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116B1 -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116B1
KR100608116B1 KR1020060045893A KR20060045893A KR100608116B1 KR 100608116 B1 KR100608116 B1 KR 100608116B1 KR 1020060045893 A KR1020060045893 A KR 1020060045893A KR 20060045893 A KR20060045893 A KR 20060045893A KR 100608116 B1 KR100608116 B1 KR 10060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ground
grounding device
wir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찬중
Original Assignee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4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 도어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전된 전류가 본체부의 접지모선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접지모선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부와 도어 사이에 연결되어 도어의 누전시 대지로 누전된 전류를 흘러보내는 접지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는,
원통형의 모양을 가지도록 스프링을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되, 그 양단부에 절곡부와 걸림고리를 구비시킴과 아울러 하부 일측이 돌출 되도록 돌출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일정길이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몸체 상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절연재질의 부싱과; 상기 부싱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길 수 있도록 전도율을 갖는 박막(薄膜)형 동선메쉬로 이루어지되, 그 양단부에 절곡부를 구비시킴과 아울러 끝단부를 압착단자로 압착하여 도어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전된 전류를 본체부에 연결된 접지모선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접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접지모선, 본체부, 도어, 스프링, 지지부, 부싱, 박막(薄膜)형 동선메쉬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Earth apparatus for door of distributing board a common housing}
도 1은 일반적인 배전반의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접지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접지장치를 분리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가 배전반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스프링 102 : 절곡부
104 : 걸림고리 106 : 돌출부
108 : 지지부 110 : 테두리부
112 : 부싱 114 : 박막(薄膜)형 동선메쉬
116 : 절곡부 118 : 압착단자
120 : 접지수단 122 : 박막형 강판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 도어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전된 전류가 본체부의 접지모선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配電盤, distributing board)은 발전소·변전소·공동주택의 전기장치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계기·릴레이(계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로, 주회로용(主回路用) 배전반과 제어용(制御用) 배전반이 있다. 그리고, 배전반의 형식에는 개방형과 폐쇄형이 있는데, 개방형은 반의 뒷면을 보면 전기배선이나 스위치의 단자 등이 노출되어 보이는 것이고, 폐쇄형은 도장(塗裝)한 철판상자 속에 모두 넣어져 있는 것인데, 외부에서 보이는 것은 최소한의 계기(計器)·조작 버튼 등뿐이다. 개방형의 경우는 유닛(unit)의 치수가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변전소 등의 규모에 따라서 유닛의 수를 정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전반의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배전반(2)은 본체부(3)와, 이 본체부(3)에 힌지(5) 결합되는 도어(4)로 나뉘어 진다.
상기 본체부(3)에는 차단기(주로 고압 진공차단기 또는 저압 기중 차단기)(6),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 CT) 및 변성기(Voltage Transformer ; VT) 등과 같은 각종 기기들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4)에는 전류계(7), 전압계(8), 보호 계전기(9), 표시등 및 스위치 등의 여러 전기 기기들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3)에 설치되는 각 기기들과 도어(4)에 설치되는 각 기기들은 전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선을 통해 항상 전기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전반(2)의 본체부(3)에는 전기의 흐름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누전현상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공사법규에 따라 별도의 접지구조가 구비되어야 하는 바, 일반적으로 배전반(2)의 본체부(3) 일측에는 별도의 접지모선(Earth bus bar)(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대지와 접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배전반에서 본체부의 경우는 상기 접지모선을 통해 누전에 따른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지만, 도어의 경우 별도의 접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바, 작업자가 도어 개폐시 누전에 따른 감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 도어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전된 전류가 본체부의 접지모선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의 특징은,
접지모선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부와 도어 사이에 연결되어 도어의 누전시 대지로 누전된 전류를 흘러보내는 접지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는,
원통형의 모양을 가지도록 스프링(100)을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되, 그 양단부에 절곡부(102)와 걸림고리(104)를 구비시킴과 아울러 하부 일측이 돌출 되도록 돌출부(106)를 구비하는 지지부(108)와;
상기 지지부(108)를 일정길이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몸체 상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테두리부(110)를 구비하는 절연재질의 부싱(112)과;
상기 부싱(112)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길 수 있도록 전도율을 갖는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로 이루어지되, 그 양단부에 절곡부(116)를 구비시킴과 아울러 끝단부를 압착단자(118)로 압착하여 도어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전된 전류를 본체부에 연결된 접지모선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접지수단(12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접지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접지장치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 어의 접지장치는 원통형의 모양을 가지도록 스프링(100)을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되, 그 양단부에 절곡부(102)와 걸림고리(104)를 구비시킴과 아울러 하부 일측이 돌출 되도록 돌출부(106)를 구비하는 지지부(108)와; 상기 지지부(108)를 일정길이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몸체 상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테두리부(110)를 구비하는 절연재질의 부싱(112)과; 상기 부싱(112)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길 수 있도록 전도율을 갖는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로 이루어지되, 그 양단부에 절곡부(116)를 구비시킴과 아울러 끝단부를 압착단자(118)로 압착하여 도어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전된 전류를 본체부(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된 접지모선(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접지수단(1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의 처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를 감을 때 감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박막형 강판(12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의 설치과정 및 동작을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일자형 스프링(100)을 소정의 장소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지지부(108)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100)의 양단부에 끝단면에 걸림고리(104)를 형성시킨 후, 스프링(100)을 원통형의 모양을 가지도록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는다. 이때, 하부 일측에 돌출부(106)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부에서는 상기 스프링(100)이 약간 돌출되도록 감는다.
그런후에, 상기 지지부(108)를 몸체 상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테두리부(110)가 형성된 절연재질의 부싱(112)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부싱(112)의 일측 끝단면은 상기 지지부(108)의 돌출부(106)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8)의 스프링(100)의 양단부의 일측면에 절곡부(102)를 형성시킨다. 이는 도어(4)의 잦은 개폐시, 상기 스프링(100)의 양단부의 일부가 본체부(3)와 도어(4) 사이에 끼움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스프링(100)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런후에, 접지수단(1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되,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박막형강판(122)이 설치된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를 위치시킨 후, 상기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의 양 끝단부를 압착단자(118)로 압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의 양단부의 일측면에 절곡부(116)를 형성시킨다. 이는 도어(4)의 잦은 개폐시, 상기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의 양단부의 일부가 본체부(3)와 도어(4) 사이에 끼움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런후에, 상기 접지수단(120)의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를 부싱(112)의 외주면에 감는다. 이때, 감기는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는 부싱(112)의 부싱(112)의 일측 끝단면과 테두리부(110)에 위치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가 만들어지면, 본체부(3)와 도어(4) 사이에 접지장치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접지장치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부(108)의 걸림고리(104)를 도어(4)에 각각 나사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어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전된 전류를 본체부(3)에 연결된 접지모선(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접지수단(120)의 압착단자(118)를 본체부(3)와 도어(4)에 각각 나사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도어(4)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전된 전류는, 도어(4)에 나사고정된 접지수단(120)의 압착단자(118) 그리고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 본체부(3)에 나사고정된 접지수단(120)의 압착단자(118) 및 본체부(3)에 연결된 접지모선(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반의 본체부와 도어를 연결시키는 접지수단을 구비하여 도어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전된 전류가 접지수단 및 본체부에 구비된 접지모선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가게 함으로써, 누전에 따른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접지모선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부와 도어 사이에 연결되어 도어의 누전시 대지로 누전된 전류를 흘러보내는 접지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는,
    원통형의 모양을 가지도록 스프링(100)을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되, 그 양단부에 절곡부(102)와 걸림고리(104)를 구비시킴과 아울러 하부 일측이 돌출 되도록 돌출부(106)를 구비하는 지지부(108)와;
    상기 지지부(108)를 일정길이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몸체 상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테두리부(110)를 구비하는 절연재질의 부싱(112)과;
    상기 부싱(112)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길 수 있도록 전도율을 갖는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로 이루어지되, 그 양단부에 절곡부(116)를 구비시킴과 아울러 끝단부를 압착단자(118)로 압착하여 도어에서 누전현상 발생시 누전된 전류를 본체부에 연결된 접지모선을 통해 대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접지수단(1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의 처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박막(薄膜)형 동선메쉬(114)를 감을 때 감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박막형 강판(122)이 더 설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KR1020060045893A 2006-05-22 2006-05-22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KR100608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893A KR100608116B1 (ko) 2006-05-22 2006-05-22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893A KR100608116B1 (ko) 2006-05-22 2006-05-22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116B1 true KR100608116B1 (ko) 2006-08-08

Family

ID=3718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893A KR100608116B1 (ko) 2006-05-22 2006-05-22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1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637B1 (ko) 2011-03-18 2011-05-12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선 접지장치
KR101181513B1 (ko) * 2012-03-14 2012-09-10 김대우 배전반 접지장치
KR102004494B1 (ko) * 2019-03-11 2019-07-26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반용 전기 케이블 접지 구조물
WO2021196399A1 (zh) * 2020-03-30 2021-10-07 深圳市三巨电机有限公司 保护装置和具有该保护装置的配电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637B1 (ko) 2011-03-18 2011-05-12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선 접지장치
KR101181513B1 (ko) * 2012-03-14 2012-09-10 김대우 배전반 접지장치
KR102004494B1 (ko) * 2019-03-11 2019-07-26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반용 전기 케이블 접지 구조물
WO2021196399A1 (zh) * 2020-03-30 2021-10-07 深圳市三巨电机有限公司 保护装置和具有该保护装置的配电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0363B1 (en) Connection device for transformer substation modules
KR100608116B1 (ko)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CN203895828U (zh) 一种环网开关设备
KR100746787B1 (ko) 안전 잠금 장치를 구비한 분전함
KR102215103B1 (ko)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설비
KR200429128Y1 (ko) 모선 열화성 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밀 유지용 배전반
KR100703036B1 (ko) 특고압 밀폐형 수변전 장치
KR101874988B1 (ko) 부하개폐기
JPH05151871A (ja) 金属閉鎖形スイツチギヤ
KR20200037980A (ko) 변류기의 시험용 단자 분리대
KR102166906B1 (ko) 링메인유닛
KR101890109B1 (ko) 배전반용 컴팩트 컨트롤 박스
KR101033637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1854149B1 (ko) 일체형 특고압 수전설비
KR200386749Y1 (ko) 특고압 밀폐형 수변전 장치
KR101748725B1 (ko) 개폐장치
CN221126563U (zh) 非标独立型中置柜
KR200411502Y1 (ko) 기중 인출형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
CN204597318U (zh) 箱式变压器
US3544985A (en) Voltage-indicating device for a switch bushing stud
JP7234671B2 (ja) 試験プラグ用アース線取り付け装置
KR101841110B1 (ko) 배전반 컨트롤 박스
KR20200022662A (ko) 일체형 특고압 수전장치
KR101045109B1 (ko) 고체절연 스위치기어
KR20040103871A (ko) 엘보우 접속재를 이용한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