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742B1 - 시력 회복 안경 - Google Patents

시력 회복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742B1
KR102409742B1 KR1020200097772A KR20200097772A KR102409742B1 KR 102409742 B1 KR102409742 B1 KR 102409742B1 KR 1020200097772 A KR1020200097772 A KR 1020200097772A KR 20200097772 A KR20200097772 A KR 20200097772A KR 102409742 B1 KR102409742 B1 KR 102409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eye
unit
vibrating unit
v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602A (ko
Inventor
김보영
Original Assignee
텐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7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 B06B2201/76Medical, dent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력 회복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 다리와 결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중단에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며, 진동을 통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부; 상기 안경 다리의 일측에 내장되는 배터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좌안 또는 우안 부분으로 회동 및 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안구 운동을 유도하는 것이 아닌 안구에 저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실질적인 시력 회복 효과를 발휘하는 시력 회복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구로 전달된 초음파를 통해 안구의 긴장 완화, 혈류 증대 및 안구세포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단일로 마련하고, 상기 진동부가 힌지를 통해 안경의 좌안/우안 영역으로 회동 및 안착이 되는 것을 구현하여 사용자 시력 또는 회복 스케쥴에 따라 좌/우안의 시력 회복을 선택하도록 하여 시력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자체적으로 진동부의 좌/우안 구동을 표시하는 LED 인디케이터를 설치하여 자체적인 안경 구동을 구현함과 동시에 다른 통신 단말의 앱과 연계될 경우, 시력 회복 스케쥴에 따른 진동부의 구동 제어, 회복 진행 상황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력 회복 안경{Glasses for recovery of vision}
본 발명은 시력 회복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이 떨어진 사용자가 안면에 착용하여 향상된 시력을 제공받기 위한 장치이며, 최근에는 렌즈를 통한 교정시력을 제공하는 안경에서 착용자의 시력 자체를 교정하거나 회복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안경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약시는 눈에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으나 정상적인 교정 시력이 나오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약시는 발생 원인에 따라 대략 사시 약시와 굴절률 약시로 구분할 수 있다.
사시 약시는, 사시가 있을 때 두 눈이 보는 방향이 달라서 복시가 생기되는데 이로 인한 혼동을 막기 위해 대뇌에서 능동적 억제가 일어나 한 쪽 눈의 시력 발달을 저해하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굴절률 약시는, 양 안의 굴절률이 다를 때 두 눈이 보는 방향은 같지만 초점이 다르게 되어 한 쪽 눈의 초점에 맞춤에 따라 다른 쪽 눈이 부옇게 보이고, 이에 따라 해당 다른 쪽 눈에 대한 능동적 억제가 일어나 시력 발달을 저해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중 사시 약시의 경우 외견상 발견하기 쉬워 치료가 비교적 쉽게 이루어지지만, 굴절률 약시의 경우 외견상 이상 소견이 없기 때문에 약시를 가진 자가 상당히 성장한 이후에 시력 검사를 통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약시는 일반적으로 만 6세가 넘으면 치료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고 만 10세가 되면 더 이상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약시의 치료 방법 중 하나로 가림 치료가 이용되고 있다. 가림 치료는 정상인 눈을 안대로 가려 약시인 눈만을 강제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시력이 좋아지도록 치료한다.
이러한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 안경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2902호(2019.04.25. 공개,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가 있었다.
한편, 시력교정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다른 방법 중 하나는, 엷은 불투명 평판에 다수의 구멍(이하 "핀홀"이라 한다)이 뚫린 안경렌즈의 안경을 착용하면 이 핀홀을 통해서 대상을 보는 동안 착용자의 안구 근육이 자연적으로 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듭하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시력회복 기능의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효과를 일명 "핀홀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핀홀효과"는 이미 국내외에 오래 전부터 공지되고 있어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안경(핀홀 안경)들이 전 세계 각국에서 오랫동안 다수 제작되어 각종 시력장애, 근시, 난시, 원시, 노안 등의 교정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핀홀을 이용한 시력 교정 안경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2116호(2012.03.12. 공개, 시력교정 안경용 렌즈 및 그 제조 방법)가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문헌을의 가림치료 및 핀홀을 이용한 안경 기술의 경우, 시력 교정을 위한 수단이 시야 조절을 통한 안구 운동에 집중되어 있어 실질적인 시력 교정 또는 시력 회복 효과가 미비하다는 문제점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2116호(2012.03.12. 공개, 시력교정 안경용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2902호(2019.04.25. 공개,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안구 운동을 유도하는 것이 아닌 안구에 저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실질적인 시력 회복 효과를 발휘하는 시력 회복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구로 전달된 초음파를 통해 안구의 긴장 완화, 혈류 증대 및 안구세포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력 회복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단일로 마련하고, 상기 진동부가 힌지를 통해 안경의 좌안/우안 영역으로 회동 및 안착이 되는 것을 구현하여 사용자 시력 또는 회복 스케쥴에 따라 좌/우안의 시력 회복을 선택하도록 하여 시력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시력 회복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체적으로 진동부의 좌/우안 구동을 표시하는 LED 인디케이터를 설치하여 자체적인 안경 구동을 구현함과 동시에 다른 통신 단말의 앱과 연계될 경우, 시력 회복 스케쥴에 따른 진동부의 구동 제어, 회복 진행 상황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시력 회복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안경 다리와 결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중단에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며, 진동을 통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부; 상기 안경 다리의 일측에 내장되는 배터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좌안 또는 우안 부분으로 회동 및 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시력 회복 안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부는 표면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압전소자 또는 압전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부는 중앙에 안구 방향으로 돌출되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부에는 안구와 진동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센서 또는 압력센서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안경 다리의 일측에는 안면과 안경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 다리의 일측에는 다른 통신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경 다리와 프레임부가 접하는 영역에 상기 진동부의 위치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ED 인디케이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안구 운동을 유도하는 것이 아닌 안구에 저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실질적인 시력 회복 효과를 발휘하는 시력 회복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구로 전달된 초음파를 통해 안구의 긴장 완화, 혈류 증대 및 안구세포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단일로 마련하고, 상기 진동부가 힌지를 통해 안경의 좌안/우안 영역으로 회동 및 안착이 되는 것을 구현하여 사용자 시력 또는 회복 스케쥴에 따라 좌/우안의 시력 회복을 선택하도록 하여 시력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자체적으로 진동부의 좌/우안 구동을 표시하는 LED 인디케이터를 설치하여 자체적인 안경 구동을 구현함과 동시에 다른 통신 단말의 앱과 연계될 경우, 시력 회복 스케쥴에 따른 진동부의 구동 제어, 회복 진행 상황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력 회복 안경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력 회복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력 회복 안경은, 안경 다리(5)와 결합되는 프레임부(10); 상기 프레임부(10)의 중단에 설치되는 힌지부(20); 상기 힌지부(20)에 결합되며, 진동을 통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부(30); 상기 안경 다리(5)의 일측에 내장되는 배터리부(미도시); 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는 후술할 시력 회복 안경의 구성들이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 에서와 같이, 양단에 각각 안경 다리(5)가 결합되고, 좌안과 우안 부분에 상부가 개방된 반원 형태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0)의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은 후술할 힌지부(20) 및 진동부(30)와의 결합으로 진동부(30)가 좌안측과 우안측의 영역으로 이동되기 위함이며, 이는 본 발명이 좌안과 우안에 동시에 초음파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시력 회복을 위하여 선택된 안구측으로만 초음파를 전달하는 형태로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힌지부(20)는 프레임부(10)의 중단, 더욱 상세하게는 좌안 부분과 우안 부분의 사이에 설치되며, 후술할 진동부(30)가 힌지부(20)와 결합되어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동 및 안착되는 것을 구현한다.
진동부(30)는 힌지부(20)와 결합되며, 진동을 통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진동부(30)는 단일로 마련되어 상기 힌지부(20)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10)의 좌안 또는 우안 부분으로 회동 및 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프레임부(10)의 양측에 진동부(30)의 안착 후 진동부(30)를 고정시키거나 진동부(30)의 위치를 절환시키기 위한 후크, 걸림부 등의 다양한 체결/해제 구성이 부가되어 진동부(30)의 회동 및 안착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진동부(30)는 표면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압전소자 또는 압전필름(32)을 포함하며, 상기 압전소자 또는 압전필름은 배터리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부(30)는 중앙에 안구 방향으로 돌출되는 함몰부(34)가 형성되며, 이는 안경 착용 시 안구와 최대한 근접한 상태에서 초음파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진동부(30)가 발생시키는 초음파는 대략 6~12KHz의 주파수를 구비한 초음파로서 상기 범위의 저주파 초음파가 진동을 통해 발생되고 안구로 전달되어 안구에 물리적인 손상이 방지되면서도 안구의 긴장 완화, 혈류 증대 및 안구세포 활성화에 도움을 주어 최종적으로 시력의 교정 또는 회복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부(30)에는 안구와 진동부(30)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센서 또는 압력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센서를 통해 진동부(30)와 안구의 밀착 여부가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경 다리의 일측에는 안면과 안경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거리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센서를 통하여 안구와 진동부(30)의 밀착 여부 또는 안경과 안면의 거리 감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눈을 감은 상태에서의 진동부(30)와 안구의 밀착 또는 눈을 뜬 상태에서의 안면과 안경의 근접을 통한 안구로의 초음파 전달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경 다리(5)의 일측에는 다른 통신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이 설치된 형태로 시력 회복 안경이 마련될 경우, 외부의 통신단말과 무선 연동되어 통신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한 시력 회복 스케쥴 및 안경의 구동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앱에는 사용자 정보, 사용 횟수와 사용 날짜가 표시된 스케쥴 표, 금회 사용 시 진동부(30)가 안착될 부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는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력 회복 안경에는, 상기 안경 다리(5)와 프레임부(10)가 접하는 영역에 상기 진동부(30)의 위치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ED 인디케이터(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LED 인디케이터(7)는 시력 회복 안경의 상태(충전중, 완충, 구동중 등) 및 금번 사용할 부분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구성으로 일측의 LED 인디케이터(7)에만 점멸 또는 발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지난번 사용이 좌안일 경우 금번 사용 시에는 우안측의 인디케이터가 발광되도록 함, 진동부가 좌안측에 안착되어 있을 경우 우안측 인디케이터가 점멸되어 진동부의 회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음)
전술한 구성들은 모두 상기 배터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 전원을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시력 회복 안경을 이루는 각 구성의 상태 감지를 통한 구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부(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력 회복 안경은, 구동 시간, 완료 시간 등의 안경의 경과를 사용자에게 소리 또는 진동으로 알리기 위한 알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경의 구동 시간이 10분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5분 지점에서 약진동 2회/약알림음 출력, 10분 지점에서 강진동 2회/강알림음 출력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경 사용의 경과 시간 및 종료 시간 등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안경 작동 종료 후에는 안경으로의 전원 공급 자동 차단을 통해 안경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력 회복 안경은, 안구 운동을 유도하는 것이 아닌 안구에 저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실질적인 시력 회복 효과를 발휘하는 시력 회복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구로 전달된 초음파를 통해 안구의 긴장 완화, 혈류 증대 및 안구세포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단일로 마련하고, 상기 진동부가 힌지를 통해 안경의 좌안/우안 영역으로 회동 및 안착이 되는 것을 구현하여 사용자 시력 또는 회복 스케쥴에 따라 좌/우안의 시력 회복을 선택하도록 하여 시력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자체적으로 진동부의 좌/우안 구동을 표시하는 LED 인디케이터를 설치하여 자체적인 안경 구동을 구현함과 동시에 다른 통신 단말의 앱과 연계될 경우, 시력 회복 스케쥴에 따른 진동부의 구동 제어, 회복 진행 상황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 : 안경 다리 7 : LED 인디케이터
10 : 프레임부 20 : 힌지부
30 : 진동부 32 : 압전소자, 압전필름
34 : 함몰부

Claims (7)

  1. 안경 다리와 결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중단에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며, 진동을 통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부;
    상기 안경 다리의 일측에 내장되는 배터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좌안 또는 우안 부분으로 회동 및 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안경 다리와 프레임부가 접하는 상기 프레임부의 양측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진동부의 위치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한 쌍의 LED 인디케이터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LED인디케이터는 상기 힌지부를 통한 상기 진동부의 회동 필요 사실을 알리기 위해, 상기 한 쌍의 LED인디게이터 중, 상기 진동부의 이전 진동 발생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배치된 LED 인디케이터가 점멸 또는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회복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표면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압전소자 또는 압전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회복 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중앙에 안구 방향으로 돌출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회복 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에는 안구와 진동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센서 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회복 안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다리의 일측에는 안면과 안경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회복 안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다리의 일측에는 다른 통신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회복 안경.
  7. 삭제
KR1020200097772A 2020-08-05 2020-08-05 시력 회복 안경 KR102409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72A KR102409742B1 (ko) 2020-08-05 2020-08-05 시력 회복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72A KR102409742B1 (ko) 2020-08-05 2020-08-05 시력 회복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602A KR20220017602A (ko) 2022-02-14
KR102409742B1 true KR102409742B1 (ko) 2022-06-16

Family

ID=8025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772A KR102409742B1 (ko) 2020-08-05 2020-08-05 시력 회복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743B1 (ko) * 2021-03-30 2022-06-16 텐텍 주식회사 시력 회복 안경에 이용되는 진동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151A (ja) * 1998-08-20 2000-03-03 Yoshito Kaneda 眼 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138U (ja) * 1993-06-24 1995-02-28 ホーヤ株式会社 眼精疲労緩和器
KR20060001786A (ko) * 2004-10-15 2006-01-06 민준기 다목적 안경
KR20110134716A (ko) * 2010-06-09 2011-12-15 주식회사 이랜텍 용량성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KR20120022116A (ko) 2010-09-01 2012-03-12 신재학 시력교정 안경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5568A (ko) * 2016-02-15 2017-08-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약시 교정용 안경
KR20190011170A (ko) * 2017-07-24 2019-02-01 이상엽 시력 교정용 안경을 이용한 시력교정시스템, 시력교정실행방법 및 그 시력교정실행이력 데이터 저장방법
KR20190042902A (ko) 2017-10-17 2019-04-25 조춘식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151A (ja) * 1998-08-20 2000-03-03 Yoshito Kaneda 眼 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602A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06691A1 (en) Dynamic multifocal contact lens
US10624790B2 (en) Electronic eyewear therapy
US9268153B2 (en) Dynamic ophthalmic lens capable of correcting night and day vision
US20080062338A1 (en) Liquid-Crystal Eyeglass System
CA2961485A1 (en) Pulsed plus lens designs for myopia control, enhanced depth of focus and presbyopia correction
US20140232982A1 (en) Dynamic multifocal contact lens dual layer with core
US20140198293A1 (en) Electronic eyewear
SG179307A1 (en) Ophthalmic glasses
CN106980185B (zh) 智能型辅助视力眼镜
JP2013515971A (ja) 眼視野および補助視野を提供するようになされている眼鏡レンズ
JP2006513460A (ja) プリズム及び屈折力の累進加入度数を有する眼科用レンズ
AU2018256620B2 (en) Eye exercise device
KR102409742B1 (ko) 시력 회복 안경
CN104102022A (zh) 动态式视力矫正眼镜
KR102409743B1 (ko) 시력 회복 안경에 이용되는 진동부
JP4783546B2 (ja) メガネフレーム及びこれを用いた検眼システム
WO2010067877A1 (ja) 眼鏡、及び眼鏡の上下位置調整器具
CN103048804A (zh) 智能眼位近视矫正镜
KR20220017603A (ko) 시력 회복 안경을 이용한 시력 회복 방법
JP6007383B1 (ja) 眼精疲労の軽減方法及び眼精疲労軽減眼鏡
JP2002156611A (ja) 眼鏡用老視補正レンズ
JP2012000403A (ja) 網膜刺激装置
TWM592730U (zh) 可進行視覺疲勞放鬆動作之裝置
CN201524175U (zh) 复合镜片近视矫治眼镜及其组合式近视矫治眼镜
US20230375859A1 (en) Lens element comprising an activable optical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