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772B1 -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772B1
KR102409772B1 KR1020170089890A KR20170089890A KR102409772B1 KR 102409772 B1 KR102409772 B1 KR 102409772B1 KR 1020170089890 A KR1020170089890 A KR 1020170089890A KR 20170089890 A KR20170089890 A KR 20170089890A KR 102409772 B1 KR102409772 B1 KR 102409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ice
transmitted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8034A (en
Inventor
지준동
안진혁
이경수
이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PCT/KR2017/00761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59904A1/en
Priority to KR1020170089890A priority patent/KR102409772B1/en
Publication of KR2019000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5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 F25C1/147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by using au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91Bus brid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34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기에 포함되는 제빙기 제어부; 및 제빙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어거동작부를 포함하고, 제빙기 제어부는, 냉장고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통신 버스를 통해 전달받고,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동작신호에 대응되는 어거동작부에 전달하고, 어거동작부로부터 어거동작부의 상태를 수신받아 제어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an ice machine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ice machine; and an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ice maker control unit, wherein the ice maker control unit receives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power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through a communication bus, and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signal and power supply to the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An ice maker is provided, which is transmitted to the unit and controlled by receiving the status of the operation unit from the operation unit.

Description

제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Ice making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제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ing modul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 및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구비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본체의 후방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열교환기가 설치된다.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팬에 의해 냉장실이나 냉동실 내부로 공급되고 냉장실이나 냉동실을 순환하여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다시 열교환기를 거쳐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 중인 식품을 항상 신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가 설치된다. 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refrigerating chamber for refrigerated storage of food and a freezing chamber for freezing food, and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nd a heat exchanger for generating cold air ar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The cold air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r is supplied into the refrigerator or freezer compartment by a fan, and the air whose temperature has risen by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or or freezer compartment is again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or freezer through the heat exchanger, so that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or freezer is always fresh. state can be maintained. At this time, an ice maker for producing ice is install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이러한 냉장고에 구비되는 제빙기는 물을 제빙용기에 자동으로 공급받고 제빙상태를 체크하여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된 얼음을 제빙용기로부터 자동으로 이탈시켜 얼음보관용기에 적재하도록 하고, 제빙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없이 얼음을 얻을 수 있어서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The ice make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utomatically receives water from the ice making container, checks the ice making state, and when ice making is completed, the ice is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ice making container and loaded into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 user's request for the ice making operation is performed. It has been widely used in recent years because it can obtain ice without separate manipulation.

이러한 제빙기 중에서 중 어거식 제빙기는 모터, 히터 및 감지부 등의 구성을 어거부 주변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해 냉장고 제빙기로부터 동작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각 구성은 동작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동을 수행하기 위해 각 구성들과 냉장고 제어부와의 신호를 송수신 받는 통신선이 각각 구비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에 따른 오작동 및 제빙기의 용적이 늘어남에 따라 냉장고 내부용적이 감소하게 되었다.Among these ice makers, the heavy Auger type ice maker may have components such as a motor, a heater, and a sensing unit provided around the Auger unit. To control these components, an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ice maker, and each component that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responds to the operation signal. can be driven accordingly. However, in order to perform this operation, communication lines for receiv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each component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must be provided, respectively, so that malfunctions due to interference by a large number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decrease as the volume of the ice maker increases. becam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4-0035773 호 (2004. 04. 2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4-0035773 (04. 29, 2004)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빙기외의 배선 및 통신 관계를 간소화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simplifying wiring and communication relationships other than the ice make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 내의 제빙기 부피를 감소하면서 냉장고 외장의 변화없이 냉장고 내 용적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refrigerator without changing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while reducing the volume of the ice maker in th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빙기와 냉장고 제어부 간의 연결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simplifying a connection process between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controller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

제빙기; 및 어거동작부를 포함하하는 어거부를 포함하고, 어거동작부는,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전달받고,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은 대응되는 어거동작부에 전달되고, 어거동작부는 냉장고 제어부와의 동작신호가 송수신되며 제어되는, 제빙모듈이 제공된다.ice machine; and an Auger including an Auger, wherein the Auger receives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power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signal and Power is transmitted to a corresponding Auger, An ice making module is provided for the Auger operation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operation signals to an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제빙기; 및 어거동작부를 포함하하는 어거부를 포함하고, 제빙기는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받아 어거부로 전달하고, 어거동작부는,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전달받고,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은 대응되는 어거동작부에 전달되고, 어거동작부는 냉장고 제어부와의 동작신호 송수신을 통해 제어되는, 제빙모듈이 제공된다.ice machine; and an Auger including an Auger, wherein the ice maker receives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power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Auger, and the Auger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signal and power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An ice-making module is provided, which is received,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power is transmitted to a corresponding operation unit, and the operation unit is controlled through transmission/reception of an operation signal with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그리고, 어거동작부가 수신한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은 어거동작부로부터 제빙기로 전달되어 제빙기가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signal and power received by the operation unit may be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unit to the ice maker to control the ice maker.

또한, 어거동작부는 모터, 감지부, 밸브, 냉각팬 및 히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motor, a sensing unit, a valve, a cooling fan and a heater.

또한,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캠 밸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valve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solenoid valve and a cam valve.

또한, 동작신호는 K-LINE 통신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K-LINE communication.

또한, 동작신호는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또한, 동작신호는 RS232, RS422 및 RS485 중 하나의 통신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one of RS232, RS422 and RS485 communication.

또한, 동작신호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또한, 어거부 및 냉장고 제어부 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변환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변환통신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는 하나의 배선을 통해 수신되는 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Auger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and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through one wire.

또한, 동작신호 및 전원은 하나의 배선으로 송수신되는 전력선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ignal and power may further include a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power line communic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single wire.

또한, 동작신호가 송수신되는 배선은, 광섬유(Fiber Optic)케이블 또는 TP(Twisted-pair)케이블을 포함하는 쉴드피복된 통신케이블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through which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may be a shield-coated communication cable including a fiber optic cable or a twisted-pair (TP) cable.

또한, 제빙기는 제빙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빙기 제어부는 상기 어거동작부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 maker may further include an ice maker control unit, and the ice maker control unit may directly control the auger operation unit.

또한, 냉장고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빙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장치와 송수신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refrigerator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electronic control devices, and the ice maker controller may transmit/receive to and from the one or more electronic controllers.

또한, 히터 및 상기 모터 측으로는, 구동력이 선택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heater and the motor side, it can be controlled by selectively providing a driving force.

또한, 감지부, 밸브, 냉각팬, 모터 및 히터 중 하나 이상은 DC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unit, the valve, the cooling fan, the motor, and the heater may receive DC power.

또한, 모터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or may be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또한, 제빙기는 어거동작부를 제어하는 제빙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 maker may further include an ice mak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ggravation operation unit.

또한, 어거동작부는 BLDC 모터 또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BLDC motor or a stepping motor.

또한, 제빙기는 냉장고의 도어 또는 냉장고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 maker may be located o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or inside the refrigerator.

상기에 기재된 제빙모듈; 및 제빙모듈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the ice making module described above; and a mounting unit on which the ice-making module is mounted.

그리고, 제빙모듈의 어거부 및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도어 측에 위치하고,상기 어거부 및 상기 디스펜서는, 냉장고를 제어하는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ainer and the dispenser of the ice-making module may be located on the door sid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retainer and the dispenser may be controlled by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refrigerator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refrigerator.

상기에 기재된 제빙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ice-making module is provided.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빙기 제어부 또는 냉장고 제어부가 통신 버스를 통해 연결되고 LIN 통신 또는 CAN 통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빙기와 냉장고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배선의 개수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즉, 제빙기와 냉장고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배선은 최소한의 통신 버스용 배선으로 연결하면 되므로, 제빙기와 냉장고 사이의 배선 개수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number of wires for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can be minimized by allowing the ice maker control unit or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to b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bus and perform LIN communication or CAN communication. That is, since the wiring for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needs to be connected with a minimum communication bus wiring, the number of wirings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can be minimized.

또한, 제빙기와 냉장고 사이의 배선 개수를 최소화함에 따라, 냉장고 내에서 배선의 수납을 위한 공간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배선 연결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선 개수를 최소화하여 노이즈 및 전자파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wires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use of space for accommodating wires in the refrigerator, reduce time and effort for wiring connections,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s.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s by minimizing the number of wir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AC 전력공급 시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AC 전력공급 시의 배선이 배치된 배치구조의 제1예를 나타낸 도면, AC 전력공급 시의 배선이 배치된 배치구조의 제2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내의 제빙기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내의 제빙기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변환통신모듈에 의한 송수신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wiring structure when AC power is supplied;
Fig. 3(a)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xample of an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wirings are arranged when AC power is supplied, and a diagram showing a second example of an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wirings are arranged when AC power is suppli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ing structure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ice maker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ice maker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a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transmission", "communication", "transmission", "reception" and other similar meanings of a signal or information are not only directly transmitted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but also a signal or information This includes passing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o “transmit” or “transmit” a signal or information to a component indicate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does not imply a direct destination. The same is true for "recept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two or more data or information are "related", it means that when one data (or information) is acquired, at least a part of other data (or information) can be acquired based thereon.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directional terms such as upper side, lower side, one side, the other side, etc.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s. Since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irectional terminology is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not limitation.

또한,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에서의 다양한 예에서, 동작신호가 송수신되는 배선은 광섬유(Fiber Optic)케이블 또는 TP(Twisted-pair)케이블을 포함하는 통신케이블이 될 수 있고, 은박 등으로 쉴드 피복된 케이블이 됨으로써, 통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various examples below, the wiring through which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may be a communication cable including a fiber optic cable or a twisted-pair (TP) cable, and by becoming a cable shielded with silver foil, etc., communication reliability can be obtained

또한, 어거모터의 회전을 제빙기 제어부 또는 냉장고 제어부에서 제어할 수 있으나, 어거부 내에 마련된 어거동작부는, 어거동작부만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별도로 포함되어 어거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주로 어거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며, 어거모터는 이하에서 모터(190)로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어거동작부에 포함되는 히터, 밸브, 감지부(센서), 냉각팬 및 모터 등을 통칭하여 어거동작부(D)로 기재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 of the Auger motor can be controlled by the ice maker control unit or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but the Auger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Auger unit includes a separate control unit that controls only the Augur unit to control the Auger motor. The controller mainly controls the Auger motor, and the Auger motor will be referred to as a motor 190 hereinafter. In addition, the heater, valve, sensing unit (sensor), cooling fan and motor included in the operation unit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operation unit (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m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200)는 제빙기(100)를 포함함 수 있다. 여기서 제빙기(100)는 얼음저장부, 제어박스, 트레이 및 어거부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제빙기(100)는 냉장고(200) 내에서 냉장고 제어부(도 2의 140)와 통신 버스(210)를 통해 동작신호 및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200)로부터 제어부(도 2의 130)가 전달받은 동작신호는 어거동작부(D)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도 2의 130)은 어거동작부(D)의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어거동작부(D)는 도 1에 도시된 제빙기(100)의 어거부에 포함되는 히터, 모터, 밸브, 감지부 및 냉각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refrigerator 200 may include an ice maker 100 . Here, the ice maker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ce storage unit, a control box, a tray, and a fisherman. The ice maker 100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power through the refrigerator controller ( 140 in FIG. 2 ) and the communication bus 210 in the refrigerator 200 . For example, the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 130 in FIG. 2 ) from the refrigerator 200 may drive the operation unit (D). Here, the control unit ( 130 in FIG. 2 ) may be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aggravation operation unit (D). The aggravation operation unit D may include a heater, a motor, a valve, a sensing unit, and a cooling fan included in the auger unit of the ice maker 100 shown in FIG. 1 .

이러한 냉장고(200)는 제어부(도 2의 130)와 통신될 때 AC 전력을 공급받도록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AC 전력공급 시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도면인데, 제어부(130)는 냉장고 제어부(140)와 어거동작부(D; 190, 191, 192, 193) 간에 전원 또는 동작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은 통신 버스(21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통해 AC 전력공급 상태에서 상기 송수신을 위한 배선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refrigerator 200 may be wired to receive AC power when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ler ( 130 in FIG. 2 ). 2 is a diagram showing a wiring structure when AC power is supplied. The control unit 130 can transmit and receive power or an operation signal between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and the operation unit (D; 190, 191, 192, 193). . Her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 The structure of the wiring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he AC power supply sta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종래의 AC 전력공급 시의 배선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AC 전력공급 시의 배선이 배치된 배치구조의 제1예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AC 전력공급 시의 배선이 배치된 배치구조의 제2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wiring when supplying AC power in the related art. FIG. 3 (a) is a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wiring is arranged when supplying AC power, and FIG. 2(b) i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2nd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wiring at the time of AC power supply is arrange|positioned.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냉장고(200)는 디스펜서(184) "G 제빙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200)의 냉장고 제빙기(140)가 냉장고(200)의 배면에 위치되고, 냉장고(200)의 내부 일측에 장착된 제빙기(100) 및 냉장고(200)의 전면에 위치된 디스펜서(184)는 상기 냉장고 제빙기(140)와 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 the refrigerator 200 may include a dispenser 184 “G ice maker 100 . The refrigerator ice maker 140 of the refrigerator 200 includes the refrigerator 200 . ), the ice maker 100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200 and the dispenser 184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ice maker 140 through wiring.

이 때, 냉장고 제어부(140)는 제빙기(100), 어거동작부(D)에 연결될 수 있고, 디스펜서(18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각 구성이 냉장고 제빙기(140)와 각각 연결되므로, 배선의 구조가 증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ice maker 100 , the Auger operation unit 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ispenser 184 . In such a connection, since each component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ice maker 140, the structure of the wiring may be increas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C 전력공급 시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wiring structure when AC power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빙기(100)는 냉장고(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200)는 냉장고 제빙기(140) 및 하나 이상 마련된 냉장고 제빙기(140) 외의 다른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주로 제빙기(100)가 냉장고 제빙기(140)와 연결되어 동작신호 등을 송수신한다고 할 때, 냉장고(200)와 연결되는 제빙기(100)는 제어부(130)가 될 수 있다. 즉, 냉장고 제어부(140) 및 제어부(130)가 서로 연결되어 통신 버스(210)를 통해 동작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물론, 전원도 냉장고 제어부(140)를 통해 제빙기(1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ice maker 100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200 . Here, the refrigerator 200 includes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other than the refrigerator ice maker 140 and one or more refrigerator ice makers 140 provided. When the ice maker 100 is mainly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ice maker 140 to transmit and receive operation signals, the ice maker 100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200 may be the controller 130 . That is,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transmit/receive operation signals and the like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 Of course, power may also be supplied to the ice maker 100 through the refrigerator controller 140 .

상기 통신 버스(210)는 전원을 포함하여 전송되는 전력선통신이 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AC 전력이 DC 전력과 함께 제빙기(100)로 공급됨으로써, 어거동작부(D)의 일부구성이 AC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어거동작부(D)의 나머지 구성은 DC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냉각팬(193)은 DC 전력이 공급되어 구동되고, 히터(192), 밸브(191) 및 모터(190)는 AC 전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즉, 냉장고(200)로 공급되는 AC 전력은 컨버터(미도시)에 의해 DC 전력으로 변환되어 전달될 수 있고, 여기서 컨버터는 냉장고(200) 또는 제빙기(100) 중 하나에 위치되어 상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bus 210 may be power line communication transmitted including power,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In this embodiment, AC power is transferred to the ice maker 100 together with DC power. By being supplied, an exampl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operation unit D are driven by AC power,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operation unit D are driven by DC power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the cooling fan 193 may be driven by supplying DC power, and the heater 192 , the valve 191 , and the motor 190 may be driven by AC power. That is, AC power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200 may be converted into DC power by a converter (not shown) and transmitted, where the converter is located in either the refrigerator 200 or the ice maker 100 to perform the conversion. can do.

한편, 냉장고 제어부(140)와 제빙기(100)는 냉장고(200) 내에서 기 결정된 간격 이격될 수 있으므로,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의 전달을 위해 배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장고(200)는 냉장고(200) 내의 일측에 제빙기(100)가 장착 가능하고, 제빙기(1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구조는, 냉장고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전달할 수 있고, 어거부(181)의 세부 구성(예를 들어, 히터, 밸브 및 모터)으로 전달될수록 복잡해지고 증가된 배선 수가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증가된 배선 수에 따라 냉장고(200) 내부의 용적은 감소하게 된다.Meanwhile, since the refrigerator controller 140 and the ice maker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refrigerator 200 , a wiring structure may be formed to transmit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power. For example, in the refrigerator 200 , the ice maker 10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refrigerator 200 , and a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ice maker 100 can be mounted thereon. The wiring structure can transmit one or more of an operation signal and power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and becomes more complex and increases as it is transmitted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eg, heater, valve and motor) of the aggregator 181 . A fixed number of wirings may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number of wires,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200 is reduced.

따라서,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이 전달되는 배선은 제어부(130)와 냉장고 제어부(140) 사이에서는 배선을 감소시켜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감소는 제빙기 제어부(140)가 어거동작부(D)에 포함된 구성(190 내지 194)들로 전달되는 동작신호를 일괄적으로 수신받고 제어부(130)가 각 어거동작부(D)에 대응되는 동작신호를 분배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거동작부(D)는 동작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ing through which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power is transmitted can be transmitted by reducing the wiring between the controller 130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 Such a decrease is that the ice maker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s transmitted to the components 190 to 194 included in the Auger operation unit D in a batch, and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s to each Auger operation unit D. The corresponding operation signal can be distributed and transmitted. Accordingly, the aggravation operation unit (D) can be operated.

예를 들어 히터(192)의 발열, 밸브(191)의 개폐, 냉각팬(193)의 회전 및 모터(190)의 회전 등과 관련한 각각의 동작신호를 냉장고 제어부(140)에서 어거동작부(D)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로 전달할 때 히터(192), 밸브(191), 냉각팬(193) 및 모터(190)로 개별적인 연결이 아닌, 더 적은 수의 배선으로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제어부(130)로부터 신호에 대응되는 어거동작부(D)의 모터(190), 밸브(191), 히터(191), 냉각팬(190) 및 감지부(194) 등으로 동작신호가 분배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peration signal related to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192,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191, rotation of the cooling fan 193, and rotation of the motor 190 is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to the operation unit (D) When transmitting to the controller 130 that controls An operation signal may be distributed from 130 to the motor 190, valve 191, heater 191, cooling fan 190, and detection unit 194 of the operation unit D corresponding to the signal. .

따라서, 종래에 냉장고 제어부(140)에서 어거동작부(D)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로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신호선(예를 들어, 현재 20개 이상의 신호선이 냉장고 제어부(140)에서 어거동작부(D)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로 전달되는 경우도 있음)이 1개 또는 2개의 신호선으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을 적용하여 전원선과 신호선을 포함하는 1개의 선으로 전력 송신 및 동작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동작신호는, 히터 동작신호(예를 들어, 히터 온/오프 신호), 밸브 동작신호(예를 들어, 밸브 온/오프 신호), 냉각팬 동작신호(예를 들어, 냉각팬 온/오프 신호), 센서 동작신호(예를 들어, 센서 센싱 신호), 및 모터 동작신호(예를 들어, 모터 온/오프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two or more signal lines (eg, 20 or more signal lines)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to the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trigger operation unit D are transferr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to the operation operation unit D. (D)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may be reduced to one or two signal lines. In addition, by applying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it is possible to transmit power and transmit/receive an operation signal through one line including a power line and a signal line. Here, the operation signal includes a heater operation signal (eg, a heater on/off signal), a valve operation signal (eg, a valve on/off signal), and a cooling fan operation signal (eg, a cooling fan on/off signal). off signal), a sensor operation signal (eg, a sensor sensing signal), and a motor operation signal (eg, a motor on/off signal).

한편, 감지부(194)는 제빙기(100)에 포함된 온도 센서, 수위 감지 센서, 만빙 감지 센서 및 위치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94)는 어거동작부(D)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냉장고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고, 전과정에서 제어부(130)를 통해서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ction unit 194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temperature sensor,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a full ice detection sensor, and a position sensor included in the ice maker 100 . The sensing unit 194 may sense the driving state of the Auger operation unit D, and may transmit it to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and may transmit it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in the entire proces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ing structure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 4를 참조하면, 제빙기(100)는 냉장고(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200)는 냉장고 제빙기(140) 및 하나 이상 마련된 냉장고 제빙기(140) 외의 다른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주로 제빙기(100)가 냉장고 제빙기(140)와 연결되어 동작신호 등을 송수신한다고 할 때, 냉장고(200)와 연결되는 제빙기(100)는 제빙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31)가 될 수 있다. 즉, 냉장고 제어부(140) 및 제빙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31)가 서로 연결되어 통신버스(210)를 통해 동작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물론, 전원도 냉장고 제어부(140)를 통해 제빙기(1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ice maker 100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200 . Here, the refrigerator 200 includes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other than the refrigerator ice maker 140 and one or more refrigerator ice makers 140 provided. When the ice maker 100 is mainly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ice maker 140 to transmit and receive operation signals, the ice maker 100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200 may be the controller 131 for controlling the ice maker 100 . . That is, the refrigerator controller 140 and the controller 131 for controlling the ice maker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transmit/receive operation signals and the like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 Of course, power may also be supplied to the ice maker 100 through the refrigerator controller 140 .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이 냉장고(200)로부터 제빙기(100)로 제공되되, 전력은 DC 전력이고, 상기 DC 전력이 양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양측으로 제공되는 DC 전력이 함께 제빙기(100)로 공급됨으로써, 어거동작부(D)의 일부구성 및 나머지 구성이 각각의 DC 전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DC 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예를 들면, 제빙기(100)를 통해 제어부(131)로 전달된 DC 전력은 어거부(181)의 모터(190)로 우선적으로 공급될 수 있고, 모터(190)를 경유한 DC 전력은 밸브(191)를 경유하여 히터(192)에 도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DC 전력이 제공되는 경로는 선택적으로 결정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거부(181)에 포함되는 모터(190)로 우선적으로 공급되는 예를 설명하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power is provided from the refrigerator 200 to the ice maker 100, and the power is DC power, and the DC power may be provided to both sides. By supplying the DC power provided to both sides to the ice maker 100 together, some components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operation unit D may be driven by each DC power. As the DC power is transmitted, for example, DC power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1 through the ice maker 100 may be preferentially supplied to the motor 190 of the Auger 181 , and the motor 190 may DC power via can reach heater 192 via valve 191 . Of course, the path through which the DC power is provided is selectively determined, but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DC power is preferentially supplied to the motor 190 included in the Auger 181 has been described.

상기의 DC 전력의 흐름에 의해 제어부(131)로부터 히터(192) 및 밸브(19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전원이 상기와 같이 제공될 때 동작신호는 별도로 어거동작부(D)에 전달될 수도 있고, 상기 DC 전력에 각 구성에 대응하는 코드를 포함시켜 전력과 함께 전달될 수도 있다.A wiring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controller 131 to the heater 192 and the valve 191 by the flow of DC power may not be disposed. When the power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signal may be separately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unit (D), or may be transmitted along with the power by including a code corresponding to each configuration in the DC power.

즉, 냉장고(200)로 공급되는 AC 전력을 제어부(131)에서 DC 전력이 공급되는 부분은 컨버터(미도시)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고, 냉장고(200)에 컨버터가 위치되어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3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컨버터는 냉장고(200) 또는 제빙기(100) 중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That is,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200 may be converted into a converter (not shown) for the portion supplied with DC power from the controller 131 , and the converter is located in the refrigerator 200 to convert it into DC power. It may be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30 . The converter may be selectively located in the refrigerator 200 or the ice maker 100 .

한편, 냉장고 제어부(140)와 제빙기(100)는 냉장고(200) 내에서 기 결정된 간격 이격될 수 있으므로,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의 전달을 위해 배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장고(200)는 냉장고(200) 내의 일측에 제빙기(100)가 장착 가능하고, 제빙기(1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구조는 냉장고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이, 더 많은 구성으로 전달될수록 복잡해지고 증가된 배선 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증가된 배선 수에 따라 냉장고(200) 내부의 용적은 감소하게 된다.Meanwhile, since the refrigerator controller 140 and the ice maker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refrigerator 200 , a wiring structure may be formed to transmit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power. For example, in the refrigerator 200 , the ice maker 10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refrigerator 200 , and a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ice maker 100 can be mounted thereon. The wiring structure may become more complicated as one or more of the operation signal and power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are transmitted in more configurations, and the number of wirings may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d number of wires,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200 is reduced.

따라서,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이 전달되는 배선은 제어부(131)와 냉장고 제어부(140) 사이에서는 배선을 감소시켜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소는 제빙기 제어부(140)가 어거동작부(D)에 포함된 구성들로 전달되는 동작신호를 일괄적으로 수신받고 제어부(131)가 각 어거동작부(D)에 대응되는 동작신호를 분배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거동작부(D)는 구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ing through which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power is transmitted can be transmitted by reducing the wiring between the controller 131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 In this reduction, the ice maker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operation unit D at once, and the control unit 131 distributes the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operation unit D. can be transmitted. Accordingly, the aggravation operation unit (D) can be driven.

예를 들어 히터(192)의 발열, 밸브(191)의 개폐, 냉각팬(193)의 회전 및 모터(190)의 회전 등과 관련한 각각의 동작신호를 냉장고 제어부(140)에서 제어부(131)로 전달할 때 히터(192), 밸브(191), 냉각팬(193) 및 모터(190)로 개별적인 연결이 아닌 제어부(131)로 더 적은 수의 배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13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어거동작부(D)는 그에 대응되는 어거동작부(D)의 각 구성(190, 191, 192, 193으로 동작신호가 분배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peration signal related to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192 ,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191 , rotation of the cooling fan 193 , and rotation of the motor 190 is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to the control unit 131 . When the heater 192, the valve 191, the cooling fan 193, and the motor 190 are not individ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1 with a smaller number of wires,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31 is The operation signal may be distributed to each of the components 190, 191, 192, and 193 of the operation unit D corresponding thereto.

한편, 감지부(194)는 제빙기(100)에 포함된 온도 센서, 수위 감지 센서, 만빙 감지 센서 및 위치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94)는 어거동작부(D)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냉장고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고, 전달과정에서 제어부(130)를 통해서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ction unit 194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temperature sensor,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a full ice detection sensor, and a position sensor included in the ice maker 100 . The sensing unit 194 may sense the driving state of the Auger operation unit D, and may transmit it to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and may transmit it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during the transmission process.

도 5 및 도 6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0) 내의 제빙기(100)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ce maker 100 in the refriger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냉장고(200)는 디스펜서(184) "G 제빙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200)의 냉장고 제빙기(140)가 냉장고(200)의 배면에 위치되고, 냉장고(200)의 내부 일측에 장착된 제빙기(100) 및 냉장고(200)의 전면에 위치된 디스펜서(184)는 상기 냉장고 제빙기(140)와 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5 and 6 , the refrigerator 200 may include a dispenser 184 "G ice maker 100. The refrigerator ice maker 140 of the refrigerator 200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200, The ice maker 100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200 and the dispenser 184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ice maker 140 through a wire.

이 때의 연결은 냉장고 제어부(140)와 제빙기(100) 및 다른 어거동작부(D)에 연결될 수 있고, 디스펜서(18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냉장고 제빙기(140)로부터 배선으로 제빙기(100)에 우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C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행해지는 연결의 의미는 디스펜서(184), 제어부(130) 및 어거부(181) 중 하나의 구성에 먼저 공급되고, 각 구성을 경유하여 나머지 구성들의 동력원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 the ice maker 100 , and another operation unit 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ispenser 184 . Such a connection may be preferentially connected to the ice maker 100 through a wire from the refrigerator ice maker 140 . When DC power is supplied, the meaning of the connection performed “preferentially” is first supplied to one of the dispenser 184 , the control unit 130 , and the Auger 181 , and the power source of the remaining components via each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can be provided as

상기의 배선 구조에 의해 전체 배선은 도 2의 예보다 간소화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간소화에 의해 냉장고는 외장의 증설없이 내부 용적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배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및 자기장에 의한 이웃한 배선의 동작신호 및 전원 전달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것 또한 최소화 할 수 있다.Due to the above wiring structure, the entire wiring can be simplified compared to the example of FIG. 2 , and as described above, by this simplification, an increase in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can be expected without the expansion of the exterior.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and power of the adjacent wiring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and magnetic fields generated from the wiring.

한편 어거부(181)에 포함되는 모터(190)는 BLCD 모터 또는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모터(190)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motor 190 included in the auger 181 may be a BLCD motor or a stepping motor. Of course, the motor 190 can rotate forward and reverse.

나아가, 어거동작부(D)는 제공되는 AC 전력 또는 DC 전력에 의해 구동되되, 각 구성으로 동시에 전력이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각 구성의 전력의 저하에 따른 구성들의 수행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력의 저하가 감지되면, 전력은 우선적으로 모터(190)에 제공되고 모터(190)가 기 결정된 수행을 완료하면, 나머지 구성으로 전력이 공급되어 각각의 구성들이 기 결정된 수행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구성”은 어거동작부(D)의 구성으로 모터(190), 밸브(191), 히터(192) 및 냉각팬(193) 등이 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operation unit (D) is driven by the provided AC power or DC power, when power must be provided to each component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performance of the components from being degrad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power of each component. When a decrease in power is sensed, power is preferentially provided to the motor 190 , and when the motor 190 completes a predetermined execu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remaining components so that each component can perform a predetermined execution. Here, "configuration" is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unit D, and may be a motor 190, a valve 191, a heater 192, a cooling fan 193, and the like.

또한, 제빙기(100)가 도 6과 같이 냉장고(200)의 도어 측에 위치되고, 어거부(181)가 상기 도어 측에 결합되는 경우, 도어 측에 위치한 제어부(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냉장고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어거부(181) 및 디스펜서(184)가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ce maker 100 is located on the door side of the refrigerator 200 as shown in FIG. 6 and the agglomerate 181 is coupled to the door side, a control unit (not shown) located on the door side i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refrigerator. Also, the Auger 181 and the Dispenser 184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not shown).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참조하면, 냉장고(200)와 제어부(130, 131)는 통신 버스(210)를 통한 통신이 될 수 있다. 단, 통신 버스(210)는 도 3의 예시와는 달리, 전력선통신부(P)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 131)는 전원 및 동작신호를 하나의 배선을 통해 냉장고(200)로부터 모두 전송받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냉장고(200)에서 제어부(130, 131)로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신호선(예를 들어, 현재 20개 이상의 신호선이 냉장고(200)에서 제어부(130, 131)로 전달되는 경우도 있음)이 1개 또는 2개의 신호선으로 줄어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신호는, 히터 동작신호(예를 들어, 히터 온/오프 신호), 밸브 동작신호(예를 들어, 밸브 온/오프 신호), 냉각팬 동작신호(예를 들어, 냉각팬 온/오프 신호), 센서 동작신호(예를 들어, 센서 센싱 신호), 및 모터 동작신호(예를 들어, 모터 온/오프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refrigerator 200 and the controllers 130 and 131 may communicate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 However, the communication bus 210 may be a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P, unlike the example of FIG. 3 . Accordingly, the controllers 130 and 131 may receive both power and operation signals from the refrigerator 200 through a single wire. 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two or more signal lines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200 to the controllers 130 and 131 (for example, currently 20 or more signal lines are sometimes transferred from the refrigerator 200 to the controllers 130 and 131 ). ) can be reduced to one or two signal lines. Here, the operation signal includes a heater operation signal (eg, a heater on/off signal), a valve operation signal (eg, a valve on/off signal), and a cooling fan operation signal (eg, a cooling fan on/off signal). off signal), a sensor operation signal (eg, a sensor sensing signal), and a motor operation signal (eg, a motor on/off signal).

상기 동작신호는 모터를 구동시키는 동작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모터(161)는 이젝터(108)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될 수 있으나, 히터 타입이 아닌 트위스터 제빙기의 경우 이빙을 위해 트위스트시키는 모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모터(163)는 어거모터일 수 있다. 아이스 뱅크(미도시)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기 위해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되는 어거모터가 될 수 있다.The operation signal may include an operation signal for driving the motor. Here, the first motor 161 may be a motor for rotating the ejector 108 , but in the case of a twister ice maker that is not a heater type, it may be a motor that twists for ice removal. In addition, the second motor 163 may be an Auger motor.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not shown) may be an auger motor that is rotated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it to be discharged.

이러한 상기 제1모터(161) 및 제2모터(163)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개별적인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정보에는 모터의 회전속도, 회전각도 및 회전토크 등의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얼음을 분쇄하거나 제빙 트레이(102)에 얼면서 고착된 얼음을 이빙 시키기 위해 트위스트시킬 때는 토크가 우선되고 이젝터의 회전시에는 회전속도가 우선시되기 때문에 동작신호가 포함하는 정보는 각각 다를 수 있다.Since the respective information for driving the first motor 161 and the second motor 16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dividu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each other. Th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rotation speed, a rotation angle, and a rotation torque of the motor,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torque is prioritized when crushing ice or twisting to remove ice fixed while being frozen in the ice-making tray 102, and rotation speed is prioritized when the ejector rotates, so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peration signal may be different.

또한, 동작신호는 히터(171)의 구동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171)는 본 예시와 같이 히터 타입의 제빙기의 제빙 트레이(102) 하면에 부착되어 발열하는 이빙 히터(110)가 될 수 있다. 히터(171; 110)의 발열정보는 예를 들어, 기 결정된 온도 구간 내에서, 기 결정된 시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기 결정된 온도 구간을 초과하여 발열되면 과열방지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히터(171; 110)의 발열이 차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ignal may include driving information of the heater 171 . Here, the heater 171 may be an ice heater 110 that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ce-making tray 102 of the heater-type ice maker as in this example and generates heat. The heating information of the heaters 171 ( 110 ) may be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example,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ection. Of course, when the heat exceeds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the heat of the heater (171; 110) may be blocked by the overheat prevention means (not shown).

예를 들어, 히터(171; 1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히터(171; 110)의 발열 감지정보를 제어부(130, 131)를 통해 냉장고(200)로 전달하면, 냉장고(200) 측에서 “발열중단”정보를 포함한 동작신호를 제어부(130, 131)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0, 131)에서는 상기 “발열중단”정보를 전달해야 할 위치 즉, 히터(171; 110)를 분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ens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s 171; 110 transmits heat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heaters 171; 110 to the refrigerator 200 through the controllers 130 and 131, the refrigerator 200 side An operation signal including “heat stop”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s 130 and 131 . The control units 130 and 131 may discriminate and transmit the location to which the “heat stop” information should be transmitted, that is, the heaters 171 and 110 .

다양한 예로써, 제빙기(100)는 온도센서(113), 수위 감지 센서(115), 만빙 감지 센서(117) 및 위치 센서(119)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센서가 감지한 감지정보를 제어부(130, 131)로 전달하면 제어부(130, 131)는 냉장고(200)로 전달하여 냉장고로부터 각 감지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 정보를 되돌려 받을 수 있다. 되돌려 받은 피드백 정보는 다양한 위치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를 분별하여 온도센서(113), 수위 감지 센서(115), 만빙 감지 센서(117) 및 위치 센서(119)에 대응되도록 이를 전달 할 수 있다.As various examples, the ice maker 1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13 ,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115 , a full ice detection sensor 117 , a position sensor 119 ,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each sensor detects When one piece of det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s 130 and 131 , the controllers 130 and 131 may transmit it to the refrigerator 200 and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detection information back from the refrigerator. The returned feedback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various locations, and it can be discriminated to correspond to the temperature sensor 113 , the water level sensor 115 , the full ice sensor 117 , and the position sensor 119 .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송과정에서 전력선통신부(P)를 경유할 수 있는데 전력선통신부(P) 구조 내에서 전원 및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 5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P may pass through the transmission process, and the process of transmitting power and operation signals within the structure of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P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220v의 전류가 제공되고, 전류 및 제어신호 공급의 두 라인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우선, 전류의 경우 직류안정화장치(310)로 전달되어, 직류5v의 전압으로 제어부(130, 131)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130, 131)의 동력원이 될 수 있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 for example, a current of 220v may be provided, and may be divided into two lines for supplying a current and a control signal. First, in the case of current,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DC stabilizer 310 and supplied to the controllers 130 and 131 as a voltage of DC 5v. It may be a power source of the controllers 130 and 131 .

한편, 제어신호 공급라인으로 제공된 전류는 절연트랜스(321), 액티브 필터(322), 데이터 송수신 단말기(323)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신호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기(323)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송수신 단말기(323)에 전송 전에 액티브 필터(322)에서는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제어신호 공급라인에서는 노이즈가 제거된 전류에 동작신호를 형성하여 제어부(130, 131)로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current provided to the control signal supply line may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insulating transformer 321 , the active filter 322 , and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323 . Here, the operation signal may be formed in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323 . In this case, the active filter 322 may remove noise included in the current before transmission to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323 . That is, in the control signal supply line, an operation signal may be formed in the current from which the noise is remov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s 130 and 131 .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변환통신모듈(135)에 의한 송수신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13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 간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a) 및 변환통신모듈(135)에 의한 송수신을 나타낸 도면(b)이다. 상기의 통신방식의 예에 있어서, 상술한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를 통한 동작신호(데이터) 전송은 도 7(a)와 같으나, 통신매체 간의 배선을 더욱 간소화하기 위해 냉장고(200) 또는 제빙기(100) 간의 통신 경로에는 하나 이상의 변환통신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제어부(140) 및 제어부(130, 131) 간의 통신에 있어서, 각 제어부(130 또는 131, 140)가 변환통신모듈(135)을 포함하거나 서로 인접해 있는 경우에는 변환통신모듈(135) 간의 연결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FIG. 9 is a diagram (a) showing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agram (b) showing transmission/reception by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135 . In the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method, the operation signal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unit is as shown in FIG. 7(a), but in order to further simplify wiring between communication media One or mor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refrigerator 200 or the ice maker 100 . For example,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s 130 and 131, when each control unit 130 or 131, 140 includes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135 or i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 135),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m.

여기서, 변환통신모듈(135)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에서 전원선(1)을 더 포함하고 있는 일종의 형태인 전력선통신이 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와 비교하면, 데이터 송수신 단말기(323) 측에 전원선이 공급되어 전원선(1)을 통해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력은 직류안정화 전원장치(310)를 통과한 전류로써 5v의 전력이 될 수가 있다. Here,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135 may be a typ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that further includes a power line 1 in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3 , a power line may be supplied to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323 and powe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power line 1 . Of course, the power may be a power of 5v as a curre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C stabilized power supply device 310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일 수 있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or a 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도 10을 참조하면, 냉장고(200)는 복수 개의 전자 제어 장치(202, 204, 206, 208) 및 통신 버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refrigerator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rol devices 202 , 204 , 206 , 208 and a communication bus 210 .

전자 제어 장치(202, 204, 206, 208)는 냉장고(200)에 마련되고, 냉장고(200)의 일 기능을 수행하며 전자 제어가 가능한 전장품 또는 모듈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전자 제어 장치(202)는 냉장고 제어부일 수 있다. 제2전자 제어 장치(204)는 제빙기일 수 있다. 제3 전자 제어 장치(206)는 압축기 또는 열 교환기 일 수 있다. 제4 전자 제어 장치(208)는 냉장고 도어에 마련되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s 202 , 204 , 206 , and 208 ar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200 , perform a function of the refrigerator 200 , and may refer to electronic components or modules capable of electronic control.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electronic control device 202 may be a refrigerator controller. The second electronic control device 204 may be an ice maker. The third electronic control device 206 may be a compressor or a heat exchanger. The fourth electronic control device 208 may be a touch panel provided on a refrigerator door.

통신 버스(210)는 각 전자 제어 장치((202, 204, 206, 208)를 연결시키며 마련될 수 있다. 통신 버스(210)의 배선 부재(예를 들어, 케이블)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한 전자파 차폐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bus 210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respective electronic control devices 202 , 204 , 206 , and 208 . A wiring member (eg, a cable) of the communication bus 210 has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A member may be provided.

냉장고(200)의 통신 네트워크가 CAN(Controller Area Network) 인 경우, 통신 버스(210)는 2개의 꼬인 선(Twist Pair Wir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꼬인 선 중 하나에는 CAN HIGH 신호가 전송되고, 다른 하나에는 CAN LOW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꼬인 선은 서로 다른 전압을 사용함으로써, 전기적인 노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된다.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200 is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the communication bus 210 may be formed of two twisted pair wires. A CAN HIGH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one of the two twisted wires, and a CAN LOW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other. Here, by using different voltages for the two twisted wires, it is possible to reduce electrical noise.

또한, 냉장고(200)의 통신 네트워크가 CAN(Controller Area Network) 인 경우, 각 전자 제어 장치(202, 204, 206, 208)는 고유 식별자를 할당 받을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11 비트 또는 29 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식별자의 비트값을 통해 각 전자 제어 장치(202, 204, 206, 208) 간에 데이터 송신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전자 제어 장치가 통신 버스(210)를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 고유 식별자의 비트값에 따른 우선 순위가 높은 전자 제어 장치의 데이터를 우선하여 전송하게 된다. Also,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200 is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each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s 202 , 204 , 206 , and 208 may be assigned a unique identifier. The unique identifier may consist of 11 bits or 29 bits. Here, it is possible to set the priority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respective electronic control devices 202 , 204 , 206 , and 208 through the bit value of the unique identifier. That is, when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rol devices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 data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having a higher priority according to the bit value of the unique identifier is transmitted with priority.

한편, 냉장고(200)의 통신 네트워크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인 경우, 통신 버스(210)는 하나의 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냉장고(200)의 통신 네트워크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인 경우, 냉장고 제어부인 제1전자 제어 장치(202)가 마스터 노드가 되고, 다른 전자 제어 장치(204, 206, 208)가 슬레이브 노드가 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인 제1전자 제어 장치(202)는 통신 버스(210)의 사용 상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 버스(210)를 통한 데이터 송신이 없는 경우, 제1전자 제어 장치(202)는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200 is a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the communication bus 210 may be formed of one line. Also,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200 is a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the first electronic control device 202 serving as the refrigerator controller becomes the master node, and the other electronic control devices 204, 206, 208 are slave nodes. to be able to communicate. Here, the first electronic control device 202 serving as the master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from the active mode to the sleep mode according to the usage state of the communication bus 210 .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for a preset time, the first electronic control device 202 may switch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leep mode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이와 같이, 냉장고(200)의 통신 네트워크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을 이용하게 되면, 냉장고에 다른 전자 제어 장치가 추가되는 경우, 추가되는 전자 제어 장치를 통신 버스(210)에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양 변경 등에 따른 우수한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or a 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is us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200 , when another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added to the refrigerator, the added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transferred to the communication bus 210 . ), it is possible to secure excellent scalability according to specification changes, etc.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 전원선
100 : 제빙기
102 : 제빙 트레이
104 : 제어 박스
106 : 구동부
108 : 이젝터
108a : 이젝터 축
108b : 이젝터 핀
110 : 이빙 히터
111 : 제빙 공간
113 : 온도 센서
115 : 수위 감지 센서
119 : 위치 센서
121 : 구동 모터
123 : 기어부
127 : 구동 모터의 축
129 : 보조 기어
130, 131 : 제어부
135 : 변환통신모듈
140 : 냉장고 제어부
151 : 통신 버스
153 : 전원용 배선
155 : 접지용 배선
161 : 제1모터
163 : 제2모터
171 : 히터
181 : 어거부
183 : 선택구동부
184 : 디스펜서
190 : 모터
191 : 밸브
192 : 히터
193 : 냉각팬
194 : 감지부
200 : 냉장고
202 : 제1 전자 제어 장치
204 : 제2 전자 제어 장치
206 : 제3 전자 제어 장치
208 : 제4 전자 제어 장치
210 : 통신 버스
310 : 직류안정화 전원장치
321 : 절연트랜스
322 : 액티브 필터
323 : 데이터 송수신 단말기
330 : 제어부
P : 전력선통신부
D : 어거동작부
1: power line
100: ice machine
102: ice tray
104: control box
106: drive unit
108: ejector
108a: ejector shaft
108b : ejector pin
110: ice heater
111: ice-making space
113: temperature sensor
115: water level sensor
119: position sensor
121: drive motor
123: gear unit
127: axis of the drive motor
129: auxiliary gear
130, 131: control unit
135: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140: refrigerator control unit
151: communication bus
153: wiring for power
155: wiring for grounding
161: first motor
163: second motor
171: heater
181 : Fisherman
183: selective driving unit
184 : dispenser
190: motor
191: valve
192: heater
193: cooling fan
194: detection unit
200: refrigerator
202: first electronic control device
204: second electronic control device
206: third electronic control device
208: fourth electronic control device
210: communication bus
310: DC stabilized power supply
321: insulated transformer
322: active filter
323: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
330: control unit
P : Power line communication department
D: Augur movement part

Claims (23)

제빙기; 및
어거동작부를 포함하는 어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거동작부는,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2 이상의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전달받고, 상기 2 이상의 동작신호 및 상기 전원 중 하나 이상은 대응되는 상기 어거동작부에 전달되고,
상기 어거동작부는 상기 냉장고 제어부와의 상기 2 이상의 동작신호가 1개 이상 2개 이하의 신호선에 의해 송수신되며 제어되고,
상기 어거부 및 상기 냉장고 제어부 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변환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통신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는 하나 이상의 전원선을 통해 수신되는 측으로 전송되는, 제빙모듈.
ice machine; and
Containing an arguing unit including an arguing operation unit,
The aggravation operation unit,
Receives at least one of two or more operation signals and power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operation signals and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Auger operation unit,
The operation unit is controll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two or more operation signals with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by one or more and two or less signal line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Auger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through one or more power lines, the ice making module.
제빙기; 및
어거동작부를 포함하는 어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2 이상의 동작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받아 상기 어거부로 전달하고,
상기 어거동작부는,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2 이상의 동작신호 및 상기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전달받고, 상기 2 이상의 동작신호 및 상기 전원 중 하나 이상은 대응되는 상기 어거동작부에 전달되고,
상기 어거동작부는, 상기 제빙기와 상기 냉장고 제어부와의 상기 2 이상의 동작신호가 1개 이상 2개 이하의 신호선에 의해 송수신되며 제어되고,
상기 어거부 및 상기 냉장고 제어부 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변환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통신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는 하나 이상의 전원선을 통해 수신되는 측으로 전송되는제빙모듈.
ice machine; and
Containing an arguing unit including an arguing operation unit,
The ice maker receives at least one of two or more operation signals and power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Auger unit,
The aggravation operation unit,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operation signals and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is received, and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operation signals and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Auger operation unit,
The Auger operation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two or more operation signals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by one or more and two or less signal line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Auger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through one or more power lin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거동작부가 수신한 상기 동작신호 및 상기 전원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어거동작부로부터 상기 제빙기로 전달되어 상기 제빙기가 제어되는,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power received by the Auger operation unit is transmitted from the Auger operation unit to the ice maker to control the ice maker.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어거동작부는 모터, 감지부, 밸브, 냉각팬 및 히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신호는, 히터 동작신호, 밸브 동작신호, 냉각팬 동작신호, 센서 동작신호, 및 모터 동작신호 중 하나 이상인,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uger oper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tor, a sensing unit, a valve, a cooling fan and a heater,
The operation signal is at least one of a heater operation signal, a valve operation signal, a cooling fan operation signal, a sensor operation signal, and a motor operation sig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캠 밸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빙모듈.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valve includes at least one of a solenoid valve and a cam valv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K-LINE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K-LINE communication, the ice making modul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the ice making modul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RS232, RS422 및 RS485 중 하나의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one of RS232, RS422 and RS485 communication, the ice making modul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the ice making module.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 및 상기 전원은 하나의 배선으로 송수신되는 전력선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power supply further compri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power line communic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single wire, ice making modul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가 송수신되는 배선은,
광섬유(Fiber Optic)케이블 또는 TP(Twisted-pair)케이블을 포함하는 쉴드피복된 통신케이블인,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iring through which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n ice-making module, which is a shield-coated communication cable including a Fiber Optic cable or a TP (Twisted-pair) cabl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제빙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 제어부는 상기 어거동작부를 직접 제어하는,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ce maker further includes an ice maker control unit,
and the ice maker control unit directly controls the auger operation unit.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장치와 송수신 가능한, 제빙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refrigerator controller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electronic control devices,
and the ice maker control unit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the one or more electronic control devic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히터 및 상기 모터 측으로는, 구동력이 선택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제어되는, 제빙모듈.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n ice-making module, which is controlled by selectively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heater and the mot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밸브, 냉각팬, 모터 및 히터 중 하나 이상은 DC전원을 공급받는, 제빙모듈.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t least one of the sensing unit, the valve, the cooling fan, the motor and the heater is supplied with DC power, the ice making modu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제빙모듈.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motor is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 ice-making modul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어거동작부를 제어하는 제빙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ce maker further includes an ice maker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auger operation unit.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어거동작부는 BLDC 모터 또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는,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ce-making module comprising a BLDC motor or a stepping motor, the Auger operation unit.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냉장고의 도어 또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빙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ce maker is located in a door of the refrigerator or inside the refrigerator.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제빙모듈; 및
상기 제빙모듈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ice-making module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d a mounting part on which the ice making module is mounted.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빙모듈의 상기 어거부 및 디스펜서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어거부 및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냉장고를 제어하는 상기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냉장고.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aggregator and the dispenser of the ice-making module are located on the door side of the refrigerator,
The auger and the dispenser,
The refrigerator is controlled by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refrigerator.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제빙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ice-making module according to claim 1 or 2.
KR1020170089890A 2017-03-02 2017-07-14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409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7613 WO2018159904A1 (en) 2017-03-02 2017-07-14 Ice making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KR1020170089890A KR102409772B1 (en) 2017-07-14 2017-07-14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90A KR102409772B1 (en) 2017-07-14 2017-07-14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34A KR20190008034A (en) 2019-01-23
KR102409772B1 true KR102409772B1 (en) 2022-06-17

Family

ID=6532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890A KR102409772B1 (en) 2017-03-02 2017-07-14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7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872A (en) * 2019-03-26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1021A (en) * 2002-07-30 2004-02-26 Sharp Corp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553A (en) 2001-09-13 2003-06-06 Hoshizaki Electric Co Ltd Auger type icemaker
KR20070021922A (en) *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90002460U (en) * 2007-09-06 2009-03-11 인프라닉스 주식회사 Remote management system of a water purifier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KR101439460B1 (en) * 2011-09-02 2014-09-12 주식회사 대창 Ice maker
KR20160020101A (en) * 2014-08-13 2016-02-23 주식회사 대창 Ice-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1021A (en) * 2002-07-30 2004-02-26 Sharp Corp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34A (en)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5871B2 (en) Appliance sensor and man machine interface bus
US6895767B2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methods and apparatus
WO2009069900A2 (en) Refrigerator and cold air path structure for the same
KR102409772B1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02422103A (en)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12123B1 (en) Refrigerator
CN106440621B (en) Refrigerator
EP2179233B1 (en) Refrigerator having wiring arrangement using integrated wiring modules
KR101975267B1 (en) Ice maker including wiring guide structur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190145683A1 (en) Ice-making appliance
KR102506788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388879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367327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06257205B (en) Refriger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80007580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13700A (en) Twist ice maker and refregerator including the same
JP3051810B2 (en) refrigerator
KR20180101134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407257B1 (en) Ice maker including full ice sensing apparatus
US11268745B2 (en) Harness free ice maker system
KR20190044404A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90044405A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00121025A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218348962U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20210016819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