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733B1 - 폴타입 저압 분전함 - Google Patents

폴타입 저압 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733B1
KR102408733B1 KR1020200067016A KR20200067016A KR102408733B1 KR 102408733 B1 KR102408733 B1 KR 102408733B1 KR 1020200067016 A KR1020200067016 A KR 1020200067016A KR 20200067016 A KR20200067016 A KR 20200067016A KR 102408733 B1 KR102408733 B1 KR 10240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bus bars
fixing member
fixing
distribu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079A (ko
Inventor
이현덕
고주원
유정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73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8Mounting of cabinets toge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타입 저압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외함과, 외함에 연결되어 수용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와, 수용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수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수용부에 설치되어 차단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타입 저압 분전함{POLE TYPE LOW-VOLTAGE DISTRIBUTION BOX}
본 발명은 폴타입 저압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압선로를 구분 차단할 수 있는 폴타입 저압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에서 인출한 저압간선과 분기선과의 접속 개소에는 분기선로를 구분 차단할 수 있는 보호장치인 저압 분전함이 설치된다. 특히 지중매입형 고체절연 변압기(SIDT)의 경우 2차측 선로고장으로 인한 파급고장 보호에 취약한 특성상 지상에 저압 분전함의 설치가 반드시 요구된다.
이러한 기존의 저압 분전함은 관할 구청 등 지자체의 도로점용 허가를 받고 보도상에 설치하여야 하나, 지상 변압기와 유사한 크기로 인해 점유 면적이 과도하게 넓어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실제 소요량 이상의 차단기를 수용함에 따라 자재비 및 시공 비용이 과다하게 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9346호(2012.11.02 등록, 발명의 명칭: 분전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설치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는 폴타입 저압 분전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폴타입 저압 분전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은: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외함; 상기 외함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상기 수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외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외함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양측에 상기 차단기가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타측에 상기 차단기가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부스바; 각각의 상기 제1부스바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부스바; 및 각각의 상기 제2부스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2부스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차단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3부스바;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제2부스바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부스바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부스바는 상기 제1부스바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부스바에 구비되는 제2연장부는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가 배치된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타입 저압 분전함.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은 상기 외함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는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정보, 미세먼지정보, 기상정보, 날짜정보, 홍보문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은 접속부와 고정부가 작은 공간을 점유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함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다양한 개소에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은 개폐부가 복수 개소에서 외함을 개폐시킴에 따라 내부 설비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은 다중의 절연구조에 의해 절연파괴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은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분전함 내부 정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활용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개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1)은 외함(100), 개폐부(200), 고정부(300), 접속부(400)를 포함한다.
외함(100)은 지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1)의 고정부(300), 접속부(400) 등의 구성이 수용되는 수용부(110)가 구비된다. 외함(100)은 내부의 수용부(110)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측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외함(100)은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에 의한 하중, 외부의 충격 등에 충분히 잘 견딜 수 있도록 금속과 같은 높은 강성을 지닌 재료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외함(100)은 수용부(110)와 맞닿는 내부면이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포함하는 절연 필름 등에 의해 절연 코팅되어 수용부(110)에 설치되는 구성들과의 절연을 확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과 개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100)은 상부프레임(101), 하부프레임(102), 연결프레임(103), 지지프레임(1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 4에서는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이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연결프레임(103)은 상, 하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을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수용부(110)는 상부프레임(101), 하부프레임(102), 연결프레임(103)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으로 정의된다. 연결프레임(103)은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103)은 막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양측이 각각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연결프레임(103)의 사이 공간에 의해 수용부(110)는 외부와 연통된다. 연결프레임(103)의 개수는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의 단면 형상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지지프레임(104)은 수용부(110)에 구비되어 고정부(300), 접속부(400)의 구성을 수용부(110)에 위치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104)은 상부프레임(101), 하부프레임(102), 연결프레임(103)등에 고정되고, 수용부(110)를 향해 연장되어 고정부(300), 접속부(400)와 연결된다. 지지프레임(104)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함(100)의 규격, 고정부(300)와 접속부(400)의 배치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개폐부(200)는 외함(100)에 연결되어 수용부(110)를 개폐시킨다. 개폐부(200)는 여닫이 방식, 미닫이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부(11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외함(100)에 연결된다. 개폐부(200)는 외함(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외함(100) 둘레 전체에 걸쳐 수용부(11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200)는 평상시에는 수용부(110)를 외부와 차단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수용부(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 시에는 수용부(110)를 외함(100) 전체에 걸쳐 개방시킴에 따라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외함(100)의 개구된 측면을 각각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개폐부(200)는 일측이 연결프레임(103)에 힌지 결합되어 연결프레임(103)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개폐부(200)의 개수는 외함(100)의 단면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외함(100)의 전방에 설치된 개폐부(200)에는 개폐부(200)를 관통하는 관통홀 또는 창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표시부(500)가 수용부(110)에 설치되어 외부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수용부(110)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차단기(2)를 수용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부(300)는 외함(100)의 지지프레임(104)에 나사 결합,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됨에 따라 수용부(110) 상에서 위치 고정된다. 고정부(300)는 각각의 차단기(2)를 절연시킬 수 있도록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절연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부(300)가 3개의 차단기(2)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고정부(300)는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함(100)이나 차단기(2)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차단기(2)를 고정 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0)는 제1고정부재(310), 제2고정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재(310)는 수용부(11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양측에 차단기(2)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310)는 수용부(110)를 전,후 방향(도 5 기준)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고정부재(310)는 양단이 외함(100)의 전,후 방향에 배치된 개폐부(200)와 접촉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다. 제1고정부재(310)는 양측면이 한 쌍의 차단기(2)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되어 한 쌍의 차단기(2)를 외함(100)의 좌,우 측면에 구비된 개폐부(200)와 마주보도록 배치시킨다.
제1고정부재(310)에는 외함(100)의 지지프레임(104)에 연결되는 결합부재(3)와 결합되는 돌출부(30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301)는 제1고정부재(310)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301)는 결합부재(3)와 나사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310)는 제1고정부재(310)를 수용부(110)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제2고정부재(320)는 일측이 제1고정부재(310)에 연결되어 제1고정부재(310)와 다른 방향으로 수용부(11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타측에 차단기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재(3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제1고정부재(310)의 전방 단부(도 5 기준)에 용접 또는 굽힘 가공 등에 의해 연결된다. 제2고정부재(320)는 제1고정부재(310)의 전방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수용부(110)를 좌, 우 방향(도 5 기준)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는 대략 "T"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연결된다. 제2고정부재(320)는 양단이 외함(100)의 좌,우 방향에 배치된 개폐부(200)와 접촉되지 않는 길이만큼 연장된다. 제2고정부재(320)는 타면, 즉 제2고정부재(320)가 제1고정부재(310)와 연결되는 반대측의 면이 차단기(2)와 결합되어 차단기(2)를 외함(100)의 전방에 구비되는 개폐부(200)와 마주보도록 배치시킨다.
접속부(400)는 수용부(110)에 설치되어 차단기(2)로 전원을 인가한다. 접속부(400)는 외함(100)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04)과 결합되어 수용부(110)에 고정된다. 접속부(400)는 메인차단기(미도시) 또는 외부의 인입선(미도시)으로부터 3상 전원을 공급받아 3상 전원의 R,S,T상의 전류를 독립적으로 각각의 차단기(2)로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접속부(400)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디핑 공정에 의해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질로 표면이 코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400)는 제1부스바(410), 제2부스바(420), 제3부스바(430)를 포함한다.
제1부스바(410)는 수용부(110)에 고정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수용부(110) 상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스바(41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R,S,T상이 각각 인가되도록 3개가 한 세트로 구비된다. 각각의 제1부스바(410)는 막대 형상의 결합부재(3)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결합부재(3)의 양단이 외함(100)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04)에 결합됨에 따라 수용부(110)에 고정된다. 제1부스바(410)와 결합부재(3)는 에폭시 수지 등 절연 재질을 포함하는 애자를 매개로 결합됨에 따라 상호 절연된다. 제1부스바(410)는 수용부(110)의 좌,우 방향(도 6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제1부스바(410)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후술할 제2부스바(420)와 연결되는 상단부가 서로 상이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부스바(410)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공간을 절약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제2부스바(420)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부스바(4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일측이 각각의 제1부스바(410)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스바(420)는 각각 R,T,S상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3개가 한 세트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부스바(420)는 타측이 제1부스바(410)로부터 고정부(300)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부스바(420)는 후술할 제3부스바(430)가 각각의 차단기(2)로 분기될 수 있는 지점을 마련할 수 있다. 제2부스바(420)는 제1부스바(420)의 단부가 상이한 높이로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제1부스바(420)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와 달리 제1부스바(420)의 단부의 높이가 일정한 경우, 각각의 제2부스바(420)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제1부스바(41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스바(420)는 제1연장부(421), 제2연장부(422)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421)는 제1부스바(410)에 연결되어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장부(421)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제1부스바(410)에 연결된다. 각각의 제1연장부(421)는 제1부스바(410)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단부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연장부(421)는 후술할 제2연장부(422)가 직선 형태를 유지하면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연장부(422)는 제1연장부(421)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부(3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부스바(420)가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각각의 제2부스바(420)에 구비되는 제2연장부(422)는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연장부(422)가 수용부(110)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보다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장부(422)는 직선 형태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연장부(421)로부터 연장된다. 제2연장부(422)는 고정부(300)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3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각의 제2연장부(422)는 제1고정부재(310)가 배치된 평면 상에서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제3부스바(4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제2부스바(420)에 연결되고, 제2부스바(420)로부터 분기되어 차단기(2)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부스바(430)는 각각 R,T,S상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3개가 한 세트로 구비된다. 차단기(2)가 고정부(300)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경우 이러한 한 세트의 제3부스바(430)는 차단기(2)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 제3부스바(430)는 일측이 제2부스바(420)의 제2연장부(422)에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연결되고, 타측이 제2연장부(422)로부터 연장되어 차단기(2)와 연결된다. 제3부스바(430)가 연장되는 형상은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연장부(422) 또는 차단기(2)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1)은 표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0)는 외함(100)에 설치되고, 수용부(110)에 구비되는 계량기(4)에 의해 측정된 정보, 또는 미세먼지정보, 기상정보, 날짜정보, 홍보문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계량기(4)는 계량용 변류기(CT), 계량용 변압기(PT), 계량용 변압 변류기(PCT)와 같은 전기적인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차단기(2)에서 연장되는 단말 부스바(5)에 의해 차단기(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0)는 제1표시부재(510), 제2표시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표시부재(510)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되는 디지털 멀티미터의 형태로 형성되어 수용부(110)에 설치된다. 제1표시부재(510)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외함(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개폐부(200)의 관통홀 또는 창을 향하게 배치되어 외부에서 제1표시부재(5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표시부재(510)는 수용부(110)에 구비되는 계량기(4)로부터 측정된 전압, 전류, 전력량 등의 정보를 전달받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러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제2표시부재(510)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영상 장치의 형태로 형성되어 외함(100)의 외측에 설치된다. 제2표시부재(510)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미세먼지정보, 기상정보, 날짜정보, 홍보문구 등의 정보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달받아 이러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상술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은 접속부와 고정부가 작은 공간을 점유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함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다양한 개소에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은 개폐부가 복수 개소에서 외함을 개폐시킴에 따라 내부 설비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은 다중의 절연구조에 의해 절연파괴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저압 분전함은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분전함 내부 정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활용성이 높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폴타입 저압 분전함 2 : 차단기
3 : 결합부재 4 : 계량기
5 : 단말 부스바 100 : 외함
101: 상부프레임 102 : 하부프레임
103 : 연결프레임 104 : 지지프레임
110 : 수용부 200 : 개폐부
300 : 고정부 301 : 돌출부
310 : 제1고정부재 320 : 제2고정부재
400 : 접속부 410 : 제1부스바
420 : 제2부스바 421 : 제1연장부
422 : 제2연장부 430 : 제3부스바
500 : 표시부 510 : 제1표시부재
520 : 제2표시부재

Claims (8)

  1.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외함;
    상기 외함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상기 수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양측에 상기 차단기가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타측에 상기 차단기가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부스바;
    각각의 상기 제1부스바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부스바; 및
    각각의 상기 제2부스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2부스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차단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3부스바;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제1부스바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2부스바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부스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2부스바는, 상기 제1부스바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부스바에 구비되는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1부스바의 상단부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어 단부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2부스바에 구비되는 제2연장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가 배치된 평면상에 나란하게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타입 저압 분전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외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외함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타입 저압 분전함.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는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정보, 미세먼지정보, 기상정보, 날짜정보, 홍보문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타입 저압 분전함.
KR1020200067016A 2020-06-03 2020-06-03 폴타입 저압 분전함 KR10240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16A KR102408733B1 (ko) 2020-06-03 2020-06-03 폴타입 저압 분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16A KR102408733B1 (ko) 2020-06-03 2020-06-03 폴타입 저압 분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079A KR20210150079A (ko) 2021-12-10
KR102408733B1 true KR102408733B1 (ko) 2022-06-14

Family

ID=7886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016A KR102408733B1 (ko) 2020-06-03 2020-06-03 폴타입 저압 분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7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031B1 (ko) 2006-03-31 2006-11-02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용 배전반
KR100825379B1 (ko) 2006-09-19 2008-04-29 (주)제일피앤피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1336968B1 (ko) 2013-09-04 2013-12-04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다적재 멀티 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48B1 (ko) * 2005-05-04 2007-03-12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배전함
KR20080062313A (ko) * 2006-12-29 2008-07-03 세메스 주식회사 전장 박스
KR101412567B1 (ko) * 2012-09-14 2014-06-25 한결네트웍스(주) 지능형 분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031B1 (ko) 2006-03-31 2006-11-02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용 배전반
KR100825379B1 (ko) 2006-09-19 2008-04-29 (주)제일피앤피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1336968B1 (ko) 2013-09-04 2013-12-04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다적재 멀티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079A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786B1 (ko) 배전용 개폐장치
EP1879275A1 (en) Distribution switchgear
JP2001298812A (ja) サージ保護配電システム
KR102408733B1 (ko) 폴타입 저압 분전함
KR100699070B1 (ko) 통합형 수배전반
JP4272088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0608116B1 (ko)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JP3887866B2 (ja) キュービクル形ガス絶縁開閉装置
US9787006B2 (en) Cable termination for connecting a switchgear assembly to a high-voltage cable
KR200438007Y1 (ko) 배전반의 계기용 변압기
JP6190442B2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US4517405A (en) Compact conductor device
CN219247153U (zh) 工业用三相配电箱
JP2878704B2 (ja) 集合形変電設備
JP2000021548A (ja) 避雷器および分電盤
JPS5836103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012542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0336267B1 (ko)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및 설치방법
BR202016025680U2 (pt) barramento antifraude modular contendo múltiplas conexões para cabos e dispositivo giratório liga/desliga para o fornecimento/interrupção de energia elétrica para os mediadores de faturamento
US20050013065A1 (en) Integral transformer junction module
KR200384331Y1 (ko) 피뢰기 내장형 지지애자
JPS6134805Y2 (ko)
JP2000125424A (ja) 受電設備
JPS602003A (ja) 閉鎖配電盤
BR202015000064U2 (pt) Caixa blindada tipo envelope para medidores de energia elét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