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440B1 -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 Google Patents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440B1
KR102556440B1 KR1020230046823A KR20230046823A KR102556440B1 KR 102556440 B1 KR102556440 B1 KR 102556440B1 KR 1020230046823 A KR1020230046823 A KR 1020230046823A KR 20230046823 A KR20230046823 A KR 20230046823A KR 102556440 B1 KR102556440 B1 KR 102556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
pls
hook arm
hook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규
이기관
이강욱
이상호
이병찬
Original Assignee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 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by means of an inclined ramp connec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PLS트럭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CHU 거치대에 CHU를 자동으로 안착하여 보관하거나 CHU를 분리하여 후크 암과 간편하게 연결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CHU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트럭의 샤시프레임에 상차하는 기술은 컨테이너 결박수단이 기울어질 수 있는 불필요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점유면적이 커지고,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PLS조립체의 전방에 설치된 CHU 거치대에 미사용시 CHU를 자동으로 안착하여 안정적으로 거치함 물론 상기 CHU를 사용할 경우 리프팅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CHU의 견인핀이 후크 암의 후크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할 때까지 승강한 후 상기 후크 암을 전진시켜 CHU의 견인핀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PLS truck system with CHU automatic landing system applied}
본 발명은 PLS트럭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CHU 거치대에 CHU를 자동으로 안착하여 보관하거나 CHU를 분리하여 후크 암과 간편하게 연결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엘에스(Palletized Load System, 이하 'PLS'라 함) 트럭은 팔렛트화된 화물을 트럭에 적재 및 하역, 운송할 수 있도록 엔진과 운전석이 구비된 트럭과, 트럭에 장착된 리프트시스템(후크 암) 및 착탈식 플랫랙(flat racks)으로 구성된다.
즉 PLS트럭은 트럭과 트레일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특수한 형태의 트럭 화물 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군사용과 같은 특수 목적용으로 주로 사용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화물(탄약재, 전술장비, 식료품, 트럭, 전술지원장비 등)을 분리형 침대로 불리는 플랫랙에 적재한 상태에서 플랫랙을 트럭의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하여 샤시프레임(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 상면에 보조프레임이 추가로 설치된 경우도 있음)에 탑재한 후 목적지로 이동한 후에 탑재된 플랫랙을 지상에 그대로 하역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PLS트럭은 다양한 지역 및 환경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군사훈련과 전술수행이 가능하도록 지원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전술적 자산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PLS트럭은 다양한 형태의 플랫랙을 사용하여 트럭에 장착된 리프트 시스템으로 이용되는 유압식 암을 통해 샤시프레임에 적재 및 하역할 수 있기 때문에 기타 추가적인 자재가 필요하지 않고, 패키지 또는 모듈화된 화물을 운송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화물의 운송효율을 높이고, 필요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여 신속한 전술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PLS트럭은 플랫랙 뿐만 아니라 트럭에 CHU(Container Handling Unit, 이하 'CHU'라 함)를 갖출 경우 표준규격의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역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야전에서 군사들의 숙소로 사용되는 막사나 취사실, 야전병원, 야전 지휘소, 화장실 등 일정한 규모의 시설물을 적재, 운송하여 현장에서의 시설을 구축하는데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민간분야에서 컨테이너는 산업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원료나 제품, 상품을 운송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식 주택이나 간이형 주택, 농막, 임시 거주시설이나 임시 사무실 등을 마련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됨에 따라 컨테이너의 활용범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상기 PLS트럭의 후크 암에 CHU를 연결한 후, 연결된 CHU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트럭의 샤시프레임에 상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CHU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트럭의 샤시프레임에 상차하는 것에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특허등록 제2411164호, 명칭/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컨테이너의 상하차를 위해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메인붐의 견인후크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결박수단 고정장치의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을 신장시킴으로써 하단부가 축 고정된 회동부재가 후방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이 최대로 신장되어 컨테이너 결박수단이 메인붐의 견인후크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상부 멍에부재가 메인붐의 견인후크 내측으로 이동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컨테이너 결박수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견인후크로 이동함으로써 컨테이너 결박수단이 기울어질 수 있는 불필요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점유면적이 커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컨테이너의 상하차를 위한 작동과정이 ① 멍에부재 이탈방지수단을 수축하여 멍에부재의 구속을 해제하는 과정, ② 회동부재 제어수단을 작동하여 컨테이너 결박수단을 기울이는 과정, ③ 견인후크 내측으로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상부측 멍어부재가 안착된 후 회동부재 동작제어수단을 수축하여 회동부재 및 걸림후크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과 같은 3단계로 이루어져 구조가 복잡하고 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PLS조립체의 전방에 설치된 CHU 거치대에 미사용시 CHU를 자동으로 안착하여 안정적으로 거치함 물론 상기 CHU를 사용할 경우 리프팅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CHU의 견인핀이 후크 암의 후크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할 때까지 승강한 후 상기 후크 암을 전진시켜 CHU의 견인핀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HU를 수직으로 승강하여 CHU 거치대로부터 분리하거나 CHU를 수직으로 하강하여 안착 거치함으로써 상기 CHU의 이동경로가 수직으로 이루어져 점유면적을 최소화하여 상차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컨테이너의 상차를 위해서는 CHU를 수직으로 승강하여 CHU 거치대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후크 암이 전진하면서 CHU와 연결하는 과정의 2단계로 이루어져 상하차 작업의 신속성이 우수하고, 자동안착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를 상차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CHU를 PLS조립체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CHU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보관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후크 암을 더욱 쉽게 연결하여 컨테이너를 상차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PLS트럭에 PLS조립체가 탑재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PLS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PLS조립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PLS조립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후크 암의 후방회전 작동상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CHU 거치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CHU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CHU 거치대에 CHU가 거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CHU를 승강시켜 CHU 거치대에서 분리한 상태의 측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후크 암을 도킹핀에 연결하는 상태의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후크 암에 연결된 CHU의 하향 이동상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 리프트의 하강 및 승강상태 측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PLS트럭(1), PLS조립체(10), CHU 거치대(20), CHU(3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PLS트럭(1)은 차체를 이루는 한 쌍의 마주하는 바디프레임(2)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PLS조립체(10)는 바디프레임(2)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마주하는 메인프레임(11)의 사이에 암롤트럭에 사용되는 통상의 후크 암(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크 암(12)의 양측 및 메인프레임(11)의 내면에는 한 쌍의 후크 암 실린더(13)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후크 암 실린더(13)의 작동에 따라 후크 암(12)은 회전하면서 직접 연결된 플랫랙을 상, 하차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된 컨테이너를 상, 하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전방 상단에는 CHU(30)를 안정적으로 거치함은 물론 컨테이너의 상차시 CHU(30)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후크 암(12)의 후크(12a)와 원터치로 연결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CHU 거치대(20)가 자체적으로 설치되는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CHU 거치대(20)의 기술구성은 도 6과 같이 거치프레임(21)의 양측에 연결 설치된 앵글바(22)의 상하에 각각 ∨형상의 거치브라켓(23)이 일체로 부착되고, 거치프레임(21)의 전면 중앙에 상하로 부착된 가이드파이프(24)를 관통하여 설치된 리프팅 실린더(25)의 하측은 CHU 거치대(20)의 전면 하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리프팅 실린더(25)의 상단에는 리프트(26)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26)의 양측 후면에 ∨형상의 받침홀더(26a)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리프팅 실린더(25)의 작동에 따라 리프트(26)는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PLS조립체(10)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CHU 거치대(20)에 전용으로 거치되는 CHU(30)는 도 7 같이 H형상으로 이루어진 도킹프레임(31)의 양측 내면 상하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거치봉(32)이 각각의 거치브라켓(23)에 안착되고, 상부 중앙에는 후크 암(12)의 후크(12a)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견인핀(33)이 돌출 형성되며, 견인핀(33)의 양측에는 상기 리프트(26)에 부착된 한 쌍의 받침홀더(26a)에 받침 고정되는 한 쌍의 거치구(34)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CHU 거치대(20)의 앵글바(22)는 후단 상하에 각각 진입 가이드(28)가 내향으로 경사지게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진입 가이드(28)는 거치브라켓(23)에 안착되는 다수의 거치봉(32)이 거치브라켓(23)의 상부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정확한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후크 암(12)의 하부 회전에 따라 CHU 거치대(20)는 도 11과 같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거치봉(32)은 거치브라켓(23)의 상부 후방에 위치하는 진입 가이드(28)에 의해 거치브라켓(23)으로 원활하게 진입하여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CHU(30)는 미사용시 CHU 거치대(20)의 거치브라켓(23) 및 리프트(26)의 받침홀더(26a)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CHU(30)를 사용할 경우에는 리프팅 실린더(25)의 작동에 따라 도 9 및 도 10과 같이 CHU(30)의 견인핀(33)이 후크 암(12)의 후크(12a)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할 때까지 승강하여 CHU 거치대(2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후크 암(12)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기구의 작동에 따라 후크 암(12)을 전진시켜 견인핀(33)에 후크(12a)를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CHU(30)를 이용하여 컨테이너(50)를 상차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CHU(30)의 도킹프레임(31)은 양측 중앙 상하에 다수의 수직 가이드롤러(37)가 설치되고, 수직 가이드롤러(37)는 상기 도킹프레임(31)의 하강시 컨테이너 전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수직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뿐만 아니라 CHU(30)의 도킹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컨테이너의 전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CHU(30)는 후크 암(12)에 연결되는 견인핀(33)에 집중하는 하중으로부터 도킹프레임(31)의 휘어지거나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킹프레임(31)의 상단 중앙에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프레임(35)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CHU 거치대(20)에 자동으로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거치되는 CHU(30)를 누름 고정하면서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기술이 유기적으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리프트(26)의 양측 상단에 고정바(27a)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바(27a)의 상단에는 누름판(27)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되며, 이러한 누름판(27)은 도 8 및 도 12와 같이 CHU 거치대(20)에 안착된 CHU(30)의 거치구(34)를 누름 고정함으로써 CHU(30)의 상하 유동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1: PLS트럭 2: 바디프레임
10: PLS조립체 11: 메인프레임
12: 후크 암 12a: 후크
13: 후크 암 실린더 20: CHU 거치대
21: 거치프레임 22: 앵글바
23: 거치브라켓 24: 가이드파이프
25: 리프팅 실린더 26: 리프트
26a: 받침홀더 27: 누름판
28: 진입 가이드 30: CHU
31: 도킹프레임 32: 거치봉
33: 견인핀 34: 거치구
37: 수직 가이드롤러

Claims (6)

  1. PLS트럭(1)의 바디프레임(2)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마주하는 메인프레임(11)의 사이에 후크 암 실린더(13)의 작동에 따라 후크 암(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PLS조립체(10)와;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전방 상단에 설치된 거치프레임(21)의 양측에 연결 설치된 한 쌍의 앵글바(22) 상하에 각각 거치브라켓(23)이 부착되고, 상기 거치프레임(21)의 중앙에 설치된 리프팅 실린더(25)의 작동에 따라 리프트(26)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26)의 양측 후면에 받침홀더(26a)가 부착된 CHU 거치대(20)와;
    상기 거치브라켓(23)에 안착되는 다수의 거치봉(32)이 도킹프레임(31)의 양측 내면 상하에 돌출 형성되고, 도킹프레임(31)의 상부 중앙에 하부로 돌출 형성된 견인핀(33)의 양측에 상기 리프트(26)의 받침홀더(26a)에 안착되는 한 쌍의 거치구(34)가 형성된 CHU(3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앵글바(22)의 후단 상하에는 각각 거치브라켓(23)에 안착되는 다수의 거치봉(32)이 거치브라켓(23)의 상부로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진입 가이드(28)가 내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HU(30)는 미사용시 CHU 거치대(20)에 거치되는 한편, 상기 CHU(30)의 사용시엔 리프팅 실린더(25)의 작동에 따라 CHU(30)의 견인핀(33)이 후크 암(12)의 후크(12a)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할 때까지 승강한 후 상기 후크 암(12)을 전진시켜 견인핀(33)에 선택적으로 연결한 상태로 CHU(30)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상차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26)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고정바(27a)의 상단에 누름판(27)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누름판(27)은 CHU 거치대(20)에 안착된 CHU(30)의 거치구(34)를 누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HU(30)는 도킹프레임(31)의 상단 중앙에는 견인핀(33)에 집중하는 하중으로부터 도킹프레임(31)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프레임(3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프레임(31)의 양측 중앙 상하에는 상기 도킹프레임(31)의 하강시 컨테이너의 전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수직 가이드롤러(3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KR1020230046823A 2023-04-10 2023-04-10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KR102556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823A KR102556440B1 (ko) 2023-04-10 2023-04-10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823A KR102556440B1 (ko) 2023-04-10 2023-04-10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440B1 true KR102556440B1 (ko) 2023-07-18

Family

ID=8742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823A KR102556440B1 (ko) 2023-04-10 2023-04-10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4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8856A (en) * 1995-03-17 1996-09-18 Cargotec On-vehicle storage of an adaptor for a load handling system
JP2020104768A (ja) * 2018-12-28 2020-07-09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荷役車両
KR102411164B1 (ko) * 2021-02-16 2022-06-22 한국오텍 주식회사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8856A (en) * 1995-03-17 1996-09-18 Cargotec On-vehicle storage of an adaptor for a load handling system
JP2020104768A (ja) * 2018-12-28 2020-07-09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荷役車両
KR102411164B1 (ko) * 2021-02-16 2022-06-22 한국오텍 주식회사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4039A (en) Uniframe rolloff dumpster
CN107848721B (zh) 用于装载和卸载液化天然气罐容器的设备
US7351027B2 (en) Vehicle loader mechanism
CN100418864C (zh) 货运机架
EA024311B1 (ru) Съемная несущая траверса, снабженная сед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высотой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полуприцепа во время его погруз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разгрузки
CN206384597U (zh) 运车架
US11958397B2 (en) Container transfer system
US3520429A (en) Transport vehicle for heavy loads
KR102411164B1 (ko) 컨테이너 결박수단의 고정장치
KR102556440B1 (ko) Chu 자동안착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US2613829A (en) Self-centering bale handler
KR102529417B1 (ko) 한국형 기동화 플랫폼 pls트럭 시스템
US20170120794A1 (en) Dual Axis Tow Lift
US6543986B2 (en) Apparatus with upper displacement member for handling articles
CN102202982A (zh) 板状体的叠放装置及搬运车辆
US2925929A (en) Die handler
US20060182567A1 (en) Glass loading rack
CN210635159U (zh) 利用货架支撑保持平衡的侧向装卸货装置
KR102535586B1 (ko) Pls플랫폼으로 구성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JP4062590B2 (ja) 被搬送物吊下搬送用ハンガー
JP3011534U (ja) 積載物運搬車輌の積載装置
US20220194766A1 (en) Rear mounted lift for over-the-road vehicle
CN211223800U (zh) 一种用于集装箱运输的船舶安装架
CN215622023U (zh) 一种多功能小叉货推车
JP2740895B2 (ja) 重ワークの輸送用コンテナからの搬出方法および輸送用コンテナへの搬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