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011B1 -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011B1
KR102407011B1 KR1020200062762A KR20200062762A KR102407011B1 KR 102407011 B1 KR102407011 B1 KR 102407011B1 KR 1020200062762 A KR1020200062762 A KR 1020200062762A KR 20200062762 A KR20200062762 A KR 20200062762A KR 102407011 B1 KR102407011 B1 KR 102407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xercise
touch object
area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931A (ko
Inventor
권기환
구경모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Priority to KR102020006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011B1/ko
Priority to PCT/KR2021/005934 priority patent/WO2021241920A1/ko
Publication of KR2021014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7/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63B2024/0015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computerised simulations of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e.g. for generating an ideal template as reference to be achiev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 A63B2230/75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트니스 센터 내에서 운동을 지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동작을 구현하고 있는 지 판단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라이다 센서 각각이 감지 가능한 제1 영역에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영역을 활성 상태로 설정하는 a 단계, 지도자 단말로부터 운동 세트 및 운동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운동 세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역에 가이드를 표시하는 b 단계, 상기 가이드를 통해 운동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상기 움직임의 정확도를 연산하는 c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확도를 기반으로 칼로리를 연산하고, 상기 정확도 및 칼로리를 기반으로 리스팅된 리스트를 생성하여 중앙 스크린에 순위 정보를 표시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SER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IN FITNESS CENTER}
본 발명은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운동을 지도하는 서비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운동을 즐기는 인구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피트니스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피트니스 센터에서 전문 트레이너의 개인 지도를 받는 것은 현대인들에겐 시간적으로 다소 어려움이 될 수 있으며, 피트니스 센터에 개인적으로 방문하는 것은 운동 의지가 다소 빠르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피트니스 센터에서 스크린 스포츠를 도입하는 등 소비자에게 다양한 운동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스크린 스포츠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요소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인데, 종래의 움직 인식 방법에는 압전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키넥트, 인텔사의 리얼센스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3차원 영상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압전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은, 오락실에서 볼 수 있는 DDR 펌프 기계의 방식과 유사하여, 실제로 터치가 발생하는 위치 아래에 센서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센서 주변부의 터치 인식의 어려움과 터치로 인한 센서의 고장이 쉽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3차원 영상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은, 터치 순간의 위치, 거리 등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영상 정보에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영상에서 사람을 인식하고 이를 추적해야 한다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정확한 동작을 구현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중앙 스크린에 사용자 간 운동 결과를 비교 표시하여 사용자가 운동할 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트니스 센터 내에서 운동을 지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라이다 센서 각각이 감지 가능한 제1 영역에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영역을 활성 상태로 설정하는 a 단계, 지도자 단말로부터 운동 세트 및 운동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운동 세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역에 가이드를 표시하는 b 단계, 상기 가이드를 통해 운동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상기 움직임의 정확도를 연산하는 c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확도를 기반으로 칼로리를 연산하고, 상기 정확도 및 칼로리를 기반으로 리스팅된 리스트를 생성하여 중앙 스크린에 순위 정보를 표시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트니스 센터 내에서 운동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라이다 센서 각각이 감지 가능한 제1 영역에서 사용자를 인식하는 센서부,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영역의 사용을 활성화하고, 지도자 단말로부터 운동 세트 및 운동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운동 세트에 대응하는 가이드를 기반으로 운동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제어부, 상기 움직임의 정확도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확도를 기반으로 칼로리를 연산하며, 연산된 정확도 및 칼로리를 기반으로 리스팅 된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이드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를 중앙 스크린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를 인식할 수 있어, 큰 장비 없이 소형 센서 설치만으로 터치를 인식할 수 있어 공간 구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정확한 동작을 구현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며, 또한 중앙 스크린에 사용자 간 운동 결과를 비교 표시하여 사용자가 운동할 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R, VR 컨텐츠와 같은 신체 동작 인식과 관련된 기술에서 높은 정확도의 터치 인식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실재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운동 지도 서비스의 대략적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운동 지도 서비스의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대기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운동 지도 서비스의 제1 영역에 표시되는 가이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터치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터치 객체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앙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운동 지도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실시 예들을 설명할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정할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적 표현들은 또한, 해당 문장에서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용어 "및/또는," "그리고/또는"은 그 관련되어 나열되는 항목들의 모든 조합들 및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포함하고 있는", "구비하는", "갖는", "가지고 있는" 등은 내포적 의미를 갖는 바, 이에 따라 이러한 용어들은 그 기재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를 특정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혹은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 들, 프로세스들, 동작들은, 구체적으로 그 수행 순서가 확정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들의 수행을 논의된 혹은 예시된 그러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추가적인 혹은 대안적인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각각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위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위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합되어 복수 개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운동 지도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1 영역(10), 지도자가 위치하는 제2 영역(미도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센서부(100), 시스템을 컨트롤하는 제어부(200), 그리고 제1 영역(10)에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고 중앙 스크린(20)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한다. 도 1의 예에 의하면 제1 영역은 10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영역의 배치는 직선 형태 뿐 아니라 원 형태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운동 지도 서비스의 대략적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운동 시도 방법의 주체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서버로 명명한다.
단계 100에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다 센서 각각이 감지 가능한 제1 영역에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 200에서, 서버는 제1 영역에서 사용자를 인식하면, 제1 영역을 활성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지도 시스템에 총 10개의 제1 영역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그 중 4개의 제1 영역의 센서로부터 사용자를 인식한 서버는 4개의 제1 영역만을 활성화하고,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은 나머지 6개의 제1 영역은 비활성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는 제1 영역의 센서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운동 지도 시스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후에 다른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의 제1 영역에 진입하면, 해당 제1 영역의 센서는 다른 사용자를 인식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서버는 해당 제1 영역을 활성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300에서, 서버는 지도자 단말로부터 지도자가 선택한 운동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 운동 세트는 지도자가 직접 생성하거나 또는 다른 지도자가 생성하여 공유한 것을 구매 또는 대여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동 세트는 한 세트 당 30분 또는 1시간 단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지도자의 판단에 따라 운동 세트에 포함된 동작을 더하거나 감할 수 있다.
지도자는 다른 지도자와 운동 세트를 공유 또는 거래하기 위하여 지도자 단말을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버에 등록된 동작을 선택 및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조합하여 운동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자는 팔굽혀펴기, 런지, 왕복달리기의 동작 구성을 포함하는 운동 세트를 필요로 하여, 서버에 다른 지도자로부터 이미 공유된 운동 세트 중 상기 동작 구성을 포함하는 운동 세트가 있는 지 검색할 수 있다. 만약 운동 세트가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는 운동 세트가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 지도자는 팔굽혀펴기 - 제자리뛰기 - 런지의 동작 구성을 포함하는 운동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자는 서버에 공유된 운동 세트 중 원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적합한 운동 세트를 검색하면, 운동 세트를 구매하거나 대여 일수를 선택하여 대여할 수 있다.
지도자는 자신이 생성한 운동 세트 및 구매/대여한 운동 세트의 리스트를 지도자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리스트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운동 세트를 선택하면, 지도자 단말은 지도자로부터 선택된 운동 세트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00에서, 서버는 상기 구성을 통해 지도자 단말로부터 운동 세트를 수신하면, 제1 영역에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대기 화면은 도 3과 같이 '준비' 혹은 'ready' 등을 표시하여 운동 대기 상태를 알리는 화면을 의미한다.
단계 500에서, 서버는 지도자 단말로부터 운동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종료하고, 활성화된 제1 영역에 수신된 운동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한 가이드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는 사용자가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신체 부위 중 어느 하나가 지면에 닿아야 할 경우, 그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제1 영역에 표시되는 가이드는 도 4와 같을 수 있다.
단계 600에서, 서버는 제1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가 제1 영역에 표시되는 가이드를 기반으로 운동을 수행하면,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6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서버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객체)를 감지하여 객체 별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 정보는 센서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또는 3D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는 바닥을 센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 발 등 신체 부위가 바닥을 터치하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센서는 전방 180도 각도로 약 4.6m의 거리의 바닥을 센싱함으로써, 센싱 가능 영역에서 사용자가 바닥을 터치하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센싱 가능 영역은 사용되는 라이다 센서의 성능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나아가 서버는 깊이 카메라 및/또는 3D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하여, 제1 영역 영역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서버는 라이더 센서를 통해 인식된 터치 객체의 움직임 뿐 아니라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 사용자 움직임 전체를 파악할 수 있다. 터치 객체의 움직임은 단순히 바닥을 터치하는 동작만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체를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하다.
단계 620에서, 서버는 라이다 센서로부터 수집한 모든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인식된 터치 객체에 대해서만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센싱 정보에 포함된 거리와 방향을 이용하여 객체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객체의 좌표는 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2차원 거리맵에 대응하는 좌표를 의미한다.
나아가 서버는 추출한 각 프레임 별 객체의 좌표를 2차원 거리맵인 평면 좌표계에 표시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제1 평면 좌표계의 해당 좌표에 표시할 수 있고, 제2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제2 평면 좌표계의 해당 좌표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는 프레임마다 평면 좌표계를 할당할 것이다.
단계 630에서, 서버는 평면 좌표계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프레임에 속한 객체를 표시한 평면 좌표계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제1 프레임에 대한 객체가 표시된 평면 좌표계에서, 각 객체의 좌표들 간의 제1 거리를 연산하여 거리에 따라 군집을 형성하는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것이다. 서버는 제1 거리와 기 설정된 제1 거리 임계 값을 비교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군집을 제1 터치 객체로 설정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는 제1 거리가 제1 거리 임계 값 이하인, 군집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제1 터치 객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프레임에 군집이 복수 개 형성되면, 제1 터치 객체도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터치 객체에 포함되지 않는 객체의 센싱 정보는 삭제될 것이다.
서버는 제1 터치 객체를 설정하면,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좌표는 한 점일 수도 있고 영역일 수도 있다. 서버는 제1 터치 객체,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 그리고 제1 터치 객체에 속하는 객체의 수를 터치 객체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터치 객체 리스트에 포함된 제1 터치 객체에서, 제1 터치 객체에 포함된 객체의 수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판단할 것이다. 서버는 제1 터치 객체에 포함된 객체의 수가 일정 수준 미만이면 제1 터치 객체를 노이즈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일정 수준은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서버는 노이즈라고 판단된 제1 터치 객체를 터치 객체 리스트에서 제거할 것이다.
노이즈라고 판단된 제1 터치 객체를 터치 객체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과정은, 제1 터치 객체에 대한 정보를 터치 객체 리스트에 추가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640에서, 서버는 터치 객체 리스트에 포함된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제1 좌표를 이용하여,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는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1 프레임과 연속하는 이전 프레임인 제2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인 제3 프레임을 고려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에 있어서,
(1)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지 않고, 제1 프레임에 제1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제1 터치 객체를 enter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이전 프레임에서 센싱 정보가 없다가 새로운 터치 객체가 센싱된 것으로, 새로운 터치 객체가 인식되었음을 의미한다. enter 상태는 마우스 버튼을 누르는 상태와 유사하다.
(2)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제1 프레임에 제1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제1 좌표와 제2 프레임에서의 제2 터치 객체의 제2 좌표 사이의 제2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도 7의 (2)에 따르면, 서버는 제2 거리와 기 설정된 제2 거리 임계 값을 비교하여, 제2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보다 크면 제1 터치 객체를 enter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터치 객체가 제2 터치 객체와는 다른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새로운 터치 객체가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3) 제2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 보다 작고, 제1 좌표와 제2 좌표가 동일하면 제1 터치 객체를 stay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tay 상태는 이미 센싱 정보가 있는 터치 객체가 계속하여 존재한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4) 제2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 보다 작고, 제1 좌표와 제2 좌표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 터치 객체를 move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제2 프레임에 센싱 정보가 존재하나, 제1 프레임에서는 같은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센싱된 것으로, 터치 객체가 이동하였음을 의미한다. move 상태는 마우스를 드래그하는 상태와 유사하다.
(5) 제1 프레임에 제1 터치 객체가 존재하고, 제3 프레임에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 터치 객체를 exit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제1 터치 객체가 제3 프레임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exit 상태는 마우스 버튼을 떼는 상태와 유사하다.
(6) 제1 프레임에 제1 터치 객체가, 제3 프레임에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제1 좌표와 제3 프레임에서 제3 터치 객체의 제3 좌표 사이의 제3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서버는 제3 거리와 기 설정된 제2 거리 임계 값을 비교하여, 제3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 보다 크면 제1 터치 객체를 exit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터치 객체와 제3 터치 객체가 다른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터치 객체가 사라지고 새로운 제3 터치 객체가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제3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보다 작으면 제1 터치 객체를 stay 상태 또는 move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는 위와 같이 일 프레임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객체가 존재함에 따라, 다양한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제1 터치 객체, 즉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650에서, 서버는 제1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여, 제1 터치 객체가 기 설정된 유효 영역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유효 영역은 전체 센싱 영역일 수 있고, 전체 센싱 영역을 분할한 영역일 수도 있고, 제1 영역에 표시된 가이드와 동일한 영역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운동 지도 방법은, 유효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특정 영역 내에 터치 객체가 진입하거나 특정 위치에서 터치 객체가 인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660에서, 서버는 유효 영역에 위치한 터치 객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서버는 유효 영역에 위치한 터치 객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뛰는 발걸음의 속도를 측정하거나, 유효 영역에서 인식되는 터치 객체의 정보를 분석하여 영역을 순차적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나 특정 영역에 머무르는 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서버는 상술한 터치 객체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터치 객체의 실제 좌표와 터치 객체가 인식된 시간을 이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유효 영역에서 터치 객체가 12시 24분 31.44초에 처음 인식되고, 12시 25분 41.53초에 마지막으로 인식되면, 서버는 인식된 터치 객체가 1분 10.09초동안 유효 영역에 머물렀다고 판단할 것이다.
나아가 서버는 유효 영역 내에서 점프와 같은 터치 카운트를 측정할 수 있다. 서버는 여러 개의 연속되는 프레임에서, 제1 터치 객체가 동일한 제1 좌표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사용자가 점프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점프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유효 영역에서 처음 인식된 터치 객체와 마지막으로 인식된 터치 객체, 그리고 그 사이에 존재하는 터치 객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는 특정 위치에 위치한 물체를 들어서 혹은 끌어서 옮기는 모션에 대한 추적 또한 가능하다.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복귀하면, 단계 700에서, 서버는 인식된 제1 터치 객체(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상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의 정확도 및 소모 칼로리를 연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가이드(유효 영역)에 대한 제1 터치 객체의 정확도를 연산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영역의 50%에서만 제1 터치 객체가 인식되면, 서버는 해당 유효 영역의 정확도를 50%로 연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버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 개의 유효 영역 각각에 대한 정확도를 연산하고 이를 합산하여 사용자 움직임의 정확도를 도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소모 칼로리의 연산에 반영할 수 있다. 서버는 단계 700을 사용자가 운동을 진행함에 있어서 수행하는 모든 동작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연산할 것이다.
서버는 소모 칼로리를 연산하기 위하여 운동별 상수, 사용자의 체중 및 운동횟수를 사용할 수 있다. 운동별 상수는 수학식 1과 같이 개별 운동의 근력 사용량, 심박수 변화량, 목표 상수를 통해 산정될 수 있으며, 이 중 근력상수는 사용하는 신체부위(팔, 등근육, 허벅지, 복근, 허리 등)에 따라 구분된 값이며, 목표 상수는 운동 별로 정의된 임의의 값으로 기본 운동은 0.5~0.6, 체중감량, 근력유지 및 강화 운동은 0.6~0.7, 근력, 체력 증강 운동은 0.8~1.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20052813421-pat00001
단계 800에서, 서버는 제1 영역에서 운동 중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하여 연산된 소모 칼로리를 기반으로 리스팅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는 사용자에게 경쟁심리를 심어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운동을 보다 열심히 하고자 하는 원동력을 얻을 수 있다.
단계 900에서, 서버는 리스팅된 리스트를 중앙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는 중앙 스크린에 운동 진행 시간 및/또는 잔여 시간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는 사용자가 한 눈에 운동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앙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8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운동 지도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운동 지도 장치는 센서부(100), 제어부(200), 연산부(30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제1 영역에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라이다 센서가 감지 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 라이다 센서(LiDAR) 센서는 빛을 방출한 후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인식하여 빛이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통해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는 차량의 자율주행 분야, 건설 분야, 항공측량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라이다 센서는 다른 거리 센서와 대비하여 비교적 정확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전방 180도 각도로 약 4.6m의 거리의 바닥을 센싱함으로써, 센싱이 가능한 제1 영역에서 사용자가 바닥을 터치하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센싱 가능 영역은 사용되는 라이다 센서의 성능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센서부(10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많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제1 영역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객체)에 대한 객체 별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객체 별 센싱 정보는 객체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또는 3D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센서부(100)는 깊이 카메라 및/또는 3D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하여, 제1 영역 영역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서버는 라이더 센서를 통해 인식된 터치 객체의 움직임 뿐 아니라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 사용자 움직임 전체를 파악할 수 있다. 터치 객체의 움직임은 단순히 바닥을 터치하는 동작만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체를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하다.
제어부(200)는 센서부(100)를 통해 제1 영역에 사용자가 위치한다고 인식하면, 사용자가 위치한 제1 영역의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지도 시스템에 총 10개의 제1 영역이 구성되어 있고, 센서부(100)에서 그 중 4개의 제1 영역에서 사용자를 인식하면, 제어부(100)는 해당 4개의 제1 영역만을 활성화하고 다른 6개의 제1 영역은 비활성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운동 지도를 담당하는 지도자의 단말로부터 운동 세트를 수신하면, 활성화된 제1 영역에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대기 화면은 도 3과 같이 '준비' 혹은 'ready' 등과 같이 운동 대기 상태를 알리는 화면을 의미한다. 운동 세트는 지도자가 직접 생성하거나 또는 다른 지도자가 생성하여 공유한 것을 구매 또는 대여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동 세트는 한 세트 당 30분 또는 1시간 단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지도자의 판단에 따라 운동 세트에 포함된 동작을 더하거나 감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지도자 단말로부터 운동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영역에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종료하고 활성화된 제1 영역에 수신된 운동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한 가이드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는 사용자가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신체 부위 중 어느 하나가 지면에 닿아야 할 경우, 그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제1 영역에 표시되는 가이드는 도 4와 같을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가 제1 영역에 표시되는 가이드를 기반으로 운동을 수행하면, 센서부(10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200)는 좌표 추출부(210), 데이터 관리부(220), 상태 판단부(230), 변환부(240), 그리고 모션 인식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 추출부(210)는 센서부(100)에서 생성된 객체 별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좌표 추출부(210)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인식된 터치 객체에 대해서만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표 추출부(210)는 센싱 정보에 포함된 거리와 방향을 이용하여 객체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객체의 좌표는 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2차원 거리맵에 대응하는 좌표를 의미한다.
좌표 추출부(210)는 각 프레임 별 객체의 좌표를 2차원 거리맵인 평면 좌표계에 표시할 수 있다. 좌표 추출부(210)는 제1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제1 평면 좌표계의 해당 좌표에 표시할 수 있고, 제2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제2 평면 좌표계의 해당 좌표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표 추출부(210)는 프레임마다 평면 좌표계를 할당할 것이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평면 좌표계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제1 프레임에 속한 객체를 표시한 평면 좌표계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제1 프레임에 대한 객체가 표시된 평면 좌표계에서, 각 객체의 좌표들 간의 제1 거리를 연산하여, 거리에 따라 군집을 형성하는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것이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제1 거리와 기 설정된 제1 거리 임계 값을 비교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군집을 제1 터치 객체로 설정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관리부(220)는 제1 프레임에서 추출된 객체들 간의 제1 거리가 제1 거리 임계 값 이하인, 군집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제1 터치 객체로 볼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제1 프레임에 군집이 복수 개 형성되면, 제1 터치 객체도 복수 개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제1 터치 객체를 설정하면,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할 것이다. 이 때, 제1 좌표는 한 점일 수도 있고 영역일 수도 있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제1 터치 객체,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 제1 터치 객체에 속하는 객체의 수를 터치 객체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관리부(220)는 터치 객체 리스트에 포함된 제1 터치 객체에서, 제1 터치 객체에 포함된 객체의 수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판단할 것이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제1 터치 객체에 포함된 객체의 수가 일정 수준 미만이면 제1 터치 객체를 노이즈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일정 수준은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노이즈라고 판단된 제1 터치 객체를 터치 객체 리스트에서 제거할 것이다. 노이즈라고 판단된 제1 터치 객체를 터치 객체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과정은, 제1 터치 객체에 대한 정보를 터치 객체 리스트에 추가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태 판단부(230)는 터치 객체 리스트에 포함된, 데이터 관리부(300)로부터 추출된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제1 좌표를 이용하여,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태 판단부(230)는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1 프레임과 연속하는 이전 프레임인 제2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인 제3 프레임을 고려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230)는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할 것이다. 도 7의 (1)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230)는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 터치 객체를 enter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이전 프레임에서 센싱 정보가 없다가 새로운 터치 객체가 센싱된 것으로, 새로운 터치 객체가 인식되었음을 의미한다. enter 상태는 마우스 버튼을 누르는 상태와 유사하다.
상태 판단부(230)는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제1 좌표와 제2 프레임에서의 제2 터치 객체의 제2 좌표 사이의 제2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도 7의 (2)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230)는 제2 거리와 기 설정된 제2 거리 임계 값을 비교하여, 제2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보다 크면 제1 터치 객체를 enter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230)는 제1 터치 객체가 제2 터치 객체와는 다른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새로운 터치 객체가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7의 (3)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230)는 제1 좌표와 제2 좌표가 동일하면 제1 터치 객체를 stay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tay 상태는 이미 센싱 정보가 있는 터치 객체가 계속하여 존재한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4)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230)는 제1 좌표와 제2 좌표가 동일하지 않고, 제2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보다 작으면, 제1 터치 객체를 move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제2 프레임에 센싱 정보가 존재하나, 제1 프레임에서는 같은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센싱된 것으로, 터치 객체가 이동하였음을 의미한다. move 상태는 마우스를 드래그하는 상태와 유사하다.
도 7의 (5)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230)는 제3 프레임에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 터치 객체를 exit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제1 터치 객체가 제3 프레임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exit 상태는 마우스 버튼을 떼는 상태와 유사하다.
나아가 도 7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태 판단부(230)는 제3 프레임에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제1 좌표와 제3 프레임에서 제3 터치 객체의 제3 좌표 사이의 제3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230)는 제3 거리와 기 설정된 제2 거리 임계 값을 비교하여, 제3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 보다 크면 제1 터치 객체를 exit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230)는 제1 터치 객체와 제3 터치 객체가 다른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터치 객체가 사라지고 새로운 제3 터치 객체가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230)는 제3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보다 작으면 제1 터치 객체를 stay 상태 또는 move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230)는 위와 같이 일 프레임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객체가 존재함에 따라, 다양한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변환부(240)는 제1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여 제1 터치 객체가 기 설정된 유효 영역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유효 영역은 전체 센싱 영역일 수 있고, 전체 센싱 영역을 분할한 영역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인식 방법은, 유효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특정 영역 내에 터치 객체가 진입하거나 특정 위치에서 터치 객체가 인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250)는 유효 영역에 위치한 터치 객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250)는 유효 영역에 위치한 터치 객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뛰는 발걸음의 속도를 측정하거나, 유효 영역에서 인식되는 터치 객체의 정보를 분석하여 영역을 순차적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나 특정 영역에 머무르는 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250)는 상술한 터치 객체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터치 객체의 실제 좌표와 터치 객체가 인식된 시간을 이용할 것이다.
모션 인식부(250)는 유효 영역 내에서 점프와 같은 터치 카운트를 측정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250)는 여러 개의 연속되는 프레임에서, 제1 터치 객체가 동일한 제1 좌표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사용자가 점프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점프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250)는 유효 영역에서 처음 인식된 터치 객체와 마지막으로 인식된 터치 객체, 그리고 그 사이에 존재하는 터치 객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인식부(250)는 특정 위치에 위치한 물체를 들어서 혹은 끌어서 옮기는 모션에 대한 추적 또한 가능하다.
다시 도 8에 대한 설명으로 복귀하면, 연산부(300)는 인식된 제1 터치 객체(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상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의 정확도를 연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산부(300)는 가이드(유효 영역)에 대한 제1 터치 객체의 정확도를 연산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300)는 서버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 개의 유효 영역 각각에 대한 정확도를 연산하고 이를 합산하여 사용자 움직임의 정확도를 도출할 수 있다. 나아가 연산부(300)는 사용자의 정확도를 기반으로 소모 칼로리를 더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300)는 사용자가 운동을 진행함에 있어서 수행하는 모든 동작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움직임의 정확도 및 소모 칼로리를 연산할 것이다.
연산부(300)는 제1 영역에서 운동 중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연산된 움직임의 정확도를 기반으로 하는 칼로리 값을 리스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제1 영역에서 유효 영역에 대한 터치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로 터치 객체가 표시된 화면을 실제 좌표와 대응하는 위치, 즉 센서의 유효 영역에 표시되도록 빔 프로젝터를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터치 객체를 표시할 뿐 아니라, 터치 객체가 위치해야 할 타겟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타겟 위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위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전체 센싱 영역을 특정 개수로 분할하여 사용할 경우, 각 영역에 동일한 유효 영역을 설정하여 멀티 터치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0)는 특정 구간을 왕복으로 터치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0)는 타겟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상, 본 발명의 터치 인식 장치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 자세를 가이드 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00)로부터 표시되는 타겟 위치를 확인하고 타겟 위치를 손 및/또는 발로 터치함으로써 운동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400)는 연산부(300)에서 리스팅한 리스트를 중앙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으며, 운동 진행 시간 및/또는 잔여 시간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한 눈에 운동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8)

  1. 피트니스 센터 내에서 운동을 지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라이다 센서 각각이 감지 가능한 제1 영역에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영역을 활성 상태로 설정하는 a 단계;
    지도자 단말로부터 운동 세트 및 운동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운동 세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역에 가이드를 표시하는 b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인식되는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사용자의 좌표를 추출 및 클러스터링하여 제1 프레임에서의 제1 터치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연산하여 상기 가이드를 통해 운동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c 단계;
    상기 제1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좌표가 기 설정된 유효 영역에 위치하는 지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의 정확도를 연산하는 d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확도를 기반으로 칼로리를 연산하고, 상기 정확도 및 칼로리를 기반으로 리스팅된 리스트를 생성하여 중앙 스크린에 순위 정보를 표시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 지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도자 단말로부터 지도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사용자에 적합한 운동 세트를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지도자 단말로부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운동 세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의 가이드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 지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지도자가 생성하거나, 또는 다른 지도자가 공유한 것을 구매 또는 대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지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객체 및 제1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 지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가 상기 기 설정된 유효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실제 좌표에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동 지도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동 세트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유효 영역의 중첩 정도 및 그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움직임의 정확도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정확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소모 칼로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지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중앙 스크린에 상기 지도자 단말로부터 시작 신호를 수신한 시간으로부터 경과한 시간 및/또는 잔여 시간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지도 방법.
  8. 피트니스 센터 내에서 운동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라이다 센서 각각이 감지 가능한 제1 영역에서 사용자를 인식하는 센서부;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영역의 사용을 활성화하고, 지도자 단말로부터 운동 세트 및 운동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운동 세트에 대응하는 가이드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인식되는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사용자의 좌표를 추출 및 클러스터링 하여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연산하여 상기 가이드를 통해 운동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제어부;
    제1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고 제1 좌표가 기 설정된 유효 영역에 위치하는 지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의 정확도를 연산하고, 상기 정확도를 이용하여 칼로리를 연산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기반으로 리스팅 된 리스트를 생성하는 연산부; 및
    상기 가이드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를 중앙 스크린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운동 지도 시스템.
KR1020200062762A 2020-05-26 2020-05-26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 KR102407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762A KR102407011B1 (ko) 2020-05-26 2020-05-26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
PCT/KR2021/005934 WO2021241920A1 (ko) 2020-05-26 2021-05-12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762A KR102407011B1 (ko) 2020-05-26 2020-05-26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931A KR20210145931A (ko) 2021-12-03
KR102407011B1 true KR102407011B1 (ko) 2022-06-10

Family

ID=7874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762A KR102407011B1 (ko) 2020-05-26 2020-05-26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7011B1 (ko)
WO (1) WO2021241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549B1 (ko) * 2023-01-09 2023-10-17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사용자 제스처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 자세 분석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33B1 (ko) * 2019-08-20 2020-03-13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장치를 이용한 팀 트레이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8501B1 (en) * 2009-12-22 2015-02-03 Hrl Laboratories, Llc Three-dimensional (3D) object detection and multi-agent behavior recognition using 3D motion data
JP2016174893A (ja) * 2015-03-19 2016-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装置
KR101864418B1 (ko) * 2016-11-15 2018-06-12 박종찬 스마트 트레이닝 장치
KR101931784B1 (ko) * 2018-08-29 2018-12-21 주식회사 큐랩 복수의 사용자 대결 구도의 가상 피트니스 시스템
KR101980378B1 (ko) * 2019-02-22 2019-08-28 (주)대우루컴즈 동적 움직임과 신체 밸런스를 이용한 운동자세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33B1 (ko) * 2019-08-20 2020-03-13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장치를 이용한 팀 트레이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920A1 (ko) 2021-12-02
KR20210145931A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3696B2 (ja) 身体的活動のモニタリングデバイス及びその方法
US9669254B2 (en) Integrated exercise mat system
WO20180940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exercise training and coaching
US20100045609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n interactive device based on orientation of a user relative to the device
JP2008168133A (ja) ユーザの身体運動の範囲を追跡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97240A (ja) 学習支援装置および学習支援方法
KR20180100753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운동 관리 및 권장 플랫폼 시스템
US10247626B2 (en) 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370703B1 (ko) 사용자 운동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122705A1 (ja) トレーニング分類システム、トレーニング分類方法およびトレーニング分類サーバ
KR102173335B1 (ko) 모션 인식 기반의 신체능력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JP2017000481A (ja) 分析システム、及び、分析方法
KR20170010157A (ko) 인터랙티브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운동동작 유도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58139A (ko) 스마트 헬스 서비스 시스템 및 스마트 헬스 서비스 방법
KR101282319B1 (ko) 사용자의 골프 실력을 진단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US20240111382A1 (en) Tou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having lidar sensor
KR102407011B1 (ko)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
KR20180020703A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818198B1 (ko) 다방향 인식을 이용한 태권도 동작 평가 장치 및 방법
JP2008012223A (ja) 視線解析および追跡機能を有した遊技台用機能付加装置と遊戯台用機能付加方法
US20160153777A1 (en) Movement-trace sensing system and motion model constructing method by using the same
KR20220068282A (ko) 얼굴인식과 동작인식을 활용한 지능형 버추얼 피트니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19024579A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54818B1 (ko) 족적 영상 패턴 분석 기반 가상현실 제공 방법
JP6488971B2 (ja) 指導適合性判定装置、指導適合性判定システム、指導適合性判定方法、指導適合性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