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701B1 - 유량 측량계 - Google Patents

유량 측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701B1
KR102411701B1 KR1020210186838A KR20210186838A KR102411701B1 KR 102411701 B1 KR102411701 B1 KR 102411701B1 KR 1020210186838 A KR1020210186838 A KR 1020210186838A KR 20210186838 A KR20210186838 A KR 20210186838A KR 102411701 B1 KR102411701 B1 KR 10241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meter
storage device
valv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현
Original Assignee
한일시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시스텍(주) filed Critical 한일시스텍(주)
Priority to KR1020210186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5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2Cleaning arrangements; Filters
    • G01F15/125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저장장치의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장치로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 측량계로서, 일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제1밸브가 구비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후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체크하는 유량계와;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장치의 연결관과 연결되며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제2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유량계를 통과한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관과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유량계 및 상기 유출관은 모듈화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유량 측량계를 제공함으로써, 유체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장치의 일측과 연결되어 저장장치 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유량계와 여과기와 차압계 및 밸브와 같은 부품들이 모듈화되도록 구성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저장장치와 연결하여 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량 측량계{MEASURING DEVICE FOR LIQUID FLOW}
본 발명은 유량 측량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장치의 일측과 연결되어 저장장치 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유량 측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이나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유량계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유체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직접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방식과, 유체가 이동하는 속도를 외부에서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는 방식이 대표 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체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는 용적, 면적, 차압, 터빈 유량계 등이 있고,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여 유량을 산출하는 것으로는 초음파 및 질량 유량계 등이 있다.
이중에서 유체의 통로에 터빈 또는 임펠러를 설치하고, 터빈이나 임펠러의 회전수로써 통과한 유량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터빈 유량계가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빈 유량계는 유입구를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면서 터빈 또는 임펠러와 같은 회전체를 회전시킨 후 배출구를 통하여 유체를 배출시킨다.
이때, 회전체가 1회전할 동안 통과한 유량을 미리 계산하고, 회전체의 회전수를 계수하여 어떤 단위 시간에 흐르는 유체의 양을 일컫는 유량을 측정단위인 리터나 갤론 등으로 표시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량계에 있어서, 종래는 유량을 측량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품 이외에 배관, 스트레이너, 밸브 등과 같은 별도의 다양한 구성품들이 복합적으로 조립되어 유량을 측정하는 구성이므로 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량계를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장치의 일측과 연결되어 저장장치 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유량계와 여과기와 차압계 및 밸브와 같은 부품들이 모듈화되도록 구성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저장장치와 연결하여 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유량 측량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량 측량계는, 유체 저장장치의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장치로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 측량계로서, 일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제1밸브가 구비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후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체크하는 유량계와;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장치의 연결관과 연결되며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제2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유량계를 통과한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관과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유량계 및 상기 유출관은 모듈화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이너의 후단에는 유체가 공급되는 압력과 유체가 상기 스트레이너를 통과한 후의 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스트레이너 내부에 구비된 필터의 막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압계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관의 전단에는 비상 상황시에 유체의 공급을 신속하게 중단시킬 수 있는 별도의 스탑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밸브는 일측에 리미티드 스위치가 설치되어 공급되는 유체의 유속에 의하여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공압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미티드 스위치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리미티드 스위치가 작동하도록 하는 별도의 정션박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측량계는 유체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장치의 일측과 연결되어 저장장치 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량계와 여과기와 차압계 및 밸브와 같은 부품들이 모듈화되도록 구성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저장장치와 연결하여 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량 측량계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측량계를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측량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량 측량계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측량계를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측량계는 유체 저장장치의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장치로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 측량계로서, 일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제1밸브(110)가 구비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유입관(100)과; 상기 유입관(100)의 후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스트레이너(200)와;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체크하는 유량계(300)와;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장치의 연결관과 연결되며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제2밸브(410)가 구비되어 상기 유량계(300)를 통과한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출관(400)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관(100)과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상기 유량계(300) 및 상기 유출관(400)은 모듈화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측량계는 송유관 공사나 혹은 주유소와 같은 장소에서 휘발유, 경유와 같은 기름을 입출하시에 탱크로리와 같은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설정된 양만큼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유량 측량계는 유입관(100), 스트레이너(200), 유량계(300), 유출관(400)으로 구성되며, 이들이 모듈화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이 편리하고, 사용시에 간편하여 유체 공급장치와 연결하여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입관(100)은 일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제1밸브(110)가 구비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유체가 본 발명의 유량 측량계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밸브(110)는 일측에 리미티드 스위치(111)가 설치되어 공급되는 유체의 유속에 의하여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공압 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리미티드 스위치(111)는 기계 또는 장치에 접합되어 전자회로를 바꾸는 파워드라이브 장치로서, 장치의 어떤 부분 혹은 운동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로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유입관(100)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의 유속에 의하여 개폐 정도가 조절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다만, 리미티드 스위치(111)의 오류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제1밸브(110)의 일측에는 레버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레버를 이용하여 수동으로도 유입관(10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측량계의 일측에는 리미티드 스위치(111)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리미티드 스위치(111)가 작동하도록 하는 별도의 정션박스(700)가 구비되어 있다.
스트레이너(200)는 유입관(100)의 후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유체를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내부에는 별도의 필터가 구비됨으로써 유체가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유량계(300)는 스트레이너(200)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체크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하여 저장장치로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설정된 양만큼만 저장장치로 공급된 후에 전기적인 방식에 의하여 유체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유출관(400)은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장치의 연결관과 연결되며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제2밸브(410)가 구비되어 유량계(300)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저장장치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유출관(400)의 경우에도 유입관(100)과 마찬가지로 제2밸브(410)의 일측에는 레버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레버를 이용하여 수동으로도 유출관(40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트레이너(200)의 후단에는 유체가 공급되는 압력과 유체가 스트레이너(200)를 통과한 후의 압력을 비교하여 스트레이너(200) 내부에 구비된 필터의 막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압계(500)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차압계(500)는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지점 사이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유량 측량계의 경우에는 스트레이너(200)의 후단에 차압계(500)가 설치되어 스트레이너(200)를 통과하기 전, 후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스트레이너(200) 내부에 설치된 필터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차압계(500)는 유입관(100)과 유출관(400)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유동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측정된 압력과 유입관(1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초기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유출관(400)의 전단에는 비상 상황시에 유체의 공급을 신속하게 중단시킬 수 있는 별도의 스탑 밸브(600)가 설치되는데, 스탑 밸브(600)는 정션 박스(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상 상황시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측량계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송유관 공사나 혹은 주유소와 같은 장소에서 휘발유, 경유와 같은 기름을 입출하시에 탱크로리와 같은 공급장치에 구비된 공급관과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측량계의 유입관(100)을 연결하고, 유량 측량계의 유출관(400)은 저장장치의 연결관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급장치에서 유체를 공급하면 유입관(100)을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는 스트레이너(200)를 통과하면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때, 유입관(100)의 일측에 구비된 제1밸브(110)인 공압 밸브에 의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유속에 따라 제1밸브(110)가 작동하면서 유입관(100)의 개폐 정도를 자동 방식으로 조절하게 된다.
만약에 제1밸브(110)가 고장으로 인하여 오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밸브(110)에 구비된 레버를 이용하여 수동 방식으로 유입관(10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스트레이너(200)를 통과한 유체는 차압계(500)를 통과하면서 다시 압력 측정이 이루어지는데, 차압계(500)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과 유체가 초기 공급시 측정된 압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압력이 동일할 경우에는 스트레이너(200)에 구비된 필터가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게 되고, 초기에 측정된 압력보다 차압계(500)에서 측정된 압력이 현저하게 낮아진 경우에는 필터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하여 필터를 교체할 시기임을 인식하게 된다.
차압계(500)를 통과한 유체는 유출관(400)을 통과하여 저장장치 측으로 저장이 이루어지게 되며, 비상 상황시에는 유출관(400)의 전단에 구비된 별도의 스탑 밸브(600)를 이용하여 유량 측량계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측량계는 유체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장치의 일측과 연결되어 저장장치 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유량계와 여과기와 차압계 및 밸브와 같은 부품들이 모듈화되도록 구성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저장장치와 연결하여 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유입관 110 : 제1밸브
111 : 리미티드 스위치 200 : 스트레이너
300 : 유량계 400 : 유출관
410 : 제2밸브 500 : 차압계
600 : 스탑 밸브 700 : 정션 박스

Claims (5)

  1. 유체 저장장치의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장치로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 측량계로서,
    일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제1밸브(110)가 구비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유입관(100)과;
    상기 유입관(100)의 후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스트레이너(200)와;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체크하는 유량계(300)와;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장치의 연결관과 연결되며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제2밸브(410)가 구비되어 상기 유량계(300)를 통과한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출관(400)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관(100)과 상기 스트레이너(200)와 상기 유량계(300) 및 상기 유출관(400)은 모듈화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밸브(110)는 일측에 리미티드 스위치(111)가 설치되어 공급되는 유체의 유속에 의하여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공압 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리미티드 스위치(111)의 오류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제1밸브(110)의 일측에는 레버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레버를 이용하여 수동으로도 상기 유입관(10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측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200)의 후단에는 유체가 공급되는 압력과 유체가 상기 스트레이너(200)를 통과한 후의 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스트레이너(200) 내부에 구비된 필터의 막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압계(5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측량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400)의 전단에는 비상 상황시에 유체의 공급을 신속하게 중단시킬 수 있는 별도의 스탑 밸브(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측량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티드 스위치(111)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리미티드 스위치(111)가 작동하도록 하는 별도의 정션박스(7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측량계.
KR1020210186838A 2021-12-24 2021-12-24 유량 측량계 KR102411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838A KR102411701B1 (ko) 2021-12-24 2021-12-24 유량 측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838A KR102411701B1 (ko) 2021-12-24 2021-12-24 유량 측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701B1 true KR102411701B1 (ko) 2022-06-22

Family

ID=8221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838A KR102411701B1 (ko) 2021-12-24 2021-12-24 유량 측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7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786Y1 (ko) * 2006-03-23 2006-06-01 (주)포스프로 기계식 유량계의 배관 구조
KR20130102297A (ko)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대정밸브 밸브용 리미트스위치
KR20170001121U (ko) * 2015-09-17 2017-03-27 성일밸브공업 주식회사 유체이송 밸브의 비상 차단장치
KR102163249B1 (ko) * 2020-04-16 2020-10-08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수용가에서의 혼탁수 재발방지를 위한 이물질 여과기능의 상수도 관로형 필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786Y1 (ko) * 2006-03-23 2006-06-01 (주)포스프로 기계식 유량계의 배관 구조
KR20130102297A (ko)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대정밸브 밸브용 리미트스위치
KR20170001121U (ko) * 2015-09-17 2017-03-27 성일밸브공업 주식회사 유체이송 밸브의 비상 차단장치
KR102163249B1 (ko) * 2020-04-16 2020-10-08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수용가에서의 혼탁수 재발방지를 위한 이물질 여과기능의 상수도 관로형 필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4594B1 (en) Fuel dispensing equipment utilizing Coriolis flow meters
KR200417786Y1 (ko) 기계식 유량계의 배관 구조
CA2565394A1 (en) Portable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treatment system
WO2015187976A2 (en) Fuel dispenser pump assembly
KR102411701B1 (ko) 유량 측량계
US7963423B2 (en) Fuel dispensing unit with gas sensor
EP11898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aerating and dispensing liquid fuel
KR102520395B1 (ko) 유량 측량계
CN107923375A (zh) 受监控的比例计量供给设备和用于监控计量供给泵的方法
JP7335984B2 (ja) 液体混合物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液体混合システム
US9157435B2 (en) Dosing manifold and system
CN205586663U (zh) 一种多功能油液净化装置
US155280A (en) Improvement in measuring water from large mains, and in testing the meters
KR100817310B1 (ko) 바이패스 유량계
JPS607770Y2 (ja) フイルタ洗浄装置
JP6646962B2 (ja) 燃料供給装置
RU154819U1 (ru) Измер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жидких продуктов
KR100466317B1 (ko) 액체계량장치
JPH062519B2 (ja) 給油装置
US10161836B2 (en) Pipeline sampling system and method
US2006135A (en)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by volume of delivered quantities of liquids
RU2351908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рабочего состояния фильтра для пропускания жидкост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измерения объемного расход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указанного способа
JPH05170288A (ja) 採取装置
WO2011122965A2 (en) A fuel pump module for fuel dispensers
RU2616702C1 (ru) Способ учета перекачиваемой жидкости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