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573B1 - 교정용 젓가락 - Google Patents

교정용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573B1
KR102410573B1 KR1020200060050A KR20200060050A KR102410573B1 KR 102410573 B1 KR102410573 B1 KR 102410573B1 KR 1020200060050 A KR1020200060050 A KR 1020200060050A KR 20200060050 A KR20200060050 A KR 20200060050A KR 102410573 B1 KR102410573 B1 KR 10241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chopsticks
seating plate
user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388A (ko
Inventor
앤드류 셀프 제임스
김경렬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6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57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정용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젓가락용 제1 스틱과 제2 스틱; 자성체로 마련되어 일측은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2 스틱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타측에 자력에 의해 안착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감싸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사용자의 검지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엄지가 상기 결합부재를 눌러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는 회전축을 형성한 후,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로 상기 제2 스틱을 밀거나 당겨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결합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스틱으로부터 회동되게 하는 교정용 젓가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젓가락용 두 스틱을 자력에 의해 결합시켜 두 스틱의 회동을 거스르지 않으면서 엄지의 누르는 힘을 사용자로부터 이끌어냄으로써, 일반 젓가락 사용법과 유사한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학습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교정용 젓가락{Chopsticks for training}
본 발명은 교정용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젓가락 사용법을 쉽게 학습 및 훈련할 수 있는 교정용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올바른 젓가락 사용은 두뇌개발과 소 근육 발달에 도움이 된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많은 성인들이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모르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5 ~ 7세 때, 젓가락 학습과 훈련을 적절히 받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아동은 일명 ‘에디슨 젓가락’이라고 알려진 교정용 젓가락을 통해 젓가락 사용법을 학습하고 있다. 그러나, 사전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기존의 에디슨 젓가락 사용 시 손가락 위치를 쉽게 터득하고, 손쉬운 사용으로 학습 자신감을 길러주어 향후 젓가락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이후 일반 젓가락 사용 과정으로 넘어갔을 때, 올바른 젓가락 파지와 이용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디슨 젓가락은 집게 형식으로 제작되어 아동들이 집게를 벌리는 동작만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나, 분리형인 일반 젓가락과 그 구조가 상이하여 올바른 젓가락 파지와 이용에는 한계가 따른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7685호』
본 발명은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학습 및 훈련할 수 있는 교정용 젓가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젓가락용 제1 스틱과 제2 스틱;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자력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제1 스틱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교정용 젓가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젓가락용 제1 스틱;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젓가락용 제2 스틱을 포함하는 교정용 젓가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젓가락용 제1 스틱과 제2 스틱; 자성체를 포함하며, 일측은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스틱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타측에 자력에 의해 안착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감싸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사용자의 검지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엄지가 상기 결합부재를 눌러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는 회전축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검지와 중지로 상기 제2 스틱을 밀거나 당겨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결합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스틱으로부터 회동되게 하는 교정용 젓가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젓가락용 두 스틱을 자력에 의해 결합시켜 두 스틱의 회동을 거스르지 않으면서 엄지의 누르는 힘을 사용자로부터 이끌어냄으로써, 일반 젓가락 사용법과 유사한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학습시킬 수 있다.
둘째, 안착 플레이트에 손가락 안내용 그루브와 걸림턱을 형성하고, 제1 스틱의 중단을 구부려 굴곡을 형성하면, 젓가락의 올바른 파지법을 사용자에게 학습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교정용 젓가락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교정용 젓가락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100)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교정용 젓가락(100)은 사용자에게 일반 젓가락의 사용법과 유사한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학습 및 훈련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스틱(110), 제2 스틱(120), 안착 플레이트(130) 및 결합부재(140)를 포함한다.
제1 스틱(110)과 제2 스틱(120)은 젓가락용으로 제작된 막대로, 횡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틱(110)은 중단의 굴곡인 약지 걸림홈(111)이 형성되어 후술될 교정용 젓가락(100)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약지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약지가 위치되어야 할 부분을 안내함은 물론, 제1 스틱(110)이 사용자의 약지에 걸려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130)는 자성체로 마련되어 일측은 제1 스틱(110)의 상단부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결합되며, 대칭된 부분인 타측은 제2 스틱(12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안착 플레이트(130)는 상부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엄지 그루브(131), 검지 그루브(132), 중지 걸림턱(133) 및 엄지 수평턱(134)을 포함한다.
엄지 그루브(131)는 안착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사용자의 엄지 형상에 대응되는 인입된 구조로 제1 스틱(110)으로부터 제2 스틱(120)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후술될 결합부재(140) 방향을 지향하여 형성된다. 이때, 엄지 그루브(131)에는 사용자 엄지와의 마찰력 향상을 위해 고무재질의 요철면(13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지 그루브(132)는 안착 플레이트(130)의 후면에 사용자의 검지 형상에 대응되는 인입된 구조로 제1 스틱(110)으로부터 제2 스틱(120)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안착 플레이트(130)가 사용자의 검지 내측에 안착되도록 한다. 역시, 검지 그루브(132)에도 사용자 검지와의 마찰력 향상을 위해 고무재질의 요철면(13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지 걸림턱(133)은 하부 후면이 돌출되어 사용자의 중지 상부가 밀착됨으로써, 안착 플레이트(130)가 사용자의 중지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다.
엄지 수평턱(134)은 후술될 결합부재(140)를 수용하여 사용자 엄지의 첫마디와 끝마디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안착 플레이트(130)의 사용자 엄지의 첫마디가 닿는 부분이 돌출되어 결합부재(140)와 수평을 이루게 형성된다. 다만, 제2 스틱(120)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도록 제2 스틱(120)의 회동 반경을 벗어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스틱(120)의 회동 반경이 부채꼴 형상임을 감안하여 회동 반경에 근접한 엄지 수평턱(134)의 측면은 제2 스틱(120)의 회동 반경에 대응되는 사선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부재(140)는 자석을 포함한 상태로 제2 스틱(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안착 플레이트(130)의 타측에 자력에 의해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재(140)는 타측의 하부에 결합되어 안착 플레이트(130)가 사용자의 검지에 의해 지지될 때, 사용자의 엄지 위치 부분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착 플레이트(130)와 결합부재(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 플레이트(130)가 자성체로 마련되고, 결합부재(140)가 자석을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이와 달리, 둘 모두가 자석을 포함하여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거나, 어느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결합부재(140)는 안착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엄지에 지지된 상태로 안착 플레이트(130)의 전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안착 플레이트(130)가 결합부재(14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됨은 물론, 원활한 결합과 회전을 위해 서로 대면하는 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결합부재(140)의 상면에도 사용자 엄지와의 마찰력 향상을 위해 고무재질의 요철면(1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한 요철면(131a, 132a, 141)들은 엄지의 마디와 끝 그리고, 검지에 의한 하중이 가장 많이 전달되는 부분을 기점으로 수면위에 파동이 전파되는 형태의 패턴으로 형성된다.
삭제
아울러, 제1 스틱(110)과 제2 스틱(120)은 각각 안착 플레이트(130)와 결합부재(140)에 관통하는 구조 또는 끼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100)의 사용 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젓가락용 제1 스틱(110)에 자성체인 안착 플레이트(130)가 설치되며, 제2 스틱(120)에는 자석을 포함하는 결합부재(140)가 설치되어 안착 플레이트(130)에 자력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1 스틱(110)과 제2 스틱(120)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그 폭이 벌어지게 배치한다.
이후, 사용자는 안착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엄지 그루브(131), 검지 그루브(132) 및 중지 걸림턱(133), 그리고, 제1 스틱(110)의 약지 걸림홈(111)의 형상에 대응하여, 엄지, 검지 및 중지로 안착 플레이트(130)를 감싸 안착 플레이트(130)가 검지에 안착된 상태로 엄지가 결합부재(140)를 눌러 지지함으로써, 두 젓가락을 파지한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 플레이트(130)가 검지에 안착된 상태로 엄지로 안착 플레이트(130) 전면의 결합부재(140)를 눌러 제2 스틱(120)의 회전을 위한 축을 형성한 후, 검지와 중지로 제2 스틱(120)의 중단을 밀거나 당겨 제2 스틱(120)이 상기 결합부재(140)를 기준으로 제1 스틱(110)으로부터 회동되게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100)은 일반 젓가락과 유사한 동작 구조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각 손가락의 배치와 동작 방향을 형상과 구조를 통해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학습 및 훈련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200)을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교정용 젓가락(200)은 일 실시예의 결합부재(140)의 구성이 없이 제2 스틱(220)이 안착 플레이트(230)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일 실시예의 교정용 젓가락(100)과 동일한 동작으로 회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스틱(220)은 결합부재(140)의 구성없이 안착 플레이트(230)의 전면에 안착 및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안착 플레이트(230)가 사용자의 검지에 안착된 상태에서 엄지가 제2 스틱(220)을 눌러 제2 스틱(220)의 회전을 위한 축을 형성한 후, 검지와 중지로 제2 스틱(220)의 중단을 밀거나 당겨 제2 스틱(220)이 눌려진 제2 스틱(220)의 부분을 기준으로 제1 스틱(210)으로부터 회동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스틱(220)은 사용자의 엄지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이 조금 넓게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착 플레이트(230)와 제2 스틱(220)은 모두 자석을 포함하여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거나, 어느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교정용 젓가락
110 : 제1 스틱 111 : 약지 걸림홈
120 : 제2 스틱 130 : 안착 플레이트
131 : 엄지 그루브 131a : 요철면
132 : 검지 그루브 132a : 요철면
133 : 중지 걸림턱 134 : 엄지 수평턱
140 : 결합부재 142 : 요철면
200 : 교정용 젓가락
210 : 제1 스틱 220 : 제2 스틱
230 : 안착 플레이트

Claims (22)

  1. 젓가락용 제1 스틱과 제2 스틱;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자력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제1 스틱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부재는,
    모두 자석을 포함하여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거나, 어느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부재는, 결합을 위해 서로 대면하는 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되,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결합부재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엄지에 눌려 지지된 상태로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부재를 각각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되는 교정용 젓가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부재를 각각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되는 교정용 젓가락.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전면 일부가 돌출되어 사용자 엄지의 첫마디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전면이 상기 결합부재의 전면과 높이가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엄지 수평턱을 포함하는 교정용 젓가락.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엄지 수평턱은,
    상기 제2 스틱의 회동 반경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회동 반경에 대응되는 사선 형태로 형성되는 교정용 젓가락.
  9. 젓가락용 제1 스틱;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젓가락용 제2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제2스틱은,
    모두 자석을 포함하여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거나, 어느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2스틱은 사용자의 엄지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이 조금 넓게 확장되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제2스틱은, 결합을 위해 서로 대면하는 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2스틱은,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엄지에 눌려 지지된 상태로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회전하는 교정용 젓가락.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전면 일부가 돌출되어 사용자 엄지의 첫마디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전면이 상기 제2 스틱의 전면과 높이가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엄지 수평턱을 포함하는 교정용 젓가락.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엄지 수평턱은,
    상기 제2 스틱의 회동 반경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회동 반경에 대응되는 사선 형태로 형성되는 교정용 젓가락.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인 교정용 젓가락.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횡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교정용 젓가락.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부에 자력으로 안착되는 교정용 젓가락.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전면에 상기 제1 스틱으로부터 상기 결합부재 방향으로 사용자의 엄지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의 엄지 그루브를 포함하는 교정용 젓가락.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사용자 엄지와의 마찰력 향상을 위해, 상기 엄지 그루브에 요철면을 더 포함하는 교정용 젓가락.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후면에 상기 제1 스틱으로부터 상기 제2 스틱 방향으로 사용자의 검지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의 검지 그루브를 포함하는 교정용 젓가락.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사용자 검지와의 마찰력 향상을 위해, 상기 검지 그루브에 요철면을 더 포함하는 교정용 젓가락.
  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후면 하부가 돌출되어 사용자의 중지 상부에 안착되는 중지 걸림턱을 포함하는 교정용 젓가락.
  2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중단에 굴곡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약지 상부에 안착되는 약지 걸림홈을 포함하는 교정용 젓가락.
  22. 삭제
KR1020200060050A 2020-05-20 2020-05-20 교정용 젓가락 KR10241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050A KR102410573B1 (ko) 2020-05-20 2020-05-20 교정용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050A KR102410573B1 (ko) 2020-05-20 2020-05-20 교정용 젓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388A KR20210143388A (ko) 2021-11-29
KR102410573B1 true KR102410573B1 (ko) 2022-06-17

Family

ID=7869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050A KR102410573B1 (ko) 2020-05-20 2020-05-20 교정용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5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272Y1 (ko) * 1996-09-02 2000-03-02 황영주 젓가락
CN108236301A (zh) * 2018-04-14 2018-07-03 张宗国 一种鸳鸯磁性筷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1331A (zh) * 2009-08-05 2011-03-30 胡泽明 训练用筷子及其使用方法
KR101667685B1 (ko) 2012-09-03 2016-10-21 주식회사 아이엔피 교정용 젓가락
KR20170001033U (ko) * 2015-09-10 2017-03-20 장석현 교정용 젓가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272Y1 (ko) * 1996-09-02 2000-03-02 황영주 젓가락
CN108236301A (zh) * 2018-04-14 2018-07-03 张宗国 一种鸳鸯磁性筷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388A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7916B2 (ja) 喉頭鏡
JP2010537685A5 (ko)
CN109890262A (zh) 内窥镜
US20060027076A1 (en) Practice aid device for percussionists
WO2011015033A1 (zh) 学习用筷子
KR102410573B1 (ko) 교정용 젓가락
JP6366159B2 (ja) 矯正箸用指当て具を有する練習用箸
JP2981211B1 (ja) 箸の持ち方練習具
KR20040034471A (ko) 포경 교정구
CN205881434U (zh) 一种多功能变调夹
CN210865220U (zh) 一种钢琴指力手型矫正练习器
KR102061583B1 (ko) 휴대용 젓가락 교정기
JP2009198227A (ja) 二枚貝の閉殻力測定器
JP6133469B1 (ja) 持ち方矯正具及び練習用三味線撥並びにこれらに用いられる持ち方矯正構造
CN218305738U (zh) 心脏复苏的雾化流量表固定夹
CN201356763Y (zh) 偏瘫患者手指功能康复器
KR101230385B1 (ko) 젓가락
KR200330517Y1 (ko) 손목운동기구
CN218792903U (zh) 一种医院护理用托盘
CN202093808U (zh) 小提琴演奏用左臂矫正器
CN219435531U (zh) 一种可调节指径孔大小的吉他拨片
CN217390908U (zh) 一种自动感应的张口器
JP5922354B2 (ja) 幼児用の練習用箸
TWI507157B (zh) 筷子
CN215425269U (zh) 一种口腔治疗用开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