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059B1 -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059B1
KR102406059B1 KR1020210140856A KR20210140856A KR102406059B1 KR 102406059 B1 KR102406059 B1 KR 102406059B1 KR 1020210140856 A KR1020210140856 A KR 1020210140856A KR 20210140856 A KR20210140856 A KR 20210140856A KR 102406059 B1 KR102406059 B1 KR 102406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ck
seated
inlet
bag
com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기공
Priority to KR1020210140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6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대 내에 퇴비충진 전 수평준비대 상에 포대가 공급되어 정위치 안착이 이루어졌는지 유무를 판단하여 포대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호퍼를 통한 퇴비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퇴비의 손실을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그로 인한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 입구부를 갖는 다수의 빈 포대(2)가 적층되는 적층공급부(10); 상기 적층공급부(10)에 적층된 포대(2) 중 맨상단에 위치된 포대(2)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용흡착패드(15); 상기 이동용흡착패드(15)에 의해 이동된 포대(2)가 수평안착되는 수평준비대(20); 상기 수평준비대(20) 상에 안착된 포대(2)의 입구측 상부시트(2a)를 흡착 상승시켜 입구측이 개방되게 하는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 상기 상부시트(2a)에 대응되는 하부시트(2b)의 하부측에 상기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의 흡착면에 마주하는 하부시트고정용흡착패드(27)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에 의해 포대(2)의 상부시트(2a)를 상승개방 시, 하부시트고정용흡착패드(27)가 하부시트(2b)를 고정지지토록 하면서 포대(2)의 입구측이 개방되게 하고, 상기 개방된 포대(2)의 입구측 양측내부에 진입되어 외측으로 각각 벌어지면서 포대(2)의 입구측 개방부를 확장시킨 다음, 상기 포대(2)의 입구측 양측부를 고정지지한 상태에서 입구측 외측으로 상향회전시켜 입구측이 상향위치되게 하는 수직변환회전대(30); 상기 입구측이 상향위치된 포대(2)의 입구 개방부측 전후방을 밀착지지하면서 개방부를 확장시키는 개방측확장부(40); 상기 개방측확장부(40)에 의해 개방부가 확장된 포대(2) 내부로 퇴비를 충진하도록 개방측확장부(4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호퍼(98); 상기 호퍼(98)를 통해 퇴비가 충진된 포대(2)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92)와, 상기 컨베이어(92)를 따라 이동되는 포대(2)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포대(2)의 측부를 따라 밀착되게 하는 이탈방지가이드(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Compost bag packaging device with recognition of whether or not the bag is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본 발명은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대 내에 퇴비충진 전 수평준비대 상에 포대가 공급되어 정위치 안착이 이루어졌는지 유무를 판단하여 포대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호퍼를 통한 퇴비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퇴비의 손실을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그로 인한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사료, 비료, 곡물, 설탕 또는 밀가루 등은 종이포대, 마포대, 비닐포대 등과 같은 포대에 일정량씩 수용된 후 봉합되어 포장되는데, 이러한 포장작업은 종래 사람의 손에 의해 일일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다가 최근에는 포대의 공급에서부터 봉합에 이르기까지 포장과정을 자동화한 자동포장기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자동포장기는 통상적으로 다수매의 포대가 적재된 포대적재대로부터 1매씩 진공흡착하여 이송하는 포대공급장치와, 진공흡착에 의해 이송된 1매의 포대를 롤러쌍과 이송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수평이송하는 포대수평이송장치와, 수평이송된 1매의 포대의 개방단부를 진공흡착을 통해 양측에서 파지하여 수직으로 회동시킨 후 포대의 개방단부를 벌림과 동시에 각종 사료, 비료, 곡물, 설탕 또는 밀가루 등과 같은 포장대상물을 투입하고 포대의 개방단부를 봉합하는 포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포장기의 포대공급장치의 경우에는 포대의 수평준비대 상에 포대가 공급되어 정위치 안착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확인되지 않아 포대가 준비되지 않았더라도 그 상태에서 퇴비가 공급됨으로 인해 퇴비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며, 이에 작동중인 장치를 정지시킴으로써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9-002788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포대 내에 퇴비충진 전 수평준비대 상에 포대가 공급되어 정위치 안착이 이루어졌는지 유무를 판단하여 포대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호퍼를 통한 퇴비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퇴비의 손실을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그로 인한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 입구부를 갖는 다수의 빈 포대(2)가 적층되는 적층공급부(10); 상기 적층공급부(10)는 포대(2)가 적층된 상태에서 수직정렬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상기 포대(2)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포대(2)의 테두리 4면에 각각 닿게 수직막대 형태로 이탈방지대(11)가 구비되며, 상기 적층공급부(10) 상에 구비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은 포대(2)의 적층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포대(2)의 적층무게가 임의로 정해진 기준치무게 이하가 되면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림신호를 전달토록 하고, 상기 적층공급부(10)에 적층된 포대(2) 중 맨상단에 위치된 포대(2)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도록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하이동되는 이동용흡착패드(15); 상기 적층공급부(10) 중앙에 형성되는 돌출바(13); 상기 돌출바(13)는 적층된 포대(2)의 중심부위를 올려주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동용흡착패드(15)를 통해 포대(2)가 원활하게 흡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동용흡착패드(15)에 의해 이동된 포대(2)가 수평안착되는 수평준비대(20); 상기 수평준비대(20) 상에 안착된 포대(2)의 입구측 상부시트(2a)를 흡착 상승시켜 입구측이 개방되게 하는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 상기 상부시트(2a)에 대응되는 하부시트(2b)의 하부측에 상기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의 흡착면에 마주하는 하부시트고정용흡착패드(27)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에 의해 포대(2)의 상부시트(2a)를 상승개방 시, 하부시트고정용흡착패드(27)가 하부시트(2b)를 고정지지토록 하면서 포대(2)의 입구측이 개방되게 하고, 상기 개방된 포대(2)의 입구측 양측내부에 진입되어 외측으로 각각 벌어지면서 포대(2)의 입구측 개방부를 확장시킨 다음, 상기 포대(2)의 입구측 양측부를 고정지지한 상태에서 입구측 외측으로 상향회전시켜 입구측이 상향위치되게 하는 수직변환회전대(30); 상기 입구측이 상향위치된 포대(2)의 입구 개방부측 전후방을 밀착지지하면서 개방부를 확장시키는 개방측확장부(40); 상기 개방측확장부(40)는 포대(2)의 마주하는 양시트의 외측부에 위치되어 지지하는 고정지지대(41)와, 상기 포대(2) 양시트의 내측부에 위치되어 양시트측으로 확장시키면서 고정지지대(41)에 밀착되어 포대(2)의 입구측 개방부를 확장고정하는 개방확장대(45)로 구성되며, 상기 개방측확장부(40)에 의해 개방부가 확장된 포대(2) 내부로 퇴비를 충진하도록 개방측확장부(4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호퍼(98); 상기 호퍼(98)를 통해 퇴비가 충진된 포대(2)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92)와, 상기 컨베이어(92)를 따라 이동되는 포대(2)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포대(2)의 측부를 따라 밀착되게 하는 이탈방지가이드(93); 상기 수평준비대(20)에 안착된 포대(2)의 정위치 안착유무를 확인하는 인식센서부(50); 상기 인식센서부(50)는 수평안착된 포대(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수평준비대(20) 상에 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1)의 상부 이격측에 포대(2)의 안착유무를 확인하는 포토센서부(51)가 구비되며, 상기 통공(21)을 기준으로 하여 포토센서부(51)에 대응되는 일직선상의 통공(21) 하부 이격측에 포토센서부(51)의 신호를 반사하여 포토센서부(51)의 인식을 유도하는 반사판을 갖는 반사부(55)가 구비되고, 상기 포토센서부(51)는 포대(2)의 수평 및 수직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포대(2)의 진입단부 수직선상의 외측편에 일정거리(w) 이격되어 위치되게 하고, 상기 포토센서부(51)에 대응되는 반사부(55)는 통공(21)을 기준으로 하여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포토센서부(51)는 수평준비대(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설치대(54) 상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설치대(54)는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대(54) 상에 간격조절대(53)가 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대(53)의 단부에 포토센서부(51)가 고정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간격조절대(53)는 설치대(54) 상에서 돌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설치대(5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포토센서부(51)의 위치 조절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반사부(55)는 수평준비대(20)의 하부에 고정되는 설치대(58) 상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설치대(58)는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대(58) 상에 간격조절대(57)가 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대(57)의 단부에 반사부(55)가 고정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간격조절대(57)는 설치대(58) 상에서 돌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설치대(5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반사부(55)의 위치 조절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포토센서부(51) 및 반사부(55)의 위치조절은 설치대(54,58) 상에 멈춤공(59)이 연속형성되고, 상기 멈춤공(59) 상에서 간격조절대(53,57)를 위치 선택하여 사용토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인식센서부(50)가 포대(2)의 정위치 안착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포토센서부(51)에서 발생되는 신호전파가 통과되는 통공(21)의 상부측에 정위치된 포대(2)의 상부시트(2a) 표면에 정위치감지표시부(89)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대 내에 퇴비충진 전 수평준비대 상에 포대가 공급되어 정위치 안착이 이루어졌는지 유무를 판단하여 포대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호퍼를 통한 퇴비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퇴비의 손실을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그로 인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의 측면 및 정면상태의 작업 실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의 평면 및 정면상태의 작업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식센서부의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간격조절대 및 설치대의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포대 내에 퇴비충진 전 수평준비대 상에 포대가 공급되어 정위치 안착이 이루어졌는지 유무를 판단하여 포대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호퍼를 통한 퇴비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퇴비의 손실을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그로 인한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적층공급부(10), 이동용흡착패드(15), 수평준비대(20),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 하부시트고정용흡착패드(27), 수직변환회전대(30), 개방측확장부(40), 호퍼(98), 컨베이어(92), 이탈방지가이드(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의 구성을 위해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일측 입구부를 갖는 다수의 빈 포대(2)가 적층되는 적층공급부(10)가 구비된다.
상기 적층공급부(10)는 포대(2)가 적층되어 준비되는 구성으로, 포대(2)가 적층된 상태에서 수직정렬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포대(2)의 테두리 4면에 각각 닿게 이탈방지대(11)가 구비된다. 이때 포대(2)의 이동측 테두리면에는 이탈방지대(11)가 단턱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 이탈방지대(11)는 수직막대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공급부(10) 상에는 로드셀(미도시됨)을 구비하여 포대(2)의 적층무게를 감지토록 하며, 상기 포대(2)의 적층무게가 임의로 정해진 기준치무게 이하, 즉 기준치수량 이하가 되면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림신호를 전달토록 한다.
또한, 적층공급부(10) 중앙에는 돌출바(13)가 형성되어 적층공급부(10)에 적층된 포대(2)가 후술되는 이동용흡착패드(15)를 통해 흡착하여 이동될 때 포대(2)가 원활하게 흡착될 수 있도록 적층된 포대(2)의 중심부위를 올려주도록 한다.
상기 적층공급부(10)에 포대(2)가 준비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공급부(10)에 적층된 포대(2) 중 맨상단에 위치된 포대(2)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용흡착패드(15)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용흡착패드(15)는 실린더 등의 이동보조수단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면서 포대(2)를 흡착함과 아울러, 포대(2)를 흡착한 상태에서 후술되는 수평준비대(20)로의 이동을 위해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기 이동용흡착패드(15)에 의해 이동된 포대(2)가 수평안착되는 수평준비대(20)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준비대(20)는 포대(2) 내에 퇴비를 충진하기 위해 낱장 상태로 준비하는 구성으로서, 수평준비대(20) 상에 포대(2)가 정위치에 안착 준비되어 있는지가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이는 포대(2)가 정위치에 없게 되면 후술되는 수직변환회전대(30), 개방측확장부(40) 등의 작동에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에서처럼 상기 수평준비대(20)에 안착된 포대(2)의 정위치 안착유무를 확인하는 인식센서부(50)를 구비한다.
상기 인식센서부(50)는 수평안착된 포대(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수평준비대(20) 상에 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1)의 상부 이격측에 포대(2)의 안착유무를 확인하는 포토센서부(51)가 구비되며, 상기 통공(21)을 기준으로 하여 포토센서부(51)에 대응되는 일직선상의 통공(21) 하부 이격측에 포토센서부(51)의 신호를 반사하여 포토센서부(51)의 인식을 유도하는 반사부(55)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게 하여 포토센서부(51)에서 발생되는 신호전파가 통공(21)을 통해 통과되어 반사부(55)에 다다르게 되면 반사부(55)에서는 그 신호전파를 다시 포토센서부(51)로 반사이동시킴으로써 포대(2)의 안착유무를 인식토록 한다. 상기 반사부(55)에는 반사판이 구비되어 포토센서부(51)에서 발생되는 신호전파를 반사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토센서부(51)는 도 4에서처럼 포대(2)의 수평 및 수직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포대(2)의 진입단부 수직선상의 외측편에 일정거리(w) 이격되어 위치되게 하고, 상기 포토센서부(51)에 대응되는 반사부(55)는 통공(21)을 기준으로 하여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도 4에서처럼 상기 포토센서부(51)는 수평준비대(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설치대(54) 상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설치대(54)는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대(54) 상에 간격조절대(53)가 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대(53)의 단부에 포토센서부(51)가 고정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대(53)는 설치대(54) 상에서 돌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설치대(5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포토센서부(51)의 위치의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한다.
상기 포토센서부(51)에 대응되는 반사부(55)는 수평준비대(20)의 하부에 고정되는 설치대(58) 상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설치대(58)는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대(58) 상에 간격조절대(57)가 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대(57)의 단부에 반사부(55)가 고정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대(57)는 설치대(58) 상에서 돌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설치대(5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반사부(55)의 위치의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한다.
상기 포토센서부(51) 및 반사부(55)의 위치조절 구성은 도 5에서처럼 설치대(54,58) 상에 멈춤공(59)이 연속형성되고, 상기 멈춤공(59) 상에서 간격조절대(53,57)를 위치 선택하여 사용토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인식센서부(50)가 포대(2)의 정위치 안착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도 3에서처럼 포토센서부(51)에서 발생되는 신호전파가 통과되는 통공(21)의 상부측에 정위치된 포대(2)의 상부시트(2a) 표면에 정위치감지표시부(89)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식센서부(50) 상에서 포대(2)가 정위치 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식센서부(50)에서 에러로 인식하여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경고음 또는 경고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평준비대(20) 상에 안착된 포대(2)의 입구측 상부시트(2a)를 흡착 상승시켜 입구측이 개방되게 하는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가 구비된다.
이때, 도 1의 (a)에서처럼 상기 상부시트(2a)에 대응되는 하부시트(2b)의 하부측에 상기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의 흡착면에 마주하는 하부시트고정용흡착패드(27)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에 의해 포대(2)의 상부시트(2a)를 상승개방 시, 하부시트고정용흡착패드(27)가 하부시트(2b)를 고정지지토록 하면서 포대(2)의 입구측이 개방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개방된 포대(2)의 입구측 양측내부에 진입되어 외측으로 각각 벌어지면서 포대(2)의 입구측 개방부를 확장시킨 다음, 상기 포대(2)의 입구측 양측부를 고정지지한 상태에서 입구측 외측으로 상향회전시켜 입구측이 상향위치되게 하는 수직변환회전대(30)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측이 상향위치된 포대(2)의 입구 개방부측 전후방을 밀착지지하면서 개방부를 확장시키는 개방측확장부(40)가 구비되며, 상기 개방측확장부(40)에 의해 개방부가 확장된 포대(2) 내부로 퇴비를 충진하도록 개방측확장부(4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호퍼(9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방측확장부(40)는 도 1 및 도 2에서처럼 포대(2)의 마주하는 양시트의 외측부에 위치되어 지지하는 고정지지대(41)와, 상기 포대(2) 양시트의 내측부에 위치되어 양시트측으로 확장시키면서 고정지지대(41)에 밀착되어 포대(2)의 입구측 개방부를 확장고정하는 개방확장대(4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98)를 통해 퇴비가 충진된 포대(2)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92)와, 상기 컨베이어(92)를 따라 이동되는 포대(2)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포대(2)의 측부를 따라 밀착되게 하는 이탈방지가이드(93)가 구비된다.
상기 포대(2) 내에 퇴비가 충진되면 미도시되었으나, 포대(2)의 상단을 실링한 후, 완제품이 적재되면서 공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포대 10: 적층공급부
15: 이동용흡착패드 20: 수평준비대
25: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 27: 하부시트고정용흡착패드
30: 수직변환회전대 40: 개방측확장부
92: 컨베이어 93: 이탈방지가이드
98: 호퍼

Claims (4)

  1. 일측 입구부를 갖는 다수의 빈 포대(2)가 적층되는 적층공급부(10); 상기 적층공급부(10)는 포대(2)가 적층된 상태에서 수직정렬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상기 포대(2)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포대(2)의 테두리 4면에 각각 닿게 수직막대 형태로 이탈방지대(11)가 구비되며,
    상기 적층공급부(10) 상에 구비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은 포대(2)의 적층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포대(2)의 적층무게가 임의로 정해진 기준치무게 이하가 되면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림신호를 전달토록 하고,
    상기 적층공급부(10)에 적층된 포대(2) 중 맨상단에 위치된 포대(2)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도록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하이동되는 이동용흡착패드(15);
    상기 적층공급부(10) 중앙에 형성되는 돌출바(13); 상기 돌출바(13)는 적층된 포대(2)의 중심부위를 올려주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동용흡착패드(15)를 통해 포대(2)가 원활하게 흡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동용흡착패드(15)에 의해 이동된 포대(2)가 수평안착되는 수평준비대(20);
    상기 수평준비대(20) 상에 안착된 포대(2)의 입구측 상부시트(2a)를 흡착 상승시켜 입구측이 개방되게 하는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 상기 상부시트(2a)에 대응되는 하부시트(2b)의 하부측에 상기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의 흡착면에 마주하는 하부시트고정용흡착패드(27)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시트개방용흡착패드(25)에 의해 포대(2)의 상부시트(2a)를 상승개방 시, 하부시트고정용흡착패드(27)가 하부시트(2b)를 고정지지토록 하면서 포대(2)의 입구측이 개방되게 하고,
    상기 개방된 포대(2)의 입구측 양측내부에 진입되어 외측으로 각각 벌어지면서 포대(2)의 입구측 개방부를 확장시킨 다음, 상기 포대(2)의 입구측 양측부를 고정지지한 상태에서 입구측 외측으로 상향회전시켜 입구측이 상향위치되게 하는 수직변환회전대(30);
    상기 입구측이 상향위치된 포대(2)의 입구 개방부측 전후방을 밀착지지하면서 개방부를 확장시키는 개방측확장부(40); 상기 개방측확장부(40)는 포대(2)의 마주하는 양시트의 외측부에 위치되어 지지하는 고정지지대(41)와, 상기 포대(2) 양시트의 내측부에 위치되어 양시트측으로 확장시키면서 고정지지대(41)에 밀착되어 포대(2)의 입구측 개방부를 확장고정하는 개방확장대(45)로 구성되며,
    상기 개방측확장부(40)에 의해 개방부가 확장된 포대(2) 내부로 퇴비를 충진하도록 개방측확장부(4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호퍼(98);
    상기 호퍼(98)를 통해 퇴비가 충진된 포대(2)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92)와, 상기 컨베이어(92)를 따라 이동되는 포대(2)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포대(2)의 측부를 따라 밀착되게 하는 이탈방지가이드(93);
    상기 수평준비대(20)에 안착된 포대(2)의 정위치 안착유무를 확인하는 인식센서부(50); 상기 인식센서부(50)는 수평안착된 포대(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수평준비대(20) 상에 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1)의 상부 이격측에 포대(2)의 안착유무를 확인하는 포토센서부(51)가 구비되며, 상기 통공(21)을 기준으로 하여 포토센서부(51)에 대응되는 일직선상의 통공(21) 하부 이격측에 포토센서부(51)의 신호를 반사하여 포토센서부(51)의 인식을 유도하는 반사판을 갖는 반사부(55)가 구비되고,
    상기 포토센서부(51)는 포대(2)의 수평 및 수직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포대(2)의 진입단부 수직선상의 외측편에 일정거리(w) 이격되어 위치되게 하고, 상기 포토센서부(51)에 대응되는 반사부(55)는 통공(21)을 기준으로 하여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포토센서부(51)는 수평준비대(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설치대(54) 상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설치대(54)는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대(54) 상에 간격조절대(53)가 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대(53)의 단부에 포토센서부(51)가 고정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간격조절대(53)는 설치대(54) 상에서 돌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설치대(5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포토센서부(51)의 위치 조절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반사부(55)는 수평준비대(20)의 하부에 고정되는 설치대(58) 상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설치대(58)는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대(58) 상에 간격조절대(57)가 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대(57)의 단부에 반사부(55)가 고정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간격조절대(57)는 설치대(58) 상에서 돌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설치대(5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반사부(55)의 위치 조절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포토센서부(51) 및 반사부(55)의 위치조절은 설치대(54,58) 상에 멈춤공(59)이 연속형성되고, 상기 멈춤공(59) 상에서 간격조절대(53,57)를 위치 선택하여 사용토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센서부(50)가 포대(2)의 정위치 안착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포토센서부(51)에서 발생되는 신호전파가 통과되는 통공(21)의 상부측에 정위치된 포대(2)의 상부시트(2a) 표면에 정위치감지표시부(89)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
KR1020210140856A 2021-10-21 2021-10-21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 KR102406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856A KR102406059B1 (ko) 2021-10-21 2021-10-21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856A KR102406059B1 (ko) 2021-10-21 2021-10-21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059B1 true KR102406059B1 (ko) 2022-06-13

Family

ID=8198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856A KR102406059B1 (ko) 2021-10-21 2021-10-21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0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884A (ko) 2007-09-13 2009-03-18 김경욱 비료 자동 포장장치
KR20190004023A (ko) * 2017-07-03 2019-01-11 다우산업주식회사 자동 포대 공급장치
KR102103342B1 (ko) * 2019-11-04 2020-04-24 (주)원팩 자동 포장 충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884A (ko) 2007-09-13 2009-03-18 김경욱 비료 자동 포장장치
KR20190004023A (ko) * 2017-07-03 2019-01-11 다우산업주식회사 자동 포대 공급장치
KR102103342B1 (ko) * 2019-11-04 2020-04-24 (주)원팩 자동 포장 충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879B1 (ko) 깔개 패드 제조 및 포장 시스템
EP0614834A1 (en) Package transporting and loading system
EP27395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ching, packing and palletizing a granular product
KR102406059B1 (ko) 포대의 정위치 안착유무 인식성을 갖춘 퇴비포대 포장장치
US7408124B2 (en) Weighing conveyor
CA2401088A1 (en) Device for packaging sheet-like folded packages
US3866392A (en) Packaging apparatus
CN217374945U (zh) 一种自动压箱装置
CN214608160U (zh) 一种定量包装机构
JPH0848314A (ja) 封緘装置
JP2002120812A (ja) 箱詰めシステムにおける製品振り分け機構
CN114056675A (zh) 包装机及其开袋和热封装置
JPH01308707A (ja) 角錐パック製造方法及び装置
CN211281766U (zh) 用于物料包装称量流水线的推包机构
CN218199183U (zh) 茶胶囊自动封口机
CN219857826U (zh) 一种包装机叠包机构
CN220298867U (zh) 中转机构及包装装盒生产线
CN209834049U (zh) 一种高效全自动粮食装袋机
CN220616470U (zh) 一种脱氧剂换料机构
CN214268092U (zh) 一种食品包装用自动化打包运输装置
JP2917114B2 (ja) 縦型製袋充填包装機
US11958648B2 (en) Dunnage product transfer using an alignment reference plane
US3593489A (en) Automatic tab slitter for caser
CN117645037B (zh) 一种物料包装设备及物料包装方法
CN214268150U (zh) 一种拉膜纠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