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094B1 - 마그네틱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094B1
KR102408094B1 KR1020200063473A KR20200063473A KR102408094B1 KR 102408094 B1 KR102408094 B1 KR 102408094B1 KR 1020200063473 A KR1020200063473 A KR 1020200063473A KR 20200063473 A KR20200063473 A KR 20200063473A KR 102408094 B1 KR102408094 B1 KR 10240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ate
magnetic
magnetic unit
uni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6555A (ko
Inventor
유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09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9/00Type of operation source for auxiliary mechanisms
    • F16D2129/06Electric or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틱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전원 인가시 자력이 발생되는 마그넷이 구비되는 마그네틱 유닛과, 마그네틱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고,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이동되어 마그네틱 유닛에 접촉되게 마련되는 접촉판부와, 마그네틱 유닛과 접촉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동 시에 접촉판부를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접촉판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압착판을 포함하는 압착판부와, 압착판부와 접촉판부의 사이 또는, 복수의 압착판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와,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따라 마그네틱 유닛을 이동시켜서, 제동 시의 마그네틱 유닛과 접촉판부 사이의 간격을 소정 범위 내로 유지시키도록 구비되는 간격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그네틱 브레이크{MAGNETIC BRAKE}
본 발명은 마그네틱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시에 간격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마그네틱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틱 브레이크는 회전체의 표면에 브레이크 패드를 압착시켜 제동력을 확보하는데, 제동을 하면 할수록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고, 이로 인해 마그넷과 회전체와의 사이에 간격이 변경되어 브레이크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5396호(2003. 02. 12 등록, 고안의 명칭: 마그네틱 브레이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따라 접촉판부와 마그네틱 유닛 사이에 추가로 갭이 발생한 경우에 간격 조절 유닛에 의해 초기 설정 거리가 자동으로 유지되게 하여 정확한 제동력을 확보하는 마그네틱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접촉판부와 마그네틱 유닛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격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정비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정비 시간이 단축되는 마그네틱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는 전원 인가시 자력이 발생되는 마그넷이 구비되는 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마그네틱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마그네틱 유닛에 접촉되게 마련되는 접촉판부와, 상기 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동 시에 상기 접촉판부를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접촉판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압착판을 포함하는 압착판부와, 상기 압착판부와 상기 접촉판부의 사이 또는, 복수의 상기 압착판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와,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이동시켜서, 제동 시의 상기 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 사이의 간격을 소정 범위 내로 유지시키도록 구비되는 간격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 조절 유닛은 제동 시의 상기 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 사이의 간격을 초기 설정 범위 내로 유지되게 조정하는 제1 간격조정부와,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초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간격조정부와, 상기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초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1 간격조정부와 상기 제2 간격조정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조정레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조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접촉판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조정로드와, 상기 제1 조정로드의 타단부에 구비된 레버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조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접촉판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부에 걸림지지부를 구비하는 제2 조정로드와, 상기 마그네틱 유닛에 구비된 힌지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초기 설정 범위 이상이 되면, 상기 제2 조정로드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조정레버부에 구비된 조정레버를 회전시키는 레버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유닛은 마그넷 장착부와, 상기 마그넷 장착부에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회전부재는 상기 걸림지지부에 접촉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조정레버부와 접촉되며 상기 제1 돌기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2 돌기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정레버부는 나사홀이 관통된 레버본체와, 상기 레버본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조정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레버돌기와, 상기 나사홀에 삽입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마련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 시에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이동시키게 구비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의 회전 시에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유닛에 구비된 마그넷 장착부와 복수의 상기 압착판 중 최외측에 구비된 압착판에 고정되고, 상기 접촉판부에 관통되어 상기 접촉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따라 접촉판부와 마그네틱 유닛 사이에 추가로 갭이 발생한 경우에 간격 조절 유닛에 의해 초기 설정 거리가 자동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정확한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별도로 접촉판부와 마그네틱 유닛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격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정비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정비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에서 추가로 간격이 발생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의 제동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마그네틱 브레이크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에서 추가로 간격이 발생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의 제동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마그네틱 브레이크(100)는 마그네틱 유닛(200)과, 접촉판부(310)와, 탄성부재(250)와, 압착판부(320)와, 패드부(330) 및 간격 조절 유닛(500)을 포함한다.
마그네틱 유닛(200)은 전원 인가시 자력이 발생되는 마그넷(220)이 구비된다. 마그네틱 유닛(200)은 원판 형상의 마그넷 장착부(210)와 마그넷 장착부(210)에 장착되는 마그넷(220)을 포함한다. 마그넷(220)은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에 의해 접촉판부(310)를 끌어당길 수 있다.
접촉판부(310)는 마그네틱 유닛(200)의 일측에 배치되고, 마그넷(220)의 자력에 의해 이동되어 마그네틱 유닛(200)에 접촉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접촉판부(310)는 마그넷 장착부(210)에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동 상태에서 마그넷(2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접촉판부(310)는 마그넷(220)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동 해제 상태에서 마그넷(2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접촉판부(310)는 마그넷(220)의 자력에 의해 마그네틱 유닛(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250)는 마그네틱 유닛(200)과 접촉판부(3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동 시에 접촉판부(310)를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탄성부재(250)는 제동 시에 접촉판부(310)를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압착판부(320)는 접촉판부(3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압착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압착판부(320)는 접촉판부(310)의 일측에, 접촉판부(3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압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착판부(320)는 접촉판부(3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압착판(321)과, 제1 압착판(32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압착판(322)을 포함할 수 있다. 압착판부(320)와 접촉판부(310) 및 마그네틱 유닛(200)은 후술하는 이동가이드부(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패드부(330)는 압착판부(320)와 접촉판부(310)의 사이 또는, 복수의 압착판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패드(331,33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패드부(330)는 복수의 브레이크 패드(33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부(330)는 압착판과 접촉판부(3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 패드(331)와, 제1 압착판(321)과 제2 압착판(322)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 패드(332)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330)는 제동 시에 압착판부(320)와 접촉판부(310)의 사이 또는, 복수의 압착판들(321,322)의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런데 패드부(330)는 제동이 반복되면 마모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마그네틱 유닛(200)과 접촉판부(310)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어 마그네틱 브레이크(100)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간격 조절 유닛(500)을 포함한다.
간격 조절 유닛(500)은 브레이크 패드(331,332)의 마모에 따라 마그네틱 유닛(200)을 이동시켜서, 제동 시의 마그네틱 유닛(200)과 접촉판부(310) 사이의 간격을 소정 범위 내로 유지시키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동 시에 마그네틱 브레이크가 닫힌 상태에서(도 2 내지 도 5 참조), 접촉판부(310)와 마그넷(220) 사이의 거리는 초기 설정 거리로 세팅될 수 있다(도 2의 G1 참조). 그런데 제동 동작이 반복되면서 패드부(330)에 마모가 발생하면, 제동 상태에서 접촉판부(310)와 마그넷(220) 사이에 추가로 갭(도 4의 G2 참조)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촉판부(310)와 마그네틱 유닛(200) 사이의 간격이 초기 설정 거리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간격 조절 유닛(500)은 마그네틱 유닛(200)과 접촉판부(310)의 사이에 추가로 갭이 발생한 경우에, 초기 설정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틱 유닛(200)을 추가로 발생한 갭(G2) 만큼 접촉판부(310)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격 조절 유닛(500)은 제1 간격조정부(510)와, 제2 간격조정부(530) 및 조정레버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간격조정부(510)는 제동 시의 마그네틱 유닛(200)과 접촉판부(310) 사이의 간격을 초기 설정 범위 내로 유지되게 조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간격조정부(510)는 제1 조정로드(511) 및 레버가압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정로드(511)는 일단부가 접촉판부(31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마그네틱 유닛(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촉판부(310)는 제1 로드장착부(311)와 제2 로드장착부(3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정로드(511)는 제1 로드장착부(311)에 관통되고 고정나사(514)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접촉판부(310)에 고정될 있다. 제1 조정로드(511)의 타단부는 조정레버부(5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버가압부(513)는 제1 조정로드(511)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동 해제 시에 접촉판부(310)가 이동하면, 레버가압부(513)는 조정레버부(550)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정로드(511)의 일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로드장착부(311) 및 고정나사(514)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고정나사(514)를 회전시켜서 제1 조정로드(511)의 일단부가 체결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조정로드(511)는, 마그네틱 유닛(200)과 접촉판부(310) 사이의 간격을 초기 설정 범위 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간격조정부(530)는 브레이크 패드(331,332)의 마모에 의해 마그네틱 유닛(200)과 접촉판부(310) 사이의 간격이 초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간격조정부(530)는 제2 조정로드(531)와 레버회전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정로드(531)는 일단부가 접촉판부(31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마그네틱 유닛(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부에 걸림지지부(53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조정로드(531)는 제2 로드장착부(313)에 관통되고 체결나사(534)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접촉판부(310)에 고정될 있다. 제2 조정로드(531)의 타단부는 조정레버부(5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버회전부재(540)는 마그네틱 유닛(200)(마그넷(220))에 구비된 힌지핀(2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그네틱 유닛(200)과 접촉판부(310) 사이의 간격이 초기 설정 범위 이상이 되면, 제2 조정로드(531)에 의해 회전되어 조정레버부(550)에 구비된 레버본체(5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틱 유닛(200)은 마그넷 장착부(210)와, 마그넷 장착부(210)에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 제1 돌기(213) 및 제2 돌기(2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레버회전부재(540)는 걸림지지부(533)에 접촉되는 걸림부(541)와, 걸림부(541)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조정레버부(550)와 접촉되며 제1 돌기(213)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제2 돌기(21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가압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버회전부재(540)는 걸림부(541)와 가압부(542)의 사이에 관통되는 힌지홀(543)을 포함할 수 있고, 힌지홀(543)에는 힌지핀(221)이 관통될 수 있다. 가압부(542)는 제1 돌기(213)와 제2 돌기(214)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돌기(213)와 가압부(542)의 사이에는 복원스프링(545)이 구비될 수 있다.
추가 갭(G2) 발생 시에 접촉판부(310)가 상승하면, 걸림지지부(533)에 의해 걸림부(541)가 상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레버회전부재(540)는 힌지핀(2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542)가 조정레버부(550)를 가압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복원스프링(545)은 압축된다.
조정레버부(550)는 마그네틱 유닛(200)과 접촉판부(310) 사이의 간격이 초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제1 간격조정부(510)와 제2 간격조정부(530)에 의해 회전되어 마그네틱 유닛(200)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레버부(550)는 레버본체(551)와, 레버돌기(553)와, 암나사부(555)와, 수나사부(557)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본체(551)는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나사홀(552)이 관통될 수 있다. 레버본체(551)는 탄성체(554)에 탄성 지지될 수 있고, 레버회전부재(540)의 가압부(542)에 의해 가압될 때 탄성체(554)를 압축시키면서 나사홀(55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레버돌기(553)는 레버본체(551)에 돌출되고 제1 조정로드(51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돌기(553)는 레버본체(551)의 마그네틱 유닛(200)을 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마그네틱 유닛(200)을 향하는 면에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제동 해제 시에 접촉판부(310)가 이동될 때 제1 조정로드(511)가 함께 이동하면서 레버돌기(553)를 가압할 수 있고, 경사면에 의해 레버본체(551)가 회전할 수 있다.
암나사부(555)는 나사홀(552)에 삽입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마련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 시에 마그네틱 유닛(200)을 이동시키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나사부(557)는 암나사부(555)의 회전 시에 암나사부(555)가 마그네틱 유닛(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암나사부(555)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나사부(555)는 나사홀(552)에 삽입되고 나사홀(552)과 암나사부(555)의 사이에는 암나사부(55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원웨이베어링(556)이 설치될 수 있다. 수나사부(557)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555)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나사부(557)는 모터에 고정될 수 있다. 암나사부(555)는 일측 단부가 마그넷 장착부(21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암나사부(555)와 수나사부(557) 및 원웨이베어링(556)에 의해 레버본체(551)가 가압부(542)에 의해 회전될 때(도 4 및 도 5의 화살표 참조) 암나사부(555)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마그네틱 유닛(200)은 이동(상승)하지 않게 된다.
이 후 레버본체(551)가 제1 조정로드(511)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도 6 및 도 7의 화살표 참조) 암나사부(555)가 회전되고, 마그네틱 유닛(200)은 암나사부(555)에 의해 가압되어 접촉판부(31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틱 유닛(200)은 레버본체(551)가 회전된 만큼 상승하므로, 추가로 발생된 갭(G2)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에 다시 제동 상태(도 2 참조)가 되면, 마그넷(220)과 접촉판부(310) 사이의 간격은 초기 설정 범위(G1) 내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400)는 마그네틱 유닛(200)에 구비된 마그넷 장착부(210)와 복수의 압착판 중 최외측에 구비된 압착판(322)에 고정되고, 접촉판부(310)에 관통되어 접촉판부(3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가이드부(400)는 가이드봉(410)과 체결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봉(410)은 마그넷 장착부(210)와 접촉판부(310)와 제1 압착판(321) 및 제2 압착판(322)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봉(410)은 볼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2 압착판(322)과 체결되는 단부에는 나사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봉(410)의 단부에는 체결부재(420)가 체결된다.
접촉판부(310)는 가이드봉(410)의 나사부(4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관통될 수 있고, 가이드봉(410)에 의해 마그넷(220)에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제동 상태에서 마그넷(220)과 접촉판부(310) 사이의 거리는 제1 조정로드(511)에 의해 설정된 초기 설정 거리(G1)로 세팅될 수 있다.
이후 패드부(330)가 마모되면서 제동 상태에서 접촉판부(310)가 상승하면서, 마그넷(220)과 접촉판부(310) 사이의 거리는 초기 설정 거리(G1)에서 추가로 갭(G2)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접촉판부(310)의 이동에 의해 제2 조정로드(531)가 이동하면서, 걸림지지부(533)가 걸림부(541)를 가압하고 이에 의해 레버회전부재(540)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압부(542)가 레버본체(5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암나사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마그네틱 유닛(200)은 이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동 해제되어 마그네틱 브레이크가 열린 상태가 되면 접촉판부(310)가 마그넷(220)을 향하는 방향(도 6의 A 참조)으로 이동하고, 접촉판부(310)에 고정된 제1 조정로드(511)가 함께 이동하면서 레버돌기(553)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본체(551)가 원상태가 되도록 회전할 수 있고, 레버본체(551)의 회전에 의해 암나사부(555)가 상승하면서 마그네틱 유닛(200)(마그넷 장착부(210))를 추가로 발생된 갭(G2)만큼 상승시킬 수 있다(도 6의 B 참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촉판부(310)와 마그네틱 유닛(200) 사이의 거리가 조정됨으로써 초기 설정 거리(G2)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따라 접촉판부와 마그네틱 유닛 사이에 추가로 갭이 발생한 경우에 간격 조절 유닛에 의해 초기 설정 거리가 자동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정확한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별도로 접촉판부와 마그네틱 유닛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격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정비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정비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마그네틱 브레이크 200: 마그네틱 유닛
210: 마그넷 장착부 213: 제1 돌기
214: 제2 돌기 220: 마그넷
221: 힌지핀 250: 탄성부재
310: 접촉판부 311: 제1 로드장착부
313: 제2 로드장착부 320: 압착판부
321: 제1 압착판 322: 제2 압착판
330: 패드부 331: 제1 브레이크 패드
332: 제2 브레이크 패드 400: 이동가이드부
410: 가이드봉 420: 체결부재
500: 간격 조절 유닛 510: 제1 간격조정부
511: 제1 조정로드 513: 레버가압부
514: 고정나사 530: 제2 간격조정부
531: 제2 조정로드 533: 걸림지지부
534: 체결나사 540: 레버회전부재
541: 걸림부 542: 가압부
543: 힌지홀 545: 복원스프링
550: 조정레버부 551: 레버본체
552: 나사홀 553: 레버돌기
554: 탄성체 555: 암나사부
556: 원웨이베어링 557: 수나사부

Claims (7)

  1. 전원 인가시 자력이 발생되는 마그넷이 구비되는 마그네틱 유닛;
    상기 마그네틱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마그네틱 유닛에 접촉되게 마련되는 접촉판부;
    상기 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동 시에 상기 접촉판부를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접촉판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압착판을 포함하는 압착판부;
    상기 압착판부와 상기 접촉판부의 사이 또는, 복수의 상기 압착판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이동시켜서, 제동 시의 상기 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 사이의 간격을 소정 범위 내로 유지시키도록 구비되는 간격 조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 유닛은
    제동 시의 상기 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 사이의 간격을 초기 설정 범위 내로 유지되게 조정하는 제1 간격조정부;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초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간격조정부;
    상기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초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1 간격조정부와 상기 제2 간격조정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조정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브레이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조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접촉판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조정로드; 및
    상기 제1 조정로드의 타단부에 구비된 레버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브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격조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접촉판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부에 걸림지지부를 구비하는 제2 조정로드; 및
    상기 마그네틱 유닛에 구비된 힌지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마그네틱 유닛과 상기 접촉판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초기 설정 범위 이상이 되면, 상기 제2 조정로드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조정레버부에 구비된 조정레버를 회전시키는 레버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브레이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유닛은 마그넷 장착부와, 상기 마그넷 장착부에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회전부재는 상기 걸림지지부에 접촉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조정레버부와 접촉되며 상기 제1 돌기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2 돌기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브레이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레버부는
    나사홀이 관통된 레버본체;
    상기 레버본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조정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레버돌기;
    상기 나사홀에 삽입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마련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 시에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이동시키게 구비되는 암나사부; 및
    상기 암나사부의 회전 시에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마그네틱 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브레이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유닛에 구비된 마그넷 장착부와 복수의 상기 압착판 중 최외측에 구비된 압착판에 고정되고, 상기 접촉판부에 관통되어 상기 접촉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브레이크.

KR1020200063473A 2020-05-27 2020-05-27 마그네틱 브레이크 KR10240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473A KR102408094B1 (ko) 2020-05-27 2020-05-27 마그네틱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473A KR102408094B1 (ko) 2020-05-27 2020-05-27 마그네틱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555A KR20210146555A (ko) 2021-12-06
KR102408094B1 true KR102408094B1 (ko) 2022-06-10

Family

ID=7893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473A KR102408094B1 (ko) 2020-05-27 2020-05-27 마그네틱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0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58Y1 (ko) 2003-08-13 2003-10-30 김종현 마그네틱 스러스터 브레이크 장치
KR101217096B1 (ko) 2012-09-17 2012-12-31 세신전기(주) 브레이크패드 간격조절 가능한 브레이크장치
KR101279788B1 (ko) 2011-09-29 2013-06-28 한국고벨주식회사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자동보상장치
KR102023055B1 (ko) 2019-02-21 2019-09-20 세신전기(주)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간격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드럼 마그네틱 브레이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396Y1 (ko) * 1998-12-29 2003-05-17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틱브레이크
KR102089153B1 (ko) * 2018-06-21 2020-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마그네틱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58Y1 (ko) 2003-08-13 2003-10-30 김종현 마그네틱 스러스터 브레이크 장치
KR101279788B1 (ko) 2011-09-29 2013-06-28 한국고벨주식회사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자동보상장치
KR101217096B1 (ko) 2012-09-17 2012-12-31 세신전기(주) 브레이크패드 간격조절 가능한 브레이크장치
KR102023055B1 (ko) 2019-02-21 2019-09-20 세신전기(주)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간격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드럼 마그네틱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555A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0602B2 (ja) ホイールブレーキ
WO2011004424A1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制動装置
JP3032499B2 (ja) 電磁制動装置
KR102408094B1 (ko) 마그네틱 브레이크
KR101217096B1 (ko) 브레이크패드 간격조절 가능한 브레이크장치
US20070144838A1 (en) Ball ramp brake
JP3706590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の自動調整
EP0963942A2 (en) Holding brake for a traction sheave elevator
JP2804749B2 (ja) 巻上機用制動装置
JP2007002906A (ja) ブレーキ装置
KR102073374B1 (ko) 회전각도 고정식 분전반 도어장치
KR970003893Y1 (ko)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
CN110730724B (zh) 脚轮回转限制结构
CN218593737U (zh) 包布机卷轴
JPS6147339B2 (ko)
CN217623585U (zh) 一种闸瓦间隙调整装置
CN213017388U (zh) 一种高强度制动鼓
KR10077100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S6128110Y2 (ko)
JP3231930U (ja) 巻上機のブレーキ構造
KR200460062Y1 (ko)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레버 작동장치
JPS6130427Y2 (ko)
KR100946860B1 (ko) 디스크 브레이크 방식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CN115401942A (zh) 包布机卷轴
KR100775416B1 (ko) 답면제동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