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760B1 -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760B1
KR102406760B1 KR1020197000555A KR20197000555A KR102406760B1 KR 102406760 B1 KR102406760 B1 KR 102406760B1 KR 1020197000555 A KR1020197000555 A KR 1020197000555A KR 20197000555 A KR20197000555 A KR 20197000555A KR 102406760 B1 KR102406760 B1 KR 102406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aming device
processor
motion
im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544A (ko
Inventor
브렛 리키
Original Assignee
브렛 리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182,146 external-priority patent/US9604136B1/en
Priority claimed from US15/462,411 external-priority patent/US9737817B1/en
Application filed by 브렛 리키 filed Critical 브렛 리키
Publication of KR2019004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63F13/24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Golf Club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게이밍 디바이스(10) 내의 전자장치 모듈(160)은, 가속 모션, 각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관성 측정 유닛(161)("IMU"), 및 충격의 순간을 최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그리고 가상의 골프공 또는 다른 가상의 오브젝트의 가상의 궤도를 예측하기 위한 광학기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표적 오브젝트(202)의 가상의 궤도는, 게이밍 디바이스 그 자체 상의, 컴퓨터 상의, 또는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02)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진동 또는 사운드 소자와 같은 햅틱 부재(200)는 샤프트 하우징(120) 내에 배치되고 샤프트 하우징(120)이 스윙을 나타낼 때 볼 충격을 시뮬레이팅하도록 작동된다.

Description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14년 2월 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인 미국 특허 가출원 제61/935,064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2015년 2월 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인 미국 특허 출원 제14/613,160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2016년 6월 14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인 미국 특허 출원 제15/182,146호의 이익을 주장하는데, 상기 종래 출원은 그들 전체가 각각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스포츠 디바이스 시뮬레이터(sporting device simulator)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골프 클럽 샤프트 및 시뮬레이션 장치와 같은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실적인 스포츠 경험을 제공하는 전자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관련 비디오 게이밍 시스템용 시장은 방대하다 - 전세계적으로 전자 게이머는 12억명이 있으며, 7억명이 온라인 게임을 플레이하며, 추정된 1억 2천만명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골프 관련 게임을 플레이한다. "게이밍"을 생각할 때 스포츠 관련 게임이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게이머가 오브젝트를 휘두르는 것을 필요로 하는 비스포츠 관련 게임도 또한 인기가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면, 게임은 도끼, 검, 무기 등을 휘두르는 것을 시뮬레이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스포츠는 양호한 예를 제공하며, 하기의 개시에서 더욱 특별히 참조될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스포츠를 시도하기 위해 그리고 스포츠의 스킬 및 기술에 관해 사용자를 트레이닝시키기 위해 게이머에게 실제로 영향을 주는 방법 및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참조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포츠 시뮬레이션의 스릴을, 진짜 골프 클럽을 실제로 스윙하는 물리적 경험과 결합하는 골프 클럽 시뮬레이션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선택된 클럽의 실제 느낌을 시뮬레이팅하기 위해, 자신의 중량 분포 및 샤프트 유연성/굴곡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 시뮬레이션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천장 높이 제한 없이 실내에서의 스윙을 허용하는 고정 길이 클럽(또는 제한된 가변 길이의 클럽)만을 사용하면서, 선택 가능한 수의 클럽의 각각에 대해 샤프트 방위의 적절한 각도를 사용자에게 트레이닝시키는 골프 클럽 시뮬레이션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비록 골프가 인기있는 게임이지만, 골프 코스에서 진짜 골프를 실제로 플레이하는 사람들의 수는, (1) 상당한 연습 또는 게임 플레이 없이는 게임의 어려움, 및 (2) 적절한 스윙 기술을 배우는 데 필요한 상당한 양의 시간을 비롯한, 다수의 이유 때문에 최근 정체되고 있다. (예컨대, 마우스 클릭 및 조이스틱을 사용한) 전통적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캐주얼 비디오 게임을 단순히 즐기는 것은, 실제 게임 스킬을 개발하도록 그리고, 그 다음, 나가서 게임을 플레이하도록 게이머를 장려할 사실적인 스윙 기술을 가르치지 않는다.
또한, 전통적인 골프 시뮬레이터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통해, 그리고, 심지어, 지팡이와 비슷한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골프 게임을 시뮬레이팅하려고 시도하였다. 현존하는 디바이스는, 비록 그들의 의도된 목적에 대해 아마 효과적일지라도, 각각의 골프 코스의 시각적 표현, 가상의 바람 및 지리적 조건, 시뮬레이팅된 골프 클럽을 스윙하는 타이밍에 중점을 둔다. 현존하는 골프 시뮬레이션 제품은, 사용자가, 실제 길이, 중량, 스윙 속도/저항, 및 골프공을 실제로 칠 때의 충격을 느끼는 것 및 경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예컨대 스마트 폰 상에서의 캐주얼 비디오 게임, 온라인 게임, 및 콘솔 게임은, 실제 골프 게임 기술을 가르치는 데에는 또는 실제 골프 클럽을 가지고 실제로 게임을 하도록 게이머를 장려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반대로, 골프 스윙 트레이닝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광학기기(optics) 기술과 함께 실제 클럽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전자 골프 게임의 하나의 중요한 제한점은, 골프 클럽의 "가상의 스윙"에 의해 충격을 받는(impacted) 골프공의 실제 궤도를 계산 및 표시하는 능력이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실제 샤프트 또는 막대가 스윙되거나 또는 볼 타격이, 단지, 키보드 버튼을 누르는 것 또는 마우스를 클릭하는 것의 문제인 경우, 속도, 각도, 회전, 및 다른 파라미터는, 캡처되지 않거나, 계산되지 않거나, 또는 가상의 표적 오브젝트 - 이 경우 골프공 - 와의 충격에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게이밍 디바이스의 가속도 데이터(rate of acceleration data) 및 각도 회전 데이터를 검출 및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관성 측정 유닛(inertial measurement unit: "IMU")을 구비하는 게이밍 이벤트(골프)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게이밍 디바이스는 골프 클럽을 나타내는 샤프트일 수도 있다. 또한, IMU와 통신하는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로부터 변위되는 표적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게이밍 디바이스와 관련되는 광학기기 어셈블리(optics assembly)를 구비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미지 센서 및 IMU 데이터는, 함께, 게이밍 디바이스(예를 들면, 골프 클럽)에 의해 충격을 받는 또는 상호 작용하게 되는 표적 오브젝트의 가상의 궤도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사람들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캐주얼 게임, 콘솔 게임 등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변경시키는, 그리고 스포츠에 실제로 참여하도록 게이머에게 영향을 끼치기 위한 목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시뮬레이팅되고 있는 스포츠 또는 스포츠 기기의 실제 감각을 통합하는 것에 의해, 오늘날 존재하는 수천 개의 IOS, 안드로이드(Android), 및 콘솔 게임에서 유용할 것이다. 예를 들면, 골프 경험이 구현되면, 본 발명은, 볼 비행 모델, 실제 클럽 느낌, 클럽 포지션 각도 센서, 볼 충격 감지, 및 다른 햅틱 피쳐 - 이들 모두는 하기에서 설명될 것임 - 를 포함할 것이다.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은 다음의 두 개의 시각적 매체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1) 온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2) IOS, 안드로이드, 태블릿, 콘솔, 퍼스널 컴퓨터, 랩탑, 클라우드 기반의 게임 등과 같은, 원격 전자 디바이스 상의 게임 플랫폼.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은,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시각적 매체 둘 모두와 통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머를 골퍼로 전환"시키는 것, 더 일반적으로는, 게이머를, 시뮬레이팅되는 각각의 스포츠의 열광자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통적인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예컨대 미미한 햅틱 응답(진동 또는 사운드)을 갖는 조이스틱, 컴퓨터 마우스, 모바일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및 심지어 카메라 예컨대 Wii™을 대체하도록 의도된다. 현존하는 게임 인터페이스는 사실적인 느낌의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realistic feel interactive interface)를 가지고 있지 않다.
본 장치는, 초보자가, 전용 여행 및 골프 연습장 굴욕(driving range humiliation)을 가질 필요 없이, 잠깐 플레이할 수 있고 자주 돌아 올 수 있도록 가정에서의 사용을 허용한다. 또한, 미국의 열렬한 골퍼(약 620만명)는 현재의 장치를 내부 및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고, 피드백은, 그들이, 스윙 변화를 행하는 것, 연습하는 것 및 개선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밍 디바이스의 전자장치 모듈(electronics module)은, 가속 모션, 각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관성 측정 유닛(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및 충돌의 순간을 최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그리고 가상의 골프공 또는 다른 가상의 오브젝트의 가상의 궤도를 예측하기 위한 광학기기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적 오브젝트의 가상의 궤도는, 게이밍 디바이스 그 자체 상의, 컴퓨터 상의, 또는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진동 또는 사운드 소자와 같은 햅틱 부재는 샤프트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샤프트 하우징이 스윙을 나타낼 때 볼 충격을 시뮬레이팅하도록 작동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기술은, 현존하는 그리고 미래의 전자 게이밍 시스템에 통합될 소프트웨어 개발 모듈 또는 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스포츠 관련 디바이스(이하,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로 칭해짐)를 스윙하는 것의 경험을, 각각의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는 비디오 게임의 즐거움과 결합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데이터 및 각도 회전 데이터를 검출하고 생성하는 관성 측정 유닛("IMU")을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전히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 및 사운드와 같은 햅틱 소자를 갖는 클럽의 골프 스윙을 행할 때 표적 오브젝트(예를 들면, 가상의 골프공)와의 상호 작용(예를 들면, 충격)을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가 시뮬레이팅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전히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IMU와 데이터 통신하는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로부터 변위되는 표적 이미지 부재(target image member)를 구비하는 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표적 부재의 공간 포지션을 나타내는 이미지 표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밍 디바이스의 모션의 결과로서 가상적으로 충격을 받는 경우(예를 들면, 클럽에 의한 충격), 생성된 가속 데이터, 각도 회전 데이터, 및 이미지 표적 데이터가, 함께, 이미지 표적의 가상의 궤도의 계산을 가능하게 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지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인데, 첨부의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예시 및 예로서 기술된다.
도 1a는, 관성 측정 유닛 및 광학기기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 중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 클럽 시뮬레이션 장치의 개략도;
도 1b는, 관성 측정 유닛(IMU)과 함께 사용 중인, 도 1a에서와 같은 골프 클럽 시뮬레이션 장치의 다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어셈블리의 블록도;
도 3은, 도 2에서와 같은 관성 측정 유닛(IMU)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시뮬레이션 장치의 사시도;
도 5a는, 도 4에서와 같은 골프 클럽 시뮬레이션 장치의 평면도(top view);
도 5b는 도 5a에서와 같은 골프 클럽 시뮬레이션 장치의 측면도;
도 5c는 도 5a의 라인 5c-5c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d는 도 4에서와 같은 헤드 하우징의 평면도;
도 6은, 도 4에서와 같은 골프 클럽 시뮬레이션 장치의 분해도;
도 7a는, 도 6에서와 같은 입력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7b는, 도 7a에서와 같은 입력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7c는, 도 7b의 입력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8a는, 도 6에서와 같은 그립 부재의 측면도;
도 8b는, 도 8a에서와 같은 그립 부재의 사시도; 및
도 8c는, 도 8a에서와 같은 그립 부재의 저면 측면도(bottom side view).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이제, 첨부의 도면의 도 1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하나 이상의 게이밍 활동 또는 게이밍과 유사한 다른 기능을 시뮬레이팅함에 있어서 유용한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의 논의 및 이해의 이점을 위해, 게이밍 디바이스(10)는, 첨부의 도면에서, 골프 스윙 및 사실적인 게임 플레이를 시뮬레이팅하는 사용 중인 골프 클럽의 형태로 예시된다. 예시적인 그러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는 게이밍 디바이스(10)는, 샤프트 하우징(120), 그립 부재(130), 클럽 헤드 하우징(140), 및 관성 측정 유닛("IMU")(161)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모듈(160)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IMU(161)는 또한, 다른 스포츠, 다른 게임, 또는 디바이스의 모션을 수반하는 유사한 활동의 플레이를 시뮬레이팅하도록 구성되는 게이밍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10)는, 그것의 하우징(본 도면에서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하우징(120)을 포함함)의 형태에 상관 없이, 가속도 데이터 및 각도 회전 데이터를 검출 및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관성 측정 유닛("IMU")(161)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게이밍 디바이스(10)는, 게이밍 디바이스에(예를 들면, 샤프트 하우징(120)에) 그리고 프로세서(104) 또는 제어 회로부(circuitry)에 커플링되는 전자장치 모듈(160)을 포함한다. 전자장치 모듈(160)은 프로세서(104)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4)의 동작은, 사전 인쇄된 회로부 및 다른 전자장치(electronics)에 의한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저장되는 프로그래밍 명령어의 실행일 수도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 명령어에 따른 프로세서(104)의 동작은, 프로세서(104)가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것으로 간단히 설명될 수도 있다.
이제, 더욱 구체적으로, 전자장치 모듈(160)은 가속도계(162), 자이로스코프(163), 및 자력계(164)를 구비하는 관성 측정 유닛("IMU")(161)을 포함한다. IMU(161)는, 스윙 속도, 각속도, 중량 변동 설정(나중에 설명됨), 선택된 클럽에 대한 공기 저항/항력 등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클럽이 스윙될 때의 많은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IMU(161)의 동작은 이하에서 더욱 추가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먼저, 본 발명의 동작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세장형(elongate)의 샤프트 하우징(120)은 대향하는 하부 단부(122) 및 상부 단부(124)를 포함한다(도 4). 샤프트 하우징(120)은 상부 및 하부 단부 사이에서 내부 영역을 획정하고, 그 결과 다른 어셈블리 및 전자장치가 그 안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샤프트 하우징(120)은 또한, 샤프트 하우징(120)의 내측 또는 외측 표면에 커플링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채널은 각각의 전자 컴포넌트, 배터리(62), 및 각각의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wire)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기적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로 알려진 것과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62)는 재충전 가능한 6-시간 배터리이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 하우징(120)은, 클럽이 스윙될 때 샤프트 하우징(120)에 의해 경험되는 토크 및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에 따라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굴곡될 TPE와 같은 반 강성 재료로 구성된다. 헤드 하우징(140)과 그립 부재(130)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분(125)에서는, 가요성 샤프트 하우징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립 부재(130)는, 샤프트 하우징(120)의 상부 단부(124)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근위 단부(132) 및 근위 단부(132)에 대향하는 원위 단부(134)를 포함한다. 그립 부재(130)는, 다른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챔버(135)를 획정할 수도 있다. 그립 부재(130)는, 그 외관 및 촉각 특성에서 전통적인 골프 클럽의 그립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샤프트 하우징(120), 그립 부재(130), 헤드 하우징(140), 및 다른 관련된 구조적 컴포넌트는, 바람직하게는,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 사용자에 의해 동등하게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대칭 구성을 가질 것이다는 것이 이해된다.
촉각 멤브레인 스위치(tactile membrane switch)(131)(또는 멤브레인 스위치의 어레이)는 그립 부재(130)에 커플링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손이 그립 부재(130)를 파지할 때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131)는,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입력 어셈블리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데이터 통신한다.
이제, IMU(161)를 추가로 참조하면, 가속도계(162)는, 가속도, 예를 들면, 샤프트 하우징(120)의 스윙의 모션을 검출하도록, 그리고 가속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자이로스코프(163)는 회전 운동, 예를 들면, 샤프트 하우징(120)의 각운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가속도계(162) 및 자이로스코프(163) 각각은 실세계 모션의 x, y, z축에서 데이터의 3개의 별개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모션의 여섯(6)개의 별개의 속성이 단지 이들 두 개의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중 축 가속도계(3축) 가속도계는 가속력을 3차원(모션의 x, y 및 z축)에서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것과 대비하여, 이중 축(2축) 무접점 가속도계(solid state accelerometer)는 가속을 2 방향에서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최대 포지션 및 모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및 자력계의 무접점 조합(solid state combination)이 활용될 수도 있다.
캡처는 병진 및 회전 운동 둘 모두로 분해될 수 있다. 병진 운동은, 상/하, 좌/우, 전/후 운동을 나타낸다. 회전 운동은 피치, 롤 및 요(yaw)를 나타낸다. 가속도계는 병진 운동에서 비 중력 가속력을 측정한다. 9.8 m/s2의 중력 상수의 힘에 대한 각각의 좌표 (x, y, z)의 관계는 또한, 오브젝트가 다른 축 중 하나를 따라 똑바로 위아래로 향하는지 또는 기울어지는지를 검출할 것이다.
가속도계(162)와는 달리, 자이로스코프(163)는 회전력을 측정할 수 있고, 그 결과, 그것은, 각속도로도 또한 칭해지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의 속도를 측정한다. 그것은, 축을 기준으로 하는 초당 회전 또는 초당 선회의 정도를 측정한다. 그것은 오브젝트의 병진 운동과는 관련이 없으며,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휠을, 그것을 가지고 방을 돌아 다닐 수 있지만, 그것의 모든 축 상에서 완벽하게 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 그것은 각속도의 어떠한 변화도 가리키지 않을 것이다.
자력계(164)는 전체 공간 방위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방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자력계는,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에 의해 생성되는 에러를 검증, 확인, 또는 다르게는 보정하는 것에 의해, IMU를 교정하도록 구성된다. 자력계는, 본질적으로, 다른 센서에서 존재할 수 있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것은, 다른 두 센서가 놓치고 있는 "새로운" 축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은, 더 나은 정확도 결과를 위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센서의 융합을 허용한다.
IMU 데이터 생성은, IMU(161)가 게이밍 디바이스(10)의 정지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즉,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하우징(120)의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뿐만 아니라 움직이고 있는 포지션(in-motion position)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골프 시뮬레이팅 디바이스의 예에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결정된 클럽 데이터는 샤프트 하우징(120)의 대응하는 각도와 관련될 수도 있다. 또한, IMU(161)는 하우징(120)의 각도에 의해 사용자의 클럽 선택을 결정할 수 있다. 현재 클럽 선택은, 사용자의 선택을 확인하도록 또는 선택을 변경할 추가적인 기회를 제공하도록, 게이밍 디바이스(10)와 관련되는 디스플레이(102)에 게시될(publish)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의 IMU(161)의 동작은, 사용자가 클럽 선택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가능한 수단이다. 다시 말하면, 자이로스코프(163)는 샤프트 하우징(120)의 초기(정지 상태) 공간 포지션, 즉 "시작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으며, 정확한 포지션에 있는 경우에만, 확인을 디스플레이(102)에 게시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클럽이 스윙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각각의 LED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점등하게 할 수도 있다.
동작시, 가속도계(162) 또는 자이로스코프(163)는, 스윙 속도, 각속도, 중량 변동 설정,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10)에 대한 공기 저항/항력 등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많은 파라미터를,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10)가 스윙되고 있을 때 실시간으로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자이로스코프(163)는, 샤프트 하우징(120)의 초기(정지 상태) 공간 포지션("시작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고, 올바른 포지션에 있는 경우에만, 클럽이 스윙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각각의 LED를 작동시켜 점등하게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되는 IMU(161)로부터의 모션 및 회전 데이터는, 가상의 이미지 표적의 가상의 궤도(예를 들면, 예컨대 헤드 하우징(140)에 의해 타격되는 가상의 골프공, 즉, 가상의 공 경로)를 결정하도록 전자장치 모듈(160) 내의 회로부 또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분석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전자장치 모듈(160) 내의 회로부는 궤도 데이터가 입력 부재(100)의 디지털 디스플레이(102) 상에 그래픽적으로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 모듈(160) 내의 각각의 센서로부터의 모션 데이터 및 각도 데이터는 프로세서(104)로 송신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더 참조하면, 프로세서(104)는 디지털 디스플레이(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로그래밍을 실행하면, 샤프트 하우징(120)의 스윙의 결과로서 헤드 하우징(140)에 의해 타격되는 가상의 공 또는 다른 가상의 표적의 궤도는 디지털 디스플레이(102)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궤도를 계산하는 것은, 볼 스핀, 속도, 발사 각도, 다이나믹 로프트(dynamic loft) 등에 관련이 있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신호 전송을 사용하면, 궤도 또는 다른 스윙 통계치가, 랩탑 컴퓨터, 원격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다른 원격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원격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더 참조하면, 마이크가 프로세서(104)와 데이터 통신할 수도 있고, 게임 플레이 명령어, 커맨드, 또는 선택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골프 시뮬레이팅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적용될 때, 마이크는 그립 부재(130)의 내부 챔버(135)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는 그립 부재(130)의 원위 단부(134)에 커플링되고, 부분적으로는 내부 챔버(135) 내부에 위치되고, 부분적으로는 원위 단부(134)로부터 연장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예컨대 원위 단부(134)에 의해 획정되는 어퍼처를 통해, 원위 단부(134)와 통신한다. 마이크는, 샤프트 하우징(120)을 따라 배치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또는 관련된 회로부 또는 프로세서에 적어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동작시, 마이크는 사용자로부터 가청의 클럽 선택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입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음성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에 의해 게시될 의미있는 클럽 사이즈 표시자로 정확하게 번역하기 위해,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또는 회로부가 또한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스피커는 또한 그립 부재(130)의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가청적으로 발화된 클럽 요청 또는 입력 버튼을 통해 요청되는 클럽을 가청적으로 확인하도록 마이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다기능 입력 부재(100)가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10)에 커플링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공급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입력 부재(100)는, 공급된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변경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프로세서(104)와 데이터 통신한다. 다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면, 입력 부재(100)는 샤프트 하우징(120)의 외측 표면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 입력 부재(100)는, 클럽 선택, 가상의 공 타격의 궤도, 클럽 옵션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102)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 부재(100)는, 사용자에 의한 클럽 선택이 이루어질 수도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 키패드, 터치 스크린 소자, 다이얼 등과 같은 데이터 입력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 부재(100)는, 비일시적인 메모리(106)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래밍 명령어를 실행하는 회로부, 또는 바람직하게는, (앞서 설명된) 프로세서(104)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프로세서(104) 및 메모리(106)는 입력 부재(100)에 위치된다. 프로세서(104)는 디지털 디스플레이(102)에 커플링될 수도 있으며, 프로그래밍을 실행하면, 데이터 입력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클럽 선택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골프 클럽 사이즈, 중량, 다른 클럽 특성, 사용자 선택 데이터 등에 관한 미리 결정된 데이터는 메모리(106)에 저장될 수도 있다.
비록 "일반적으로 정확한" 궤도를 제공하기에는 만족스럽지만, IMU(161)에 의해 공급되는 모션 및 회전 데이터는, 가상의 오브젝트(예컨대 가상의 공)가 가상의 스윙에 의해 실제로 어떻게 충격을 받을 것인지에 의존하는 실제 궤도를 계산하기에는 완전히 정확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격의 "순간" 직전 및 직후의 가속 및 각도 데이터는, 가상의 오브젝트, 예를 들면, 골프공의 실제의 그리고 정확한 궤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헤드 하우징(140)의 가상의 클럽면(club face)이 충격의 순간을 나타내는 유형의 랜드마크(tangible landmark)를 어떻게 다루는지의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광학기기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광학기기 어셈블리는 상기에서 설명되는 IMU(161) 및 프로세서(104)와 데이터 통신하는 이미지 센서(201)를 포함하고, 이미지 센서(201)로부터 원격의 그리고 변위되는 이미지 표적 부재(202)(표적 오브젝트(202) 또는 이미지 표적(202)으로도 또한 칭해짐)를 포함한다. 광학기기 어셈블리는, 프로세서(104)가, 충격의 순간 이전 및 이후의 가상의 표적 오브젝트에 대한 게이밍 디바이스(10)의 방위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면, 이미지 표적 부재(202)에 대한 헤드 하우징(140)의 방위를 결정하기 위한 광학기기 어셈블리의 사용이 도 3a 및 도 3b에서 예시된다. 이미지 센서(201)는 전자장치 모듈(16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이미지 표적(202)의 사진을 촬상하도록 지시받을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이미지 센서(201)는, 초당 미리 결정된 수의 스냅샷("프레임")(이것은 "fps"로 칭해질 수도 있음)을 촬상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이다. 이미지 표적(202)은, 이미지 센서(201)에 의한 각각의 스냅샷에 의해 캡처되어 프로세서(104)로 전달될 때, 이미지 표적과의 "충격의 순간"을 나타내는 복수의 포지션 표식(indicia)을 갖는 유형의 디바이스, 예컨대 매트, 공, 또는 다른 랜드마크일 수도 있다.
이미지 표적(202)의 포지션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스냅샷은 수학적으로 나타내어지고 표현될 수 있으며 가상의 오브젝트의 더욱 정확한 궤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에서 설명되는 IMU 데이터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구체적으로, IMU 데이터는, 광학기기 어셈블리를 작동시켜 "충격의 순간" 이전 및 이후에 광학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샤프트 하우징(120)의 스윙이 진행 중일 때를 검출하도록, 프로그래밍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해석될 수도 있다. 광학기기 어셈블리로부터의 데이터 및 IMU 데이터는, 함께, 프로세서(104)가, 프로그래밍 명령어를 통해, 샤프트 하우징(120)의 스윙에 기초하여 공 비행 경로 또는 궤도를 더욱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계산된 궤도는, 그 다음, 사용자에 의한 리뷰를 위해 디스플레이(102)에 게시될 수도 있거나 또는 랩탑, 태블릿, 스마트 폰, 텔레비전 등과 같은 원격 디바이스로 무선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머리 및 눈의 정확한 포지션은 양호한 스윙을 위한 기회를 크게 증가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입력 부재(100)를 더 참조하면, 디지털 디스플레이(102)는, 적절한 손, 발, 또는 머리 포지션이 검출되거나 또는 시연될 때, 단지 사용자와 통신하는 것 또는 사용자가 보게 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적절한 눈 및 머리 포지션을 효과적으로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스크린 시야각은, 사용자가 그들의 머리 및 눈을 그들의 스윙을 시작하기에 최상의 포지션에 둘 때까지 스크린을 볼 수 없도록,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스플레이(102)는, 디지털 디스플레이(102)를 미리 결정된 각도에서 보는 경우에만 디스플레이를 가시적으로 만드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디지털 디스플레이(102)는, 디스플레이(102)가 미리 결정된 각도를 제외하고는 시야에서 숨겨지도록, "제한된 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게임 디바이스 - 이 경우에는 골프 클럽 - 가 동작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머리 또는 손이 올바르게 배치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은, 직관적인 학습 또는 "제한된 각도 보기(Restricted Angle Viewing)" 또는 RAV로 칭해질 수도 있다. 사용자는, 필요한 그립, 스탠스, 머리 포지션, 또는 다른 포지션 속성이 정확한지 그리고 어떤 것이 플레이가 시작되는 것을 허용하는지에 관해 빠르게 학습한다. 디스플레이(102)는, 사용자에게, 선택되는 클럽에 기초하여 각각의 스윙의 시작에서 샤프트 하우징(120), 그들의 머리, 및 그들의 눈에 대한 정확한 시작 포지션 각도에 관해 직관적으로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LED 또는 OLED 스크린일 수도 있다. 스크린은, 선택되는 클럽에 기초하여, 샤프트 하우징(120)이 시작하기 바람직한 포지션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102) 상에 나타날 때까지, 사용자가 스크린을 보고 샤프트 하우징(120)의 시작 각도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을 발사체 지향적인 게임에 적용하면, 게임 그 자체는, 소망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소망되는 공 비행 모델을 위해 어떤 클럽으로 때려야 하는지에 관해 사용자에게 지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여전히 다른 양태에서, 실제 게임 플레이는 또한, 사용자의 감각에 호소하는 사운드 또는 진동 효과에 의해 시뮬레이팅될 수도 있다. 감각 효과(sensory effect)의 사용은, "햅틱" 설계 또는 시뮬레이팅된 인식(simulated perception)으로 칭해진다. 본 발명에서, 햅틱 부재(200)는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와 관련되고 전자장치 모듈(160) 또는 프로세서(104)와 데이터 통신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햅틱 부재(200)는 샤프트 하우징(120)에 커플링된다. 햅틱 부재(200)는 진동 소자 또는 사운드 방출 소자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전자장치 모듈은 또한 사운드 출력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휙하는 소리(swoosh)" 또는 볼 충격 사운드와 같은 사운드 출력은 무선 블루투스 장치를 통해 헤드폰으로 출력될 수도 있는데, 사운드 출력은, 게이밍 디바이스(10)(예를 들면, 샤프트 하우징(120))의 운동이 검출되고 스윙을 나타내는 경우에 작동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예로서, 사운드는 IMU(161)에 의해 검출되는 바와 같이 샤프트 하우징(120)의 정확한 운동과 관련될 수도 있거나 또는 샤프트 하우징(120)의 정확한 운동을 나타낼 수도 있다. IMU(161)는, 샤프트 하우징(120)이 움직이고 있다는 것 및 해당 헤드 하우징이 지표면에 근접하고 있다는 것 또는 가상의 골프공에 근접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 모션 데이터 및 각도 데이터가 나타내는 경우에 진동 활성화 신호 또는 사운드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면, 사운드는 샤프트 하우징(120)의 속도 및 운동량(momentum)과 관련될 수도 있다, 즉, 사운드는 실제 골프 클럽의 스윙 사운드의 현실성을 시뮬레이팅하기 위해 볼륨을 증가시킬 수도 있거나 또는 자신의 조성(tonality) 또는 공진을 변경할 수도 있다. 사운드 전자장치는 또한, 실제 공 타격을 흉내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사용에서, 사용자는 그가 어떤 사이즈 또는 타입의 골프 클럽을 스윙하기를 원하는지를, 따라서,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10)에 의해 어떤 사이즈 또는 타입의 골프 클럽이 시뮬레이팅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클럽 선택은, 단순히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결정된 클럽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도로 샤프트 하우징(120)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IMU(161)는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샤프트 하우징(120)의 각도를 결정할 수 있고 적절한 피드백을 디스플레이(102)에 게시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입력 부재(100)를 통해 소망되는 클럽을 선택할 때까지, 반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클럽 선택은, 사용자가 마이크에 숫자 또는 영숫자 명칭을 말하는 것에 의해 또는 각각의 입력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그 다음, 클럽 선택은 디지털 디스플레이(42) 상에 "게시"되며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른 컴포넌트로 전달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그립 부재(130)를 파지하여 실제 골프 클럽을 스윙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클럽(즉,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을 스윙할 준비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스윙하기 이전에, 샤프트 하우징(120)의 각도는 적절하게 기울어져야만 하고, 헤드 하우징(140)은 시뮬레이팅된 공에 대해 적절하게 배치되어야만 한다. IMU(161)와 관련되는 전자장치는 샤프트 하우징(120)의 포지션에 관한 각도 데이터를 결정한다. 샤프트 각도 및 클럽 헤드면이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회로부 또는 프로세서가 결정하면, 샤프트 하우징(120)이 스윙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LED는 에너지를 받을 수도 있거나 또는 이미지가 디지털 디스플레이(102)에 게시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사용자가 게이밍 디바이스(10)를 스윙하는 경우, IMU(161)의 센서, 한 실시형태에서, 광학기기 어셈블리는, 가상의 공 또는 다른 오브젝트의 궤도가 계산되어 디스플레이(102)에 게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윙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신호 전송을 사용하면, 궤도 또는 다른 스윙 통계치가, 랩탑 컴퓨터, 원격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다른 원격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원격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햅틱 감각 또는 사운드가 또한 작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소정의 형태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제한이 다음의 청구범위 및 청구범위의 허용 가능한 기능적 등가물에 포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원리 및 구조는, 많은 다른 스포츠 관련 디바이스의 운동 및 많은 스포츠, 게임, 및 전자 게이밍 애플리케이션의 시뮬레이션에 적용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로서,
    핸드헬드 게이밍 운동에 관한 가속도 데이터(rate of acceleration data) 및 각도 회전 데이터를 검출 및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와 관련되는 관성 측정 유닛(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상기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 및 상기 각도 회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IMU와 데이터 통신하는,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 내에 배치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의 모션에 관련되는 현재 경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 및 상기 각도 회전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프로그래밍됨; 및
    상기 IMU 및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 통신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변위되는 이미지 표적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와 관련되는 광학기기 어셈블리(optics assembly)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이미지 표적 부재의 공간 포지션을 나타내는 이미지 표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광학기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가속 및 각도 회전 데이터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 표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의 상기 모션에 의해 가상적으로 충격을 받는(impacted) 상기 이미지 표적의 가상의 궤도를 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측정 유닛은,
    가속도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계;
    회전 운동을 검출하도록 그리고 각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공간 방위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방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자력계 센서를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계는, 병진 또는 비 중력 가속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선형 가속도계 및 각도 가속도계 중 하나이며; 그리고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회전의 피치, 요(yaw), 및 롤 속성(roll attribute)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초당 미리 결정된 수의 스냅샷을 촬상하도록 그리고 상기 스냅샷과 관련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이고;
    상기 이미지 표적은,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한 각각의 스냅샷에 의해 캡처될 때, 헤드 하우징의 모션에 의해 가상적으로 충격을 받을 "순간"을 나타내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 통신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의 실제 모션 시 가상적으로 충격을 받는 가상의 표적 오브젝트의 궤도를, 상기 광학기기 어셈블리에 의해 결정되는 충격의 "순간" 이전 및 이후 둘 모두에서 상기 IMU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모션 데이터 및 상기 각도 데이터에 따라 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궤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도록(publish) 프로그래밍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에 커플링되는 전자장치 모듈(electronics module)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자장치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IMU를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에 커플링되는 입력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 부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입력 컴포넌트;
    상기 사용자 제공 데이터, 미리 결정된 게이밍 디바이스 데이터, 및 프로그래밍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와 데이터 통신하고 상기 프로그래밍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궤도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게 하는 프로그래밍을 상기 메모리 내에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MU 및 상기 광학기기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의 방위가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와 관련되는 미리 결정된 방위 데이터와 매치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만약 매치한다면, 긍정의 표식(affirmative indicia)을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는,
    대향하는 하부 단부 및 상부 단부를 구비하며 그들 사이에 내부 영역을 획정하는 세장형(elongate)의 샤프트 하우징;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상기 하부 단부에 커플링되며 개방 공간을 획정하는 헤드 하우징으로서,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하부 부분은 상기 개방 공간 내에 위치되는, 상기 헤드 하우징;
    배터리; 및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 커플링되며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 부재로서, 상기 입력 부재는 클럽 선택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입력 부재를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하우징에 커플링되며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장치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자장치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IMU를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데이터 및 상기 각도 데이터와 상기 광학기기 어셈블리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실제 스윙시 충격을 받는 가상의 골프공의 궤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부를 상기 전자장치 모듈 내에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와 관련되며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 통신하는 햅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IMU는,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가 움직이고 있고 상기 이미지 표적 부재에 근접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 및 상기 각도 회전 데이터가 나타내는 경우, 진동 활성화 신호 또는 사운드 활성화 신호 중 하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햅틱 부재는, 상기 진동 또는 상기 사운드 활성화 신호의 수신시, 사운드 또는 진동 출력 중 하나를 각각 야기하도록 작동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컴포넌트는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 통신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16.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와 관련되는 관성 측정 유닛("IMU")을 통해 가속도 데이터 및 각도 회전 데이터를 검출 및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 및 상기 각도 회전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의 모션에 관련되는 현재 경로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와 관련되는 광학기기 어셈블리를 통해 이미지 표적 부재의 공간 포지션을 나타내는 이미지 표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학기기 어셈블리는 상기 IMU 및 프로세서와 데이터 통신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변위되는 이미지 표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생성된 가속 및 각도 회전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이미지 표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의 상기 모션에 의해 가상적으로 충격을 받는 상기 이미지 표적 부재의 가상의 궤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측정 유닛은,
    가속도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계;
    회전 운동을 검출하도록 그리고 각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공간 방위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방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자력계 센서를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계는, 병진 또는 비 중력 가속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선형 가속도계 및 각도 가속도계 중 하나이며; 그리고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회전의 피치, 요, 및 롤 속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초당 미리 결정된 수의 스냅샷을 촬상하도록 그리고 상기 스냅샷과 관련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이고;
    상기 이미지 표적은,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한 각각의 스냅샷에 의해 캡처될 때, 헤드 하우징의 모션에 의해 가상적으로 충격을 받을 "순간"을 나타내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작동 시 진동하는 것 또는 사운드를 방출하는 것 중 하나를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에 커플링되는 햅틱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핸드헬드 게이밍 디바이스가 움직이고 있고 상기 이미지 표적 부재에 근접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 및 상기 각도 회전 데이터가 나타내는 경우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햅틱 부재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KR1020197000555A 2016-06-14 2017-07-13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06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82,146 2016-06-14
US15/182,146 US9604136B1 (en) 2014-02-03 2016-06-14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
US15/462,411 2017-03-17
US15/462,411 US9737817B1 (en) 2014-02-03 2017-03-17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gaming event
PCT/US2017/041839 WO2018052514A1 (en) 2016-06-14 2017-07-13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gaming ev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544A KR20190042544A (ko) 2019-04-24
KR102406760B1 true KR102406760B1 (ko) 2022-06-08

Family

ID=6161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555A KR102406760B1 (ko) 2016-06-14 2017-07-13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73387B2 (ko)
EP (1) EP3468679B1 (ko)
KR (1) KR102406760B1 (ko)
AU (1) AU2017326959B2 (ko)
WO (1) WO2018052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6301A1 (ja) * 2018-07-30 2020-02-06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ゴルフゲームの制御方法
RU2750593C1 (ru) * 2020-11-10 2021-06-29 Михаил Юрьевич Шагиев Способ эмулирования нажатия стрелок направления на клавиатуре, джойстике, или движения компьютерной мыши, подключаемых к компьютерному устройству,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полож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в пространстве
KR102573182B1 (ko) * 2021-05-06 2023-09-04 주식회사 에스지엠 단말 장치, 가상 스포츠 장치, 가상 스포츠 시스템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의 동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689A (ja) 2002-09-30 2004-04-15 Mitsumi Electric Co Ltd ゴルフゲーム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12100809A (ja) 2010-11-09 2012-05-31 Nintendo Co Ltd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4885B2 (en) * 2000-09-20 2013-02-26 Hitachi, Ltd.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US10360685B2 (en) * 2007-05-24 2019-07-23 Pillar Vision Corporation Stereoscopic image capture with performance outcome prediction in sporting environments
US8992322B2 (en) * 2003-06-09 2015-03-31 Immersion Corporation Interactive gaming systems with haptic feedback
US10569134B2 (en) * 2005-01-26 2020-02-25 K-Motion Interactive, Inc. Method and system for athletic motion analysis and instruction
US20100093458A1 (en) * 2008-10-09 2010-04-15 Roger Davenport Golf swing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
US7871333B1 (en) * 2010-05-11 2011-01-18 Golf Impact Llc Golf swing measurement and analysis system
US8425340B2 (en) * 2011-09-03 2013-04-23 Golf Impact Llc Golf free swing measurement and analysis system
US8668595B2 (en) * 2011-04-28 2014-03-11 Nike, Inc.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9211439B1 (en) * 2010-10-05 2015-12-15 Swingbyte, Inc. Three dimensional golf swing analyzer
KR101031432B1 (ko) * 2010-12-31 2011-04-26 (주) 골프존 비거리 감소율에 대한 보정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FR2973714A1 (fr) * 2011-04-08 2012-10-12 Thomson Licensing Dispositif pour controler le deplacement d'un joueur virtuel et d'un ballon virtuel dans une application de jeu
US9101812B2 (en) * 2011-10-25 2015-08-11 Aquimo, Llc Method and system to analyze sports motions using motion sensors of a mobile device
US9737817B1 (en) * 2014-02-03 2017-08-22 Brett Ricky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gaming event
US10080941B2 (en) * 2015-07-02 2018-09-25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 sporting apparatus
US10484598B2 (en) * 2015-08-20 2019-11-19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pture of images
US9999823B2 (en) * 2016-01-15 2018-06-19 Inxpar Inc. System for analyzing golf swing process and method thereof
US10786728B2 (en) * 2017-05-23 2020-09-29 Blast Motion Inc. Motion mirroring system that incorporates virtual environment constraints
US10835801B1 (en) * 2019-10-07 2020-11-17 Best Swing One, Llc Optionally adjustable swing training apparatus with audible and/or haptic feedb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689A (ja) 2002-09-30 2004-04-15 Mitsumi Electric Co Ltd ゴルフゲーム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12100809A (ja) 2010-11-09 2012-05-31 Nintendo Co Ltd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8679A1 (en) 2019-04-17
EP3468679B1 (en) 2021-08-11
WO2018052514A1 (en) 2018-03-22
KR20190042544A (ko) 2019-04-24
US20200316459A1 (en) 2020-10-08
AU2017326959A1 (en) 2019-01-17
EP3468679A4 (en) 2019-12-25
US11173387B2 (en) 2021-11-16
AU2017326959B2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8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gaming event
US9604136B1 (en)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
US9636578B1 (en)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
US8992322B2 (en) Interactive gaming systems with haptic feedback
JP5751594B2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JP2019535347A (ja) ゲームの制御のために制御機器のセンサを用い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WO2009028690A1 (ja)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
KR102406760B1 (ko) 게이밍 이벤트를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59258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구현 방법,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설계 방법,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수행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907995B1 (ko) 퍼팅 안내 기능을 구비한 골프 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JP6806868B2 (ja) ゴルフのスイングの練習を補助する人工知能、及び拡張現実基盤のゴルフ練習装置
US20220249938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processing method and screen golf system using the same
JP2003180896A (ja) バーチャルスポーツシステム
JP2003180896A5 (ko)
JP2019150395A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101078986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CN109475773B (zh) 用于模拟游戏事件的方法和设备
KR101950243B1 (ko)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TWI517882B (zh) 穿戴式模擬手榴彈投擲系統
KR20150001268U (ko) 청각센서로 기동되는 다중 프로세서 방식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654846B1 (ko)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게임장치와 연습장치 및 그 분석방법
Katz et al. Virtual reality
US202103794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ugmented reality golf simulation and training using interactive tools
KR101950242B1 (ko) 스윙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101911546B1 (ko) 골프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