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158B1 -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 Google Patents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158B1
KR102408158B1 KR1020200169328A KR20200169328A KR102408158B1 KR 102408158 B1 KR102408158 B1 KR 102408158B1 KR 1020200169328 A KR1020200169328 A KR 1020200169328A KR 20200169328 A KR20200169328 A KR 20200169328A KR 102408158 B1 KR102408158 B1 KR 10240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hruster
pressure gauge
cov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249A (ko
Inventor
웬-산 초우
쳉-시엔 초우
Original Assignee
웬-산 초우
쳉-시엔 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웬-산 초우, 쳉-시엔 초우 filed Critical 웬-산 초우
Publication of KR2021008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3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G01L19/0609Pressure pulsation damp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G01L19/0618Overload pro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01L19/10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mechan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5Housings with stress reliev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6Dials; Mounting of d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16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pistons
    • G01L7/163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pistons construction or mounting of pist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16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pistons
    • G01L7/166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piston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or indic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5/00Fluid parameters
    • F04B2205/04Pressure in the outlet cha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Safety Valves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압축기가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압력계와 결합하고 상기 압력계는 피스톤 운동과 비슷한 운동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압력을 지시하며, 상기 압력계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 구멍 및 과압 보호부가 구비됨으로써 장착된 압력계에 의해 현재의 압력값 변화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압력값이 소정의 안전 압력 값에 도달할 때 적어도 하나의 배기 구멍에 의해 초과된 압력을 방출하고, 압력값이 소정의 최대 안전 압력값에 도달할 때 압력계에 구비된 배기 구멍 및 과압 보호부가 동시에 초과된 압력을 방출함으로써 공기압축기가 별도의 안전밸브를 설치하지 않아도 안전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어 공기 주입 대상에 대해 과압을 야기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Pressure gauge that safely releases pressure in a multistage manner}
본 발명은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압축기가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압력계와 결합하고 상기 압력계는 피스톤 운동과 비슷한 운동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압력을 지시하며, 상기 압력계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 구멍 및 과압 보호부가 구비됨으로써 장착된 압력계에 의해 현재의 압력값 변화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압력값이 소정의 안전 압력 값에 도달할 때 적어도 하나의 배기 구멍에 의해 초과된 압력을 방출하고, 압력값이 소정의 최대 안전 압력값에 도달할 때 압력계에 구비된 배기 구멍 및 과압 보호부가 동시에 초과된 압력을 방출함으로써 공기압축기가 별도의 안전밸브를 설치하지 않아도 안전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어 공기 주입 대상에 대해 과압을 야기하지 않게 된다.
초기의 공기압축기, 특히 자동차 타이어, 에어 쿠션 등과 같은 물품의 공기 충전 용도로 사용되는 소형 공기압축기의 본체는 공기 저장부에서 두 개의 배기 덕트(duct)만 장착하고 하나의 덕트는 원형 박스 모양의 압력지시계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덕트는 일단에 노즐이 구비된 튜브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노즐을 자동차 타이어 등과 같은 공기 주입 대상에 연결하여 공기압축기의 직동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를 공기 주입 대상에 이동 시킴으로써 공기 충전이라는 목적을 이루게 되며, 압력지시계는 공기 주입 작업의 안전성을 제어하기 위한 근거로서 사용자에게 현재의 압력값을 육안으로 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종래의 원형 박스 모양의 압력지시계는 버든 튜브(Burden Tube) 원리를 이용하여 제작된 기계식 니들형 압력게이지로서, 이러한 버든 튜브식 압력지시계는 정밀부품이 많이 필요하고 사용된 정밀부품은 손상되기 쉬워서 측정 시 정확성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버든 튜브식 압력지시계의 사용 효과가 좋지 않다. 버든 튜브식 압력지시계의 사용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일본 특허공보에 공기 충전기 압력 표시장치의 실용신안을 개시하였다. 상술한 고안에 따른 압력 표시장치는 주로 중공 관체를 구비하고 관체의 양단에는 보호 자켓 및 공기 진입 커넥터가 장착되고, 관체 내에는 상기 관체 내에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는 평면 판체 및 스프링이 구비되고 관체 바깥에는 표척이 추가로 구비되며, 관체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방압할 수 있는 방압 구멍으로서, 슬라이더가 공기 충전기의 압축공기를 받은 후 평면 판체는 스프링을 압축하여 직선 위치 이동을 하며, 공기 충전 압력이 소정의 최대 압력을 초과할 때 중공 관체에 구비된 방압 구멍은 초과된 압력을 방출하여 공기를 충전받는 물품의 공기 충전 안전을 보호한다; 상기 공개된 고안은 구조 설계에서 종래의 버든 튜브식 압력지시계보다 앞섰지만 과압 안전 보호용 방압 구멍이 점 모양의 원형 구멍으로서 작용 면적이 너무 협소하기 때문에 공기 충전기의 빠른 공기 충전 속도에 의해 상기 방압 구멍의 순간 방압 효능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한편, 상기 방압 구멍은 유통되는 오물이나 먼지 및 공기 충전기 본체에서 순조로운 운전을 위한 윤활유 찌꺼기에 묻은 먼지에 의해 막히기 쉬워서 방압이라는 기능이 저하되거나 유실된다; 이외에 유의할 점은 스트립형 평면 판체의 일단은 슬라이더 끼움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보호 자켓 중앙에 구비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며, 슬라이더와 스프링이 공기 충전기 고빈도 진동에 함께 노출되어 영향을 받을 경우 평면 판체와 슬라이더가 상호 연결되는 상기 일단이 느슨해지거나 편이되기 쉬워서 평면 판체의 타단이 편향된 위치 이동을 하고 이러한 편향된 행진 경로는 보호 자켓 관통 구멍 내에 관통되어 구비된 판체 주변과 관통 구멍 양자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게 되어 관통 구멍 둘레벽이 쉽게 마모되어 상기 관통 구멍의 면적을 쉽게 넓히게 되는데, 마모되어 면적이 확장된 관통 구멍은 평면 판체의 흔들거림 및 진동을 일으켜서 평면 판체와 슬라이더 양자 사이가 느슨해지거니 완전히 이탈되는 현상이 더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압력 측정 시 장애가 발생하거나 정확도가 저하된다; 또한, 판체의 직선 위치 이동 길이에다 표척의 구성 길이를 더 하면 전체 표시장치의 공간 설계에서의 길이 장벽이 심해지는 것도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압력계에 여전히 많은 사용 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을 하여 개선을 한 끝에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를 개발해 내었으며 특히 공기압축기가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압력계와 결합하고 상기 압력계는 피스톤 운동과 비슷한 운동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압력을 지시하며, 상기 압력계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 구멍 및 과압 보호부가 구비됨으로써 장착된 압력계에 의해 현재의 압력값 변화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압력값이 소정의 안전 압력 값에 도달할 때 적어도 하나의 배기 구멍에 의해 초과된 압력을 방출하고 압력값이 소정의 최대 안전 압력값에 도달할 때 압력계에 구비된 배기 구멍 및 과압 보호부가 동시에 초과된 압력을 방출함으로써 공기압축기가 별도의 안전밸브를 설치하지 않아도 안전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어 공기 주입 대상에 대해 과압을 야기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기압축기의 공기 저장부에 구비된 덕트는 과압 보호부가 구비된 압력계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압력계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 구멍 및 과압 보호부가 구비됨으로써 장착된 압력계에 의해 현재의 압력값 변화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압력값이 소정의 안전 압력 값에 도달할 때 적어도 하나의 배기 구멍에 의해 초과된 압력을 방출하고, 압력값이 소정의 최대 안전 압력값에 도달할 때 압력계에 구비된 배기 구멍 및 과압 보호부가 동시에 초과된 압력을 방출함으로써 공기압축기의 다른 배기 덕트에 압력 안전밸브를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가 공기압축기에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원형 관체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의 추진기의 입체 단면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밸브 및 추진기가 상호 결합하는 단면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가 제로 압력 초기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가 압력 소스를 받아서 추진기가 피스톤 운동과 비슷한 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가 과압을 받을 때 상기 과압에 데한 배기 작업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가 압력 소스를 받아서 추진기가 피스톤 운동과 비슷한 운동을 하고 최개 한계점까지 위치 이동하는 배기 작업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의 다른 실시예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압력계(10)는 공기압축기(9)와 상호 연결될 수 있고 압력계(10)는 중공 원형 관체(1)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원형 관체(1)는 투명한 원통 모양이고 내부 수용 챔버(11)가 구비되며, 일단은 개구단(12)이고 숫나사부(121)가 구비되고 타단은 끝단(13)이고 한쌍의 협지부재(131)가 구비되고 끝단(13) 외측의 중앙에는 조인트(14)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조인트(14)에는 내부 통로(140)가 구비되어 원형 관체(1)의 내부 수용 챔버(11)와 상호 연통되고, 조인트(14)에는 두 개의 상호 이격되는 기밀 O형 고리(15, 16)가 장착되고, 원형 관체(1)에서 끝단(13)에 근접한 외측에는 숫자가 표시된 압력값 표시부(17)가 설치 결합되며, 상기 표시부(17) 내측면은 원형 관체(1)와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압력계(10)를 이루며, 원형 관체(1)는 내부 수용 챔버(11)에 두 개의 서로 다른 원형 구경을 갖는 좌측 구간부(111) 및 우측 구간부(112)가 형성되고도 4에 나타낸 방향 및 원형 관체(1)의 중심 축선(C)을 기준으로 해서, 내부 통로(140)에 근접한 것은 반경이 X인 좌측 구간부(111)이고 개구단(12)에 밀착 인접한 것은 반경이 Y인 우측 구간부(112)이고 반경(X)은 반경(Y)보다 작으며(X<Y), 좌측 구간부(111) 및 우측 구간부(112) 양자가 서로 경계를 이루며 연결되는 끝단 부위는 원형 관체(1) 내부에서 방사향 모양으로 (중심 축선(C)에 대한) 기울기가 구비된 링형 고리 구간(113)이 형성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바로 작은 구경의 좌측 구간부(111) 반경(X)에서 구경이 연속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방식으로 우측 구간부(112) 반경(Y)까지 이어지는 것으로서, 좌측 구간부(111) 및 우측 구간부(112) 양자 사이에는 방사형 모양의 링형 고리 구간(113)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고리 구간(113)의 고리 둘레면(여전히 도 4의 뷰 방향에 따름)은 직선 형태나 아크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링형 고리 구간(113)에 가까운 곳의 좌측 구간부(111)의 원형 관체(1)의 바깥통 벽에는 제1 배기 구멍(18)이 형성되고 링형 고리 구간(113)에 가까운 곳의 우측 구간부(112)의 원형 관체(1)의 바깥통 벽에는 제2 배기 구멍(19)이 형성된다(도 4 및 도 7 동시 참조).
상술한 원형 관체(1) 내에 안치될 수 있는 추진기(2)를 포함하되, 공기압축기(9)에서 생성된 압축공기가 상술한 원형 관체(1) 내에 진인할 경우 상기 추진기(2)가 직선 위치 이동을 하도록 푸시할 뿐만 아니라 추진기(2)의 이동 길이에 의해 현재의 압력값을 지시할 수 있다(도 6 참조).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2)는 일단이 개구단(21)이고 추진기(2)의 타단은 밑단 받침부(22)이며, 상기 밑단 받침부(22)의 외측 평면에는 함몰된 모양의 요홈(221)이 구비되고 추진기(2) 내에는 중공부(23)가 구비되며, 상기 밑단 받침부(22)는 중공부(23)의 밑부 중심 부위에서 개구단(21)을 관통하여 나오는 중공관(24)이 연장되고 밑단 받침부(22)의 중공관(24) 내부에는 배기 통로(250)가 존재하는 돌출 단턱(25)이 구비되며, 즉, 밑단 받침부(22) 외측의 요홈(221), 배기 통로(250) 및 중공관(24)은 연통된 상태에 있고 중공관(24) 밑부와 추진기(2) 의 통벽 사이에는 링형 요입홈(26)이 형성되며; 상술한 밑단 받침부(22)의 주변쪽에는 링형 요입 홈부(27)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착색 O형 고리(28)가 끼움 장착될 수 있다. 과압 보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과압 보호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기 밸브(3)이고 상기 배기 밸브(3)는 외부 헤드(31)가 구비되되 외부 헤드(31)의 타단은 수직바(32)가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수직바(32) 끝단에는 두 개의 상호 마주보는 측면 날개(33)가 구비되며; 방출 차단 스프링(34)을 구비하되 추진기(2)의 중공관(24) 내에 안치될 수 있고 방출 차단 스프링(34)의 일단은 돌출 단턱(25)에 맞닿아 접촉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배기 밸브(3)의 측면 날개(33) 단부는 추진기(2)의 밑단 받침부(22) 외측의 요홈(221)을 통해 배기 통로(250) 및 방출 차단 스프링(34)에 관통 진입하고 배기 밸브(3)의 측면 날개(33)는 방출 차단 스프링(34)의 타단에 걸림 결합되고 배기 밸브(3)의 외부 헤드(31)는 추진기(2)의 밑단 받침부(22) 외측의 요홈(221)에 안치되며, 이때, 방출 차단 스프링(34)은 배기 밸브(3)의 수직바(32)에 끼움 장착되고 그 일단은 추진기(2)의 돌출 단턱(25)에 맞닿고 타단은 배기 밸브(3)의 측면 날개(33)에 맞닿으며, 방출 차단 스프링(34)의 탄성 장력에 의해 배기 밸브(3) 초기 위치를 배기 밸브(3)의 외부 헤드(31)가 추진기(2)의 밑단 받침부(22) 외측의 요홈(221)에 밀착되게 맞닿도록 하는 위치가 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 밸브(3)의 외부 헤드(31)는 추진기(2)의 배기 통로(250)를 밀폐 시킬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배기 밸브(3)와 상호 결합되는 상술한 추진기(2)는 상술한 원형 관체(1) 내에 진입하여 수납될 수 있고 밑단 받침부(22)는 내부 수용 챔버(11) 밑부에 맞닿고 조인트(14)의 내부 통로(140)와 원형 관체(1)의 내부 수용 챔버(11)는 상호 연통될 수 있어서 압력 소스의 진입 압력이 내부 통로(140), 원형 관체(1)의 내부 수용 챔버(11)를 거쳐서 추진기(2) 및 배기 밸브(3)의 외부 헤드(31)에 가해질 수 있게 하며, 상기 추진기(2) 및 추진기(2)와 결합되는 배기 밸브(3)는 원형 관체(1)의 좌측 구간부(111) 및 우측 구간부(112) 사이에서 피스톤 운동과 비슷한 운동을 하는 방식으로 내부 수용 챔버(11)에서 직선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도 10 내지 도 13 참조).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탄성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메인 스프링(4)을 이용하는데, 메인 스프링(4)은 상술한 추진기(2)의 중공부(23) 내에 수납될 수 있고 중공관(24)의 바깥 둘레에 끼워져서 감싸며, 메인 스프링(4)의 일단은 링형 요입홈(26)에 알맞게 맞닻는다.
덮개(5)를 포함하되, 덮개(5)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50)가 구비되고 덮개(5) 내측면의 중앙 부위에는 중심 받침대(51)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 받침대(51)와 덮개(5) 내벽 사이에는 링형 수납홈(53)이 형성되고 중심 받침대(51)의 상단에서는 십자형 푸시 핀(52)이 연장되어 나오며, 상기 십자형 푸시 핀(52)은 비원형의 기둥체이고, 십자형 푸시 핀(52)의 외주면에는 안쪽으로 함몰되는 유통홈(520)이 구비되고 상기 십자형 푸시 핀(52)의 가장 바깥쪽 외경은 중심 받침대(51)의 둘레 직경보다 작고 십자형 푸시 핀(52)과 중심 받침대(51) 사이의 연결 부위에는 외향 확장 단턱(511)이 구비되고 외향 확장 단턱(511)과 중심 받침대(51)의 연결부위에는 상단 단턱(512)가 형성되고 덮개(5)에서 바같을 향하는 면에는 링형 모양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공기 방출 통로(54)가 구비되며(도 8 참조), 상기 공기 방출 통로(54)는 덮개(5)의 링형 수납홈(53)과 연통된 상태에 있어 기체 압력이 이곳을 통해 바깥으로 유출되게 한다(도 10 내지 도 13 참조). 덮개(5)가 암나사부(50)에 의해 원형 관체(1)의 개구단(12)의 숫나사부(121)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양자는 나사 결합에 의한 위치 고정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원형 관체(1), 덮개(5) 양자가 서로 나사 결합하는 깊고 얕은 상태에 의해 압력계(10)의 압력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술한 메인 스프링(4)의 타단은 덮개(5)의 상단 단턱(512)에 맞닿고 메인 스프링(4)의 내경은 덮개(5)의 외향 확장 단턱(511) 외벽에 약간 맞닿는다. 원형 관체(1), 배기 밸브(3)와 상호 결합되는 추진기(2), 착색 O형 고리(28), 기밀 O형 고리(15, 16), 메인 스프링(4) 및 덮개(5)를 완전히 조립한 후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계(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 압력 소스는 원형 관체(1)의 조인트(14)의 내부 통로(140)를 거쳐서 압력계(10)의 원형 관체(1) 내에 진입할 수 있고 진입한 외부 압력은 추진기(2)가 내부의 메인 스프링(4)에 힘을 가하게 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진입하는 외부 압력은 상기 배기 밸브(3)와 상호 결합되는 추진기(2)를 덮개(5)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푸시할 수 있으며, 현재 발생한 압력값에 대해, 사용자는 투명한 모양의 원형 관체(1)를 통해 착색 O형 고리(28)가 소재한 표시부(17) 상의 숫자 눈금에 의한 압력값을 뚜렷하게 읽을 수 있다(도 6 참조). 진입된 압력값이 소정의 안전 압력값보다 클 경우 추진기(2) 밑단 받침부(22)의 주변쪽에 구비된 착색 O형 고리(28)는 푸시되어 원형 관체(1)의 좌측 구간부(111)의 바깥통 벽에 구비된 제1 배기 구멍(18)을 넘으면 상기 과압은 바로 제1 배기 구멍(18)을 통해 압력계(10) 밖으로 방출되고(도 11 참조), 이어서 압력계(10) 내부에 진입하는 외부 압력은 다시 상기 배기 밸브(3)와 상호 결합되는 추진기(2)를 덮개(5)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푸시하고, 상기 추진기(2) 밑단 받침부(22)의 주변쪽에 구비된 착색 O형 고리(28)는 작은 구경의 좌측 구간부(111)를 통해 링형 고리 구간(113)을 알맞게 넘어서 과압이 상기 추진기(2)에 구비된 착색 O형 고리(28)와 링형 고리 구간(113) 사이에 형성된 틈새(114)를 따라 360도의 원둘레로 압력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우측 구간부(112)에 진입하고, 상기 과압은 동시에 제1 배기 구멍(18) 및 우측 구간부(112)의 바깥통 벽에 구비된 제2 배기 구멍(19)을 통해 압력계(10) 밖으로 방출될 수 있다(도 12 참조).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압력계(10)의 추진기(2)의 위치 이동이 최대 한게점에 도달할 때 상기 추진기(2) 끝단의 배기 통로(250)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 통로(250)를 밀폐 시키기 위한 배기 밸브(3)는 덮개(5) 앞단의 십자형 푸시 핀(52)에 의해 밀쳐져 개방됨으로써 압력계(10) 내의 고압 공기가 신속하게 요홈(221), 배기 통로(250), 중공관(24), 십자형 푸시 핀(52)의 유통홈(520)을 거쳐서 원형 관체(1)의 내부 수용 챔버(11) 및 덮개(5)의 링형 수납홈(53)에 진입하고 덮개(5)에 구비된 공기 방출 통로(54) 및 상술한 제1 배기 구멍(18), 제2 배기 구멍(19)을 통해 초과된 압력을 방출한다(도 13 참조). 한편, 공기 충전 단계에서 적절하지 못한 조작으로 인해 과압 현상이 발생할 경우 추진기(2)의 중공관(24) 끝단에 의해 덮개(5)의 외향 확장 단턱(511)에 맞닿을 수 있으며, 이러한 설계 방식은 메인 스프링(4)이 과압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메인 스프링(4)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숫자가 표시된 압력값 표시부(17)의 내측면은 원형 관체(1)와 일체로 성형 결합되어 압력계(10)를 이룬다.
상술한 바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은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10)에 관한 것으로, 공기압축기(9)의 공기 저장부에 구비된 공기 방출 덕트는 과압 보호부가 구비된 압력계(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압력계(10)의 추진기(2)가 서로 다른 진입 압력값을 받을 때 진입 압력값이 소정의 안전 압력값보다 클 경우 상기 과압은 즉시 적어도 하나의 배기 구멍을 통해 압력계(10) 밖으로 방출되고, 압력계(10)의 추진기(2)가 이어서 더 많은 진입 압력값을 받을 때 상기 과압은 적어도 두 개의 배기 구멍을 통해 압력계(10) 밖으로 방출되고, 압력계(10)의 추진기(2)의 위치 이동이 최대 한게점에 도달할 때 상기 추진기(2) 끝단의 배기 통로(250)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 통로(250)를 밀폐 시키기 위한 배기 밸브(3)는 덮개(5) 앞단의 십자형 푸시 핀(52)에 의해 밀쳐져 개방됨으로써 압력계(10) 내의 고압 공기가 배기 통로(250)를 거쳐서 추진기(2) 내에 진입하고 덮개(5)에 구비된 공기 방출 통로(54) 및 상술한 배기 구멍를 통해 초과된 압력을 방출됨으로써 공기압축기(9)의 다른 공기 방출 덕트에 압력 안전밸브를 장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공기를 충전받는 물품의 안전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 설계에서 종래의 제품과 다를 뿐만 아니라 압력값을 더욱 정밀하고 감도 있게 측정할 수 있어서 실용성이 매우 큰 동시에 과압 보호부를 이용하여 과압이 방지되는 공기 충전 작업을 하여 안전 효과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은 신규성과 진보성이 구비된 것이 명확하므로 특허 출원을 한다.
10 : 압력계 1 : 원형 관체
11 : 내부 수용 챔버 111 : 좌측 구간부
112 : 우측 구간부 113 : 링형 고리 구간
114 : 틈새 121 : 숫나사부
13 : 끝단 131 : 협지부재
14 : 조인트 140 : 내부 통로
15 : 기밀 O형 고리 16 : 기밀 O형 고리
17 : 표시부 18 : 제1 배기 구멍
19 : 제2 배기 구멍 21 : 개구단
22 : 밑단 받침부 221 : 요홈
23 : 중공부 24 : 중공관
25 : 돌출 단턱 250 : 배기 통로
26 : 링형 요입홈 27 : 링형 요입 홈부
28 : 착색 O형 고리 3 : 배기 밸브
31 : 외부 헤드 32 : 수직바
33 : 측면 날개 34 : 방출 차단 스프링
4 : 메인 스프링 5 : 덮개
50 : 암나사부 51 : 중심 받침대
511 : 외향 확장 단턱 512 : 상단 단턱
52 : 십자형 푸시 핀 520 : 유통홈
53 : 링형 수납홈 54 : 공기 방출 통로
C : 중심 축선 X : 반경
Y : 반경 9 : 공기압축기

Claims (7)

  1.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공기압축기의 압력계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축기의 압력계는, 중공 원형 관체, 과압 보호부가 구비된 추진기, 방출 차단 스프링, 탄성부재,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원형 관체는 투명한 원통 모양이고 내부 수용 챔버가 구비되고 원형 관체 끝단 외측의 중앙에는 조인트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조인트에는 내부 통로가 구비되어 원형 관체의 내부 수용 챔버와 상호 연통되고, 원형 관체에서 끝단에 근접한 외측에는 숫자가 표시된 압력값 표시부가 설치 결합되며, 원형 관체는 내부 수용 챔버에 두 개의 서로 다른 원형 구경을 갖는 좌측 구간부 및 우측 구간부가 형성되고, 좌측 구간부 및 우측 구간부 양자 사이에는 방사형 모양의 링형 고리 구간이 형성되고, 원형 관체의 바깥통 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과압 보호부가 구비된 추진기는 상술한 원형 관체 내에 안치될 수 있고,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가 상술한 원형 관체 내에 진인할 경우 과압 보호부가 구비된 상기 추진기가 직선 위치 이동을 하도록 푸시할 뿐만 아니라 추진기의 이동 길이에 의해 현재의 압력값을 지시할 수 있고, 상기 추진기의 일단은 개구단이고 추진기의 타단은 밑단 받침부이며, 추진기 내에는 중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밑단 받침부는 중공부의 밑부 중심 부위에서 개구단을 관통하여 나오는 중공관이 연장되고 밑단 받침부의 중공관 내부에는 배기 통로가 존재하는 돌출 단턱이 구비되며; 상기 방출 차단 스프링은 추진기의 중공관 내에 안치될 수 있고 방출 차단 스프링의 일단은 돌출 단턱에 맞닿아 접촉할 수 있고 타단은 과압 보호부에 맞닿아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술한 추진기의 중공부 내에 수납될 수 있고 중공관의 바깥 둘레에 끼워져서 감싸며; 상기 덮개 내측면의 중앙 부위에는 중심 받침대가 구비되고, 중심 받침대의 상단에서는 십자형 푸시 핀이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십자형 푸시 핀은 비원형의 기둥체이고, 덮개에서 바깥을 향하는 면에는 링형 모양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공기 방출 통로가 구비되고 상술한 탄성부재의 타단은 덮개에 맞닿으며;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는 조인트의 내부 통로를 거쳐서 원형 관체 내에 진입할 수 있고 과압 보호부가 구비된 상기 추진기가 서로 다른 진입 압력값을 받을 때 진입 압력값이 소정의 안전 압력값보다 클 경우 상기 과압은 즉시 적어도 하나의 배기 구멍을 통해 압력계 밖으로 방출되고, 과압 보호부가 구비된 상기 추진기의 위치 이동이 최대 한게점에 도달할 때 상기 추진기 끝단의 배기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 통로를 밀폐시키기 위한 과압 보호부는 덮개 앞단의 십자형 푸시 핀에 의해 밀쳐져 개방됨으로써 압력계 내의 고압 공기가 배기 통로, 중공관을 거쳐서 원형 관체의 내부 수용 챔버에 진입하고 나서 덮개에 구비된 공기 방출 통로 및 상술한 배기 구멍을 통해 과압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관체의 일단은 개구단이고 숫나사부가 구비되며 타단은 상술한 끝단이고 한쌍의 협지부재가 구비되며, 조인트에는 두 개의 상호 이격된 기밀 O형 고리가 장착되며; 원형 관체의 중심 축선(C)을 기준으로 하여 내부 통로에 근접한 것은 반경이 X인 좌측 구간부이고 개구단에 밀착 인접한 것은 반경이 Y인 우측 구간부이고 반경(X)은 반경(Y)보다 작으며(X<Y), 좌측 구간부 및 우측 구간부 양자가 서로 경계를 이루며 연결되는 끝단 부위는 원형 관체 내부에서 방사향 모양으로 (중심 축선(C)에 대한) 기울기가 구비된 링형 고리 구간이 형성되고, 링형 고리 구간에 가까운 좌측 구간부의 원형 관체의 바깥통 벽에는 제1 배기 구멍이 형성되고, 링형 고리 구간에 가까운 곳의 우측 구간부의 원형 관체의 바깥통 벽에는 제2 배기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는 밑단 받침부 외측 평면에 함몰된 모양의 요홈이 구비되고, 상기 밑단 받침부 외측의 요홈, 배기 통로 및 중공관은 연통된 상태에 있고 추진기의 중공관 밑부와 추진기의 통벽 사이에는 링형 요입홈이 형성되며, 밑단 받침부의 주변쪽에는 링형 요입 홈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착색 O형 고리가 끼움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압 보호부는 배기 밸브이고 외부 헤드가 구비되되 외부 헤드의 타단은 수직바가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수직바 끝단에는 두 개의 상호 마주보는 측면 날개가 구비되며; 상술한 배기 밸브의 측면 날개 단부는 추진기의 밑단 받침부 외측의 요홈을 통해 배기 통로 및 방출 차단 스프링에 관통 진입하고 배기 밸브의 측면 날개는 방출 차단 스프링의 타단에 걸림 결합되고 배기 밸브의 외부 헤드는 추진기의 밑단 받침부 외측의 요홈에 안치되며, 이때, 방출 차단 스프링은 배기 밸브의 수직바에 끼움 장착되고 그 일단은 추진기의 돌출 단턱에 맞닿고 타단은 배기 밸브의 측면 날개에 맞닿으며, 방출 차단 스프링의 탄성 장력에 의해 배기 밸브 초기 위치를 배기 밸브의 외부 헤드가 추진기의 밑단 받침부 외측의 요홈에 밀착되게 맞닿도록 하는 위치가 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 밸브의 외부 헤드는 추진기의 배기 통로를 밀폐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5. 제3항에 있어서,
    상술한 탄성부재는 메인 스프링이고 상기 메인 스프링의 일단은 추진기의 링형 요입홈에 알맞게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되고 덮개의 중심 받침대와 덮개 내벽 사이에는 링형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십자형 푸시 핀의 외주면에는 안쪽으로 함몰되는 유통홈이 구비되고 상기 십자형 푸시 핀의 가장 바깥쪽 외경은 중심 받침대의 둘레 직경보다 작고 십자형 푸시 핀과 중심 받침대 사이의 연결 부위에는 외향 확장 단턱이 구비되고 외향 확장 단턱과 중심 받침대의 연결부위에는 상단 단턱이 형성되며, 상술한 공기 방출 통로는 덮개의 링형 수납홈과 연통된 상태에 있어 기체 압력이 이곳을 통해 바깥으로 유출되게 하며; 덮개가 암나사부에 의해 원형 관체의 개구단의 숫나사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양자는 나사 결합에 의한 위치 고정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원형 관체, 덮개 양자가 서로 나사 결합하는 깊고 얕은 상태에 의해 압력계의 압력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술한 메인 스프링의 타단은 덮개의 상단 단턱에 맞닿고 메인 스프링의 내경은 덮개의 외향 확장 단턱 외벽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7. 제1항에 있어서,
    숫자가 표시된 상기 압력값 표시부의 내측면은 원형 관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성형 결합되어 압력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KR1020200169328A 2019-12-20 2020-12-07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KR102408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147123 2019-12-20
TW108147123A TWI733283B (zh) 2019-12-20 2019-12-20 具有多段式安全洩壓之壓力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249A KR20210081249A (ko) 2021-07-01
KR102408158B1 true KR102408158B1 (ko) 2022-06-10

Family

ID=7374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328A KR102408158B1 (ko) 2019-12-20 2020-12-07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71901B2 (ko)
EP (1) EP3839465B1 (ko)
JP (2) JP3230927U (ko)
KR (1) KR102408158B1 (ko)
CN (2) CN214277281U (ko)
DE (1) DE202020106937U1 (ko)
TW (1) TWI7332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7560B (zh) * 2019-12-20 2021-05-11 周文三 具有壓力計之空氣壓縮機
US11555825B1 (en) * 2020-11-24 2023-01-17 Sentera, Inc. Pitot probe assembly with replaceable tip and damping
CN114878036B (zh) * 2022-01-25 2023-11-17 广东可银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泄压功能的智能压力传感器
CN114235265B (zh) * 2022-02-23 2022-04-29 东营鼎洪石油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油田用可快速安装压力表的油压座
CN116429347B (zh) * 2023-04-23 2024-01-26 菏泽三垒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钢塑弯管气密性测试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1720A1 (de) * 1993-09-17 1995-03-23 Runge Hans Juergen Kolbendifferenzdruckmesser für die Überwachung von Filteranlagen
JP2016061791A (ja) * 2014-09-18 2016-04-25 周 文三 安全に圧力開放を行う圧力計
JP2018021515A (ja) * 2016-08-03 2018-02-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29653A (en) * 1929-02-21 1930-05-21 Charles Frederic Heywood An improved safety valve for air pressure systems
US3739637A (en) * 1971-04-19 1973-06-19 G Novak Pneumatic pressure indicator
US4622857A (en) * 1984-10-16 1986-11-18 Sanborn Manufacturing Company, Inc. Pressure gauge and regulator
US4754648A (en) * 1986-12-23 1988-07-05 Halliburton Company Safety relief for piston-type gauge protector
GB2215057A (en) * 1988-02-05 1989-09-13 Wang Tony Cheng Chung Pressure sensor in an inflatable article
DE4333098A1 (de) * 1993-09-29 1995-01-19 Bosch Gmbh Robert Druckschalter für Hydroeinheiten
AT8936U1 (de) * 2005-11-04 2007-02-15 Kurt Schuster Druckmesser
JP5455209B2 (ja) * 2009-09-24 2014-03-26 株式会社シブタニ 多列形ピンシリンダ錠
US8869829B2 (en) * 2012-02-08 2014-10-28 Tom Hiroshi Hasegawa Pressure release valve assembly for pressure cooker
TWI494552B (zh) * 2013-02-01 2015-08-01 Wen San Chou 壓力錶
JP3185073U (ja) * 2013-05-08 2013-08-01 陳啓文 圧力逃がし機構を備えた充気装置の圧力表示装置
TWI498481B (zh) * 2013-09-13 2015-09-01 Wen San Chou 空氣壓縮機
TWI592575B (zh) 2014-09-15 2017-07-21 周文三 具有壓力計之空氣壓縮機
TWI593886B (zh) * 2014-09-15 2017-08-01 周文三 具有一筆型壓力計之空氣壓縮機
CN205591942U (zh) * 2016-03-10 2016-09-21 徐州工程学院 悬浮式单体液压支柱内压检测装置系统
CN208060078U (zh) * 2018-03-28 2018-11-06 佛山市贺迪传感仪器有限公司 一种数字压力变送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1720A1 (de) * 1993-09-17 1995-03-23 Runge Hans Juergen Kolbendifferenzdruckmesser für die Überwachung von Filteranlagen
JP2016061791A (ja) * 2014-09-18 2016-04-25 周 文三 安全に圧力開放を行う圧力計
JP2018021515A (ja) * 2016-08-03 2018-02-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99333A (ja) 2021-07-01
DE202020106937U1 (de) 2021-01-21
KR20210081249A (ko) 2021-07-01
EP3839465B1 (en) 2022-09-14
CN113008445A (zh) 2021-06-22
TWI733283B (zh) 2021-07-11
JP3230927U (ja) 2021-02-25
US11371901B2 (en) 2022-06-28
TW202124930A (zh) 2021-07-01
CN113008445B (zh) 2023-05-09
CN214277281U (zh) 2021-09-24
JP7033640B2 (ja) 2022-03-10
EP3839465A1 (en) 2021-06-23
US20210190621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158B1 (ko) 다단 방식으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는 압력계
JP6047642B2 (ja) ペン型圧力計を有する空気圧縮機
US9677961B2 (en) Pressure indicator with pressure-relief function
KR101533692B1 (ko) 압력계
KR101757741B1 (ko) 압력계가 구비된 공기압축기
EP3006736B1 (en) Improved air compressor
US9915253B2 (en) Air compressor
KR102408157B1 (ko) 압력계가 구비된 공기압축기
TWM606658U (zh) 具有多段式安全洩壓之壓力計
TWM492435U (zh) 具洩氣功能的壓力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