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294B1 -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294B1
KR102407294B1 KR1020170083913A KR20170083913A KR102407294B1 KR 102407294 B1 KR102407294 B1 KR 102407294B1 KR 1020170083913 A KR1020170083913 A KR 1020170083913A KR 20170083913 A KR20170083913 A KR 20170083913A KR 102407294 B1 KR102407294 B1 KR 10240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information
stop
priority
passenger wa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3917A (en
Inventor
서명환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294B1/en
Publication of KR2019000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9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2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 승객의 웨어러블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이용버스 빈도 빅데이터 정보들을 활용하여 현 시점에 이용 빈도가 높은 버스의 진입 우선순위를 높여 정류장에 빠르게 진입하게 함으로써 정류장 혼잡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류장에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 버스 정차 구간의 승객 대기정보를 분석하고, 그 정보부터 우선적인 버스 정차 구간을 판단하여 승객 대기가 심한 정차 구간에 해당되는 버스를 먼저 정차하게 함으로써 혼잡을 빠르게 완화시킬 수 있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A method of controlling bus operation, which uses bus frequency big data information stored in the wearable device of bus passengers to increase the priority of buses with high frequency at the present time to enter the bus stop, thereby relieving congestion at the stop In addition, by using the camera at the bus stop, it analyzes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of each bus stop section, and determines the preferred bus stop section from that information, so that the bus corresponding to the stop section with heavy passenger waiting is stopped first. By doing so, it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bus operation that can quickly relieve congestion.

Description

버스 운행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본 발명은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 승객의 웨어러블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이용버스 빈도 빅데이터 정보들을 활용하여 현 시점에 이용 빈도가 높은 버스의 진입 우선순위를 높여 정류장에 빠르게 진입하게 함으로써 정류장 혼잡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류장에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 버스 정차 구간의 승객 대기정보를 분석하고, 그 정보부터 우선적인 버스 정차 구간을 판단하여 승객 대기가 심한 정차 구간에 해당되는 버스를 먼저 정차하게 함으로써 혼잡을 빠르게 완화시킬 수 있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by using bus frequency big data information stored in the wearable device of bus passengers to increase the priority of the bus, which is frequently used at the present time, to quickly enter the stop. Not only can it relieve congestion, but it also analyzes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n each bus stop section using the camera at the bus stop, and determines the preferred bus stop section from that information to select the bus corresponding to the stop section with heavy passenger waiting. It relates to a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that can quickly relieve congestion by making it stop first.

일반적인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운행시간 및 기착/종점 통과시간, 운전자의 근무 현황 등의 단순 정보만을 운행이 끝난 차량에 한해 단말기를 수거해 정보를 관리 감독하는데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방식의 차량운행 관리 시스템은 운행 중인 차량의 과속이나 노선이탈, 주차 정차 시간 초과 등에 관한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사고가 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A general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nly collects terminals for vehicles that have been driven only for simple information such as vehicle operation time, stopover/end point transit time, and the driver's working status, and manages and supervises the information. Therefore, in the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idents occur frequently because management of overspeeding, route deviation, and parking stop time exceeding of a vehicle in operation is not performed at all.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9558호의 '차량운행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운행 통제 시스템은, 도로를 운행하는 버스 등에 설치되며 해당 차량의 운행에 따른 차량정보를 외부로 무선전송하고 이에 따라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무선수신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 단말기(300), 정류장 등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단말기(300)에서 무선전송된 차량의 운행에 따른 차량정보를 수집해 차량운행관리 서버(100)로 전달하며 해당 차량정보를 근거로 차량운행관리 서버(100)에서 작성된 운행정보 및 운행안내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 운행정보를 차량 단말기(300)로 무선전송하고 해당 운행안내정보를 승차 대기자들에게 제공하는 운행정보 안내센터(200), 상기 차량 단말기(300)에서 무선전송되어 상기 운행정보 안내센터(200)에서 수집된 차량정보를 전용통신망을 통해 수신해 저장하고 해당 저장된 차량정보를 이용해 차량운행 간격조절을 위한 운행정보와 차량도착 예정시간 안내를 위한 운행안내정보를 생성해 운행정보 안내센터(200)로 전송하는 차량운행관리 서버(100), 그리고 차량운행관리 서버(100)에서 차량운행에 관련된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해 회사운영을 위해 사용하거나 공공정보로 제공하는 운수회사 서버(500), 공공기관 서버(600) 및 부가서비스센터 서버(7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As a prior art for improving this, the 'vehicle oper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9558 has been proposed, and as shown in FIG. It is installed on a bus, etc. that wirelessly transmits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and wirelessly receives the transmitted oper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driver. The wirelessly transmitted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s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00.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guide information written in the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00 are received and the vehicle is operated. The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300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waiting passengers for the oper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center 200, which is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300 and collect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center 200 It receives and stores the vehicle information through a dedicated communication network, and uses the stored vehicle information to generate operation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vehicle operation interval and information about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vehicle and transmit it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center 200 The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transportation company server 500, which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from the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uses it for company operation or provides it as public information, a public institution ser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600 and the additional service center server (700).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차량 운행의 일정한 간격 유지를 위해 차량운행에 따른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차량 운행 간격을 실시간으로 차량에 제공하여 안정된 차량 운행 간격 여건을 만들어 차량 이용자, 운전자, 운수 회사 모두가 만족하는 차량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이는 차량 운행 간격을 일정하도록 유지하여 예측 가능한 버스 도착정보를 제공하나,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들의 대기정보를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정보의 제공으로 인하여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에 대하여 편의를 제공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collects and analyzes data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of vehicle operation, and provides the most suitable vehicle operation interval to the vehicle in real time to create a stable vehicle operation interval condition for vehicle users, drivers, and transportation Although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vehicle operation that satisfies all companies, it provides predictable bus arrival information by maintaining a constant vehicle operation interval, but unilateral information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waiting information of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providing convenience to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due to the provision of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자율주행이 가능한 버스에 대하여 승객의 웨어러블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이용 버스 빈도 빅데이터 정보들을 활용하여 현 시점에 이용 빈도가 높은 버스의 진입 우선순위를 높여 정류장에 빠르게 진입하게 함으로써 정류장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utilizes bus frequency big data information stored in the passenger's wearable device for a bus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to enter a bus with high frequency of use at the present time. The purpose of this is to alleviate bus stop congestion by increasing the priority level so that people can enter the bus stop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정류장에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버스 정류장별로 복수개 설치되는 각 버스 정차 구간의 승객 대기정보를 분석하고, 그 정보로부터 우선적인 버스 정차 구간을 판단하여 승객 대기가 심한 정차 구간에 해당되는 버스를 먼저 정차하게 함으로써 혼잡을 빠르게 완화시킬 수 있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of each bus stop section installed in plurality at each bus stop by using a camera at the stop, and determines a preferential bus stop section from the information, which corresponds to a stop section with severe passenger waiting It relates to a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that can quickly relieve congestion by making the bus stop first.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 대기정보를 승객이 보유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 또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취득하는 승객대기정보 취득 단계; 취득된 상기 승객 대기정보를 상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승객 대기정보 전송 단계; 상기 승객 대기정보에 의하여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노선별로 운행중인 상기 버스의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의 진입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 단계; 및 상기 우선 순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를 운행중인 버스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의 상기 진입 우선 순위를 제어하는 진입 우선 순위 제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cquiring information on waiting passengers waiting at a bus stop by using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held by a passenger or a camera installed at the bus stop; a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acquire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to a cloud system via a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bus stop; a priority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n entry priority of the bus running for each route in the cloud system to the bus stop based on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nd an entry priority control step of transmitting the priority determined in the priority determination step to a running bus terminal to control the entry priority to the bus stop. do.

따라서, 본 발명의 버스 운행 제어 방법은 버스의 배차 간격을 위주로 운행중인 버스를 제어하는 것이 아닌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의 대기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버스의 운행을 제어함으로써 버스 사업자인 공급자 중심이 아닌 승객의 수요자 중심으로 버스의 운행을 제어함으로써 승객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us based on the waiting information of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rather than controlling the bus in operation based on the dispatch interval of the bu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us centered on the demand of passengers.

또한, 승객의 이용 버스 빈도 빅데이터 정보들을 활용하여 현 시점에 이용 빈도가 높은 버스의 진입 우선순위를 높여 정류장에 빠르게 진입하게 함으로써 정류장 혼잡을 완화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can alleviate bus stop congestion by using the bus frequency big data information used by passengers to increase the priority of the bus with high frequency at the present time to enter the stop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정류장에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버스 정류장별로 복수개 설치되는 각 버스 정차 구간의 승객 대기정보를 분석하고, 그 정보로부터 우선적인 버스 정차 구간을 판단하여 승객 대기가 심한 정차 구간에 해당되는 버스를 먼저 정차하게 함으로써 혼잡을 빠르게 완화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of each bus stop section installed in plurality at each bus stop by using a camera at the stop, and determines a preferential bus stop section from the information, which corresponds to a stop section with severe passenger waiting Another effect is that congestion can be relieved quickly by making the bus stop first.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 통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데이터를 이용한 버스 진입 우선 순위 제어를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에 의하여 취득되는 승객 대기정보를 이용한 버스 진입 우선 순위 제어를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oper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flowchart for bus entry priority control using data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for bus entry priority control using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red by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데이터를 이용한 버스 진입 우선 순위 제어를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 대기정보를 승객이 보유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와 클라우드 시스템에 해당되는 버스 정보 단말과 연동한다(S100).2 is a flowchart for bus entry priority control using data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information on waiting passengers waiting at a bus stop is linked with a wearable device owned by a passenger and a bus inform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a cloud system ( S100 ).

이후 연동된 승객들이 보유한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요금 과금기기 등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한정되지 않는 웨어러블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승객들의 버스 이용 빈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화하여(S101),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승객 대기정보를 무선 전송한다(S102).After that,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of bus use by passengers stored in wearable devices that are not limit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smart watches, and fare billing devices owned by interlocked passengers is collected and converted into big data (S101), and the bus stop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cloud system via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in (S102).

만약, 버스 정류장의 정차 구간별로 취득된 승객 대기정보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 승객이 없으므로 운행중인 버스가 버스 정류장을 무정차로 통과하도록 제어되며, 이 경우에도 운행중인 버스의 탑승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차하도록 제어되는 것은 물론이다.If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red for each stop section of the bus stop has a value of 0, there is no waiting passenger to board, so the bus in operation is controlled to pass through the bus stop without stopping. Of course, it is controlled to stop when you want to get off.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에 의한 승객 대기정보는 웨어러블 기기를 보유한 승객들의 누적된 탑승정보를 이용하여 버스 정류장의 정차 구간별로 취득되며, 웨어러블 기기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한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by the wearable device is acquired for each stop section of the bus stop using the accumulated boarding information of passengers who have the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bus stop communicate in a short distance such as Wi-Fi, Bluetooth, etc. It is desirable to communicate in such a way that this is possible.

이 경우, 전송되는 승객 대기정보는 암호화 처리되어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송되며, 클라우드 시스템은 전송된 승객 대기정보는 법적 허용 기간 동안 보관후 삭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e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cloud system, and the cloud system stores the transmitte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for a legally permitted period and then deletes it.

여기서, 정차 구간은 버스 정류장에서 운행중인 버스가 정차하게 되는 행선지 표지판 기준으로 설정된다.Here, the stopping section is set based on the destination sign at which the bus running at the bus stop stops.

이와 같이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경우하여 전송된 승객들의 버스 이용 빈도 정보에 의하여 운행중인 버스의 주행 우선순위를 클라우드 시스템이 판단(S103)하여, 운행중인 버스의 주행 우선 순위에 따라 버스 배차 스케쥴링을 조절하는 정보를 생성한다(S104).As described above, the cloud system determines the driving priority of the bus in operation based on the bus us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passenger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bus stop (S103), and schedules the bus dispatch according to the driving priority of the bus in operation Generates information to control (S104).

이러한 우선 순위는 승객 대기 정보를 시간, 요일, 날씨 또는 이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사전에 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This priority may be adjusted in advance according to any one or more of time, day of the week, weather, and event of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이후 스케쥴링 조절을 위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운행중인 버스로 버스 정류장 진입 우선순위 정보를 전송하고(S105), 버스 정류장 진입 우선 순위정보를 수신한 버스는 해당되는 우선 순위에 따라 버스 정류장에 진입하도록 제어된다(S105).Thereafter, for scheduling adjustment, the bus stop entry priori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loud system to the running bus (S105), and the bus receiving the bus stop entry priority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enter the bus stop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riority (S105). S10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에 의하여 취득되는 승객 대기정보를 이용한 버스 진입 우선 순위 제어를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 대기정보를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다(S200).3 is a flowchart for bus entry priority control using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red by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information on waiting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is photographed by a camera installed at the bus stop ( S200 ).

여기서, 승객 대기 정보는 버스 정류장의 정차 구간별로 취득되며, 정차 구간은 버스 정류장의 행선지 표지판 기준으로 구분된다.Here,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acquired for each stop section of the bus stop, and the stop section is divided based on the destination sign of the bus stop.

여기서, 카메라에 의한 버스 정류장의 정차 구간별 승객 대기정보 산출시 촬영시점이 상이한 복수의 영상을 취득 및 비교하여 이동하지 않는 승객의 수에 의하여 정차 구간별 승객 대기정보를 산출한다.Here, when calculating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stop section of the bus stop by the camera, a plurality of images with different shooting times are acquired and compared, an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stop section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who do not move.

여기에서, 영상의 전송과 관련된 통신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복수의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 대기 정보를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영상을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직접 전송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복수의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 대기 정보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in order to reduce the communication cost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it is exemplified that a plurality of images are compared and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ystem.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이러한 카메라에 의하여 취득되는 영상은 주행 방향(상행 또는 하행)별로 버스 정류장 전체를 촬영한 영상이다.The image acquired by such a camera is an image of the entire bus stop for each driving direction (upward or downward).

이와 같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버스 정차 구간별 승객 대기정보를 취득하고(S201), 취득된 승객 대기정보를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승객 대기정보를 전송한다(S202).In this way,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bus stop section is obtained from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S201), and the obtaine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ystem via a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bus stop (S202) .

이후 승객 대기정보에 의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노선별로 운행중인 버스의 버스 정차 구간별 진입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S203)한 후 우선 순위 결정된 우선 순위를 운행중인 버스 단말기로 전송(S204)하여 버스 정류장으로의 진입 우선 순위를 제어에 따라 주행중인 버스가 해당 버스 정차 구간에 정차하도록 한다(S205).Thereafter, the cloud system determines the priority for each bus stop section in the cloud system based on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S203), and then transmits the determined priority to the bus terminal in operation (S204).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riority of entering the bus stop, the running bus stops at the corresponding bus stop section (S205).

여기서,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에게는 승객이 보유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승객 위치를 파악하여 승객이 탑승할 예정이 버스에 대하여 도착 안내 및 승객 위치에 해당되는 지점에 정차하도록 버스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for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the location of the wearable device owned by the passenger is identified using Wi-Fi, Bluetooth, etc.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bus to stop.

만약, 버스 정류장의 정차 구간별로 취득된 승객 대기정보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 승객이 없으므로 운행중인 버스가 버스 정류장을 무정차로 통과하도록 제어되며, 이 경우에도 운행중인 버스의 탑승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차하도록 제어되는 것은 물론이다.If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red for each stop section of the bus stop has a value of 0, there is no waiting passenger to board, so the bus in operation is controlled to pass through the bus stop without stopping, and even in this case, the passenger of the running bus Of course, it is controlled to stop when you want to get off.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Claims (9)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 대기정보를 승객이 보유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 또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취득하는 승객 대기정보 취득 단계;
취득된 상기 승객 대기정보를 상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승객 대기정보 전송 단계;
상기 승객 대기정보에 의하여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노선별로 운행중인 상기 버스의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의 진입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 단계; 및
상기 우선 순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를 운행중인 버스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의 상기 진입 우선 순위를 제어하는 진입 우선 순위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의한 상기 승객 대기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보유한 승객의 누적된 탑승정보와 버스 이용 빈도를 이용하여 취득하고,
상기 승객 대기정보는 상기 버스 정류장의 행선지 표지판 기준으로 구분되는 정차 구간별로 취득되며,
상기 우선 순위 결정 단계에서, 운행중인 버스의 주행 우선 순위에 따라 버스 배차 스케쥴링을 조절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A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information on waiting passengers waiting at a bus stop by using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owned by a passenger or a camera installed at the bus stop;
a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acquire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to a cloud system via a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bus stop;
a priority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n entry priority of the bus running for each route in the cloud system to the bus stop based on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nd
an entry priority control step of transmitting the priority determined in the priority determination step to a running bus terminal to control the entry priority to the bus stop; including,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by the wearable device is acquired using accumulated boarding information and bus use frequency of passengers who have the wearable device,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acquired for each stop section divided based on the destination sign of the bus stop,
In the priority determining step, information for adjusting bus dispatch scheduling according to the driving priority of a running bus is gener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한 상기 버스 정류장의 상기 정차 구간별 승객 대기정보 산출시 촬영시점이 상이한 복수의 영상을 취득 및 비교하여 이동하지 않는 승객의 수에 의하여 상기 행선지 표지판을 기준으로 상기 정차 구간별 승객 대기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calculating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stop section of the bus stop by the camera, a plurality of images with different shooting times are acquired and compared, an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stop section based on the destination sig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who do not move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취득되는 영상은 주행 방향별로 상기 버스 정류장 전체를 촬영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is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entire bus stop for each driving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의 비교는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Comparison of the plurality of images is a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in the cloud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류장의 취득된 상기 승객 대기정보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운행중인 상기 버스가 상기 버스 정류장을 무정차로 통과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acquire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of the bus stop has a value of 0, the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us in operation is controlled to pass through the bus stop without stopp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우선 순위는 상기 승객 대기 정보를 시간, 요일, 날씨 또는 이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사전에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ntry priority is a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adjusted in advance according to any one or more of time, day of the week, weather, and event.
KR1020170083913A 2017-06-30 2017-06-30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KR102407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913A KR102407294B1 (en) 2017-06-30 2017-06-30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913A KR102407294B1 (en) 2017-06-30 2017-06-30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917A KR20190003917A (en) 2019-01-10
KR102407294B1 true KR102407294B1 (en) 2022-06-13

Family

ID=6502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913A KR102407294B1 (en) 2017-06-30 2017-06-30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2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357B1 (en) * 2019-07-11 2020-01-08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Bus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bus operation information system notifying existence of waiting passenger at bus-stop
KR102246925B1 (en) * 2020-07-30 2021-04-30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Integrated bus information and diseas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612A (en) * 2006-07-03 2008-01-24 Hitachi Ltd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system,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method,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program
KR101239286B1 (en) * 2011-12-28 2013-03-06 (주) 한일디엔에스 Bus information terminal based on cloud and bus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32B1 (en) * 2010-11-12 2012-09-1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notice service method for standby passang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612A (en) * 2006-07-03 2008-01-24 Hitachi Ltd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system,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method,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program
KR101239286B1 (en) * 2011-12-28 2013-03-06 (주) 한일디엔에스 Bus information terminal based on cloud and bus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917A (en)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1051B2 (en) Vehicle system, automated driving vehicle, vehicle control method, program, and server device
US20190244518A1 (en) Connected automated vehicle highway systems and methods for shared mobility
US115623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automated booking of on-demand transportation in multi-modal journeys
US9478134B2 (en) Method of determining an attribute of a parking structure
US202103412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JP2017062691A (en) Group travel operation system
US20190306779A1 (en)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KR101957641B1 (en) Integrated traff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WO201607841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changing of traffic lights
US201901806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elays in road traffic
KR10240729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JP2019121049A (en) Vehicle allocation device, vehicle allocation method, and program for allocating vehicle to predetermined place desired by user
US11238734B2 (en) Systems, methods and/or devices for navigation
KR20210041280A (en)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f user
WO2019065698A1 (en) Stopping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WO2019065696A1 (en) Feature data structure
US11842644B2 (en) System for operating commercial vehicles
KR20200008256A (en) Bus fare payment method and bus fare payment sever performing the same
KR101554570B1 (en) Public traffic communication system allocating seats fairly, and method for allocating seats in the same
KR20230045700A (en) Providing Method of route of automobil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086154B1 (en) System for auto taxi using virtual station and method for matching auto taxi using the same
KR101607539B1 (en) Electronic payment device system for using dsrc dongle of ca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TW202217736A (en) Dynamic dispatching system and method
JP7335631B2 (en) Bu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210264328A1 (en) Server, vehicle dispatch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vehicle dispatch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