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917A -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917A
KR20190003917A KR1020170083913A KR20170083913A KR20190003917A KR 20190003917 A KR20190003917 A KR 20190003917A KR 1020170083913 A KR1020170083913 A KR 1020170083913A KR 20170083913 A KR20170083913 A KR 20170083913A KR 20190003917 A KR20190003917 A KR 20190003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us stop
waiting information
information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7294B1 (en
Inventor
서명환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294B1/en
Publication of KR2019000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9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2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bus traffic. Bus utilization frequency big data information stored in the wearable device of a bus passenger is used to raise the priority of a bus having a high utilization frequency at present and allow the bus to quickly enter the bus stop. So, station congestion can be alleviated.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of each bus stop section is analyzed by using a camera at the bus stop. The priority bus stop section is judged from the information. A bus corresponding to a congested stop section due to waiting passengers is stopped first. So, the congestion can be quickly alleviated.

Description

버스 운행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 승객의 웨어러블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이용버스 빈도 빅데이터 정보들을 활용하여 현 시점에 이용 빈도가 높은 버스의 진입 우선순위를 높여 정류장에 빠르게 진입하게 함으로써 정류장 혼잡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류장에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 버스 정차 구간의 승객 대기정보를 분석하고, 그 정보부터 우선적인 버스 정차 구간을 판단하여 승객 대기가 심한 정차 구간에 해당되는 버스를 먼저 정차하게 함으로써 혼잡을 빠르게 완화시킬 수 있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s control method for a bus passenger, which utilizes information on bus frequency and big data stored in a wearable device of a bus passenger, Not only can the congestion be alleviated, but also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of each bus stop section is analyzed using the camera at the stop, the priority bus stop section is determined from the information, and the bus corresponding to the stop s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capable of quickly alleviating congestion by stopping the bus first.

일반적인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운행시간 및 기착/종점 통과시간, 운전자의 근무 현황 등의 단순 정보만을 운행이 끝난 차량에 한해 단말기를 수거해 정보를 관리 감독하는데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방식의 차량운행 관리 시스템은 운행 중인 차량의 과속이나 노선이탈, 주차 정차 시간 초과 등에 관한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사고가 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a vehicle keeps collect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nly for the vehicles that have been operated only for simple information such as the running time of the vehicle, the stopping / ending point passing time, and the working status of the driver.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does not manage the overspeed of the vehicle in operation, the departure of the route, the timeout of the parking stop, and the like.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9558호의 '차량운행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운행 통제 시스템은, 도로를 운행하는 버스 등에 설치되며 해당 차량의 운행에 따른 차량정보를 외부로 무선전송하고 이에 따라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무선수신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 단말기(300), 정류장 등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단말기(300)에서 무선전송된 차량의 운행에 따른 차량정보를 수집해 차량운행관리 서버(100)로 전달하며 해당 차량정보를 근거로 차량운행관리 서버(100)에서 작성된 운행정보 및 운행안내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 운행정보를 차량 단말기(300)로 무선전송하고 해당 운행안내정보를 승차 대기자들에게 제공하는 운행정보 안내센터(200), 상기 차량 단말기(300)에서 무선전송되어 상기 운행정보 안내센터(200)에서 수집된 차량정보를 전용통신망을 통해 수신해 저장하고 해당 저장된 차량정보를 이용해 차량운행 간격조절을 위한 운행정보와 차량도착 예정시간 안내를 위한 운행안내정보를 생성해 운행정보 안내센터(200)로 전송하는 차량운행관리 서버(100), 그리고 차량운행관리 서버(100)에서 차량운행에 관련된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해 회사운영을 위해 사용하거나 공공정보로 제공하는 운수회사 서버(500), 공공기관 서버(600) 및 부가서비스센터 서버(7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improving th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9558 entitled " Vehicle Oper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 has been proposed.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vehicle operation control system includes a vehicle A vehicle terminal 300 installed in a bus or the lik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and wirelessly receiving dr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thereto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a driver, And collects and transmits the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ly transmitted vehicle to the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00 and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guide information created in the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00 based on the corresponding vehicle information, A driving information guide center 20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300 and providing the driving guidance information to the waiting waiters, The terminal 300 receives and stores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guide center 200 through a dedicated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es driving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interval of the vehicle using the stored vehicle information, A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00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operation guide information for guidance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guide center 200, and a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00 that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 public institution server 600, and an additional service center server 700. The server 500 includes a server 500, a public institution server 600, and an additional service center server 700,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차량 운행의 일정한 간격 유지를 위해 차량운행에 따른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차량 운행 간격을 실시간으로 차량에 제공하여 안정된 차량 운행 간격 여건을 만들어 차량 이용자, 운전자, 운수 회사 모두가 만족하는 차량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이는 차량 운행 간격을 일정하도록 유지하여 예측 가능한 버스 도착정보를 제공하나,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들의 대기정보를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정보의 제공으로 인하여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에 대하여 편의를 제공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collects and analyzes data according to the vehicle operation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of the vehicle operation, and provides a vehicle operation interval in the most suitable time in real time to create a stable vehicle travel interval condition to create a vehicle user, driv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predictable bus arrival information by keeping the interval of the vehicle constant,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one-sided information that does not consider waiting information of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It is somewhat limited to provide convenience to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자율주행이 가능한 버스에 대하여 승객의 웨어러블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이용 버스 빈도 빅데이터 정보들을 활용하여 현 시점에 이용 빈도가 높은 버스의 진입 우선순위를 높여 정류장에 빠르게 진입하게 함으로써 정류장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s capable of autonomously traveling, utilizing utilization data of bus frequency and big data stored in a wearable device of a passenger, The goal is to alleviate station congestion by raising the priority and entering the station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정류장에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버스 정류장별로 복수개 설치되는 각 버스 정차 구간의 승객 대기정보를 분석하고, 그 정보로부터 우선적인 버스 정차 구간을 판단하여 승객 대기가 심한 정차 구간에 해당되는 버스를 먼저 정차하게 함으로써 혼잡을 빠르게 완화시킬 수 있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of each bus stop section provided for a plurality of bus stops for each bus stop using a camera at a stop, determines a priority bus stop section from the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capable of quickly alleviating congestion by stopping a bus first.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 대기정보를 승객이 보유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 또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취득하는 승객대기정보 취득 단계; 취득된 상기 승객 대기정보를 상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승객 대기정보 전송 단계; 상기 승객 대기정보에 의하여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노선별로 운행중인 상기 버스의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의 진입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 단계; 및 상기 우선 순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를 운행중인 버스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의 상기 진입 우선 순위를 제어하는 진입 우선 순위 제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bus control method comprising: a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waiting at a bus stop by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held by a passenger or a camera installed at the bus stop; A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acquire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to a cloud system via a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bus stop; A priority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n entry priority order of the bus to the bus stop in the cloud system for each route by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nd an entry priority order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entry priority to the bus stop by transmitting the priority determined in the prioritizing step to a bus terminal in operation do.

따라서, 본 발명의 버스 운행 제어 방법은 버스의 배차 간격을 위주로 운행중인 버스를 제어하는 것이 아닌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의 대기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버스의 운행을 제어함으로써 버스 사업자인 공급자 중심이 아닌 승객의 수요자 중심으로 버스의 운행을 제어함으로써 승객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bus operation based on the waiting information of the passengers waiting in the bus stop rather than controlling the bus which is in operation mainly by the dispatch interval of the b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bus operation centered on the passenger.

또한, 승객의 이용 버스 빈도 빅데이터 정보들을 활용하여 현 시점에 이용 빈도가 높은 버스의 진입 우선순위를 높여 정류장에 빠르게 진입하게 함으로써 정류장 혼잡을 완화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effect of alleviating the stoppage congestion by allowing passengers to use the bus frequency and the big data information to increase the priority of the buses with high frequency of use at present and enter the buses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정류장에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버스 정류장별로 복수개 설치되는 각 버스 정차 구간의 승객 대기정보를 분석하고, 그 정보로부터 우선적인 버스 정차 구간을 판단하여 승객 대기가 심한 정차 구간에 해당되는 버스를 먼저 정차하게 함으로써 혼잡을 빠르게 완화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of each bus stop section provided for a plurality of bus stops for each bus stop using a camera at a stop, determines a priority bus stop section from the information,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the congestion can be quickly alleviated by stopping the bus first.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 통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데이터를 이용한 버스 진입 우선 순위 제어를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에 의하여 취득되는 승객 대기정보를 이용한 버스 진입 우선 순위 제어를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oper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for bus priority control using data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for bus priority control using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red by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데이터를 이용한 버스 진입 우선 순위 제어를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 대기정보를 승객이 보유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와 클라우드 시스템에 해당되는 버스 정보 단말과 연동한다(S100).FIG. 2 is a flowchart for controlling bus entry priority using data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waiting at the bus stop is interlocked with the wearable device held by the passenger and the bus inform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loud system (S100).

이후 연동된 승객들이 보유한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요금 과금기기 등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한정되지 않는 웨어러블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승객들의 버스 이용 빈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화하여(S101),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승객 대기정보를 무선 전송한다(S102).Then,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of bus use of the passengers stored in the wearable device, which is not limi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watch, a billing device, etc.,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cloud system via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in the server (S102).

만약, 버스 정류장의 정차 구간별로 취득된 승객 대기정보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 승객이 없으므로 운행중인 버스가 버스 정류장을 무정차로 통과하도록 제어되며, 이 경우에도 운행중인 버스의 탑승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차하도록 제어되는 것은 물론이다.If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red for each stop section of the bus stop has a value of 0, there is no waiting passenger who wants to board the bus, so that the bus in operation is contro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bus stop without interruption. In this ca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y are controlled so as to be stopped when they want to get off.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에 의한 승객 대기정보는 웨어러블 기기를 보유한 승객들의 누적된 탑승정보를 이용하여 버스 정류장의 정차 구간별로 취득되며, 웨어러블 기기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한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by the wearable device is acquired for each stop section of the bus stop using the accumulated boarding information of the passengers having the wearable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in the wearable device and the bus stop is communicated It is desirable to communicate in a possible manner.

이 경우, 전송되는 승객 대기정보는 암호화 처리되어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송되며, 클라우드 시스템은 전송된 승객 대기정보는 법적 허용 기간 동안 보관후 삭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cloud system,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e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deleted and stored for the legal permission period.

여기서, 정차 구간은 버스 정류장에서 운행중인 버스가 정차하게 되는 행선지 표지판 기준으로 설정된다.Here, the stop section is set on the basis of the destination sign on which the bus that is being operated at the bus stop is stopped.

이와 같이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경우하여 전송된 승객들의 버스 이용 빈도 정보에 의하여 운행중인 버스의 주행 우선순위를 클라우드 시스템이 판단(S103)하여, 운행중인 버스의 주행 우선 순위에 따라 버스 배차 스케쥴링을 조절하는 정보를 생성한다(S104).The cloud system judges the driving priority of the bus being operated by the bus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passengers transmitted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bus stop (S103), and the bus dispatch schedul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priority of the bus in operation (S104).

이러한 우선 순위는 승객 대기 정보를 시간, 요일, 날씨 또는 이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사전에 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This priority can be adjusted in advance by any one or more of time, day, weather, or event.

이후 스케쥴링 조절을 위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운행중인 버스로 버스 정류장 진입 우선순위 정보를 전송하고(S105), 버스 정류장 진입 우선 순위정보를 수신한 버스는 해당되는 우선 순위에 따라 버스 정류장에 진입하도록 제어된다(S105).Then, in order to adjust the scheduling, the bus stop priori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us running in the cloud system (S105), and the bus receiving the bus stop entry priority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enter the bus stop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S10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에 의하여 취득되는 승객 대기정보를 이용한 버스 진입 우선 순위 제어를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 대기정보를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다(S200).3 is a flow chart for bus priority control using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red by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waiting at the bus stop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stalled at the bus stop (S200).

여기서, 승객 대기 정보는 버스 정류장의 정차 구간별로 취득되며, 정차 구간은 버스 정류장의 행선지 표지판 기준으로 구분된다.Here,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acquired for each stop section of the bus stop, and the stop section is divided by the destination sign of the bus stop.

여기서, 카메라에 의한 버스 정류장의 정차 구간별 승객 대기정보 산출시 촬영시점이 상이한 복수의 영상을 취득 및 비교하여 이동하지 않는 승객의 수에 의하여 정차 구간별 승객 대기정보를 산출한다.Here,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stopping sections i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passengers who do not move by obtaining and comparing a plurality of images having different shooting times at the time of calculating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for the stopping sections of the bus stop by the camera.

여기에서, 영상의 전송과 관련된 통신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복수의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 대기 정보를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영상을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직접 전송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복수의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 대기 정보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it is exemplified that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ystem by comparing a plurality of images in order to reduce the communication cost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However, since a plurality of images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loud system,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이러한 카메라에 의하여 취득되는 영상은 주행 방향(상행 또는 하행)별로 버스 정류장 전체를 촬영한 영상이다.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is an image of the entire bus stop by the running direction (up or down).

이와 같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버스 정차 구간별 승객 대기정보를 취득하고(S201), 취득된 승객 대기정보를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승객 대기정보를 전송한다(S202).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bus stop section is acquired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S201), and the acquire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ystem via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at the bus stop (S202) .

이후 승객 대기정보에 의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노선별로 운행중인 버스의 버스 정차 구간별 진입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S203)한 후 우선 순위 결정된 우선 순위를 운행중인 버스 단말기로 전송(S204)하여 버스 정류장으로의 진입 우선 순위를 제어에 따라 주행중인 버스가 해당 버스 정차 구간에 정차하도록 한다(S205).Then, according to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priority is given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entry of each bus in the cloud system by each bus stop interval in the cloud system (S203), and the priority order is transferred to the bus terminal in operation (S204) (S205) that the bus being driven is stopped in the bus stop s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entry priority to the stop.

여기서,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에게는 승객이 보유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승객 위치를 파악하여 승객이 탑승할 예정이 버스에 대하여 도착 안내 및 승객 위치에 해당되는 지점에 정차하도록 버스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wearable device held by the passenger by using WiFi, Bluetooth, or the like, so that the passenger is expected to board the bus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arrival guide and the passenger pos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bus to stop.

만약, 버스 정류장의 정차 구간별로 취득된 승객 대기정보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 승객이 없으므로 운행중인 버스가 버스 정류장을 무정차로 통과하도록 제어되며, 이 경우에도 운행중인 버스의 탑승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차하도록 제어되는 것은 물론이다.If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red for each stop section of the bus stop has a value of 0, there is no waiting passenger who wants to board the bus, so that the bus in operation is contro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bus stop without interruption. In this ca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y are controlled so as to be stopped when they want to get off.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Claims (9)

버스 운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 대기정보를 승객이 보유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 또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취득하는 승객대기정보 취득 단계;
취득된 상기 승객 대기정보를 상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승객 대기정보 전송 단계;
상기 승객 대기정보에 의하여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노선별로 운행중인 상기 버스의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의 진입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 단계; 및
상기 우선 순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를 운행중인 버스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의 상기 진입 우선 순위를 제어하는 진입 우선 순위 제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In the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A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waiting at a bus stop by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held by a passenger or a camera installed at the bus stop;
A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acquired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to a cloud system via a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bus stop;
A priority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n entry priority order of the bus to the bus stop in the cloud system for each route by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nd
And an access priority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access priority to the bus stop by transmitting the priority determined in the prioritizing step to a bus terminal in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의한 상기 승객 대기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보유한 승객의 누적된 탑승정보를 이용하여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by the wearable device is acquired using accumulated boarding information of passengers holding the wear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대기 정보는 상기 버스 정류장의 정차 구간별로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is acquired for each stop section of the bus sto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구간은 상기 버스 정류장의 행선지 표지판 기준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op section is divided according to a destination signboard of the bus sto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한 상기 버스 정류장의 상기 정차 구간별 승객 대기정보 산출시 촬영시점이 상이한 복수의 영상을 취득 및 비교하여 이동하지 않는 승객의 수에 의하여 상기 정차 구간별 승객 대기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stopping sections i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passengers who do not move by acquiring and comparing a plurality of images having different shooting times at the time of calculating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for the stopping section of the bus stop by the camera A bus operation control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취득되는 영상은 주행 방향별로 상기 버스 정류장 전체를 촬영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is a video shot of the entire bus stop in each driving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의 비교는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mparison of the plurality of images is performed in the cloud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류장의 취득된 상기 승객 대기정보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운행중인 상기 버스가 상기 버스 정류장을 무정차로 통과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acquired at the bus stop has a value of 0, the bus in operation is controlled to pass through the bus stop at irregular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우선 순위는 상기 승객 대기 정보를 시간, 요일, 날씨 또는 이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사전에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운행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try priority is adjusted in advance by at least one of time, day of the week, weather, or an event of the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KR1020170083913A 2017-06-30 2017-06-30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KR102407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913A KR102407294B1 (en) 2017-06-30 2017-06-30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913A KR102407294B1 (en) 2017-06-30 2017-06-30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917A true KR20190003917A (en) 2019-01-10
KR102407294B1 KR102407294B1 (en) 2022-06-13

Family

ID=6502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913A KR102407294B1 (en) 2017-06-30 2017-06-30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29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357B1 (en) * 2019-07-11 2020-01-08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Bus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bus operation information system notifying existence of waiting passenger at bus-stop
KR102246925B1 (en) * 2020-07-30 2021-04-30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Integrated bus information and diseas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612A (en) * 2006-07-03 2008-01-24 Hitachi Ltd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system,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method,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program
KR20120053545A (en) * 2010-11-12 2012-05-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Notice service method for standby passangers
KR101239286B1 (en) * 2011-12-28 2013-03-06 (주) 한일디엔에스 Bus information terminal based on cloud and bus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612A (en) * 2006-07-03 2008-01-24 Hitachi Ltd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system,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method, regular-route bus operation management program
KR20120053545A (en) * 2010-11-12 2012-05-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Notice service method for standby passangers
KR101239286B1 (en) * 2011-12-28 2013-03-06 (주) 한일디엔에스 Bus information terminal based on cloud and bus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357B1 (en) * 2019-07-11 2020-01-08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Bus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bus operation information system notifying existence of waiting passenger at bus-stop
KR102246925B1 (en) * 2020-07-30 2021-04-30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Integrated bus information and diseas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294B1 (en)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18758B (en) Intelligent networking traffic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sharing
US20190244518A1 (en) Connected automated vehicle highway systems and methods for shared mobility
US115623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automated booking of on-demand transportation in multi-modal journeys
JP6477391B2 (en) Group driving operation system
US2020037279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Dynamic Allocation of Traffic Resources
WO2018230691A1 (en) Vehicle system, autonomous vehicle,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2103412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KR102219268B1 (en) Navigation System Cooperating Routes of Explor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0222325A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using zone-based mobility service recommendation and dynamic drop-off location configuration ui/ux,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40106206A (en)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group driving, and method for selecting preceding vehicle using the same
EP3276307A1 (en) Shared vehicle managing apparatus and shared vehicle managing method
CN107305737A (en) A kind of vehicle prioritization system
KR101957641B1 (en) Integrated traff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JP7211490B2 (en) VEHICLE TRAVEL ROUTE CONTROL SYSTEM, VEHICLE TRAVEL ROUTE CONTROL DEVICE AND VEHICLE TRAVEL ROUTE CONTROL METHOD
US20190306779A1 (en)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11367357B2 (en) Traffic control apparatus, traffic control system, traffic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cording medium
JP7060398B2 (en) Server device
US11735041B2 (en) Route-specific services for connected automated vehicle highway systems
KR201400870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visit information of vehicle
KR20190003917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s traffic
JP6633981B2 (en) Traffic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traffic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WO2019065698A1 (en) Stopping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GB2572555A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Navigation
US11842644B2 (en) System for operating commercial vehicles
KR101612047B1 (en) The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vehicle and th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