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164B1 -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164B1
KR102411164B1 KR1020210020458A KR20210020458A KR102411164B1 KR 102411164 B1 KR102411164 B1 KR 102411164B1 KR 1020210020458 A KR1020210020458 A KR 1020210020458A KR 20210020458 A KR20210020458 A KR 20210020458A KR 102411164 B1 KR102411164 B1 KR 102411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ans
container
container fastening
hooks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경
이형우
Original Assignee
한국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0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09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8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using pivoted arms shifting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in a fore or af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2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horizontally in a fore and aft direction, combined or not with a vertical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4Garbage trucks, e.g. refuse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롤트럭의 운전석 후방에서 차폭방향으로 프레임에 설치되는 받침부재(110); 상기 받침부재(110)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중심부에 이르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받침부재(110) 또는 상기 받침부재(110)에 별도로 설치된 지지부재(120)에 하단부가 축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150,151);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150,151)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되, 일정 기울기로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165)가 형성되어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에 구비되는 멍에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걸림후크(160,161); 제어조작반의 제어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회동부재(150,151)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걸림후크(160,161)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를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회동부재(150,151)를 전방으로 잡아 당겨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에 위치한 멍에부재를 걸림후크(160,161)로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150,151) 또는 한 쌍의 걸림후크(160,161)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연결대(16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프레임 또는 상기 받침부재(110)에 고정 설치되는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Fixing device of container handling unit}
본 발명은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롤트럭의 샤시측 전단 상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상차 전·후에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컨테이너 상차를 위해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메임붐의 고정후크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암롤트럭은 특장차량의 하나로, 특히 쓰레기 수거나 폐기물을 수거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암롤트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전방에 캐빈(10, 이하 ‘운전석’이라 칭함)이 구비되고, 운전석(10)의 후방측 샤시(프레임과 차축 및 바퀴가 결합된 상태)의 프레임(C) 상면에는 쓰레기나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형 적재함(2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샤시의 프레임(C) 중간부에는 적재함(20)을 차량에서 지상으로 하차시키거나 지상의 적재함을 차량의 프레임 상부로 상차시키기 위한 메인 붐(30, main boom)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붐(30)은 수평붐(32)과 수직붐(34)이 거의 직각 모양으로 연결된‘L’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붐(34)의 상단에는 고리형 견인후크(35)가 마련되어 적재함(20)의 외측 전면에 구비된 걸림고리에 걸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붐(32)의 말단 힌지고정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후크에 걸린 적재함(20)을 프레임(C) 상면에서 지상으로 하차시키거나 지상에서 쓰레기나 폐기물이 수집된 적재함을 프레임 상면으로 끌어 올려 차량 이동후에 적재함에 실린 쓰레기나 폐기물을 적하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암롤트럭은 운전석 후방 프레임(C)에 메인붐(30)을 설치하여 적재함(20)을 상차 또는 하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특히 암롤트럭에 적합한 적재함만을 탑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의 운용에 제한이 많았다.
특히, 고가이면서 차체가 큰 대형 암롤트럭의 경우, 단지 차량에 맞는 적재함만을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적재함이 분리된 샤시 상태에서 다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적재함이 분리된 암롤트럭의 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한편, 국가간의 상품거래, B2B, B2C간의 거래에서 제품, 원료, 상품의 운반 효율성을 높이고, 안전한 운반을 위해 화물 수송용으로 컨테이너의 이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컨테이너는 주로 화물 운송용으로만 이용되었으나, 근래에 들어 사람들의 인식과 생활환경의 변화, 주거 형태의 변화, 컨테이너의 이용 편리성 및 활용성의 증대, 컨테이너의 제작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컨테이너를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려는 경향이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즉, 컨테이너는 내외면이 금속제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고, 일정한 두께로 구성되어 내외부간 단열과 방음, 차폐효과 성능이 우수하고,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용이하여 실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이동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기도 하다.
따라서, 컨테이너를 다양한 용도로 제작이 가능하더라도 그 운반은 특수차량의 하나인 트레일러를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
물론, 부피가 비교적 작은 컨테이너의 경우 대형 카고트럭의 적재함에 실어 이동하는 경우도 있으나, 표준규격으로 제작된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일반 화물 운송용인 카고트럭에 실어 운반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트레일러를 이용할 수 밖에 없어 컨테이너의 보급 및 활용도의 증가에 비해 컨테이너를 운반할 수 있는 차량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컨테이너의 운반 차량의 부족현상에 따른 문제점 해결과 암롤트럭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암롤트럭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즉, 종래 암롤트럭의 샤시에 적재함의 적재가 가능한 기본 성능을 유지하면서 추가적으로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CHU(Container Handling Unit, 이하 ‘컨테이너 결박수단’이라 함) 장치가 고안되어 특정 분야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컨테이너 결박수단(CHU)은 암롤트럭의 샤시 전단부에 적재함의 적재시 적재함과의 간섭이 생기지 않은 위치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상하시에 메인붐의 견인후크에 결합되어 컨테이너의 일단을 고정한 후에 메인붐의 회동동작에 따라 컨테이너를 차량의 프레임 상면으로 잡아 끌어올리거나 지상으로 하차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 일단을 고정,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암롤트럭에 컨테이너 결박수단 설치한 경우, 설치된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메인붐에 연결하거나 또는 해제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직접 조작 및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암롤트럭에 구비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이용시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컨테이너 상하차시에 메인붐과의 연결 편리성을 높이고, 차량측에 거치된 상태에서 안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는 암롤트럭의 운전석 후방측 프레임에 차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중심부에 이르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받침부재 또는 상기 받침부재에 별도로 설치된 지지부재에 하단부가 축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되, 일정 기울기로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컨테이너 결박수단에 구비되는 멍에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걸림후크; 제어조작반의 제어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회동부재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걸림후크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를 메인붐의 견인후크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회동부재를 전방으로 잡아 당겨 메인붐의 견인후크에 위치한 멍에부재를 걸림후크로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 또는 한 쌍의 걸림후크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연결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프레임 또는 상기 받침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회동부재의 전후 회동시 걸림후크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가 걸림후크의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후크의 개구부 또는 개구부의 일측에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의 바깥쪽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메인붐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이동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하단부가 걸쳐져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면 중심부에 오목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전방으로 일정 높이의 수직 지지편이 구비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유동방지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는 암롤트럭이 쓰레기나 폐기물을 수거하는 기본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다른 작업장치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차량 운행시 견고하고 안정되게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이 되도록 하여 안전한 차량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특수 목적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메인붐으로 연결하거나 메인붐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작업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전후 회동시 멍에부재가 걸림후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컨테이너 결박수단이 메인붐의 고정후크로 안전하게 이동되고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암롤트럭의 적재함 상하차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에 대한 발췌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에 대한 일 측면도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가 차량의 샤시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메인붐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메인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로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이동시키는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박수단(Container Handling Unit)의 고정장치(이하, ‘결박수단 고정장치’로 약칭함)는 암롤트럭의 운전석 후방 샤시 프레임 전단측에 설치되어 암롤트럭을 쓰레기 또는 폐기물을 수집하는 용도로 사용될 경우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고정하고 있다가, 암롤트럭을 컨테이너 운송용으로 이용할 때 고정하고 있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메인붐의 견인후크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컨테이너 결박수단이 결합된 메인붐의 동작을 통해 샤시 프레임의 상면으로 컨테이너의 상차 및 지상으로 하차가 가능하도록 하고, 컨테이너 하차 후 본래 위치로 복귀하는 메인붐의 견인후크로부터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회수하여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박수단 고정장치는 쓰레기 수거나 폐기물 수거를 위한 적재함이 샤시 프레임의 상면에 탈부착하도록 구성된 암롤트럭의 메인붐 전방 측에서 적재함의 상하차시 적재함 뿐만 아니라 메인붐의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박수단 고정장치는 암롤트럭의 운전석 후방측 프레임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중심부에 이르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받침부재 또는 상기 받침부재에 별도로 고정 설치된 지지부재에 하단부가 축 고정되어 수직상태에서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한 쌍의 회동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의 상단에서 후상향 되게 일정 기울기로 각각 설치되되, 상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일정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컨테이너 결박수단에 구비되는 멍에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걸림후크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제어조작반의 제어명령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회동부재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걸림후크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를 메인붐의 견인후크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회동부재를 전방으로 잡아 당겨 메인붐의 견인후크에 위치한 멍에부재를 걸림후크로 회수할 수 있도록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상기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 또는 한 쌍의 걸림후크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연결대에 일단(상단부)이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타단(하단부)이 샤시 프레임 또는 상기 받침부재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의 전후 회동시 걸림후크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가 걸림후크의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후크의 개구부 또는 개구부의 일측에는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의 바깥쪽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컨테이너를 하차시킨 후 메인붐의 견인후크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이동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하단부가 걸쳐져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컨테이너 결박수단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상면 중심부에 오목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전방으로 일정 높이의 수직 지지편이 구비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유동방지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기능을 고려하여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및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 경우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암롤트럭(또는 ‘차량’이라고 약칭함)의 차폭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표현하고, 차량 길이방향 중 운전석을 향하는 쪽을 ‘전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가운데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 가운데에서 ‘~부’, ‘~장치’, ‘~수단’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위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부품이나 장치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품이나 기구물, 장치 등을 게재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거나 공지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안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능이나 동작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에 한정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박수단 고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박수단 고정장치(100)를 발췌한 사시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박수단 고정장치(100)의 일 측면도와 정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박수단 고정장치(100)는 암롤트럭의 운전석 후방 프레임에 차폭방향으로 일정 높이의 받침부재(110)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10)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받침부재(110)에 별도로 고정 설치된 지지부재(120)에 하단부가 축 고정되어 수직상태에서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한 쌍의 회동부재(150,151)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회동부재(150,151)가 상기 받침부재(110)의 상면에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 지지부재(120)에 하단부가 고정핀(130)으로 축 고정되어 그 상단부가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동부재(150,151)는 메인붐보다는 다소 낮은 높이를 갖는 기둥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150,151)의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 일정 크기의 개구부(165)가 형성된 걸림후크(160,16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후크(160,161)는 회동부재(150,151)의 후방으로 일정거리 돌출된 상태에서 그 개구부(165)가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어져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걸림후크(160,161)가 회동부재(150,151)의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그 개구부(165)가 일정 기울기로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이유는 하단부가 고정된 회동부재(150,151)의 회동시 후술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에 자연스럽게 끼워지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좌우 양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걸림후크(160,161)를 상호 연결하도록 걸림후크(160,161)의 후면에 수평연결대(162)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연결대(162)와 하부측 받침부재(110) 사이에는 상기 회동부재(150,151)를 후방 또는 전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이 구비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은 상기 회동부재(150,151)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걸림후크(160,161)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를 메인붐의 견인후크로 이동시켜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메인붐으로 인계하여 컨테이너의 상하차가 가능하도록 하고, 컨테이너 상하차 후 메인붐의 견인후크에 위치한 멍에부재를 걸림후크(160,161)에 걸어 상기 회동부재(150,151)를 전방으로 잡아 당겨 회수할 수 있도록 회동부재(150,151)의 전후방 회동에 이용된다.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이 양쪽 걸림후크(160,161)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연결대(16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좌우 회동부재(150,151)를 동시에 전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일측 회동부재 또는 양측 회동부재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차량의 장착공간의 제약 및 부품수의 절감 등을 감안하여 양쪽 회동부재(150,151)의 중간부에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이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의 설치 위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다른 부품들이나 장치로 인해 그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은 하단부가 받침부재(110)에 고정되어 상부로 일정 높이 설치되는 고정지지대(182)와, 상기 고정지지대(182)의 상단부와 수평 연결대(162)의 후면에 상하단이 각각 연결되어 신축 동작이 이루어지는 가변실린더(18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변실린더(184)는 차량측 유압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도 전기식 실린더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가변실린더(184)의 동작은 운전석에 구비되는 메인조작반이나 별도의 휴대용으로 제공되는 제어조작반의 조작을 통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변실린더(184)의 동작 및 제어에 필요한 기술구성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150,151)의 전후 회동시 회동부재(150,151)가 기울어짐으로 인해 걸림후크(160,161)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가 아래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개구부(165)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후크(160,161)의 개구부(165) 또는 개구부(165)의 일측에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170)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170)은 메인붐의 견인후크에 구비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를 걸림후크(160,161)로 회수하는 과정에 더욱 유용하게 이용된다.
즉, 수직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회동부재(150,151)의 상단 걸림후크(160,161)에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가 위치한 상태에서 회동부재(150,151)가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의 신장으로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기울어지게 되면, 걸림후크(160,161)의 개구부(165)가 윗쪽을 향하고 있다가 아래쪽을 항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150,151)가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후방 회동이 완료되어 걸림후의 개구부가 향하는 위치에 메인붐의 견인후크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걸림후크(160,161)의 내측에 위치한 멍에부재가 자중에 의해 개구부(165)를 빠져 나와 메인붐의 견인후크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므로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170)을 특별히 이용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컨테이너 상하차 후 메인붐의 견인후크 내측에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가 위치한 상태에서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회수하기 위해 회동부재(150,151)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걸림후크(160,161) 내측으로 멍에부재가 진입된 상태에서 회동부재(150,151)를 전방으로 회동시킬 경우 걸림후크(160,161)의 개구부(165)가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멍에부재가 걸림후크(160,161)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회수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회동부재(150,151)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걸림후크(160,161) 내측으로 멍에부재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170)을 신장시켜 개구부(165)를 차단함으로써 회동부재(150,151)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개구부(165)가 아래로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더라도 멍에부재의 이탈이 방지되어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고정위치로 회수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한다.
상기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170)은 걸림후크(160,161)의 개구부(165)를 일정한 각도로 차단만 하면 되므로, 큰 힘이 필요치 않아 크기가 작은 소형 전기식 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170) 또한 운전석의 메인조작반 또는 휴대용 제어조작반의 조작을 통해 작업자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의 동작에 필요한 기술적인 구성 역시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 가능한 정도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150,151)의 바깥쪽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컨테이너를 하차시킨 후 메인붐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이동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하단이 걸쳐져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에서 결박수단 고정장치에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유동방지 고정수단(19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유동방지 고정수단(19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 중심부에 오목한 걸림부(192)가 형성되어 결박수단의 하단부가 안착되어 걸릴 수 있도록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192)의 전방에는 일정 높이의 수직 지지편(194)이 구비되어 걸림부(192)에 하단부가 걸쳐진 컨테이너 결박수단이 반듯하게 세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차량의 샤시 프레임(C)에 컨테이너(300)가 상차된 상태에서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으로 결박된 상태 및 결박수단 고정장치(100)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으로 발췌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박수단 고정장치(100)는 암롤트럭의 적재함이 안착되는 샤시 프레임(C)의 전단에 설치되어 적재함 및 컨테이너의 안착시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운전석에 구비되는 메인조작반이나 별도의 휴대용 제어조작반의 제어를 통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운전석의 메인조작반 또는 휴대용 제어조작반의 조작을 통해 회동부재(150,151) 전후 동작 및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유압장치나 전기장치가 부가되나, 통상 특장차량의 경우 다양한 작업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해 많은 전기장치 및 유압제어장치가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의 유압시스템의 구성이나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170)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장치의 구성을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박수단 고정장치의 동작실시예
한편,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박수단 고정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결박수단 고정장치(100)의 측면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결박수단 고정장치(100)의 측면 동작상태를 통해 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에, 한 쌍으로 이루어져 동시에 동작되는 회동부재(150,151) 및 걸림후크(160,161)에 대해서는 일측 하나의 부호만을 기재하여 설명한다.
1) 결박수단 고정장치에서 메인붐으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이동(인계)
도 7은 차량의 샤시 프레임(C) 전단에 설치된 결박수단 고정장치(100)에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상하차를 위해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을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단계별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의 (a)는 결박수단 고정장치(100)의 양측으로 구비된 유동방지 고정수단(190)에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하단부가 안착,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중간 위치에서 전방을 향해 ‘>’형으로 구성된 멍에부재(210)의 하단부가 결박수단 고정장치(100)의 상단부에 구비된 걸림후크(160,161)에 걸려 고정된 상태이다.
(a)의 상태에서 컨테이너 상하차를 위해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을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박수단 고정장치(100)의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을 신장시킴으로써 하단부가 축 고정된 회동부재(150)가 후방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이 최대로 신장되어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이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상부 멍에부재(210)가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하단부는 유동방지 고정수단(190)의 오목한 걸림부(192)에 하단부가 걸쳐진 상태에서 상단부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상부측 멍어부재(210)가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 내측으로 안착됨으로써 컨테이너 결박수단의인계가 완료된다.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 내측으로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상부측 멍어부재(210)가 안착된 것을 확인한 후, 작업자의 제어조작반 제어를 통해 상기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을 수축시키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50) 및 걸림후크(16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150)가 최초의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에 걸쳐져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진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은 메인붐(30)의 회동동작에 따라 걸림부(192)에 걸쳐진 하단부가 빠져 나가게 되고, 메인붐(30)의 회동동작으로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은 차량 후방으로 이동된 후에 컨테이너의 일단에 고정되어 컨테이너의 상차가 가능하도록 한다.
2) 메인붐에서 결박수단 고정장치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이동(회수)
상술한 도 7의 일련의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면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에 고정된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을 결박수단 고정장치(100)로 회수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도 8을 참고하여 메인붐(30)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회수과정을 설명하면, 컨테이너를 지상으로 하차시킨 후에 컨테이너에서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분리한 후, 메인붐(30)을 차량측으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메인붐(30)이 차량측으로 회동되면서 컨테이너에서 분리되어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에 걸쳐진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은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전방으로 이동되어 약간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메인붐(30)이 차량의 샤시 프레임(C) 내측으로 복귀하는 동안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은 메인붐(30)이 프레임(C)의 내측으로 하강하여 안착되면, 결박수단 고정장치(100)로 접근하고 있던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하단부가 유동방지 고정수단(190)의 상면에 걸쳐져 ∨형으로 이루어진 걸림부(192)에 걸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하단부가 걸림부(192)에 안착되고 상단부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도 9의 (a)~(c)의 과정이 이루어지면서 메인붐(30)에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고 있던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이 결박수단 고정장치(100)측으로 회수된 후에 수직상태로 고정된다.
즉, 도 9의 (a)는 메인붐(30)이 하강되면서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하단부가 유동방지 고정수단(190)에 안착되고, 그 상태에서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을 동작시켜 가변실린더(184)가 신장되도록 한다.,
가변실린더(184)가 신장됨으로 인해서 수직 상태에 있던 회동부재(150)가 후방으로 회동되고, 회동부재(150)의 회동으로 회동부재(150)의 상단부에 구비된 걸림후크(160)가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쪽으로 하강되며, 걸림후크(160)의 하강으로 걸림후크(160)의 개구부(165)를 통해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하부측 멍에부재(210)가 걸림후크(160) 내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걸림후크(160)의 내측으로 멍에부재(210)가 진입된 것을 확인한 후에,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조작반의 제어를 통해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170)을 동작시키고,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170)이 신장되면서 걸림후크(160)의 내측으로 진입한 멍에부재(210)는 구속상태가 유지된다.
그 다음에,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을 동작시켜 가변실린더(184)가 수축되도록 하고, 가변실린더(184)의 수축 동작에 따라 회동부재(150)가 전방으로 회동되고, 회동부재(150)의 전방 회동으로 걸림후크(160)에 고정된 멍에부재(210)의 견인력에 의해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이 전방으로 견인된다.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의 동작이 완료되면, 회동부재(150)는 수직상태가 유지되고,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은 걸림후크(160)에 멍에부재(210)가 구속된 상태가 유지되어 수직상태로 결박수단 고정장치(1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박수단 고정장치(100)는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의 동작을 통해 회동부재(150)를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을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에서 결박수단 고정장치(10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170)의 신축조절을 통해 걸림후크(160)에 멍에부재(210)의 구속과 이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암롤트럭에 추가로 설치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안전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가 일부 구성 및 위치의 간단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10 : 운전석 20 : 적재함
30 : 메인붐 32 : 수평붐
34 : 수직붐 35 : 견인후크
C : 프레임
100 : 컨테이너 결박수단 고정장치 110 : 받침부재
120 : 지지부재 130 : 고정핀
150,151 : 회동부재 160,161 : 걸림후크
162 : 수평연결대 165 : 개구부
170 :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 180 :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
182 : 고정지지대 184 : 가변실린더
190 : 유동방지 고정수단 192: 걸림부
194 : 수직 지지편
200 : 컨테이너 결박수단 210 : 멍에부재
300 : 컨테이너

Claims (3)

  1. 암롤트럭의 운전석 후방에서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100)는,
    운전석 후방에서 차폭방향으로 프레임에 설치되는 받침부재(110);
    상기 받침부재(110)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중심부에 이르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받침부재(110) 또는 상기 받침부재(110)에 별도로 설치된 지지부재(120)에 하단부가 축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150,151);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150,151)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되, 일정 기울기로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165)가 형성되어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에 구비되는 멍에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걸림후크(160,161);
    제어조작반의 제어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회동부재(150,151)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걸림후크(160,161)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멍에부재를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회동부재(150,151)를 전방으로 잡아 당겨 메인붐(30)의 견인후크(35)에 위치한 멍에부재를 걸림후크(160,161)로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150,151) 또는 한 쌍의 걸림후크(160,161)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연결대(16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프레임 또는 상기 받침부재(110)에 고정 설치되는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150,151)의 전후 회동시 걸림후크(160,161)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멍에부재(210)가 걸림후크(160,161)의 개구부(165)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후크(160,161)의 개구부(165) 또는 개구부(165)의 일측에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17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150,151)의 바깥쪽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메인붐(30)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이동된 컨테이너 결박수단(200)의 하단부가 걸쳐져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면 중심부에 오목한 걸림부(19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192)의 전방으로 일정 높이의 수직 지지편(194)이 구비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유동방지 고정수단(190)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KR1020210020458A 2021-02-16 2021-02-16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KR102411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458A KR102411164B1 (ko) 2021-02-16 2021-02-16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458A KR102411164B1 (ko) 2021-02-16 2021-02-16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164B1 true KR102411164B1 (ko) 2022-06-22

Family

ID=8221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458A KR102411164B1 (ko) 2021-02-16 2021-02-16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1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417B1 (ko) * 2023-01-09 2023-05-09 리텍 주식회사 한국형 기동화 플랫폼 pls트럭 시스템
KR102535586B1 (ko) * 2023-01-09 2023-05-30 리텍 주식회사 Pls플랫폼으로 구성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KR102556440B1 (ko) * 2023-04-10 2023-07-18 리텍 주식회사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305U (ko) * 1997-11-10 1999-06-05 추호석 암롤 트럭의 암롤 박스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305U (ko) * 1997-11-10 1999-06-05 추호석 암롤 트럭의 암롤 박스 록킹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417B1 (ko) * 2023-01-09 2023-05-09 리텍 주식회사 한국형 기동화 플랫폼 pls트럭 시스템
KR102535586B1 (ko) * 2023-01-09 2023-05-30 리텍 주식회사 Pls플랫폼으로 구성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KR102556440B1 (ko) * 2023-04-10 2023-07-18 리텍 주식회사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164B1 (ko)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US8857837B2 (en) Trailer for transporting freight containers and method of use
CN106103237B (zh) 拖拉-骑乘式运货车组件
US6821075B2 (en) Hoist with trailer hitch attachment
US20110202199A1 (en) Cargo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a Vehicle
US20140312593A1 (en) Folding vehicular utility trailer
CN102282042A (zh) 集装箱拖车
US9073590B2 (en) Trailer
US7726930B2 (en) Adjustable height jib for a hook-lift hoist
US6669433B1 (en) Device for handling containers for road transport
US7341419B1 (en) Mechanism for securing a tilt frame of a hook lift hoist to a truck frame
US20180178704A1 (en) Hooklift trailer
US7322627B1 (en) Vertically adjustable truck bed
KR101843011B1 (ko) 윈치의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로우더
US20120237324A1 (en) Lifting and transferring apparatus and method
US5193968A (en) Pull trailer dump truck
US4589671A (en) Load carrying road vehicles
US6761524B2 (en) Loadhandling equipment and vehicle incorporating it
CN207482666U (zh) 一种拉臂式垃圾车及其拉臂架装置
CN209988481U (zh) 车厢可卸式垃圾车
CN210591575U (zh) 一种平台运输车
KR100429030B1 (ko) 화물차, 덤프차의 덤핑장치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US10596974B2 (en) Hydraulic pallet jack box actuation system for a refuse truck an
CN207810383U (zh) 一种电动式钩臂垃圾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