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630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2630B1 KR102412630B1 KR1020170114678A KR20170114678A KR102412630B1 KR 102412630 B1 KR102412630 B1 KR 102412630B1 KR 1020170114678 A KR1020170114678 A KR 1020170114678A KR 20170114678 A KR20170114678 A KR 20170114678A KR 102412630 B1 KR102412630 B1 KR 1024126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garette
- protrusion
- container
- generating device
- accommodating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용기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궐련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용기에 설치되며 수용공간에서 궐련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높이가 궐련의 외경에 맞추어 조절되는 돌출부와, 용기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궐련을 가열하는 가열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궐련을 지지하는 돌출부가 돌출되는 높이가 궐련의 외경에 맞추어 조절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히터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흡연용 기체를 발생시킨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분리하여 폐기한 후 새로운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67124호는 궐련을 가열하여 흡연용 기체를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을 삽입하는 동작이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을 분리하는 동작을 보조하는 홀더(holder)의 구조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구조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흡연 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추출되는 홀더에 궐련을 삽입하여 홀더와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밀어 넣는 동작을 실시하고, 흡연 후에는 홀더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돌출시킨 후 홀더에서 궐련을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궐련을 지지하는 홀더의 크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되는 특정 종류의 궐련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제작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는 한 가지 종류의 전용 궐련만이 사용되어야 한다.
흡연자들이 선호하는 궐련이 특성은 다양하며, 이러한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시판되는 궐련의 종류에 따라 궐련의 외경도 다양하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는 지정된 전용 궐련과 상이한 외경을 갖는 궐련을 사용할 수 없어서, 궐련의 크기에 맞추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새로 제작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궐련을 즐기고자 하는 흡연자는 상이한 궐련마다 상이한 장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함과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한다.
실시예들은 사용이 편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의 궐련을 수용하며 궐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작동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의 궐련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가열모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용기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궐련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용기에 설치되며 수용공간에서 궐련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높이가 궐련의 외경에 맞추어 조절되는 돌출부와, 용기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궐련을 가열하는 가열기를 구비하고, 돌출부의 높이가 조절될 때 궐련을 수용공간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궐련의 둘레 방향에서의 돌출부의 높이가 조절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돌출부와 연결되며 돌출부를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는 캠 구멍을 구비하여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공간의 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를 구비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캠 구멍에 결합되는 돌기를 구비하여 수용공간의 중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공간의 내부에 결합되며 조작부에 연결되어 조작부를 날개와 연결하는 회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돌출부가 수용공간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돌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가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돌출부의 돌출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전원부 및 감지부와 연결되어 감지된 돌출부의 돌출위치에 기초하여 가열기를 가열하는 가열모드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가열모드들 중 하나로 선택하는 제어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는 일단이 수용공간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가압되면 타단이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변형되는 탄성판과, 탄성판을 수용공간에 결합하는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용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기에 대해 이동하면서 탄성판을 가압하여 탄성판이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높이를 변경하는 이동링과, 이동링에 연결되며 용기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열기는 탄성판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돌출부를 용기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와, 돌출부가 수용공간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돌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열기는 돌출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기의 수용공간을 따라 궐련을 밀어 넣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을 장착할 수 있고 궐련을 잡아당겨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는 궐련의 외경에 맞추어 수용공간에서 돌출부가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에서 돌출부가 돌출되는 높이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돌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장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사용 중인 궐련이 돌출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장착된 궐련의 크기에 맞추어 궐련을 가열하는 가열모드를 변화시켜 궐련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을 수준의 적절한 양의 니코틴과 풍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기의 작동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ⅩⅥ-ⅩⅥ의 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기의 작동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ⅩⅥ-ⅩⅥ의 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7)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을 구비한 용기(10)와, 수용공간(11)에 수용된 궐련(7)의 외측면(7s)을 지지하도록 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돌출부(20)와, 용기(10)에 설치되어 수용공간(11)에 수용된 궐련(7)을 가열하는 가열기(30)를 구비한다.
용기(1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용기(10)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므로 용기(10)의 내부에 궐련(7)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된다. 수용공간(11)의 일측의 단부에는 외부로 개방되어 궐련(7)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12)가 형성된다.
용기(10)는 전기와 열을 전달하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나, 표면에 플라스틱 소재가 코팅된 금속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10)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용기(10)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기(10)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기(10)의 수용공간(11)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궐련(7)이 수용공간(11)을 따라 이동하도록 궐련(7)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궐련(7)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용기(10)의 수용공간(11)은 궐련(7)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는 수용공간(11)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용공간(11)의 형상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수용공간(11)의 직경은 궐련(7)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수용공간(11)에 궐련(7)이 수용되면 수용공간(11)과 궐련(7)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공간(11)과 궐련(7)의 사이의 공간은 수용공간(11)의 개구(12)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됨으로써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용기(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궐련(7)의 외측면(7s)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20)가 설치된다. 돌출부(20)는 수용공간(11)의 내벽면에서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도록 이동함으로써 궐련(7)의 외측면(7s)에 접촉하여 궐련(7)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용기(10)는 수용공간(11)의 타측의 단부를 폐쇄하는 바닥벽(13)을 구비한다. 바닥벽(13)은 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과 접촉하여 바닥면(7d)을 지지한다. 또한 바닥벽(13)은 가열기(30)의 일측 단부(31)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13h)을 갖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가 궐련(7)을 수용공간(11)에 삽입하여 궐련(7)이 수용공간(11)을 따라 이동하다가 궐련(7)의 바닥면(7d)이 바닥벽(13)에 도달하면, 궐련(7)을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바닥벽(13)과 궐련(7)의 바닥면(7d)이 접촉하는 느낌이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궐련(7)을 손에 쥐고 수용공간(11)의 개구(12)에 궐련(7)을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궐련(7)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용기(10)에는 궐련(7)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가열기(30)가 결합된다. 가열기(30)의 일측 단부(31)는 바닥벽(13)의 통공(13h)을 통해 수용공간(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용기(10)에 궐련(7)이 수용되는 경우 가열기(30)의 일측 단부(31)가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에 삽입된다.
바닥벽(13)에 형성된 통공(13h)의 크기는 가열기(30)의 일측 단부(31)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기(30)의 일측 단부(31)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통공(13h)도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통공(13h)의 내경은 가열기(30)의 일측 단부(31)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는 통공(13h)의 내경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통공(13h)의 내경은 가열기(30)의 일측 단부(3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통공(13h)의 내면이 가열기(30)의 일측 단부(3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궐련(7)은 원통형상을 가지고, 수용공간(11)도 궐련(7)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돌출부(20)는 궐련(7)의 외측면(7s)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궐련(7)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0)는 용기(10)의 외측에 배치된 조작부(40)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조작부(40)를 조작하면 조작부(40)에 연결된 돌출부(20)가 수용공간(11)의 내부에서 이동한다. 조작부(40)는 용기(10)에 형성된 안내구멍(10d)을 통해 돌출부(20)에 연결되어 있어서, 조작부(40)가 용기(10)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조작부(40)에 연결된 돌출부(20)가 이동한다. 돌출부(20)가 수용공간(11)에서 궐련(7)의 외측면(7s)을 향해 돌출되는 높이는 궐련(7)의 외경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돌출부(20)는 수용공간(11)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공간(11)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21)를 구비한다. 날개(21)는 내열성을 갖는 금속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짐으로써 궐련(7)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에서 날개(21)가 궐련(7)의 외측면(7s)의 전체를 둘러싸며 궐련(7)의 외측면(7s)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궐련(7)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7개의 날개(21)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지만, 실시예는 돌출부(20)를 이루는 날개(21)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날개(21)의 배치 개수는 더 감소할 수 있으며, 날개(21)의 개수가 감소하는 경우 돌출부(20)의 날개(21)가 궐련(7)의 외측면(7s)의 전체를 둘러싸며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궐련(7)의 외측면(7s)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날개(21)의 각각은 캠 구멍(21c)과 결합구멍(21h)을 구비한다. 결합구멍(21h)은 용기(10)의 수용공간(11)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링(70)의 축(71)에 결합된다. 따라서 날개(21)의 각각은 고정링(70)의 축(71)을 중심으로 수용공간(11)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링(70)은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궐련(7)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궐련(7)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70c)을 구비한다.
용기(10)의 수용공간(11)의 내부에는 회전링(50)이 결합된다. 회전링(50)은 수용공간(11)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링(50)은 일면에서 돌출되는 연결돌기(53)를 구비하고, 용기(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회전링(50)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턱(60d)이 형성된다. 지지턱(60d)은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궐련(7)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궐련(7)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60c)을 구비한다.
지지턱(60d)은 회전링(50)과 고정링(70)과 같이 수용공간(11)의 내부에 별도의 링 형상의 부재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용기(10)의 내벽면을 돌출되게 가공하는 방법에 의해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링(50)도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궐련(7)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궐련(7)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50c)을 구비한다.
회전링(50)은 외측으로 돌출되며 용기(10)의 안내구멍(10d)을 통해 용기(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51)를 구비한다. 회전링(50)은 또한 타면에 날개(21)의 각각의 캠 구멍(21c)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기(52)를 구비한다. 돌기(52)는 고정링(70)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형성되는 원주구멍(72)을 관통함으로써 날개(21)의 캠 구멍(21c)에 삽입된다.
용기(10)의 외측에 배치된 조작부(40)는 회전링(50)의 플랜지(51)와 결합되는 결합돌기(41)를 구비한다. 회전링(50)의 일측은 플랜지(51)를 통해 조작부(40)와 연결되고, 회전링(50)의 타측은 돌기(52)를 통해 날개(21)의 캠 구멍(21c)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링(50)은 조작부(40)와 돌출부(20)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40)에 가해지는 힘을 날개(21)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턱(60d)은 회전링(50)의 연결돌기(53)와 결합됨으로써 회전링(50)의 회전위치를 미리 정해진 위치들 중 하나로 유지하는 유지부(60)를 구비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유지부(60)는 회전링(50)이 회전하는 동안 연결돌기(53)가 회전링(50)의 회전 중심에 대한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돌기(53)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62)과, 안내홈(62)에서 돌출되어 연결돌기(53)와 접촉함으로써 연결돌기(53)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돌기(61)를 구비한다.
회전링(50)이 회전하는 동안 연결돌기(53)는 안내홈(62)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연결돌기(53)는 안내홈(62)에서의 제1 위치(Pa), 제2 위치(Pb), 제3 위치(Pc)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연결돌기(53)가 제1 위치(Pa), 제2 위치(Pb), 제3 위치(Pc)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회전링(50)은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돌기(53)가 제1 위치(Pa), 제2 위치(Pb), 제3 위치(Pc)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가 조작부(40)를 조작하면 연결돌기(53)는 유지돌기(61)에서 빠져 나와 안내홈(62)을 따라 이동한 후 다른 위치로 진입할 수 있다.
유지부(60)가 회전링(50)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위치들 중 하나의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유지부(60)는 수용공간(11)에서 돌출부(20)가 돌출되는 높이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돌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 고정링(70)이 날개(21)와 회전링(50)의 사이에 배치되지만, 실시예는 이와 같은 고정링(70)의 배치 위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링(70)은 도 2에서 날개(21)이 좌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날개(21)의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링(70)은 원주구멍(72)을 구비할 필요가 없이 날개(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71)만 구비하면 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다.
가열기(30)의 타측 단부는 전기 배선(81)을 통해 용기(10)의 후방에 배치된 전원부(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용기(10)의 후방에는 전원부(82)를 둘러싸는 베이스(19)가 연결된다. 가열기(30)의 일측 단부(31)에 궐련(7)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원부(82)의 전기가 가열기(30)에 공급되면 가열기(30)가 가열됨으로써 궐련(7)이 가열된다.
궐련(7)이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상태에서 궐련(7)의 단부의 외측면에는 어떤 구성요소도 접촉하지 않으므로 궐련(7)의 단부의 외측면은 공기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에 놓인다. 가열기(30)가 궐련(7)을 가열하여 궐련(7)에서 에어로졸 입자가 발생할 때 사용자가 궐련(7)을 입으로 물어 공기를 빨아들이면 궐련(7)의 단부의 외측면의 공기가 궐련(7)을 통과함으로써 에어로졸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의 흐름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의 돌출부(20)의 날개들(21)이 돌출되는 높이는 수용공간(11)에 삽입될 궐련(7)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조절된다. 도 4에서 수용공간(1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날개들(21)의 위치가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돌출부(20)의 날개들(21)이 궐련(7)의 외경에 맞추어 조절된 후에는, 사용자가 궐련(7)을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삽입한 후 수용공간(11)을 따라 궐련(7)을 밀어 넣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7)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궐련(7)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용공간(11)의 돌출부(20)의 날개들(21)이 궐련(7)의 외측면(7s)에 접촉함으로써 날개들(21)이 궐련(7)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궐련(7)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11)에 궐련(7)이 수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즐길 수 있다.
또한 궐련(7)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사용자가 궐련(7)의 상측 단부를 손으로 잡아 수용공간(11)의 외측으로 궐련(7)을 잡아당기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7)을 분리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조작부(40)를 용기(10)에 대해 회전시킴에 따라 돌출부(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돌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열기(30)는 궐련(7)의 내부에 삽입되어 궐련(7)을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내부 가열식 히터(heater)로 구현되었으나, 실시예는 가열기(30)의 구현 방식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열기(30)는 궐련(7)의 외부를 둘러싸 궐련(7)을 외부로부터 가열하는 외부 가열식 히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서 돌출부(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최소로 유지되므로,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될 수 있는 궐련(7)의 외경(d1)은 수용공간(11)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에서 돌출부(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중간 높이로 유지되므로,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될 수 있는 궐련(7)의 외경(d2)은 돌출부(20)의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내경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에서 돌출부(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최대 높이로 유지되므로,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될 수 있는 궐련(7)의 외경(d3)은 돌출부(20)의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내경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돌출부(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두 개의 단계로 구분되었으나, 실시예에는 돌출부(20)가 유지될 수 있는 높이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돌출부(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어 유지될 수 있는 높이가 다양한 개수의 단계로 변형될 수 있다.
궐련(7)의 외경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돌출부(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됨으로써 돌출부(20)의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내경의 크기는 예를 들어, 5.3~5.5mm, 6.0~6.2mm, 6.9~7.1mm, 7.7~7.9mm 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용기(10)의 내부에는 돌출부(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된 돌출위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기(83)와, 전원부(82) 및 감지기(83)와 연결되어 감지기(83)에 의해 감지된 돌출부(20)의 감지 위치에 기초하여 가열기(30)의 가열모드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모드들 중 하나로 선택하여 가열기(30)를 제어하는 제어기(80)를 구비한다.
제어기(80)는 전선(80c, 80d)을 통해 감지기(83)와 전원부(8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감지기(83)의 신호를 수신하고 전원부(82)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기(80)는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87)와 연결되며, 메모리(87)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가열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80)는 제어용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반도체 칩이나, 반도체 칩이 장착된 회로기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기(83)는 광학식, 전자기 방식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접촉식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기(80)는 감지기(83)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돌출부(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된 돌출위치에 관한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용기(10)에 삽입될 궐련(7)의 외경의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는 제어기(80)가 용기(10)에 삽입될 궐련(7)의 외경의 정보를 확보하는 방식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출부(20)를 이용하는 감지기(83)를 이용하지 않고, 용기(10)에 삽입되어 있는 궐련(7)의 외경을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직경 감지용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직경 감지용 센서에는 광학식 센서나 궐련(7)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식 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제어기(80)는 용기(10)에 삽입된 궐련(7)의 직경의 정보에 기초하여 또는 돌출부(20)의 감지된 돌출위치에 기초하여 가열기(30)를 제어하는 데 사용하는 온도 프로파일(temperature profile)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80)는 용기(10)에 삽입된 궐련(7)의 직경에 맞추어 궐련(7)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모드를 선택하여 가열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기의 작동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그래프이다.
도 9에는 제어기(80)가 가열기(30)를 제어할 때 사용하는 상이한 두 개의 가열모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직경이 두꺼운 궐련을 가열할 때에는 제1 기울기(Δ1)의 온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S1의 시간 동안 궐련을 고온으로 빠르게 가열하는 제1 모드가 선택되어 가열기(30)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직경이 상대적으로 얇은 궐련을 가열할 때에는 제2 기울기(Δ2)의 온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S2의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궐련을 저온으로 가열하는 제2 모드가 선택되어 가열기(30)가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가열기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프로파일이나 가열모드의 개수 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기(8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사용될 궐련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온도 프로파일과 가열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기(80)가 가열기(30)를 제어할 때 사용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는 도 8에 도시된 메모리(87)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장착된 궐련(7)의 크기에 맞추어 궐련(7)을 가열하는 가열모드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궐련(7)을 효과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을 수준의 적합한 양의 니코틴과 풍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용기(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조작부(140)가 용기(10)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용기(10)의 내부의 수용공간(11)에 배치된 돌출부(120)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돌출부(120)는 용기(10)의 수용공간(11)의 내측 표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출돌기(121)를 포함한다. 돌출돌기(121)의 각각은 조작부(140)와 연결됨으로써, 조작부(14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돌출돌기(121)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된다.
실시예는 돌출돌기(121)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돌기(121)의 개수를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적게 하거나 더 많게 변형할 수도 있다.
도 10에서 용기(10)로부터 가장 높게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140)를 사용자가 가압하면, 조작부(140)가 용기(10)의 중심을 향해 가압되며 조작부(140)에 의해 돌출부(120)가 용기(10)의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궐련(7)이 수용되면 궐련(7)에는 가열기(30)가 삽입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용공간(11)의 대략적인 중심 위치에 가열기(30)가 설치되지만, 실시예는 가열기(30)의 설치 위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열기(30)는 돌출부(120)의 돌출돌기(121)에 설치될 수 있다. 돌출돌기(121)에 가열기(30)가 설치된 경우에는, 돌출돌기(121)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어 궐련(7)의 외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돌출돌기(121)에 설치된 가열기(30)가 궐련(7)의 외측면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궐련(7)을 가열할 수 있다.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돌출돌기(121)가 궐련(7)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외측면의 일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수용공간(11)과 궐련(7)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므로, 에어로졸 발생을 보조하기 위한 외부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로 충분히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도 10에서 돌출부(1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최소로 유지되므로,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는 큰 외경을 갖는 궐련(7)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1에서 돌출부(1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중간 높이로 유지되므로,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는 중간 정도의 크기의 외경을 갖는 궐련(7)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2에서 돌출부(1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최대의 높이로 유지되므로,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는 가장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갖는 궐련(7)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돌출부(120)가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고정되며 조작부(140)를 통해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판(127)과, 탄성판(127)을 수용공간(11)에 체결하는 체결부(122)를 구비한다.
탄성판(127)은 체결부(122)에 의해 수용공간(11)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체결판(121a)과, 체결판(121a)으로부터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는 경사판(121b)과, 경사판(121b)의 단부에서 수용공간(11)의 연장방향을 가로지르며 만곡되어 수용공간(11)에 수용된 궐련(7)의 외측면(7s)에 접촉하는 만곡판(121c)을 구비한다.
용기(10)의 수용공간(11)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링(150)이 결합된다.
용기(10)에는 수용공간(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레일(10r)을 갖는 외부구멍(10f)이 형성된다. 이동링(150)의 외측에는 이동블록(157)이 배치되며, 이동블록(157)이 외부구멍(10f)에 결합된다. 이동블록(157)은 외부구멍(10f)의 레일(10r)에 삽입되는 슬라이더(158)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동블록(157)은 레일(10r)을 따라 용기(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동링(150)의 내측 원주면에는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탄성판(127)의 경사판(121b)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51)가 배치된다.
도 13 및 도 14에서 탄성판(127)은 편의 상 하나만 설치되었으나, 용기(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며 가압돌기(151)도 탄성판(127)의 개수에 맞추어 복수 개가 배치된다.
도 1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40)를 조작하여 이동블록(157)을 레일(10r)을 따라 이동시키면 이동링(150)이 용기(10)의 수용공간(11)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링(150)이 수용공간(11)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가압돌기(151)가 탄성판(127)의 경사판(121b)을 가압하여 탄성판(127)을 변형시키므로, 탄성판(127)의 만곡판(121c)이 수용공간(11)을 향해 돌출된 높이가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이동링(150)과 용기(10)의 사이에는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대한 이동링(150)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위치들 중 하나의 위치로 유지함으로써 돌출부(120)가 수용공간(11)을 향하여 돌출된 높이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돌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유지하는 유지부(160)가 설치된다.
유지부(160)는 레일(10r)의 내부에서 돌출되며 레일(10r)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기들을 포함한다. 이동블록(157)의 슬라이더(158)는 유지부(160)에 결합될 수 있는 연결돌기(159)를 구비한다.
이동링(150)이 수용공간(11)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연결돌기(159)는 레일(10r)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연결돌기(159)는 도 14에서 레일(10r)의 연장 방향에서의 가장 좌측의 위치, 중간 위치, 가장 우측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연결돌기(159)가 도 14의 세 가지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동링(150)은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대해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돌기(159)가 도 14의 세 가지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가 조작부(140)를 조작하면 연결돌기(159)는 유지부(160)에서 빠져 나와 레일(10r)을 따라 이동한 후 다른 위치로 진입할 수 있다.
유지부(160)가 이동링(150)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위치들 중 하나의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유지부(160)는 돌출부(1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돌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궐련(7)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는 수용공간(11)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에 수용된 궐련(7)에 가열기가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가열기의 설치 위치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므로, 궐련(7)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가 탄성판(127)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ⅩⅥ-ⅩⅥ의 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서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궐련(7)의 외측면(7s)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220)가 배치되며, 돌출부(220)는 탄성부(250)에 의해 용기(1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돌출부(220)의 상단은 이동블록(227)에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부(25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동블록(227)은 용기(10)의 수용공간(11)과 연결되며 외부로 개방되는 안내통로(10m)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통로(10m)의 연장방향을 따라 수용공간(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용기(1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동블록(227)의 상단은 용기(10)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부(240)와 연결되므로, 사용자가 조작부(240)를 가압하여 이동블록(227)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블록(227)의 외측에는 이동블록(227)의 외측 표면에 대해 멀어지거나 외측 표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탄성날개(221)가 결합된다. 탄성날개(221)의 하단은 이동블록(227)의 외측 표면에 연결되고, 탄성날개(221)의 상단은 용기(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221h)를 형성한다.
용기(10)의 안내통로(10m)에는 안내통로(10m)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날개통로(10j)가 형성된다. 날개통로(10j)는 탄성날개(221)를 수용하며 이동블록(227)이 안내통로(10m)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탄성날개(221)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날개통로(10j)는 돌출부(2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돌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260)를 구비한다. 유지부(260)는 날개통로(10j)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한다.
탄성날개(221)의 외측면에는 유지부(260)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돌기(222)가 설치된다. 연결돌기(222)가 유지부(26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탄성날개(221) 및 이동블록(227)이 이동하지 못하므로, 돌출부(2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221h)를 조작하여 연결돌기(222)가 유지부(260)에서 빠져 나오면 탄성날개(221) 및 이동블록(227)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240)를 가압하여 탄성날개(221) 및 이동블록(227)을 안내통로(10m)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탄성날개(221) 및 이동블록(227)이 안내통로(10m)를 따라 이동하다가 탄성날개(221)의 외측의 연결돌기(222)가 다른 위치의 유지부(260)에 삽입됨으로써 돌출부(220)가 새롭게 조정된 돌출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240)를 가압하여 이동블록(227)을 하방을 향해 끝까지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탄성부(250)가 이동블록(227)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사용자가 조작부(240)에 가하는 힘을 해제하면 이동블록(227)이 상방을 향해 다시 이동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궐련(7)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는 수용공간(11)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에 수용된 궐련(7)에 가열기가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가열기의 설치 위치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므로, 궐련(7)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가 돌출부(220)에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220)에 가열기가 설치된 경우에는, 돌출부(220)가 수용공간(11)에서 돌출되어 궐련(7)의 외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돌출부(220)에 설치된 가열기가 궐련(7)의 외측면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궐련(7)을 가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7: 궐련 71: 축
7d: 바닥면 72: 원주구멍
7s: 외측면 80: 제어기
10j: 날개통로 81: 전기 배선
10r: 레일 82: 전원부
10d: 안내구멍 83: 감지기
10m: 안내통로 87: 메모리
10f: 외부구멍 121b: 경사판
10: 용기 121: 돌출돌기
11: 수용공간 121c: 만곡판
12: 개구 121a: 체결판
13: 바닥벽 122: 체결부
13h: 통공 127: 탄성판
19: 베이스 150: 이동링
21h: 결합구멍 151: 가압돌기
21: 날개 157, 227: 이동블록
21c: 캠 구멍 158: 슬라이더
30: 가열기 80c, 80d: 전선
31: 일측 단부 221h: 손잡이
41: 결합돌기 221: 탄성날개
50: 회전링 250: 탄성부
51: 플랜지 50c, 60c, 70c: 관통구멍
52: 돌기 53, 159, 222: 연결돌기
60d: 지지턱 60, 160, 260: 유지부
61: 유지돌기 20, 120, 220: 돌출부
62: 안내홈 40, 140, 240: 조작부
70: 고정링
7d: 바닥면 72: 원주구멍
7s: 외측면 80: 제어기
10j: 날개통로 81: 전기 배선
10r: 레일 82: 전원부
10d: 안내구멍 83: 감지기
10m: 안내통로 87: 메모리
10f: 외부구멍 121b: 경사판
10: 용기 121: 돌출돌기
11: 수용공간 121c: 만곡판
12: 개구 121a: 체결판
13: 바닥벽 122: 체결부
13h: 통공 127: 탄성판
19: 베이스 150: 이동링
21h: 결합구멍 151: 가압돌기
21: 날개 157, 227: 이동블록
21c: 캠 구멍 158: 슬라이더
30: 가열기 80c, 80d: 전선
31: 일측 단부 221h: 손잡이
41: 결합돌기 221: 탄성날개
50: 회전링 250: 탄성부
51: 플랜지 50c, 60c, 70c: 관통구멍
52: 돌기 53, 159, 222: 연결돌기
60d: 지지턱 60, 160, 260: 유지부
61: 유지돌기 20, 120, 220: 돌출부
62: 안내홈 40, 140, 240: 조작부
70: 고정링
Claims (9)
- 궐련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궐련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궐련의 상기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높이가 상기 궐련의 외경에 맞추어 조절되는 돌출부;
상기 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가열기; 및
상기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돌출부를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의 높이가 조절될 때 상기 궐련을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궐련의 둘레 방향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돌출부는 캠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캠 구멍에 결합되는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를 상기 날개와 연결하는 회전링을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돌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기 돌출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감지된 상기 돌출부의 상기 돌출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기를 가열하는 가열모드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가열모드들 중 하나로 선택하는 제어기를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궐련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궐련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궐련의 상기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높이가 상기 궐련의 외경에 맞추어 조절되는 돌출부; 및
상기 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가열기;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의 높이가 조절될 때 상기 궐련을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궐련의 둘레 방향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돌출부는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가압되면 타단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변형되는 탄성판과, 상기 탄성판을 상기 수용공간에 결합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에 대해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판을 가압하여 상기 탄성판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높이를 변경하는 이동링과, 상기 이동링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탄성판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궐련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궐련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궐련의 상기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높이가 상기 궐련의 외경에 맞추어 조절되는 돌출부;
상기 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가열기; 및상기 돌출부를 상기 용기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미리 정해진 복수 개의 돌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유지하는 유지부;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의 높이가 조절될 때 상기 궐련을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궐련의 둘레 방향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4678A KR102412630B1 (ko) | 2017-09-07 | 2017-09-07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4678A KR102412630B1 (ko) | 2017-09-07 | 2017-09-07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7650A KR20190027650A (ko) | 2019-03-15 |
KR102412630B1 true KR102412630B1 (ko) | 2022-06-23 |
Family
ID=6576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4678A KR102412630B1 (ko) | 2017-09-07 | 2017-09-07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26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4049A (ko) | 2019-06-17 | 2020-12-28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 |
CN112385897A (zh) * | 2020-11-30 | 2021-02-23 |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一种卷烟用容纳装置及具有该装置的加热不燃烧器具 |
CN112841735B (zh) * | 2021-03-31 | 2024-09-13 |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一种加热腔可调的气溶胶生成装置 |
CN113287786B (zh) * | 2021-06-10 | 2024-04-09 | 宁波依兰雅丝护肤品有限公司 | 一种可调节锁紧机构及其电子设备 |
JP2024534687A (ja) * | 2021-10-19 | 2024-09-20 | ケー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 エアロゾル生成装置 |
KR102682165B1 (ko) * | 2021-11-12 | 2024-07-05 | 주식회사 이엠텍 | 흡입부 형상 변경이 가능한 분무 기기 |
KR102614327B1 (ko) * | 2022-01-24 | 2023-12-15 |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9145A (ja) * | 1998-12-25 | 2000-07-11 | Seiji Shigyo | 煙草の火消し具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02231B2 (ja) * | 2005-12-21 | 2012-08-15 |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 成形用シャッタ装置及びそのシャッタ片 |
HUE030095T2 (en) * | 2011-11-21 | 2017-04-28 | Philip Morris Products Sa | Throwing aerosol generating device |
KR101631286B1 (ko) * | 2014-05-12 | 2016-06-16 | 신종수 | 전자담배 |
-
2017
- 2017-09-07 KR KR1020170114678A patent/KR1024126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9145A (ja) * | 1998-12-25 | 2000-07-11 | Seiji Shigyo | 煙草の火消し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7650A (ko) | 2019-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2630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JP6850397B2 (ja) | モジュール式誘導ヒーター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 |
JP7448298B2 (ja) |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 |
KR20200024314A (ko) | 유도 히터 및 이동 가능한 구성요소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 |
KR20190049628A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90049389A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673737B1 (ko) |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 |
EP3968798B1 (en) | An aerosol-generating system and haptic output elements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 |
KR20190017772A (ko) | 개인 전자 기화기용 오븐 조립체 | |
JP7381172B2 (ja) |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 |
EP3727057B1 (en) | Vapour provision systems | |
JP7044455B2 (ja) | 電子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のハッチのための機構 | |
KR20180099685A (ko) | 다중 부분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 |
US20200305511A1 (en) | Inhalant dispensing system and apparatus with binary dosing | |
CN111246758B (zh) | 电子气溶胶供给装置 | |
KR102012847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 | |
KR20190049647A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2022523228A6 (ja) |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 |
KR20220047782A (ko) |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인터페이스 요소 | |
KR20210131366A (ko) |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 |
KR102187256B1 (ko) | 흡입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미세 입자 발생 장치 | |
WO2022123682A1 (ja) | 香味吸引器 | |
JP2023545727A (ja) |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 |
CA3172468A1 (en) | Cartridge for use with an aerosol provision system | |
WO2022180726A1 (ja) | 香味吸引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