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134A -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134A
KR20180101134A KR1020170089889A KR20170089889A KR20180101134A KR 20180101134 A KR20180101134 A KR 20180101134A KR 1020170089889 A KR1020170089889 A KR 1020170089889A KR 20170089889 A KR20170089889 A KR 20170089889A KR 20180101134 A KR20180101134 A KR 20180101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refrigerator
transmitted
signal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준동
안진혁
이경수
이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PCT/KR2017/00761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59904A1/en
Publication of KR2018010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1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34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ice maker comprising: an ice maker controller; a control box in which the icemaker controller is installed; and an ice-making tray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and provided with a reception unit. The ice maker controller transmits to a refrigerator a corresponding signal for receiving and activating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ource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 signals and power to and from the refrigerator are received through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unit. The ice-making tray is twisted by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and can separate ice.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icemaker,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 및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구비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본체의 후방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열 교환기가 설치된다. 열 교환기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팬에 의해 냉장실이나 냉동실 내부로 공급되고, 냉장실이나 냉동실을 순환하여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다시 열 교환기를 거쳐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 중인 식품을 항상 신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가 설치된다. Generally, a refrigerator has a main body having a refrigerating chamber for refrigerating and storing foods and a freezing chamber for refrigerating and storing food, and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d a heat exchanger for generating cold air ar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is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by the fan, and the air whose temperature is increased by circulating through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is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through the heat exchanger again, Can always be kept fresh. At this time, an ice maker for producing ice is installed in the freezing room or the refrigerating room.

제빙기는 물을 제빙 용기에 자동으로 공급받고 제빙 상태를 체크하여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된 얼음을 제빙 용기로부터 자동으로 이탈시켜 얼음보관용기에 적재하도록 하고, 제빙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없이 얼음을 얻을 수 있어서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The ice maker automatically supplies water to the ice making container and checks the ice making condition. When the ice making is completed, the ice is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ice making container to be loaded on the ice holding container. Which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제빙기에는 제빙 용기에 물을 공급받고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다양한 센서(예를 들어, 제빙수 센서, 위치 센서, 만빙 감지 센서, 온도 센서 등) 및 모터(예를 들어, 이젝터 모터 또는 트위스트 모터 등)를 구비하게 된다. 제빙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빙기 제어부는 이러한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싱 신호를 냉장고 본체에 마련되는 냉장고 제어부로 전송하며,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빙기 내 모터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수의 배선은 제빙기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The ice maker is provided with various sensors (for example, ice water sensor, position sensor, ice-fullness sensor, temperature sensor, etc.) and a motor (for example, an ejector motor or a twist Motor, etc.). An ice-mak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ce-maker receives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or, transmits the received sensing signal to the refrigerator controlle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body, receives the motor control signal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ler, Respectively. In this process, a large number of wiring lines may increase the volume of the ice maker.

따라서, 냉장고 내에 많은 수의 배선들을 수납할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배선들을 주로 냉장고 도어의 힌지 부분을 통해 연결하였다. 이 경우, 냉장고 도어의 힌지 부분에 구멍을 뚫어 배선들이 지나갈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는 바, 냉장고 도어의 힌지 구조가 취약해지고 단열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많은 수의 배선으로 인해 노이즈 및 전자파가 증가한다. Therefore, a separate space for accommodating a large number of wires in the refrigerator should be provided. Conventionally, these wirings are connected through the hinge por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In this case, since the hinge por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must be provided with a space for passing the wiring through the hole, the hinge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door is weakened and the heat insulation efficiency is lowered. Also,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s are increased due to a large number of wiring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3626호(2001.10.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93626 (October 29, 2001)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 내의 배선 및 통신 관계를 간소화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technique for simplifying wiring and communication relationships in a refrigerato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 내의 제빙기 부피를 감소하면서 냉장고 외장의 변화없이 냉장고 내 용적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volume in a refrigerator without changing the refrigerator exterior while reducing the volume of the ice maker in th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빙기와 냉장고 제어부 간의 연결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technique for simplify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제빙기 제어부; 상기 제빙기 제어부가 내부에 마련되는 제어 박스; 및 제어박스와 연결되고 수용부가 마련되는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고, 제빙기 제어부는, 냉장고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수신 및 작동신호에 대한 대응신호를 냉장고로 송신을 하고, 냉장고와 송수신 되는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를 통해 전달받으며, 제빙 트레이는 수신되는 작동신호에 의해 트위스트되며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는, 제빙기가 제공된다.An ice-maker control unit; A control box in which the icemaker control unit is provided; And an icemaker tray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and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icemaker controller receives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ource from the refrigerator,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operation signal to the refrigerator, The ice maker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ource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unit. The ice tray is twisted by a received operation signal, do.

그리고, 작동신호는 K-LINE 통신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And, the opera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through K-LINE communication.

또한, 작동신호는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ivation signal may be communicated via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또한, 작동신호는 RS232, RS422 및 RS485 중 하나의 통신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uation signal may be communicated via one of RS232, RS422 and RS485.

또한, 제빙기 제어부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포트를 더 포함하고, 작동신호의 일부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maker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port, and a part of the operat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through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또한, 제빙기는, 온도 센서, 수위 감지 센서, 만빙 감지 센서 및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빙기 제어부는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피드백받아 냉장고로 전달할 수 있다.The ic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a water level sensor, a full ice level sensor, and a position sensor, and the ice-maker controller may feed back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refrigerator.

또한, 제빙기는 히터 및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작동신호는 구동 모터 및 히터의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icemaker further includes a heater and a driving motor, and the operating signal may include driving the driving motor and the heater.

또한, 모터는 BLDC 모터 또는 스테핑모터일 수 있다..Further, the motor may be a BLDC motor or a stepping motor.

또한, 작동신호가 송수신되는 배선은, 광섬유(Fiber Optic)케이블 또는 TP(Twisted-pair)케이블을 포함하는 쉴드피복된 통신케이블일 수 있다.Further, the wiring through which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may be a shield-coated communication cable including a fiber optic cable or a twisted-pair (TP) cable.

또한, 제빙기 및 냉장고 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변환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변환통신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는 하나의 배선을 통해 수신되는 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at least one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and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may be transmitted to a side through which one wiring is received.

또한,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 및 전원이 공급되는 배선이 더 포함된 전력선통신부가 마련되고, 전력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작동신호 및 전원은 하나의 배선으로 송수신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n operating signal transmitted from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unit and a power line is provided, and an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ource are connected via a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Lt; / RTI >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전달받는 제빙기에서, 제어박스; 및 제어박스와 연결되고, 수용부가 마련되는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고,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와 송수신하여 제어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An ice mak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ource from a refrigerator control unit, comprising: a control box; And an icing tray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and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ource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An ice maker is provided.

그리고, 제빙기 및 냉장고 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변환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변환통신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는 하나의 배선을 통해 수신되는 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and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via one wiring line.

상기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ice-maker described above.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빙기 제어부 또는 냉장고 제어부가 UART 통신 버스 등을 통해 연결되고 LIN 통신 또는 CAN 통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빙기 제어부와 냉장고 제어부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배선의 개수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즉, 제빙기 제어부와 냉장고 제어부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배선은 최소한의 통신 버스용 배선으로 연결하면 되므로, 제빙기 제어부와 냉장고 제어부 사이의 배선 개수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since the ice-maker control unit or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is connected through the UART communication bus and performs LIN communication or CAN communication, the number of wirings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ice-maker control unit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can be minimized . That is, the wiring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ice-maker control unit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minimum communication bus wiring, so that the number of wires between the ice-maker control unit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can be minimized.

또한, 제빙기 제어부와 냉장고 제어부 사이의 배선 개수를 최소화함에 따라, 냉장고 내에서 배선의 수납을 위한 공간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배선 연결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선 개수를 최소화하여 노이즈 및 전자파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wiring between the ice-maker control unit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is minimized, the use of space for storing wiring in the refrigerator can be minimized, time and labor for wiring connection can be reduced, . In addition, the number of wires can be minimized, and the generation of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환통신모듈에 의한 송수신을 나타낸 도면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s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s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s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intended only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 of a term includes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the expression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 transmission ", "transmission "," transmission ", "reception ", and the like, of a signal or information refer not only to the direct transmiss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But also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a signal or information to an element is indicative of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not a direct destination. This is the same for "reception" of a signal or information.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fact that two or more pieces of data or information are "related" means that when one piece of data (or information) is acquired,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data (or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ased thereon.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directional terms such as the top, bottom, one side, the other, and the like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figures. Since the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directional terms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not limita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에서의 다양한 예에서, 작동신호가 송수신되는 배선은 광섬유(Fiber Optic)케이블 또는 TP(Twisted-pair)케이블을 포함하는 통신케이블이 될 수 있고, 은박 등으로 쉴드 피복된 케이블이 됨으로써, 통신 신뢰선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various examples, the wiring through which the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may be a communication cable including a fiber optic cable or a twisted-pair (TP) cable, and may be a cable shielded with silver or the like, Line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빙기(100)는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200)로부터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이 제어부(130)로 전달되고, 전달받은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제어부(130)가 구동부(D)로 전달 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기능적인 구성이 다른 구성으로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각 구성 중 복수 개의 구성이 제빙기 또는 냉장고 측에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는 “기능적인 구성”을 의미하며,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이 전달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1, one or more of an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ource from the refrigerator 2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and one or more of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an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To the driving unit (D). This means that each functional configuration carries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signal and the power source in different configurations, and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of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may be included in the icemaker or the refrigerator side. Thus, this means " functional configuration ", which represents the flow through which at least one of the activation signal and the power source is deliver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의 (a)는 제빙기(100)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제빙 트레이(102)가 트위스트 된 상태의 제빙 트레이(102)의 사시도이다.2 (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ce-maker 100, and FIG. 2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ce-making tray 102 Of the ice-making tray 102 is twisted.

도 2를 참조하면, 제빙기(100)는 제빙 트레이(102), 제어 박스(104), 구동부(106), 이젝터(108), 및 이빙 히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젝터(108)는 구동부(106)와 연결된 이젝터 축(108a) 및 이젝터 축(108a)에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젝터 핀(108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ice maker 100 may include an ice-making tray 102, a control box 104, a driving unit 106, an ejector 108, and an ice-making heater 110. The ejector 108 may include an ejector shaft 108a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06 and a plurality of ejector pins 108b spaced apart from the ejector shaft 108a.

제빙 트레이(102)는 내부에 제빙수를 수용하는 수용부(111)을 구비한다. 제빙 트레이(10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수용부(111)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2)에는 제빙 트레이(102)의 온도(또는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1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빙 트레이(102)에는 수용부(111) 내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 센서(115)가 형성될 수 있다. The ice-making tray 102 has a receiving portion 111 for receiving iced water therein.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formed in the ice-making tray 102 to separate the receiving portion 111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e ice-making tray 102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113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making tray 102 (or the temperature of ice-making water). The ice-making tray 102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115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ice-mak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1.

제어 박스(104)는 제빙 트레이(10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박스(104)는 제어 박스(104) 내에 마련되는 구성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 일 수 있다. 제어 박스(104)에는 구동부(106)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박스(104)에는 제빙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빙기 제어부(미도시)가 수납될 수도 있다. 제빙기 제어부(미도시)는 PCB 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box 104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ce-making tray 102. The control box 104 may be a case for protecting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control box 104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drive box 106 may be housed in the control box 104. An ice maker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ce maker 100 may be housed in the control box 104. The icemaker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a PCB board.

제어 박스(104)의 일측에는 제빙 트레이(102)의 하부에 위치하는 아이스 뱅크(미도시) 내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 감지 센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만빙 감지 센서(미도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에서 빛을 방출하고 아이스 뱅크(미도시)의 얼음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부에서 수신하여 얼음의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만빙 감지 센서(미도시)는 아이스 뱅크(미도시)의 상단부의 얼음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레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 freeze detection sensor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104 to detect the fullness of ice stored in the ice bank (not shown) located below the ice-making tray 102.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ull ice sensor (not shown)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and light reflected from the ice bank (not shown)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ice is full. In addition, the full ice level sensor (not shown) may be in the form of a sensing lever for sensing ice contact at the upper end of the ice bank (not shown).

구동부(106)는 동작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동 모터(121)가 회전됨으로써, 기어부(123)가 회전될 수 있고, 기어부(123)의 회전에 의해 기어부(123)와 회전중심에서 축으로 연결되는 제빙 트레이(102)가 회전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빙 트레이(10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빙 트레이(102)의 일단부는 기 결정된 각도에서 회전이 정지되고, 타단부는 일단부가 정지된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될 수 있다. 즉, 제빙 트레이(102)는 트위스트되어 얼음을 이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e motor 121 is rotated so that the gear portion 123 can be rotated and the gear portion 123 can b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gear portion 123, 123 and the ice-making tray 102 connected to the shaft at the center of rotation. 2B, when the ice-making tray 102 rotates, one end of the ice-making tray 102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other end is rotated beyond an angle at which one end stops have. That is, the ice-making tray 102 can be twisted to freeze ice.

한편, 위치 센서(미도시)는 제어 박스(104) 내에서 기어부(123)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빙기(100)는 아이스 뱅크의 얼음을 냉장고에 마련된 얼음 디스펜서로 배출하기 위한 얼음 이송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osition sensor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gear portion 123 in the control box 104. In addition, the ice maker 100 may include an ice transfer motor (not shown) for discharging ice in the ice bank to an ice dispense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200)와 제빙기 제어부(130)는 통신 버스(210)를 통한 통신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버스(210)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와 포트간 연결을 통해 송수신하여 통신되는 경우, 냉장고(200)로부터 작동신호를 제빙기 제어부(130)로 송신하고, 제빙기 제어부(130)로부터 감지정보를 냉장고(200)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작동신호는 제1모터(161) 및 제2모터(163)를 포함하는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작동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모터(161)는 이젝터(108)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될 수 있으나, 히터 타입이 아닌 트위스터 제빙기의 경우 이빙을 위해 트위스트시키는 모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모터(163)는 어거모터일 수 있다. 아이스 뱅크(미도시)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기 위해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되는 어거모터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efrigerator 200 and the icemaker controller 13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bus 210. When the communication bus 210 communicates with the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unit through a port connection, it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refrigerator 200 to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The refrigerator 200 can receiv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ice-maker controller 130. [ The activation signal may include an activation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including the first motor 161 and the second motor 163. Here, the first motor 161 may be a motor for rotating the ejector 108, but may be a motor for twisting the ice for ice when the twister ice maker is not a heater type. Further, the second motor 163 may be an uger motor.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not shown) may be an igor motor rotated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to be discharged.

이러한 상기 제1모터(161) 및 제2모터(163)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개별적인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정보에는 모터의 회전속도, 회전각도 및 회전토크 등의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얼음을 분쇄하거나 제빙 트레이(102)에 얼면서 고착된 얼음을 이빙 시키기 위해 트위스트 시킬 때는 토크가 우선되고 이젝터의 회전시에는 회전속도가 우선시되기 때문에 작동신호가 포함하는 정보는 각각 다를 수 있다.Since the respective information for driving the first motor 161 and the second motor 16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dividu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each other. Th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the rotational angle, and the rotational torque, respectively.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operation signal may be different because the torque is given priority when the ice is crushed or twisted in order to freeze the ice fixed while freezing in the ice-making tray 102, and the rotational speed is prioritized when the ejector is rotated.

또한, 작동신호는 히터(171)의 구동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171)는 제2모터(163)가 위치한 아이스 뱅크 측에 위치된 응결 등으로 형성되는 유체가 배출된느 배출구에 얼음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를 해동하는 히터(171)가 될 수 있다. 히터(171)의 발열정보는 예를 들어, 기 결정된 온도 구간 내에서, 기 결정된 시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기 결정된 온도 구간을 초과하여 발열되면 과열방지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히터(171)의 발열이 차단될 수 있다.Further, the operation signal may include driving information of the heater 171. [ Here, the heater 171 is a heater 171 for defrosting the discharge port to prevent ice from being formed at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fluid formed by condensation or the like located on the ice bank side where the second motor 163 is located is discharged . The exothermic information of the heater 171 can be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terval. Of course, if the temperature exceeds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171 may be blocked by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not shown).

예를 들어, 히터(171)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히터(171)의 발열 감지정보를 제빙기 제어부(130)를 통해 냉장고(200)로 전달하면, 냉장고(200) 측에서 “발열중단”정보를 포함한 작동신호를 제빙기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빙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발열중단”정보를 전달해야 할 위치 즉, 히터(171)를 분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71 transmits the heat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heater 171 to the refrigerator 200 through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To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0033]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can discriminate and transmit the position to which the " heat-off interruption " information is to be transmitted, that is, the heater 171. [

다양한 예로써, 제빙기(100)는 온도센서(113), 수위 감지 센서(115), 만빙 감지 센서(117) 및 위치 센서(119)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센서가 감지한 감지정보를 제빙기 제어부(130)로 전달하면 제빙기 제어부(130)는 냉장고(200)로 전달하여 냉장고로부터 각 감지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 정보를 되돌려 받을 수 있다. 되돌려 받은 피드백 정보는 다양한 위치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를 분별하여 온도센서(113), 수위 감지 센서(115), 만빙 감지 센서(117) 및 위치 센서(119)에 대응되도록 이를 전달 할 수 있다.As various examples, the ice maker 1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13, a water level sensor 115, a full ice level sensor 117 and a position sensor 119, The ice-maker controller 130 transmits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ice-maker controller 130, and the ice-maker controller 130 can receive the feedbac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information from the refrigerator 200. Feedback information that has been returned may be transmitted to various locations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113, the water level sensor 115, the full ice level sensor 117, and the position sensor 119 so as to correspond to the various positions.

상술한 통신 방식에서 제빙기 제어부(130) 및 냉장고(200) 간의 통신은 앞서 설명하였듯,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와 포트간 연결에 의한 송수신을 통한 통신일 수 있다.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K-LINE 통신, RS232, RS422, RS485 및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ce-maker controller 130 and the refrigerator 200 in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 communication through transmission / reception by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includes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K-LINE communication, RS232, RS422, RS485 and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여기서, K-line 통신은 ISO 14230 표준을 준수하는 진단 프로토콜로, 표준 RS232 시리얼 인터페이스처럼 전형적인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회로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의 경우, 발신자와 수신자는 동기화를 목적으로 시작 비트 및 정지 비트를 사용한다. 이는 시스템이 추가적인 라인 없이 단일 회선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RS232와는 대조적으로, K-Line 통신은 버스 시스템처럼 다양한 ECU와 통신할 수 있다. 표준 전송 속도는 10,400 baud이며 최대 속도는 115.2 K baud로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밍 등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Here, K-line communication is a diagnostic protocol that complies with the ISO 14230 standard and is based on a typical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circuit technology like a standard RS232 serial interface. For universal asynchron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sender and receiver use the start and stop bits for synchronization purposes. This means that a single line is sufficient for the system without additional lines. In contrast to the RS 232, the K-Line communication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ECUs as a bus system. The standard transfer rate is 10,400 baud and the maximum speed is 115.2 K baud, which can be used for flash memory programming and so on.

또한, K-Line은 온보드 및 오프보드 진단에 모두 적합하며 두 종류의 특수 초기화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K-Line의 특징 중 하나는 헤더 포맷(header format)과 타이밍 파라미터를 확인 시 사용하는 특수 키 바이트(key byte)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K-Line is suitable for both on-board and off-board diagnostics and can provide two types of special initialization pattern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Line may be a special key byte used for checking the header format and timing parameters.

상기의 통신 모듈은 제빙기 제어부(130)로부터 수신한 각 센싱 신호를 해당 네트워크 통신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통신 버스(210)를 통해 냉장고(2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해당 네트워크 통신이 LIN 통신인 경우, 통신 모듈은 제빙기 제어부(130)로부터 수신한 각 센싱 신호를 LIN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변환한 후, 통신 버스(210)를 통해 냉장고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convert each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ice-maker controller 130 into data suitable for the network communication, and then transmit the sensed signal to the refrigerato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That is, when the corresponding network communication is the LIN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convert each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ice-maker controller 130 according to the LIN protocol, and then transmit the sensed signal to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따라서, 제빙기(100)와 냉장고(200) 간의 통신을 위한 배선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제빙기(100)를 소형화할 수 있고, 노이즈 및 전자파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wiring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ce maker 100 and the refrigerator 200 can be minimized, the size of the ice maker 100 can be reduced, and generation of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reduc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s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냉장고(200)와 제빙기 제어부(130)는 통신 버스(210)를 통한 통신이 될 수 있다. 단, 통신 버스(210)는 도 3의 예시와는 달리, 전력선통신부(P)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기 제어부(130)는 전원 및 작동신호를 하나의 배선을 통해 냉장고(200)로부터 모두 전송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refrigerator 200 and the ice-maker controller 13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bus 210. However, the communication bus 210 may be a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P, unlike the example of FIG. Accordingly,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can receive power and operation signals from the refrigerator 200 through one wiring.

상기 작동신호는 제1모터(161) 및 제2모터(163)를 포함하는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작동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모터(161)는 제빙 트레이 (102)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모터(163)는 어거모터일 수 있다. 아이스 뱅크(미도시)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기 위해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되는 어거모터가 될 수 있다.The activation signal may include an activation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including the first motor 161 and the second motor 163. Here, the first motor 161 may be a motor for rotating the ice-making tray 102. Further, the second motor 163 may be an uger motor.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not shown) may be an igor motor rotated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to be discharged.

이러한 상기 제1모터(161) 및 제2모터(163)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개별적인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정보에는 모터의 회전속도, 회전각도 및 회전토크 등의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얼음을 분쇄하거나 제빙 트레이(102)에 얼면서 고착된 얼음을 이빙 시키기 위해 트위스트 시킬 때 및 제빙 트레이(102)를 트위스트시키는 회전구간에서는 토크가 우선되고 제빙 트레이(102)가 이빙후에 복귀하는 회전구간에서는 회전속도가 우선시되기 때문에 작동신호가 포함하는 정보는 각각 다를 수 있다.Since the respective information for driving the first motor 161 and the second motor 16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dividu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each other. Th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the rotational angle, and the rotational torque,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ice is crushed or twisted to freeze the ice that has been frozen while freezing in the ice-making tray 102, and in the rotation period in which the ice-making tray 102 is twisted, the torque is given priority and the ice- Since the rotation speed takes priority in the returning rotation sectio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operation signal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한편, 히터(171)의 발열정보는 예를 들어, 기 결정된 온도 구간 내에서, 기 결정된 시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기 결정된 온도 구간을 초과하여 발열되면 과열방지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히터(171)의 발열이 차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othermic information of the heater 171 can be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terval. Of course, if the temperature exceeds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171 may be blocked by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not shown).

예를 들어, 히터(171)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히터(171)의 발열 감지정보를 제빙기 제어부(130)를 통해 냉장고(200)로 전달하면, 냉장고(200) 측에서 “발열중단”정보를 포함한 작동신호를 제빙기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빙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발열중단”정보를 전달해야 할 위치 즉, 히터(171)를 분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71 transmits the heat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heater 171 to the refrigerator 200 through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To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0033]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can discriminate and transmit the position to which the " heat-off interruption " information is to be transmitted, that is, the heater 171. [

다양한 예로써, 제빙기(100)는 온도센서(113), 수위 감지 센서(115), 만빙 감지 센서(117) 및 위치 센서(119)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센서가 감지한 감지정보를 제빙기 제어부(130)로 전달하면 제빙기 제어부(130)는 냉장고(200)로 전달하여 냉장고로부터 각 감지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 정보를 되돌려 받을 수 있다. 되돌려 받은 피드백 정보는 다양한 위치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를 분별하여 온도센서(113), 수위 감지 센서(115), 만빙 감지 센서(117) 및 위치 센서(119)에 대응되도록 이를 전달 할 수 있다.As various examples, the ice maker 1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13, a water level sensor 115, a full ice level sensor 117 and a position sensor 119, The ice-maker controller 130 transmits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ice-maker controller 130, and the ice-maker controller 130 can receive the feedbac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information from the refrigerator 200. Feedback information that has been returned may be transmitted to various locations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113, the water level sensor 115, the full ice level sensor 117, and the position sensor 119 so as to correspond to the various positions.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송과정에서 전력선통신부(P)를 경유할 수 있는데 전력선통신부(P) 구조 내에서 전원 및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 5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P can transmit the power and operation signals through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P in the transmission process.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220v의 전류가 제공되고, 전류 및 제어신호 공급의 두 라인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우선, 전류의 경우 직류안정화장치(310)로 전달되어, 직류5v의 전압으로 제빙기 제어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 제빙기 제어부(130)의 동력원이 될 수 있다.FIG. 5 is a view showing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current of, for example, 220 V is provided and divided into two lines of current and control signal supply. First, in the case of current, it is transmitted to the DC stabilizer 310, and can be supplied to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at a voltage of DC 5v. And may be a power source of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한편, 제어신호 공급라인으로 제공된 전류는 절연트랜스(321), 액티브 필터(322), 데이터 송수신 단말기(323)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작동신호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기(323)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송수신 단말기(323)에 전송 전에 액티브 필터(322)에서는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제어신호 공급라인에서는 노이즈가 제거된 전류에 작동신호를 형성하여 제빙기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provided to the control signal supply line can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isolation transformer 321, the active filter 322,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323. Here, the operation signal may be formed in the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terminal 323. [ At this time, the active filter 322 can remove the noise included in the current before transmission to the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terminal 323. [ That is, in the control signal supply line, an operation signal is formed on the noise-removed current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구동 및 통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driving and communication flow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냉장고(200)와 제빙기(100a)는 통신 버스(210)를 통한 통신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버스(210)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와 통신되는 경우, 냉장고 제어부(140)로부터 작동신호를 제빙기(100a)로 송신하고, 제빙기(100a)로부터 감지정보를 냉장고 제어부(140)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작동신호는 제1모터(161) 및 제2모터(163)를 포함하는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작동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모터(161)는 이젝터(108)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될 수 있으나, 히터 타입이 아닌 트위스터 제빙기의 경우 이빙을 위해 트위스트시키는 모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모터(163)는 어거모터일 수 있다. 아이스 뱅크(미도시)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기 위해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되는 어거모터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refrigerator 200 including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and the ice maker 100a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Referring to FIG. When the communication bus 210 communicates with the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unit,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ice maker 100a, Can be received by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The activation signal may include an activation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including the first motor 161 and the second motor 163. Here, the first motor 161 may be a motor for rotating the ejector 108, but may be a motor for twisting the ice for ice when the twister ice maker is not a heater type. Further, the second motor 163 may be an uger motor.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not shown) may be an igor motor rotated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to be discharged.

이러한 상기 제1모터(161) 및 제2모터(163)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개별적인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정보에는 모터의 회전속도, 회전각도 및 회전토크 등의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얼음을 분쇄하거나 제빙 트레이(102)에 얼면서 고착된 얼음을 이빙 시키기 위해 트위스트 시킬 때는 토크가 우선되고 이젝터의 회전시에는 회전속도가 우선시되기 때문에 작동신호가 포함하는 정보는 각각 다를 수 있다.Since the respective information for driving the first motor 161 and the second motor 16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dividu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each other. Th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the rotational angle, and the rotational torque, respectively.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operation signal may be different because the torque is given priority when the ice is crushed or twisted in order to freeze the ice fixed while freezing in the ice-making tray 102, and the rotational speed is prioritized when the ejector is rotated.

또한, 작동신호는 히터(171)의 구동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171)는 제2모터(163)가 위치한 아이스 뱅크 측에 위치된 응결 등으로 형성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얼음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를 해동하는 히터(171)가 될 수 있다. 히터(171)의 발열정보는 예를 들어, 기 결정된 온도 구간 내에서, 기 결정된 시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기 결정된 온도 구간을 초과하여 발열되면 과열방지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히터(171)의 발열이 차단될 수 있다.Further, the operation signal may include driving information of the heater 171. [ Here, the heater 171 may be a heater 171 for defrosting the discharge port to prevent ice from being formed at th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fluid formed by condensation or the like located on the ice bank side where the second motor 163 is located is discharged have. The exothermic information of the heater 171 can be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terval. Of course, if the temperature exceeds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171 may be blocked by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not shown).

예를 들어, 히터(171)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히터(171)의 발열 감지정보를 제빙기(100a)를 통해 냉장고 제어부(140)로 전달하면, 냉장고 제어부(140) 측에서 “발열중단”정보를 포함한 작동신호를 제빙기(100a)로 전달할 수 있다. 제빙기(100a) 측에서는 상기 “발열중단”정보를 수신하여 히터의 발열이 중단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71 transmits the heat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heater 171 to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through the ice maker 100a,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may stop the "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to the icemaker 100a. On the side of the ice-maker 100a, the heat-up of the heater may be stopped by receiving the above-mentioned " heat-off interruption "

다양한 예로써, 제빙기(100a)는 온도센서(113), 수위 감지 센서(115), 만빙 감지 센서(117) 및 위치 센서(119)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센서가 감지한 감지정보를 냉장고 제어부(140)로 전달하면 냉장고 제어부(140) 각 감지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 정보를 제빙기(100a) 측으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된 피드백 정보는 온도센서(113), 수위 감지 센서(115), 만빙 감지 센서(117) 및 위치 센서(119)에 대응되도록 이를 전달 할 수 있다.As various examples, the ice maker 100a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13, a water level sensor 115, a full ice level sensor 117 and a position sensor 119,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or controller 140, feedbac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controller 140 can be transmitted to the ice maker 100a. The received feedback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correspond to the temperature sensor 113, the water level sensor 115, the full ice level sensor 117 and the position sensor 119.

상술한 통신 방식에서 제빙기(100a) 및 냉장고 제어부(140) 간의 통신은 앞서 설명하였듯,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와 송수신되는 통신일 수 있다.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K-LINE 통신, RS232, RS422, RS485 및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ce maker 100a and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in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system may be a communication with the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uni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includes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K-LINE communication, RS232, RS422, RS485 and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상기의 통신 모듈은 냉장고 제어부(140)가 각 센싱 신호를 해당 네트워크 통신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통신 버스(210)를 통해 제빙기(100a)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해당 네트워크 통신이 LIN 통신인 경우, 통신 모듈은 냉장고 제어부(140)로부터 수신한 각 센싱 신호를 LIN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변환한 후, 통신 버스(210)를 통해 제빙기(100a)로 전달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converts the sensing signals into data suitable for the network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sensed signals to the ice maker 100a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 That is, when the corresponding network communication is the LIN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convert each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the LIN protocol, and then transmit the sensed signal to the ice maker 100a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

따라서, 제빙기(100a)와 냉장고(200) 간의 통신을 위한 배선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제빙기(100a)를 소형화할 수 있고, 노이즈 및 전자파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wiring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ce maker 100a and the refrigerator 200 can be minimized, the size of the ice maker 100a can be reduced, and generation of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reduced.

나아가, CAN 포트를 터 포함하는 경우에, 냉장고(200)의 통신 네트워크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일 수 있고, 통신 버스(210)는 2개의 꼬인 선(Twist Pair Wir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꼬인 선 중 하나에는 CAN HIGH 신호가 전송되고, 다른 하나에는 CAN LOW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꼬인 선은 서로 다른 전압을 사용함으로써, 전기적인 노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CAN port is included,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200 may be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bus 210 may be composed of two twisted pairs of wires. A CAN HIGH signal can be sent to one of the two twisted wires, and a CAN LOW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Here, the two twisted wires use different voltages so that electrical noise can be reduced.

또한, 냉장고(200)의 통신 네트워크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인 경우, 각 전자 제어 장치는 고유 식별자를 할당 받을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11 비트 또는 29 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식별자의 비트값을 통해 각 전자 제어 장치 간에 데이터 송신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전자 제어 장치가 통신 버스(210)를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 고유 식별자의 비트값에 따른 우선 순위가 높은 전자 제어 장치의 데이터를 우선하여 전송하게 된다. Also,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200 is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can be assigned a unique identifier. The unique identifier may be 11 bits or 29 bits. Here, the priority for data transmission can be set between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through the bit value of the unique identifier. That is, when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rol devices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via the communication bus 210, the data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having a higher priority according to the bit value of the unique identifier is transmitted in priority.

한편, 냉장고(200)의 통신 네트워크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인 경우, 통신 버스(210)는 하나의 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냉장고(200)의 통신 네트워크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인 경우, 냉장고 제어부(141)가 마스터 노드가 되고, 다른 전자 제어 장치(204, 206, 208)가 슬레이브 노드가 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인 냉장고 제어부(141)는 통신 버스(210)의 사용 상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 버스(210)를 통한 데이터 송신이 없는 경우, 제1 전자 제어 장치(202)는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200 is a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the communication bus 210 may be a single line.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200 is a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1 becomes a master node and the other electronic control apparatuses 204, 206 and 208 become slave nodes to perform communication . Here, the master refrigerator control unit 141 may change the operation mode from the active mode to the sleep mode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communication bus 210. [ For example, if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over the communication bus 21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electronic control device 202 may switch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leep mode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wastage.

이와 같이, 냉장고(200)의 통신 네트워크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을 이용하게 되면, 냉장고에 다른 전자 제어 장치가 추가되는 경우, 추가되는 전자 제어 장치를 통신 버스(210)에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양 변경 등에 따른 우수한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or a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is us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200, if another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added to the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secure excellent scalability due to specification changes and the like.

그리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 간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변환통신모듈(135)에 의한 송수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의 통신방식의 예에 있어서, 상술한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를 통한 작동신호(데이터) 전송은 도 7(a)와 같으나, 통신매체 간의 배선을 더욱 간소화하기 위해 냉장고(200) 또는 제빙기(100) 간의 통신 경로에는 하나 이상의 변환통신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제어부(140) 및 제빙기 제어부(130) 간의 통신에 있어서, 각 제어부(130, 140)가 변환통신모듈(135)을 포함하거나 서로 인접해 있는 경우에는 변환통신모듈(135) 간의 연결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7A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munication between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diagram show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ed by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135. FIG. FIG. In the example of the above communication method, the operation signal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unit is as shown in FIG. 7A. However, One or mor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refrigerator 200 and the ice maker 100. For example,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140 and the ice-maker control unit 130, when the control units 130 and 140 include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135 or are adjacent to each other, Communication can be made through a connection.

여기서, 변환통신모듈(135)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에서 전원선(1)을 더 포함하고 있는 일종의 형태인 전력선통신이 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와 비교하면, 데이터 송수신 단말기(323) 측에 전원선이 공급되어 전원선(1)을 통해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력은 직류안정화 전원장치(310)를 통과한 전류로써 5v의 전력이 될 수가 있다. Here, the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135 may be power line communication, which is a kind of a type further including a power line 1 in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3, a power supply line is supplied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323 side, and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1. Of course, the electric power may be 5 V as the electric current passing through the DC stabilized power supply 31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 : 전원선
100, 100a : 제빙기
102 : 제빙 트레이
104 : 제어 박스
106 : 구동부
108 : 이젝터
108a : 이젝터 축
108b : 이젝터 핀
111 : 제빙 공간
113 : 온도 센서
115 : 수위 감지 센서
119 : 위치 센서
121 : 구동 모터
123 : 기어부
127 : 구동 모터의 축
129 : 보조 기어
130 : 제빙기 제어부
131 : 컨트롤러
133 : 통신 모듈
135 : 변환통신모듈
140 : 냉장고 제어부
151 : 통신 버스
153 : 전원용 배선
155 : 접지용 배선
161 : 제1 모터
163 : 제2 모터
171 : 히터
181 : 이송구동부
183 : 선택구동부
200 : 냉장고
210 : 통신 버스
310 : 직류안정화 전원장치
321 : 절연트랜스
322 : 액티브 필터
323 : 데이터 송수신 단말기
330 : 제어부
P : 전력선통신부
D : 구동부
1: Power line
100, 100a: an ice maker
102: Ice-making tray
104: control box
106:
108: Ejector
108a: Ejector shaft
108b: Ejector pin
111: Ice-making space
113: Temperature sensor
115: Level sensor
119: Position sensor
121: drive motor
123: gear portion
127: Axis of drive motor
129: Auxiliary gear
130: Ice-
131: Controller
133: Communication module
135: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140: refrigerator control unit
151: Communication bus
153: Power supply wiring
155: Grounding wiring
161: first motor
163: Second motor
171: Heater
181:
183:
200: Refrigerator
210: communication bus
310: DC stabilized power supply
321: Isolation transformer
322: Active filter
323: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330:
P: Power line communication section
D:

Claims (14)

제빙기 제어부;
상기 제빙기 제어부가 내부에 마련되는 제어 박스; 및
상기 제어박스와 연결되고 수용부가 마련되는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 제어부는,
냉장고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수신 및 상기 작동신호에 대한 대응신호를 상기 냉장고로 송신을 하고, 상기 냉장고와 송수신 되는 상기 작동신호 및 상기 전원 중 하나 이상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를 통해 전달받으며,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수신되는 상기 작동신호에 의해 트위스트되며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는, 제빙기.
An ice-maker control unit;
A control box in which the icemaker control unit is provided; And
And an ice-making tray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and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The ice-
Receiving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ource transmitted from a refrigerator and a corresponding signal for the operation signal to the refrigerator, and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power source transmitted / received to / from the refrigerator,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Wherein the ice-making tray is twisted by the received operating signal and can freeze 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는 K-LINE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via K-LINE communi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는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via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는 RS232, RS422 및 RS485 중 하나의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signal is communicated via one of RS232, RS422 and RS48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 제어부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신호의 일부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cemaker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port,
Wherein a part of the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온도 센서, 수위 감지 센서, 만빙 감지 센서 및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피드백받아 상기 냉장고로 전달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ce-
Further comprising a sensor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a water level sensor, a full ice level sensor and a position sensor,
And the ice-maker control unit feeds back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to the refriger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히터 및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신호는 상기 구동 모터 및 상기 히터의 구동신호를 포함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ce-maker further includes a heater and a driving motor,
Wherein the operation signal includes a drive signal of the drive motor and the heat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BLDC 모터 또는 스테핑모터인,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tor is a BLDC motor or a stepping mo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가 송수신되는 배선은,
광섬유(Fiber Optic)케이블 또는 TP(Twisted-pair)케이블을 포함하는 쉴드피복된 통신케이블인,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ing to which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herein the cable is a shielded communication cable comprising a fiber optic cable or a twisted-pair (TP) c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 및 상기 냉장고 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변환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통신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는 하나의 배선을 통해 수신되는 측으로 전송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at least one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And a signal transmitted by said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is transmitted to a side through which one wiring is recei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 및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배선이 더 포함된 전력선통신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력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작동신호 및 상기 전원은 하나의 배선으로 송수신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unit and a wiring to which the power is supplied,
Wherein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power source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one wiring line via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전달받는 제빙기에서,
제어박스; 및
상기 제어박스와 연결되고, 수용부가 마련되는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작동신호 및 상기 전원 중 하나 이상을,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와 송수신하여 제어되는, 제빙기.
In an ice mak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ource from a refrigerator control unit,
Control box; And
And an ice-making tray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signal and the power source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uni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 및 상기 냉장고 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변환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통신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는 하나의 배선을 통해 수신되는 측으로 전송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at least one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And a signal transmitted by said conversion communication module is transmitted to a side through which one wiring is received.
청구항 1 내지 13 중 한 항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icema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KR1020170089889A 2017-03-02 2017-07-14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801011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7613 WO2018159904A1 (en) 2017-03-02 2017-07-14 Ice making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967 2017-03-02
KR20170026967 2017-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134A true KR20180101134A (en) 2018-09-12

Family

ID=6359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889A KR20180101134A (en) 2017-03-02 2017-07-14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113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626A (en) 2000-03-28 2001-10-29 니시무로 타이죠 Wiring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do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626A (en) 2000-03-28 2001-10-29 니시무로 타이죠 Wiring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5871B2 (en) Appliance sensor and man machine interface bus
KR20080062190A (en) Device for ice making &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20006879A (en) 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040177626A1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methods and apparatus
WO2009069900A2 (en) Refrigerator and cold air path structure for the same
US20050097903A1 (en)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ce maker
KR101512123B1 (en) Refrigerator
KR101975267B1 (en) Ice maker including wiring guide structur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367327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80101134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388879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409772B1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00121025A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90044404A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190145683A1 (en) Ice-making appliance
KR20190044405A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80013726A (en) Ice maker and refre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506788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407257B1 (en) Ice maker including full ice sensing apparatus
EP4040090A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n ice making system
JP2006046747A (en) Refrigerator
KR100693095B1 (en) Ice-maker
KR20210042457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10081732A (en) Ice making system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200056825A1 (en) Harness Free Ice Make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