3 이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가 상기 금형 유니트의 이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제3 엑츄에이터, 상기 제3 엑츄에이터에 의해 이동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와 연동되게 결합되는 성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메인 챔버에는 상기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가 제2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각각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이 형성된 상기 메인 챔버의 일 측면에는 상기 메인 챔버내의 밀폐성을 높이도록 하는 밀폐 커버가 마련되는 성형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금형 유니트를 상기 메인 챔버내에서 공정 처리를 위해 이송시키는 제2 방향으로 동작하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가 제1 방향으로 작동시 상기 제3 이송부는 고정된 상태이고,
    제3 이송부가 제2 방향으로 작동시 상기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는 동시에 제2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성형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챔버의 배출구쪽에는 회전판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판에 상기 처리된 금형 유니트가 안착되면, 회전판이 회전하여 상기 금형 유니트를 상기 메인 챔버로부터 완전히 배출시키는 성형 장치.
KR1020200071886A 2020-06-12 2020-06-12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 KR10241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886A KR102412853B1 (ko) 2020-06-12 2020-06-12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886A KR102412853B1 (ko) 2020-06-12 2020-06-12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650A KR20210154650A (ko) 2021-12-21
KR102412853B1 true KR102412853B1 (ko) 2022-06-27

Family

ID=7916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886A KR102412853B1 (ko) 2020-06-12 2020-06-12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8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689B1 (ko) * 2016-05-12 2017-07-28 (주)대호테크 대형 유리성형물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115A1 (ko) * 2010-05-24 2011-12-01 주식회사 지오메디칼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689B1 (ko) * 2016-05-12 2017-07-28 (주)대호테크 대형 유리성형물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650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0321B2 (en) Molded product delivery apparatus and blow molding machine
KR20190099143A (ko) 수지 몰드 장치 및 수지 몰드 방법
CN109982824B (zh) 用于冷却和处理塑料材料的预成型件的设备
KR102412853B1 (ko) 이송 수단을 구비한 성형 장치
KR100738027B1 (ko) 인서트 자동 삽입장치
JP5774658B2 (ja) 成形装置
KR20170044829A (ko) 유리성형기의 금형 진공화장치
KR102325516B1 (ko) 워크 반입 장치, 워크 반출 장치, 몰딩 금형 및 이것들을 구비한 수지 몰딩 장치
KR102225042B1 (ko) 사출 금형장치
KR102257297B1 (ko) 밀폐형 투입 챔버를 구비한 성형 장치
JP5439052B2 (ja) 成形装置
KR101882371B1 (ko) 트레이 실링 장치
EP0968805A2 (en) Machine for producing parts of foamed plastic material
JP6051272B2 (ja) 成形装置
JP5467368B2 (ja) トレイ供給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KR101843981B1 (ko) 인덱스 이송방식의 곡면 글라스 성형장치의 몰드 투입 및 배출시스템
KR102157601B1 (ko) 수지 성형용 성형형,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KR102409979B1 (ko) 이송 수단이 마련된 성형 장치
KR102415674B1 (ko) 듀얼 냉각 타입의 성형 장치
KR102241213B1 (ko) 렌즈 사출물 커팅 시스템
KR102381060B1 (ko) 복합 이송 유니트를 구비한 성형 장치
KR102410229B1 (ko) 직선 타입 성형 장치
CN220012464U (zh) 玻璃冷却装置和玻璃热弯设备
CN219950827U (zh) 玻璃预热装置和玻璃热弯设备
KR20230105020A (ko) 상코어 냉각 기능을 구비하는 상코어 분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