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349B1 -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및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및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349B1
KR102412349B1 KR1020210047017A KR20210047017A KR102412349B1 KR 102412349 B1 KR102412349 B1 KR 102412349B1 KR 1020210047017 A KR1020210047017 A KR 1020210047017A KR 20210047017 A KR20210047017 A KR 20210047017A KR 102412349 B1 KR102412349 B1 KR 102412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ilm
water
power
spectac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범
Original Assignee
문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범 filed Critical 문승범
Priority to KR102021004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layers or sheathings having a shape adapted to the shap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03Producing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16B11/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by glu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은, 도수가 있고 유연성을 가진 도수필름을 커팅하여 기존 안경의 안경렌즈에 상응하는 도수필름렌즈(10)를 얻는 커팅 단계; 증발가능한 용액인 증발용액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안경렌즈(2)와 상기 도수필름렌즈(10)를 압착하는 압착 단계; 상기 압착 단계에서의 압착후 상기 안경렌즈(2)와 상기 도수필름렌즈(10)의 사이에 있는 증발용액을 증발시키는 증발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및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Film Composite Structure Having Degree Atached to Specta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pectacles with the Film Composite Structure}
본 발명은 선글라스/고글 등과 같이 시력보호, 운동 또는 레져 등의 목적을 위해 착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존 안경에 부착됨으로써, 도수가 없는 기존 안경에 도수를 부여하는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도수필름 구조체를 부착한 안경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수클립'이라고 알려진 것은, 도수 렌즈가 안착되는 도수클립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도수클립 프레임과 안경 사이의 부착을 위한 클립을 구비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착용시 시야가 답답해 보일 수 있으며, 도수클립 프레임이 굵은 선으로 관찰되는 바, 기존 안경의 프레임과 도수클립 프레임으로 인해 2개의 굵은 선이 관찰됨으로써 미관상 좋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수 클립 자체의 높이로 인해서, 눈과의 거리가 짧아지고 속눈섭과 접촉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특허문헌과 같은 "시력교정용 렌즈 탈부착 고글"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의 기술에서는 고글렌즈(10)에서 사람의 눈에 대면한 면에 장착홈(11; 이하 특허문헌에서의 도면부호이다)을 형성하고, 장착홈(11)에는 제1결합편(30)이 장착되며, 상기 제1결합편(30)에 착탈 가능한 제2결합편(40)을 구비하는 보조렌즈(20)를 상기 제1결합편(30) 및 제2결합편(40)의 결합으로 상기 고글 렌즈(10)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결합편(30)과 제2결합편(40)은 자석식으로 결합된다.
그런데, 특허문헌의 기술에 따르면 기존의 고글렌즈 자체에 장착홈(11)을 형성하여 제1결합편(30)을 장착하여야 하므로 기존 고글렌즈의 영구적 변형을 가져오므로 원상회복은 어렵다. 그리고, 외견상 보조렌즈(20)의 외곽선에 더하여, 보조렌즈(20)의 내측으로 복수의 제1결합편(30) 및 제2결합편(40)이 관찰되는데, 이러한 제1결합편(30) 및 제2결합편(40)으로 인하여, 외관상의 미려함을 훼손하는 정도가 심한 문제가 있다. 또한, 고글렌즈와 보조렌즈 사이에 공간을 가질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부분에 김서림이 생기거나 운동등으로 인해 땀이 들어가거나, 먼지가 묻은 경우 보조렌즈를 탈거한 후, 고글렌즈 및 보조렌즈의 양자를 ‹M거나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고글렌즈 및 보조렌즈 사이의 공기층으로 인해서, 야간 이용시 빛번짐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2071804호, 2020년 1월 22일 등록, "시력교정용 렌즈 탈부착 고글"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렌즈와 추가 장착되는 도수용 렌즈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는 안경부착 구조체 및 안경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렌즈와 추가 장착되는 도수용 렌즈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도수용 렌즈를 장착할 수 있는 안경부착 구조체 및 안경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렌즈에 추가로 도수용 렌즈를 용이하게 장착하면서도 기존 안경의 외관상 미려함을 훼손하는 정도를 크게 완화할 수 있는 안경부착 구조체 및 안경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은, 도수가 있고 유연성을 가진 도수필름을 커팅하여 기존 안경의 안경렌즈에 상응하는 도수필름렌즈를 얻는 커팅 단계; 증발가능한 용액인 증발용액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를 압착하는 압착 단계; 상기 압착 단계에서의 압착후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사이에 있는 증발용액을 증발시키는 증발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계의 이전에,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측면을 가공하는 측면가공 단계; 상기 증발 단계의 이후에, 상기 이격공간에 액상의 접착제를 충진하여 접착하는 측면접착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접착제는 액상의 순간 접착제, 액상의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액상의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액상의 UV 코팅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수필름렌즈와 상기 접착제는 동일한 소재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공 단계에서의 측면 가공은,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측면에 있는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중 하부 모서리를 모따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발용액은 물 또는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한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수필름은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UV 코팅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는, 도수가 있고 유연성을 가지며, 기존 안경의 안경렌즈에 상응하는 테두리를 가지고 상기 안경렌즈에 부착되는 도수필름렌즈(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도수필름렌즈(10)는, 증발가능한 용액인 증발용액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안경렌즈와 압착된 후,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사이에 있는 증발용액이 증발되어 상기 안경렌즈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도수필름렌즈(10)에는, 상기 도수필름렌즈(10)의 측면이 가공되어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구성되며, 상기 이격공간에 액상 상태에서 충진되고 경화후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를 접착하는 접착띠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접착띠층(20)은, 액상의 순간 접착제, 액상의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액상의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액상의 UV 코팅제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도수필름렌즈(10)와 상기 접착띠층(20)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측면의 가공은, 상기 도수필름렌즈(10)의 측면에 있는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중 하부 모서리가 모따기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증발용액은 물 또는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한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도수필름렌즈(10)는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UV 코팅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안경렌즈와 추가 장착되는 도수필름렌즈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고 상호 이격되지 않으므로 야간 빛번짐 현상이 없거나 작으며 이격 공간이 없어서 땀이나 먼지등이 유입될 수 없으므로 세척등이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용액의 증발현상을 이용하여 안경점등에서도 용이하게 기존 안경렌즈와 도수필름렌즈를 접착할 수 있다. 그리고 양자의 계면 전체를 대상으로 접착제로써 부착하는 방식과 비교하여도, 보다 작은 비용과, 보다 간편한 도구 및 공정으로 오염 없이 수행될 수 있고 불균일한 접착제층의 두께에 의한 상의 왜곡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현상에 의해 1차 접착된 기존 안경렌즈와 도수필름렌즈를 대상으로 한 도수필름렌즈의 측면가공으로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이격공간에 액상 접착제를 손쉽게 충진하여 형성되는 접착띠층에 의한 2차 접착을 수행함으로써, 렌즈의 변형 외력에 저항하여 보다 견고한 접착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처럼 자석이나 클립용 프레임을 별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외견상 도수필름렌즈의 외곽선이 노출되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기존 안경의 외관상 미려함을 훼손하는 정도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도수필름 구조체가 장착된 안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한쪽 도수필름 구조체가 분리된 상태의 안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접착띠층(20)이 형성되는 부분을 상세도시한 것으므로, 도 3(a)는 접착띠층(20)이 형성된 이후이고 도 3(b)는 접착띠층(20)이 형성되기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의 개요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도수필름 구조체가 장착된 안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한쪽 도수필름 구조체가 분리된 상태의 안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접착띠층(20)이 형성되는 부분을 상세도시한 것으므로, 도 3(a)는 접착띠층(20)이 형성된 이후이고 도 3(b)는 접착띠층(20)이 형성되기전이다.
도수필름 구조체는 도수필름렌즈(10)와 접착띠층(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선글라스/고글 등과 같이 시력보호, 운동 또는 레져 등의 목적을 위해 착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존 안경에 부착됨으로써, 도수가 없는 기존 안경에 도수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도수필름 구조체는 골프, 자전거, 등산용의 고글, 스킨스쿠버용 물안경, 스키 고글, 오토바이 고글, 작업용 고글 등, 거의 모든 안경에 적용될 수 있다.
도수필름렌즈(10)는 기존 안경의 안경렌즈(2)에 상응하는 테두리를 가지되, 기존 안경의 프레임(3)나 안경코 등에 부착되는 방식이 아니라, 기존 안경의 안경렌즈(2)에 바로 부착된다.
도수필름렌즈(10)는 도수가 있으며, 유연성을 가지고 경화후 투명한 물질로 제조되는데, 도수필름렌즈(10)는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UV 코팅제로 형성된다. 도수필름렌즈(10)는 플라스틱제 일반 안경렌즈와 유사하게, 금형에 의하여 교정시력별로 다양한 도수를 가진 원형상의 도수필름을 제조한 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추어 선정된 도수필름이 기존 안경에 맞추어 커팅된 것일 수 있다.
도수필름렌즈(10)는 도수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유연성을 가진 물질로 제조되므로, 기존 안경렌즈(2)의 커브와 약간의 오차가 있더라도 이러한 기존 안경렌즈(2)의 커브에 순응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 안경렌즈(2)의 커브에 순응하기 위하여 기존 안경렌즈(2)의 커버와 완전 동일한 커브를 가지도록 제조할 필요는 없고,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도수를 가진 도수필름을 선정하여 커팅등의 가공을 거치는 것으로 족하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은 통상 안경점에서 기존 안경을 가공하는 공정과 비슷하므로 공장이 아닌 안경점에서도 이러한 가공 공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서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존 안경렌즈(2)와 도수필름렌즈(10)를 상호 밀착시키므로 양자 사이의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게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커브 적응성을 위해, 유연성을 가진 도수필름렌즈(10)를 기존 안경렌즈(2)에 부착하는 기술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그 결합을 유지토록하는 것이 큰 해결과제가 되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유연한 도수필름렌즈(10)와 기존 안경렌즈(2)을 결합하는 2가지 독특한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다.
가정하여 투명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안경렌즈(2)와 도수필름렌즈(10)를 전체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이전에 시도된 선행 방식이다. 도수필름렌즈(10)의 외측면(안경렌즈를 향하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안경렌즈(2)와 접착하였는데, 도수필름렌즈(10)의 외측면이 아닌 내측면에 접착제가 묻으면 안되고, 기존 안경렌즈(2)에도 접착면이외에는 접착제가 묻으면 안되는 조건을 가진다.
그런데, 안경렌즈의 커브에 순응하도록 유연성을 가진 도수필름렌즈를 맞추기 위해서는, 힘을 가해서 압착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도수필름렌즈의 외측으로 접착제가 흘러나와서 안경렌즈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점성이 낮아서 흐름성이 좋은 접착제는 균일 도포가 쉬운 장점이 있으나 압착 과정에서 쉽게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으며, 점성이 높은 접착제는 균일 도포가 쉽지 않고, 경화후 도수필름렌즈와 안경렌즈 사이의 간극이 크게 되고 균일하지 않게 되어 결국 설계된 도수와는 다른 안경이 되거나 부분적 왜곡이 발생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압착후 접착제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안경점등에서 도수필름렌즈의 한쪽면에만 매우 얇은 두께로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은, 구비된 장비, 투자 비용 및 기술 숙련 등의 여러 관점에서 쉽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증발용액을 사용하는데, 증발용액은 접착제가 아니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발이 가능하고 흐름성이 좋은 용액으로서, 예를 들면 증발용액은 물 또는 알코올로서 상온이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액체로부터 기체로 상변이하여 제거된다.
가공과정에서 기존 안경의 안경렌즈(2)와 도수필름렌즈(10)의 사이에, 증발가능한 용액인 증발용액이 개재된 상태로 안경렌즈(2)와 도수필름렌즈(10)는 상호 압착된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을 상온에 방치하거나 일정 온도의 환경에 둠으로써 안경렌즈와 도수필름렌즈의 사이에 있는 증발용액은 전부 또는 일부가 증발되며, 도수필름렌즈는 안경렌즈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수필름렌즈(10)를 물에 침지시킨후 꺼내어 안경렌즈(2)에 밀착하여 손가락으로 위치를 옮겨가면서 약간의 압력을 준다. 그러면 안경렌즈와 도수필름렌즈는 증발용액에 의한 장력 등으로 인해서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3시간 내지 3일, 선호되기로는 1일 정도 방치하면 안경렌즈와 도수필름렌즈 사이에 매우 얇은 막으로 존재하는 증발용액은 도수필름렌즈의 테두리 부분을 통하여 증발에 의해서 일부 또는 전부가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러한 증발이 진행되면서 안경렌즈와 도수필름렌즈 사이의 계면에는 부압이 걸리고 또한 증가함으로써, 안경렌즈와 도수필름렌즈 사이의 결합력은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도수필름렌즈(10)에는 도수필름렌즈(10)의 측면이 모따기 등의 방법으로 가공되어 안경렌즈와 도수필름렌즈의 사이에 이격공간(A; 도 3(b) 참조)이 구성되는데, 그라인더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도수필름렌즈의 측면에 있는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중 하부 모서리, 즉 안경렌즈(2)가 더 가까운쪽의 모서리가 모따기됨으로써 도수필름렌즈와 안경렌즈 사이에 접착제를 충진할 수 있는 이격공간을 확보한다.
접착띠층(20)은 상기한 증발용액의 증발과정이 수행된 후, 상기 이격공간(A)에 액상 상태의 접착제가 충진되고 경화된 것으로서 안경렌즈와 도수필름렌즈는 한층더 강하게 접착되는데, 1차적으로는 증발용액의 증발에 의한 부압으로 접착력을 생성시키며 2차적으로는 이러한 부압 접착력이 생성된 상태에서 도수필름렌즈의 측면에 접착제로써 양자를 접착하는 것이다.
접착제는 흐름성이 좋은 액상 접착제를 채택하는 데, 안경을 잡는 방향과 충진 위치를 선정함에 따라 이격공간(A)을 따라서만 흘러가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격공간(A)의 연장방향이 거의 수평이 되게 하거나 살짝 기울기를 주면서 액상 접착제를 충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접착제를 충진하면, 도수필름렌즈 또는 안경렌즈의 불필요한 부분에 액상 접착제가 묻는 문제를 회피하면서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다.
접착제는 액상의 순간 접착제, 액상의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액상의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액상의 UV 코팅제로부터 구성되며, 충진된 접착제가 경화됨으로써 접착띠층(20)을 구성한다. 도면에서 접착띠층(20)은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필수적 요건은 아니므로 개곡선과 같이 일부 구간에서만 충진될 수도 있다. 다만, 폐곡선으로 충진 형성되는 경우 계면에 걸린 부압을 항구적으로 유지하는 데 있어서 보다 바람직한 측면이 있다.
접착띠층(20)은 도수필름렌즈(10)와 동일한 소재로 하는 것이 선호되는데, 예를 들면, 도수필름렌즈(10)가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인 경우 접착띠층(20)도 동일한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로 하면 좋다. 이에 따라 액상의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가 경화되고나면 외견상 접착띠층(20)은 도수필름렌즈(10)와 한 몸체로 보이게 되므로 외관이 보다 깔끔하게 되면서도 경화된 접착띠층(20)을 이용하여 안경렌즈(2)와의 접착력을 가지게 되는 장점(즉 접착제에 의한 직접 접착의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수필름렌즈(10)의 교체 또는 안경의 원상복구를 위하여 도수필름렌즈(10)를 떼어내는 경우에 있어서, 액상의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액상의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액상의 UV 코팅제이면서 동일소재인 접착띠층(20)은 순간 접착제처럼 강력하게 접착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 수준의 접착력만을 가지므로 매끈한 표면을 가진 안경렌즈(2)로부터 쉽게 떼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가정하여 접착띠층(20)을 형성하지 않고 증발용액에 의한 결합만을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본다. 착용자에 의한 사용중 안경렌즈는 외력을 받게 되는데, 예를 들면, 얼굴에 안경을 착용할 때 벌려서 착용하므로 안경프레임과 함께 안경렌즈에도 약간의 휨이 발생되며, 외부충격에 의해 안경렌즈가 눌리는 경우에도 약간의 휨이 발생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안경렌즈로부터 도수필름렌즈가 취약 부분부터 점차적으로 박리되는 현상이 생성 및 진행될 수 있는데, 보통 렌즈는 상하방향의 곡률반경보다 좌우 방향의 곡률반경이 작으므로 도수필름렌즈의 측면중 좌우방향의 측면부터 박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구간에만 접착띠층(20)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도수필름렌즈의 측면 4방향중 좌우방향의 측면에 우선 형성하는 것이 선호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되,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대폭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의 개요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고객(기존 안경 착용자)등의 요구에 의하여 도수필름렌즈(10)가 장착될 기존 안경이 결정되고 고객의 시력에 따라 사용할 도수필름(미도시)이 결정된다. 도수필름은 커팅으로 도수필름렌즈를 얻기 위한 것으로서 그 중심에 렌즈중심점이 있는 원형인 큰 필름렌즈이다.
안경점등에서 수행되는 통상의 렌즈 가공방식과 유사하게, 큰 원형상인 도수필름을 커팅하여 도수필름렌즈(10)을 얻는다(S10). 도수가 있고 유연성을 가진 도수필름을 커팅하여 기존 안경의 안경렌즈에 상응하는 도수필름렌즈(10)를 얻는데, 기존 안경의 안경렌즈(안경프레임)의 형상 및 외곽선에 상응하게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응은 반드시 동일한 모양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상황이나 사용자의 요구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동일한 모양이거나 유사한 모양이 선택되는 것이거나, 안경렌즈의 크기나 용도 등에 따라 커팅선이 선택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후술할 압착 단계의 이전에, 안경렌즈(2)와 도수필름렌즈(10)의 사이에 이격공간(A)을 형성하도록 도수필름렌즈의 측면을 가공한다(S12). 이러한 측면 가공은, 도수필름렌즈(10)의 측면에 있는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중 하부 모서리를 모따기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물 또는 알코올과 같이 증발가능한 용액인 증발용액이 개재된 상태로 안경렌즈(2)와 도수필름렌즈(10)를 압착한다(S14). 예를 들어, 증발용액에 침지한 도수필름렌즈(10)를 꺼내어 안경렌즈(2)에 올려놓은 후, 손가락으로 위치를 옮겨 가면서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안경렌즈(2)와 도수필름렌즈(10)의 사이에 증발용액의 얇은 막이 형성되고 나머지 증발용액은 외부로 흘러나오게 하며, 흘러나온 증발용액은 ‹M아내면 되고 안경렌즈 또는 도수필름렌즈의 노출 표면에 약간 남아있더라도 증발됨으로써 오염문제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그리고, 계면에 있는 증발용액의 장력에 의해 도수필름렌즈(10)가 약하게 결합된 안경(특히 양자 사이를 슬라이딩시키는 힘에는 매우 취약함)을 일정 시간 방치함으로써, 계면에 있는 증발용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증발시키는데(S16), 이에 따라 안경렌즈와 도수필름렌즈 사이의 계면에는 부압이 걸리고 결합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증발 단계의 이후에, 상기한 바와 같이 도수필름렌즈의 측면을 따라 이격공간(A)에는 흐름성이 있는 액상의 접착제를 충진하여 안경렌즈(2)와 도수필름렌즈(10)의 측면을 접착하여(S18) 2차적인(부가적인) 결합력을 형성한다. 접착제는 액상의 순간 접착제, 액상의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액상의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액상의 UV 코팅제일 수 있으며, 도수필름렌즈와 동일한 소재로 하는 것이 선호된다.
2 : 안경렌즈 3 : 안경프레임
10 : 도수필름렌즈 20 : 접착띠층

Claims (14)

  1. 삭제
  2. 도수가 있고 유연성을 가진 도수필름을 커팅하여 기존 안경의 안경렌즈에 상응하는 도수필름렌즈를 얻는 커팅 단계;
    증발가능한 용액인 증발용액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를 압착하는 압착 단계;
    상기 압착 단계에서의 압착후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사이에 있는 증발용액을 증발시키는 증발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착 단계의 이전에,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측면을 가공하는 측면가공 단계;
    상기 증발 단계의 이후에, 상기 이격공간에 흐름성이 있는 액상의 접착제를 충진하여 접착하는 측면접착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접착제는 액상의 순간 접착제, 액상의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액상의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액상의 UV 코팅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수필름렌즈와 상기 접착제는 동일한 소재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공 단계에서의 측면 가공은,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측면에 있는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중 하부 모서리를 모따기하는 것인,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증발용액은 물 또는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수필름은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UV 코팅제로 형성된 것인,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8. 삭제
  9. 도수가 있고 유연성을 가지며, 기존 안경의 안경렌즈에 상응하는 테두리를 가지고 상기 안경렌즈에 부착되는 도수필름렌즈(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도수필름렌즈(10)는,
    증발가능한 용액인 증발용액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안경렌즈와 압착된 후,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사이에 있는 증발용액이 증발되어 상기 안경렌즈에 부착되며,
    상기 도수필름렌즈(10)에는, 상기 도수필름렌즈(10)의 측면이 가공되어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구성되며,
    상기 이격공간에 흐름성이 있는 액상 상태에서 충진되고 경화하여 상기 안경렌즈와 상기 도수필름렌즈의 측면을 접착하는 접착띠층(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착띠층(20)은,
    액상의 순간 접착제, 액상의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액상의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액상의 UV 코팅제로부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수필름렌즈(10)와 상기 접착띠층(20)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면의 가공은,
    상기 도수필름렌즈(10)의 측면에 있는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중 하부 모서리가 모따기된 것인,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증발용액은 물 또는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수필름렌즈(10)는 투명 우레탄계열 수지, 투명 에폭시계열 수지 또는 UV 코팅제로 형성된 것인,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KR1020210047017A 2021-04-12 2021-04-12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및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KR102412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17A KR102412349B1 (ko) 2021-04-12 2021-04-12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및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17A KR102412349B1 (ko) 2021-04-12 2021-04-12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및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349B1 true KR102412349B1 (ko) 2022-06-23

Family

ID=8222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017A KR102412349B1 (ko) 2021-04-12 2021-04-12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및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7334A (zh) * 2022-11-02 2023-01-31 江苏鸿晨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微结构的眼镜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42Y1 (ko) * 2002-08-14 2002-11-04 이갑형 보호안경용 렌지필름
KR20110092535A (ko) * 2010-02-09 2011-08-18 (주)피티앤티 편광렌즈 제조방법
KR101790465B1 (ko) * 2017-01-06 2017-10-26 채무한 청색광 차단 안경렌즈 및 청색광 차단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KR20190111448A (ko) *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제이와이에스앤텍 부착용 방담필름
KR102071804B1 (ko) 2018-10-02 2020-03-02 박진규 시력교정용 렌즈 탈부착 고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42Y1 (ko) * 2002-08-14 2002-11-04 이갑형 보호안경용 렌지필름
KR20110092535A (ko) * 2010-02-09 2011-08-18 (주)피티앤티 편광렌즈 제조방법
KR101790465B1 (ko) * 2017-01-06 2017-10-26 채무한 청색광 차단 안경렌즈 및 청색광 차단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KR20190111448A (ko) *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제이와이에스앤텍 부착용 방담필름
KR102071804B1 (ko) 2018-10-02 2020-03-02 박진규 시력교정용 렌즈 탈부착 고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7334A (zh) * 2022-11-02 2023-01-31 江苏鸿晨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微结构的眼镜片
CN115657334B (zh) * 2022-11-02 2023-11-10 江苏鸿晨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微结构的眼镜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9959B2 (en) Optical element for converting a single-vision lens to a progressive lens
US5526068A (en) Optical plastic and glass lens assembly for use in an eyewear frame
US703692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pplication and removal of disposable corrective optical film to an eyeglass lens
US8210677B2 (en) Patch for modification of the power of an optical component
WO1990012338A1 (en) Composite plastic le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50335956A1 (en) Swimming goggles
EP3220189A1 (en) Myopic sunglasses
US10684494B2 (en) Fabrication of see-through near eye optical module and ophthalmic lens
JPH09511841A (ja) 接着型補正レンズ
KR102412349B1 (ko) 안경부착 도수필름 구조체 및 도수필름 부착 안경의 제조방법
US20170059885A1 (en) Removably Attachable Corrective Lens
CA2036839C (en) Method for setting ophtalmic lenses in goggles
CN108472541B (zh) 校正透镜装置和方法
CN208243108U (zh) 折叠式眼镜用眼镜盒
JP3108605U (ja) 眼鏡用レンズ
US20160299358A1 (en) Safety glasses having optically corrective lenses
KR101805467B1 (ko) 탈착 필름 렌즈
US1721194A (en) Ophthalmic lens
US20210041722A1 (en) Combined Corrective Lens and Lens Shield
KR200294142Y1 (ko) 보호안경용 렌지필름
JPH01319018A (ja) 軟質合成樹脂製視力矯正用レンズ
JP2001503536A (ja) 眼鏡レンズ固定用アダプタ
JPH08286158A (ja) 簡易眼鏡の視力矯正用レンズの位置決め具および簡易眼鏡の視力矯正用レンズの位置決め方法
CN113805357A (zh) 眼用复合透镜的加工方法
WO2021245267A1 (en) System for fixing an ophthalmic lens to sunglasse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