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711B1 -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711B1
KR102404711B1 KR1020200054872A KR20200054872A KR102404711B1 KR 102404711 B1 KR102404711 B1 KR 102404711B1 KR 1020200054872 A KR1020200054872 A KR 1020200054872A KR 20200054872 A KR20200054872 A KR 20200054872A KR 102404711 B1 KR102404711 B1 KR 102404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assage
catheter
blood collectio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519A (ko
Inventor
정미림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71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992Blood sampling from a fluid line external to a patient, such as a catheter line, combined with an infusion line; blood sampling from indwelling needle sets, e.g. sealable ports, luer couplings,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3Source of blood for venous or arter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55Blood sample preparation for further analysis, e.g. by separating blood components or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946Means for varying, regulating, indicating or limiting the speed or time of blood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채혈대상자의 혈관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는 채혈부와; 상기 채혈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채혈부에서 채혈된 혈액을 통과시키는 가요성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의 연장단부에 결합하며, 카테터를 통과한 혈액을, 혈액배양통에 주입하는 주입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는, 채혈바늘과 혈액배양통이 카테터를 통해 유선 연결되므로, 채혈된 혈액이 공기와 접하지 않아 오염의 염려가 없다. 또한, 카테터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 혈액에 유동압력을 가하여 혈액배양통으로 유도할 수 있어, 채혈된 혈액의 양이 적은 경우 효용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Blood collection device for blood culture test}
본 발명은 혈액의 배양검사를 위해 사용하는 채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취급 시 오염의 염려가 없어 정확한 배양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에 관한 것이다.
몸이 아파 병원에 입원하게 되면 각종 검사를 하게 되는데, 그 중 혈액검사는, 환자 혈액 내부의 적혈구와 백혈구와 혈소판 등에 대한 정보는 물론 기타 구성 성분과 관련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한다. 파악된 데이터를 이용해 병의 원인이나 진행정도를 알 수 있고 그에 따른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다.
혈액검사를 위해서는 환자의 몸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해야 하는데,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 혈액 채취용 주사기를 사용한다. 혈액채취용 주사기는, 주사바늘이 고정된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 직선운동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사바늘을 환자의 정맥혈관에 꽂은 후 피스톤을 후퇴시키면 혈액이 주사바늘을 통과해 실린더 내부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채혈된 혈액은, 특수 용기인 진공채혈관에 담아 보관하게 된다. 진공채혈관은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험관모양의 용기로서 마개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혈액의 응고나 변질을 방지한다.
한편, 혈액에 대한 배양검사가 필요한 경우, 가령, 패혈증이나 균혈증 등의 원인균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주사기를 이용해 채취한 혈액을 혈액배양통에 바로 주입한다. 혈액배양통은, 혈액내 세균을 배양시키는 밀폐된 용기이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배양검사용 채혈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배양검사를 위한 채혈을 위해서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혈용 주사기(15)의 바늘(15a) 선단부를 혈관(13)에 위치시킨 상태로 실린더(15b) 내부의 피스톤(미도시)을 후퇴시킨다. 피스톤의 후퇴에 따라 혈액이 바늘(15a)을 통해 실린더(15b) 내부에 모이게 된다.
혈액의 채취가 완료되었다면, 바늘(15a)을 혈관(13)으로부터 빼내고, 주사기(15) 내부의 혈액을 준비된 혈액배양통(17)에 주입한다. 이를 위해 바늘(15a)로 혈액배양통(17)의 고무마개(17a)를 찔러 바늘(15a)을 혈액배양통(17)으로 삽입한다. 보통 혈액배양통(17)의 내부공간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유지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채혈 방식은, 혈액 취급 시 혈액의 오염 확률이 높다는 단점을 갖는다. 오염의 이유는, 주사기(15)를 혈관에서 혈액배양통으로 옮길 때 혈액이 공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바늘(15a) 선단부의 구멍을 통해, 혈액이 공기와 접하여 공기 중의 세균이나 미세먼지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채혈 된 혈액을 가급적 신속히 혈액배양통으로 옮겨야 하는데, 작업을 서두르다 취급자가 바늘에 찔리는 경우도 발생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9465호 (채혈 주사기)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1989호 (전자동 무인 채혈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채혈된 혈액이 공기와 접하지 않아 오염의 염려가 없고, 채혈된 혈액의 양이 적은 경우 효용성이 뛰어난,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는, 채혈대상자의 혈관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는 채혈부와; 상기 채혈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채혈부에서 채혈된 혈액을 통과시키는 가요성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의 연장단부에 결합하며, 카테터를 통과한 혈액을, 혈액배양통에 주입하는 주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채혈부는; 선단부가 혈관내에 진입하는 채혈바늘과, 상기 채혈바늘의 후단부에 결합하는 중공형 바늘고정튜브를 가지고, 상기 바늘고정튜브와 카테터의 사이에는; 일단부가 바늘고정튜브에 끼움 결합하고, 타단부가 카테터에 삽입 고정되며, 혈액을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갖는 커넥터가 더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카테터의 측부에는, 카테터 내부의 혈액통로에 잔류하는 혈액을, 혈액배양통으로 가압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를 혈액통로 내부로 도입하는 푸싱에어도입포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혈액통로에는, 혈액통로를 통과하는 혈액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푸싱에어도입포트를 통해 공기가 주입될 때 공기가 채혈부측으로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푸싱에어도입포트는; 상기 카테터의 외주면에 일체를 이루며 덕트연결홀을 통해 혈액통로와 연통하는 사이드덕트와, 상기 사이드덕트에 내장되어 덕트연결홀을 커버하고, 공기주입용 주사기의 공기주입바늘을 통과시키는 밀폐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푸싱에어도입포트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혈액통로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중앙에 혈액통과구멍을 갖는 차단돌출부와, 상기 차단돌출부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차단돌출부와 지지돌기의 사이에 갇힌 상태로 대기하며, 혈액의 통과시에는 혈액통과구멍으로부터 벌어져 지지돌기에 지지되고, 상기 공기주입용 주사기를 통한 공기의 주입시에는 차단돌출부로 이동하여 혈액통과구멍을 차단하는 차단볼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는, 채혈바늘과 혈액배양통이 카테터를 통해 유선 연결되므로, 채혈된 혈액이 공기와 접하지 않아 오염의 염려가 없다.
또한, 카테터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 혈액에 유동압력을 가하여 혈액배양통으로 유도할 수 있어, 채혈된 혈액의 양이 적은 경우 효용성이 뛰어나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배양검사용 채혈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에서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20)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20)는, 채혈부(31), 커넥터(33), 혈액이송부(40), 주입부(50)를 구비한다.
채혈부(31)는, 채혈대상자의 혈관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는 것으로서, 채혈바늘(31a)과 바늘고정튜브(31b)를 갖는다. 채혈바늘(31a)은 일반적인 주사바늘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채혈을 위해 선단부가 혈관으로 진입한다. 바늘고정튜브(31b)는 후방으로 개방된 중공형 튜브로서, 채혈바늘(31a)의 후단부에 결합한다. 채혈바늘(31a)을 통과한 혈액은 바늘고정튜브(31b)에 모인다.
커넥터(33)는 바늘고정튜브(31b)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채혈된 혈액을 혈액이송부(40)로 유도하는 중공튜브형 부재로서, 양단부에 튜브결합부(33a)와 카테터결합부(33c)를 구비한다. 튜브결합부(33a)는 바늘고정튜브(31b)에 삽입 고정되며, 바늘고정튜브(31b) 내부의 혈액이 관통로(33b)로 유입되게 한다. 또한 카테터결합부(35c)는 카테터(41)의 일단부에 끼움 고정되는 부분이다.
혈액이송부(40)는, 채혈된 혈액을 통과시켜 주입부(50)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커넥터(33)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요성 카테터(41), 다수의 푸싱에어도입포트(43), 체크밸브(도 4의 45)를 갖는다.
카테터(4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심축부에 혈액통로(도 4의 41b)를 갖는다. 채혈된 혈액이 혈액통로(41b)를 통과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카테터(41)의 외주면에는 눈금(41a)이 마킹되어 있다. 눈금(41a)은 혈액통로(41b) 내부의 혈액의 부피를 알려주는 눈금이다.
말하자면, 카테터(41)의 일단부를 손으로 눌러 막은 상태로 카테터(41)를 수직으로 세우면, 혈액통로(41b) 내에 남아 있는 혈액의 부피를 눈금(41a)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신생아의 경우 채취되는 혈액의 양이 적으므로, 상기 눈금(41a)을 통해 혈액이 몇 밀리리터(ml) 채혈 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푸싱에어도입포트(43)와 체크밸브(45)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에서 혈액이송부(4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싱에어도입포트(43)는, 사이드덕트(43a)와 밀폐마개(43b)로 이루어진다. 사이드덕트(43a)는 카테터(41)의 외주면에 일체를 이루며 덕트연결홀(41c)을 통해 혈액통로(41b)와 연통하는 원통형 부재이다. 덕트연결홀(41c)은 카테터(41)의 측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서, 혈액통로(41b)와 사이드덕트(43a)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밀폐마개(43b)는 사이드덕트(43a)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 부재로서, 덕트연결홀(41c)을 커버하여 이물질이 혈액통로(41b)로 유입하지 않게 차단한다. 밀폐마개(43b)의 재질은 고무나 실리콘이다. 밀폐마개(43b)는 공기주입주사기(60)의 공기주입바늘(61)에 의해 뚫린다. 즉 공기주입바늘(61)의 선단부가 혈액통로(41b)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푸싱에어도입포트(43)는 푸싱에어를 혈액통로(41b)로 도입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카테터(4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푸싱에어도입포트(43)의 적용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진다.
푸싱에어는 공기주입주사기(60)에 의해 혈액통로(41b)로 가해진 공기로서, 혈액통로(41b)에 잔류하는 혈액(B)을, 화살표 P방향으로 밀어 혈액배양통(17)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푸싱에어를 이용해 혈액(B)을 가압 이동시키므로, 혈액배양통(17) 자체의 진공압력이 약하더라도, 혈액통로(41b) 내부의 혈액을 남김없이 이동시킬 수 있다.
공기주입주사기(60)는, 실린더(62), 피스톤(63), 살균필터(64), 공기주입바늘(61)로 구성된다. 실린더(62)와 피스톤(63)과 공기주입바늘(61)은 일반적인 주사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살균필터(64)는, 실린더(62)의 내부 하단에 위치하며, 공기주입바늘(61)로 내려가는 공기를 통과시키며 공기에 섞여 있는 미세 이물질이나 세균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살균필터(64)의 종류는 다앙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공기주입주사기(60)를 이용해 혈액통로(41b)에 푸싱에어를 압입하기 위해서는, 공기주입바늘(61)을 밀폐마개(43b)로 통과시켜 공기주입바늘(61)의 선단부가 혈액통로(41b)에 도달하게 한다. 이 상태로 피스톤(63)을 살균필터(64) 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면, 실린더(62) 내부의 공기가 살균된 상태로 혈액통로(41b)로 유입하고 혈액(B)을 화살표 P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특히 혈액통로(41b)의 내부에는 체크밸브(45)가 위치한다. 체크밸브(45)는 각 푸싱에어도입포트(43)와 일대일 쌍을 이루며, 푸싱에어도입포트(43)의 상류측, 즉, 채혈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체크밸브(45)는 혈액통로(41b)를 통과하는 혈액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푸싱에어도입포트(43)를 통해 주입된 푸싱에어가 채혈부측으로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체크밸브(45)는, 차단돌출부(45a), 지지돌기(45d), 차단볼(45h)을 포함한다. 차단돌출부(45a)는, 혈액통로(41b)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링형 부분으로서 중앙에 혈액통과구멍(45b)을 갖는다. 혈액통과구멍(45b)은 채혈부에서 주입부로 이동하는 혈액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지지돌기(45d)는, 혈액통로(41b)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등각 형성된 돌출부로서, 그 사이에 사이통로(45e)를 가지고 중앙에는 중앙통로(45f)를 제공한다. 지지돌기(45d)는, 차단볼(45h)이 혈액의 유동압력에 의해 화살표 d방향으로 굴러가는 것을 방지한다. 사이통로(45e)와 중앙통로(45f)로 혈액이 통과함은 물론이다.
차단볼(45h)은, 차단돌출부(45a)와 지지돌기(45d)의 사이에 갇힌 상태로 대기하는 구형 부재이다. 차단볼(45h)는 혈액과 비중이 비슷한 합성수지로 제작 가능하다. 차단볼(45h)은, 혈액의 통과시에는 혈액통과구멍(45b)으로부터 벌어져 지지돌기(45d)에 지지된다. 또한, 공기주입주사기(60)를 통한 공기의 주입시에는 차단돌출부(45a)로 이동하여 혈액통과구멍(45b)을 막는다. 차단볼(45h)이 혈액통과구멍(45b)을 차단함으로써, 혈액통로(41b)로 압입된 푸싱에어는 압력손실 없이 온전히 화살표 P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카테터(41)의 연장단부에 주입부(50)가 고정되어 있다. 주입부(50)는, 나비형 손잡이(51)와 주입바늘(53)을 갖는다. 또한 손잡이(51)에는 끼움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부(51a)는 카테터(41)의 단부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카테터(41)를 통과한 혈액을 받아 주입바늘(53)로 유도하는 통로이다.
상기 주입바늘(53)은 혈액배양통(17)의 입구를 막고 있는 고무마개(17a)을 하향 통과하여 하단부가 혈액배양통(17)에 위치된 상태로, 혈액이 혈액배양통(17)에 주입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에 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예에 따른 채혈장치(20)는, 도 2와 다른 구조의 채혈부(35)를 갖는다. 즉, 채혈부(35)는, 채혈바늘(35a)과, 채혈바늘(35a)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바늘고정튜브(35b)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늘고정튜브(35b)의 후단부에는 카테터결합부(35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카테터결합부(35c)는 카테터(41)의 일단부에 끼움 결합하는 부분이다.
채혈바늘(35a)을 혈관에 진입시켜 채혈된 혈액은, 채혈바늘(35a)과 바늘고정튜브(35b)와 카테터결합부(35c)를 차례로 통과한 후 카테터(41)와 주입부(50)를 거쳐 혈액배양통(17)에 담기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3:혈관 15:주사기 15a:바늘
15b:실린더 17:혈액배양통 17a:고무마개
20:채혈장치 31:채혈부 31a:채혈바늘
31b:바늘고정튜브 33:커넥터 33a:튜브결합부
33b:관통로 33c:카테터결합부 35:채혈부
35a:채혈바늘 35b:바늘고정튜브 35c:카테터결합부
40:혈액이송부 41:카테터 41a:눈금
41b:혈액통로 41c:덕트연결홀 43:푸싱에어도입포트
43a:사이드덕트 43b:밀폐마개 45:체크밸브
45a:차단돌출부 45b:혈액통과구멍 45d:지지돌기
45e:사이통로 45f:중앙통로 45h:차단볼
50:주입부 51:손잡이 51a:끼움부
53:주입바늘 60:공기주입주사기 61:공기주입바늘
62:실린더 63:피스톤 64:살균필터

Claims (4)

  1. 채혈대상자의 혈관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는 채혈부와;
    상기 채혈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채혈부에서 채혈된 혈액을 통과시키는 가요성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의 연장단부에 결합하며, 카테터를 통과한 혈액을, 혈액배양통에 주입하는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의 측부에는,
    카테터 내부의 혈액통로에 잔류하는 혈액을, 혈액배양통으로 가압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를 혈액통로 내부로 도입하는 푸싱에어도입포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혈액통로에는,
    혈액통로를 통과하는 혈액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푸싱에어도입포트를 통해 공기가 주입될 때 공기가 채혈부측으로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푸싱에어도입포트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혈액통로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중앙에 혈액통과구멍을 갖는 차단돌출부와,
    상기 차단돌출부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차단돌출부와 지지돌기의 사이에 갇힌 상태로 대기하며, 혈액의 통과시에는 혈액통과구멍으로부터 벌어져 지지돌기에 지지되고, 상기 공기주입용 주사기를 통한 공기의 주입시에는 차단돌출부로 이동하여 혈액통과구멍을 차단하는 차단볼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돌기는, 혈액통로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복수로 마련되고 등각 형성된 돌출부로서, 각각의 사이에 사이통로를 가지고 중앙에는 중앙통로를 제공하는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부는;
    선단부가 혈관내에 진입하는 채혈바늘과, 상기 채혈바늘의 후단부에 결합하는 중공형 바늘고정튜브를 가지고,
    상기 바늘고정튜브와 카테터의 사이에는;
    일단부가 바늘고정튜브에 끼움 결합하고, 타단부가 카테터에 삽입 고정되며, 혈액을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갖는 커넥터가 더 장착되는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에어도입포트는;
    상기 카테터의 외주면에 일체를 이루며 덕트연결홀을 통해 혈액통로와 연통하는 사이드덕트와,
    상기 사이드덕트에 내장되어 덕트연결홀을 커버하고, 공기주입용 주사기의 공기주입바늘을 통과시키는 밀폐마개를 구비하는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KR1020200054872A 2020-05-08 2020-05-08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KR10240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872A KR102404711B1 (ko) 2020-05-08 2020-05-08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872A KR102404711B1 (ko) 2020-05-08 2020-05-08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519A KR20210136519A (ko) 2021-11-17
KR102404711B1 true KR102404711B1 (ko) 2022-05-31

Family

ID=7870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872A KR102404711B1 (ko) 2020-05-08 2020-05-08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7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19822A1 (en) * 2014-10-27 2017-11-09 Jiangxi Fenglin Medical Technology Co.,Ltd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US20190321599A1 (en) * 2018-04-20 2019-10-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system with remote instrument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65Y1 (ko) 2001-12-12 2002-03-23 주식회사 메디진 채혈 주사기
US9186100B2 (en) * 2011-04-26 2015-11-17 Velano Vascu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hlebotomy through a peripheral IV catheter
CN104853786B (zh) * 2012-12-13 2016-10-26 株式会社Jms 血液成分分离容纳装置和多血小板血浆的制造方法
KR200478163Y1 (ko) * 2014-01-08 2015-09-0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일체형 관류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혈액 역류 방지 밸브 의료 기기
KR102143179B1 (ko) 2018-05-18 2020-08-11 금오공과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동 무인 채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19822A1 (en) * 2014-10-27 2017-11-09 Jiangxi Fenglin Medical Technology Co.,Ltd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US20190321599A1 (en) * 2018-04-20 2019-10-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system with remote instrument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519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7420B2 (ja) 血液サンプル最適化システム及び血液隔離装置
US20230363674A1 (en) Fluid diversion mechanism for bodily-fluid sampling
JP7204742B2 (ja) 流体制御デバイス及び流体制御デバイスを使用する方法
US10039483B2 (en) Fluid diversion mechanism for bodily-fluid sampling
AU2018304141B2 (en) Device for trapping an initial flow of blood
CN102573629B (zh) 一种血液取样装置
US20080025872A1 (en) Disposable Fluid Sample Collection Device
JPH01501918A (ja) 疾病診断のために体腔から流動検体を採取するための洗浄装置
JPH0363570A (ja) 体液サンプルを採取しかつ分析する方法及び装置
JP2022523951A (ja) 流体制御デバイス及びその使用方法
US20200305780A1 (en) Non-venting bodily fluid sample optimization device and system
KR102404711B1 (ko)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JP2005503538A (ja) 血液検査器
US20050197596A1 (en) Umbilical cord sampling system and method
CN105596034B (zh) 一种负压条件下的液体标本采集器
CN212514611U (zh) 一种新型密闭型标本处理装置
KR102458777B1 (ko) 생물학적 유체 수집 및 안정화 시스템
CN110389057A (zh) 一体化多功能生物样品处理器
JP2023528372A (ja) 可動栓を用いた流体最適化装置、汚染物質封じ込め装置および方法
CN208334000U (zh) 一体化多功能生物样品处理器
CN219803721U (zh) 采血装置
CN117180528A (zh) 一种带有旁路采样接口的引流装置及采样方法
CA32287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bubbles from fluid sample
JP2004528082A (ja) 血液検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