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164B1 -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0164B1 KR102410164B1 KR1020200041807A KR20200041807A KR102410164B1 KR 102410164 B1 KR102410164 B1 KR 102410164B1 KR 1020200041807 A KR1020200041807 A KR 1020200041807A KR 20200041807 A KR20200041807 A KR 20200041807A KR 102410164 B1 KR102410164 B1 KR 1024101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feed
- rice bran
- weight
- cri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겨를 찌는 가열단계; 상기 쪄진 쌀겨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된 쌀겨에 조류용 사료를 배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는 배합단계;를 포함하는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료 조성물을 먹이로 키운 귀뚜라미의 분변은 토양개량재로 사용하기 적합한 성분 함량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사육되는 귀뚜라미의 분변을 토양개량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적합한 성분 조성을 갖게 하기 위한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곤충이 유용한 생물자원으로 인식 및 활용되면서, 농가의 소득원으로 곤충의 인공 사육이 많이 권장되고 퍼지고 있다. 특히 귀뚜라미는 식용 및 약용으로 그 용도가 알려짐으로써, 인공 사육 대상 곤충으로 많이 선택되고 있다. 종래에는 귀뚜라미 자체를 가공하여 식품이나 약용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 등으로 사용한 예가 존재한다. 또한 귀뚜라미 사료의 경우에도 귀뚜라미의 생산성 향상 위한 효과적인 기능성 사료 개발에 그친다.
한편, 토양개량재(soil conditioner material)는 통상적으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물의 이동, 공기의 유통 등 원활한 물질순환을 위해 토양골격을 개량하는 자재인 유기질 비료, 광물 및 무기질 비료, 미생물 비료, 토양개량제 등을 총칭한다.
토양개량제(soil conditioner)는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을 식물생육에 알맞도록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각종 제품으로서, 토양의 단립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폴리비닐 계통의 고분자화합물의 투입이 실시되고, 토양의 화학적 성질의 불량성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벤토나이트·제올라이트·펄라이트·버미큘라이트 등이 이용된다. 이밖에 이탄·아탄을 화학처리한 부식산인 암모늄·마그네슘·석회염 등이 있다. 또한 퇴비·구비·볏짚·보릿짚·들풀 등에도 토양의 단립화를 형성하는 능력이 있으므로 일종의 토양개량제라고 할 수 있다.
유기질 비료(organic fertilizer)는 비료성분이 유기화합물의 형태로 함유되어 있는 비료로서, 요소·석회질소·퇴구비·녹비·식물성유박류·어박류·골분 등이 있다. 동식물성에서 유래된 유기질 비료는 3요소(질소(N), 인(P), 칼륨(K)) 외에 석회·고토·규산 등을 함유하고, 유기물이 주성분이어서 토양의 입단화를 조장하여 통기 및 보수성을 좋게 하며 염기치환용량을 증가시켜 보비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귀뚜라미의 분변을 토양개량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적합한 성분함량을 갖기 위한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쌀겨를 찌는 가열단계; 상기 쪄진 쌀겨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된 쌀겨에 조류용 사료를 배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는 배합단계;를 포함하는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는 찜기 온도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찌는 제1 가열단계(S11) 및 쌀겨를 뒤집어서 찜기 온도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찌는 제2 가열단계(S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쪄진 쌀겨를 60 내지 70℃에서 45 내지 50 시간동안 건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합단계는 상기 건조된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조류용 사료를 10 내지 35 중량부를 배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합단계 이후에 제조된 사료를 0 내지 5℃에서 보관하는 보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을 먹이로 키운 귀뚜라미는 함수율이 20% 이하(10~15%)로 낮고, 인 함량이 5% 이상(5~10%)으로 매우 높으며, 칼륨(K)(3~5%), 칼슘(Ca)(1~3%), 마그네슘(Mg)(2~4%)의 함량이 높은 분변을 제공하여 토양개량재로 사용되기 적합한 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귀뚜라미 분변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를 이용한 파종 과정을 나타내었다.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를 이용한 발아율 조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5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를 이용한 생장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6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를 이용한 생장률(최장 길이) 조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7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를 이용한 생장률(중량) 조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를 이용한 파종 과정을 나타내었다.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를 이용한 발아율 조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5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를 이용한 생장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6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를 이용한 생장률(최장 길이) 조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7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를 이용한 생장률(중량) 조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제조된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을 먹여 키운 귀뚜라미의 분변이 토양개량재로 사용되기 적합한 성분 조성을 갖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쌀겨를 찌는 가열단계(S10), 상기 쪄진 쌀겨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20), 상기 건조된 쌀겨에 조류용 사료를 배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는 배합단계(S30)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제조된 사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보관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S10)는 쌀겨를 찌는 단계로서, 찜기 온도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찌는 제1 가열단계(S11) 및 쌀겨를 뒤집어서 찜기 온도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찌는 제2 가열단계(S12)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가열단계 및 제2 가열단계를 포함하는 총 가열 시간은 4시간 30분 내지 5시간 30분인 것이 좋다.
상기 건조단계(S20)는 상기 쪄진 쌀겨를 건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찜기에서 쪄진 쌀겨를 꺼낸 후 응달에서 60 내지 70℃의 온풍을 가해 45 내지 50 시간동안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합단계(S30)는 상기 건조된 쌀겨에 조류용 사료를 배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건조된 쌀겨와 상기 조류용 사료의 배합비율은 상기 건조된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조류용 사료를 10 내지 35 중량부를 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된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석화 껍질 분말을 3 내지 4.5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여름, 가을에 귀뚜라미를 사육하는 경우 상기 건조된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조류용 사료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석화 껍질 분말을 3 내지 4 중량부를 배합하고, 봄, 겨울에 귀뚜라미를 사육하는 경우 상기 건조된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조류용 사료를 25 내지 35 중량부, 상기 석화 껍질 분말을 3.5 내지 4.5 중량부를 배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보관단계(S40)는 상기 제조된 사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단계로서, 보관 온도는 0 내지 5℃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을 먹이로 하여 실온(29 내지 34℃) 및 40 내지 60% 습도 조건에서 귀뚜라미를 사육하고, 사육 과정에서 귀뚜라미의 분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을 먹이로 귀뚜라미를 사육하여, 얻어진 귀뚜라미의 분변은 함수율이 20% 이하(10~15%)로 낮고, 별도의 발효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비료화가 가능하며, 인 함량이 5% 이상(5~10%)으로 매우 높아 식물의 파종이나 식재 전에 토양과 혼합하여 발아율을 높이고 착근을 도와주는 역할의 비료로 사용되기 적합하고, 칼륨(K)(3~5%), 칼슘(Ca)(1~3%), 마그네슘(Mg)(2~4%)이 높아 시비로 유기물, 인산과 함께 혼합 사용하였을 경우 추비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식물 생육에 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는 상기 사료 조성물을 먹여 키운 귀뚜라미 분변을 포함한다. 상기 귀뚜라미 분변을 포함하는 토양개량재는 식물 재배를 위한 토양(흙)에 1 내지 10% 부피비로 시비되어 우수한 발아율 및 생장률을 제공한다. 후술할 실험예에 따르면 상추, 열무, 치커리, 유채 및 보리에 대한 파종 후 7일 기준 발아율이 70% 내지 85%로 우수하며, 파종 후 14일 기준 생장률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상기 단계를 거쳐 제조된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을 먹여 사육한 귀뚜라미의 분변이 토양개량재로 사용하기 적합한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성분 분석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쌀겨를 찜기 온도 100℃에서 2시간 30분 찐 뒤, 뒤집어서 2시간 30분 더 쪄낸다(총 5시간). 찜기에서 꺼낸 뒤 건조실에서 48시간 건조한다. 건조 후 닭 사료 22 및 쪄진 쌀겨 75, 석화 껍질 분말 3의 중량비로 배합한다. 배합 후 사료는 저온(0℃~5℃ 유지) 창고에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비교군으로서 콩비지 100%(비교예 1), 콩비지 75% 및 닭 사료 25%(비교예 2), 일반사료(야채 등 혼합사료) 100%(비교예 3)를 사용하였으며, 사료의 종류 이외에는 모든 사육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귀뚜라미를 사육하였고, 얻어지는 분변을 채취하여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 도 1에 얻어진 귀뚜라미 분변의 이미지를 나타내었으며, 표 1에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 분석기관 : 비토분석센타 주식회사(농촌진흥청 비료시험연구기관 제60호 및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유기농업자재시험연구기관 제47호)
- 분석항목 : 농촌진흥청 비료공정규격 [퇴비] 항목 + 기타 비료 성분
- 품질기준 : 비료공정규격, 퇴비
분석항목 | 품질기준 | 실시예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유기물(%) | 30 이상 | 72.29 | 68.57 | 59.83 | 67.07 |
비소(mg/kg) | 45 이하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카드뮴(mg/kg) | 5 이하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수은(mg/kg) | 2 이하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납(mg/kg) | 130 이하 | 3.11 | 0.99 | 0.45 | 1.44 |
크롬(mg/kg) | 200 이하 | 1.44 | 1.35 | 1.31 | 1.52 |
구리(mg/kg) | 360 이하 | 10.22 | 17.05 | 16.14 | 14.30 |
니켈(mg/kg) | 45 이하 | 2.82 | 2.56 | 3.05 | 2.25 |
아연(mg/kg) | 900 이하 | 164.14 | 68.69 | 41.91 | 107.85 |
대장균O157:H7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살모넬라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유기물:질소 | 45 이하 | 29.14 | 24.93 | 20.99 | 28.78 |
염분(%) | 2.0 이하 | 0.30 | 0.16 | 1.62 | 0.90 |
수분(%) | 55 이하 | 10.15 | 21.90 | 33.62 | 21.24 |
부숙도(콤백법) | 부숙완료 | 부숙완료 | 부숙완료 | 부숙완료 | 부숙완료 |
염산불용해물(%) | 25 이하 | 2.28 | 1.23 | 0.85 | 1.51 |
질소전량(%) | - | 2.48 | 2.75 | 2.85 | 2.33 |
인산전량(%) | - | 7.29 | 3.42 | 1.11 | 2.58 |
칼리전량(%) | - | 3.51 | 1.96 | 1.90 | 2.14 |
고토전량(%) | - | 2.57 | 1.22 | 0.42 | 0.80 |
석회전량(%) | - | 1.24 | 0.71 | 0.60 | 0.94 |
<성분 분석 결과>
(1) 함수율
각종 가축의 분료,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와 같이 유기물 함량이 높은 부산물의 경우 최초 수거시 함수율이 높아 함량의 순도가 떨어지고 가공이나 발효를 하기 위하여 함수율을 낮추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함수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가열을 하거나 톱밥과 같이 함수율이 낮은 물질을 혼합하여야 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최종품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실시예의 경우 함수율이 20% 이하로 낮아 다른 가축의 분료와 비교하여 매우 낮으며, 비교예와 비교하여도 낮은 수준으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품질 향상 가능성이 높다.
(2) 각종 유해물질 및 부숙도
중금속, 살모넬라균, 대장균 등은 비료공정규격을 모두 만족시킨다.
유기물대질소비와 부숙도는 발효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일반적인 가축 분료의 경우 발효공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유기물대질소비가 기준을 상향하고 부숙도는 미부숙 상태이다.
실시예는 발효공정을 거치지 않았음에도 유기물대질소비가 기준 이하이고 부숙완료의 상태로 별도의 발효공정 없이 제품화가 가능하다.
(3) 질소(N)
질소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 과정의 생리작용을 촉진하는 식물이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원소로 NH4-N, NO3-N의 형태로 흡수되며 식물의 영양생장에 주 작용을 하는 요소이다. 식물의 발아와 착근에는 인(P)과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과 같은 물질이 중요 작용을 하며 질소는 식물이 발아되고 뿌리를 내린 후 빠른 성장을 위하여 추가로 공급해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질소 함량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냈다. 식물의 파종이나 식재 전에 토양과 혼합하여 발아율을 높이고 착근을 도와주는 역할의 비료로 사용될 경우 질소 함량 차이는 큰 의미를 두기 어렵다.
(4) 인산(P2O5)
인산은 식물체를 구성하는 세포의 주 구성물질로 식물 전체의 생장량에 영향을 미치며, 식재와 이식 초기 가장 중요한 발근과 착근 신진대사 촉진 작용을 한다. 식물체 내 흡수된 인산은 생장이 왕성한 신초끝이나 뿌리의 선단, 종자 등으로 이동하여 세포 증가에 이용되므로 식물의 발아와 착근에 가장 중요한 원소이다. 인산은 질소와 같이 자연적으로 고정되거나 생성되지 못하고 이동성이 낮아 식재 전에 토양과 혼합하여야만 그 효과를 발휘하며, 식재 후 시비했을 때 효율이 매우 낮아진다. 특히 우리나라 토양의 경우 인산함량이 낮아 식물 생장의 제한인자가 인산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풍부한 인산을 초기에 공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실시예는 인산 함량이 5% 이상으로 비교예에 비하여 인 함량 차이가 최대 6.5배 이상으로 매우 높다. 식물의 파종이나 식재 전에 토양과 혼합하여 발아율을 높이고 착근을 도와주는 역할의 비료로 사용될 경우 인산 함량 차이는 큰 의미를 가진다.
(5) 치환성양이온 -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토양 내 양이온(수소,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등)은 토양의 화학적 물리적 성질에 영향을 주고 식물 생육을 위한 다량원소로 식물의 생장에 꼭 필요한 요소이다. 상기 양이온은 식물이 생장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다량 원소로 토양에 부족할 경우 인위적인 화학비료 시비를 통하여 공급해 주고 있다.
칼륨(K)은 광합성 작용, 탄수화물의 합성과 이동, 질소 화합물의 합성에 주 작용을 하며 적정량 시용과 공급은 내한, 내건성 증대와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칼슘(Ca)는 펙틴산과 결합하여 세포벽을 만드는 외에 기타 효소의 활성에도 관여한다. 세포의 신장과 분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토양의 물리성을 개선해주는 효과가 있다. 마그네슘(Mg)은 엽록소를 구성하는 요소로 광합성을 통한 탄수화물 생성에 도움을 주고, 과수의 경우 마그네슘이 풍부한 토양에서 당도가 높아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는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모두 비교예에 비교하여 높은 함량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분변을 시비로 유기물, 인산과 함께 혼합 사용하였을 경우 추비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식물 생육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개량재 효능 실험>
상기 성분 분석 결과에 따라 함수율, 유기물, 인산, 칼륨 등 거의 모든 항목에서 우수하여 토양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토양개량제나 유기질비료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양(산흙)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뚜라미 분변과 비교예에 따른 귀뚜라미 분변 3종을 각각 혼합한 혼합토에 작물 종자를 파종하여 발아율 및 생장량 증대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적용 종자 5종은 ① 상추, ② 열무, ③ 치커리, ④ 유채, ⑤ 보리이며, 토양(산흙)에 상기 귀뚜라미 분면을 5% 부피비로 혼합하여 비료를 제조하였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조된 비료를 포트(6*6)에 충진하고, 하기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무처리구를 포함한 25개의 샘플을 각각 3개씩 총 75개 준비하였으며, 상기 시험용 종자 5종을 각 포트당 30립씩 파종하였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물조리개로 충분량 관수 후 파종하였고, 파종된 종자를 토양으로 덮은 후 바닥면에서 저면 관수하였다.
실험 기간은 2020년 02월 05일 ~ 2020년 02월 20일이며, 5일 파종, 12일 발아율 측정, 19일 생장량 측정하였다.
A (실시예+토양) |
B (비교예1+토양) |
C (비교예2+토양) |
D (비교예3+토양) |
E (무처리 토양) |
|
① 상추 | A-① | B-① | C-① | D-① | E-① |
② 열무 | A-② | B-② | C-② | D-② | E-② |
③ 치커리 | A-③ | B-③ | C-③ | D-③ | E-③ |
④ 유채 | A-④ | B-④ | C-④ | D-④ | E-④ |
⑤ 보리 | A-⑤ | B-⑤ | C-⑤ | D-⑤ | E-⑤ |
<발아율 및 생장률 실험 결과>
(1) 발아율 조사
파종 일주일 경과 후, 각 처리구별 발아량을 조사하였으며, 발아율 계산식은 하기와 같다. 측정된 발아율 결과를 하기 표 3 내지 표 8, 그리고 도 4에 나타내었다.
- 발아율 = (일주일 후 발아 수 / 최초 파종 수) × 100
구 분 | 파종 종자 수 |
8일 후 발아 수 |
종자별 발아율 평균(%) | 전체 발아율 평균(%) | ||
A (실시예 +토양) |
①상추 | #1 | 30 | 25 | 78.8 | 77 |
#2 | 30 | 22 | ||||
#3 | 30 | 24 | ||||
②열무 | #1 | 30 | 25 | 74.4 | ||
#2 | 30 | 25 | ||||
#3 | 30 | 17 | ||||
③치커리 | #1 | 30 | 24 | 84.4 | ||
#2 | 30 | 27 | ||||
#3 | 30 | 25 | ||||
④유채 | #1 | 30 | 25 | 72.2 | ||
#2 | 30 | 24 | ||||
#3 | 30 | 16 | ||||
⑤보리 | #1 | 30 | 19 | 75.5 | ||
#2 | 30 | 27 | ||||
#3 | 30 | 22 |
구 분 | 파종 종자 수 |
8일 후 발아 수 |
종자별 발아율 평균(%) | 전체 발아율 평균(%) | ||
B (비교예1 +토양) |
①상추 | #1 | 30 | 18 | 65.5 | 63 |
#2 | 30 | 21 | ||||
#3 | 30 | 20 | ||||
②열무 | #1 | 30 | 16 | 61.1 | ||
#2 | 30 | 20 | ||||
#3 | 30 | 19 | ||||
③치커리 | #1 | 30 | 21 | 66.6 | ||
#2 | 30 | 17 | ||||
#3 | 30 | 22 | ||||
④유채 | #1 | 30 | 13 | 51.1 | ||
#2 | 30 | 23 | ||||
#3 | 30 | 10 | ||||
⑤보리 | #1 | 30 | 21 | 73.3 | ||
#2 | 30 | 22 | ||||
#3 | 30 | 23 |
구 분 | 파종 종자 수 |
8일 후 발아 수 |
종자별 발아율 평균(%) | 전체 발아율 평균(%) | ||
C (비교예2 +토양) |
①상추 | #1 | 30 | 20 | 61.1 | 55 |
#2 | 30 | 17 | ||||
#3 | 30 | 18 | ||||
②열무 | #1 | 30 | 21 | 62.2 | ||
#2 | 30 | 21 | ||||
#3 | 30 | 14 | ||||
③치커리 | #1 | 30 | 15 | 53.3 | ||
#2 | 30 | 16 | ||||
#3 | 30 | 17 | ||||
④유채 | #1 | 30 | 7 | 34.4 | ||
#2 | 30 | 14 | ||||
#3 | 30 | 10 | ||||
⑤보리 | #1 | 30 | 23 | 64.4 | ||
#2 | 30 | 12 | ||||
#3 | 30 | 23 |
구 분 | 파종 종자 수 |
8일 후 발아 수 |
종자별 발아율 평균(%) | 전체 발아율 평균(%) | ||
D (비교예3 +토양) |
①상추 | #1 | 30 | 25 | 72.2 | 65 |
#2 | 30 | 16 | ||||
#3 | 30 | 24 | ||||
②열무 | #1 | 30 | 19 | 64.4 | ||
#2 | 30 | 21 | ||||
#3 | 30 | 18 | ||||
③치커리 | #1 | 30 | 16 | 70.0 | ||
#2 | 30 | 21 | ||||
#3 | 30 | 26 | ||||
④유채 | #1 | 30 | 15 | 52.2 | ||
#2 | 30 | 16 | ||||
#3 | 30 | 16 | ||||
⑤보리 | #1 | 30 | 21 | 71.1 | ||
#2 | 30 | 22 | ||||
#3 | 30 | 21 |
구 분 | 파종 종자 수 |
8일 후 발아 수 |
종자별 발아율 평균(%) | 전체 발아율 평균(%) | ||
E (무처리 토양) |
①상추 | #1 | 30 | 19 | 56.6 | 51 |
#2 | 30 | 16 | ||||
#3 | 30 | 16 | ||||
②열무 | #1 | 30 | 20 | 65.5 | ||
#2 | 30 | 21 | ||||
#3 | 30 | 18 | ||||
③치커리 | #1 | 30 | 12 | 50.0 | ||
#2 | 30 | 20 | ||||
#3 | 30 | 13 | ||||
④유채 | #1 | 30 | 6 | 26.6 | ||
#2 | 30 | 10 | ||||
#3 | 30 | 8 | ||||
⑤보리 | #1 | 30 | 19 | 56.6 | ||
#2 | 30 | 22 | ||||
#3 | 30 | 10 |
A (실시예+토양) |
B (비교예1+토양) |
C (비교예2+토양) |
D (비교예3+토양) |
E (무처리 토양) |
|
①상추 | 78.8 | 65.5 | 61.1 | 72.2 | 56.6 |
②열무 | 74.4 | 61.1 | 62.2 | 64.4 | 65.5 |
③치커리 | 84.4 | 66.6 | 53.3 | 70.0 | 50.0 |
④유채 | 72.2 | 51.1 | 34.4 | 52.2 | 26.6 |
⑤보리 | 75.5 | 73.3 | 64.4 | 71.1 | 56.6 |
5종 평균 | 77.1±2.9 | 63.6±3.2 | 55.1±4.0 | 66.0±3.1 | 51.1±4.4 |
파종 7일 후 발아율 조사 결과는 5종의 종자 발아율 평균 A(실시예+토양) 77%, B(비교예1+토양) 64%, C(비교예2+토양) 55%, D(비교예3+토양) 66%, E(무처리 토양) 51%로 나타났다.
A(실시예+토양)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발아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분변이 발아에 효과를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D(비교예3+토양)처리구에 비하여 12% 높았고, 가장 낮은 E(무처리 토양)처리구 비 26% 높았다.
(2) 생장량 조사
파종 14일 경과 후, 발아된 식물체를 포트에서 분리하여 물로 씻은 것으로 측정하였다. 길이 측정은 최장 길이(지상+지하부)를 측정하였고, 중량 측정은 상온 건조 후 측정하였다. 파종 14일 경과 후 생장 상태 이미지를 도 5에 나타내었으며, 측정된 생장량 결과를 하기 표 9 내지 표 15,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구 분 | 최장 길이 (cm) |
평균(cm) | 중량 (mg) |
평균(g) | ||||
종자별 | 전체 | 종자별 | 전체 | |||||
A (실시예 +토양) |
①상추 | #1 | 15.5 | 15.3 | 23.1 | 0.371 | 0.351 | 2.064 |
#2 | 16.2 | 0.322 | ||||||
#3 | 14.3 | 0.361 | ||||||
②열무 | #1 | 27.5 | 28.9 | 6.952 | 6.153 | |||
#2 | 29.1 | 6.615 | ||||||
#3 | 30.2 | 4.892 | ||||||
③치커리 | #1 | 14.1 | 13.3 | 0.079 | 0.086 | |||
#2 | 12.3 | 0.095 | ||||||
#3 | 13.6 | 0.083 | ||||||
④유채 | #1 | 18.3 | 18.2 | 0.302 | 0.279 | |||
#2 | 16.5 | 0.311 | ||||||
#3 | 19.9 | 0.225 | ||||||
⑤보리 | #1 | 37.8 | 39.9 | 3.370 | 3.450 | |||
#2 | 41.5 | 3.568 | ||||||
#3 | 40.3 | 3.412 |
구 분 | 최장 길이 (cm) |
평균(cm) | 중량 (mg) |
평균(g) | ||||
종자별 | 전체 | 종자별 | 전체 | |||||
B (비교예1 +토양) |
①상추 | #1 | 11.5 | 10.3 | 17.3 | 0.256 | 0.261 | 1.392 |
#2 | 9.2 | 0.285 | ||||||
#3 | 10.1 | 0.241 | ||||||
②열무 | #1 | 21.5 | 21.8 | 3.712 | 4.126 | |||
#2 | 20.8 | 4.419 | ||||||
#3 | 23.2 | 4.246 | ||||||
③치커리 | #1 | 9.5 | 10.1 | 0.062 | 0.064 | |||
#2 | 10.8 | 0.059 | ||||||
#3 | 10.1 | 0.071 | ||||||
④유채 | #1 | 12.3 | 11.5 | 0.056 | 0.074 | |||
#2 | 10.5 | 0.118 | ||||||
#3 | 11.8 | 0.049 | ||||||
⑤보리 | #1 | 33.5 | 32.5 | 2.359 | 2.435 | |||
#2 | 32.9 | 2.435 | ||||||
#3 | 31.2 | 2.512 |
구 분 | 최장 길이 (cm) |
평균(cm) | 중량 (mg) |
평균(g) | ||||
종자별 | 전체 | 종자별 | 전체 | |||||
C (비교예2 +토양) |
①상추 | #1 | 10.6 | 10.0 | 16.9 | 0.266 | 0.255 | 1.168 |
#2 | 8.7 | 0.251 | ||||||
#3 | 10.7 | 0.248 | ||||||
②열무 | #1 | 20.5 | 20.4 | 3.925 | 3.123 | |||
#2 | 19.6 | 3.121 | ||||||
#3 | 21.1 | 2.324 | ||||||
③치커리 | #1 | 11.2 | 16.6 | 0.060 | 0.067 | |||
#2 | 9.6 | 0.072 | ||||||
#3 | 10.9 | 0.068 | ||||||
④유채 | #1 | 13.2 | 11.9 | 0.042 | 0.054 | |||
#2 | 10.2 | 0.067 | ||||||
#3 | 12.3 | 0.053 | ||||||
⑤보리 | #1 | 32.6 | 31.4 | 2.398 | 2.339 | |||
#2 | 29.8 | 2.214 | ||||||
#3 | 31.8 | 2.405 |
구 분 | 최장 길이 (cm) |
평균(cm) | 중량 (mg) |
평균(g) | ||||
종자별 | 전체 | 종자별 | 전체 | |||||
C (비교예3 +토양) |
①상추 | #1 | 11.8 | 12.5 | 17.2 | 0.251 | 0.223 | 1.436 |
#2 | 12.1 | 0.156 | ||||||
#3 | 13.5 | 0.262 | ||||||
②열무 | #1 | 22.8 | 21.1 | 4.216 | 4.296 | |||
#2 | 21.7 | 4.324 | ||||||
#3 | 18.9 | 4.347 | ||||||
③치커리 | #1 | 11.8 | 10.2 | 0.062 | 0.073 | |||
#2 | 8.1 | 0.075 | ||||||
#3 | 10.7 | 0.083 | ||||||
④유채 | #1 | 13.3 | 12.9 | 0.072 | 0.097 | |||
#2 | 13.7 | 0.086 | ||||||
#3 | 11.6 | 0.132 | ||||||
⑤보리 | #1 | 28.2 | 29.1 | 2.426 | 2.492 | |||
#2 | 27.6 | 2.568 | ||||||
#3 | 31.5 | 2.483 |
구 분 | 최장 길이 (cm) |
평균(cm) | 중량 (mg) |
평균(g) | ||||
종자별 | 전체 | 종자별 | 전체 | |||||
E (무처리 토양) |
①상추 | #1 | 11.6 | 11.6 | 15.6 | 0.215 | 0.189 | 1.122 |
#2 | 13.8 | 0.123 | ||||||
#3 | 9.5 | 0.229 | ||||||
②열무 | #1 | 20.6 | 21.0 | 3.116 | 2.940 | |||
#2 | 22.7 | 3.845 | ||||||
#3 | 19.8 | 1.858 | ||||||
③치커리 | #1 | 8.3 | 9.0 | 0.042 | 0.053 | |||
#2 | 10.2 | 0.069 | ||||||
#3 | 8.5 | 0.048 | ||||||
④유채 | #1 | 9.2 | 9.5 | 0.033 | 0.037 | |||
#2 | 10.5 | 0.048 | ||||||
#3 | 8.9 | 0.029 | ||||||
⑤보리 | #1 | 32.3 | 26.9 | 2.387 | 2.394 | |||
#2 | 25.4 | 2.526 | ||||||
#3 | 23.1 | 2.268 |
A(실시예+토양) | B(비교예1+토양) | C(비교예2+토양) | D(비교예3+토양) | E(무처리 토양) | |
①상추 | 15.3±0.6 | 10.3±0.7 | 10.0±0.7 | 12.5±0.5 | 11.6±1.2 |
②열무 | 28.9±0.8 | 21.8±0.7 | 20.4±0.4 | 21.1±1.2 | 21.0±0.9 |
③치커리 | 13.3±0.5 | 10.1±0.4 | 10.6±0.5 | 10.2±1.1 | 9.0±0.6 |
④유채 | 18.2±1.0 | 11.5±0.5 | 11.9±0.9 | 12.9±0.6 | 9.5±0.5 |
⑤보리 | 39.9±1.1 | 32.5±0.7 | 31.4±0.8 | 29.1±1.2 | 26.9±2.8 |
A(실시예+토양) | B(비교예1+토양) | C(비교예2+토양) | D(비교예3+토양) | E(무처리 토양) | |
①상추 | 0.351±0.015 | 0.261±0.013 | 0.255±0.006 | 0.223±0.034 | 0.189±0.033 |
②열무 | 6.153±0.638 | 4.126±0.213 | 3.123±0.462 | 4.296±0.040 | 2.940±0.580 |
③치커리 | 0.086±0.005 | 0.064±0.004 | 0.067±0.004 | 0.073±0.006 | 0.053±0.008 |
④유채 | 0.279±0.027 | 0.074±0.022 | 0.054±0.007 | 0.097±0.018 | 0.037±0.006 |
⑤보리 | 3.450±0.060 | 2.435±0.044 | 2.339±0.063 | 2.492±0.041 | 2.394±0.075 |
파종 14일 후 생장률 조사 결과는 5종의 종자의 최장 길이 평균 A(실시예+토양)가 23.1cm로 모든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식물체(지상+지하부) 길이가 가장 길었으며 B(비교예1+토양) 17.3cm, D(비교예3+토양) 17.2cm, C(비교예2+토양) 16.9cm, E(무처리 토양) 15.6cm 순으로 생장량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량 또한 A(실시예+토양)가 2.064g으로 모든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식물체의 중량이 가장 컸으며 D(비교예3+토양) 1.436g, B(비교예1+토양) 1.392g, C(비교예2+토양) 1.168g, E(무처리 토양) 1.122g 순으로 생장량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 쌀겨를 찌는 가열단계;
상기 쪄진 쌀겨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된 쌀겨에 조류용 사료를 배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는 배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단계는 찜기 온도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찌는 제1 가열단계(S11) 및 쌀겨를 뒤집어서 찜기 온도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찌는 제2 가열단계(S12)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쪄진 쌀겨를 60 내지 70℃에서 45 내지 50 시간동안 건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배합단계는 상기 건조된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조류용 사료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석화 껍질 분말을 3 내지 4 중량부를 배합하여 여름 및 가을용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로 제조하거나 상기 건조된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조류용 사료를 25 내지 35 중량부, 상기 석화 껍질 분말을 3.5 내지 4.5 중량부를 배합하여 봄 및 겨울용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로 제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단계 이후에 제조된 사료를 0 내지 5℃에서 보관하는 보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1항 또는 제5항에 따른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807A KR102410164B1 (ko) | 2020-04-06 | 2020-04-06 |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807A KR102410164B1 (ko) | 2020-04-06 | 2020-04-06 |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3936A KR20210123936A (ko) | 2021-10-14 |
KR102410164B1 true KR102410164B1 (ko) | 2022-06-20 |
Family
ID=7811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1807A KR102410164B1 (ko) | 2020-04-06 | 2020-04-06 |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016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21116A (ja) | 2003-06-30 | 2005-01-27 | Teruo Tsuburaya | 米糠を原料とした食物繊維成分の含有比率が高く直接食用に出来る粉末状の米糠加工食品の製造方法。 |
KR101755167B1 (ko) * | 2016-09-26 | 2017-07-19 | 유남재 | 기능성 귀뚜라미 사료 |
KR101877603B1 (ko) | 2012-08-08 | 2018-07-11 |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 저단백질 쌀의 제조방법 및 저단백질 쌀을 사용한 식품 |
JP2020505068A (ja) * | 2017-01-24 | 2020-02-20 | フラグシップ パイオニアリング イノベーションズ ブ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食品及び飼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関連する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4019B1 (ko) * | 2012-06-27 | 2014-08-25 | (주)농업회사법인 서울그린텍 | 작물생육용 토양개량제 |
KR20160120061A (ko) * | 2015-04-07 | 2016-10-17 | 이삼구 | 귀뚜라미를 이용한 가금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41394B1 (ko) * | 2017-09-22 | 2019-11-06 | 박종갑 | 단호박을 함유한 귀뚜라미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106441B1 (ko) | 2018-05-29 | 2020-05-06 | 정문성 | 귀뚜라미 분말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2020
- 2020-04-06 KR KR1020200041807A patent/KR1024101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21116A (ja) | 2003-06-30 | 2005-01-27 | Teruo Tsuburaya | 米糠を原料とした食物繊維成分の含有比率が高く直接食用に出来る粉末状の米糠加工食品の製造方法。 |
KR101877603B1 (ko) | 2012-08-08 | 2018-07-11 |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 저단백질 쌀의 제조방법 및 저단백질 쌀을 사용한 식품 |
KR101755167B1 (ko) * | 2016-09-26 | 2017-07-19 | 유남재 | 기능성 귀뚜라미 사료 |
JP2020505068A (ja) * | 2017-01-24 | 2020-02-20 | フラグシップ パイオニアリング イノベーションズ ブ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食品及び飼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関連する組成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3936A (ko) | 2021-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17423B (zh) | 一种空心菜的营养复合肥 | |
US9150461B2 (en) | Bioorganic agent for treating plants (variants) | |
CN102007865A (zh) | 一种生菜的栽培方法 | |
CN106431576A (zh) | 一种水稻机插秧育秧基质及其制备方法 | |
CN111742814A (zh) | 一种低成本的番茄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1136872B1 (ko) |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02743B1 (ko) | 벼의 직파재배용 비료 조성물 | |
CN107746342A (zh) | 一种抗旱保水有机肥及其制备方法 | |
RU2710319C1 (ru) |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урожайности картофеля | |
CN112075296A (zh) | 一种富硒蛋白草的种植方法 | |
CN108164334A (zh) | 一种富硒沙糖桔肥料以及沙糖桔的高产种植法 | |
CN109588223A (zh) | 一种改善土壤酸性的南瓜种植方法 | |
Veeral et al. | Effects of liquid organic manures on growth, yield and grain quality of sweet corn (Zea mays convar. sacharata var. rugosa) | |
CN104871801A (zh) | 人参玉米新型种植方法 | |
Echeverría et al. | Nitrogen nutrition of wheat following different crops | |
CN111213555A (zh) | 一种丘陵区春玉米机械化种植方法 | |
KR102410164B1 (ko) | 귀뚜라미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08956B1 (ko) | 귀뚜라미의 분변 및 이를 포함하는 토양개량재 | |
CN113016522B (zh) | 一种有机肥部分替代化肥种植玉米的方法 | |
KR20120074660A (ko) |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수박 관비재배용 유기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 |
JPH03242391A (ja) | 土壌改良剤 | |
Ertekin | Influence of nitrogen dose and plant density on the yield and quality properties of dual purpose barley grown under the Mediterranean climatic conditions | |
CN108147852A (zh) | 一种以植物秸秆为原料生产的含稀土的腐植酸有机肥 | |
RU2478301C2 (ru) | Способ сохранения плодородия почв путем выращивания зеленых кормов | |
CN110698252A (zh) | 一种用于十字花科蔬菜水培的营养液及用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