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933B1 -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933B1
KR102408933B1 KR1020200112411A KR20200112411A KR102408933B1 KR 102408933 B1 KR102408933 B1 KR 102408933B1 KR 1020200112411 A KR1020200112411 A KR 1020200112411A KR 20200112411 A KR20200112411 A KR 20200112411A KR 102408933 B1 KR102408933 B1 KR 10240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ehouse
facility
automated warehouse
autom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732A (ko
Inventor
이진혁
양진열
박상인
유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Priority to KR102020011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9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1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control for stacker crane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85Check-in, check-o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화 창고에 입고 또는 출고하고자 하는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랙 저장설비와,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특정위치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이송설비와,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전달받아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에 인입하거나 각 저장공간에 인입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인출하여 컨베이어 이송설비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스태커 설비와,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장치와, 카메라 장치로부터 획득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바코드 정보영역의 이미지에서 바코드 정보를 인식함과 아울러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별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별 팔레트 저장 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랙 저장설비의 빈 저장공간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가 랙 저장설비의 빈 저장공간 위치에 할당 및 인입되도록 작업지시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스태커 설비로 전송하는 창고관리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랙 저장설비에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입고 및/또는 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고의 적합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AUTOMATIC WAREHOUSE MANAGE SYSTEM USING CARMER DEVICE}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화 창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창고는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료품, 음료, 가전, 잡화 및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화물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를 말한다.
물류창고는 공장 등에서 대량 생산된 각종 화물들을 일시 또는 장기적으로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이러한 물류창고는 물류의 단순한 관리차원을 벗어나 화물의 배치나 입출 및 재고관리 등의 신속한 처리와 적재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각종 보관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물류창고는 최근 물류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물류의 관리차원에서 벗어나 물류 창고 내 보관재고의 화물배치에서부터 효율적인 입고와 출하는 물론 재고관리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을 도모하는 바, 이러한 물류창고는 대량으로 생산된 화물의 보다 신속한 입고와 출하와 더불어 물류 적재공간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대량의 물류가 가능하도록 자동화 창고 시스템이 설계 및 시공되고 있다.
즉, 상기 자동화 창고 시스템은 자동화 설비에 의해 화물의 입/출고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화물을 최소의 공간에 효율적으로 보관 및 관리하기 위한 대형 저장수단으로서, 대규모 물류 시스템이나 각종 산업현장의 화물창고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화 창고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대상화물이 적재되는 팔레트(Pallet)와, 상기 팔레트에 적재된 대상화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화물적재공간을 전/후면에 각각 매트릭스(Matrix) 상의 셀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랙(Rack)이 적층 구비되는 랙 장치와, 이웃하는 2개의 랙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랙에 나란하게 주행하면서 대상화물을 랙의 적재공간에 대하여 반출입시키는 리프트(Lift)나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등과 같은 화물 반출입장치와, 창고와 외부간에 화물운반을 위한 컨베이어(Conveyer), RGV(Rail Guided Vehicle) 등의 다양한 창고설비들을 구비하고, 이 창고설비들을 중앙컴퓨터가 자동 제어하도록 구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화 창고 시스템은 대상화물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여 상기 컨베이어 이송장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컨베이어 이송장치를 통하여 상기 랙 장치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업대로 이송된 후 리프트 또는 스태커 크레인 등의 물류 운송장치를 통해 상기 랙 장치의 랙에 적재되도록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과거 사람이 일일이 창고를 관리하던 시대를 지나, 창고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많은 기업들이 자동화 설비를 구축하여 자동화 창고 시스템으로 기업의 재고관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자동화 창고 시스템은 기계에 의존한 시스템으로써 우발적인 설비의 오류나 결함 발생 시, 그리고 사용자가 자동화 창고 시스템에 개입을 하였을 때 시스템이 재고의 적합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자동화 창고 시스템에서 대상화물을 입고 또는 출고 시 작업을 지시하면 즉, 시스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상화물을 컨베이어(Conveyer)에 구비된 다수의 센서(sensor)에 의존하여 하나씩 옮기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생성된 시스템 데이터와 대상화물이 같이 이동되며, 대상화물은 컨베이어(Conveyer)의 센서에 의존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각각의 창고설비에서 시스템 데이터를 매 구간마다 매핑(Mapping)해줘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자동화 창고 운용 중에 설비 모드변경(예컨대, 자동, 수동, 비상정지 등), 사용자로 인한 센서감지, 각종 창고설비의 에러(Error) 발생 시 현재 감지하고 있는 컨베이어(Conveyer)의 센서들과 시스템 데이터 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럴 경우 자동화 창고는 멈추게 되며, 시스템 데이터와 대상화물이 매핑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맞춰 줘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종 창고설비의 에러 발생 시 컨베이어의 센서들과 시스템 데이터를 수동으로 맞추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실수를 한다면, 엉뚱한 대상화물이 입고 및/또는 출고가 되기 때문에 자동화 창고의 시스템 데이터를 신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884825호(2018.08.02.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태커 설비의 특정위치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랙 저장설비에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입고 및/또는 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고의 적합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자동화 창고에 입고 또는 출고하고자 하는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랙 저장설비; 상기 랙 저장설비의 근처에 구비되며, 상기 자동화 창고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특정위치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이송설비;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전달받아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에 인입하거나 각 저장공간에 인입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인출하여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스태커 설비; 상기 스태커 설비의 특정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획득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바코드 정보영역의 이미지에서 바코드 정보를 인식함과 아울러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별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별 팔레트 저장 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랙 저장설비의 빈 저장공간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가 상기 랙 저장설비의 빈 저장공간 위치에 할당 및 인입되도록 작업지시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스태커 설비로 전송하는 창고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스태커 설비로부터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빈 저장공간 위치에 인입 완료시 전송된 작업지시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별 팔레트 저장 정보데이터가 업데이트(Update)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저장장치에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별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 및 해당 팔레트에 적재된 대상화물의 고유한 화물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대상화물의 존재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별도의 저장장치에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별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이미지 분석을 통한 해당 대상화물의 존재유무 판단정보 및 해당 팔레트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획득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와 상기 스태커 설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창고관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상기 스태커 설비로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RGV(Rail Guided Vehicle) 설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의 근처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바코드 정보영역을 리딩하여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캐너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인식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 또는 상기 스태커 설비의 현재 작업 상태에 따라 최대의 작업효율이 유지되게 상기 인식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가 상기 스태커 설비로 이동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 및 상기 RGV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과 대응되도록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들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작업을 수행하는 3D 창고설비객체 모델링 모듈;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3차원 가상공간 상에 상기 3D 창고설비객체 모델링 모듈로부터 3차원 모델링된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들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화 창고에 배치된 창고설비들과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작업을 수행하는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를 3차원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를 3차원 형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로부터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창고설비의 동작상태와 일치되게 각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가 이동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작업 흐름을 3차원 형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각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문자 형태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이 동작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명령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별도의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창고설비들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를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이 동작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명령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해당 창고설비들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로부터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창고설비의 동작상태와 일치되게 각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가 이동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작업 흐름을 3차원 형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각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문자 형태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오류발생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오류 발생된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해당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주변에 오류발생 알림정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모듈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 관리서버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창고 관리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창고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 관리서버는,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해당 자동화 창고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창고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창고 관리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 관리서버는,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창고 관리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창고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장치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가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실시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로부터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오류발생 정보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오류발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오류 발생된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해당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주변에 오류발생 알림정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은, 랙(Rack), 스태커(Stacker), RGV(Rail Guided Vehicle), 컨베이어(Conveyor), AGV(Automatic Guided Vehicle), LGV(Laser Guided Vehicle), 엘리베이터(Elevator),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 중 적어도 하나의 창고설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스태커 설비의 특정위치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랙 저장설비에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입고 및/또는 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고의 적합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창고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제 표시되는 화면 구성들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창고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제 표시되는 화면 구성들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은, 크게 랙 저장설비(100), 컨베이어 이송설비(200), 스태커 설비(300), 카메라 장치(400), 저장장치(500), 및 창고관리 장치(6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RGV(Rail Guided Vehicle) 설비(700), 바코드 스캐너(800), 외부의 단말(20), 창고 관리서버(30)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랙 저장설비(100)는 통상의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화 창고에 입고 및/또는 출고하고자 하는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Pallet)(2)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저장공간(110)을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이송설비(200)는 랙 저장설비(100)의 근처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화 창고에 입고 및/또는 출고되는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를 특정위치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태커 설비(300)는 랙 저장설비(100)의 각 저장공간(11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컨베이어 이송설비(200)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를 전달받아 랙 저장설비(100)의 각 저장공간(110)에 인입하거나 각 저장공간(110)에 인입된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를 인출하여 컨베이어 이송설비(200)로 전달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400)는 스태커 설비(300)의 특정위치(바람직하게, 팔레트(2)를 안착하기 위한 받침대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컨베이어 이송설비(200)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바람직하게, 측면 중앙 부분)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카메라 장치(4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카메라 장치(400)에는 통상적으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이미지 신호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와, 백 엔드 칩(Back_End Chip)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를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로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상기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백 엔드 칩은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로부터 출력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백 엔드 칩으로는 모바일 스위칭 모뎀(Mobile Switching Modem, MSM)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장치(400)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면,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가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이를 실제의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RGB 포맷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즉,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백 엔드 칩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백 엔드 칩은 수신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카메라 장치(400)는 연속적인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비디오카메라(Video Camera), 2차원 영상을 검출하는 고체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카메라, USB(Universal Serial Bus) 카메라,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IR)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추후에 개발될 연속적인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체촬상소자(CCD) 카메라는 광학부와 고체촬상소자(CCD)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고체촬상소자(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SB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카메라와, 인터페이스부와, USB 호스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와 인터페이스부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앤드포인트(Endpoint)들이 구성되며, 그들 중 하나는 스냅 샷 전용 앤드포인트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화상 전용 앤드포인트로 사용된다.
상기 카메라는 입력 화상을 디지탈 데이터로 처리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앤드포인트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탈 데이터를 USB 표준 사양에 맞게 변환시켜 상기 USB 호스트로 전송하며, 상기 USB 호스트는 전달된 디지탈 데이터를 자신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화상 통신을 위해 상대방 USB 호스트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저장장치(500)는 창고관리 장치(600)의 제어에 따라 랙 저장설비(100)의 각 저장공간별로 팔레트 저장 정보데이터(예컨대, 팔레트 식별정보, 화물식별정보 등)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장치(500)는 창고관리 장치(600)의 제어에 따라 랙 저장설비(100)의 각 저장공간별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 및/또는 해당 팔레트(2)에 적재된 대상화물(1)의 고유한 화물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장치(500)는 창고관리 장치(600)의 제어에 따라 랙 저장설비(100)의 각 저장공간별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이미지 분석을 통한 해당 대상화물(1)의 존재유무 판단정보 및/또는 해당 팔레트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장치(500)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창고관리 장치(6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장치로서, 특히 카메라 장치(400)로부터 획득된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바코드 정보영역의 이미지에서 바코드 정보를 인식함과 아울러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창고관리 장치(600)는 별도의 저장장치(500)에 미리 저장된 랙 저장설비(100)의 각 저장공간별 팔레트 저장 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랙 저장설비(100)의 빈 저장공간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가 랙 저장설비(100)의 빈 저장공간 위치에 할당 및 인입되도록 작업지시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스태커 설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창고관리 장치(600)는 스태커 설비(300)로부터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의 빈 저장공간 위치에 인입 완료시 전송된 작업지시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저장장치(500)에 저장된 랙 저장설비(100)의 각 저장공간별 팔레트 저장 정보데이터가 업데이트(Update)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고관리 장치(600)는 랙 저장설비(100)의 각 저장공간별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 및/또는 해당 팔레트(2)에 적재된 대상화물(1)의 고유한 화물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장치(500)에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고관리 장치(600)는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의 일부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대상화물(1)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고관리 장치(600)는 랙 저장설비(100)의 각 저장공간별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이미지 분석을 통한 해당 대상화물(1)의 존재유무 판단정보 및/또는 해당 팔레트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장치(500)에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고관리 장치(600)는 카메라 장치(400)로부터 획득된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고관리 장치(600)는 바코드 스캐너(800)로부터 인식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컨베이어 이송설비(200) 및/또는 스태커 설비(300)의 현재 작업 상태에 따라 최대의 작업효율이 유지되게 상기 인식된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가 스태커 설비(300)로 이동되도록 컨베이어 이송설비(200) 및/또는 RGV 설비(7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술한 창고관리 장치(600)의 모든 서비스 제공 기능들, 판단 기능, 및/또는 제어 기능들은 후술하는 제어모듈(640)에 의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창고관리 장치(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창고설비객체 모델링 모듈(610),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 디스플레이 모듈(630), 제어모듈(640), 및 전원공급모듈(650)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창고관리 장치(600)는 추가적으로 통신모듈(660), 저장모듈(670)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창고관리 장치(6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창고관리 장치(6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D 창고설비객체 모델링 모델(610)은 통상의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과 대응되도록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들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은 예컨대, 랙(Rack), 스태커(Stacker), RGV(Rail Guided Vehicle), 컨베이어(Conveyor), AGV(Automatic Guided Vehicle), LGV(Laser Guided Vehicle), 엘리베이터(Elevator),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및/또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 중 적어도 하나의 창고설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은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3차원 가상공간 상에 3D 창고설비객체 모델링 모듈(610)로부터 3차원 모델링된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들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화 창고에 배치된 창고설비들과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630)은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를 3차원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630)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 이미지, 문자, 또는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6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창고관리 장치(600)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모듈로서, 창고관리 장치(600)의 모든 서비스 제공 기능들, 판단 기능, 및/또는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바, 특히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를 3차원 형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6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640)은 통신모듈(660)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창고설비의 동작상태와 일치되게 각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가 이동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작업 흐름을 3차원 형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6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640)은 통신모듈(660)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각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문자 형태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6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640)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이 동작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명령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모듈(660)을 통해 해당 창고설비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640)은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또는 설비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모듈(670)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유한 창고식별정보는 예컨대, 자동화 창고의 이름, 자동화 창고의 비밀번호, 자동화 창고의 일련번호, 자동화 창고의 종류, 자동화 창고의 제조회사, 자동화 창고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자동화 창고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자동화 창고의 모델 및 자동화 창고의 버전, 자동화 창고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자동화 창고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자동화 창고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자동화 창고에 대한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한 설비식별정보는 예컨대, 창고설비의 이름, 창고설비의 비밀번호, 창고설비의 일련번호, 창고설비의 종류, 창고설비의 제조회사, 창고설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창고설비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창고설비의 모델 및 창고설비의 버전, 창고설비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창고설비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창고설비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창고설비에 대한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640)은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또는 설비식별정보를 통신망(10)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20) 및/또는 창고 관리서버(30)로 유선 및/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통신모듈(66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통신모듈(660)이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창고 관리서버(3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셀룰러(cellular) 기반의 3G망,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통신모듈(660)과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창고 관리서버(3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모듈(640)은 통신모듈(660)을 통해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로부터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또는 설비식별정보를 통신망(10)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20) 및/또는 창고 관리서버(30)로 유선 및/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통신모듈(6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640)은 통신모듈(660)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오류발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오류 발생된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해당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주변에 오류발생 알림정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6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모듈(64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670)에 저장되고, 제어모듈(6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모듈(650)은 전술한 각 장치들 즉, 3D 창고설비객체 모델링 모듈(610),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 디스플레이 모듈(630), 제어모듈(640), 통신모듈(660), 및/또는 저장모듈(670)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용 교류(AC) 전원(예컨대, AC 220V)을 직류(DC) 및/또는 교류(A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공급모듈(650)에는 외부의 전원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고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ESD(Electro Static Damage) 보호기, 전원 감지기, 정류기 및 전원 차단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SD 보호기는 정전기 또는 급격한 전원 충격으로부터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감지기는 허용 전압 범위 외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전원 차단기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 변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 신호를 상기 정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하여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의 정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차단기는 상기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단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통신모듈(660)은 제어모듈(6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로부터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모듈(660)은 제어모듈(640)의 제어에 따라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를 외부 즉,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창고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모듈(670)은 제어모듈(640)의 제어에 따라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를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모듈(670)은 제어모듈(640)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670)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단말(20)은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이 동작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명령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망(10)을 통해 해당 창고설비들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외부의 단말(20)은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어모듈(64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또는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창고설비의 동작상태와 일치되게 각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가 이동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관리자(또는 사용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작업 흐름을 3차원 형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20)은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어모듈(64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또는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또는 사용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각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문자 형태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20)은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어모듈(64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오류발생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또는 사용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오류 발생된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해당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주변에 오류발생 알림정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20)은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어모듈(64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또는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정보,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모듈(미도시)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은 전술한 저장모듈(670)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 단말)은 창고 관리서버(3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창고 관리서버(30)에 저장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 단말)은 창고 관리서버(30)에서 다운로드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창고 관리서버(30)에 저장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창고 관리서버(3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창고 관리서버(3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의 단말(2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다양한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팜(Palm) PC,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통신장치(660) 및/또는 창고 관리서버(3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외부의 단말(20)이 통상의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계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계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계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계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창고 관리서버(30)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이 동작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명령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망(10)을 통해 해당 창고설비들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창고 관리서버(30)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어모듈(64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또는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창고설비의 동작상태와 일치되게 각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가 이동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작업 흐름을 3차원 형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고 관리서버(30)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어모듈(64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또는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각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문자 형태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고 관리서버(30)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어모듈(64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오류발생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오류 발생된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해당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주변에 오류발생 알림정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고 관리서버(30)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어모듈(64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또는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정보,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고 관리서버(30)는 외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창고 관리서버(30)는 네트워크상에서 관리자가 소지한 복수의 단말(20)과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복수의 단말(20)에게 시스템 자원(이는 OS,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을 제공하는 물리적 장비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는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단말(2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창고 관리서버(30)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도시된 것이며, 예컨대,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게스트 머신을 통해 복수의 단말(20)이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공지의 일반적인 개념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Cloud) 서비스 환경이란, 인터넷 기반(클라우드)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인터넷을 구름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Infra) 구조를 가지며 IT 관련된 기능들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을 갖는다.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가상화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주문형 서비스(on-demand) 컴퓨팅 등과 같이 다양한 컴퓨팅 개념과 통신 기술이 혼합되어 적용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다수의 컴퓨터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데이터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하나의 가상 컴퓨터 또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이에 접속하여 각종 소프트웨어, 보안 솔루션 및 컴퓨팅 능력 등을 주문형 서비스(on-demand)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한 IT자원의 온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로서,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서버(Server) 또는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스토리지, OS 및 보안 등의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만 골라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량에 기반하여 대가를 지불하면 된다.
즉, 창고 관리서버(30)는 외부의 단말(20)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외부의 단말(20)이 요청하는 컴퓨팅 자원을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해준다. 창고 관리서버(30)는 외부의 단말(20)이 요청하는 디바이스(Device)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창고 관리서버(30)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파일, 게임 프로그램 파일, 텍스트 데이터 파일, 문서 파일, 그림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및 바코드 파일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업자(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장치 즉, 스토리지(Storage)를 구비한다.
또한, 창고 관리서버(30)는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상기 자동화 창고를 관리하는 외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고 관리서버(30)는 외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고 관리서버(30)는 제어모듈(64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620)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또는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가 각 자동화 창고별 및/또는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실시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RGV 설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이러한 RGV 설비(700)는 컨베이어 이송설비(200)와 스태커 설비(300)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컨베이어 이송설비(200)를 연결하기 힘든 현장에 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RGV 설비(700)는 창고관리 장치(600)의 제어에 따라 컨베이어 이송설비(200)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를 스태커 설비(300)로 전달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바코드 스캐너(800)는 컨베이어 이송설비(200)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으며, 컨베이어 이송설비(200)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1)이 적재된 팔레트(2)의 바코드 정보영역을 리딩(Reading)하여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랙 저장설비,
200 : 컨베이어 이송설비,
300 : 스태커 설비,
400 : 카메라 장치,
500 : 저장장치,
600 : 창고관리 장치,
700 : RGV 설비,
800 : 바코드 스캐너

Claims (28)

  1.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자동화 창고에 입고 또는 출고하고자 하는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랙 저장설비;
    상기 랙 저장설비의 근처에 구비되며, 상기 자동화 창고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특정위치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이송설비;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전달받아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에 인입하거나 각 저장공간에 인입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인출하여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스태커 설비;
    상기 스태커 설비의 특정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획득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바코드 정보영역의 이미지에서 바코드 정보를 인식함과 아울러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별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별 팔레트 저장 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랙 저장설비의 빈 저장공간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가 상기 랙 저장설비의 빈 저장공간 위치에 할당 및 인입되도록 작업지시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스태커 설비로 전송하는 창고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과 대응되도록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들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작업을 수행하는 3D 창고설비객체 모델링 모듈과,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3차원 가상공간 상에 상기 3D 창고설비객체 모델링 모듈로부터 3차원 모델링된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들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화 창고에 배치된 창고설비들과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작업을 수행하는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과,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를 3차원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를 3차원 형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로부터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스태커 설비로부터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빈 저장공간 위치에 인입 완료시 전송된 작업지시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별 팔레트 저장 정보데이터가 업데이트(Update)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저장장치에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별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 및 해당 팔레트에 적재된 대상화물의 고유한 화물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대상화물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별도의 저장장치에 상기 랙 저장설비의 각 저장공간별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이미지 분석을 통한 해당 대상화물의 존재유무 판단정보 및 해당 팔레트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획득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일부영역을 비롯하여 특정영역에 미리 부착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갖는 바코드 정보영역의 영상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와 상기 스태커 설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창고관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상기 스태커 설비로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RGV(Rail Guided Vehicle) 설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의 근처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의 바코드 정보영역을 리딩하여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캐너가 더 포함되되,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인식된 고유한 팔레트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 또는 상기 스태커 설비의 현재 작업 상태에 따라 최대의 작업효율이 유지되게 상기 인식된 해당 대상화물이 적재된 팔레트가 상기 스태커 설비로 이동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이송설비 및 상기 RGV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관리 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은,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로부터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창고설비의 동작상태와 일치되게 각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가 이동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작업 흐름을 3차원 형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각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문자 형태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이 동작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명령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별도의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창고설비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관리 장치는,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를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모듈이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15. 삭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이 동작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명령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해당 창고설비들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17. 삭제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창고설비의 동작상태와 일치되게 각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가 이동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각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작업 흐름을 3차원 형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각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문자 형태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오류발생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오류 발생된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해당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주변에 오류발생 알림정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창고 관리서버는, 미리 설치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모듈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모듈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 관리서버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창고 관리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창고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 관리서버는,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해당 자동화 창고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창고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창고 관리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 관리서버는,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2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창고 관리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자동화 창고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창고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오류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2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3D 자동화 창고설계 장치로부터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창고식별정보 및 설비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가 각 자동화 창고별 및 각 창고설비별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관련 정보 및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데이터 및 오류발생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실시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2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관리 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은,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로부터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오류발생 정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창고설비에 대한 오류발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해당 가상의 3차원 자동화 창고 설계 이미지 상에서 해당 오류 발생된 창고설비에 대응되는 해당 가상의 3차원 창고설비객체의 주변에 오류발생 알림정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2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창고의 내부에 구비된 창고설비들은, 랙(Rack), 스태커(Stacker), RGV(Rail Guided Vehicle), 컨베이어(Conveyor), AGV(Automatic Guided Vehicle), LGV(Laser Guided Vehicle), 엘리베이터(Elevator),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 중 적어도 하나의 창고설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KR1020200112411A 2020-09-03 2020-09-03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KR10240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411A KR102408933B1 (ko) 2020-09-03 2020-09-03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411A KR102408933B1 (ko) 2020-09-03 2020-09-03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32A KR20220030732A (ko) 2022-03-11
KR102408933B1 true KR102408933B1 (ko) 2022-06-13

Family

ID=8081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411A KR102408933B1 (ko) 2020-09-03 2020-09-03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258B1 (ko) 2023-02-13 2023-06-23 (주)지엠디 인공지능 모델 기반 물류 처리를 위한 배송 물품의 적재 공간 내 위치 식별 및 적재 최적화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867B1 (ko) * 2022-07-26 2023-06-29 주식회사 와따 라이다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의 3d 지오펜스를 이용한 물류 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N117993828A (zh) * 2024-04-03 2024-05-07 深圳市普拉托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仓储的问题托盘查找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162A (ja) * 2003-02-19 2004-09-09 Toyo Seikan Kaisha Ltd 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JP2020015576A (ja) * 2018-07-24 2020-01-30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3009A (ja) * 1994-09-01 1996-03-1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在庫管理システム
KR20180054403A (ko) * 2016-11-15 2018-05-24 더본스토리 주식회사 물류창고정보 제공방법
KR102070327B1 (ko) * 2017-11-03 2020-01-2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물류 센터 운영 시스템
KR101884825B1 (ko) 2017-12-28 2018-08-02 주식회사 로탈 무인운반차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162A (ja) * 2003-02-19 2004-09-09 Toyo Seikan Kaisha Ltd 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JP2020015576A (ja) * 2018-07-24 2020-01-30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258B1 (ko) 2023-02-13 2023-06-23 (주)지엠디 인공지능 모델 기반 물류 처리를 위한 배송 물품의 적재 공간 내 위치 식별 및 적재 최적화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32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933B1 (ko)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관리 시스템
US109565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ing media
KR20220030729A (ko) 3차원 기반의 자동화 창고 설비관리 시스템
US10983565B2 (en)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modular power and housing system
US20190251663A1 (en) Image splicing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9852392B2 (en) 3D model and beacon for automatic delivery of goods
US109290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mory card emulation
US8769030B2 (en) Device event notification registration through direct interaction with mobile device
CA3067042A1 (en)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modular power and housing system
US20180276738A1 (en) System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using copy/paste function of electronic commerce shopping cart,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WO2016078573A1 (zh) 可循环物流器具及其管理方法
CN103544458A (zh) 基于二维码、rfid、gps三位一体的电器产品定位系统及其定位方法
KR102306583B1 (ko) 전자 계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3144878A1 (en) Product of interest precedent delivery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using unmanned courier box,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EP2924626A1 (fr) Procédé de génération d'un contenu en réalité augmentée
KR102462938B1 (ko)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창고 재고관리 시스템
US100510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er to peer utility sharing
US8725833B2 (en) Comparison of selected item data to usage data for items associated with a user account
US102374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videos
CN109819026B (zh) 用于传输信息的方法及装置
KR101978362B1 (ko)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배송 알림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1967269B1 (ko)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배송 알림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CN204350136U (zh) 一种网络摄像机及系统
KR102650382B1 (ko) 블록코딩 방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식물재배 제어 및 관리 시스템
CN111144519B (zh) 一种数据处理方法、电子标签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