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466B1 -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 Google Patents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466B1
KR102195466B1 KR1020190072562A KR20190072562A KR102195466B1 KR 102195466 B1 KR102195466 B1 KR 102195466B1 KR 1020190072562 A KR1020190072562 A KR 1020190072562A KR 20190072562 A KR20190072562 A KR 20190072562A KR 102195466 B1 KR102195466 B1 KR 102195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evice
eye movement
us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식
김민수
홍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휴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휴,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휴
Priority to KR102019007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4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안구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약시 등의 시력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안구운동 과정 중에 눈부심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낄 우려가 없어 일반 안경으로도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Glasses for vision correction and eye movemen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안구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약시 등의 시력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안구운동 과정 중에 눈부심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낄 우려가 없어 일반 안경으로도 사용가능한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거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눈 앞에 장비하는 렌즈로서, 눈의 비정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안경과 외부에서 가해지는 장애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안경이 있으며, 최근에는 안경형태의 케이스인 본체의 렌즈부분에 다수의 LED를 배치한 후 발광시켜 여러 색상의 가시광선으로 눈에 자극을 가함으로서 혈액순환 및 및 세포자극을 촉진시켜 생체리듬 및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 및 안구운동 안경이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3-000676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3-0006766호의 경우, 렌즈부분에 원형으로 배치된 LED가 사용자의 눈에 직접적으로 빛을 발광하는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눈부심으로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 일반 안경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눈의 시야를 가려 약시를 개선하는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장치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042902호로 제안되었으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042902호는 안경을 이용해 가림치료를 수행하여 약시 등을 교정할 뿐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위한 방법에 대한 사항은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3-0006766호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04290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안구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약시 등의 시력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안구운동 과정 중에 눈부심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낄 우려가 없어 일반 안경으로도 사용가능한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렌즈 홀더 및 제 2렌즈 홀더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과; 상기 제 1렌즈 홀더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 및 상기 제 2렌즈 홀더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1발광소자 및 제 2발광소자와; 상기 제 1렌즈 홀더 및 제 2렌즈 홀더에 각각 삽입고정되고, 인가전압에 따라 광투과율이 조절되는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와; 상기 안경 프레임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다리 프레임과; 상기 다리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발광소자, 제 2발광소자,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다리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어 제 1발광소자, 제 2발광소자,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발광소자 및 상기 제 2발광소자는 각각 상기 제 1액티브 렌즈의 엣지방향 및 제 2액티브 렌즈의 엣지방향으로 빛을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발광소자 및 제 2발광소자를 내측에 각각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 1렌즈 홀더의 홈 및 상기 제 2렌즈 홀더의 홈에 각각 구비되는 보호수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 1발광소자와 제 2발광소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발광패턴에 따라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더불어,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상기 제 1발광소자, 제 2발광소자,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무선단말기에 상기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를 이용한 시력교정프로그램과 상기 제 1발광소자 및 제 2발광소자를 이용한 안구운동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 선택부와;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의 촬영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확인하여 점수화하는 안구운동확인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 1, 2렌즈홀더에 구비된 제 1, 2발광소자가 발광하는 빛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안구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가전압에 따라 광투과율이 조절되는 제 1, 2액티브 렌즈를 이용한 가림치료를 통해 약시 등의 시력을 교정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제 1, 2렌즈홀더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홈에 구비된 제 1, 2발광소자가 사용자의 눈방향이 아닌 상기 제 1, 2액티브 렌즈의 엣지방향으로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눈부심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낄 우려가 없어 일반 안경으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력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제 1발광소자 및 제 2발광소자가 제 1액티브 렌즈의 엣지방향 및 제 2액티브 렌즈의 엣지방향으로 빛을 발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보호수지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제 1예의 발광패턴에 따른 안구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제 2예의 발광패턴에 따른 안구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제 3예의 발광패턴에 따른 안구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제 4예의 발광패턴에 따른 안구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무선단말기에 구비된 프로그램 선택부 및 안구운동확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력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력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안경 프레임(10), 제 1, 2발광소자(20, 30), 제 1, 2액티브 렌즈(40, 50), 다리 프레임(60), 배터리(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안경 프레임(10)은 안경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경 프레임을 이룰 수 있는 안경테의 일측과 타측에 제 1렌즈 홀더(110)와 제 2렌트 홀더(12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렌즈 홀더(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1렌즈 홀더(11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 형상의 홈(111)이 상기 제 1렌즈 홀더(11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렌즈 홀더(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2렌즈 홀더(12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 형상의 홈(121)이 상기 제 2렌즈 홀더(12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발광소자(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렌즈 홀더(110)의 홈(111)내에 상기 제 1렌즈 홀더(11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발광소자(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렌즈 홀더(120)의 홈(121)내에 상기 제 2렌즈 홀더(12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액티브 렌즈(40)의 가장자리 주변에 상기 제 1발광소자(20)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 1액티브 렌즈(40)는 상기 제 1렌즈 홀더(11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액티브 렌즈(50)의 가장자리 주변에 상기 제 2발광소자(30)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 2액티브 렌즈(50)는 상기 제 2렌즈 홀더(12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액티브 렌즈(50)와 상기 제 2액티브 렌즈(50)는 인가전압에 따라 광투과율이 조절된다.
다음으로, 상기 다리 프레임(60)은 상기 안경 프레임(10)의 양단부 즉, 상기 안경 프레임(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상기 안경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80)는 상기 다리 프레임(6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 및 제 1, 2액티브 렌즈(40, 5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다리 프레임(6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 및 상기 제 1, 2액티브 렌즈(40, 50)를 제어하게 된다.
도 4는 제 1발광소자 및 제 2발광소자가 제 1액티브 렌즈의 엣지방향 및 제 2액티브 렌즈의 엣지방향으로 빛을 발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발광소자(20)는 상기 제 1액티브 렌즈(40)의 엣지방향, 즉, 상기 제 1액티브 렌즈(4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발광소자(30)는 상기 제 2액티브 렌즈(50)의 엣지 방향, 즉, 상기 제 2액티브 렌즈(5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가 사용자의 눈방향이 아닌 상기 제 1, 2액티브 렌즈(40, 50)의 엣지방향으로 간접적으로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의 빛에 의한 눈부심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낄 우려가 없어 일반 안경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5는 보호수지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는 각각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 2기판(21, 31)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와 함께 상기 제 1, 2기판(21, 31)은 상기 제 1, 2렌즈 홀더(110, 120)의 홈(111, 121)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제 1보호수지층(910) 및 제 2보호수지층(920)으로 구성되는 보호수지층(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호수지층(910)의 내측에 상기 제 1발광소자(2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1기판(21)에 상기 제 1보호수지층(9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 1보호수지층(910)의 내측에 상기 제 1발광소자(2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1기판(21)과 상기 제 1보호수지층(910)은 한번에 인서트 사출성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호수지층(920)의 내측에 상기 제 2발광소자(3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2기판(31)에 상기 제 2보호수지층(9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 2보호수지층(920)의 내측에 상기 제 2발광소자(3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2기판(31)과 상기 제 2보호수지층(920)은 한번에 인서트 사출성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보호수지층(90)은 일예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호수지층(90)을 이룰 수 있는 합성수지는 에폭시 수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수지층(90)은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의 빛에 의해 사용자가 눈부심을 겪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호수지층(90)은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6 및 도 7은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2액티브 렌즈(40, 50)는 평상시 투명 상태로 광을 투과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는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2액티브 렌즈(40, 50)에 번갈아가며 상기 배터리(70)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2액티브 렌즈(40, 50)가 불투명 상태로 번갈아가며 변화되면서 사용자의 눈으로 전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가전압에 따라 광투과율이 조절되는 상기 제 1, 2액티브 렌즈(40, 50)를 이용한 가림치료를 통해 약시 등의 시력을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제 1예의 발광패턴에 따른 안구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발광패턴에 따라 발광될 수 있다.
제 1예로,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하는 빛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안구를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제 2예의 발광패턴에 따른 안구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는, 제 2예로,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할 수 있고, 사용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하는 빛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안구를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제 3예의 발광패턴에 따른 안구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는, 제 3예로,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 중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2렌즈 홀더(110, 120)의 홈(111, 121)의 일측 중간부와 타측 중간부에 각각 구비된 제 1, 2발광소자(20, 30)가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2렌즈 홀더(110, 1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로 번갈아가며 순차적으로 빛을 점멸할 수 있고, 사용자는 좌우로 번갈아가며 순차적으로 점멸하는 빛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안구를 이동시키며 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제 4예의 발광패턴에 따른 안구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는, 제 4예로,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 중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2렌즈 홀더(110, 120)의 홈(111, 121)의 상부 중간부와 하부 중간부에 각각 구비된 제 1, 2발광소자(20, 30)가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2렌즈 홀더(110, 12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상하로 번갈아가며 순차적으로 빛을 점멸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하로 번갈아가며 순차적으로 점멸하는 빛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구를 이동시키며 운동시킬 수 있다.
도 12는 무선단말기에 구비된 프로그램 선택부 및 안구운동확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12상기 제어부(80)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근거리 통신부(100)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100)를 통해 상기 제어부(80)로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 및 제 1, 2액티브 렌즈(40, 50)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단말기(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10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기(200)를 이룰 수 있는 스파트폰에 상기 근거리 통신부(100)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기(200)에는 시력교정 및 안구운동관련 전용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용앱 실행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에 프로그램 선택부(300)와 안구운동확인부(400)가 화면출력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선택부(300)는 상기 제 1, 2액티브 렌즈(40, 50)를 이용한 시력교정프로그램과;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를 이용한 안구운동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시력교정프로그램과 안구운동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전용앱을 실행한 상태에서 상기 프로그램 선택부(300)의 시력교정프로그램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출력되는 조작버튼을 터치하여 상기 제 1, 2액티브 렌즈(40, 50) 중 어느 하나를 불투명하게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100)를 통해 상기 제어부(80)로 무선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전용앱을 실행한 상태에서 상기 프로그램 선택부(300)의 안구운동프로그램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출력되는 복수의 패턴버튼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를 발광패턴제어신호를 상기 근거로 통신부(100)를 통해 상기 제어부(80)로 무선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출력되는 복수의 패턴버튼은 일예로, 시계방향발광패턴버튼, 반시계방향발광패턴버튼, 좌우방향발광패턴버튼 및 상하방향발광패턴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시계방향발광패턴버튼을 선택시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가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빛을 점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반시계방향발광패턴버튼을 선택시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2발광소자(20, 30)가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빛을 점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좌우방향발광패턴버튼을 선택시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2렌즈 홀더(110, 120)의 홈(111, 121)의 일측 중간부와 타측 중간부에 각각 구비된 제 1, 2발광소자(20, 30)가 좌우로 번갈아 가며 순차적으로 점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상하방향발광패턴버튼을 선택시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2렌즈 홀더(110, 120)의 홈(111, 121)의 상부 중간부와 하부 중간부에 각각 구비된 제 1, 2발광소자(20, 30)가 상하로 번갈아 가며 순차적으로 점멸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기를 이룰 수 있는 스마트폰에는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촬영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구운동확인부(400)는 크게,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안구 움직임 감지부와; 상기 촬영부(500)의 촬영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점수화하는 점수계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점수계산부는 상기 촬영부(500)의 촬영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안구회전각속도를 검출하는 안구운동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에는 복수의 안구회전각속도값과, 복수의 상기 안구회전각속도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점수값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점수계산부는 상기 안구운동 검출수단이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회전 각속도값에 대응되는 해당 점수값을 상기 제어부(8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안구운동을 완료한 사용자는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출력되는 상기 안구운동확인부(400)를 터치하여 상기 점수계산부가 점수화한 사용자 본인의 해당 안구운동 점수값을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10; 안경 프레임, 20; 제 1발광소자,
30; 제 2발광소자, 40; 제 1액티브 렌즈,
50; 제 2액티브 렌즈, 60; 다리 프레임,
70; 배터리, 80; 제어부.

Claims (6)

  1. 제 1렌즈 홀더 및 제 2렌즈 홀더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과;
    상기 제 1렌즈 홀더 및 제 2렌즈 홀더에 각각 삽입고정되고, 인가전압에 따라 광투과율이 조절되는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와;
    상기 제 1렌즈 홀더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 및 상기 제 2렌즈 홀더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사용자가 빛에 의한 눈부심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제 1액티브 렌즈의 엣지방향 및 제 2액티브 렌즈의 엣지방향으로 빛을 발광하는 제 1발광소자 및 제 2발광소자와;
    상기 제 1발광소자 및 제 2발광소자를 외부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 1발광소자 및 제 2발광소자를 내측에 각각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 1렌즈 홀더의 홈 및 상기 제 2렌즈 홀더의 홈에 각각 구비되는 보호수지층과;
    상기 안경 프레임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다리 프레임과;
    상기 다리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발광소자, 제 2발광소자,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다리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어 제 1발광소자, 제 2발광소자,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상기 제 1발광소자, 제 2발광소자,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액티브 렌즈 및 제 2액티브 렌즈를 이용한 시력교정프로그램과 상기 제 1발광소자 및 제 2발광소자를 이용한 안구운동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 선택부와,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의 촬영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확인하여 점수화하는 안구운동확인부가 구비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지층은 상기 제 1발광소자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1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 1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렌즈 홀더의 홈에 구비되는 제 1보호수지층과;
    상기 제 2발광소자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2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 2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렌즈 홀더의 홈에 구비되는 제 2보호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발광소자와 제 2발광소자를 외부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1보호수지층이 한번에 인서트 사출성형 및 상기 제 2기판과 상기 제 2보호수지층이 한번에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광소자의 빛 및 상기 제 2발광소자의 빛에 의해 사용자가 눈부심을 겪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수지층이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광소자와 제 2발광소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발광패턴에 따라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운동확인부는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안구 움직임 감지부와;
    상기 촬영부의 촬영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안구회전각속도를 검출하는 안구운동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점수화하기 위해 상기 안구운동 검출수단이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회전 각속도값에 대응되는 해당 점수값을 상기 제어부로부터 추출하는 점수계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6. 삭제
KR1020190072562A 2019-06-19 2019-06-19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KR102195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62A KR102195466B1 (ko) 2019-06-19 2019-06-19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62A KR102195466B1 (ko) 2019-06-19 2019-06-19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466B1 true KR102195466B1 (ko) 2020-12-28

Family

ID=7408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562A KR102195466B1 (ko) 2019-06-19 2019-06-19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4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388A (ko) * 2009-09-02 2011-03-09 박길상 시력교정용 안경
KR20130006766U (ko) 2012-05-16 2013-11-26 차재춘 엘이디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 및 안구운동 안경
WO2016136340A1 (ja) * 2015-02-26 2016-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照射用基板および光照射装置
JP2017037329A (ja) * 2012-09-19 2017-02-16 株式会社ニコン 視線検出装置、表示方法、眼鏡レンズ設計方法、眼鏡レンズ選択方法、眼鏡レンズ製造方法、印刷物、および眼鏡レンズ販売方法
KR20190042902A (ko) 2017-10-17 2019-04-25 조춘식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388A (ko) * 2009-09-02 2011-03-09 박길상 시력교정용 안경
KR20130006766U (ko) 2012-05-16 2013-11-26 차재춘 엘이디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 및 안구운동 안경
JP2017037329A (ja) * 2012-09-19 2017-02-16 株式会社ニコン 視線検出装置、表示方法、眼鏡レンズ設計方法、眼鏡レンズ選択方法、眼鏡レンズ製造方法、印刷物、および眼鏡レンズ販売方法
WO2016136340A1 (ja) * 2015-02-26 2016-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照射用基板および光照射装置
KR20190042902A (ko) 2017-10-17 2019-04-25 조춘식 가림 치료를 이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57370B (zh) 可调节闪烁率的视觉训练和测试
US10806659B2 (en) Eye exercise device
CN105589196A (zh) 用于矫正视力的多功能智能眼镜
US10444549B2 (en) Eyewear with a pair of light emitting diode matrices
CN107174495A (zh) 一种有助于弱视康复的眼镜及其使用方法
CN105938258A (zh) 一种姿势矫正眼镜
KR102195466B1 (ko) 시력 교정 및 안구운동용 안경장치
US20100002188A1 (en) Binocular viewing device
US8944930B2 (en) Golf eyeglasses having function of correcting various swing errors and head up movement
KR102062129B1 (ko) 치과 발치 훈련 시스템
US4059347A (en) Optical instrument and viewing method
JP3236041U (ja) 眼球運動トレーニング装置、眼球運動トレーニング機器
KR200419482Y1 (ko) 시력 교정용 안경
CN105193605A (zh) 视力康复训练仪
CN205181738U (zh) 头戴式视力康复训练仪
KR101382590B1 (ko) 안경을 이용한 안구의 인지 훈련 방법
JP2012000403A (ja) 網膜刺激装置
CN203870343U (zh) 一种篮球运球训练矫正眼镜
CN104880836A (zh) 一种多功能护眼镜
CN201205315Y (zh) 斜视矫正仪
CN213251000U (zh) 一种视力训练仪
KR101517402B1 (ko) 안경에 탈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컬러 초점을 제공하는 골프용 안경 보조 장치
US20140085720A1 (en) Binocular Viewing Device
CN215504153U (zh) 一种眼部保健眼镜
CN112789548B (zh) 具有闪烁照明元件的用于减少阅读障碍影响的眼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