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42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7428B1 KR102407428B1 KR1020210093343A KR20210093343A KR102407428B1 KR 102407428 B1 KR102407428 B1 KR 102407428B1 KR 1020210093343 A KR1020210093343 A KR 1020210093343A KR 20210093343 A KR20210093343 A KR 20210093343A KR 102407428 B1 KR102407428 B1 KR 1024074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nding
- reinforcing metal
- connector
- edge
- metal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by an interconnection through aligned holes in the boards or multilayer 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복수의 단자가 설치된 볼록부끼리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어서, 제조가 용이하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신뢰성이 높아지게 한다.
각각이,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반체부와, 각 반체부의 커넥터 본체끼리가 맞대어져 당해 커넥터 본체의 양단에 형성되는 본체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체부끼리를 결합하는 보강 금속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각각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볼록부와, 당해 볼록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연장 단부와, 당해 연장 단부로부터 상대방의 반체부를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단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단부의 각각은 서로 맞대어진 좌우의 단벽부와 당해 단벽부가 연장 돌출되는 좌우의 연장 단부를 포함한다.
각각이,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반체부와, 각 반체부의 커넥터 본체끼리가 맞대어져 당해 커넥터 본체의 양단에 형성되는 본체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체부끼리를 결합하는 보강 금속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각각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볼록부와, 당해 볼록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연장 단부와, 당해 연장 단부로부터 상대방의 반체부를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단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단부의 각각은 서로 맞대어진 좌우의 단벽부와 당해 단벽부가 연장 돌출되는 좌우의 연장 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평행한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한 쌍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설치되고, 서로 끼워맞춤되어 통전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16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811은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의 하우징이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늘고 긴 볼록부(812)를 갖는다. 당해 볼록부(812)에는, 복수의 단자(861)가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가 도시되지 않은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면, 상기 볼록부(812)는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하우징에 형성된 한 쌍의 요홈(凹溝)의 각각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단자(861)는 상기 요홈 안에 나란히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상대방 단자의 각각과 접촉하여 통전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단자(861)가 하우징(811)과 일체화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형화한 경우, 볼록부(812)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고, 또한 단자(861)의 피치가 좁아져서, 제조가 곤란해진다. 통상 상기 단자(861)는 오버 몰드(overmold) 내지 인서트 성형이라고 불리는 성형 방법에 의해 하우징(811)의 한 쌍의 볼록부(812)와 일체화되므로, 볼록부(812)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고, 또한 단자(861)의 피치가 좁아지면, 하우징(811)의 성형용 금형 안의 한 쌍의 볼록부(8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단자(861)를 정확하게 나란히 배치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여기서는, 상기 종래의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복수의 단자가 설치된 볼록부끼리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어서, 제조가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커넥터에 있어서는, 각각이,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반체부(半體部)와, 각 반체부의 커넥터 본체끼리가 맞대어져 당해 커넥터 본체의 양단에 형성되는 본체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체부끼리를 결합하는 보강 금속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각각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볼록부와, 당해 볼록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연장 단부와, 당해 연장 단부로부터 상대방의 반체부를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단벽부(端壁部)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단부의 각각은 서로 맞대어진 좌우의 단벽부와 당해 단벽부가 연장 돌출되는 좌우의 연장 단부를 포함한다.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보강 금속 부품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판과, 당해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상기 단벽부를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단벽 끼움 지지판과, 상기 상판의 양단에 접속되어 상기 연장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연장단 끼움 지지판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상판은, 상기 단벽부의 상면에 대향하는 단벽 상면 피복부와, 당해 단벽 상면 피복부의 양단에 접속되어 상기 연장 단부의 상면에 대향하는 연장단 상면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벽 끼움 지지판은 상기 단벽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대향하는 단벽 외면 피복부 및 단벽 내면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단 끼움 지지판은 상기 연장단 상면 피복부의 외측단에 접속되어 상기 연장 단부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다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단벽부는 후육부(厚肉部)와 당해 후육부의 하측에 접속된 박육부(薄肉部)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단부는 후육부와 당해 후육부의 하측에 접속된 박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단부에 설치되기 전의 보강 금속 부품에 있어서, 상기 단벽 끼움 지지판끼리의 최접근부(最接近部)의 간격은 상기 단벽부의 후육부에 대응하는 개소의 외측면과 내측면과의 간격보다 좁고, 상기 연장단 끼움 지지판끼리의 최접근부의 간격은 상기 연장 단부의 후육부에 대응하는 개소의 외측면끼리의 간격보다 좁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단벽부의 외측면은 후육부에 대응하는 외측 볼록면과 박육부에 대응하는 외측 오목면 사이의 단차(段差)를 포함하고, 상기 단벽부의 내측면은 후육부에 대응하는 내측 볼록면과 박육부에 대응하는 내측 오목면 사이의 단차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단부의 외측면은 후육부에 대응하는 외측 볼록면과 박육부에 대응하는 외측 오목면 사이의 단차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보강 금속 부품은 상기 단벽 외면 피복부, 단벽 내면 피복부 및 다리부에 형성된 로크용 돌기로서, 상기 단차에 걸림 결합하는 로크용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단벽부의 상면 및 연장 단부의 상면은 상기 볼록부의 상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가고, 상기 단벽부의 외측면은 상기 연장 단부의 단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가며, 상기 단벽부의 내측면은 단벽 기부 내측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가고, 상기 연장 단부의 외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외측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가며, 상기 상판은 상기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상기 단벽 끼움 지지판은 상기 본체 단부의 노출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상기 연장단 끼움 지지판은 상기 볼록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제1 및 제2 단부 몸체부를 갖는 좌반체부로서, 제1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1 단부 몸체부는 제1 연장 단부 및 제1 단벽부를 갖고, 제1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1 연장 단부로부터 제1 결합면으로 연장되고, 제2 단부 몸체부는 제2 연장 단부 및 제2 단벽부를 갖고, 제2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2 연장 단부로부터 제2 결합면으로 연장되는, 좌반체부;
제2 하우징과 제3 및 제4 단부 몸체부를 갖는 우반체부로서, 제2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3 단부 몸체부는 제3 연장 단부 및 제3 단벽부를 갖고, 제3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3 연장 단부로부터 제3 결합면으로 연장되고, 제4 단부 몸체부는 제4 연장 단부 및 제4 단벽부를 갖고, 제4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4 연장 단부로부터 제4 결합면으로 연장되는, 우반체부;
좌반체부의 제1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
우반체부의 제2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
제1 보강 금속 부품; 및
제2 보강 금속 부품을 포함하고,
좌반체부의 제1 단부 몸체부의 제1 결합면이 우반체부의 제3 단부 몸체부의 제3 결합면에 맞대어질 때, 제1 보강 금속 부품은 제1 및 제3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하고,
좌반체부의 제2 단부 몸체부의 제2 결합면이 우반체부의 제4 단부 몸체부의 제4 결합면에 맞대어질 때, 제2 보강 금속 부품은 제2 및 제4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한다.
또한, 다른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제1 및 제2 단부 몸체부를 갖는 좌반체부로서, 제1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1 단부 몸체부는 제1 연장 단부 및 제1 단벽부를 갖고, 제1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단부 몸체부는 제2 연장 단부 및 제2 단벽부를 갖고, 제2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좌반체부;
제2 하우징과 제3 및 제4 단부 몸체부를 갖는 우반체부로서, 제2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3 단부 몸체부는 제3 연장 단부 및 제3 단벽부를 갖고, 제3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단부 몸체부는 제4 연장 단부 및 제4 단벽부를 갖고, 제4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우반체부;
좌반체부의 제1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
우반체부의 제2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
제1 보강 금속 부품; 및
제2 보강 금속 부품을 포함하고,
제1 보강 금속 부품은 제1 및 제3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하고,
제2 보강 금속 부품은 제2 및 제4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한다.
또한, 다른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제1 및 제2 단부 몸체부를 갖는 좌반체부로서, 제1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1 단부 몸체부는 제1 연장 단부 및 제1 단벽부를 갖고, 제1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1 연장 단부로부터 제1 결합면으로 연장되고, 제2 단부 몸체부는 제2 연장 단부 및 제2 단벽부를 갖고, 제2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2 연장 단부로부터 제2 결합면으로 연장되는, 좌반체부;
제2 하우징과 제3 및 제4 단부 몸체부를 갖는 우반체부로서, 제2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3 단부 몸체부는 제3 연장 단부 및 제3 단벽부를 갖고, 제3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3 연장 단부로부터 제3 결합면으로 연장되고, 제4 단부 몸체부는 제4 연장 단부 및 제4 단벽부를 갖고, 제4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4 연장 단부로부터 제4 결합면으로 연장되는, 우반체부;
좌반체부의 제1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
우반체부의 제2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
제1 보강 금속 부품; 및
제2 보강 금속 부품을 포함하고,
좌반체부의 제1 단부 몸체부의 제1 결합면이 우반체부의 제3 단부 몸체부의 제3 결합면에 맞대어질 때, 제1 보강 금속 부품은 제1 및 제3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하고,
좌반체부의 제2 단부 몸체부의 제2 결합면이 우반체부의 제4 단부 몸체부의 제4 결합면에 맞대어질 때, 제2 보강 금속 부품은 제2 및 제4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한다.
또한, 다른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제1 및 제2 단부 몸체부를 갖는 좌반체부로서, 제1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1 단부 몸체부는 제1 연장 단부 및 제1 단벽부를 갖고, 제1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단부 몸체부는 제2 연장 단부 및 제2 단벽부를 갖고, 제2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좌반체부;
제2 하우징과 제3 및 제4 단부 몸체부를 갖는 우반체부로서, 제2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3 단부 몸체부는 제3 연장 단부 및 제3 단벽부를 갖고, 제3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단부 몸체부는 제4 연장 단부 및 제4 단벽부를 갖고, 제4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우반체부;
좌반체부의 제1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
우반체부의 제2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
제1 보강 금속 부품; 및
제2 보강 금속 부품을 포함하고,
제1 보강 금속 부품은 제1 및 제3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하고,
제2 보강 금속 부품은 제2 및 제4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쌍에 있어서는, 상기 커넥터와, 당해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상대방 커넥터를 갖는다.
본 개시에 의하면,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가 설치된 볼록부끼리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어서, 제조가 용이하며, 소형화가 가능하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3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1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2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1의 3면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2의 3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A-A)에서 본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B-B)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의 2면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의 요부 단면도로서, (a)는 도 7b에 있어서의 화살표(C-C)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7b에 있어서의 화살표(D-D)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를 제1 보강 금속 부품으로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를 제1 보강 금속 부품으로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로서, (a)는 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E-E)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F-F)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1의 3면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2의 3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G-G)에서 본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H-H)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3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1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2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1의 3면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2의 3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A-A)에서 본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B-B)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의 2면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의 요부 단면도로서, (a)는 도 7b에 있어서의 화살표(C-C)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7b에 있어서의 화살표(D-D)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를 제1 보강 금속 부품으로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를 제1 보강 금속 부품으로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로서, (a)는 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E-E)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F-F)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1의 3면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2의 3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G-G)에서 본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H-H)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3면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1의 분해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2의 분해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1의 3면도,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2의 3면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도이며, 도 5에 있어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이며, 도 6에 있어서,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A-A)에서 본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B-B)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인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한쪽으로서의 제1 커넥터이다. 당해 제1 커넥터(1)는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1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로서, 후술되는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2 커넥터(101)와 서로 끼워맞춤된다. 또한, 당해 제2 커넥터(101)는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다른 쪽이며,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2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는 바람직하게는 기판으로서의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지만, 다른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인쇄 회로 기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FFC), 플렉시블 회로 기판(FPC) 등이지만, 어떠한 종류의 기판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각 부분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각 부분이 도면에 나타나는 자세인 경우에 적절하지만, 그 자세가 변화한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변경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1)는, 좌우 한 쌍의 반체부, 즉 좌반체부(左半體部)(10A)와 우반체부(右半體部)(10B)를 보강 금속 부품으로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반체부(10A) 및 우반체부(10B)는 좌우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 동일 부재이기 때문에,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반체부(10)로서 설명한다. 상기 좌반체부(10A) 및 우반체부(10B)는, 각각, 그 평면에서 보아 형상(X-Y 면에 투영된 형상)이 문형(門型)이며, 결합된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 사이의 공간은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요홈부(13)로 되어 있다. 당해 요홈부(13)는 제1 커넥터(1)의 상면 및 하면에 있어서 개방된 관통 구멍이다.
상기 반체부(1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 평면에서 보아 형상이 문형인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1 하우징(11)을 갖는다. 각 제1 하우징(11)은, 당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저판부(底板部)(17)와, 당해 저판부(17)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볼록부로서의 제1 볼록부(12)를 포함하고 있다. 당해 제1 볼록부(12)는 횡단면의 형상이 U자를 거꾸로 한 것과 같은 형상의 부재로서, 상측(Z축 정방향 측)에 위치하는 만곡된 끼워맞춤면(12a)과, 당해 끼워맞춤면(12a)의 좌우 양측에 접속된 외측면(12b) 및 내측면(12c)을 갖는다. 외측면(12b)과 내측면(12c)은 서로 평행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으로서,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제1 볼록부(12)의 폭 방향(Y축 방향)의 치수가 저판부(17)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짧으므로, 제1 볼록부(12)의 하단(Z축 부방향 측 단부)에 있어서, 저판부(17)가 외측면(12b) 및 내측면(12c)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판부(17)의 하면은 제1 기판의 표면에 대향하는 제1 하우징(11)의 실장면(17a)이다.
그리고 각 제1 볼록부(12)에는, 단자로서의 제1 단자(61)가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1 단자(61)는 소정의 피치로, 또한 복수 개(도면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 26개)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단자(61)는 도전성 금속판에 천공, 굴곡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볼록부(12)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부(63)와, 당해 본체부(63)의 일단(一端)에 접속된 테일부(tail portion)(62)와, 상기 본체부(63)의 타단(他端)에 거의 90도 굴곡되어 접속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촉부(65)와, 당해 접촉부(65)의 상단으로 거의 90도 굴곡되어 접속된 상단부(64)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63)는 저판부(17)에 매립되어 보유 지지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테일부(62)는 저판부(17)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65)는,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되면, 당해 제2 커넥터(101)가 구비하는 후술되는 제2 단자(161)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바람직하게는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접촉 오목부(65a)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단자(61)는 오버 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이라고 불리는 성형 방법에 의해 제1 하우징(11)과 일체화된다. 즉, 제1 하우징(11)은 제1 단자(61)를 미리 내부에 세트한 금형의 캐비티 안에 절연성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성형된다. 이에 의해, 제1 단자(61)는, 본체부(63) 및 테일부(62)의 하면이 저판부(17)의 실장면(17a)에 노출되고, 접촉부(65) 및 상단부(64)의 표면이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 또는 내측면(12c) 및 끼워맞춤면(12a)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각 제1 볼록부(12)에 설치되는 제1 단자(61)는, 인접하는 것끼리의 자세가, 제1 볼록부(12)의 폭 방향에 관하여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이 부여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좌반체부(10A)의 제1 볼록부(12)에 설치되는 제1 단자(61) 중 전단(前端)(X축 정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61)의 자세는, 테일부(62)가 외측(Y축 정방향 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방향이 부여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전단으로부터 2번째로 위치하는 제1 단자(61)의 자세는, 테일부(62)가 내측(Y축 부방향 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방향이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단자(61)는 교호하여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나란히 제1 볼록부(12)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당해 제1 볼록부(12)의 양측의 각각에 있어서 돌출하는 테일부(62)의 피치는, 제1 단자(61)의 피치의 2배가 된다. 따라서 제1 기판의 접속 패드로의 납땜 등에 의한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에 노출되는 접촉부(65)의 피치, 및 내측면(12c)에 노출되는 접촉부(65)의 피치도 제1 단자(61)의 피치의 2배가 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61)는 오버 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이라고 불리는 성형 방법에 의해 제1 하우징(11)과 일체화되는 부재이기 때문에, 제1 하우징(11)으로부터 이격되어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 4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도록 묘화되어 있는 것에 유의하길 바란다.
그리고 상기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끼워맞춤 가이드부로서 기능하는 본체 단부인 제1 돌출 단부(18)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1 돌출 단부(18)는 각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부재이며,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가 맞대어진 상태, 즉 좌우의 제1 하우징(11)끼리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 단부(18)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01)가 구비하는 후술되는 제2 돌출 단부(121)의 끼워맞춤 오목부(122)에 삽입되는 삽입 볼록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 단부(18)에는,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 단부(18)는, 좌우의 반체부(10)의 연장 단부(14) 및 단벽부(15)에 의해 구성된다. 각 반체부(10)의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 단부(14)가 각각 일체적으로 접속되고, 각 연장 단부(14)에는, 제1 볼록부(12)의 폭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단벽부(15)가 각각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좌반체부(10A)에 있어서의 단벽부(15)는 우방향(Y축 부방향)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우반체부(10B)에 있어서의 단벽부(15)는 좌방향(Y축 정방향)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다. 좌우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 각 반체부(10)에 있어서, 상기 단벽부(15)는 상대방의 반체부(10)를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벽부(15)에 있어서의 상대방의 반체부(10)에 대향하는 단면은 결합면(15d)으로서 기능한다.
각 연장 단부(14)는, 폭이 넓은, 즉 두께가 두꺼운(Y축 방향의 치수가 큰) 후육부(14e)와, 당해 후육부(14e)의 하측(Z축 부방향 측)에 접속된, 보다 두께가 얇은(Y축 방향의 치수가 작은) 박육부(14f)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연장 단부(14)의 외측면(14b)은, 후육부(14e)에 대응하는 외측 볼록면(14b1)과, 박육부(14f)에 대응하는 외측 오목면(14b2)을 포함하고 있다. 당해 외측 오목면(14b2)은 외측 볼록면(14b1)보다도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Y축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연장 단부(14)의 외측면(14b) 전체가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보다도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므로, 외측 볼록면(14b1)도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보다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또한, 각 단벽부(15)는, 폭이 넓은, 즉 두께가 두꺼운(X축 방향의 치수가 큰) 후육부(15e)와, 당해 후육부(15e)의 하측에 접속된, 보다 두께가 얇은(X축 방향의 치수가 작은) 박육부(15f)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단벽부(15)의 외측면(15b)은, 후육부(15e)에 대응하는 외측 볼록면(15b1)과, 박육부(15f)에 대응하는 외측 오목면(15b2)을 포함하고 있다. 당해 외측 오목면(15b2)은 외측 볼록면(15b1)보다도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단벽부(15)의 외측면(15b) 전체가 연장 단부(14)의 단면(14d)보다도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므로, 외측 볼록면(15b1)도 연장 단부(14)의 단면(14d)보다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또한, 각 단벽부(15)는 연장 단부(14)와의 접속부 근방에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내측 단부(15g)를 포함하고 있다. 당해 내측 단부(15g)의 내측면인 단벽 기부 내측면(15h)은 요홈부(13)에 노출되는 면이며,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이다. 그리고 단벽부(15)의 내측면(15c)은, 후육부(15e)에 대응하는 내측 볼록면(15c1)과, 박육부(15f)에 대응하는 내측 오목면(15c2)을 포함하고 있다. 당해 내측 오목면(15c2)은 내측 볼록면(15c1)보다도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단벽부(15)의 내측면(15c) 전체가 단벽 기부 내측면(15h)보다도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므로, 내측 볼록면(15c1)도 단벽 기부 내측면(15h)보다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또한, 연장 단부(14)의 단면(14d) 및 내측 단부(15g)의 내측면인 단벽 기부 내측면(15h)은 제1 돌출 단부(18)의 측면에 있어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덮이지 않고 노출되는 노출측 면에 포함된다. 또한, 연장 단부(14)의 상면(14a) 및 단벽부(15)의 상면(15a)은 동일면 상의 평탄면이지만, 제1 볼록부(12)의 표면인 끼워맞춤면(12a)보다 하측(Z축 부방향 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그리고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가 맞대어진 후, 즉 결합면(15d)끼리가 서로 맞닿도록, 좌반체부(10A)의 단벽부(15)와 우반체부(10B)의 단벽부(15)가 맞대어진 후, 양측의 연장 단부(14) 및 단벽부(15)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그것들을 고정하도록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이 설치되어,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가 결합된다.
상기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은 금속판에 천공, 굴곡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판과, 당해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단벽부(15)를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단벽 끼움 지지판과, 상기 상판의 양단에 접속되어 연장 단부(14)를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연장단 끼움 지지판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판은, 단벽부(15)의 상면(15a)을 덮는 단벽 상면 피복부(57)와, 당해 단벽 상면 피복부(57)의 좌우 양단에 접속되어 연장 단부(14)의 상면(14a)을 덮는 연장단 상면 피복부(5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벽 끼움 지지판은 상기 단벽 상면 피복부(57)의 외측 가장자리 및 내측 가장자리에 접속된 단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장단 끼움 지지판은 연장단 상면 피복부(54)의 외측단에 접속된 다리부(5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각 다리부(55)의 하단에는, 테일부(56)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단벽 상면 피복부(57)는 전체적으로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띠 형상의 부재로서, 결합면(15d)이 서로 맞닿은 좌우의 단벽부(15)의 상면(15a)의 대부분을 덮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벽 외면 피복부(52)는 전체적으로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부재이며, 상단에 형성된 상측 곡부(52a)에 의해 단벽 상면 피복부(57)의 외측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단 근방에는, 하측 곡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c) 및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Y축 방향)에서 보아, 단벽 외면 피복부(52)는 대략 S자 형상을 갖고, 상측 곡부(52a)와 하측 곡부(52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단벽 외면 피복부(52)는 전체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내측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되어, 상측 곡부(52a)보다도 하측 곡부(52b)가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단은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즉 단벽부(15)의 외측면(15b)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단은 테일부(56)의 하면보다 상측(Z축 정방향 측)에 위치하고, 제1 기판의 표면에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단이 제1 기판의 표면에 접근 또는 맞닿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단을 제1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제1 기판으로의 접속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단벽 내면 피복부(53)는 전체적으로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부재이며, 상단에 형성된 상측 곡부(53a)에 의해 단벽 상면 피복부(57)의 내측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단 근방에는, 하측 곡부(5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Y축 방향)에서 보아, 단벽 내면 피복부(53)는 대략 S자 형상을 갖고, 상측 곡부(53a)와 하측 곡부(53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단벽 내면 피복부(53)는 전체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되고, 상측 곡부(52a)보다도 하측 곡부(53b)가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단은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즉 단벽부(15)의 내측면(15c)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단은 테일부(56)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제1 기판의 표면에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단이 제1 기판의 표면에 접근 또는 맞닿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단을 제1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제1 기판으로의 접속 강도가 향상된다.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돌출 단부(18)에 설치되기 전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있어서, 단벽 외면 피복부(52)와 단벽 내면 피복부(53)와의 간격은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측 곡부(52b)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측 곡부(53b)에 있어서 가장 좁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상측 곡부(52a)에 있어서의 내면과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상측 곡부(53a)에 있어서의 내면과의 간격을 L3으로 하고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측 곡부(52b)에 있어서의 내면과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측 곡부(53b)에 있어서의 내면과의 간격을 L4로 하면, L3≥L4(바람직하게는 L3>L4)로 되어 있다. 또한, 단벽부(15)의 후육부(15e) 및 박육부(15f)의 두께(X축 방향의 치수)를 각각 l3 및 l4로 하면, L3≥l3(바람직하게는 L3>l3)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 단부(18)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설치 전에는 L4<l3이며, 설치 후에는 L4>l4이다.
이 관계에 의해, 제1 돌출 단부(18)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이 설치되었을 때,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내면(52c)과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내면(53c)이 맞대어진 단벽부(15)의 후육부(15e)를 확실하게 끼워 넣는다. 특히, L3>l3일 때에는,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내면(52c)과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내면(53c)이 후육부(15e)의 아래 가장자리인 외측 볼록면 아래 가장자리(15b3)와 내측 볼록면 아래 가장자리(15c3)를 끼워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이 제1 돌출 단부(18)로부터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연장단 상면 피복부(54)는 좌우의 연장 단부(14)의 상면(14a)의 대부분을 덮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55)는 제1 커넥터(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띠 형상의 부재이며, 상단에 형성된 상측 곡부(55a)에 의해 연장단 상면 피복부(54)의 외측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단에는 하측 곡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a) 및 5의 (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서 보아, 다리부(55)는 대략 S자 형상을 갖고, 상측 곡부(55a)와 하측 곡부(55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55)는 전체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 내측으로 진행하도록 경사지고, 하측 곡부(55b)가 가장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돌출 단부(18)에 설치되기 전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있어서, 좌우의 다리부(55)의 간격은 하측 곡부(55b)에 있어서 가장 좁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상측 곡부(55a)에 있어서의 내면끼리의 간격을 L1로 하고 좌우의 하측 곡부(55b)에 있어서의 내면끼리의 간격을 L2로 하면, L1≥L2(바람직하게는 L1>L2)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돌출 단부(18)에 있어서의 좌우의 연장 단부(14)의 외측 볼록면(14b1)끼리 및 외측 오목면(14b2)끼리의 간격을 각각 l1 및 l2로 하면, L1≥l1(바람직하게는 L1>l1)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 단부(18)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설치 전에는 L2<l1이며, 설치 후에는 L2>l2이다.
이 관계에 의해, 제1 돌출 단부(18)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이 설치되었을 때, 좌우의 다리부(55)의 내면(55c)끼리가 연장 단부(14)의 압력 두께부(14e)를 확실하게 끼워 넣는다. 특히, L1>l1일 때는, 다리부(55)의 내면(55c)이 후육부(14e)의 아래 가장자리인 외측 볼록면 아래 가장자리(14b3)를 끼워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이 제1 돌출 단부(18)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테일부(56)는 상기 다리부(55)의 하측 곡부(55b)의 선단에 접속되어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테일부(56)는 연장 단부(14)의 외측면(14b)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고, 제1 기판의 표면에 노출되는 도시되지 않은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 고정된다. 또한, 당해 접속 패드는, 예를 들어 전력 라인인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 가능하다.
다음에,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를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제1 커넥터(1)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의 2면도,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의 요부 단면도,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를 제1 보강 금속 부품으로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반체부를 제1 보강 금속 부품으로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며, 도 8에 있어서, (a)는 도 7b에 있어서의 화살표(C-C)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7b에 있어서의 화살표(D-D)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10에 있어서, (a)는 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E-E)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F-F)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1 커넥터(1)를 구성할 때에는, 먼저 오퍼레이터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를 맞댄다. 즉, 좌반체부(10A)의 단벽부(15)와 우반체부(10B)의 단벽부(15)를 맞대어서 좌반체부(10A)의 단벽부(15)의 선단에 있어서의 결합면(15d)과 우반체부(10A)의 단벽부(15)의 선단에 있어서의 결합면(15d)을 맞닿게 한다. 이에 의해, 제1 돌출 단부(18)가 구성된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돌출 단부(18)의 상방에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을 위치시키고, 당해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을 상대적으로 제1 돌출 단부(18)에 대하여 하강시켜 양측의 연장 단부(14) 및 단벽부(15)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을 설치한다. 이 경우, 단벽 상면 피복부(57)가, 결합면(15d)이 서로 맞닿은 좌우의 단벽부(15)의 상면(15a)에 대향하고, 연장단 상면 피복부(54)가 좌우의 연장 단부(14)의 상면(14a)에 대향하고, 단벽 외면 피복부(52)가 상기 단벽부(15)의 외측면(15b)에 대향하고, 단벽 내면 피복부(53)가 상기 단벽부(15)의 내측면(15c)에 대향하고, 다리부(55)가 상기 연장 단부(14)의 외측면(14b)에 대향하도록,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자세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돌출 단부(18)에 설치되기 전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있어서, 단벽 외면 피복부(52)와 단벽 내면 피복부(53)와의 간격은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측 곡부(52b)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측 곡부(53b)에 있어서 가장 좁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상측 곡부(52a)에 있어서의 내면과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상측 곡부(53a)에 있어서의 내면과의 간격을 L3으로 하고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측 곡부(52b)에 있어서의 내면과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측 곡부(53b)에 있어서의 내면과의 간격을 L4로 하면, L3≥L4(바람직하게는 L3>L4)로 되어 있다. 또한, 단벽부(15)의 후육부(15e) 및 박육부(15f)의 두께(X축 방향의 치수)를 각각 l3 및 l4로 하면, L3≥l3(바람직하게는 L3>l3)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 단부(18)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설치 전에는 L4<l3이며, 설치 후에는 L4>l4이다.
또한, 좌우의 다리부(55)의 간격은 하측 곡부(55b)에 있어서 가장 좁게 되어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상측 곡부(55a)에 있어서의 내면끼리의 간격을 L1로 하고 좌우의 하측 곡부(55b)에 있어서의 내면끼리의 간격을 L2로 하면, L1≥L2(바람직하게는 L1>L2)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돌출 단부(18)에 있어서의 좌우의 연장 단부(14)의 외측 볼록면(14b1)끼리 및 외측 오목면(14b2)끼리의 간격을 각각 l1 및 l2로 하면, L1≥l1(바람직하게는 L1>l1)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 단부(18)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설치 전에는 L2<l1이며, 설치 후에는 L2>l2이다.
따라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을 상대적으로 제1 돌출 단부(18)에 대하여 하강시켜서 설치할 때, 단벽 외면 피복부(52)와 단벽 내면 피복부(53)와의 간격은 단벽부(15)에 의해 넓혀지고, 단벽 외면 피복부(52)와 단벽 내면 피복부(53)는 탄성적으로 변형한다. 또한, 좌우의 다리부(55)의 간격은 연장 단부(14)에 의해 넓혀지고, 좌우의 다리부(55)는 탄성적으로 변형한다.
그리고 도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돌출 단부(18)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설치가 완료되고,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가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의해 결합되면, 단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가 발휘하는 탄성에 의해, 단벽부(15)는 전후로부터 체결되고, 또한 좌우의 다리부(55)가 발휘하는 탄성에 의해, 연장 단부(14)는 좌우로부터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벽부(15)는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의해 전후좌우로부터 체결된 상태로 되고, 서로 맞닿은 결합면(15d)끼리가 밀착하여 일체적으로 된다. 이에 의해,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가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의해 결합되어, 제1 커넥터(1)가 구성된다.
또한, 외측 볼록면(15b1)과 내측 볼록면(15c1)과의 간격보다도 서로의 간격이 좁은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측 곡부(52b)와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측 곡부(53b)가 외측 볼록면(15b1) 및 내측 볼록면(15c1)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을 상대적으로 단벽부(15)에 대하여 상승시켜서 떼어낼 때에, 외측 볼록면(15b1)과 외측 오목면(15b2) 사이의 단차 및 내측 볼록면(15c1)과 내측 오목면(15c2) 사이의 단차에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측 곡부(52b)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측 곡부(53b)가 걸려서, 떼어내기가 곤란해진다. 즉,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빠짐을 방지하는 기능이 발휘된다.
동일하게 좌우의 외측 볼록면(14b1)끼리의 간격보다도 서로의 간격이 좁은 좌우의 다리부(55)의 하측 곡부(55b)가 상기 외측 볼록면(14b1)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을 상대적으로 단벽부(15)에 대하여 상승시켜서 떼어낼 때에, 외측 볼록면(14b1)과 외측 오목면(14b2) 사이의 단차에 다리부(55)의 하측 곡부(55b)가 걸려서, 떼어내기가 곤란해진다. 즉,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빠짐을 방지하는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단벽 외면 피복부(52)에 있어서의 상측 곡부(52a)의 근방 부분과 단벽 내면 피복부(53)에 있어서의 상측 곡부(53a)의 근방 부분과의 간격이 외측 볼록면(15b1)과 내측 볼록면(15c1)과의 간격보다도 좁게 되어 있으면, 단벽부(15)의 후육부(15e)가 단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되므로, 좌반체부(10A)의 단벽부(15)와 우반체부(10B)의 단벽부(15)는 강고하게 결합된다.
동일하게 좌우의 다리부(55)에 있어서의 상측 곡부(55a)의 근방 부분끼리의 간격이 좌우의 연장 단부(14)의 외측 볼록면(14b1)끼리의 간격보다도 좁게 되어 있으면, 연장 단부(14)의 후육부(14e)가 다리부(55)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되므로, 좌반체부(10A)의 단벽부(15)와 우반체부(10B)의 단벽부(15)는 강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측 곡부(52b)와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측 곡부(53b)와의 간격이 외측 오목면(15b2)과 내측 오목면(15c2)과의 간격보다도 좁게 되어 있으면, 단벽부(15)의 박육부(15f)가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측 곡부(52b)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측 곡부(53b)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되므로, 좌반체부(10A)의 단벽부(15)와 우반체부(10B)의 단벽부(15)는 보다 강고하게 결합된다.
동일하게 좌우의 다리부(55)의 하측 곡부(55b)끼리의 간격이 좌우의 연장 단부(14)의 외측 오목면(14b2)끼리의 간격보다도 좁게 되어 있으면, 연장 단부(14)의 박육부(14f)가 다리부(55)의 하측 곡부(55b)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되므로, 좌반체부(10A)의 단벽부(15)와 우반체부(10B)의 단벽부(15)는 보다 강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돌출 단부(18)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는, 연장 단부(14)의 상면(14a) 및 단벽부(15)의 상면(15a)이 제1 볼록부(12)의 상면인 끼워맞춤면(12a)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므로, 단벽 상면 피복부(57) 및 연장단 상면 피복부(54)의 표면은 상기 끼워맞춤면(12a)과 동일면 상에 또는 당해 끼워맞춤면(12a)보다 하측에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즉, 단벽 상면 피복부(57) 및 연장단 상면 피복부(54)의 표면은 상기 끼워맞춤면(12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연장 단부(14)의 외측면(14b) 전체가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보다도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므로, 다리부(55)의 외면은 상기 외측면(12b)과 동일면 상에 또는 당해 외측면(12b)보다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즉, 다리부(55)의 외면은 상기 외측면(12b)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지 않다.
또한, 단벽부(15)의 외측면(15b) 전체가 연장 단부(14)의 단면(14d)보다도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므로,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외면은 상기 단면(14d)과 동일면 상에 또는 당해 단면(14d)보다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즉,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외면은 상기 단면(14d)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지 않다.
또한, 단벽부(15)의 내측면(15c) 전체가 단벽 기부 내측면(15h)보다도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므로,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외면은 상기 단벽 기부 내측면(15h)과 동일면 상에 또는 당해 단벽 기부 내측면(15h)보다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외측에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즉,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외면은 상기 단벽 기부 내측면(15h)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지 않다.
또한, 다리부(55)의 하측 곡부(55b)의 선단에 접속된 테일부(56)는, 그 선단이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보다도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테일부(56)의 하면은 제1 볼록부(12)에 설치된 제1 단자(61)의 테일부(62)의 하면 및 제1 하우징(11)의 실장면(17a)과 거의 동일 평면 상에 놓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단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단은 테일부(56)의 하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므로, 제1 하우징(11)의 실장면(17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단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단은 제1 기판의 표면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다.
다음에, 제2 커넥터(10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사시도,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2 커넥터(10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대방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2 하우징(111)을 갖는다. 당해 제2 하우징(11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인 대략 장방형의 후판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111)의 제1 커넥터(1)가 끼워넣어지는 측, 즉 끼워맞춤면(111a) 측(Z축 정방향 측)에는, 주위가 둘러싸인 대략 장방형의 오목부(112)로서, 제1 하우징(11)과 끼워맞춤되는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오목부(112) 안에는, 요홈부(13)와 끼워맞춤되는 섬부(島部)로서의 제2 볼록부(113)가 제2 하우징(1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 볼록부(113)의 양측에는, 당해 제2 볼록부(113)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측벽부(114)가 제2 하우징(1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볼록부(113) 및 측벽부(114)는 오목부(112)의 저면으로부터 상방(Z축 정방향)을 향하여 돌출하여 제2 커넥터(1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볼록부(113)의 양측에는, 오목부(112)의 일부로서, 제2 커넥터(10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오목부인 요홈부(1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볼록부(113)의 양측의 측면, 및 측벽부(114)의 내측의 측면에는, 요홈상(凹溝狀)의 제2 단자 수용 홈 캐비티(1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볼록부(113) 및 측벽부(114)에는, 구멍 형상의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11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 수용 홈 캐비티(115a)와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115b)는 요홈부(112a)의 저면에 있어서 연결되어 서로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제2 단자 수용 홈 캐비티(115a)와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115b)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로서 설명한다. 당해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는 제1 단자(61)에 대응하는 피치로, 또한 대응하는 수만큼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단자(161)는 도전성 금속판에 천공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본체부(163)와, 당해 본체부(163)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162)와, 상기 본체부(163)의 하단 근방으로부터 제2 커넥터(101)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속부(164)와, 당해 접속부(164)로부터 상방(Z축 정방향)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접촉부(165)를 구비한다. 또한, 당해 접촉부(165)의 선단 근방에는, 본체부(163)를 향하여 돌출하는 접촉 볼록부(165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63)는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115b)에 압입되어서 보유 지지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테일부(162)는 본체부(163)의 하단으로 굴곡되어 접속되어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165)는,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되면, 상기 제1 커넥터(1)가 구비하는 제1 단자(61)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바람직하게는 접촉 볼록부(165a)가 제1 단자(61)의 접촉부(65)에 형성된 접촉 오목부(65a)와 걸림 결합한다.
상기 제2 단자(161)는 제2 하우징(111)의 하방으로부터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111)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제2 단자(161)는, 본체부(163)가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115b)에 압입되어서 보유 지지되고, 접촉부(165)는 제2 단자 수용 홈 캐비티(115a) 안에 수용되어서 요홈부(112a)에 노출되고, 테일부(162)의 하면은 제2 하우징(111)의 하면으로서의 실장면(111b)에 노출된다.
또한, 각 요홈부(112a)에 설치되는 제2 단자(161)는, 제1 단자(61)와 동일하게, 인접하는 것끼리의 자세가 요홈부(112a)의 폭 방향에 관하여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이 부여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Y축 정방향 측의 요홈부(112a)에 설치되는 제2 단자(161) 중 전단(X축 정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2 단자(161)의 자세는, 테일부(162)가 Y축 부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방향이 부여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전단으로부터 2번째로 위치하는 제2 단자(161)의 자세는, 테일부(62)가 Y축 정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방향이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단자(161)는 교호하여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모두 요홈부(112a)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당해 요홈부(112a)의 양측에 있어서 실장면(111b)에 노출되는 테일부(162)의 피치는, 제2 단자(161)의 피치의 2배가 된다. 따라서 제2 기판의 접속 패드로의 납땜 등에 의한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요홈부(112a)에 노출되는 접촉부(165)의 피치도 제2 단자(161)의 피치의 2배가 된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끼워맞춤 가이드부로서의 제2 돌출 단부(12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제2 돌출 단부(121)에는, 상기 오목부(112)의 일부로서 끼워맞춤 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끼워맞춤 오목부(122)는 대략 장방형의 오목부이며, 각 요홈부(112a)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22) 안에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가 구비하는 제1 돌출 단부(18)가 삽입된다. 또한, 제2 돌출 단부(121)는 보강 금속 부품 수용 오목부(12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대방 보강 금속 부품으로서의 제2 보강 금속 부품(151)은 상기 보강 금속 부품 수용 오목부(126)에 수용되어 제2 돌출 단부(121)에 설치된다.
상기 제2 보강 금속 부품(151)은 금속판에 천공, 굴곡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본체부(152)와, 당해 제2 본체부(152)의 상단에 접속된 중앙 피복부(157)와, 상기 제2 본체부(152)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측방 피복부(153)와, 당해 측방 피복부(153)의 일측 가장자리(一側緣)에 접속된 접촉 측판부(154)와, 상기 제2 본체부(152)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156)를 구비한다. 당해 테일부(156)는 제2 커넥터(101)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하고, 제2 기판의 표면에 노출되는 도시되지 않은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 고정된다. 또한, 당해 접속 패드는, 예를 들어 전력 라인인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를 끼워맞춤되게 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커넥터(1)는,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도시되지 않은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테일부(56)가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1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테일부(56)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동일하게 제2 커넥터(101)는,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도시되지 않은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과 함께 제2 보강 금속 부품(151)의 테일부(156)가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2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2 보강 금속 부품(151)의 테일부(156)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제1 커넥터(1)의 제1 하우징(11)의 끼워맞춤면으로서의 제1 볼록부(12)의 끼워맞춤면(12a)과 제2 커넥터(101)의 제2 하우징(111)의 끼워맞춤면(111a)을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제1 커넥터(1)의 제1 볼록부(12)의 위치가 제2 커넥터(101)가 대응하는 요홈부(112a)의 위치와 일치하고, 제1 커넥터(1)의 제1 돌출 단부(18)의 위치가 제2 커넥터(101)가 대응하는 끼워맞춤 오목부(122)의 위치와 일치하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와의 위치 맞춤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대향 측에 접근하는 방향, 즉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커넥터(1)의 제1 볼록부(12) 및 제1 돌출 단부(18)가 제2 커넥터(101)의 요홈부(112a) 및 끼워맞춤 오목부(122) 안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와의 끼워맞춤이 완료된다. 그리고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가 통전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는, 각각이, 제1 하우징(11)과, 제1 하우징(11)에 설치된 복수의 제1 단자(61)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좌반체부(10A) 및 우반체부(10B)와, 좌반체부(10A) 및 우반체부(10B)의 제1 하우징(11)끼리가 맞대어져 제1 하우징(11)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 돌출 단부(18)에 설치되고, 좌반체부(10A) 및 우반체부(10B)를 결합하는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을 구비하고, 제1 하우징(11)의 각각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자(61)를 보유 지지하는 제1 볼록부(12)와,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연장 단부(14)와, 연장 단부(14)로부터 상대방의 반체부를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단벽부(15)를 포함하고, 제1 돌출 단부(18)의 각각은 서로 맞대어진 좌우의 단벽부(15)와 단벽부(15)가 연장 돌출되는 좌우의 연장 단부(14)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제1 단자(61)가 설치된 제1 하우징(11)끼리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어서, 제1 커넥터(1)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커넥터(1)의 제조가 용이해지는 동시에 제1 커넥터(1)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은,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판으로서의 단벽 상면 피복부(57) 및 연장단 상면 피복부(54)와,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단벽부(15)를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단벽 끼움 지지판으로서의 단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와, 상판의 양단에 접속되어 연장 단부(14)를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연장단 끼움 지지판으로서의 다리부(55)를 포함하고, 단벽 상면 피복부(57), 단벽부(15)의 상면(15a)에 대향하고, 연장단 상면 피복부(54)는 단벽 상면 피복부(57)의 양단에 접속되어 연장 단부(14)의 상면(14a)에 대향하고, 단벽 외면 피복부(52)는 단벽부(15)의 외측면(15b)에 대향하고, 단벽 내면 피복부(53)는 단벽부(15)의 내측면(15c)에 대향하고, 다리부(55)는 연장단 상면 피복부(54)의 외측단에 접속되어 연장 단부(14)의 외측면(14b)에 대향한다. 이에 의해, 좌반체부(10A)의 단벽부(15)와 우반체부(10B)의 단벽부(15)가 강고하게 결합되어 제1 돌출 단부(18)가 확실하게 구성되고,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가 확실하게 결합된다.
또한, 단벽부(15)의 상면(15a) 및 연장 단부(14)의 상면(14a)은 제1 볼록부(12)의 끼워맞춤면(12a)보다 오목하게 들어가고, 단벽부(15)의 외측면(15b)은 연장 단부(14)의 단면(14d)보다 오목하게 들어가고, 단벽부(15)의 내측면(15c)은 단벽 기부 내측면(15h)보다 오목하게 들어가고, 연장 단부(14)의 외측면(14b)은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보다 오목하게 들어가고 단벽 상면 피복부(57) 및 연장 단면 피복부(54)는 제1 볼록부(12)의 끼워맞춤면(12a)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단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는 제1 돌출 단부(18)의 노출측 면으로서의 단면(14d) 및 단벽 기부 내측면(15h)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며, 다리부(55)는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표면은 제1 하우징(11)의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단벽부(15)는 후육부(15e)와 후육부(15e)의 하측에 접속된 박육부(15f)를 포함하고, 연장 단부(14)는 후육부(14e)와 후육부(14e)의 하측에 접속된 박육부(14f)를 포함하고, 제1 돌출 단부(18)에 설치되기 전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있어서, 단벽 끼움 지지판끼리의 최접근부로서의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측 곡부(52b) 및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측 곡부(53b)의 간격은 단벽부(15)의 후육부(15e)에 대응하는 개소의 외측면(15b)과 내측면(15c)과의 간격보다 좁고, 연장단 끼움 지지판끼리의 최접근부로서의 좌우의 다리부(55)의 하측 곡부(55b)의 간격은 연장 단부(14)의 후육부(14e)에 대응하는 개소의 외측면(14b)끼리의 간격보다 좁다. 이에 의해,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이 제1 돌출 단부(18)에 설치될 때는, 단벽 외면 피복부(52)와 단벽 내면 피복부(53)가 넓혀지고, 또한 좌우의 다리부(55)가 넓어지므로, 제1 돌출 단부(18)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설치가 완료되면, 단벽 외면 피복부(52)와 단벽 내면 피복부(53)가 탄성을 발휘하여 단벽부(15)를 전후로부터 체결하고, 좌우의 다리부(55)가 탄성을 발휘하여 연장 단부(14)를 좌우로부터 체결한다. 따라서 단벽부(15)는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의해 전후좌우로부터 체결된 상태로 되고, 서로 맞닿은 결합면(15d)끼리 밀착하여 일체적으로 되므로, 제1 돌출 단부(18)가 확실하게 구성된다.
또한, 단벽부(15)의 외측면(15b)은 후육부(15e)에 대응하는 외측 볼록면(15b1)과 박육부(15f)에 대응하는 외측 오목면(15b2) 사이의 단차를 포함하고, 단벽부(15)의 내측면(15c)은 후육부(15e)에 대응하는 내측 볼록면(15c1)과 박육부(15f)에 대응하는 내측 오목면(15c2) 사이의 단차를 포함하며, 연장 단부(14)의 외측면(14b)은 후육부(14e)에 대응하는 외측 볼록면(14b1)과 박육부(14f)에 대응하는 외측 오목면(14b2) 사이의 단차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돌출 단부(18)에 설치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상방향을 향한 외력이 부여되어도, 단벽 외면 피복부(52)의 하측 곡부(52b), 단벽 내면 피복부(53)의 하측 곡부(53b) 및 다리부(55)의 하측 곡부(55b)가 단차에 걸려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떼어내기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동작 및 동일한 효과에 대해서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사시도,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1의 3면도,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제2의 3면도이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이며, 도 15에 있어서,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G-G)에서 본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H-H)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은 단벽 외면 피복부(52), 단벽 내면 피복부(53) 및 다리부(55)에 형성된 로크용 돌기로서의 반구상 돌기(58)를 포함하고 있다. 당해 돌기(58)는, 제1 돌출 단부(18)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단벽부(15)의 외측 볼록면(15b1)과 외측 오목면(15b2) 사이의 단차 및 내측 볼록면(15c1)과 내측 오목면(15c2) 사이의 단차, 및 연장 단부(14)의 외측 볼록면(14b1)과 외측 오목면(14b2) 사이의 단차에 걸림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을 상대적으로 단벽부(15)에 대하여 상승시켜 떼어낼 때에, 돌기(58)가 상기 단차에 걸림 결합하고 있으므로, 떼어내기가 곤란해진다. 즉,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빠짐을 방지하는 기능이 발휘된다.
상기 돌기(58)는 프레스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단벽 외면 피복부(52), 단벽 내면 피복부(53) 및 다리부(55)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일부를 팽출시켜 형성된 부분이며, 단벽 외면 피복부(52), 단벽 내면 피복부(53) 및 다리부(55)의 내측면으로부터 반구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벽 외면 피복부(52), 단벽 내면 피복부(53) 및 다리부(55)의 외측면에는, 금속판을 팽출시켜 돌기(58)를 형성하여 결과로서, 각 돌기(58)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5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58)는 단벽 외면 피복부(52), 단벽 내면 피복부(53) 및 다리부(55)의 각각의 적어도 1군데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2군데 이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하 방향(Z축 방향)에 관한 돌기(58)의 위치는, 제1 돌출 단부(18)로의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돌기(58)의 상측의 면(58b)이 상기 단차에 당접하는 바와 같은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은 단벽 외면 피복부(52), 단벽 내면 피복부(53) 및 다리부(55)에 형성된 돌기(58)로서, 단차에 걸림 결합하는 돌기(58)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돌출 단부(18)에 설치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에 상방향을 향한 외력이 부여되어도, 돌기(58)가 단벽부(15)의 외측면(15b) 및 내측면(15c), 및 연장 단부(14)의 외측면(14b)에 포함되는 단차에 걸림 결합하므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떼어내기가 더욱 곤란해진다. 따라서 제1 보강 금속 부품(51)의 빠짐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적합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특징을 서술한 것이다.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 및 그 취지 내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형태, 수정 및 변형은,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개시를 총람함으로써, 당연히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자의 지그재그 배치는 규칙적이지 않아도 된다. 또한, 좌우의 반체부에서 단자의 배치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또한, 좌우의 반체부가 선대칭이 아니어도 된다.
본 개시는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1: 제1 커넥터
10A: 좌반체부
10B: 우반체부
11: 제1 하우징
12: 제1 볼록부
12a, 111a: 끼워맞춤면
12b, 14b, 15b: 외측면
12c, 15c: 내측면
13, 112a: 요홈부
14: 연장 단부
14a, 15a: 상면
14b1, 15b1: 외측 볼록면
14b2, 15b2: 외측 오목면
14d: 단면
14e, 15e: 후육부
14f, 15f: 박육부
15: 단벽부
15c1: 내측 볼록면
15c2: 내측 오목면
15d: 결합면
15g: 내측 단부
15h: 단벽 기부 내측면
17: 저판부
17a, 111b: 실장면
18: 제1 돌출 단부
51: 제1 보강 금속 부품
52: 단벽 외면 피복부
52a, 53a, 55a: 상측 곡부
52b, 53b, 55b: 하측 곡부
53: 단벽 내면 피복부
54: 연장단 상면 피복부
55: 다리부
56, 62, 156, 162: 테일부
57: 단벽 상면 피복부
58: 돌기
58a, 112: 오목부
58b: 면
61: 제1 단자
63, 163: 본체부
64: 상단부
65, 165: 접촉부
65a: 접촉 오목부
101: 제2 커넥터
111: 제2 하우징
113: 제2 볼록부
114: 측벽부
115: 제2 단자 수용 캐비티
115a: 제2 단자 수용 홈 캐비티
115b: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
121: 제2 돌출 단부
122: 끼워맞춤 오목부
126: 보강 금속 부품 수용 오목부
151: 제2 보강 금속 부품
152: 제2 본체부
153: 측방 피복부
154: 접촉 측판부
157: 중앙 피복부
161: 제2 단자
164: 접속부
165a: 접촉 볼록부
811: 하우징
812: 볼록부
861: 단자
10A: 좌반체부
10B: 우반체부
11: 제1 하우징
12: 제1 볼록부
12a, 111a: 끼워맞춤면
12b, 14b, 15b: 외측면
12c, 15c: 내측면
13, 112a: 요홈부
14: 연장 단부
14a, 15a: 상면
14b1, 15b1: 외측 볼록면
14b2, 15b2: 외측 오목면
14d: 단면
14e, 15e: 후육부
14f, 15f: 박육부
15: 단벽부
15c1: 내측 볼록면
15c2: 내측 오목면
15d: 결합면
15g: 내측 단부
15h: 단벽 기부 내측면
17: 저판부
17a, 111b: 실장면
18: 제1 돌출 단부
51: 제1 보강 금속 부품
52: 단벽 외면 피복부
52a, 53a, 55a: 상측 곡부
52b, 53b, 55b: 하측 곡부
53: 단벽 내면 피복부
54: 연장단 상면 피복부
55: 다리부
56, 62, 156, 162: 테일부
57: 단벽 상면 피복부
58: 돌기
58a, 112: 오목부
58b: 면
61: 제1 단자
63, 163: 본체부
64: 상단부
65, 165: 접촉부
65a: 접촉 오목부
101: 제2 커넥터
111: 제2 하우징
113: 제2 볼록부
114: 측벽부
115: 제2 단자 수용 캐비티
115a: 제2 단자 수용 홈 캐비티
115b: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
121: 제2 돌출 단부
122: 끼워맞춤 오목부
126: 보강 금속 부품 수용 오목부
151: 제2 보강 금속 부품
152: 제2 본체부
153: 측방 피복부
154: 접촉 측판부
157: 중앙 피복부
161: 제2 단자
164: 접속부
165a: 접촉 볼록부
811: 하우징
812: 볼록부
861: 단자
Claims (15)
- 커넥터이며,
제1 하우징과 제1 및 제2 단부 몸체부를 갖는 좌반체부로서, 제1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1 단부 몸체부는 제1 연장 단부 및 제1 단벽부를 갖고, 제1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1 연장 단부로부터 제1 결합면으로 연장되고, 제2 단부 몸체부는 제2 연장 단부 및 제2 단벽부를 갖고, 제2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2 연장 단부로부터 제2 결합면으로 연장되는, 좌반체부;
제2 하우징과 제3 및 제4 단부 몸체부를 갖는 우반체부로서, 제2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3 단부 몸체부는 제3 연장 단부 및 제3 단벽부를 갖고, 제3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3 연장 단부로부터 제3 결합면으로 연장되고, 제4 단부 몸체부는 제4 연장 단부 및 제4 단벽부를 갖고, 제4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4 연장 단부로부터 제4 결합면으로 연장되는, 우반체부;
좌반체부의 제1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
우반체부의 제2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
제1 보강 금속 부품; 및
제2 보강 금속 부품을 포함하고,
좌반체부의 제1 단부 몸체부의 제1 결합면이 우반체부의 제3 단부 몸체부의 제3 결합면에 맞대어질 때, 제1 보강 금속 부품은 제1 및 제3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하고,
좌반체부의 제2 단부 몸체부의 제2 결합면이 우반체부의 제4 단부 몸체부의 제4 결합면에 맞대어질 때, 제2 보강 금속 부품은 제2 및 제4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하는, 커넥터. - 커넥터이며,
제1 하우징과 제1 및 제2 단부 몸체부를 갖는 좌반체부로서, 제1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1 단부 몸체부는 제1 연장 단부 및 제1 단벽부를 갖고, 제1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단부 몸체부는 제2 연장 단부 및 제2 단벽부를 갖고, 제2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좌반체부;
제2 하우징과 제3 및 제4 단부 몸체부를 갖는 우반체부로서, 제2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그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제3 단부 몸체부는 제3 연장 단부 및 제3 단벽부를 갖고, 제3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단부 몸체부는 제4 연장 단부 및 제4 단벽부를 갖고, 제4 연장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우반체부;
좌반체부의 제1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
우반체부의 제2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
제1 보강 금속 부품; 및
제2 보강 금속 부품을 포함하고,
제1 보강 금속 부품은 제1 및 제3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하고,
제2 보강 금속 부품은 제2 및 제4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하여 좌반체부 및 우반체부를 함께 결합하는,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제1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1 연장 단부로부터 제1 면으로 연장되고, 제2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2 연장 단부로부터 제2 면으로 연장되고, 제3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3 연장 단부로부터 제3 면으로 연장되고, 제4 단벽부는 측방향으로 제4 연장 단부로부터 제4 면으로 연장되고, 제1 보강 금속 부품이 제1 및 제3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할 때 제1 및 제3 면이 서로 대향하고, 제2 보강 금속 부품이 제2 및 제4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할 때 제2 및 제4 면이 서로 대향하는,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제1 보강 금속 부품이 제1 및 제3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할 때 제1 및 제3 면이 서로 맞대어지고, 제2 보강 금속 부품이 제2 및 제4 단부 몸체부 각각에 걸림 결합할 때 제2 및 제4 면이 서로 맞대어지는,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제1 보강 금속 부품은 그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그의 제2 가장자리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 외면 피복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3 면은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외면 피복부의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제2 보강 금속 부품은 그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그의 제2 가장자리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 외면 피복부를 갖고, 상기 제2 및 제4 면은 제2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외면 피복부의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제1 보강 금속 부품은 그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그의 제2 가장자리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 내면 피복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3 면은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내면 피복부의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커넥터. - 제7항에 있어서,
제2 보강 금속 부품은 그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그의 제2 가장자리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 내면 피복부를 갖고, 상기 제2 및 제4 면은 제2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내면 피복부의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제1 보강 금속 부품은 그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그의 제2 가장자리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 외면 피복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3 면은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외면 피복부의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며, 제1 보강 금속 부품은 그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그의 제2 가장자리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 내면 피복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3 면은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내면 피복부의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1 및 제3 면은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외면 피복부와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내면 피복부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커넥터. - 제9항에 있어서,
제1 보강 금속 부품은,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외면 피복부를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내면 피복부에 접속시키는 단벽 상면 피복부를 갖는, 커넥터. - 제9항에 있어서,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외면 피복부와 제1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내면 피복부는 상기 제1 면과 제3 면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속되지 않는, 커넥터. - 제9항에 있어서,
제2 보강 금속 부품은 그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그의 제2 가장자리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 외면 피복부를 갖고, 상기 제2 및 제4 면은 제2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외면 피복부의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며, 제2 보강 금속 부품은 그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그의 제2 가장자리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 내면 피복부를 갖고, 상기 제2 및 제4 면은 제2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내면 피복부의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2 및 제4 면은 제2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외면 피복부와 제2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내면 피복부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커넥터. - 제12항에 있어서,
제2 보강 금속 부품은, 제2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외면 피복부를 제2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내면 피복부에 접속시키는 단벽 상면 피복부를 갖는, 커넥터. - 제12항에 있어서,
제2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외면 피복부와 제2 보강 금속 부품의 단벽 내면 피복부는 상기 제2 면과 제4 면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속되지 않는, 커넥터. - 제2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당해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상대방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155276 | 2018-08-22 | ||
JP2018155276A JP7253337B2 (ja) | 2018-08-22 | 2018-08-22 | コネクタ |
KR1020210035788A KR102338559B1 (ko) | 2018-08-22 | 2021-03-19 | 커넥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5788A Division KR102338559B1 (ko) | 2018-08-22 | 2021-03-19 |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3202A KR20210093202A (ko) | 2021-07-27 |
KR102407428B1 true KR102407428B1 (ko) | 2022-06-10 |
Family
ID=6958653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2207A KR102232016B1 (ko) | 2018-08-22 | 2019-08-21 | 커넥터 |
KR1020210035788A KR102338559B1 (ko) | 2018-08-22 | 2021-03-19 | 커넥터 |
KR1020210093341A KR102507203B1 (ko) | 2018-08-22 | 2021-07-16 | 커넥터 |
KR1020210093343A KR102407428B1 (ko) | 2018-08-22 | 2021-07-16 | 커넥터 |
KR1020230027592A KR20230035021A (ko) | 2018-08-22 | 2023-03-02 | 커넥터 |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2207A KR102232016B1 (ko) | 2018-08-22 | 2019-08-21 | 커넥터 |
KR1020210035788A KR102338559B1 (ko) | 2018-08-22 | 2021-03-19 | 커넥터 |
KR1020210093341A KR102507203B1 (ko) | 2018-08-22 | 2021-07-16 | 커넥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7592A KR20230035021A (ko) | 2018-08-22 | 2023-03-02 |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3) | US10784616B2 (ko) |
JP (3) | JP7253337B2 (ko) |
KR (5) | KR102232016B1 (ko) |
CN (2) | CN11322457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53337B2 (ja) | 2018-08-22 | 2023-04-06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7026025B2 (ja) * | 2018-08-24 | 2022-02-2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
US11095059B2 (en) | 2019-04-25 | 2021-08-17 | Molex, Llc | Connector |
JP7364363B2 (ja) * | 2019-04-25 | 2023-10-18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TWI750832B (zh) * | 2019-10-11 | 2021-12-21 |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 電連接器組 |
JP7210415B2 (ja) * | 2019-10-11 | 2023-01-2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USD949798S1 (en) * | 2019-12-06 | 2022-04-26 | Samtec, Inc. | Connector |
JP7388901B2 (ja) * | 2019-12-10 | 2023-11-29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7454995B2 (ja) * | 2020-05-11 | 2024-03-25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
JP2022028182A (ja) * | 2020-08-03 | 2022-02-1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基板接続コネクタ |
JP1711754S (ja) * | 2021-08-24 | 2022-04-05 | 電気コネクタ | |
JP1738074S (ja) * | 2022-06-27 | 2023-03-02 | コネクタ | |
KR102698918B1 (ko) * | 2022-11-09 | 2024-08-27 |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 플러그 커넥터 |
KR102705119B1 (ko) * | 2023-05-26 | 2024-09-11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협 피치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
KR102700975B1 (ko) * | 2023-06-13 | 2024-08-30 |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 플러그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3597B1 (ko) | 1996-11-26 | 2000-08-01 | 이마이 기요스케 | 로우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 조립체 |
JP2001503187A (ja) | 1997-07-30 | 2001-03-06 |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 電気コネクタ |
KR101552941B1 (ko) | 2012-03-29 | 2015-09-14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리셉터클 커넥터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82383U (ko) * | 1986-11-17 | 1988-05-30 | ||
JPH1140283A (ja) * | 1997-07-15 | 1999-02-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コネクタ |
JP3368471B2 (ja) | 1999-10-25 | 2003-01-2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2006059589A (ja) * | 2004-08-18 | 2006-03-02 | Hirose Electric Co Ltd |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
KR20070119717A (ko) | 2005-03-31 | 2007-12-20 |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 유전성 삽입체를 구비한 고밀도 강성 커넥터 |
JP4802959B2 (ja) * | 2006-09-29 | 2011-10-26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8087942B2 (en) * | 2008-10-30 | 2012-01-03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
US7845982B1 (en) * | 2009-07-08 | 2010-12-07 | Compupack Technology Co., Ltd. | Display port socket |
JP4954253B2 (ja) * | 2009-09-11 | 2012-06-13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5369125B2 (ja) * | 2011-02-01 | 2013-12-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5748334B2 (ja) | 2011-05-31 | 2015-07-1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ユニット |
US8858239B2 (en) * | 2012-06-19 | 2014-10-14 |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blind mating for board to board use |
JP5859938B2 (ja) * | 2012-09-13 | 2016-02-16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レセプタクル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4132284A1 (ja) * | 2013-02-27 | 2014-09-0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
CN105027360A (zh) * | 2013-02-27 | 2015-11-04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
JP6199666B2 (ja) * | 2013-09-04 | 2017-09-20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5887326B2 (ja) * | 2013-12-12 | 2016-03-16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CN105098413B (zh) * | 2014-04-17 | 2017-09-29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
JP6537890B2 (ja) * | 2014-09-26 | 2019-07-0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204118348U (zh) * | 2014-09-30 | 2015-01-21 | 电连精密技术有限公司 | 连接器组合件 |
JP6174005B2 (ja) * | 2014-12-12 | 2017-08-02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6513509B2 (ja) | 2015-07-01 | 2019-05-1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
CN106356656A (zh) | 2015-07-17 | 2017-01-25 |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
JP2017162774A (ja) * | 2016-03-11 | 2017-09-14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2017204433A (ja) * | 2016-05-13 | 2017-11-16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6399063B2 (ja) * | 2016-09-07 | 2018-10-03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
CN207426302U (zh) * | 2017-10-27 | 2018-05-29 |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 电连接器及其组合 |
JP7253337B2 (ja) | 2018-08-22 | 2023-04-06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
2018
- 2018-08-22 JP JP2018155276A patent/JP7253337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7-26 US US16/522,647 patent/US10784616B2/en active Active
- 2019-08-20 CN CN202110490970.4A patent/CN113224576B/zh active Active
- 2019-08-20 CN CN201910772156.4A patent/CN110858685B/zh active Active
- 2019-08-21 KR KR1020190102207A patent/KR10223201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8-14 US US16/993,263 patent/US10985491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3-19 KR KR1020210035788A patent/KR1023385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3-24 US US17/210,560 patent/US11424569B2/en active Active
- 2021-07-16 KR KR1020210093341A patent/KR1025072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7-16 KR KR1020210093343A patent/KR10240742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5-17 JP JP2022080617A patent/JP7361839B2/ja active Active
- 2022-05-18 JP JP2022081256A patent/JP7445703B2/ja active Active
-
2023
- 2023-03-02 KR KR1020230027592A patent/KR2023003502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3597B1 (ko) | 1996-11-26 | 2000-08-01 | 이마이 기요스케 | 로우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 조립체 |
JP2001503187A (ja) | 1997-07-30 | 2001-03-06 |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 電気コネクタ |
KR101552941B1 (ko) | 2012-03-29 | 2015-09-14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리셉터클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3201A (ko) | 2021-07-27 |
KR20230035021A (ko) | 2023-03-10 |
JP7445703B2 (ja) | 2024-03-07 |
US20210210890A1 (en) | 2021-07-08 |
KR102232016B1 (ko) | 2021-03-25 |
JP2022103329A (ja) | 2022-07-07 |
CN113224576B (zh) | 2023-05-12 |
KR102338559B1 (ko) | 2021-12-14 |
JP2020030934A (ja) | 2020-02-27 |
CN110858685B (zh) | 2021-07-02 |
CN110858685A (zh) | 2020-03-03 |
KR20200022352A (ko) | 2020-03-03 |
US11424569B2 (en) | 2022-08-23 |
US10784616B2 (en) | 2020-09-22 |
JP7253337B2 (ja) | 2023-04-06 |
KR102507203B1 (ko) | 2023-03-08 |
US20200373703A1 (en) | 2020-11-26 |
JP2022103291A (ja) | 2022-07-07 |
JP7361839B2 (ja) | 2023-10-16 |
KR20210093202A (ko) | 2021-07-27 |
CN113224576A (zh) | 2021-08-06 |
KR20210033965A (ko) | 2021-03-29 |
US10985491B2 (en) | 2021-04-20 |
US20200067227A1 (en) | 2020-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7428B1 (ko) | 커넥터 | |
TWI732341B (zh) | 連接器組件 | |
KR101832599B1 (ko) | 커넥터 | |
JP7208115B2 (ja) | コネクタ | |
KR102638730B1 (ko) | 커넥터 | |
KR20180123980A (ko) | 커넥터 | |
JP2023105047A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US8942007B2 (en) | Electrical component | |
JP7473613B2 (ja) | 金具、金具付き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JP7403614B2 (ja) | コネクタ | |
JP7562768B2 (ja) | コネクタ | |
JP2000294313A (ja) | コネクタの装着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