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902A -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 Google Patents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902A
KR20190042902A KR1020170134541A KR20170134541A KR20190042902A KR 20190042902 A KR20190042902 A KR 20190042902A KR 1020170134541 A KR1020170134541 A KR 1020170134541A KR 20170134541 A KR20170134541 A KR 20170134541A KR 20190042902 A KR20190042902 A KR 20190042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ns
active lens
control
opa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식
Original Assignee
조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춘식 filed Critical 조춘식
Priority to KR1020170134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2902A/ko
Publication of KR2019004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렌즈 삽입구가 이격하여 형성된 안경테 프레임, 렌즈 삽입구에 삽입되고 인가 전압에 따라 광 투과율이 조절되는 액티브 렌즈, 안경테 프레임과 힌지를 이용해 결합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운동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다리 프레임, 다리 프레임 내 공간에 위치하고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다리 프레임 내 공간에 위치하고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해 액티브 렌즈로 전압을 인가하여 액티브 렌즈를 불투명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안경을 이용해 가림 치료를 수행하여 약시 등을 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Glasses for correction of vision using occlusion therapy}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눈의 시야를 가려 약시를 개선하는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시는 눈에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으나 정상적인 교정 시력이 나오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약시는 발생 원인에 따라 대략 사시 약시와 굴절률 약시로 구분할 수 있다.
사시 약시는, 사시가 있을 때 두 눈이 보는 방향이 달라서 복시가 생기되는데 이로 인한 혼동을 막기 위해 대뇌에서 능동적 억제가 일어나 한 쪽 눈의 시력 발달을 저해하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굴절률 약시는, 양 안의 굴절률이 다를 때 두 눈이 보는 방향은 같지만 초점이 다르게 되어 한 쪽 눈의 초점에 맞춤에 따라 다른 쪽 눈이 부옇게 보이고, 이에 따라 해당 다른 쪽 눈에 대한 능동적 억제가 일어나 시력 발달을 저해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중 사시 약시의 경우 외견상 발견하기 쉬워 치료가 비교적 쉽게 이루어지지만, 굴절률 약시의 경우 외견상 이상 소견이 없기 때문에 약시를 가진 자가 상당히 성장한 이후에 시력 검사를 통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약시는 일반적으로 만 6세가 넘으면 치료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고 만 10세가 되면 더 이상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약시의 치료 방법 중 하나로 가림 치료가 이용되고 있다. 가림 치료는 정상인 눈을 안대로 가려 약시인 눈만을 강제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시력이 좋아지도록 치료한다. 그런데 안대를 이용한 가림 치료는 외모상의 문제가 있고, 이물감이 느껴지거나 접촉 피부염의 발생하는 등의 부작용이 있다. 특히 약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연령대의 소아는 안대의 착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가림 치료의 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청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7737호 (2008년 11월 06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을 착용한 상태로 눈의 시야를 가려 약시를 개선하는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는, 복수의 렌즈 삽입구가 이격하여 형성된 안경테 프레임, 상기 렌즈 삽입구에 삽입되고 인가 전압에 따라 광 투과율이 조절되는 액티브 렌즈, 상기 안경테 프레임과 힌지를 이용해 결합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운동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다리 프레임, 상기 다리 프레임 내 공간에 위치하고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다리 프레임 내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해 상기 액티브 렌즈로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액티브 렌즈를 불투명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액티브 렌즈를 불투명하게 제어하거나 투명하게 제어하는 동작을 번갈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액티브 렌즈를 번갈아 불투명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에 있어서,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액티브 렌즈를 불투명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액티브 렌즈에 대한 제어 기간 정보, 불투명 상태의 지속 시간 정보, 제어 대상 렌즈 정보 및 복수의 렌즈를 번갈아 불투명하게 제어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앱상에서 설정되어 전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 프레임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파 차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안경테 프레임의 끝단과 상기 다리 프레임의 끝단을 접속하는 포고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고핀을 통해 상기 다리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만 선택적으로 상기 액티브 렌즈로 전압을 인가하여 불투명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에 따르면 안경을 이용해 가림 치료를 수행하여 약시 등을 교정할 수 있고, 안대를 착용함에 따른 이물감이나 피부염의 우려를 방지하고 착용시 외형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가림 치료를 수행하는 시간에만 선택적으로 렌즈의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별도의 동작 없이도 바로 치료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앱을 이용해 가림 치료와 관련한 설정을 하고 해당 설정에 따라 렌즈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가림 치료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한편 전원과 제어부가 위치하는 다리 프레임을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재를 이용해 구성하여, 가림 치료를 위해 착용된 안경으로부터 방출된 전자파로 인해 인체에 미치게 되는 유해한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
더하여 안경테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을 포고핀을 이용해 접속하여 다리 프레임이 착용을 위해 펼쳐진 상태에서만 렌즈의 투명도 조절을 위한 전압을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교정용 안경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의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가림 치료를 이용해 시력을 교정하는 안경 장치와 관련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교정용 안경 시스템(10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력 교정용 안경 시스템(1000)은 안경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경 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로 렌즈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가림 치료를 이용해 시력을 교정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이다. 안경 장치(100)는 사용자가 정상인 눈과 약시인 눈을 갖고 있는 경우 정상인 눈에 대응하는 렌즈를 불투명하게 조절하여 정상인 눈의 시야를 가림으로써 약시인 눈이 강제적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안경 장치(100)의 렌즈는 평소에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고 전압이 인가되면 불투명하게 변화하는 액티브 렌즈(active lens)일 수 있다. 그리고 안경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해 렌즈의 투명도와 관련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가림 치료를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안경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안경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앱(app)을 구동하여 실행 가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에 따라 무선 통신을 이용해 안경 장치(100)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휴대성이 좋은 스마트 폰이 될 수 있고, 통신 기능이 탑재된 컴퓨터, 노트북이나 각종 가전 등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가림 치료를 수행하는 안경 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의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경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 프레임(10), 액티브 렌즈(20), 다리 프레임(30), 통신부(40), 전원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경테 프레임(10)은 안경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하고 복수의 렌즈 삽입구가 이격하여 위치한다.
액티브 렌즈(active lens)(20)는 안경테 프레임(10)의 렌즈 삽입구에 삽입되고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불투명하게 변화하여 광 투과율이 조절되는 성질을 가진다. 액티브 렌즈(20)는 평소에 투명 상태로 광을 투과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전달하고, 전압이 인가되면 불투명 상태로 변화되어 사용자의 눈으로 전달되는 광을 차단한다.
다리 프레임(30)은 사용자의 귓바퀴에 거치되어 안경 장치(100)가 착용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리 프레임(30)은 안경테 프레임(10)과 힌지(1)를 이용해 결합하고, 힌지(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운동한다. 다리 프레임(30)은 내부 공간에 통신부(40), 전원부(50) 및 제어부(60)를 수용하여 외관을 구성한다. 다리 프레임(30)은 복수의 프레임(31, 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단이 안경테 프레임(10)과 힌지(1)를 이용해 결합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운동한다.
다리 프레임(30)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파 차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리 프레임(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통신부(40), 전원부(50) 및 제어부(6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안경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통신부(40)는 정보 송수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통신부(4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본체는 다리 프레임(30)의 내부에 위치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전원부(50)는 안경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부(50)는 다리 프레임(30) 내 공간에 위치한 2차 전지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50)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통신부(40) 및 제어부(60)를 구동하는데 이용되고,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액티브 렌즈(20)에 전압을 인가하는데 활용된다.
제어부(60)는 안경테 프레임(10), 액티브 렌즈(20), 다리 프레임(30), 통신부(40) 및 전원부(50)를 포함한 안경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연산 유닛, 메모리, 프로그램 저장소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60)는 다리 프레임(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전원부(5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해 액티브 렌즈(20)에 전압을 인가하여 불투명하게 제어한다. 그 결과 불투명 상태로 전환된 렌즈에 대응하는 눈의 시야를 가릴 수 있고, 다른 쪽 눈의 사용이 강제된다. 이 경우 제어부(60)는 정상인 눈에 대응하는 액티브 렌즈(20)에 전압을 인가하여 불투명하게 제어함으로써, 약시인 눈의 사용을 강제하고 시력 교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시간 간격을 두고 액티브 렌즈(20)를 불투명하게 제어하거나 투명하게 제어하는 동작을 번갈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액티브 렌즈(20)에 전압을 인가하여 불투명하게 제어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압을 차단하여 액티브 렌즈(20)의 상태를 투명하게 되돌림으로써, 해당 액티브 렌즈(20)에 의해 눈의 시야를 가리고 다시 사용하게 하는 제어 동작을 번갈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의 액티브 렌즈(20)를 번갈아 불투명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60)는 일측의 액티브 렌즈(20)에 전압을 인가하여 불투명하게 만듦으로써 대응하는 눈의 시야를 가리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전압을 차단하여 투명하게 만들며 다른 액티브 렌즈(20)에 전압을 인가하여 불투명하게 만듦으로써 다른 눈의 시야를 가리는 동작을 수행하여 양쪽 눈을 번갈아 가리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안경 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 프레임(10)과 다리 프레임(3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포고핀(pogo pin)(33)을 포함한다. 포고핀(33)은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된 실린더 형태의 핀으로서 단자(34)와 접촉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해 용이하게 분리되는 특성을 가진다. 포고핀(33)은 안경 장치(100)의 착용을 위해 다리 프레임(30)이 펼쳐진 상태에서 안경테 프레임(10)의 끝단과 다리 프레임(30)의 끝단을 접속하며, 제어부(60)는 프레임(31)과 같이 다리 프레임(30)이 접힌 상태에서는 액티브 렌즈(20)로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여 투명 상태를 유지하고, 프레임(32)과 같이 다리 프레임(30)이 펼쳐진 상태에서만 포고핀(33)을 통해 액티브 렌즈(20)로 전압을 인가하여 선택적으로 불투명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60)가 액티브 렌즈(20)로 상시 전력을 공급함에 따른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부(60)가 통신부(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제어 정보에 따라 액티브 렌즈(20)를 불투명하게 제어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안경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앱을 실행하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가림 치료를 위한 각종 설정을 받은 후, 설정에 따른 제어 정보를 안경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60)가 통신부(40)를 통해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액티브 렌즈(20)에 대한 제어 기간 정보, 불투명 상태의 지속 시간 정보, 제어 대상 렌즈 정보, 복수의 렌즈를 번갈아 불투명하게 제어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된 앱의 표시 형태를 나타내며, 해당 앱은 안경 장치(100)의 가림 치료 동작과 관련한 각종 설정 정보를 입력받기 위핸 UI(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도 5에서 상단에는 좌우 렌즈 중에서 제어 대상 렌즈를 선택할 것, 가림 치료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따른 제어 기간을 입력할 것, 불투명 상태를 지속하는 시간과 관련된 가림 치료 간격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문구가 표시된다.
그 아래에는 안경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이용해 좌측 액티브 렌즈 또는 우측 액티브 렌즈 중에서 가림 치료를 위해 설정 정보를 입력할 대상 렌즈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정을 진행할 렌즈로 우측 액티브 렌즈가 선택되었다.
그 아래에는 액티브 렌즈의 투명 상태를 제어하여 가림 치료를 시작할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란이 표시된다.
그 아래에는 가림 치료시 액티브 렌즈를 불투명하게 제어하고 다시 투명하게 제어하는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란이 표시된다.
도 5의 하단에는 가림 치료를 위해 설정된 제어 기간이 3시간이고 투명도의 제어 간격이 50초로 설정되었음이 표시되며, 이러한 제어 정보를 안경 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는 가림 치료를 위한 우측 액티브 렌즈의 설정 정보와 좌측 액티브 렌즈의 설정 정보를 나타내고, 가림 치료를 위해 투명도를 조절될 렌즈에 대한 선택 메뉴가 표시된다. 도 6에서는 투명도 제어 대상으로 우측 액티브 렌즈가 선택되었다.
도 6의 하단에는 가림 치료를 위한 총 가동 시간이 표시되고, 우측 액티브 렌즈와 좌측 액티브 렌즈를 번갈아 불투명하게 제어할 것인지에 대한 체크 메뉴가 표시되며, 이러한 제어 정보를 안경 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0: 안경테 프레임 20: 액티브 렌즈
30: 다리 프레임 40: 통신부
50: 전원부 60: 제어부
100: 안경 장치 200: 사용자 단말기
1000: 안경 시스템

Claims (8)

  1. 복수의 렌즈 삽입구가 이격하여 형성된 안경테 프레임;
    상기 렌즈 삽입구에 삽입되고 인가 전압에 따라 광 투과율이 조절되는 액티브 렌즈;
    상기 안경테 프레임과 힌지를 이용해 결합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운동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다리 프레임;
    상기 다리 프레임 내 공간에 위치하고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다리 프레임 내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해 상기 액티브 렌즈로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액티브 렌즈를 불투명하게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액티브 렌즈를 불투명하게 제어하거나 투명하게 제어하는 동작을 번갈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액티브 렌즈를 번갈아 불투명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액티브 렌즈를 불투명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액티브 렌즈에 대한 제어 기간 정보, 불투명 상태의 지속 시간 정보, 제어 대상 렌즈 정보 및 복수의 렌즈를 번갈아 불투명하게 제어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앱상에서 설정되어 전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프레임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파 차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안경테 프레임의 끝단과 상기 다리 프레임의 끝단을 접속하는 포고핀;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고핀을 통해 상기 다리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만 선택적으로 상기 액티브 렌즈로 전압을 인가하여 불투명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KR1020170134541A 2017-10-17 2017-10-17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KR20190042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541A KR20190042902A (ko) 2017-10-17 2017-10-17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541A KR20190042902A (ko) 2017-10-17 2017-10-17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902A true KR20190042902A (ko) 2019-04-25

Family

ID=6628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541A KR20190042902A (ko) 2017-10-17 2017-10-17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29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466B1 (ko) 2019-06-19 2020-12-28 주식회사 메디휴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KR20220017603A (ko) 2020-08-05 2022-02-14 텐텍 주식회사 시력 회복 안경을 이용한 시력 회복 방법
KR20220017602A (ko) 2020-08-05 2022-02-14 텐텍 주식회사 시력 회복 안경
KR102409743B1 (ko) 2021-03-30 2022-06-16 텐텍 주식회사 시력 회복 안경에 이용되는 진동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737A (ko) 2007-05-03 2008-11-06 김재도 안기능이상 교정용 안경렌즈 및 교정용 안경렌즈가 부착된교정용 안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737A (ko) 2007-05-03 2008-11-06 김재도 안기능이상 교정용 안경렌즈 및 교정용 안경렌즈가 부착된교정용 안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466B1 (ko) 2019-06-19 2020-12-28 주식회사 메디휴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KR20220017603A (ko) 2020-08-05 2022-02-14 텐텍 주식회사 시력 회복 안경을 이용한 시력 회복 방법
KR20220017602A (ko) 2020-08-05 2022-02-14 텐텍 주식회사 시력 회복 안경
KR102409743B1 (ko) 2021-03-30 2022-06-16 텐텍 주식회사 시력 회복 안경에 이용되는 진동부
WO2022211227A1 (ko) 2021-03-30 2022-10-06 텐텍 주식회사 시력 회복 안경에 이용되는 진동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2902A (ko)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US10624790B2 (en) Electronic eyewear therapy
CN107219641B (zh) 用于控制近视、延长焦深和矫正老花眼的脉冲正镜片设计
CN204666991U (zh) 可视发热综合保健眼镜
US20160302992A1 (en) Shutter Eyewear
US20140198293A1 (en) Electronic eyewear
US20130072828A1 (en) Shutter glasses
AU2018256620B2 (en) Eye exercise device
SG179307A1 (en) Ophthalmic glasses
CN107632414A (zh) 一种智能远视降度镜
CN204515272U (zh) 头戴式自动翻转眼镜
CN207804586U (zh) 可视眼部按摩器
CN205359917U (zh) 一种近视明暗适应调节器
CN206532048U (zh) 一种镜片及用于治疗弱视的眼镜
CN207081907U (zh) 一种用于矫正视力的按摩眼镜框
CN102879919A (zh) 太阳眼镜
CN109528459A (zh) 一种护眼仪
CN209347565U (zh) 视力提升训练仪
CN208421449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智能眼镜
KR20200004063A (ko) 안구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81846A (ko) 맞춤형 학습안경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눈 피로 감소 방법
CN106344259B (zh) 电子护目镜
CN204890569U (zh) 一种诊断眼保仪
CN216772136U (zh) 一种智能眼镜
CN216167380U (zh) 一种眼科检查护目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