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578B1 -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578B1
KR102412578B1 KR1020190154174A KR20190154174A KR102412578B1 KR 102412578 B1 KR102412578 B1 KR 102412578B1 KR 1020190154174 A KR1020190154174 A KR 1020190154174A KR 20190154174 A KR20190154174 A KR 20190154174A KR 102412578 B1 KR102412578 B1 KR 102412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material
flat
exterior
building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441A (ko
Inventor
이승구
Original Assignee
이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구 filed Critical 이승구
Priority to KR102019015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5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부재; 상하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홈을 갖는 평외장재; 상하면으로 절곡홈을 갖으며 상기 평외장재와 평외장재의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외장재; 상기 평외장재의 상하에 형성된 홈과, 상기 모서리외장재의 상하에 형성된 절곡홈에 삽입되어, 상기 평외장재의 상하 적층 결합과 상기 모서리외장재의 상하 적층 결합에 의한 고정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연결부재;
로 구성되어 지진에 의한 파괴력이 전달되더라도 건축물의 외벽체로부터 이격 결합되는 외장재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물 외벽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현상을 완벽히 방지하여 2차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사전에 제거함은 물론, 비교적 간단한 결합 구조의 제공에 따라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체에 고정 결합하는 시공 작업이 단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장재의 시공에 따른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 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코스트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Joint Structure of Building Exterior Materials with Seismic Resistanc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재를 시공 결합하기 위한 시공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장재의 결합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외장재가 쉽게 건축물로부터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외장재는 미관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시공되는 것으로 아연도금 쉬트패널, 알미늄쉬트 패널, 복합패널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외장재는 시공 후 강풍이나 돌풍에 견디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통상 중량이 무거운 석재나 콘크리트 패널 등은 벽체에 고정된 앵커볼트를 통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외장재가 벽체 또는 하지철물측에 완전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지진 발생시 지진파 전달 등으로 파손이 발생되거나 외장재가 외벽체로부터 낙하되어 안전사고 등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점 등을 고려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689152호인 '인발브라켓이 구비된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시공공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건축외장재가 인발브라켓에 고정되어 설치된 구조로서 건물에 지진 도래시 건축외장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1681930호로서, 'S자형 클립을 이용한 무용접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클립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치 않으며, 철판으로 제작된 외장재를 설치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점등을 고려하여 개선된 것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2045614호인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외장재에 슬라이딩 구조로 끼움 결합되어 건물 벽체측 하지 철물에 외장재를 고정하여 내진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고정클립를 제시하고 있으나, 고정클립의 끼움홈 등에 끼워질 수 있도록 외장재의 측단을 절곡 성형하여야 하므로 외장재의 재질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89152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681930호 한국 등록특허 제10-204561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지진 발생시에도 전달되는 파괴력을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성을 갖도록 하는 건축물 외벽체의 외장재 시공 구조물을 제공하여, 지진에 의한 파괴력이 전달되더라도 외장재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물 외벽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현상을 완벽히 방지하여 2차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사전에 제거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재의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기의 지연에 따른 시공 코스트를 절감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부재;
상하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홈을 갖는 평외장재;
상하면으로 절곡홈을 갖으며 상기 평외장재와 평외장재의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외장재;
상기 평외장재의 상하에 형성된 홈과, 상기 모서리외장재의 상하에 형성된 절곡홈에 삽입되어, 상기 평외장재의 상하 적층 결합과 상기 모서리외장재의 상하 적층 결합에 의한 고정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에 의한 파괴력이 전달되더라도 건축물의 외벽체로부터 이격 결합되는 외장재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물 외벽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현상을 완벽히 방지하여 2차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결합 구조의 제공에 따라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체에 고정 결합하는 시공 작업이 단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장재의 시공에 따른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 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코스트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내진블럭을 활용한 외벽체에 외장재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도면을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외벽체의 모서리 부분을 에워싸며 외장재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외장재를 평외장재와 모서리외장재로 구성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 적용되는 이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의해 외장재를 설치 시공한 개괄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외벽체가 일반적인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서의 외장재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의한 도면을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7에 적용되는 이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에 의해 외장재를 설치 시공한 개괄적인 단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듯이, 건축구조물의 외벽체(10)에 시공 처리되는 외장재(100)의 시공 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 외장재(100)는 평외장재(110)와 모서리외장재(120)로 구분한다.
즉 본 발명의 외장재(100)는 건축구조물의 외벽체(10) 사면을 모두 에워싸며 시공 처리되도록 하되 기존의 외장재의 시공구조와 달리 외벽체(10)의 면과 면이 맞닿아 이루어지는 모서리 부위에는 모서리외장재(120)를 채택하고, 외벽체(10)의 면과 면으로는 평외장재(110)를 채택하여 시공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건축물의 외벽체(10)로부터 본 발명의 평외장재(110) 및 모서리외장재(120)를 포함하는 외장재(100)는 일정한 간격 이격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이격부재(2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이격부재(200)는 건축구조물의 외벽을 이루는 외벽체(10)와 외장재(100)간을 이격시키기 위한 부재이며, 이격부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단열재(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이격부재(200)는 도 9 에서 보는 것과 같이, 평철 형태로 이루어지는 몸체(210) 일단측은 수직 상태로 절곡되는 수직상방절곡편(220)을 형성하고 타단측으로는 상기 몸체 타단측에서 단부 중앙 일부가 절개되어 상하로 교호 수직 절곡되는 수직상하방교호절곡편(230)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수직상방절곡편(220)을 구비하는 이격부재(200)는 일반적인 시공 방법으로 시공된 외벽체(10)의 경우에 적용된다.
한편, 이와 달리 도 4 에서 보는 것처럼, 평철 형태로 이루어지는 몸체(210) 일단측이 수직 상태로 절곡되지 않고 평철 형태로 그대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이격부재(200)의 몸체(210) 끝단부측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평형태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은 외벽체(10)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10)에는 이격부재(200)의 길이 조정을 위한 길이조절부(211)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 길이조절부(211)는 외벽체(10)와 설치되는 외장재(100)간의 거리에 따라 조절하여 그 이격 거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길이조절부(211)는 도면에서와 같이 둥근 원호 형태를 갖추고 있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음은 물론이며, 길이조절부(211)를 통하여 이격부재(200)의 길이를 늘이고자 할 때에는 상기 길이조절부(211)를 펼치며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격부재(200)를 이용하여 외벽체(10)와 외장재(100)간을 연결할 때에는,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격부재(200)의 일단측인 수직상방절곡편(220)의 외측면을 외벽체(10)와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수직상방절곡편(220)에 천공되는 결합공(221)측으로 앙카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이격부재(200) 일측을 상기 외벽체(10)와 고정 결합하고 상기 이격부재(200)의 타측인 수직상하방교호절곡편(230)은 외장재(100) 중 평외장재(110)의 상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111)에 각각 끼워 고정 거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상하방교호절곡편(2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210)의 타단 단부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로 교호 수직 절곡되는데, 그 수직 절곡되는 형태는 단면상 보았을 때 "┗┛"의 형태를 이루며 상하로 서로 대향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 단면 형태를 갖는 수직상하방교호절곡편(230)은 외장재(100)의 평외장재(110) 상하면에 형성되는 홈(111)에 각각 결합되어 평외장재(110)와 평외장재(110) 상하간의 가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탄성연결부재(300)에 의해 2차적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내진블럭(11)을 활용하여 구성되는 외벽체(10)의 경우에는 상기 이격부재(200)에서 수직상방절곡편(220)이 평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도 1 또는 도 5 에서와 같이 결합된다.
예컨데 도 1 내지 도 2 및 도 5의 경우에 적용되는 외벽체(10)는 내진블럭(11)으로 이루어지는 외벽체(10)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내진블럭(11)에는 다수의 통공(13)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내진블럭(11)과 내진블럭(11)간에 상기 통공(13)측으로 탄성유닛(12)을 이용하여 상하 고정 결합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내진블럭(11)을 활용한 외벽체(1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내진블럭(11)과 내진블럭(11) 사이에 이격부재(200)의 몸체(210) 끝단부를 게재한 후 그 몸체(210) 끝단부에 천공되는 결합공(221)을 통하여 내진블럭(11)과 고정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외장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외장재(110)와 모서리외장재(120)로 구분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평외장재(110)는 도 1, 도 5, 도 7, 도 10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외벽체(10)의 면으로부터 이격부재(200)에 의해 이격되는 위치에서 외벽체(1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적층 설치되고, 상기 모서리외장재(120)는 외벽체(10)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평외장재(110)의 상하면으로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홈(11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모서리외장재(120)의 상하면으로는 "ㄱ"자 형태의 절곡홈(121)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평외장재(110)의 상하에 형성된 홈(111)과, 상기 모서리외장재(120)의 상하에 형성된 절곡홈(121)에 삽입되어, 상기 평외장재(110)의 상하 적층 결합과 상기 모서리외장재(120)의 상하 적층 결합에 의한 고정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연결부재(30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탄성연결부재(300)에 의해 상기한 평외장재(110)를 상하로 연결함은 물론 모서리외장재(120)의 상하 적층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평외장재(110)와 평외장재(110)의 상하간을 고정 연결할 때 그 위치는 평외장재(110)와 평외장재(110)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접점 부위와 이로부터 상방향으로 이어지는 평외장재(110) 및 평외장재(110)의 하단측 홈(111)간의 십자형태를 이루는 영역으로 한정할 수도 있고, 평외장재(110)와 평외장재(110)의 상하 적정한 위치에 다수개의 탄성연결부재(300)를 활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연결부재(300)는 평외장재(110)와 평외장재(110)간을 상호 상하 연결할 때 상기 평외장재(110)의 홈(111) 위치 중 설정 위치에 먼저 삽입 고정되어야 한다.
즉, 예를 들면 평외장재(110)를 외벽체(10)를 따라 이격부재(200)를 활용하여 어느 한 층의 레이어를 구성한 후에 그 상방측으로 다시 평외장재(110)를 쌓아 올리며 고정하기 위해서, 한 층의 레이어를 이루는 평외장재(110)의 상면측에 형성된 홈(111) 적정 위치에 탄성연결부재(300)를 다수개 이격 시키며 압입 고정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홈(111)에 압입 고정되기 위한 탄성연결부재(300)는 강제로 홈(111)에 압입되면서도, 탄성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도 3, 도 5, 도 8, 도 10 에서와 같은 형태의 탄성연결부재(300)를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연결부재(300)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탄성연결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직교되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부(3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연결부재(300)의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연결부재(300) 일측 외주면의 일직선상으로 개구되는 개구부(310)를 형성한다. 즉 탄성연결부재(300)의 외주면 일측을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 개구되도록 구성하여 탄성연결부재(300)가 개구부(310)에 의해 오므려지거나 펴지는 등의 탄성력이 원할히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연결부재(300)는 전체적으로 파형관 형태를 취하도록 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외주면 일측의 일직선상으로 개구되는 개구부(3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연결부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재(100) 특히 평외장재(110)와 평외장재(110)를 상하로 적층 결합 및 모서리외장재(120)와 모서리외장재(120)의 상하 적층시 활용되기 위한 것으로, 먼저 한 층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평외장재(11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111)에 상기 탄성연결부재(30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천공부(320)측으로 정과 같은 공구를 활용하여 삽입하여 탄성연결부재(300)의 설정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용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가격하여 상기 탄성연결부재(300)가 상기 홈(111)측으로 강제 압입되도록 한다.
탄성연결부재(300)의 외주면측으로 길이방향 개구되는 개구부(310)에 의해 강제로 오므려지며 상기 홈(111) 내부로 압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연결부재(300)가 어느 한 층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평외장재(110)의 상면 홈(111)에 강제 압입된 후에는 그 위로 적층되는 별도의 평외장재(110)를 위치시킨 후 적층되는 대상의 평외장재(110) 상면측을 가격하여 상하간 평외장재(110)를 상기 탄성연결부재(300)에 의해 상호 연결하게 된다.
상기 탄성연결부재(300)가 하층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평외장재(110)의 상면측 홈(111)에 강제 가압된 후 그 상방층으로 별도의 레이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평외장재(110)를 적층 가압하며 결합하면서, 평외장재(110)의 적층 결합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연결부재(300)에 의해 상하간 평외장재(110)의 원할한 결합을 위해 하층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평외장재(110)의 상면 홈(111)에 강제 압입된 후, 그 가압되며 강제 압입된 탄성연결부재(300)의 노출 부위는 상기 탄성연결부재(300)의 반지름 영역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탄성연결부재(300)의 반지름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면, 상방측으로 적층되며 결합되는 평외장재(110)의 결합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이러한 문제는 내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건축구조물의 외벽체(10)의 어느 일면으로부터 상기 이격부재(200)에 의해 외장재(100) 특히 평외장재(110)가 설치되며 한 층의 레이어를 구성할 대 상기 외벽체(10)의 사면을 모두 에워싸며 상방향측으로 외장재(100)가 시공되는데, 상기 외벽체(10)의 어느 일면과 직교되는 타면간을 아우르며 외장재(100)가 설치되어질 때 그 모서리 영역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모서리외장재(120)에 의해 시공된다.
상기 모서리외장재(120)는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주로 사각기둥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그 상하면에 각각 절곡홈(12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절곡홈(121)은 도면에서 보듯이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모서리외장재(120)는 평외장재(110)에 의해 어느 한층의 레이어가 외벽체(10)로부터 이격부재(200)에 의해 시공된 후 외벽체(10)의 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평외장재(110)를 시공하고자 할 때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여, 평외장재(110)와 평외장재(110)의 측면을 직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모서리외장재(120)의 경우에도 모서리외장재(120)와 평외장재(110)간 측면 연결과 동시에 상하간의 연결을 위해 전술한 탄성연결부재(300)를 활용하게 된다.
즉, 도 3 에서 보듯이 모서리외장재(120)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홈(121)의 단부와 평외장재(110)의 상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111)간의 단부가 서로 통하도록 구성한 후, 그 교차영역으로 탄성연결부재(300)를 위치시켜 강제 가압하며 반원호의 영역이 동시에 모서리외장재(120)의 절곡홈(121)과 인접하는 평외장재(110)의 홈(111)으로 강제 삽입되도록 한 후 그 상방향으로 모서리외장재(120)와 평외장재(110)를 적층하여 모서리 영역에서 상하간으로 연결 적층되며 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외장재(100)를 건축 구조물의 외벽체(10)로부터 이격부재(200)에 의해 이격시켜 외장재(100)를 시공 처리할 때, 상기 외장재(100)의 기초 부분을 건축 구조물의 베이스 부분과 연결하여 기초를 형성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2, 도 5, 도 7 내지 도 8과 도 10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베이스(400)와 고정되어 외장재(100)의 최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재(500)를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초부재(500)는전체적으로 상방이 개구되는 '┗┛'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베이스(400)의 상면 설정 위치에 기초부재(500)를 위치시킨 후 앙카 등의 고정부재(510)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부재(500)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를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바닥에 해당되는 베이스(400)에 건축 구조물의 외벽체(10)로부터 적정간격 바람직하게는 이격부재(200)의 이격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기초부재(500)를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기초부재(500) 상면으로 외장재(100) 즉 평외장재(110) 및 그 평외장재(110)와 평외장재(110)간 직교되는 영역으로 모서리외장재(120) 등을 활용하여 한 층을 이루는 레이어를 구성하게 된다.
아울러 한 층을 이루는 레이어를 구성한 평외장재(110) 및 모서리외장재(120)의 홈(111) 및 절곡홈(121)으로 탄성연결부재(300)를 강제 압입 한 후, 상기한 이격부재(200)를 이용하여 외벽체(10)와 접하는 수직상방절곡편(220)을 앙카 등을 이용하여 일측단을 고정하고 타측단인 수직상하방교호절곡편(230)은 한 층의 레이어를 구성하게 되는 평외장재(110)의 상면측 홈(111)에 걸려지며 외벽체(10)와 외장재(100)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시공하게 된다.
또한 이와 달리 내진블럭(11)을 활용하게 되는 외벽체(10)의 경우에는, 상기 내진블럭(11)에 다수의 통공(13)이 천공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통공(13)측으로 탄성유닛(12)을 이용하여 상하간 내진블럭(11)을 적층 결합하며 외벽체(10)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외벽체(10)의 경우 내진블럭(11)과 내진블럭(11) 사이에 이격부재(200)의 몸체(210) 끝단부를 게재한 후 그 몸체(210) 끝단부에 천공되는 결합공(221)을 통하여 내진블럭(11)과 고정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격부재(200)는 다수개 등간격 위치를 따라 설치 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이격부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단열재(20)를 이용하여 시공 처리하게 된다.
상기 이격부재(200)는 외장재(100)에 의해 한 층의 레이어를 이룬 후 적층되는 각 레이어마다 설치하여 시공하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설치되어 있는 한 층의 레이어 윗 방향으로 적층되는 타 평외장재(110) 및 모서리외장재(120)를 강제로 압입 체결되도록 하여 적층 되는 구조를 갖으며 외장재(100)를 설치 시공하여 왼성된 건축 구조물의 외장재(100)를 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외벽체 20; 단열재
100; 외장재 110; 평외장재
111; 홈 120; 모서리외장재
121; 절곡홈 200; 이격부재
210; 몸체 211; 길이조절부
220; 수직상방절곡편 221; 결합공
230; 수직상하방교호절곡편 300; 탄성연결부재
310; 개구부 320; 천공부
400; 베이스 500; 기초부재
510; 고정부재

Claims (10)

  1. 건축물 외벽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부재;
    상하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홈을 갖는 평외장재;
    상하면으로 절곡홈을 갖으며 상기 평외장재와 평외장재의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외장재;
    상기 평외장재의 상하에 형성된 홈과, 상기 모서리외장재의 상하에 형성된 절곡홈에 삽입되어, 상기 평외장재의 상하 적층 결합과 상기 모서리외장재의 상하 적층 결합에 의한 고정 연결이 가능하도록, 일측 외주면의 일직선상으로 개구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탄성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평철 형태를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의 타단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로 교호 수직 절곡되는 수직상하방교호절곡편;
    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평철 형태를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 일단측에서 수직 상태로 절곡되는 수직상방절곡편;
    상기 몸체의 타단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로 교호 수직 절곡되는 수직상하방교호절곡편;
    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의 길이 조정을 위한 길이조절부가 상기 이격부재를 이루는 몸체에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재는 전체적으로 파형관 형태를 이루며 일측 외주면 일직선상 개구되는 개구부를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간 평외장재간 결합시 상하 평외장재의 홈에 끼워지는 상기 탄성연결부재의 반지름에 해당되는 영역이 상기 상하 적층되는 평외장재의 각 홈에 강제 압입되며 연결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상하방교호절곡편의 수직 절곡되는 형태는 "┗┛"의 형태의 단면을 이루며 엇갈리며 교호되는 위치에서 상하로 서로 대향되는 형태를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KR1020190154174A 2019-11-27 2019-11-27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KR102412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174A KR102412578B1 (ko) 2019-11-27 2019-11-27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174A KR102412578B1 (ko) 2019-11-27 2019-11-27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441A KR20210065441A (ko) 2021-06-04
KR102412578B1 true KR102412578B1 (ko) 2022-06-23

Family

ID=7639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174A KR102412578B1 (ko) 2019-11-27 2019-11-27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7368B (zh) * 2022-04-22 2022-12-13 北京城乡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防水保温拼装大板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72Y1 (ko) * 2003-05-01 2003-07-22 이광희 조립식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595A (ko) * 2007-06-13 2008-12-17 김근수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KR101681930B1 (ko) 2016-02-18 2016-12-02 주식회사 중원철강산업 S자형 클립을 이용한 무용접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KR101689152B1 (ko) 2016-04-27 2016-12-23 이동원 인발브라켓이 구비된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시공공법
KR102045614B1 (ko) 2017-03-03 2019-11-15 김범진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72Y1 (ko) * 2003-05-01 2003-07-22 이광희 조립식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441A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364B1 (ko) 건축물의 벽체구조
EP1994238A2 (en)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and method therefor
KR200438912Y1 (ko) 내진설계된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조적용 브라켓 장치
KR20090009004U (ko) 내진설계용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베이스 브라켓
US20210062523A1 (en) Anti-seismic performance reinforcement and crack repair structure of mason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ame
KR102271453B1 (ko) 배면에 결착홈이 형성된 박벽돌을 양각 테두리 돌출띠가 성형된 바탕쉬트의 걸림턱에 결합시켜서 제작된 단위 프리패브 유닛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지프레임 외벽마감공법
US1995477A (en) Composite building member
KR102412578B1 (ko)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WO2007145427A1 (en) Spacer
KR20210004583A (ko)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슬라브 시공구조체
KR20060034395A (ko) 패널형 스터드를 이용한 건식벽체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US11155977B2 (en) Portal frame with lap joint for moment resistance
JP5165984B2 (ja) バルコニー床の支持構造
KR102649999B1 (ko)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JP5429549B2 (ja) 曲面壁構造
EP3081713B1 (en) An improved floor/ceiling joist arrangement
KR102069289B1 (ko) 공동주택의 안전도를 향상시킨 내진 설계장치
JP5010361B2 (ja) 大型壁パネルの設置構造
JP6125746B2 (ja) 外壁材の固定構造
KR20190109948A (ko) 구조단열패널용 부착철물 세트
KR200354388Y1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JP6347502B2 (ja) 二重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474747B1 (ko) 스틸 하우스와 같은 구조물의 프레임
JP7489261B2 (ja) 壁面構造
JP6033065B2 (ja) 屋根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