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018B1 -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감시 및 처리를 수행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감시 및 처리를 수행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018B1
KR102405018B1 KR1020200106262A KR20200106262A KR102405018B1 KR 102405018 B1 KR102405018 B1 KR 102405018B1 KR 1020200106262 A KR1020200106262 A KR 1020200106262A KR 20200106262 A KR20200106262 A KR 20200106262A KR 102405018 B1 KR102405018 B1 KR 102405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og input
input signal
air conditioning
signal
conditio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5493A (ko
Inventor
김원선
Original Assignee
김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선 filed Critical 김원선
Priority to KR102020010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0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04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08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ontrolled by ligh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감시 및 처리를 수행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는, 냉동 공조를 제어하기 위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판단부와, 상기 신호 라인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판단부가 출력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때 상기 신호 라인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감시 및 처리를 수행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PROTECTION CIRCUIT THAT PERFORMS VOLTAGE MONITORING AND PROCESSING OF ANALOG SIGNALS}
아래 실시예들은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감시 및 처리를 수행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에 관한 것이다.
냉동 공조 제어 장치는 냉동 공조를 위한 장비 및/또는 설비 등에 장착되어 냉동 공조 시스템의 원활한 가동을 위해 온습도 조절 및 에너지 효율 향상 등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냉동 공조 제어 장치에 포함된 기존의 신호 전달 회로는 센서 등의 외부 아날로그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인 전압 또는 전류를 냉동 공조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신호원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신호 전달 회로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 라인에 임계값 이상의 지속 전압이 유입 또는 유지될 경우, 이를 차단하지 못한다. 따라서, 기존의 신호 전달 회로에 임계값 이상의 지속 전압이 유지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영향을 주어 냉동 공조 시스템이 파손될 수 있으며 정상 동작이 불가해질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12527호(공개일 : 1999년 02월 25일, 발명의 명칭 : 공조기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가 있다. 해당 공보에는 공조기기의 각 작동부의 상태검출을 위한 복수의 검출요소와, 정보저장부와, 상기 검출요소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에러에 관련되는 에러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가 개시된다. 또한, 제어부는 각 작동부의 상태검출을 위한 복수의 검출요소로부터 정상이 아닌 검출신호가 적어 도 하나이상 입력되면, 에러표시부에 경고음을 내거나 발광표시하는 것으로 에러발생을 표시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여 공조기기의 작동을 중단하는 내용이 개시된다.
실시예들은 냉동 공조를 제어하기 위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 라인에 임계값 이상의 지속 전압이 유입 또는 유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임계값 이상의 지속 전압이 유입 또는 유지되는 경우 신호 라인을 차단함으로써, 냉동 공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는, 냉동 공조를 제어하기 위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판단부와, 상기 신호 라인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판단부가 출력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때 상기 신호 라인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와, 상기 기준 전압을 저항과 분압하여 고정된 전압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기준 전압을 상기 제너 다이오드와 분압하여 고정된 전압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1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 증폭기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음의 부호 단자에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연산 증폭기의 양의 부호 단자에 상기 고정 전압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양의 부호 단자에 연결된 제1 노드 및 그라운드에 접속되고, 상기 저항은,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기준 전압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판단부가 출력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 턴온(Turn-on)되어 신호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가 출력한 신호에 의해 턴오프(Turn-off)되어 상기 신호 라인을 차단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Solid State Relay, SS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는, 상기 신호 라인에 직렬 접속되어 상기 신호 라인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기적 노이즈가 제거된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상기 판단부 및 상기 스위치부로 출력하는 라인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는, 상기 신호 라인 및 상기 판단부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신호 라인 및 상기 판단부 간의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 이상인 때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인 때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의 출력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판단부로부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때 상기 신호 라인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냉동 공조 제어 장치에 포함된 기존의 신호 전달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를 위한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호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실시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냉동 공조 제어 장치에 포함된 기존의 신호 전달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의 신호 전달 회로(10)는 제1 회로(100), 신호 라인(150) 및 제2 회로(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신호 전달 회로(1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예를 들어, 전압 또는 전류)를 냉동 공조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신호원으로 전달 또는 공급하는 회로일 수 있다. 기존의 신호 전달 회로(1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허용 범위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기존의 신호 전달 회로(1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제1 회로(100)는 냉동 공조 제어를 위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신호 라인(150)을 통해 제2 회로(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회로(100)는 터미널 블록(110),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120) 및 양방향 제너 다이오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블록(110)은 3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터미널 블록(110)의 제1 핀은 외부 아날로그 장치(예를 들어, 센서)로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 블록(110)의 제1 핀은 외부 아날로그 장치로 12Vdc 또는 24Vdc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아날로그 장치는 터미널 블록(110)의 제1 핀에서 출력되는 전원으로 동작할 수 있다. 터미널 블록(110)은 Hylec 사의 TLPS-200R-03P 모델로 구현될 수 있다.
PTC 소자(120)는 냉동 공조 제어 장치의 내부 전력이 필요 이상 외부 아날로그 장치로 출력되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PTC 소자(120)는 외부 아날로그 장치가 지정된 정격 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전류 제한 회로를 포함하여 설계되어 있지만, 외부 아날로그 장치의 문제 발생 및/또는 결선 오류로 인한 과전류를 냉동 공조 제어 장치 수준에서 차단함으로써 냉동 공조 제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C 소자(120)는 FUZETEC 사의 FSMD010-R(1812) 모델로 구현될 수 있다.
양방향 제너 다이오드(130)는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과전압을 차단할 수 있다. 양방향 제너 다이오드(130)는 서지(surge) 전압 등의 순시 전압을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동할 수 있는 임계값 범위 이하의 전압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양방향 제너 다이오드(130)는 Vishay 사의 SMAJ12CA 모델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라인(150)은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존의 신호 전달 회로(10)는 신호 라인(150)에 임계값 이상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는 회로가 없기 때문에 임계값 이상의 전압이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 라인(150)에 입력되었을 때 시스템이 파손되고 정상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제2 회로(200)는 신호 라인(150)을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냉동 공조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적합한 신호원으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회로(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입력되는 임계값 이상의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대하여 임계 범위 내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제2 회로(200)는 저항(210), 다이오드(220), 전해 콘덴서(230), 세라믹 콘덴서(240) 및 저항(2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임계값인 4-20mA 전류 이상의 신호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러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인식할 수 없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저항(210)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할 수 있는 임계값 이상의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로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210)이 250Ω으로 구현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할 수 있는 임계값 이상의 아날로그 입력 신호(20mA)가 입력되는 경우,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임계값인 전압 1-5V(20mA x 250Ω = 5V)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이오드(22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의 전압을 최대 0.7V 차이의 손실 변화로 안정화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되는 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오드(22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DC 성분만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전해 콘덴서(23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DC성분으로 교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세라믹 콘덴서(24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포함된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를 위한 신호 전달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신호 전달 회로(20)는 제1 회로(100), 제2 회로(200) 및 보호 회로(300)를 포함한다.
제1 회로(10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외부 아날로그 장치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아날로그 장치는 냉동 공조 제어를 위한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회로(10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신호 라인(150)을 통해 보호 회로(300)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회로(200)는 보호 회로(30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신호원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회로(100) 및 제2 회로(200)는 도 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보호 회로(300)는 도 1에 도시된 신호 라인(150)에 접속될 수 있다.
보호 회로(30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 라인(150)에 임계값 이상의 지속 전압이 입력되는지 및/또는 유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보호 회로(300)는 임계값 이상의 지속 전압이 입력 및/또는 유지되는 경우 신호 라인(150)을 차단함으로써, 냉동 공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라인(150)에 전송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는 산업 장치들 간에 상호 연결되어 전달되는 통신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라인(150)에 전송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는 RS485 통신, 아날로그 신호 통신(4-20mA, 1-5V, 및 0-10V 등의 신호 전달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신)에 이용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아날로그 입력 신호는 10V이하 100mA이내의 신호 전달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통신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아날로그 입력 신호는 전압 또는 전류로 임의의 장치에 공급되어 임의의 장치를 구동하거나 사용하려는 목적의 전기적 신호가 아님에 유의한다. 즉, 보호 회로(300)는 장치들 간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의 경우, 신호 라인(150)에 전송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임계값 이상의 전압 또는 대전력이 유입되는 경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보호 회로(30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출력하거나, 신호 라인(310)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전압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는 임계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호 회로(300)는 임계값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냉동 공조 시스템 및/또는 냉동 공조 장치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보호 회로(300)는 냉동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영향이 없도록 냉동 공조 시스템의 정상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보호 회로(300)는 아날로그 입력신호 라인에 과도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여 냉동 공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호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호 회로(300)는 판단부(310), 및 스위치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회로(300)는 라인 필터(330) 및 저항(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310)는 냉동 공조를 제어하기 위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 라인(150)에 접속될 수 있다. 판단부(310)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 전압(VCC)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판단부(310)는 연산 증폭기(311), 제너 다이오드(312) 및 저항(313)을 포함할 수 있다.
연산 증폭기(311)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기준 전압(VCC)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연산 증폭기(311)는 음의 부호 단자에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연산 증폭기(311)는 양의 부호 단자에 기준 전압(VCC 및/또는 기준 전압이 제너 다이오드(312) 및 저항(313)의 분압 의해 고정된 전압)이 입력될 수 있다.
제너 다이오드(312)는 기준 전압(VCC)을 저항(313)과 분압하여 고정된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너 다이오드(312)는 연산 증폭기(311)의 양의 부호 단자에 연결된 제1 노드(n1) 및 그라운드(g)에 접속될 수 있다.
저항(313)은 기준 전압(VCC)을 제너 다이오드(312)와 분압하여 고정된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저항(313)은 제1 노드(n1) 및 기준 전압(VCC)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313)은 10k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부(320)는 신호 라인(150)에 직렬 접속될 수 있다. 스위치부(320)는 판단부(310)가 출력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때 신호 라인(150)을 차단할 수 있다.
스위치부(320)는 트랜지스터(321) 및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Solid State Relay, SSR; 3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320)는 저항(323, 324 및 3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321)는 판단부(310)가 출력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 턴온(Turn-on)되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321)는 연산 증폭기(311), 그라운드(g) 및 제2 노드(n2)에 접속될 수 있다.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322)는 트랜지스터(321)가 출력한 신호에 의해 턴오프(Turn-off)되어 신호 라인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322)는 트랜지스터(321)의 입력이 광스위치에 가해질 때 MOS-FET이 턴오프 됨으로써 신호 라인을 차단할 수 있다.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322)는 신호 라인(150), 제2 노드(n2) 및 기준 전압(VCC)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322)는 Omron Electronics 사의 G3VM-61VY2 모델로 구현될 수 있다.
저항(323)은 연산 증폭기(311) 및 트랜지스터(321)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323)은 1k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항(324)은 기준 전압(VCC) 및 제2 노드(n2)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324)은 10k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항(325)은 기준 전압(VCC) 및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322)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325)은 330Ω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인 필터(330)는 신호 라인(150)에 직렬 접속될 수 있다. 라인 필터(330)는 신호 라인(150)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라인 필터(330)는 전기적 노이즈가 제거된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판단부(310) 및 스위치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
저항(340)은 신호 라인(150) 및 판단부(310) 간의 아날로그 신호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저항(340)은 제3 노드(n3) 및 연산 증폭기(311)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340)은 1k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냉동 공조를 제어하기 위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판단부; 및
    상기 신호 라인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판단부가 출력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때 상기 신호 라인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아날로그 입력 신호는,
    10V 이하의 전압값을 갖도록 구성되어, 냉동 공조 시스템 제어용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되는 통신 신호이고,
    기준 전압은,
    10V 이하의 전압값으로 구성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임계값으로서 설정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 이상인 때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인 때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판단부로부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때 상기 신호 라인을 연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
    상기 기준 전압을 저항과 분압하여 고정된 전압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 및
    상기 기준 전압을 상기 제너 다이오드와 분압하여 고정된 전압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1 저항
    을 포함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증폭기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음의 부호 단자에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연산 증폭기의 양의 부호 단자에 상기 고정된 전압이 입력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 다이오드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양의 부호 단자에 연결된 제1 노드 및 그라운드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기준 전압에 접속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판단부가 출력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 턴온(Turn-on)되어 신호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가 출력한 신호에 의해 턴오프(Turn-off)되어 상기 신호 라인을 차단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Solid State Relay, SSR)
    를 포함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에 직렬 접속되어 상기 신호 라인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기적 노이즈가 제거된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상기 판단부 및 상기 스위치부로 출력하는 라인 필터
    를 더 포함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 및 상기 판단부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신호 라인 및 상기 판단부 간의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저항
    을 더 포함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06262A 2020-08-24 2020-08-24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감시 및 처리를 수행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KR102405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262A KR102405018B1 (ko) 2020-08-24 2020-08-24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감시 및 처리를 수행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262A KR102405018B1 (ko) 2020-08-24 2020-08-24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감시 및 처리를 수행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493A KR20220025493A (ko) 2022-03-03
KR102405018B1 true KR102405018B1 (ko) 2022-06-07

Family

ID=8081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262A KR102405018B1 (ko) 2020-08-24 2020-08-24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감시 및 처리를 수행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0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061Y1 (ko) * 1996-12-27 2003-09-13 주식회사 로보테크 3상 교류 전원의 돌입 전류 방지 장치
JP2016169883A (ja) * 2015-03-11 2016-09-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モータ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824A (ja) * 1994-03-14 1995-10-03 Kenwood Corp 増幅器
KR970047495U (ko) * 1995-12-27 1997-07-31 트랜스미션 제어장치의 마이컴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
KR19990002662U (ko) * 1997-06-28 1999-01-25 김영환 아날로그 신호 검출기
KR102167330B1 (ko) * 2018-06-04 202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061Y1 (ko) * 1996-12-27 2003-09-13 주식회사 로보테크 3상 교류 전원의 돌입 전류 방지 장치
JP2016169883A (ja) * 2015-03-11 2016-09-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モータ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493A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9259B1 (en) Low-power dissipation input circuit
US9124096B2 (en) Process control field device with circuitry protection
US9483039B2 (en) Wireless field device having discrete input/output
US20070279822A1 (en) Transient protection and current control of devices
US11512860B2 (en) Protection circuit and air conditioner
CN104184118A (zh) 变频空调器负载保护电路
KR102405018B1 (ko)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감시 및 처리를 수행하는 냉동 공조 시스템 보호 회로
US77422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energy in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JP6444867B2 (ja) 制御信号保護装置
EP2174228B1 (en) Discrete hot swap and overcurrent-limiting circuit
US5731595A (en) Diagnostic input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US6014299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 CPU from being damaged by an overrating voltage or overrating current
CN111799753B (zh) 用于过电压保护的装置和方法
US20130003236A1 (en) Power supply circuit
US98936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rinsically safe redundant current supply of field devices
US10211628B2 (en) Protective circuit for a signal output stage in event of faulty contacting of electrical connections
US8283938B2 (en) Monitoring system and input and output device thereof
EP3056961B1 (en) High-speed input circuit
CN101055295B (zh) 风扇系统及其电源监视装置
CN110212488A (zh) 一种简易直流防过电压电路
CN212323730U (zh) 一种总线型信号传输模块电路
KR100721194B1 (ko) 전원 전압 제너레이터의 전압 에러 발생을 제어하는 경보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6982641B1 (en) Simplified circuit for intrusion detectors
EP4012868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CN112018748A (zh) 一种总线型信号传输模块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