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799B1 - 전기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799B1
KR102406799B1 KR1020210153703A KR20210153703A KR102406799B1 KR 102406799 B1 KR102406799 B1 KR 102406799B1 KR 1020210153703 A KR1020210153703 A KR 1020210153703A KR 20210153703 A KR20210153703 A KR 20210153703A KR 102406799 B1 KR102406799 B1 KR 102406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ust collecting
collecting plate
presen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하림
Original Assignee
한하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하림 filed Critical 한하림
Priority to KR102021015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여과할 수 있는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블록 형태의 제 1브라켓과 제 1브라켓에 대향 설치되며, 블록 형태의 제 2브라켓과 제 1브라켓 및 제 2브라켓 사이에 위치하며, 복수로 형성되는 집진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장치{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전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여과할 수 있는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에 구비되어 발생된 전기장으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부착시켜 필터링하는 전기장 발생모듈; 전기장 발생을 위한 전력을 상기 전기장 발생모듈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전기장 발생모듈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수단; 및, 상기 전기장 발생모듈과 전력 공급 수단 및 미세먼지 제거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하우징; 솔라셀이 배열된 집광판을 갖는 태양광 발전부; 태양광 발전부에 의해 발전된 전기가 축전되는 축전부; 수용공간 양쪽에 구동모터가 이격공간을 두고 배치되며, 구동모터는 각 브러쉬 기판의 중앙에 고정결합되는 구동부; 복수 개의 금속브러쉬가 서로 이격 부착되며, 금속브러쉬 중 일부가 뉴트럴선으로 서로 연결되고, 정전기가 출력되는 출력단이 유도선과 연결된 한쌍의 브러쉬 기판; 양쪽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 개의 금속편이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부착되며, 금속편은 뉴트럴선이 연결된 금속브러쉬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정전기 유도 현상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 한쌍의 금속편에 서로 반대 전하가 유도된 후 금속브러쉬를 통해 출력단으로 정전기가 출력되게 되는 한쌍의 회전 기판; 및 양면에 금속박판이 부착되고, 양면의 금속박판은 뉴트럴선에 의해 한쌍의 브러쉬 기판과 각각 연결되어 금속브러쉬를 통해 정전기의 충전과 방전이 발생되도록 하는 고정 기판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일부가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덮개부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방충망 또는 공기청정기 또는 유모차 또는 차량 또는 가로등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가능하게 구비되는 미세먼지 집진 및 유입방지용 하우징과, 상기 미세먼지 집진용 하우징의 수용홈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일면에 상부 및 하부금속편이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정전기발생용 상부 및 하부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른 정전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정전기를 발생시켜 +전하 및 -전하를 출력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정전기발생수단과, 상기 미세먼지 집진용 하우징의 관통홀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정전기발생 수단의 +전하 출력부와 +전하 출력용접속선을 통하여 접속 연결되어 공기중에 분포된 미세먼지를 집진 및 유입방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미세먼지 집진 및 유입방지부와, 상기 정전기발생수단의 일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정전기발생수단측으로 전원스위치의 조작에 대응되게 전원을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원공급용 축전부와, 상기 미세먼지 집진 및 유입방지부 일면 상,하단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전기발생수단의 -전하 출력부와 -전하 출력용접속선을 통하여 접속 연결됨에 따른 상기 미세먼지 집진 및 유입방지 부측으로 미세먼지가 대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미세먼지 유도용 -전하 방출부재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창틀, 내창틀와 격자망, 격자망을 구성하는 경사와 위사에 (+)전압과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장치로 구성하고, 경사와 위사 가 절연체로 절연하면서 교차하고, 서로다른 상으로 반복적으로 교차함으로써 교차지점(B)이 다음 교 차지점(B')와 상호 역상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경사와 위사간 전기장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경사 전원입력부에서 경사 전원출력 부로, 전원케이블을 통하여 위사 전원입력부에서 위사 전원출력부로 전원공급장치에 입력되어 다중 전기 폐회로를 구성하여 미세 먼지가 격자망의 개공사이를 통과할 때 전기장의 인력으로 미세먼지를 끌어당겨 집진함으로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21-0002827 A (2021년01월11일) KR 10-2020-0010688 A (2020년01월31일) KR 10-2020-0136531 A (2020년12월08일) KR 10-2019-0006208 A (2019년01월18일)
본 발명은 정전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여과할 수 있는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으로 블록 형태의 제 1브라켓(100); 상기 제 1브라켓(100)에 대향 설치되며, 블록 형태의 제 2브라켓(200);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 사이에 위치하며, 복수로 형성되는 집진판(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브라켓(100); 제 2브라켓(200); 집진판(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집진판(300)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집진판(300)과 결합되는 통전단자(4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브라켓(100); 제 2브라켓(200); 집진판(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집진판(300)의 일측에 형성되며, 부분 절곡되는 절곡부(310); 상기 집진판(30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관통되는 관통부(3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브라켓(100); 제 2브라켓(200); 집진판(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집진판(300)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브라켓(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집진판(360); 상기 제 1집진판(360)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2브라켓(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2집진판(37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브라켓(100); 제 2브라켓(200); 집진판(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2집진판(37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집진판(360) 방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류부재(371);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브라켓(100); 제 2브라켓(200); 집진판(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집진판(300)의 일면에 부착되며,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전류차단판(39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브라켓(100); 제 2브라켓(200); 집진판(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에 형성되며, 창호의 샤시프레임(20)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50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집진판이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집진판에 전류를 공급하는 통전단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되어서로 다른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집진판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전류부재에 의하여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집진판이 창호에 설치되며, 전류차단판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집진판에 접촉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가 모듈로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브라켓 및 제 2브라켓을 나타낸 평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관통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집진판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부가 설치된 집진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가 설치된 전기 집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샤시에 전기 집진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10)에 있어서, 블록 형태의 제 1브라켓(100); 상기 제 1브라켓(100)에 대향 설치되며, 블록 형태의 제 2브라켓(200);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 사이에 위치하며, 복수로 형성되는 집진판(300);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에 형성되며,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집진판(300)의 양단이 체결되는 체결홈(110);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에 형성되며,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110)과 타면에 형성되는 관통홈(120);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은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30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전기 집진장치(10)는 전류에 의하여 정전기를 발생시켜 먼지를 집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 집진장치(10)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실내의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는 것으로 전류에 의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전기 집진장치(10)는 도 3을 참조하면, 블록 형태의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이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 사이에는 복수로 형성되는 집진판(3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의 간격은 집진판(300)의 길이에 따라 조절되며, 집진판(300)은 복수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을 교차하도록 관통한다. 이때,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은 일면에 집진판(300)이 각각 관통하는 체결홈(110)이 형성되며, 체결홈(110)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집진판(300)이 균일하게 관통된다. 그리고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은 체결홈(110)과 타면에 형성되는 관통홈(120)이 형성되며, 관통홈(120)은 복수의 집진판(300)의 일단이 관통된다. 이때, 관통홈(120)과 체결홈(110)은 복수의 집진판(300)이 서로 교차하도록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에 위치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 사이에 체결되는 집진판(30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전류에 의하여 스파크가 발생됨에 따라 정전기를 발생시키고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은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10)는 집진판(300)에 전류가 공급되어 정전기를 발생시킴에 따라 미세먼지 등을 집진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집진장치(10)는 모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집진장치(10)에 형성되며, 타 전기 집진장치(10)와 연결하는 연결부재(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1-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0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상기 제 2브라켓(200)에 형성되는 연결브라켓(610); 후술되는 복수의 통전단자(4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단자(6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1-7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집진장치(10)는 모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전기 집진장치(10)는 복수가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 집진장치(10)는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 1브라켓(100), 제 2브라켓(200), 통전단자(400)가 서로 연결되어 전기 집진장치(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집진장치(10)는 타 전기 집진장치(10)와 연결부재(600)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부재(600)는 복수의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브라켓(610)이 형성되며, 연결브라켓(610)은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서로 조립하거나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되는 통전단자(400)를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집진판(300)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통전단자(400)를 연결하는 연결단자(620)가 형성되며, 연결단자(620)는 양단부에 통전단자(400)가 삽입되도록 하여 전류가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기 집진장치(10)는 모듈로 형성되며, 연결부재(6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300)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집진판(300)과 결합되는 통전단자(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400)에 형성되며,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장치(410);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400)는 상기 제 1브라켓(100)에 형성되는 제 1통전단자(420); 상기 제 2브라켓(200)에 형성되는 제 2통전단자(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전단자(420)와 상기 제 2통전단자(430)는 서로 다른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40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통전단자(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통전단자(400)는 복수의 집진판(300)에 체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전단자(400)는 도 2를 참조하면, 전류가 흐르는 전류선으로 형성되며,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에 각각 체결된다. 그리고 통전단자(400)는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의 외측에 형성되며, 복수의 집진판(300)이 체결되어 전류가 공급되는 것으로 제 1브라켓(100)에 체결되는 제 1통전단자(420)와 제 2브라켓(200)에 체결되는 제 2통전단자(430)가 형성된다. 이때, 제 1통전단자(420)와 제 2통전단자(430)는 서로 다른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통전단자(420)와 체결되는 집진판(300)과 제 2통전단자(430)와 체결되는 타 집진판(300)은 서로 다른 전극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후술되는 제 1집진판(360)은 제 1통전단자(420)와 체결되어 (+)극이 전달되고 제 2집진판(370)은 제 2통전단자(430)와 체결되어 (-)극이 전달되는 것이다.
그리고 통전단자(400)는 전류공급장치(410)에 연결되며, 전류공급장치(410)는 각각의 통전단자(400)로 (+)극과 (-)극의 직류전류를 공급한다. 또한, 통전단자(400)는 외측을 감싸도록 커버가 형성되며, 커버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300)의 일측에 형성되며, 부분 절곡되는 절곡부(310); 상기 집진판(30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관통되는 관통부(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320)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관통되는 관통홀(330); 상기 관통홀(33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삽입되는 삽입홀(340);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330)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단자(400)와 접촉 면적을 넓히는 접촉판(331);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310)는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상기 제 2브라켓(200)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320)는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상기 제 2브라켓(200)을 관통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320)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단자(40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50);를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50)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320)를 감싸는 절곡부(310)재; 상기 절곡부(310)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단자(40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5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집진판(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집진판(300)은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전극에 의하여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집진판(300)은 도 2를 참조하면, 복수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형태의 집진판(300)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집진판(300)은 일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10)에 의하여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며, 절곡부(310)는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에 삽입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집진판(300)은 절곡부(310)와 타단부에 관통부(320)가 형성되며, 관통부(320)는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통전단자(400)가 체결된다. 관통부(320)는 도 4를 참조하면, 통전단자(400)가 관통되는 관통홀(330)이 형성되며, 관통홀(330)에는 통전단자(400)와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접촉판(331)이 형성된다. 접촉판(331)은 관통홀(330)에서 일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접촉판(331)은 통전단자(4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통전단자(400)와 접촉면적을 넓히는 것이다. 그리고 접촉판(331)은 일단부가 통전단자(400)에 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통전단자(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관통홀(330)의 일면에는 통전단자(40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340)이 형성되며, 삽입홀(340)은 관통홀(330)에서 관통부(320)의 일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에 따라 통전단자(400)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삽입홀(340)은 통전단자(400)의 두께보다 얇은 폭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으로 관통홀(330)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관통부(320)에는 통전단자(4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350)가 형성되며, 체결부재(350)는 도 5를 참조하면, 삽입홀(340)과 타단부에 형성되어 관통부(320)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10)재와 절곡부(310)재의 단부에서 원형으로 절곡되어 통전단자(40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52)가 형성된다. 이때, 절곡부(310)재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관통부(320)에 체결되고 고정부재(352)는 관통부(320)의 양측면에서 통전단자(40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350)는 통전단자(400)가 관통부(3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300)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브라켓(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집진판(360); 상기 제 1집진판(360)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2브라켓(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2집진판(370);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 1집진판(360)과상기 제 2집진판(370)의 간격은 균일 또는 불균일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 1집진판(360)과 상기 제 2집진판(370)은 금속판, 와이어, 철선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 2집진판(370)은 곡선이 반복 형성되어 물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제 2집진판(37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집진판(360) 방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류부재(371);를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300)에 형성되며,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3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집진판(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집진판(300)은 서로 다른 형상의 집진판(300)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정전기에 의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집진판(300)은 일단이 제 1브라켓(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집진판(360)과 제 2브라켓(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2집진판(370)이 형성된다. 제 1집진판(360)과 제 2집진판(370)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공기와 먼지가 관통되는 것으로 제 1집진판(360)과 제 2집진판(370)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어 전류의 양이 서로 다르게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집진판(300)은 도 6을 참조하면, 금속판, 와이어, 철선 등으로 형성되며, 제 1집진판(360)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제 2집진판(370)은 제 1집진판(360)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 2집진판(370)은 곡선이 반복 형성되어 물결 형태로 형성되어 제 1집진판(360) 방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집진판(370)이 직선 형태로 형성될 경우 핀 형상의 전류부재(371)가 형성되어 제 1집진판(360)과 제 2집진판(370) 사이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제 2집진판(370)이 와이어로 형성될 경우 와이어에 매듭을 형성하여 전류부재(371)로 대체할 수 있으며, 철선으로 형성될 경우 제 2집진판(370) 방면으로 절곡시켜 제 1집진판(360)과의 정전기를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제 1집진판(360)과 제 2집진판(370)의 중심에는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되어 풍압, 충격 등에 의하여 집진판(300)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38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집진판(360)과 제 2집진판(370)의 간격은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정전기에 의하여 먼지, 미세먼지를 원활히 집진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있어서, 상기 집진판(300)의 일면에 부착되며,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전류차단판(390);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판(390)은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판(390)은 먼지가 집진된 후 공기가 관통하는 환기홀;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판(39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상기 제 2브라켓(200)에 체결되는 체결프레임;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체결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상기 제 2브라켓(20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착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집진판(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집진판(300)은 실내측에 형성되어 집진판(300)의 전류가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전류차단판(39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류차단판(390)은 도 9를 참조하면,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복수의 환기홀이 형성됨에 따라 집진판(300)에서 먼지 및 미세먼지가 집진된 후 공기가 원활히 관통되는 것이다. 전류차단판(390)은 투명 재질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집진판(300)의 일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전류차단판(390)은 집진판(300)에 접하지 않도록 긴장되어야 함에 따라 전류차단판(390)의 단부에는 체결프레임이 형성된다. 체결프레임은 제 1브라켓(100)과 제 2브라켓(200)에 체결되도록 착탈장치가 형성되며, 착탈장치는 접착제, 테이프 등 다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프레임은 전류차단판(390)에 긴장력이 유지되어 사용자가 집진판(300)에 접촉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전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류차단판(390)과 집진판(300)이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류차단판(390)의 타측에는 방충망(30)이 형성되어 벌레, 낙엽 등의 이물질이 집진판(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있어서,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에 형성되며, 창호의 샤시프레임(20)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500);을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500)에 형성되며, 상기 샤시프레임(20)에 결합되는 결합장치(510);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500)에 형성되며, 먼지 농도가 표출되는 표출장치(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전기 집진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표출장치(520)에 형성되며, 상기 집진판(300)의 전류량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기 집진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전기 집진장치(10)는 창호에 결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집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 집진장치(10)는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에 형성되며, 창호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500)이 형성된다. 장착프레임(500)은 창호의 샤시프레임(20)에 체결되는 것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교체 및 수리를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프레임(500)은 통전단자(400)가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며, 샤시프레임(20)에 결합되도록 결합장치(510)가 형성된다. 결합장치(510)는 클램프 등으로 형성되어 샤시프레임(20)에서 착탈 가능도록 형성된다. 또한, 장착프레임(500)에는 도 10을 참조하면, 먼지 농도, 전류량, 풍향, 풍속 등이 표출되는 표출장치(520)가 형성되며, 표출장치(520)에는 조작부가 형성되어 집진판(300)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창호가 닫힐 때는 집진판(3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창호가 열릴 때는 집진판(300)에 전류를 공급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먼지를 차단한다. 그리고 집진판(300)에 형성되는 풍향계에 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는 집진하고 실외로 배출되는 먼지는 배출되도록 전류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풍향에 따라 전류를 공급하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10: 전기 집진장치 20: 샤시프레임
30: 방충망 100: 제 1브라켓
110: 체결홈 120: 관통홈
200: 제 2브라켓 300: 집진판
310: 절곡부 320: 관통부
330: 관통홀 331: 접촉판
340: 삽입홀 350: 체결부재
351: 절곡부재 352: 고정부재
360: 제 1집진판 370: 제 2집진판
371: 전류부재 380: 보강부
390: 전류차단판 391: 환기홀
400: 통전단자 410: 전류공급장치
420: 제 1통전단자 430: 제 2통전단자
500: 장착프레임 510: 결합장치
520: 표출장치 600: 연결부재
610: 연결브라켓 620: 연결단자

Claims (7)

  1. 블록 형태의 제 1브라켓(100);
    상기 제 1브라켓(100)에 대향 설치되며, 블록 형태의 제 2브라켓(200);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 사이에 위치하며, 복수로 형성되는 집진판(300);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에 형성되며,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집진판(300)의 양단이 체결되는 체결홈(110);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에 형성되며,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110)과 타면에 형성되는 관통홈(120);
    상기 집진판(300)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집진판(300)과 결합되는 통전단자(400);
    상기 집진판(300)의 일측에 부분 절곡되며,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상기 제 2브라켓(200)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10);
    상기 집진판(30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관통되는 관통부(320);
    상기 관통부(320)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관통되는 관통홀(330);
    상기 관통홀(33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삽입되는 삽입홀(340);
    상기 관통부(320)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단자(40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50);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300)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브라켓(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집진판(360);
    상기 제 1집진판(360)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2브라켓(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2집진판(370);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집진판(37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집진판(360) 방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류부재(371);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300)의 일면에 부착되며,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전류차단판(390);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라켓(100) 및 제 2브라켓(200)에 형성되며, 창호의 샤시프레임(20)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500);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장치.
KR1020210153703A 2021-11-10 2021-11-10 전기 집진장치 KR10240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703A KR102406799B1 (ko) 2021-11-10 2021-11-10 전기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703A KR102406799B1 (ko) 2021-11-10 2021-11-10 전기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799B1 true KR102406799B1 (ko) 2022-06-08

Family

ID=8198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703A KR102406799B1 (ko) 2021-11-10 2021-11-10 전기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79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946A (ja) * 1994-01-31 1995-08-15 Keiichi Hara 電気集塵装置
KR20150119780A (ko) * 2014-04-16 2015-10-26 주식회사 광세로 방충망 장치
KR20190006208A (ko) 2017-07-10 2019-01-18 윤진성 정전기유도 미세먼지 방지창
KR20200010688A (ko) 2018-07-18 2020-01-31 신정선 정전기 발생에 의한 미세먼지 집진 및 유입 방지 장치
KR20200120252A (ko) * 2019-04-12 2020-10-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
KR20200136531A (ko) 2019-05-27 2020-12-08 신정선 정전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집진 및 유입방지 장치
KR20210002827A (ko) 2019-07-01 2021-01-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장을 이용한 미세먼지제거 창호 환기장치
KR20210059852A (ko) * 2019-11-15 2021-05-26 한국기계연구원 전기 집진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946A (ja) * 1994-01-31 1995-08-15 Keiichi Hara 電気集塵装置
KR20150119780A (ko) * 2014-04-16 2015-10-26 주식회사 광세로 방충망 장치
KR20190006208A (ko) 2017-07-10 2019-01-18 윤진성 정전기유도 미세먼지 방지창
KR20200010688A (ko) 2018-07-18 2020-01-31 신정선 정전기 발생에 의한 미세먼지 집진 및 유입 방지 장치
KR20200120252A (ko) * 2019-04-12 2020-10-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
KR20200136531A (ko) 2019-05-27 2020-12-08 신정선 정전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집진 및 유입방지 장치
KR20210002827A (ko) 2019-07-01 2021-01-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장을 이용한 미세먼지제거 창호 환기장치
KR20210059852A (ko) * 2019-11-15 2021-05-26 한국기계연구원 전기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9887A (en) Electronic air filter
KR102601218B1 (ko) 공기조화장치
EP0665061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5290343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chine for charging dust particles contained in air and capturing dust particles with coulomb force
EP2532434A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047762B1 (ko) 전기 집진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KR102406799B1 (ko) 전기 집진장치
US3108865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S62102844A (ja) 電気集塵機
KR20200136531A (ko) 정전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집진 및 유입방지 장치
KR200142511Y1 (ko) 전기집진장치
JP3257271B2 (ja) 電気集塵エレメントの集塵部
CN208059091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0743710B (zh) 电集尘用带电装置及其控制方法
JPH08266928A (ja) フィルターユニット
CN216080173U (zh) 一种荷电装置及智能免维护机房新风节能系统
KR101240257B1 (ko) 부유물 포집장치
JP6508356B2 (ja) 放電デバイス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2062286B1 (ko) 방충망과 일체화된 집진망을 갖는 집진 방충망
CN2189002Y (zh) 高压静电除尘电场装置
CN214390641U (zh) 带负离子功能的静电集尘装置
CN210187414U (zh) 一种板丝一体净化装置
KR200156415Y1 (ko) 전기집진장치
CN113457846A (zh) 带有静电集尘装置的新风机及新风机用静电集尘装置
KR970020199A (ko)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