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267B1 - Ice maker including wiring guide structur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ce maker including wiring guide structur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267B1
KR101975267B1 KR1020170148997A KR20170148997A KR101975267B1 KR 101975267 B1 KR101975267 B1 KR 101975267B1 KR 1020170148997 A KR1020170148997 A KR 1020170148997A KR 20170148997 A KR20170148997 A KR 20170148997A KR 101975267 B1 KR101975267 B1 KR 10197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case
refrigerator
control box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준동
이경수
김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7014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2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2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ice maker, comprising: a control box including a case and an electronic part disposed in the case; and wiring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art disposed in the control box, and extending from the electronic part to an outer side of the control box. The case comprises: an insertion part configured to enable the wiring to be connected to an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control box; and a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wiring at the outer side of the control box through the insertion part. Moreover, the guide surface is disposed for the wiring to be extended by being adjacent to one of a motor part, an output gear, and an interlocking gear, which can be disposed in the case.

Description

배선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INCLUDING WIRING GUIDE STRUCTUR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선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including a wiring guide structur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기를 포함한다. 제빙기는 얼음을 생산하여야 하므로 영하의 환경, 즉, 냉동고의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보통의 냉장고는 냉장영역과 냉동영역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이중 냉동영역이 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각 영역이 구획 될 수 있다. 따라서, 냉동영역에 위치되는 제빙기는 좁게 형성된 냉동고의 냉동용적을 보다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빙기의 부피를 감소하는 시도는 다양한 방면으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의 예로써 제빙기가 냉동고의 도어측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냉장고와 통신을 위해 마련된 구성들을 냉장고 제어부 측으로 배치시킴으로써 해결하였으나 냉장고의 구조상 이러한 구조가 불가피할 수도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용적과 관계없이 제빙기의 용적자체를 감소시키며 냉동용적을 확보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Generally, a refrigerator includes an ice maker that produces ice. Since the ice maker must produce ice, it can be placed in a subzero environment, that is, in the freezer area. An ordinary refrigerator is divided into a refrigeration zone and a freezing zone, and each zone can be partitioned so that the freezing zone is narrower. Therefore, the ice maker located in the freezing region may further reduce the freezing volume of the narrowly formed freez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ttempts to reduce the volume of the ice maker have been attempted in various ways. As an example of such an attempt, the ice-maker is disposed on the door side of the freezer or the components provid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refrigerator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frigerator controller, but such a structure may be inevitabl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ology for reducing the volume of the ice maker itself and ensuring the freezing volume irrespective of the volume of the refrigerator.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56378 호 (2004. 07. 06)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6378 (2004. 07. 0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빙기의 제어박스 내측으로 연결되는 통신 및 전원 등의 배선을 제어박스의 케이스 측으로 밀착시켜 가이드 한 상태로 연장시킴으로써 별도의 배선은폐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제빙기의 부피를 감소하여 더 넓은 냉동용적을 확보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ing of the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box of the ice maker is extended in a guided state by closely contacting the case side of the control box,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i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ce maker which can secure a wider refrigeration volume.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는 전장부를 포함하는 제어박스; 및 제어박스 내측에 마련된 전장부와 연결되고, 전장부로부터 제어박스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선;을 포함하고, 케이스는, 배선이 제어박스 내외측으로 통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입부; 및 배선이 인입부를 통해 제어박스 외측에서 배선을 가이드 하는 안내면을 포함하되, 안내면은, 케이스 내에 마련될 수 있는 모터부, 출력기어 및 연동기어 중 하나에 배선이 인접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A control box including a case and an electric part provided in the case; And a wiring that is connected to a front end portion provided inside the control box and extends from the front end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box, the case including: an inlet portion for allowing wiring to pass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rol box; And a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wiring outside the control box through the lead portion, wherein the guide surface is provided so that the wiring can be extended adjacent to one of the motor portion, the output gear, and the interlocking gear, An ice maker is provided.

그리고, 배선은 케이스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간 중에 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ing may include a bent portion in a section extending outside the case.

또한, 케이스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를 포함하고,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배선의 연장방향을 단속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case includes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and a latching portion for interrup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ir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may be formed.

또한, 걸림부는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를 포함하고, 제1걸림부는 인입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에 배치되고, 제2걸림부는 배선이 케이스 외측에서 한 번 이상 회곡 또는 회절되어 연장되는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atch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sid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lead-in portion,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s bent or diffracted by one or more times on the outside of the case to extend the lead- Lt; / RTI >

또한, 전장부는 모터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electric field section may include a motor section and a control section.

또한, 배선은 전원 및 작동신호 중 하나 이상을 전달하는 배선일 수 있다.Also, the wiring may be a wiring that carries one or more of a power source and an actuating signal.

또한, 전장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전원 및 작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냉장고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Further, the electric field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of a power source and an oper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to the control unit.

또한, 전장부는 온도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작동신호는 냉장고, 제어부 및 전장부로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온도센서가 감지한 감지정보는 제어부를 통해기 냉장고로 전달될 수 있다.Also, the electric field uni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 unit, and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ing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or, the control unit, and the electric field unit, and the sensed information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can be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control unit.

또한,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작동신호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RS232, RS422, RS485 및 K-LINE 통신 중 하나의 통신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Also,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ing can be transmitted through one of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RS232, RS422, RS485 and K-LINE communication.

상기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ice-maker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빙기의 제어박스 내측으로 연결되는 통신 및 전원 등의 배선을 제어박스의 케이스 측으로 밀착시켜 가이드 한 상태로 연장시킴으로써 별도의 배선은폐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제빙기의 부피를 감소하여 더 넓은 냉동용적을 확보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ing of the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box of the ice maker is extended in a guided state by closely contacting the case side of the control box,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maker capable of ensuring a wider refrigeration volu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박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박스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을 통한 신호전달 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을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through w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through w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제빙기는 제빙부(1) 및 제어박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는 냉장고(미도시)의 냉동영역에 위치되어 급수부로부터 제공된 제빙수로 제빙하고 이젝터 또는 제빙트레이의 트위스트에 의해 이빙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부 및 제빙트레이는 제빙부(1)에 포함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히터제빙기의 경우에는 이젝터도 제빙부(1)에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ce maker may include a ice maker 1 and a control box 100. The ice maker is located in the freezing area of the refrigerator (not shown), and can be ice-cooled by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and released by the twist of the ejector or the ice-making tray. Here, the water supply part and the ice-making tray may be included in the ice-making part 1. In the case of the heater ice maker, the ejecto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ice-making part 1.

한편 제빙부(1)와 연결된 제어박스(100)는 케이스(120; 121, 122) 및 케이스(120; 121, 122) 내부에 마련된 전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20)는 제1케이스(121) 및 제2케이스(122)의 결합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내부공간 내에 전장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장부는 모터(130), 제어부 및 센서 등의 구성을 의미하며, 나아가 냉장고와 연결된 배선(110)을 통해 전원 또는 작동신호를 냉장고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전달받는 구성이 될 수 있다.The control box 100 connected to the ice-making unit 1 may include an electric part provided inside the case 120 (121, 122) and the case 120 (121, 122). Here, the case 120 may form an internal space by coupling the first case 121 and the second case 122, and a full-length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The electric field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130, a control unit, and a sensor. Further, the electric field unit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or indirectly receive a power or operation signal from the refrigerator through a wiring 110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상기 배선(110)은 케이스(120)의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인입부를 통해 제어박스(100) 내부로 인입되어 전장부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110)은 제어박스(100) 내측으로부터 인입부를 통해 제어박스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배선은 냉장고 측으로 연장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선(110)은 냉장고 제어부(미도시) 측과 연결될 수 있다.The wiring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trol box 100 through the inlet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se 120 a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In other words, the wiring 1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can be drawn out from the control box 100 through the inlet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box, and the drawn wiring can be extended to the refrigerator sid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For example, the wiring 110 may be connected to a refrigerator control unit (not shown).

여기서 배선(110)이 케이스(120)의 외측 즉, 상기 인출된 이후로부터 냉장고 측으로 연장되는 경로는 기 결정된 구간만큼 케이스(120)의 안내면(도 2의 121c)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안내면(도 2의 121c)에 대하여 도 2 및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Here, the path of the wiring 110 ext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20, that is, after the drawing, to the refrigerator side can be guided by the guide surface (121c in Fig. 2) of the case 12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guide surface (121c in Fig. 2)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박스(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박스(100)의 정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a control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20)에는 배선(110)이 인입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제1케이스(121)에 인입부가 형성되었으나 이는 일 예일뿐이며 제2케이스에 인입부가 형성되어도 관계 없다. 즉, 제1케이스(121) 및 제2케이스(122)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인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인입부로부터 인출된 배선(110)은 케이스(12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모터부(130)와 인접한 케이스(120)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모터부(130)에 인접한 케이스(120)의 일부에는 외측면이 배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안내면(121c)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 wiring 110 may extend through a lead-in portion of the case 120. In this example, the inlet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case 121,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inlet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ase. That is, the inlet portion may be provid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case 121 and the second case 122. [ The wiring 110 drawn out from the lead-in portion can exte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20. This may be, for example, a part of the case 120 adjacent to the motor part 130. [ A guide surface 121c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case 120 adjacent to the motor unit 130 so that the outer surface thereof can guide a direction in which the wiring extends.

안내면(121c)은 곡면일 수 있고 평면일수도 있으나 케이스 외측으로 볼록하거나 톨출되도록 형성되지 않고 케이스(120)로부터 내측공간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한 공간을 배선(110)연장되어 경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선이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오목한 공간을 통해 배선(110)이 경유됨으로써, 배선(110)을 은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요구되지 않고, 냉동영역의 냉동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The guide surface 121c may be curved and may be planar, but may be formed to be concave from the case 120 to the inner space without being formed to protrude or collapse out of the case. This concave space can be extended by extending the wiring 110. More specifically, the wiring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se 120 and the wiring 110 is passed through the concave space. Therefore, a separate structure for hiding the wiring 110 is not required, and the freezing volume of the freezing area .

안내면(121c)을 따라 배선을 배열시키기 위해 배선은 커버부재(미도시) 등으로 수용 또는 피복 등의 수단을 통해 연장방향으로 고정력을 더할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선(110)에 포함된 전원 및 다수의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전선을 하나의 커버부재에 의해 합쳐짐과 동시에 소정의 힘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order to arrange the wirings along the guide surface 121c, the wirings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for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rough means such as receiving or covering with a cover member (not shown) or the like. For example, a power source included in the wiring 110 and an electric wire fo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s can be combined by one cover member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force.

나아가, 배선(110)이 연장되는 방향을 이탈하여 안내면(121c)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오목한 공간을 벗어나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케이스는 걸림부(121a, 12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latching portions 121a and 121b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guide surface 121c by separating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ing 110 extends and to prevent the wiring 110 from moving outside the concave space and outside the case 120. [ have.

걸림부(121a, 121b)는 오목한 공간에 배선(110)이 위치되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1a, 121b)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도 2의 예시와 같이 제1걸림부(121a) 및 제2걸림부(121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선(110)이 인입부로부터 인출되어 냉장고 측을 향해 연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목한 공간내에서 회절 및 회곡될 수 있는데, 상기 회곡 또는 회절에 의해 연장방향이 변경되어 복수 개의 방향으로 연장되게 되면 상기 복수 개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각 걸림부(121a, 121b)는 위치될 수 있다.The latching portions 121a and 121b may extend in a direction that can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wiring 110 is positioned in the concave space.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engaging portions 121a and 121b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2,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portions 121a and 121b may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wiring 110 may be diffracted and deflected in the concave space in the process of being drawn out from the inlet and extending toward the refrigerator side, and the extension direction may be changed by the curvature or diffraction, The engaging portions 121a and 121b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directions.

본 예시와 같이 상기 오목한 공간 내에서 90도로 방향전환이 되어 연장되는 경우에 제1걸림부(121a)와 제2걸림부(121b)는 서로 직교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0)로부터 걸림부(121a, 121b)가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동일한 방향 등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방향에 대하여 제한은 없다.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portions 121a and 121b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when the latching portion 121a is turned by 90 degrees in the concave spa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s 121a and 121b extend from the case 120 may ext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s 121a and 121b face each other or in the same direction,

이하에서는 배선(110)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 및 작동신호 중 하나 이상이 송수신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and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ing 11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제어박스(100)의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제어박스(100)의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of a control box 100 show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rawing of a control box 100 show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선(110)은 안내면(121c)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장되는 배선(110)은 모터부(130), 출력기어(140) 및 연동기어부(140a, 140b, 140c, 140d)를 케이스(120)를 사이에 두고 연장될 수 있다. 즉, 안내면(121c)은 배선(110)이 모터부(130), 출력기어(140) 및 연동기어부(140a, 140b, 140c, 140d)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연장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4 and 5, the wiring 110 may extend along the guide surface 121c as described above. The extended wiring 110 can extend the motor portion 130, the output gear 140, and the interlocking gear portions 140a, 140b, 140c, and 140d with the case 120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guide surface 121c can induce the wiring 110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motor unit 130, the output gear 140, and the interlocking gear units 140a, 140b, 140c, and 140d.

여기서, 모터부(130), 출력기어(140) 및 연동기어부(140a, 140b, 140c, 140d)의 구성은 선택적으로 제어박스(100) 내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포함여부에 따라 배선이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Here, the configurations of the motor unit 130, the output gear 140, and the interlocking gear units 140a, 140b, 140c, and 140d may be selectively provided in the control box 100, May vary.

한편, 도 4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모터부(130)와 인접하여 배선(110)이 연장되도록 안내면(121c)이 위치된 실시예이고, 케이스(120)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면에 안내면(121c)이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연동기어부(140a)가, 모터부(13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위치되는 배선(110)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부(130)의 위치는 제어박스(100) 내에서 최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4, the guide surface 121c is positioned so as to extend the wiring 110 adjacent to the motor unit 130. The guide surface 121c is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case 120, which is recessed inwardly, (121c) can be located. Of course, in this case, the interlocking gear portion 140a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ing 110 positioned to receive rotational power from the motor portion 130 extends.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motor part 130 can be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 in the control box 100. [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연동기어부(140b)와 인접하여 배선(110)이 연장되도록 안내면(121c)이 위치된 실시예이고, 케이스(120)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면에 안내면(121c)이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인접한 다른 연동기어부(140d)가, 연동기어부(140b)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위치되는 배선(110)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110)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연동기어부(140b)의 위치는 제어박스(100) 내에서 최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동축 상에 두 개의 연동기어부(140b, 140c)가 위치되는 경우에, 회전수 및 토크변경을 위해 소기어와 대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기어(연동기어부(140b))와 인접하도록 배선(110)이 배치됨으로써, 대기어(연동기어부(140c))와의 피치원 지름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만큼 케이스(120)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안내면(121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선(1110)은 연동기어부(140b, 140c, 140d)에 인접하여 위치될 경우에, 소기어(연동기어부(140b))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가 있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the guide surface 121c is positioned so as to extend the wiring 110 adjacent to the interlocking gear portion 140b. The guide surface 121c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120, 121c may be located. Of course, in this case, another adjacent interlocking gear portion 140d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rconnection 110 is positioned to receive rotational power from the interlocking gear portion 140b.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interlocking gear portion 140b disposed adjacent to the wiring 110 can be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 in the control box 100. [ Further, when two interlocking gear portions 140b and 140c are positioned on the coaxial line, they can be configured as small gears and idle gears for chang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the torque. In this case, the wiring 110 is arrang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mall gear (the interlocking gear portion 140b), so that the case 120 is recessed by the step difference formed by the pitch circle diameter difference with the large gear (interlocking gear portion 140c) And a guide surface 121c may be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That is, the wiring 1110 can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small gear (interlocking gear portion 140b) when positioned adjacent to the interlocking gear portions 140b, 140c, and 140d.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을 통한 신호전달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을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s through w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through w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빙기는 냉장고(10)로부터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이 제어부(C)로 전달되고 전달받은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제어부(C)가 전장부(E)로 전달 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기능적인 구성이 다른 구성으로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각 구성 중 복수 개의 구성이 제빙기 또는 냉장고 측에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는 “기능적인 구성”을 의미하며, 작동신호 및 전원 중 하나 이상이 전달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The ic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ource to the controller E from the refrigerator 10 by one or more of an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ource to the controller C, . This means that each functional configuration carries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signal and the power source in different configurations, and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of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may be included in the icemaker or the refrigerator side. Thus, this means " functional configuration ", which represents the flow through which at least one of the activation signal and the power source is delivered.

또한 전장부의 구성은 이하에서 제빙트레이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 및 어거부에 포함되는 제2모터, 이젝터, 센서, 과열방지수단 및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field portion may include a first motor for rotating the ice-making tray and a second motor included in the ice-maker, an ejector, a sensor, an overheat preventing means, a heater, and the like.

그리고, 냉장고(10)와 제빙기 제어부(C)는 통신 버스를 통한 통신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버스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의 포트를 통해 송수신하여 통신되는 경우, 냉장고(10)로부터 작동신호를 제빙기 제어부(C)로 송신하고, 제빙기 제어부(C)로부터 감지정보를 냉장고(10)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작동신호는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작동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모터는 이젝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모터는 어거모터일 수 있다.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기 위해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되는 어거모터가 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0) and the ice-maker control unit (C) can communicate through a communication bus. When the communication bus is communicated through the port of the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unit and is communicated, an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10 to the icemaker control unit C, The refrigerator 10 can receive detection information. The actuation signal may include an actuation signal for driving a drive motor including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Here, the first motor may be a motor for rotating the ejector. Further, the second motor may be an uger motor.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may be an igor motor that is rotated in the course of transfer to discharge.

이러한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개별적인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정보에는 모터의 회전속도, 회전각도 및 회전토크 등의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얼음을 분쇄시킬 때는 토크가 우선되고, 이젝터의 회전시에는 회전속도가 우선시되기 때문에 작동신호가 포함하는 정보는 각각 다를 수 있다.Since the respective information for driving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dividu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each other. Th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the rotational angle, and the rotational torque,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torque is prioritized when crushing ice and the rotational speed is prioritized when the ejector is rotated, so that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actuating signal may be different.

또한, 작동신호는 히터의 구동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는 본 예시와 같이 히터 타입의 제빙기의 제빙 트레이 하면에 부착되어 발열하는 이빙 히터가 될 수 있다. 히터의 발열정보는 예를 들어, 기 결정된 온도 구간 내에서, 기 결정된 시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기 결정된 온도 구간을 초과하여 발열되면 과열방지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히터의 발열이 차단될 수 있다.Further, the operation signal may include driving information of the heater. Here, the heater may be a freezing heater which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making tray of the heater-type ice-maker and generates heat, as in this example. The exothermic information of the heater can be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Of course, if heat is generated beyond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can be blocked by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not shown).

예를 들어,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히터의 발열 감지정보를 제빙기 제어부(C)를 통해 냉장고(10)로 전달하면, 냉장고(10) 측에서 “발열중단”정보를 포함한 작동신호를 제빙기 제어부(C)로 전달할 수 있다. 제빙기 제어부(C)에서는 상기 “발열중단”정보를 전달해야 할 위치 즉, 히터를 분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transfers the heat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heater to the refrigerator 10 through the ice-maker controller C, the operation signal including the " To the control unit (C). In the ice-maker controller C, the position to which the above-mentioned " heat interruption " information should be transmitted, that is, the heater, can be discriminated and transmitted.

다양한 예로써, 제빙기는 온도센서수위 감지 센서, 만빙 감지 센서 및 위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센서가 감지한 감지정보를 제빙기 제어부(C)로 전달하면 제빙기 제어부(C)는 냉장고(10)로 전달하여 냉장고로부터 각 감지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 정보를 되돌려 받을 수 있다. 되돌려 받은 피드백 정보는 다양한 위치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를 분별하여 온도센서, 수위 감지 센서, 만빙 감지 센서 및 위치 센서에 대응되도록 이를 전달 할 수 있다.The ice maker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level sensor, a full ice level sensor, and a position sensor.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each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ice-maker controller C as described above, To the refrigerator 10 to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refrigerator. Feedback information that has been returned can be transmitted to various positions, and it can be discriminated and transmitted to correspond to the temperature sensor, the water level sensor, the full ice level sensor, and the position sensor.

상술한 통신 방식에서 제빙기 제어부(C) 및 냉장고(10) 간의 통신은 앞서 설명하였듯,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부와 포트간 송수신을 통한 통신일 수 있다.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K-LINE 통신, RS232, RS422, RS485 및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ce-maker control unit C and the refrigerator 10 in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system may be a communication through the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unit and the po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includes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K-LINE communication, RS232, RS422, RS485 and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여기서, K-line 통신은 ISO 14230 표준을 준수하는 진단 프로토콜로, 표준 RS232 시리얼 인터페이스처럼 전형적인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회로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의 경우, 발신자와 수신자는 동기화를 목적으로 시작 비트 및 정지 비트를 사용한다. 이는 시스템이 추가적인 라인 없이 단일 회선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RS232와는 대조적으로, K-Line 통신은 버스 시스템처럼 다양한 ECU와 통신할 수 있다. 표준 전송 속도는 10,400 baud이며 최대 속도는 115.2 K baud로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밍 등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Here, K-line communication is a diagnostic protocol that complies with the ISO 14230 standard and is based on a typical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circuit technology like a standard RS232 serial interface. For universal asynchron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sender and receiver use the start and stop bits for synchronization purposes. This means that a single line is sufficient for the system without additional lines. In contrast to the RS 232, the K-Line communication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ECUs as a bus system. The standard transfer rate is 10,400 baud and the maximum speed is 115.2 K baud, which can be used for flash memory programming and so on.

또한, K-Line은 온보드 및 오프보드 진단에 모두 적합하며 두 종류의 특수 초기화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K-Line의 특징 중 하나는 헤더 포맷(header format)과 타이밍 파라미터를 확인 시 사용하는 특수 키 바이트(key byte)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K-Line is suitable for both on-board and off-board diagnostics and can provide two types of special initialization pattern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Line may be a special key byte used for checking the header format and timing parameters.

상기의 통신 모듈은 제빙기 제어부(C)로부터 수신한 각 센싱 신호를 해당 네트워크 통신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통신 버스를 통해 냉장고(1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해당 네트워크 통신이 LIN 통신인 경우, 통신 모듈은 제빙기 제어부(C)로부터 수신한 각 센싱 신호를 LIN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변환한 후, 통신 버스(210)를 통해 냉장고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convert each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ice-maker controller C into data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network communication, and then transmit the sensed signal to the refrigerator 10 via the communication bus. That is, when the network communication is LIN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convert each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ice-maker controller C according to the LIN protocol, and then transmit the sensed signal to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210.

따라서, 제빙기와 냉장고(10) 간의 통신을 위한 배선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제빙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노이즈 및 전자파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wiring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10 can be minimized, the size of the ice maker can be reduced, and the generation of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reduced.

도 7을 참조하면 냉장고(10)의 통신 네트워크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인 경우, 통신 버스(210)는 하나의 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의 통신 네트워크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인 경우, 냉장고(10)가 마스터 노드가 되고, 다른 전자 제어 장치(타 전장부)가 슬레이브 노드가 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인 냉장고 제어부는 통신 버스의 사용 상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 버스를 통한 데이터 송신이 없는 경우, 제1 전자 제어 장치는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10 is a 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the communication bus 210 may be a single line. Also,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10 is a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the refrigerator 10 becomes a master node, and another electronic control device (other electric appliance) becomes a slave node and can perform communication. Here, the master refrigerator control unit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from the active mode to the sleep mode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communication bus. For example, if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over the communication bu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electronic control device can switch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leep mode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wastage.

이와 같이, 냉장고(10)의 통신 네트워크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을 이용하게 되면, 냉장고에 다른 전자 제어 장치가 추가되는 경우, 추가되는 전자 제어 장치를 통신 버스에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양 변경 등에 따른 우수한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or a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is us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efrigerator 10, if another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added to the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secure excellent scalability due to specification changes and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 : 제빙부
10 : 냉장고
100 : 제어박스
110 : 배선
111 : 회곡부
120 : 케이스
121 : 제1케이스
121a : 제1걸림부
121b : 제2걸림부
121c : 안내면
122 : 제2케이스
130 : 모터부
140 : 출력기어
140a, 140b, 140c, 140d : 연동기어부
141 : 출력부
S : 센서부
C : 제어부
E : 전장부
1:
10: Refrigerator
100: control box
110: Wiring
111:
120: Case
121: First case
121a:
121b:
121c:
122: Second case
130:
140: Output gear
140a, 140b, 140c, 140d:
141: Output section
S: Sensor unit
C:
E: All books

Claims (10)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는 전장부를 포함하는 제어박스; 및
상기 제어박스 내측에 마련된 전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장부로부터 상기 제어박스 외측으로 상기 케이스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배선이 상기 제어박스 내외측으로 통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입부;
상기 인입부를 통해 상기 제어박스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배선을 가이드 하는 안내면; 및
상기 배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이탈하여 상기 안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면은,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될 수 있는 모터부, 출력기어 및 연동기어 중 하나에 상기 배선이 인접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공간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고, 오목한 공간을 통해 배선이 경유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인입부로부터 인출되어 냉장고 측을 향해 연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목한 공간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오목한 공간에 배선이 위치되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인입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배선이 상기 케이스 외측에서 한 번 이상 회곡 또는 회절되어 연장되는 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는 서로 직교되도록 위치되는, 제빙기.
A control box including a case and an electric part provided in the case; And
And a wiring connected to a front portion provided inside the control box and exten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from the front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box,
In this case,
An inlet for allowing the wiring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rol box;
A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wiring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box through the lead-in portion; And
And a latching portion for separating from the guide surface to prevent the wiring from being wide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ase,
Wherein the guide surface is provided so as to extend adjacent to the wiring in one of a motor portion, an output gear and an interlocking gear that can be provided in the case, and is formed to be concave in the case inner space, ≪ / RTI >
Wherein the wiring extends in the concave space in the process of being drawn out from the inlet por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refrigerator side,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that can maintain a state where the wiring is positioned in the concave space, and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latching portion is disposed on a sid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lead-in portion,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s disposed in a section where the wiring is bent or diffracted more than once at the outside of the case, And the second catches are position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배선의 연장되는 방향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ncludes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And an engagement portion is formed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cases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간 중에 회곡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ing includes a bent portion in a section extending outside the c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모터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 field portion includes a motor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전원 및 작동신호 중 하나 이상을 전달하는 배선인,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ing is a wiring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power source and an operation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전원 및 작동신호 중 하나 이상을 전달하는 배선이고,
상기 전원 및 상기 작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냉장고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 field un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Wherein the wiring is a wiring for transferring at least one of a power source and an operation signal,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wer source and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tor to the contro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온도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작동신호는 냉장고,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장부로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감지정보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냉장고로 전달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ull-length par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 part,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ing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or, the control unit, and the electric field unit,
And the sensed information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control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작동신호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RS232, RS422, RS485 및 K-LINE 통신 중 하나의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ing line,
Is transmitted through one of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RS232, RS422, RS485 and K-LINE communication.
청구항 1, 2 및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comprising an icema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9.
KR1020170148997A 2017-11-09 2017-11-09 Ice maker including wiring guide structur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19752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97A KR101975267B1 (en) 2017-11-09 2017-11-09 Ice maker including wiring guide structur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97A KR101975267B1 (en) 2017-11-09 2017-11-09 Ice maker including wiring guide structur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267B1 true KR101975267B1 (en) 2019-05-07

Family

ID=6665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997A KR101975267B1 (en) 2017-11-09 2017-11-09 Ice maker including wiring guide structur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26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855A (en)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 대창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10081732A (en)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대창 Ice making system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0563A (en) * 1992-02-28 1993-09-17 Sanyo Electric Co Ltd Device for preventing dewing in refrigerator
JP2001165541A (en) * 1999-12-08 2001-06-22 Sankyo Seiki Mfg Co Ltd Driving device of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200356378Y1 (en) 2004-04-21 2004-07-15 이재한 Ice maker
KR20050103098A (en) * 2004-04-24 200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050105341A (en) * 2004-04-28 200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Built-in type refrigerator
JP2008180466A (en) * 2007-01-25 2008-08-07 Hoshizaki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mponent box
KR101550400B1 (en) * 2013-10-23 2015-09-10 주식회사 제이오텍 controlling method of refrigerating system, and refrigerator adopt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0563A (en) * 1992-02-28 1993-09-17 Sanyo Electric Co Ltd Device for preventing dewing in refrigerator
JP2001165541A (en) * 1999-12-08 2001-06-22 Sankyo Seiki Mfg Co Ltd Driving device of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200356378Y1 (en) 2004-04-21 2004-07-15 이재한 Ice maker
KR20050103098A (en) * 2004-04-24 200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050105341A (en) * 2004-04-28 200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Built-in type refrigerator
JP2008180466A (en) * 2007-01-25 2008-08-07 Hoshizaki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mponent box
KR101550400B1 (en) * 2013-10-23 2015-09-10 주식회사 제이오텍 controlling method of refrigerating system, and refrigerator adopting the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855A (en)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 대창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10081732A (en)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대창 Ice making system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267B1 (en) Ice maker including wiring guide structur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120242207A1 (en) Connection point for communication device on appliance
KR20120006879A (en) 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14007617A1 (en) Adjustment system, primary adjustment unit and secondary adjustment unit, air intake, motor vehicle
US8032261B1 (en) Cooling system with adaptive protocol cooling unit
KR102367327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409772B1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388879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1209200B2 (en) Refrigerator and ice-making assembly
KR20180101134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190145683A1 (en) Ice-making appliance
JP5192353B2 (en) Communication circuit,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aggregation device
KR20190044405A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90044404A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06257205B (en) Refriger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00121025A (en) Ice mak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80013726A (en) Ice maker and refre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039484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50026635A (en) Ice-maker in refrigerator
US91709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a transmitter to a receiver via a single line
KR102506788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407257B1 (en) Ice maker including full ice sensing apparatus
AU2018309532B2 (en) Refrigerator
US20190331382A1 (en) Ice maker and control method for ice maker
CN212673613U (en) Air do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