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760B1 -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760B1
KR102407760B1 KR1020200137565A KR20200137565A KR102407760B1 KR 102407760 B1 KR102407760 B1 KR 102407760B1 KR 1020200137565 A KR1020200137565 A KR 1020200137565A KR 20200137565 A KR20200137565 A KR 20200137565A KR 102407760 B1 KR102407760 B1 KR 102407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witch element
unit
switch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735A (ko
Inventor
주아성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7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 H02P5/4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for speed regulation of two or more dynamo-electric motors in relation to one ano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 H02P5/6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controlling two or more dc dynamo-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 H02P7/05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by means of electronic sw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제1 휠의 주차 브레이크를 위한 제1 모터, 차량의 제2 휠의 주차 브레이크를 위한 제2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1 모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2 스위치부와,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 제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제3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ELECTRIC PARKING BRAKE SYSTEM WITH FAIL SAFE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례로 캘리퍼 일체형 타입에 적용될 수 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주차 브레이크의 구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lectronic Parking Brake: EPB)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장착되어 주차 브레이크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수동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간단한 스위치 조작 또는 제어 전반을 관장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제어 판단에 따라 자동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가진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ECU)로 구성된다. 전자제어유닛(ECU)는 제어부, 여러 개의 센서인터페이스, 모터드라이브, 통신모듈로 구성된다. 전자제어유닛(ECU)은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Apply) 또는 해제(Release)한다.
또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케이블 풀러 타입과 캘리퍼 일체형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캘리퍼 일체형 타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별도의 구동회로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동회로의 경우, 4개의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는 H-브릿지 회로 두 개가 구비되어, 차량 좌우측 바퀴의 주차 브레이크를 구동하기 위한 제1 모터와 제2 모터 각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종래에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동회로에 구비되는 스위치 소자의 개수가 많아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특정 스위치 소자의 고장 발생시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4819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구동 제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스위치 소자를 구성함으로써 모터 구동 회로의 스위치 소자 개수를 줄일 수 있고, 특정 스위치 소자의 고장 발생시 대응이 가능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제1 휠의 주차 브레이크를 위한 제1 모터; 차량의 제2 휠의 주차 브레이크를 위한 제2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1 모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2 스위치부와,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 제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제3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1 스위치부 또는 상기 제2 스위치부의 고장 발생시, 고장 발생한 스위치부 없이 상기 제1 모터 또는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부는 드레인단이 배터리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1 상과 상기 제2 모터의 제1 상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소자, 및 드레인단이 상기 배터리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1 상과 상기 제2 모터의 제2 상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부는, 드레인단이 상기 배터리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1 상과 상기 제2 모터의 제1 상에 연결되는 제3 스위치 소자, 및 드레인단이 상기 배터리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2 상과 상기 제2 모터(140)의 제2 상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부는, 드레인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1 상과 상기 제2 모터의 제1 상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배터리의 음의 전압단에 연결되는 제5 스위치 소자, 및 드레인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2 상과 상기 제2 모터의 제2 상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배터리의 음의 전압단에 연결되는 제6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역방향 회전시,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6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1 스위치 소자의 고장시, 배터리의 전압으로 인해 상기 제3 스위치 소자의 소스단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터를 정방향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2 스위치 소자의 고장시, 배터리의 전압으로 인해 상기 제4 스위치 소자의 소스단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터를 역방향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3 스위치 소자의 고장시, 배터리의 전압으로 인해 상기 제1 스위치 소자의 소스단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모터를 정방향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4 스위치 소자의 고장시, 배터리의 전압으로 인해 상기 제2 스위치 소자의 소스단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모터를 역방향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와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가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1 모터, 제2 모터, 제어부, 및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제동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모터구동부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구동 단계에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제1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제2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며, 제3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판단 단계;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스위치부와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1 상태 확인 단계; 및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가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2 상태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스위치 소자의 고장 상태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단계; 및 어느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가 고장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고장 상태를 알림하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1 모터와 제2 모터 각각의 하나의 상을 공유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성함으로써 모터 구동 회로의 스위칭 소자 개수를 줄일 수 있고, 특정 스위칭 소자의 고장 발생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 구동 회로의 스위치 소자가 감소하여 ECU 제작에 대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터구동부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상 상태인 모터구동부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정상 상태인 모터구동부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모터구동부의 제1 스위치 소자의 고장 발생시, 모터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모터구동부의 제2 스위치 소자의 고장 발생시, 모터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모터구동부의 제3 스위치 소자의 고장 발생시, 모터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모터구동부의 제4 스위치 소자의 고장 발생시, 모터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모터구동부(120), 제1 모터(130), 및 제2 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100)은,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구동 제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스위치 소자를 모터구동부(120)에 구성함으로써, 모터구동부(120)의 스위치 소자 개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100)은, 제1 모터(130)를 위한 스위치 소자와 제2 모터(140)를 위한 스위치 소자 중에서 특정 스위치 소자의 고장 발생시, 고장 발생한 스위치 소자 없이도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제어가 가능한 페일 세이프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110)는 차량 내 주차 브레이크 버튼 동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어 신호를 모터구동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모터구동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 전압을 제1 모터(130) 또는 제2 모터(140)로 공급할 수 있다. 모터구동부(120)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구동부(120)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배터리 전압을 제1 모터(130) 또는 제2 모터(140)로 공급할 수 있다. 모터구동부(120)는 어느 하나의 스위치 소자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고장 상태의 스위치 소자를 제외한 채 제1 모터(130) 또는 제2 모터(140)로 배터리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모터구동부(12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도 2를 통해 후술한다.
제1 모터(130)는 차량의 좌측 바퀴(제1 휠)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구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1 모터(130)는 DC모터일 수 있다.
제2 모터(140)는 차량의 우측 바퀴(제2 휠)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구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2 모터(140)는 DC모터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모터구동부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모터구동부(120)는 제1 스위치부(121), 제2 스위치부(123), 및 제3 스위치부(125)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부(121)는 제1 모터(130)의 구동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121)는 제1 스위치 소자(S1)와 제2 스위치 소자(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123)는 제2 모터(140)의 구동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123)는 제3 스위치 소자(S3)와 제4 스위치 소자(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위치부(125)는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구동 제어에 공통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3 스위치부(125)는 제5 스위치 소자(S5)와 제6 스위치 소자(S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소자(S1)와 제2 스위치 소자(S2)는 제1 모터(130)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스위치 소자(S3)와 제4 스위치 소자(S4)는 제2 모터(140)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5 스위치 소자(S5)와 제6 스위치 소자(S6)는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 각각의 하나의 상을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S1), 제2 스위치 소자(S2), 제3 스위치 소자(S3), 제4 스위치 소자(S4), 제5 스위치 소자(S5), 및 제6 스위치 소자(S6)는 모스펫(MOSFET) 소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S1), 제2 스위치 소자(S2), 제3 스위치 소자(S3), 제4 스위치 소자(S4), 제5 스위치 소자(S5), 및 제6 스위치 소자(S6)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소자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스위치 소자(S1), 제2 스위치 소자(S2), 제3 스위치 소자(S3), 제4 스위치 소자(S4), 제5 스위치 소자(S5), 및 제6 스위치 소자(S6)가 모스펫(MOSFET) 소자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1 스위치 소자(S1)는 드레인단이 배터리(BAT)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제1 모터(130)의 제1 상(U)과 제2 모터(140)의 제1 상(U)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치 소자(S2)는 드레인단이 배터리(BAT)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제1 모터(130)의 제1 상(U)과 제2 모터(140)의 제2 상(V)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 소자(S3)는 드레인단이 배터리(BAT)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제1 모터(130)의 제1 상(U)과 제2 모터(140)의 제1 상(V)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스위치 소자(S4)는 드레인단이 배터리(BAT)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제1 모터(130)의 제2 상(V)과 제2 모터(140)의 제2 상(V)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스위치 소자(S5)는 드레인단이 제1 모터(130)의 제1 상(U)과 제2 모터(140)의 제1 상(U)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배터리(BAT)의 음의 전압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6 스위치 소자(S6)는 드레인단이 제1 모터(130)의 제2 상(V)과 제2 모터(140)의 제2 상(V)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배터리(BAT)의 음의 전압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정상 상태 또는 고장 상태에서 모터구동부(120)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 전류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정상 상태인 모터구동부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모터구동부(120)의 정상 상태에서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정방향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소자(S1)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제2 스위치 소자(S2)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3 스위치 소자(S3)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제4 스위치 소자(S4)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5 스위치 소자(S5)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6 스위치 소자(S6)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BAT)의 전압에 의한 제1 구동 전류는 제1 스위치 소자(S1), 제1 모터(130)의 제1 상(U), 제1 모터(130)의 제2 상(V), 및 제6 스위치 소자(S6)를 지나도록 나타난다.
또한, 배터리(BAT)의 전압에 의한 제2 구동 전류는 제3 스위치 소자(S3), 제2 모터(140)의 제1 상(U), 제2 모터(140)의 제2 상(V), 및 제6 스위치 소자(S6)를 지나도록 나타난다.
제6 스위치 소자(S6)는 제1 구동 전류와 제2 구동 전류의 흐름을 동시 제어할 수 있다. 제1 구동 전류와 제2 구동 전류는 제6 스위치 소자(S6)의 턴 온 동작시 전체 구동 전류로 합쳐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정상 상태인 모터구동부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모터구동부(120)의 정상 상태에서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역방향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소자(S1)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2 스위치 소자(S2)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제3 스위치 소자(S3)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4 스위치 소자(S4)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제5 스위치 소자(S5)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제6 스위치 소자(S6)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BAT)의 전압에 의한 제1 구동 전류는 제2 스위치 소자(S2), 제1 모터(130)의 제2 상(V), 제1 모터(130)의 제1 상(U), 및 제5 스위치 소자(S5)를 지나도록 나타난다.
또한, 배터리(BAT)의 전압에 의한 제2 구동 전류는 제4 스위치 소자(S4), 제2 모터(140)의 제2 상(V), 제2 모터(140)의 제1 상(U), 및 제5 스위치 소자(S5)를 지나도록 나타난다.
제5 스위치 소자(S5)는 제1 구동 전류와 제2 구동 전류의 흐름을 동시 제어할 수 있다. 제1 구동 전류와 제2 구동 전류는 제5 스위치 소자(S5)의 턴 온 동작시 전체 구동 전류로 합쳐질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모터구동부의 제1 스위치 소자의 고장 발생시, 모터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모터구동부(120)는 제1 스위치 소자(S1)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정방향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
제2 스위치 소자(S2)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3 스위치 소자(S3)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제4 스위치 소자(S4)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5 스위치 소자(S5)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6 스위치 소자(S6)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3 스위치 소자(S3)의 소스단에 인가되는 배터리(BAT)의 전압으로 인해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위차로 인해 제1 구동 전류가 생성된다. 제1 구동 전류는 제1 모터(130)의 제1 상(U), 제1 모터(130)의 제2 상(V), 및 제6 스위치 소자(S6)를 지나도록 나타난다.
배터리(BAT)의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제2 구동 전류는 제3 스위치 소자(S3), 제2 모터(140)의 제1 상(U), 제2 모터(140)의 제2 상(V), 및 제6 스위치 소자(S6)를 지나도록 나타난다.
제6 스위치 소자(S6)는 제1 구동 전류와 제2 구동 전류의 흐름을 동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구동부(120)는 제1 스위치 소자(S1)의 고장이 발생하여 배터리(BAT)의 전압이 제1 모터(130)에 직접 인가되지 않더라도, 제1 모터(130)의 정방향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2의 모터구동부의 제2 스위치 소자의 고장 발생시, 모터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모터구동부(120)는 제2 스위치 소자(S2)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역방향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
제1 스위치 소자(S1)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3 스위치 소자(S3)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4 스위치 소자(S4)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제5 스위치 소자(S5)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제6 스위치 소자(S6)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4 스위치 소자(S4)의 소스단에 인가되는 배터리(BAT)의 전압으로 인해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위차로 인해 제1 구동 전류가 생성된다. 제1 구동 전류는 제1 모터(130)의 제2 상(V), 제1 모터(130)의 제1 상(U), 및 제5 스위치 소자(S5)를 지나도록 나타난다.
배터리(BAT)의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제2 구동 전류는 제4 스위치 소자(S4), 제2 모터(140)의 제2 상(V), 제2 모터(140)의 제1 상(U), 및 제5 스위치 소자(S5)를 지나도록 나타난다.
제5 스위치 소자(S5)는 제1 구동 전류와 제2 구동 전류의 흐름을 동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구동부(120)는 제2 스위치 소자(S2)의 고장이 발생하여 배터리(BAT)의 전압이 제1 모터(130)에 직접 인가되지 않더라도, 제1 모터(130)의 역방향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2의 모터구동부의 제3 스위치 소자의 고장 발생시, 모터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모터구동부(120)는 제3 스위치 소자(S3)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정방향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
제1 스위치 소자(S1)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제2 스위치 소자(S2)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4 스위치 소자(S4)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5 스위치 소자(S5)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6 스위치 소자(S6)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배터리(BAT)의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제1 구동 전류는 제1 스위치 소자(S1), 제1 모터(130)의 제1 상(U), 제1 모터(130)의 제2 상(V), 및 제6 스위치 소자(S6)를 지나도록 나타난다.
이때, 제1 스위치 소자(S1)의 소스단에 인가되는 배터리(BAT)의 전압으로 인해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위차로 인해 제2 모터(140)의 제1 상(U), 제2 모터(140)의 제2 상(V), 및 제6 스위치 소자(S6)를 지나는 제2 구동 전류가 나타난다.
제6 스위치 소자(S6)는 제1 구동 전류와 제2 구동 전류의 흐름을 동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구동부(120)는 제3 스위치 소자(S3)의 고장이 발생하여 배터리(BAT)의 전압이 제2 모터(140)에 직접 인가되지 않더라도, 제2 모터(140)의 정방향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2의 모터구동부의 제4 스위치 소자의 고장 발생시, 모터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모터구동부(120)는 제4 스위치 소자(S4)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역방향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
제1 스위치 소자(S1)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2 스위치 소자(S2)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제3 스위치 소자(S3)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제5 스위치 소자(S5)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Turn On) 동작할 수 있다.
제6 스위치 소자(S6)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오프(Turn Off) 동작할 수 있다.
배터리(BAT)의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제1 구동 전류는 제2 스위치 소자(S2), 제1 모터(130)의 제2 상(V), 제1 모터(130)의 제1 상(U), 및 제5 스위치 소자(S5)를 지나도록 나타난다.
이때, 제2 스위치 소자(S2)의 소스단에 인가되는 배터리(BAT)의 전압으로 인해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위차로 인해 제2 모터(140)의 제2 상(V), 제2 모터(140)의 제1 상(U), 및 제5 스위치 소자(S5)를 지나는 제2 구동 전류가 나타난다.
제5 스위치 소자(S5)는 제1 구동 전류와 제2 구동 전류의 흐름을 동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구동부(120)는 제4 스위치 소자(S4)의 고장이 발생하여 배터리(BAT)의 전압이 제2 모터(140)에 직접 인가되지 않더라도, 제2 모터(140)의 역방향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10)는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스위치 소자(S1), 제2 스위치 소자(S2), 제3 스위치 소자(S3), 및 제4 스위치 소자(S4) 각각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이용하여 고장 상태의 스위치 소자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5 스위치 소자(S5)와 제6 스위치 소자(S6) 각각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이용하여 고장 상태의 스위치 소자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 중에서 고장 상태의 스위치 소자를 확인하는 경우, 고장 알림 신호를 별도의 알람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수신 단계(S910), 제어 신호 생성 단계(S920), 모터 구동 단계(S930), 동작 판단 단계(S940), 제1 상태 확인 단계(S950), 제2 상태 확인 단계(S960), 고장 판단 단계(S970), 알림 단계(S980), 및 정상 동작 단계(S99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계(S910)에서, 제어부(110)는 차량 주차 브레이크 버튼 동작에 따른 제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 단계(S920)에서, 제어부(110)는 제동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모터 구동 단계(S930)에서, 모터구동부(12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를 구동할 수 있다. 모터구동부(120)는 제1 스위치부(121)를 이용하여 제1 모터(130)의 구동을 제어하고, 제2 스위치부(123)를 이용하여 제2 모터(140)의 구동을 제어하며, 제3 스위치부(125)를 이용하여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판단 단계(S940)에서, 제어부(110)는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상태 확인 단계(S950)에서, 제어부(110)는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제1 스위치부(121)와 제2 스위치부(123)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제1 스위치 소자(S1), 제2 스위치 소자(S2), 제3 스위치 소자(S3), 및 제4 스위치 소자(S4)의 상태를 우선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2 상태 확인 단계(S960)에서, 제어부(110)는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가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 제3 스위치부(125)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제5 스위치 소자(S5)와 제6 스위치 소자(S6)의 상태를 우선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고장 판단 단계(S970)에서, 제어부(110)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의 고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고장 판단은 스위치 소자의 양단 전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알림 단계(S980)에서, 제어부(110)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가 고장 상태인 경우, 고장 상태를 알림하는 알림 장치로 고장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정상 동작 단계(S990)에서, 제어부(110)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가 정상 상태인 경우, 모터구동부(120)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계속해서 제어하여 제1 모터(130)와 제2 모터(140)의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순서로, 또는 병렬적으로, 또는 다른 에포크(epoch) 등을 위해 다른 실시 예들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 프로그램, 상호작용 데이터 구조(interactive data structure), 클라이언트 및/또는 서버를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일부가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시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모듈"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0: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110: 제어부
120: 모터구동부
130: 제1 모터
140: 제2 모터

Claims (16)

  1. 차량의 제1 휠의 주차 브레이크를 위한 제1 모터;
    차량의 제2 휠의 주차 브레이크를 위한 제2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1 모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2 스위치부와,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 제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제3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 또는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1 스위치부 또는 상기 제2 스위치부의 고장 발생시, 고장 발생한 스위치부 없이 상기 제1 모터 또는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부는
    드레인단이 배터리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1 상과 상기 제2 모터의 제1 상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소자, 및
    드레인단이 상기 배터리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1 상과 상기 제2 모터의 제2 상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부는,
    드레인단이 상기 배터리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1 상과 상기 제2 모터의 제1 상에 연결되는 제3 스위치 소자, 및
    드레인단이 상기 배터리의 양의 전압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2 상과 상기 제2 모터의 제2 상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부는,
    드레인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1 상과 상기 제2 모터의 제1 상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배터리의 음의 전압단에 연결되는 제5 스위치 소자, 및
    드레인단이 상기 제1 모터의 제2 상과 상기 제2 모터의 제2 상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배터리의 음의 전압단에 연결되는 제6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역방향 회전시,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1 스위치 소자의 고장시, 배터리의 전압으로 인해 상기 제3 스위치 소자의 소스단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터를 정방향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2 스위치 소자의 고장시, 배터리의 전압으로 인해 상기 제4 스위치 소자의 소스단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터를 역방향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3 스위치 소자의 고장시, 배터리의 전압으로 인해 상기 제1 스위치 소자의 소스단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모터를 정방향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4 스위치 소자의 고장시, 배터리의 전압으로 인해 상기 제2 스위치 소자의 소스단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모터를 역방향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와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가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14. 제1 모터, 제2 모터, 제어부, 및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제동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모터구동부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구동 단계에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제1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제2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며, 제3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판단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 또는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확인 단계는,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스위치부와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1 상태 확인 단계; 및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가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2 상태 확인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스위치 소자의 고장 상태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단계; 및
    어느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가 고장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고장 상태를 알림하는 알림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00137565A 2020-10-22 2020-10-22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407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565A KR102407760B1 (ko) 2020-10-22 2020-10-22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565A KR102407760B1 (ko) 2020-10-22 2020-10-22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735A KR20220053735A (ko) 2022-05-02
KR102407760B1 true KR102407760B1 (ko) 2022-06-13

Family

ID=8159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565A KR102407760B1 (ko) 2020-10-22 2020-10-22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7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4535A (ja) * 2013-04-03 2014-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893B1 (ko) * 2011-08-09 2013-03-07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구동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8196A (ko) 2015-06-16 2016-12-26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4535A (ja) * 2013-04-03 2014-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735A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563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and a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US11891040B2 (en) Vehicle electric brak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70349207A1 (en) Motor drive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2017169384A5 (ko)
JP6428457B2 (ja) モータ制御装置
WO2014045728A1 (ja) 電磁ブレーキ制御装置
JP7124716B2 (ja)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546524B2 (ja) 車両のスタータモータ駆動回路
US10516351B2 (en) Electrical drive for an industrial robot
JP5808780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回路システムの異常検知装置
US10840899B2 (en) Motor drive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2019167053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KR102407760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5843962B2 (ja) 安全回路を備えた電気機械
US20240039451A1 (en)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otor control system
JP2019105286A (ja) ブレーキ駆動制御回路とその故障検出方法
JP6900959B2 (ja) ワイパ駆動回路
KR102477497B1 (ko) 차량 제어기의 단락 고장 검출 방법
KR102501577B1 (ko) 모터 구동 회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1345314B2 (en) Wiper drive circuit
KR20210082635A (ko) 페일 세이프 기능을 구비한 모터 구동 회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2018068080A (ja) 負荷駆動装置
CN114368373A (zh) 电机的控制电路、电机系统和车辆驻车制动系统
JP2021024304A (ja) ブレーキシステム
KR20210019638A (ko) 브레이크 고장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