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660B1 - 유동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유동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660B1
KR102404660B1 KR1020170112041A KR20170112041A KR102404660B1 KR 102404660 B1 KR102404660 B1 KR 102404660B1 KR 1020170112041 A KR1020170112041 A KR 1020170112041A KR 20170112041 A KR20170112041 A KR 20170112041A KR 102404660 B1 KR102404660 B1 KR 10240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air
flow
guid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421A (ko
Inventor
이창훈
최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2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660B1/ko
Priority to US16/640,139 priority patent/US11300129B2/en
Priority to PCT/KR2018/005390 priority patent/WO2019045223A1/ko
Priority to CN201890001148.9U priority patent/CN211778078U/zh
Priority to EP18852500.0A priority patent/EP3677788B1/en
Publication of KR2019002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4Double entry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도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팬; 팬이 설치되고,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팬 하우징; 및 팬과 팬 하우징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팬 하우징은, 팬을 지지하는 하우징 플레이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벽; 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와 가이드 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1팬유로; 팬의 외주면과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1팬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제2팬유로; 및 가이드 벽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제2팬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 발생장치 {Flow generat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동 발생장치란, 팬을 구동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공기유동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송풍하는 장치로 이해된다. 보통 "선풍기"라 이름한다. 이러한 유동 발생장치는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에 사용자에게 시원함과 쾌적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발생장치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의 기술이 제안되었다.
[선행문헌 1]
1. 공개번호 (공개일자): 10-2012-0049182 (2012년 5월 16일)
2. 발명의 명칭: 축류팬
[선행문헌 2]
1. 공개번호(공개일자): 10-2008-0087365 (2008년 10월 1일)
2. 발명의 명칭: 선풍기
상기 선행문헌 1,2에 따른 장치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레그 및 상기 레그의 상측에 결합되는 팬이 포함된다. 상기 팬은 축류팬으로 구성된다. 상기 팬이 구동하면, 장치의 후방으로부터 팬을 향하여 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된 공기는 상기 팬을 통과하여 장치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선행문헌 1,2에 의하면, 상기 팬은 외부에 노출된다. 선행문헌 2에 따른 장치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팬의 외측을 둘러싸는 안전커버가 포함되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전커버를 통과하여 팬에 닿을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 그리고, 장치가 놓여지는 공간에 먼지량이 많은 경우, 먼지가 상기 안전커버를 통과하여 팬에 쌓이게 되어 장치가 쉽게 더러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선행문헌 1,2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단순히 공기유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점에서, 오염도가 높은 공간에서 장치의 사용이 이루어지는 경우, 오히려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겨울과 같이 설치공간의 온도가 다소 낮은 환경에서, 선행문헌 1,2에 따른 장치의 사용은 필요하지 않게 되어 다음년도의 여름까지 해당 장치를 보관해야 한다. 따라서, 장치의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팬에 의해 축방향으로 도입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를 토출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는 유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도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팬; 상기 팬이 설치되고,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팬 하우징; 및 상기 팬과 상기 팬 하우징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팬을 지지하는 하우징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벽; 상기 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 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1팬유로; 상기 팬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팬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제2팬유로; 및 상기 가이드 벽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팬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상기 팬 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팬유로 및 상기 제2팬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적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팬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팬유로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의 일측에는, 상기 제1팬유로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는 상기 제1팬유로와 상기 제2팬유로의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의 타측에는, 상기 제2팬유로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를 향하여 경사지게 컷오프되는 제2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는 상기 제2팬유로와 상기 토출부의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벽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팬유로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2팬유로를 경유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와 대응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와 상기 절개부는 함께 상기 토출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타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가이드부는 상기 토출부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팬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는, 레그에 연결된 하부 모듈; 및 상기 하부 모듈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듈 및 상기 상부 모듈 각각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도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팬; 상기 팬이 설치되고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팬 하우징; 및 상기 팬과 상기 팬 하우징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듈과 상기 하부 모듈 각각의 팬 하우징은, 상기 팬을 지지하는 하우징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에서 돌출되며 상기 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벽; 상기 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 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1팬유로; 상기 팬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팬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제2팬유로; 및 상기 가이드 벽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팬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듈의 팬 하우징의 가이드벽은, 상기 상부 모듈의 팬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모듈의 팬 하우징의 가이드벽은, 상기 하부 모듈의 팬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팬유로 및 상기 제2팬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적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팬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팬유로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상부 모듈 및 상기 하부 모듈 각각의 팬 하우징의 가이드벽의 일측에는, 상기 제1팬유로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듈 및 상기 하부 모듈 각각의 팬 하우징의 가이드벽의 타측에는, 상기 제2팬유로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 측으로 경사지게 컷오프되는 제2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팬에 의해 축방향으로 도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토출된 공기가 팬하우징의 가이드벽에 의해 용이하게 토출부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벽이 팬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벽은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며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1팬유로와 제2팬유로의 단면적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제1팬유로는 팬의 외주면과 가이드벽 사이에 형성되고 제2팬유로는 팬의 외주면과 커버 사이에 형성되므로, 제2팬유로의 단면적은 제1팬유로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벽의 일측에는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경사지게 컷오프되는 제2경사부가 형성됨에 따라, 제1팬유로 및 제2팬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동 가이드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유입부에서 하우징 플레이트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를 포함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점차 하방으로 안내하여 절개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유동은 원주방향 회전력을 유지하며 토출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토출 가이드부에 의해 토출부로 토출된 공기가 원주 방향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방향 전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과 상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허브 안착부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허브 안착부에 상부 모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X-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과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에 회전 모터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터 및 동력전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팬과 제 2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 장치와 상부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 장치와 하부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 및 하부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고정되는 부분(F)과, 회전되는 부분(R)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측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측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4은 도 33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8는 도 37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10)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21,23) 및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25,27)가 구비되는 본체(20)가 포함된다.
[제 1,2 흡입부]
상기 흡입부(21,23)에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흡입부(21) 및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흡입부(2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본체(21)의 중앙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본체(21)의 중앙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21)의 "중앙부"라 함은, 상기 본체(21)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2 토출부]
상기 토출부(25,27)는 상기 본체(2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25,27)에는, 상기 제 1 흡입부(21)에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부(25) 및 상기 제 2 흡입부(23)에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부(27)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부(25)는 상기 제 2 토출부(27)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부(25)는 제 2 토출부(27)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제 2 토출부(27)는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제 1 공기유동과,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제 2 공기유동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본체(20)의 측방 또는 반경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 1 토출유로(26)"라 이름하고,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 2 토출유로(28)"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토출유로(26,28)를 합하여, "토출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방향 정의]
방향을 정의한다. 도 1,2를 기준으로 세로방향을 "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이라 하고, 상기 축 방향에 수직한 가로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 이름할 수 있다.
[레그]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에는, 상기 본체(20)의 하측에 구비되는 레그(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그(30)는 상기 본체(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50)는 지면에 놓여지는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20) 및 레그(3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레그(30)에는, 상기 베이스(50)에 결합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레그 본체(3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30)에는, 상기 레그 본체(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레그 연장부(33,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그 연장부(33,35)에는, 상기 레그 본체(31)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레그연장부(33) 및 상기 레그 본체(31)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레그연장부(3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레그연장부(33,35)는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결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레그 본체(30) 및 제 1,2 레그연장부(33,35)는, "Y"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레그 본체(30) 및 제 1,2 레그연장부(33,3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 연장부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그 연장부는 삼발이 형태의 받침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레그 연장부가 생략되고, 일자 형상의 레그 본체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레그 본체는 생략되고, 다수의 레그 연장부가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부모듈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20)에는, 상부모듈(100) 및 상기 상부모듈(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모듈(200)이 포함된다. 상기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부팬 및 상부 팬하우징]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상부 팬(130) 및 상기 상부 팬(130)이 설치되는 상부팬 하우징(150)이 포함된다.
상기 상부 팬(13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팬(130)에는 시로코 팬(sirocco fan)이 포함될 수 있다.
상부팬 하우징(150)은 상기 상부 팬(130)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 팬(1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 유동을 상기 제 1 토출부(25)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공기처리 장치]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기 상부모듈(100)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조화 또는 정화를 위하여 작동하는 제 1 공기처리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기처리 장치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이오나이저(179)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179)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 구비되는 이오나이저 장착부(16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 장착부(168)는 가이드 벽(153)에 구비된다. 상기 이오나이저(179)는 상기 이오나이저 장착부(168)에 설치되어, 제 1 팬유로(138a)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오나이저(179)는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하는 공기에 작용하여 제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모터]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상부 팬(13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부모터(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모터(170)의 상부에는, 상부모터 축(171)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모터 축(171)은 상기 상부모터(17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모터(170)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모터 축(171)은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기 상부 팬(13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록킹부]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상부모터 축(171)에 결합되는 록킹부(17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록킹부(175)는 상기 상부 팬(130)의 허브(131a)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모터(170)를 상기 상부 팬(13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모터 댐퍼]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상부모터(170)와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사이를 댐핑하는 모터 댐퍼(173a, 173b)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댐퍼(173a, 173b)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모터 댐퍼(173a, 173b) 중 상부 모터댐퍼(173a)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모터 축(171)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모터 댐퍼(173) 중 하부 모터댐퍼(173b)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모터 축(171)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모터(170)의 일면과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저면 사이에 개입될 수 있다.
[상부 커버]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상부 팬(130) 및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상부커버(120)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상부커버(120)에는, 개구된 상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입하는 커버유입부(12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20)에는, 개구된 하단부를 가지는 커버배출부(12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팬(13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커버배출부(125)를 통하여 제 1 토출유로(26)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커버배출부(125)의 크기는, 상기 커버유입부(12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12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끝이 잘린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부팬(130)을 통과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유동하면서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
상기 상부 모듈(100)에는, 상기 상부커버(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커버(1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에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커버 그릴(11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커버 그릴(112)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1 프리필터]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에 지지되는 제 1 프리 필터(10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프리 필터(105)에는, 필터 프레임(106) 및 상기 필터 프레임(106)에 결합되는 필터부재(107)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은 상기 제 1 프리 필터(105)에 의하여 걸러질 수 있다.
[탑커버 및 탑커버지지부]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탑커버지지부(103) 및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의 상측에 놓여지는 탑커버(101)가 더 포함된다. 상기 탑커버지지부(103)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의 중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의 저면은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의 중앙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탑커버지지부(103)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의 저면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의 커버그릴(112)측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01)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커버(101)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PCB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유로(26)로 가이드 하기 위한 상부 에어가이드(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결합부(151b, 도 6 참조)가 포함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가이드 결합부(151b)를 통하여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제 1 하우징체결부(183)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는 중공의 판 형상을 가진다. 상세히,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는, 상기 상부모터(170)가 삽입되는 중앙부(180a)와,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테두리부(180b) 및 상기 중앙부(180a)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80b)를 향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연장부(180c)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연장부(180c)는, 상기 중앙부(180a)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80b)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또는 하향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부 팬의 상세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과 상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1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상부 팬(130) 및 상기 상부 팬(130)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 팬(130)이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상부팬 하우징(150)이 포함된다.
상기 상부 팬(13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팬(130)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가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131)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13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하는 허브(131a)가 포함된다. 상기 허브(131a)에는, 상기 상부모터 축(17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3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팬(130)에는,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의 상측에 구비되는 측판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측판부(135)는,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의 하단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31)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측판부(1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팬 하우징의 하우징플레이트]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기 상부 팬(13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우징플레이트(151) 및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팬(130)의 허브(131a)가 안착되는 허브 안착부(152)가 포함된다. 상기 허브 안착부(152)는 상기 허브(131a)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벽]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 팬(1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벽(153)이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벽(153)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벽(153)은 상부팬(130)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153)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 팬(130)과 점점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팬유로]
상기 가이드 벽(153)과 상기 상부 팬(1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팬유로(138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팬유로(138a)는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팬(1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상부 팬(1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상기 가이드 벽(15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제 1 팬유로(138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 1 팬유로(138a)의 단면적은 공기의 회전방향으로,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팬유로(138a)는 스파이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스파이럴 유동"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상부 팬(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1 경사부]
상기 가이드 벽(153)에는, 상기 가이드 벽(153)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경사부(154)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벽(153)의 일측은, 상기 일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측보다 상부 팬(130)과의 거리가 멀 수 있다.
상기 하향 경사지는 방향은, 상기 제 1 팬유로(138a)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제1경사부(154)와 하우징 플레이트(151) 사이의 각도는 0도보다 크고 6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154)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경사부(154)는 상부 커버(12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경사부(154)는 상부 커버(120)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팬유로]
상기 상부 커버(120)가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팬(130)의 외주면 일부와 상기 상부 커버(1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제 1 팬유로(138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138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팬유로(138b)는, 상기 제 1 팬유로(138a)으로부터 공기가 유동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유로(138a)를 거친 공기는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팬유로(138b)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1 팬유로(138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상기 제 1 팬유로(138a)로부터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그 유동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상부 팬(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경사부]
상기 가이드 벽(153)에는, 상기 가이드 벽(153)의 타측 상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컷오프되는 제 2 경사부(156)가 포함된다. 상기 하향 경사지는 방향은, 상기 제 2 팬유로(138b)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부(156)를 컷오프(cut-off)라 이름할 수 있다.
제2경사부(156)와 하우징 플레이트(151) 사이의 각도는 0도보다 크고 6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부(154)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경사부(156)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공기의 유동이 가이드 벽(153)의 타측 단부에 부딪히며 가하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154) 및 상기 제 2 경사부(156)는 상기 가이드 벽(153)의 양측 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부(154)는 상기 제 1 팬유로(138a)와 상기 제 2 팬유로(138b)의 사이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경사부(156)는 상기 제 2 팬유로(138b)와 유동 가이드부(160)의 사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동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계영역에, 상기 제 1,2 경사부(154,156)가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유동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부]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지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1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는 상기 가이드 벽(153)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부(160)의 배치에 의하여, 상기 제 1,2 팬유로(138a, 138b)를 경유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에는, 공기의 유동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161)가 포함된다. 즉, 상기 가이드 본체(161)는 라운드면 또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의 내부에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상세히,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경유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65)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65)는 개방된 공간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161)는 상기 유입부(165)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절개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에는, 절개부(151a)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51a)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유입부(165)는 상기 절개부(151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는 상기 절개부(151a)와 함께 상기 제 1 토출부(25)를 정의할 수 있다. 즉, 제 1 토출부(25)는 가이드벽(153)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부팬(130)의 외주면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25)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측에 존재하는 공기 유동, 즉 상기 제 1,2 팬유로(138a, 138b)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유동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1 토출 가이드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유동을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제 1 토출 가이드부(158)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중앙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는 상기 제 1 토출부(25)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플레이트함몰부(158a)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함몰부(158a)에 의하여,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돌출된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일부분을 하방으로 함몰시켜 상기 플레이트함몰부(158a)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회전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를 만나면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와 함께,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상기 상부 팬(130)을 향하여 하방으로 흡입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 및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제 1 토출유로(26)를 통하여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상부모터의 지지기구]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허브 안착부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허브 안착부에 상부 모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X-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상기 허브 안착부(152)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모터(170)의 지지기구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기구에는, 상기 상부모터 축(171)이 관통하는 축 관통공(15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모터 축(171)은 상기 상부모터(17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 관통공(152a)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팬(13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리브]
상기 지지기구에는, 상기 상부모터(170)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52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리브(152b)는 상기 허브 안착부(152)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모터(170)의 테두리부를 지지하도록 대략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
상기 지지기구에는, 상기 지지리브(152b)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152c)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52c)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보강리브(152c)는 서로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체결공]
상기 지지기구에는, 체결부재(178)가 체결되는 체결공(152d)이 더 포함된다. 상기 체결공(152d)은 상기 축 관통공(152a)의 외측에 형성되며, 일례로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78)는 상기 상부 모터댐퍼(173a) 및 하부 모터댐퍼(173b)를 상기 상부모터(170)에 체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례로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모터댐퍼(173a)는 상기 허브 안착부(152)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모터댐퍼(173b)는 상기 허브 안착부(15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모터댐퍼(173a)와 상기 하부 모터댐퍼(173b)의 사이에 상기 허브 안착부(15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78)는 상기 상부 모터댐퍼(173a)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공(152d)을 경유하여 상기 하부 모터댐퍼(173b)를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78)는 상기 체결공(152d)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모터(170)에 결합될 수 있다.
[배출공]
상기 허브 안착부(152)에는, 상부모터(17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52e)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52e)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배출공(152e)은 상기 허브 안착부(152)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배출공(152e)은 상기 축 관통공(152a)의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부모터와 체결부재의 결합구조]
상기 체결부재(178)는 상기 상부모터(170) 중 모터고정부(170b)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모터(170)에는, 상기 상부모터 축(171)과 함께 회전하는 모터회전부(170a) 및 상기 모터회전부(170a)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터고정부(170b)가 포함된다. 즉, 상기 상부모터(170)는 아우터 로터(outer rotor) 타입의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고정부(170b)에는, 모터 PCB(170c)가 포함된다. 상기 모터 PCB(170c)는 상기 지지리브(152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 PCB(170c)는 상기 지지리브(152b)의 내측에 구속되어, 상기 상부모터(170)가 좌우방향(반경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모터의 조립방법]
상기 상부모터(170)의 조립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부모터(170)의 모터회전부(170a)를 파지하여 상기 상부모터(170)를 상기 허브 안착부(152)의 하측에 위치시킨다. 이 때, 상기 상부 모터댐퍼(173a)와 상기 하부 모터댐퍼(173b)는 상기 허브 안착부(152)의 상면 및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모터 축(171)이 상기 허브 안착부(152)의 축 관통공(152a)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모터(17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모터 PCB(170c)가 상기 지지리브(152b)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재(178)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댐퍼(173a, 173b) 및 상기 모터고정부(170b)를 체결한다. 상기 모터고정부(170b)에는, 상기 체결부재(178)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재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및 조립방법에 의하면, 상기 모터 PCB(170c)가 정위치에 쉽게 배치되며, 상부모터(170)가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상부모터(170)의 체결구조에 관한 설명은, 후술할 하부모터(236)의 체결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하부모듈의 구성>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하부 팬 및 하부팬 하우징]
도 3 및 도 11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2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부 팬(230) 및 상기 하부 팬(230)이 설치되는 하부팬 하우징(220)이 포함된다. 상기 하부 팬(23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 팬(230)에는 시로코 팬(sirocco fan)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은 상기 하부 팬(23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팬(2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 유동을 상기 제 2 토출부(27)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모터]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 팬(23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하부모터(236)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모터(236)의 하부에는, 하부모터 축(236a)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은 상기 하부모터(23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모터(236)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은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 및 상기 하부 팬(23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팬(230)에는,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234, 도 16 참조)가 구비된다.
[록킹부]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모터 축(236a)에 결합되는 록킹부(239)가 더 포함된다. 상기 록킹부(239)는 상기 하부 팬(230)의 허브(231a)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모터(236)를 상기 하부 팬(23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모터 댐퍼]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모터(236)와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사이를 댐핑하는 모터 댐퍼(237)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댐퍼(237)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모터 댐퍼(237)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의 일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모터(236)의 일면과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면 사이에 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모터 댐퍼(237)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부커버]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 팬(230) 및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부커버(290)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하부커버(290)에는, 개구된 하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입하는 커버유입부(291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290)에는, 개구된 상단부를 가지는 커버배출부(291b)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팬(23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커버배출부(291b)를 통하여 제 2 토출유로(28)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커버배출부(291b)의 크기는, 상기 커버유입부(29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커버(29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끝이 잘린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부팬(290)을 통과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유동하면서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보호부재]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 커버(290)의 하측에 구비되며 히터 어셈블리(26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부재(29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보호부재(294)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94)는 열에 의하여 타지 않는 스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94)에 의하여, 상기 열이 제 2 프리필터(295)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 프리필터(295)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제 2 프리필터]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보호부재(294)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2 프리 필터(29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프리 필터(295)에는, 필터 프레임(296) 및 상기 필터 프레임(296)에 결합되는 필터부재(297)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은 상기 제 2 프리 필터(295)에 의하여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 2 프리 필터(295)이 하측 공간부가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부 에어가이드]
상기 상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을 통과한 공기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하부 에어가이드(2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중공의 판 형상을 가진다. 상세히,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에는, 상기 하부모터(236)가 삽입되는 중앙부(210a)와,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테두리부(210b) 및 상기 중앙부(210a)로부터 상기 테두리부(210b)를 향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연장부(210c)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연장부(210c)는, 상기 중앙부(210a)로부터 상기 테두리부(210b)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또는 상향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서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상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상기 제 2 토출유로(28)로 유동할 수 있다.
[PCB 장치]
상기 가이드연장부(210c)의 상면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유동 발생장치(10)를 제어하는 메인 PCB(215)가 구비되는 PCB 장치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PCB 장치에는,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에 공급되는 전력을 안정하게 공급하는 레귤레이터(21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귤레이터(216)에 의하여, 입력전원의 전압이나 주파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전압의 전력이 유동 발생장치(10)에 공급될 수 있다.
[통신모듈]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통신모듈이 더 포함된다.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에는, 와이파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LED 장치]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LED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LED 장치는 유동 발생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LED 장치는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와 하부 에어가이드(2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소정의 색상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 LED 장치에서 발생되는 색상은 유동 발생장치(10)의 운전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LED 장치에는, LED가 설치되는 LED PCB(218) 및 상기 LED PCB(218)의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하기 위한 LED 커버(219)가 포함된다. 상기 LED 커버(219)를 "확산판"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와 하부 에어가이드의 결합구조]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와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와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를 합하여 "에어가이드 장치"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기 상부모듈(100)과 상기 하부모듈(200)을 구획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기 상부모듈(100)과 상기 하부모듈(200)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기 상부모듈(100)과 상기 하부모듈(2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 및 하부 에어가이드(210)의 결합에 의하여, 에어가이드 장치(180,210)의 내부에는 모터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설치공간에는, 상기 상부모터(170) 및 하부모터(236)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장치의 공간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래치 어셈블리]
상기 하부커버(290)는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래치 결합부(225b, 도 11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결합부(225b)에는, 상기 하부커버(290)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래치어셈블리(238a, 238b)가 결합된다. 상기 래치어셈블리(238a, 238b)에는, 상기 하부커버(290)에 삽입되는 제 1 래치(238a) 및 상기 래치결합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래치(238b)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래치결합부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 구비되는 래치결합부(157a)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래치(238a, 238b)에 관한 설명은, 상부모듈(100)의 제 1,2 래치(177a, 177b)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부 오리피스]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의 일부 부품의 회전을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상부 오리피스(2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는 개구된 중앙부(240a)를 가지며,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부(240a)는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27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터(270)에는, 회전각도 조절이 용이한 스텝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에는, 상기 회전모터(270)에 연결되는 동력전달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동력전달 장치에는, 상기 회전모터(270)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272) 및 상기 피니언 기어(272)에 연동하는 랙 기어(27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276)는 상기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의 회전곡률에 대응하여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오리피스]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오리피스(2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는 상기 레그(30)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의 양측은 상기 제 1 레그연장부(33) 및 상기 제 2 레그연장부(3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는 상기 하부모듈(200) 중 고정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랙 기어]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상기 랙 기어(27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는 개구된 중앙부(280a)를 가지며,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부(280a)는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의 중앙부(280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중앙부(240a)를 통과할 수 있다.
[제 2 공기처리 장치]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모듈(200)을 유동하는 공기의 조화 또는 정화를 위하여 작동하는 제 2 공기처리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공기처리 장치는 상기 제 1 공기처리 장치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기처리 장치에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 지지되며 소정의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어셈블리(26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는, 히터(261)가 포함된다. 상기 히터(261)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240)의 개구된 중앙부(280a)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터(261)에는, PTC 히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는, 상기 히터(261)의 양측을 지지하는 히터 브라켓(263)이 더 포함된다. 상기 히터 브라켓(263)은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 결합될 수 있다.
[롤러]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상기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롤러(278)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278)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278)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회전, 즉 자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서포터]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의 상측에 배치되는 서포터(265,26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서포터(265,267)에는, 상기 히터(261)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1 서포터(265) 및 상기 제 1 서포터(265)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2 서포터(267)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와 상기 하부 팬(230)을 이격시켜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다른 부품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서포터(267)는 회전하는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의 회전중심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서포터(267)에는 베어링(275)이 제공되어 회전하는 부품의 움직임을 가이드 한다.
[하부팬 및 하부팬 하우징]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과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2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부 팬(230) 및 상기 하부 팬(23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팬(230)이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하부팬 하우징(220)이 포함된다.
[하부팬의 상세구성]
상기 하부 팬(23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팬(230)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가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231)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23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하는 허브(231a)가 포함된다. 상기 허브(231a)에는,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23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팬(230)에는,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의 하측에 구비되는 측판부(2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측판부(235)는,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의 상단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231)에 결합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측판부(2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팬과 하부팬의 크기 차이]
상기 상부 커버(120)의 상하 높이(Ho)와, 상기 하부 커버(290)의 상하 높이(Ho')는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유동 발생장치(10)의 외관이 컴팩트해지고 디자인이 미려해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하부 팬(230)의 상하 높이(H2)는, 상기 상부 팬(130)의 상하 높이(H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부모듈(200)에만 구비되는 히터 어셈블리(260)의 높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팬(230)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 팬(130)의 최대 능력이 상기 하부 팬(230)의 최대 능력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팬(130)과 하부 팬(230)을 동일한 회전수로 구동하였을 때, 상기 상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은 상기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보다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모듈(100)과 상기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량을 동일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팬(230)의 회전수를 상기 상부 팬(130)의 회전수보다 크게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에서 배출되어 합쳐지는 공기 유동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치우쳐지지 않고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하부팬 하우징의 상세구성]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상기 하부 팬(230)의 상측을 지지하는 하우징플레이트(221) 및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팬(230)의 허브(231a)에 결합되는 허브 안착부(222)가 포함된다. 상기 허브 안착부(222)는 상기 허브(231a)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 안착부(222a)에는,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이 관통하는 축 관통공(222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 팬(2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벽(223)이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벽(223)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벽(223)은 하부팬(230)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3)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 팬(230)과 점점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팬(230)의 높이(H2)가 상기 상부 팬(130)의 높이(H1)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가이드 벽(223)의 높이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150)의 가이드 벽(153)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팬유로]
상기 가이드 벽(223)과 상기 하부 팬(2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팬유로(234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팬유로(234a)는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팬(2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하부 팬(2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상기 가이드 벽(22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제 1 팬유로(234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 1 팬유로(234a)의 단면적은 공기의 회전방향으로,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팬유로(234a)는 스파이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스파이럴 유동"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에 의하여,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상부 팬(2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1 경사부]
상기 가이드 벽(223)에는, 상기 가이드 벽(223)의 일측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경사부(224)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벽(223)의 일측은, 상기 일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측보다 하부 팬(230)과의 거리가 멀 수 있다.
상기 상향 경사지는 방향은, 상기 제 1 팬유로(234a)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경사부(224)와 하우징 플레이트(221) 사이의 각도는 0도보다 크고 6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224)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경사부(224)는 하부 커버(29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경사부(224)는 하부 커버(290)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크 및 후크 결합부의 작용]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에는, 상기 하부 커버(290)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후크(225a)가 포함된다. 상기 후크(225a)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방향으로 절곡하는 형상, 일례로 "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290)에는, 상기 후크(225a)에 대응하는 형상의 후크 결합부(292b, 도 8 참조)가 구비된다. 후크(225a)와 후크 결합부(292b)에 관한 설명은, 상부모듈(100)의 후크(157b) 및 후크 결합부(127)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제 2 팬유로]
상기 하부 커버(290)가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팬(230)의 외주면 일부와 상기 하부 커버(290)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제 1 팬유로(234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23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팬유로(234b)는, 상기 제 1 팬유로(234a)으로부터 공기가 유동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유로(234a)를 거친 공기는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팬유로(234b)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1 팬유로(234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상기 제 1 팬유로(234a)로부터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그 유동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상기 상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하부 팬(2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경사부]
상기 가이드 벽(223)에는, 상기 가이드 벽(223)의 타측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컷오프되는 제 2 경사부(226)가 포함된다. 상기 상향 경사지는 방향은, 상기 제 2 팬유로(234b)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부(226)를 컷오프(cut-off)라 이름할 수 있다.
제2경사부(226)와 하우징 플레이트(221) 사이의 각도는 0도보다 크고 6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부(226)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경사부(226)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공기의 유동이 가이드 벽(223)의 타측 단부에 부딪히며 가하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224) 및 상기 제 2 경사부(226)는 상기 가이드 벽(223)의 양측 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부(224)는 상기 제 1 팬유로(234a)와 상기 제 2 팬유로(234b)의 사이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경사부(226)는 상기 제 2 팬유로(234b)와 유동 가이드부(227)의 사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동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계영역에, 상기 제 1,2 경사부(224,226)가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유동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부]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지난 공기를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22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상부모듈(100)에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부(160)를 "제 1 유동가이드부"라 하고, 상기 하부모듈(200)에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부(227)를 "제 2 유동가이드부"라 이름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는 상기 가이드 벽(223)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부(227)의 배치에 의하여, 상기 제 1,2 팬유로(234a, 234b)를 경유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에는, 공기의 유동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228)가 포함된다. 즉, 상기 가이드 본체(228)는 라운드면 또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의 내부에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상세히,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경유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228a)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228a)는 개방된 공간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228)는 상기 유입부(228a)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절개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에는, 절개부(221a)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221a)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유입부(228a)는 상기 절개부(221a)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는 상기 절개부(221a)와 함께 상기 제 2 토출부(27)를 정의할 수 있다. 즉, 제 2 토출부(27)는 가이드벽(223)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고, 하부팬(230)의 외주면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27)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하측에 존재하는 공기 유동, 즉 상기 제 1,2 팬유로(234a, 234b)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유동한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2 토출 가이드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유동을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제 2 토출 가이드부(229)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중앙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는 상기 제 2 토출부(27)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에는, 상방으로 함몰되는 플레이트함몰부(229a)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함몰부(229a)에 의하여,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돌출된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일부분을 상방으로 함몰시켜 상기 플레이트함몰부(229a)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를 구성할 수 있다.
[제 2 토출가이드부의 작용]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회전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를 만나면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와 함께,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상기 하부 팬(230)을 향하여 상방으로 흡입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 및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제 2 토출유로(28)를 통하여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가이드 안착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가 안착되는 가이드 안착부(221c)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상기 가이드 안착부(221c)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안착부(221c)에는,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가 결합되는 제 2 가이드결합부(221d)가 구비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221d)를 통하여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에 회전 모터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상부오리피스 본체]
도 3과, 도 15 내지 도 17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240)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개구된 중앙부(241a)를 가지는 상부오리피스 본체(241)가 포함된다. 상기 개구된 중앙부(241a)는 공기를 상기 하부 팬(230)으로 전달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된 중앙부(241a)에 의하여,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 가이드]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상기 하부 팬(230)의 측판부(235)가 삽입되는 팬 가이드(242)가 포함된다. 상기 팬 가이드(242)는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팬 가이드(242)는 상기 개구된 중앙부(241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터지지부]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상기 회전모터(270)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24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지지부(244)는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모터(27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270)는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저면에 지지되며 상기 모터지지부(244)에 삽입될 수 있다.
[구동장치]
상기 하부 모듈(200)에는, 구동력을 발생하여 상부 모듈(100) 및 하부 모듈(20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동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장치에는, 회전모터(270) 및 기어(272,276)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272,276)에는 피니언 기어(272) 및 랙 기어(27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270)에는, 피니언 기어(27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272)는 상기 회전모터(27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모터(270)의 모터축(27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270)가 구동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272)는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272)는 랙 기어(276)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276)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 고정된다. 상기 랙 기어(276)는 고정된 구성이므로 상기 피니언 기어(272)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모터(270)와 상기 피니언 기어(272)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개구된 중앙부(241a)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즉 공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터(270)를 지지하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는 자전하게 된다.
[제 2 서포터결합부]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상기 제 2 서포터(267)에 결합되는 제 2 서포터결합부(24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서포터결합부(248)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중앙부(241a)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터(267)에는, 상기 제 2 서포터결합부(248)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267d)가 포함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서포터결합부(248)를 통하여 상기 제 2 체결부(267d)에 체결될 수 있다.
[커버결합부]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상기 하부 커버(290)에 결합되는 커버결합부(249)가 더 포함된다. 상기 커버결합부(249)는,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테두리부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커버결합부(249)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결합부]
상기 하부 커버(290)에는, 상기 커버결합부(249)에 결합되는 오리피스결합부(292a)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결합부(292a)는 상기 하부 커버(290)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결합부(249)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오리피스결합부(292a)를 통하여 상기 커버결합부(249)에 체결될 수 있다.
[벽지지부]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가이드 벽(223)을 지지하는 벽지지부(24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벽지지부(246)는,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지지부(246)는, 상기 가이드 벽(223)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 오리피스와 히터 어셈블리]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터 및 동력전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팬과 제 2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하부 오리피스 본체]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260)는 하부 오리피스(28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개구된 중앙부(281a)를 가지는 하부오리피스 본체(281)가 포함된다. 상기 개구된 중앙부(281a)는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개구된 중앙부(241a)로 전달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된 중앙부(281a)에 의하여, 상기 하부오리피스 본체(281)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랙 결합부]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상기 랙 기어(276)에 결합되는 랙 결합부(28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랙 결합부(285)는 상기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랙 체결부재(286)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을 가진다. 상기 랙 체결부재(286)는 상기 랙 기어(276)를 관통하여 상기 랙 결합부(285)에 체결될 수 있다.
[브라켓지지부]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는, 히터(261) 및 상기 히터(261)의 양측을 지지하는 히터 브라켓(263)이 포함된다. 상기 개구된 중앙부(281a)에는, 히터(26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에는, 상기 히터 브라켓(263)이 장착되는 브라켓지지부(282)가 더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지지부(282)는 상기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브라켓(263)은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지지부(282)에 체결될 수 있다.
[롤러지지부]
상기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의 상부에는, 상기 롤러(278)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부(28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롤러(278)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브(240)에 접촉하여 구름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서포터결합부]
상기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에는, 제 1 서포터(265)에 결합되는 제 1 서포터결합부(283)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서포터결합부(283)는 상기 중앙부(241a)의 테두리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265)에는, 상기 제 1 서포터결합부(283)에 결합되는 제 1 체결부(265e)가 포함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서포터결합부(283)를 통하여 상기 제 1 체결부(265e)에 체결될 수 있다.
[제 1 서포터]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의 상측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금속재질, 일례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상기 하부모듈(200) 중 회전하는 부품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상기 제 2 서포터(267)와 함께 상기 하부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이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 1,2 서포터(265, 267)는 상기 하부 팬(230) 및 하부팬 하우징(220)이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로부터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1 서포터(265)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는 제 1 서포터본체(265a)와, 상기 제 1 서포터본체(265a)의 내주면 일 지점으로부터 타 지점으로 연장되는 제 1 서포터프레임(265c)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서포터프레임(265c)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 1 서포터프레임(265c)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 1 서포터프레임(265c)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서포터중심부(265b)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터중심부(265b)에는,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부(267b)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중심부(265b)에는, 상기 베어링(275)이 제공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회전중심부(267b)의 외측에는 상기 베어링(275)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중심부(267b)가 상기 서포터중심부(265b) 내에서 회전할 때, 용이한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제 2 서포터]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와,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 및 제 1 서포터(265)는 고정된 구성이며, 상기 제 2 서포터(267) 및 상기 제 2 서포터(267)의 상측에 구비되는 부분, 즉 하부 팬(230), 하부팬 하우징(220) 및 상부 오리피스(240)등은 회전(자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터(267)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는 제 2 서포터본체(267a)와, 상기 제 2 서포터본체(267a)의 내주면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서포터본체(267a)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제 2 서포터프레임(267c)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서포터프레임(267c)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 2 서포터프레임(267c)은 상기 제 2 서포터본체(267a)의 중심부에서 만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터본체(267a)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중심부(267b)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중심부(267b)는 상기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중심부(267b)는 상기 제 2 서포터본체(267a)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서포터(265)의 중심부(265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 2 서포터와 록킹부의 배치구조]
상기 복수 개의 제 2 서포터프레임(267c)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단차부(267e)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67e)는 상기 록킹부(239)의 단차진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단차부(267e)는 상기 록킹부(239)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 2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팬(230)의 상측에는 하부모터(236)가 배치되며, 하부모터 축(236a)은 상기 하부모터(236)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팬(230)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 팬(230)에는,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이 관통하는 축 결합부(234)가 구비된다. 상기 축 결합부(234)는 상기 하부 팬(230)의 허브(231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은 상기 축 결합부(234)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팬(230)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록킹부(239)에 결합된다. 상기 록킹부(239)의 저면은 상기 하부 팬(230)의 허브(231a)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 또는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록킹부(239)의 하측에는 상기 제 2 서포터(267)의 단차부(267e)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239)와 상기 제 2 서포터(267) 간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239)의 저면과 상기 제 2 서포터(267)의 단차부(267e)는 설정거리(S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부 팬(230)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하부 팬(230) 또는 록킹부(239)와 상기 제 2 서포터(267) 간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와 하부 에어가이드의 결합구조]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 장치와 상부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 장치와 하부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 장치(180,2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는 제 1 가이드결합부(188)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에는 제 2 가이드결합부(218)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188)는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218)의 상측에 정렬되며,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188)를 통하여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218)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의 상부팬 하우징 지지구조]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중앙부(180a)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함몰부(187)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함몰부(187)에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가이드지지부(152a)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지지부(152a)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허브 안착부(152)의 테두리측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87)와 상기 가이드지지부(152a)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은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제 1 가이드결합부(151b)는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제 1 하우징체결부(183)에 체결될 수 있다.
[하부 에어가이드의 하부팬 하우징 지지구조]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의 중앙부(210a)에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가이드 안착부(221c)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우징지지부(217)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연장부(210c)는 상기 하우징지지부(217)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지지부(217)와 상기 가이드 안착부(221c)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에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제 2 가이드결합부(221d)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체결부(217a)가 포함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221d)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하우징체결부(217a)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모듈에서의 공기유동]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팬(130)이 구동되면, 공기는 상기 상부모듈(100)의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되며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하여 제 1 토출부(25)에서 배출되는 유동, 즉 제 1 공기유동(Af1)이 발생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팬(130)의 회전에 따라, 공기는 상기 상부모듈(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하방으로 흡입된다.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프리필터(105)를 거쳐 상기 상부 팬(130)의 축방향으로 흡입된다.
상기 상부 팬(1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상부 팬(1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가이드 벽(15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팬유로(138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유로(138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팬유로(138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138b)를 통하여 원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팬유로(138b)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1 팬유로(138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상부 팬(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으로 유동한다. 이 때,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제 2 토출부(27)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원주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에 의하여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를 만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와 함께,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는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부 커버(120)에 의하여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 및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벽(153)의 외측에는 공기 중 미생물의 제균을 위한 이오나이저(179)가 설치되는 이오나이저 장착부(168)가 형성된다. 상기 이오나이저(179)는 상기 제 1 팬유로(138a) 또는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향하여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모듈(100)을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이오나이저(179)를 통하여 제균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부모듈에서의 공기유동]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8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 및 하부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26 및 도 2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팬(230)이 구동되면, 공기는 상기 상부모듈(200)의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되며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하여 제 2 토출부(27)에서 배출되는 유동, 즉 제 2 공기유동(Af2)이 발생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팬(230)의 회전에 따라, 공기는 상기 하부모듈(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상방으로 흡입된다.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프리필터(295)를 거쳐 상기 하부 팬(230)의 축방향으로 흡입된다.
상기 하부 팬(2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하부 팬(2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가이드 벽(22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팬유로(234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유로(234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팬유로(234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234b)를 통하여 원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팬유로(234b)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1 팬유로(234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하부 팬(2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으로 유동한다. 이 때,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제 1 토출부(25)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원주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에 의하여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를 만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와 함께,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는 하부팬 하우징(220) 및 하부 커버(290)에 의하여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 및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21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 1,2 토출부를 통한 공기의 집중 배출]
도 28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토출부(27)는 에어가이드 장치(180,210)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토출부(25)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향하는 공기유동은 제 1 토출부(25)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배출되는 제 1 공기와,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배출되는 제 2 공기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토출부(25)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 및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토출유로(26)로 배출되며,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 및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29)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2 토출유로(28)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는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의 바로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2 토출유로(26,28)를 유동하는 공기는 집중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면,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에 작용하는 유동 압력이 균형을 이룰 수 있으므로 유동 발생장치(10)의 진동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유동가이드부(227) 및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에 의하여 상기 제 2 토출유로(28)를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모듈(200)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어셈블리(2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는 상기 제 2 송풍팬(23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 2 송풍팬(23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따뜻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가 상기 하부모듈(200)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제 1,2 토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
상기 상부 팬(130)의 회전방향과, 상기 하부 팬(230)의 회전방향은 반대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동발생 장치(10)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면에,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일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일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우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좌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반대로,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좌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우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모듈(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하부모듈(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서로 반대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에 의하여 유동 발생장치(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서로 상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진동 및 그에 따른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용어의 정의]
상기 상부모듈(100) 및 상기 하부모듈(200)을 각각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100)에 구비되는 상부 팬(130), 상부팬 하우징(150), 상부 에어가이드(180) 및 상부 커버(120)를 각각 "제 1 팬", "제 1 팬 하우징", "제 1 에어가이드" 및 "제 1 커버"라 이름하고, 상기 하부모듈(200)에 구비되는 하부 팬(230), 하부팬 하우징(220), 하부 에어가이드(210) 및 하부 커버(290)를 "제 2 팬", "제 2 팬 하우징", "제 2 에어가이드" 및 "제 2 커버"라 이름할 수 있다.
[유동 발생장치의 회전작용]
도 2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고정되는 부분(F)과, 회전되는 부분(R)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측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측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10)에는, 일 위치에 고정되는 장치 고정부(F) 및 회전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장치 회전부(R)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치 회전부(R)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장치 고정부(F)에는, 하부 모듈(100) 중 하부 오리피스(280), 랙 기어(276) 및 히터 어셈블리(26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 회전부(R)에는, 상부 모듈(100)과, 상기 하부 모듈(100) 중 상기 고정되는 부분(R)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제 1 위치]
도 30는 상기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제 1 공기유동(Af1) 및 상기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제 2 공기유동(Af2)을 보여준다. 일례로, 상기 "제 1 위치"는, 전방으로 공기를 집중하여 토출하는 전방 토출위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 및 제 2 토출가이드부(229)는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1는 상기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제 1 공기유동(Af1) 및 상기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제 2 공기유동(Af2)을 보여준다. 일례로, 상기 "제 2 위치"는, 좌측방으로 공기를 집중하여 토출하는 좌측방 토출위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 및 제 2 토출가이드부(229)는 좌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제 2 위치]
상세히, 도 30의 위치에서, 상기 하부 모듈(200)에 구비되는 회전모터(270)가 일 방향으로 구동하면, 상기 회전모터(270)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272)와 상기 랙 기어(276)가 연동한다. 상기 랙 기어(276)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 고정된 구성이므로, 상기 피니언 기어(272)는 상기 랙 기어(276)를 따라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회전모터(270)와 상기 피니언 기어(272)는 상기 하부모듈(200)의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A1)으로 공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모터(270)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 지지되며,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와 상기 제 2 서포터(267)는 서로 결합되므로,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 및 상기 제 2 서포터(267)는 회전(자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부(267b)가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 및 상기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을 형성한다.
정리하면, 상기 회전모터(270) 및 상기 피니언 기어(272)는 상기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부(267b)를 기준으로 공전하며,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 및 상기 제 2 서포터(267)는 상기 회전중심부(267b)를 기준으로 자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 결합되는 베어링(275)은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저면에 구름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는 상기 하부 커버(290)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커버(290)와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은 걸림구조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하부 커버(290)와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 또한 자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 지지되는 하부 팬(230) 및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 결합되는 하부 에어가이드(210) 또한 자전하게 된다.
결국, 상기 회전모터(270)가 구동하면, 상기 하부모듈(200) 중, 고정된 하부 오리피스(280)에 결합된 랙 기어(276) 및 히터 어셈블리(260)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은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부(267b)를 기준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와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는 서로 결합되므로, 상기 하부모듈(200)의 회전력은 상기 에어가이드(180,210)를 통하여 상기 상부모듈(1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은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커버(120) 및 상기 상부 팬(130)은 상부팬 하우징(150)에 결합되므로,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 상부팬 하우징(150), 상부 팬(130) 및 상부 커버(120)는 일체로 자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20)의 상측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커버(110), 탑커버지지부(103) 및 탑커버(101) 또한 함께 자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팬(130) 및 상기 하부 팬(230)이 구동할 때, 상기 회전모터(270)가 구동하면, 상기 상부모듈(100)에 구비되는 제 1 토출부(25) 및 상기 하부모듈(200)에 구비되는 제 2 토출부(27) 또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결국, 도 3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2 토출부(25,27)는 시계방향(A1)으로 회전하여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으로 회전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제 3 위치]
도 32은 상기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이 제 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제 1 공기유동(Af1) 및 상기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제 2 공기유동(Af2)을 보여준다. 일례로, 상기 "제 3 위치"는, 우측방으로 공기를 집중하여 토출하는 우측방 토출위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 및 제 2 토출가이드부(229)는 우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의 제 3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회전모터(270)가 타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272)와 상기 랙 기어(276)가 연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272)와 상기 랙 기어(276)의 연동에 따라, 상기 장치 회전부(R)이 회전하는 원리에 관한 설명은, 제 2 위치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다만,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회전되는 부분(R)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A2)으로 회전하여 우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점에서, 상기 제 2 위치와 차이가 있다. 결국, 도 3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2 토출부(25,27)는 반시계방향(A2)으로 회전하여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측으로 회전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 회전부(R)의 움직임에 의하여,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제 2 실시예)
도 3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에는 흡입부(21,23) 및 이너 토출부(25',27') 및 아우터 토출부(29)가 구비되는 본체(20')가 포함될 수 있다.
본체(20')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상부 커버(120)와,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 커버(390) 및 하부 팬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는 아우터 토출바디(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는 상부 커버(120)와,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 커버(390) 및 하부 팬 하우징(220)과 함께 하우징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동 발생장치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에어가이드(180)(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흡입부(21,23)는 본체(20')에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흡입부(21,23)은 본체(2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흡입부(21,23)는 제 1 흡입부(21) 및 제 2 흡입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흡입부(21)와 제 2 흡입부(23) 중 어느 하나가 본체(20')의 상부에 형성될 경우, 제 1 흡입부(21)와 제2 흡입부(23) 중 다른 하나는 본체(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흡입부(21)와 제 2 흡입부(23)는 본체(20')의 서로 상이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흡입부(21)는 상부 커버(1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흡입부(23)는 하부 커버(29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토출부]
이너 토출부(25',27') 는 본체(20')의 내부에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이너 토출부는 제1이너 토출부(25') 및 제1이너 토출부(27')과 이격된 제2이너 토출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너 토출부(25')는 상부 팬(130)에 의해 유동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1토출부일 수 있다. 제1이너 토출부(25')는 상부팬 하우징(15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너 토출부(27')는 하부 팬(23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2토출부일 수 있다. 제2이너 토출부(27')는 하부팬 하우징(220)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
아우터 토출부(29)는 본체(20')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고, 제1이너토출부(25')를 통과한 공기와 제2이너토출부(29')를 통과한 공기는 아우터 토출부(29)를 통해 본체(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29)는 본체(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로서, 본체(20') 내부의 공기는 아우터 토출부(29)를 통과하여 본체(2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의 개방 방향]
아우터 토출부(29)는 본체(20')에 반경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29)의 개방방향은 제1흡입부(21)의 개방방향 및 제2흡입부(23)의 개방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
제1흡입부(21)가 본체(2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고, 제2흡입부(23)가 본체(2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경우, 아우터 토출부(29)는 본체(20)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의 크기]
아우터 토출부(29)의 크기는 제1흡입부(21)의 크기와 제2흡입부(23)의 크기의 합 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29)의 크기가 작을 경우, 본체(20')의 외부로 집중풍이 토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와 아우터 토출부]
에어가이드(180)(210)는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팬 하우징(220)을 연결하는 커넥터일 수 있고,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팬 하우징(220)의 사이에 토출유로(26,28)가 형성될 수 있게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팬 하우징(220)을 연결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80,210)는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팬 하우징(220)이 평행하게 배치되게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팬 하우징(22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80,210)는 제1이너토출부(25')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1토출유로(26)를 형성하는 제1에어가이드(180)와; 제2이너토출부(27')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제2토출유로(28)를 형성하는 제2에어가이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29)는 토출유로(26,28)와 연통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29)는 제1토출유로(26)와 제2토출유로(28)의 각각과 연통될 수 있다.
상부 팬(130)의 구동시, 공기는 제1흡입부(21)와 제1이너토출부(2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1토출유로(26)로 토출될 수 있고, 제1토출유로(26)의 공기는 아우터 토출부(29)를 통해 본체(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하부 팬(230)의 구동시, 공기는 제2흡입부(23)과 제2이너토출부(27)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2토출유로(28)로 토출될 수 있고, 제2토출유로(28)의 공기는 아우터 토출부(29)를 통해 본체(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
아우터 토출바디(390)는 유동 발생장치의 외관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그 외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는 에어가이드(180)(210)의 외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는 상부 커버(120)와 하부 커버(2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에는 아우터 토출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로(26,28)로 토출된 공기는 아우터 토출바디(390)에 안내되어 아우터 토출부(29)로 유동될 수 있고, 아우터 토출부(29)를 통과하여 본체(2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는 단면 형상이 호 형상일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의 일단과 타단은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의 단면 형상은 우호 형상일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29)는 아우터 토출바디(390)의 일단과 아우터 토출바디(390)의 타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에는 제1이너토출부(25')를 통과한 공기와 제2이너토출부(27')를 통과한 공기를 아우터 토출부(29)로 안내하는 이너 곡면(39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은 이너 곡면의 반대면인 아우터 곡면(39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의 이너 곡면]
이너 곡면(391)은 에어가이드(180)(210)의 외둘레에 접촉될 수 있다.
이너 곡면(391)의 상부는 제1에어가이드(180)를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고, 이너 곡면(391)의 상부와 제1에어가이드(180)의 사이에는 제1이너 토출부(25')를 빠져나온 공기가 아우터 토출부(29)로 안내되는 제1토출유로(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곡면(391)의 하부는 제2에어가이드(210)를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고, 이너 곡면(391)의 하부와 제2에어가이드(210)의 사이에는 제2이너 토출부(27')를 빠져나온 공기가 아우터 토출부(29)로 안내되는 제2토출유로(28)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의 아우터 곡면]
아우터 곡면(392)은 상하 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볼록한 형상일 수 있고, 그 상단이 상부 커버(120)의 외면 하단과 접할 수 있고, 그 하단이 하부 커버(290)의 외면 상단과 접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35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6는 도 35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아우터 토출부]
본 실시예의 아우터 토출부(29)는 제1토출유로(26)와 연통되는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토출유로(28)와 연통되는 제2아우터 토출부(29B)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아우터 토출부(29B)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2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아우터 토출바디(390)는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아우터 토출부(29B) 사이에 위치하는 차폐부(29C)를 포함할 수 있다.
[치폐부의 높이]
차폐부(29C)는 제1에어가이드(180)의 하단 외둘레 및 제2에어가이드(210)의 상단 외둘레를 함께 마주볼 수 있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의 내면]
차폐부(29C)는 에어가이드(180)(210)를 마주보는 내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내면은 제1에어가이드(180)의 하단 외둘레 및 제2에어가이드(210)의 상단 외둘레 각각과 접촉될 수 있다.
제1에어가이드(180)의 하단 외둘레 및 제2에어가이드(210)의 상단 외둘레 각각은 아우터 토출바디(390)의 이너 곡면(391)과 차폐부(29C)의 내면에 둘러싸일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의 효과]
에어가이드(180)(210)는 제1에어가이드(180)와 제2에어가이드(210) 사이의 틈 전체가 아우터 토출바디(390)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외관의 고급화가 가능하면서 보다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토출유로(26)로 안내된 공기와 제2토출유로(28)로 안내된 공기가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아우터 토출부(29B)로 분산되어 토출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37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8는 도 37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상부 커버(120')는 제1토출유로(26)를 형성하는 로어 유로 바디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커버(290')는 제2토출유로(28)을 형성하는 어퍼 유로 바디부(29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의 로어 유로 바디부]
로어 유로 바디부(120A)는 제1에어가이드(180)의 외둘레면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유로(26)는 제1에어가이드(180)의 외둘레면과 로어 유로 바디부(120A)의 내둘레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의 어퍼 유로 바디부]
어퍼 유로 바디부(290A)는 제2에어가이드(210)의 외둘레면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유로(28)은 제2에어가이드(210)의 외둘레면과 어퍼 유로 바디부(290A)의 내둘레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접촉]
상부 커버(120')의 하단(120B)은 하부 커버(290')의 상단(290B)와 접촉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
본 실시예는 아우터 토출부(29')가 상부 커버(120')와 하부 커버(29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120')에는 제1토출유로(26)와 연통되는 제1아우터 토출부(29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커버(290')에는 제2토출유로(28)와 연통되는 제2아우터 토출부(29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아우터 토출부(29B')는 상부 커버(120')와 하부 커버(290')가 접촉되었을 때, 하나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개구부는 제1토출유로(26)와 제2토출유로(28)의 각각과 연통될 수 있다.
10: 유동 발생장치 100: 상부모듈
110: 디스플레이 커버 120: 상부커버
130: 상부 팬 150: 상부팬 하우징
180: 상부 에어가이드 200: 하부모듈
210: 하부 에어가이드 220: 하부팬 하우징
230: 하부 팬 240: 상부 오리피스
260: 히터 어셈블리 270: 회전모터
280: 하부 오리피스 290: 하부 커버

Claims (20)

  1.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도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팬;
    상기 팬이 설치되고,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팬 하우징; 및
    상기 팬과 상기 팬 하우징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팬을 지지하는 하우징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벽;
    상기 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 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1팬유로;
    상기 팬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팬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제2팬유로;
    상기 가이드 벽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팬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 및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벽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팬유로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상기 토출부를 향해 가이드하며,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유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팬 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유동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유로 및 상기 제2팬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적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점점 커지도록 구성된 유동 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팬유로의 단면적보다 큰 유동 발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의 일측에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부가 형성된 유동 발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는 상기 제1팬유로와 상기 제2팬유로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는 유동 발생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의 타측에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를 향하여 경사지게 컷오프되는 제2경사부가 형성된 유동 발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부는 상기 제2팬유로와 상기 토출부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는 유동 발생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2팬유로를 경유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와 대응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와 상기 절개부는 함께 상기 토출부를 구성하는 유동 발생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타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가이드부는 상기 토출부의 출구측에 배치된 유동 발생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팬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유동 발생장치.
  15. 레그에 연결된 하부 모듈; 및
    상기 하부 모듈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듈 및 상기 상부 모듈 각각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도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팬;
    상기 팬이 설치되고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팬 하우징; 및
    상기 팬과 상기 팬 하우징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모듈과 상기 하부 모듈 각각의 팬 하우징은,
    상기 팬을 지지하는 하우징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에서 돌출되며 상기 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벽;
    상기 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 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1팬유로;
    상기 팬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팬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제2팬유로; 및
    상기 가이드 벽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팬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듈의 팬 하우징의 가이드벽은, 상기 상부 모듈의 팬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모듈의 팬 하우징의 가이드벽은, 상기 하부 모듈의 팬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유동 발생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유로 및 상기 제2팬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적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점점 커지도록 구성된 유동 발생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팬유로의 단면적보다 큰 유동 발생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듈 및 상기 하부 모듈 각각의 팬 하우징의 가이드벽의 일측에는, 상기 제1팬유로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부가 형성되는 유동 발생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듈 및 상기 하부 모듈 각각의 팬 하우징의 가이드벽의 타측에는, 상기 제2팬유로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 측으로 경사지게 컷오프되는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유동 발생장치.
KR1020170112041A 2017-09-01 2017-09-01 유동 발생장치 KR10240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041A KR102404660B1 (ko) 2017-09-01 2017-09-01 유동 발생장치
US16/640,139 US11300129B2 (en) 2017-09-01 2018-05-10 Flow generator
PCT/KR2018/005390 WO2019045223A1 (ko) 2017-09-01 2018-05-10 유동 발생장치
CN201890001148.9U CN211778078U (zh) 2017-09-01 2018-05-10 流动发生装置
EP18852500.0A EP3677788B1 (en) 2017-09-01 2018-05-10 Flow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041A KR102404660B1 (ko) 2017-09-01 2017-09-01 유동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421A KR20190025421A (ko) 2019-03-11
KR102404660B1 true KR102404660B1 (ko) 2022-06-02

Family

ID=6552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041A KR102404660B1 (ko) 2017-09-01 2017-09-01 유동 발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00129B2 (ko)
EP (1) EP3677788B1 (ko)
KR (1) KR102404660B1 (ko)
CN (1) CN211778078U (ko)
WO (1) WO2019045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9656B1 (ko) * 2018-03-07 2024-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255Y1 (ko) 2002-03-29 2002-06-20 (주)씨티타워 선풍기
JP2012229657A (ja) 2011-04-26 2012-11-22 Nippon Densan Corp 遠心ファン
KR101623692B1 (ko) 2015-12-29 2016-05-23 황용학 천장형 공기 조화 장치
US20160369811A1 (en) * 2015-06-16 2016-12-22 Delta Electronics, Inc. Centrifugal fan with dual outlets in the same direction and fan fram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8997A (en) * 1972-04-06 1973-07-31 Tempmaster Corp Acoustical insulated fan and temperature conditioning penthouse unit
DE4115485A1 (de) * 1991-05-11 1992-11-12 Mulfingen Elektrobau Ebm Antriebseinheit fuer doppelluefter
US20030026600A1 (en) * 2001-06-06 2003-02-06 Giuseppe Delonghi Portable oscillating space heater
KR100802115B1 (ko) * 2006-12-07 2008-02-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 케이스
KR100893404B1 (ko) 2007-03-26 2009-04-17 이병철 선풍기
WO2010021712A1 (en) * 2008-08-20 2010-02-25 S. C. Johnson & Son, Inc. Dust prevention and removal device
BRPI1012266A2 (pt) 2009-06-28 2016-04-05 Balmuda Inc ventilador de fluxo axial.
KR101978202B1 (ko) * 2011-12-27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팬 하우징
EP2896836A1 (en) * 2014-01-17 2015-07-22 ABB Oy Combination of two counterrotating centrifugal fans
US20170059204A1 (en) * 2015-08-24 2017-03-02 Lasko Holdings, Inc. Centrifical blower and heating element apparatus
KR102061308B1 (ko) * 2015-11-03 2019-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를 위한 제어전원 공급시스템과 그 공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저장시스템
KR102502550B1 (ko) * 2015-11-16 2023-02-22 코웨이 주식회사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N106015046B (zh) * 2016-06-24 2019-1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塔扇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255Y1 (ko) 2002-03-29 2002-06-20 (주)씨티타워 선풍기
JP2012229657A (ja) 2011-04-26 2012-11-22 Nippon Densan Corp 遠心ファン
US20160369811A1 (en) * 2015-06-16 2016-12-22 Delta Electronics, Inc. Centrifugal fan with dual outlets in the same direction and fan frame thereof
KR101623692B1 (ko) 2015-12-29 2016-05-23 황용학 천장형 공기 조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778078U (zh) 2020-10-27
EP3677788A1 (en) 2020-07-08
US20210381514A1 (en) 2021-12-09
KR20190025421A (ko) 2019-03-11
EP3677788B1 (en) 2022-11-02
EP3677788A4 (en) 2021-05-05
US11300129B2 (en) 2022-04-12
WO2019045223A1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570B1 (ko) 유동 발생장치
KR20190025443A (ko) 유동 발생장치
KR20190025420A (ko) 유동 발생장치
JP7240117B2 (ja) 個人化された空気浄化装置
KR20190025452A (ko) 유동 발생장치
DK2805060T3 (en) Fan
US20060291999A1 (en) Air purifier
JP2017171020A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102037704B1 (ko) 유동 발생장치
KR102404660B1 (ko) 유동 발생장치
CN211924537U (zh) 流动发生装置
KR102404689B1 (ko) 유동 발생장치
KR20190025451A (ko) 유동 발생장치
KR20190025422A (ko) 유동 발생장치
KR20190025423A (ko) 유동 발생장치
KR20210098055A (ko) 송풍기
KR20190025445A (ko) 유동 발생장치
KR20220013879A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JP6817508B2 (ja) 送風装置および空気清浄機能付送風装置
EP4435329A1 (en) Movable hood
KR101828883B1 (ko) 송풍장치
CN209856068U (zh) 滤网式健康扇系统
EP444306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hood
JP2024142119A (ja) 加湿装置
KR20210098058A (ko) 송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