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689B1 - 유동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유동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689B1
KR102404689B1 KR1020170112021A KR20170112021A KR102404689B1 KR 102404689 B1 KR102404689 B1 KR 102404689B1 KR 1020170112021 A KR1020170112021 A KR 1020170112021A KR 20170112021 A KR20170112021 A KR 20170112021A KR 102404689 B1 KR102404689 B1 KR 102404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discharge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409A (ko
Inventor
박희철
구명진
김홍석
이은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689B1/ko
Priority to US16/641,702 priority patent/US11156225B2/en
Priority to EP18852192.6A priority patent/EP3677786B1/en
Priority to CN201890001157.8U priority patent/CN211737491U/zh
Priority to PCT/KR2018/010140 priority patent/WO2019045516A1/ko
Publication of KR20190025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4Double entry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8Personalised ai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에는 제 1 흡입부 및 상기 제 1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 1 팬이 구비되는 제 1 모듈; 상기 제 1 모듈에 형성되는 제 1 이너 토출부; 상기 상부 모듈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 2 흡입부 및 상기 제 2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하부 팬이 구비되는 하부 모듈; 상기 제 2 모듈에 형성되는 제 1 이너 토출부; 및 상기 제 1,2 이너 토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2 이너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유로가 포함되어, 토출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 발생장치 {Flow generat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동 발생장치란, 팬을 구동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공기유동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송풍하는 장치로 이해된다. 보통 "선풍기"라 이름한다. 이러한 유동 발생장치는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에 사용자에게 시원함과 쾌적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동 발생장치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이 있다.
[선행문헌 1]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10-2012-0049182 (2012년 5월 16일)
2. 발명의 명칭 : 축류팬
상기 선행문헌 1에 개시된 축류팬은 회전축부와,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내측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내측 블레이드군과, 내측 블레이드군의 외측에 위치함과 더불어,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외측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외측 블레이드군을 구비하여, 내측 블레이드군와 외측 블레이드군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풍속의 차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에 기재된 축류팬은 축류팬 후방의 공기를 축류팬 전방으로 송풍하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의 한 방향 기류만을 형성할 수 있고, 축류팬 상하 주변이나 축류팬 좌우 주변의 공기를 신속하게 유동시키는데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주변의 공기를 보다 신속하고 입체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유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는 제1흡입부와 제2흡입부가 반대편에 위치하고, 제1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1이너 토출부와 상기 제2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2이너 토출부가 형성되며, 제1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와 제2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와; 제1흡입부와 제1이너 토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1팬과; 제2흡입부와 제2이너 토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2팬을 포함한다.
아우터 토출부는 본체에 반경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의 개방방향은 제1흡입부의 개방방향 및 제2흡입부의 개방방향 각각과 직교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는 본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의 크기는 제1흡입부의 크기와 제2흡입부의 크기의 합 보다 작을 수 있다.
본체는 제1이너 토출부가 형성된 제1팬하우징과, 제2이너 토출부가 형성된 제2팬하우징과; 제1팬하우징과 제2팬하우징의 사이에 토출유로가 형성되게 제1팬하우징과 제2팬하우징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는 토출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커넥터는 제1팬하우징과 제2팬하우징 각각과 연결되어 제1팬하우징과 제2팬하우징이 평행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본체는 커넥터의 외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아우터 토출부가 형성된 아우터 토출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제1흡입부가 형성된 제1커버와, 제2흡입부가 형성된 제2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아우터 토출바디는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에는 제1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와 제2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를 아우터 토출부로 안내하는 이너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곡면은 커넥터의 외둘레에 접촉될 수 있다.
커넥터는 제1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1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1에어가이드와; 제2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제2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2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는 제1토출유로와 제2토출유로의 각각과 연통될 수 있다.
커넥터는 제1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1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1에어가이드와; 제2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제2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2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는 제1토출유로와 연통되는 제1아우터 토출부와, 제2토출유로와 연통되는 제2아우터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발생장치는 제1흡입부와 제2이너 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된 제1공조유닛과, 제2흡입부와 제2이너 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된 유닛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공조유닛과 유닛은은 중 어느 하나는 온도조절기와 청정도조절기와 습도조절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공조유닛과 유닛은은 중 다른 하나는 온도조절기와 청정도조절기와 습도조절기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 주변의 공기가 서로 반대편에 형성된 제1흡입부와 제2흡입부를 통해 각각 흡입된 후 본체에서 외부로 송풍될 수 있고, 본체 주변의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하여 송풍할 수 있고, 본체 주변에 다양한 입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상부의 공기 및 본체 하부의 공기 각각을 양방향으로 흡입하여 수평방향으로 토출하므로, 본체 주변의 상측 공간 및 본체 주변의 하측 공간을 신속하게 공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과 상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허브 안착부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허브 안착부에 상부 모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X-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와 상부팬 하우징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원주방향 걸림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상하방향 걸림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과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에 회전 모터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터 및 동력전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팬과 제 2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 장치와 상부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 장치와 하부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 및 하부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고정되는 부분(F)과, 회전되는 부분(R)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측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측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10)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21,23) 및 공기를 토출하는 이너 토출부(25,27)가 구비되는 본체(20)가 포함된다.
본체(20)는 유동 발생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2 흡입부]
흡입부(21,23)는 본체(20)에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흡입부(21,23)은 본체(2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흡입부(21,23)는 제 1 흡입부(21) 및 제 2 흡입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흡입부(21)와 제 2 흡입부(23) 중 어느 하나가 본체(20)의 상부에 형성될 경우, 제 1 흡입부(21)와 제2 흡입부(23) 중 다른 하나는 본체(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흡입부(21)와 제 2 흡입부(23)는 본체(20)의 서로 상이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흡입부(21)가 본체(20)의 상부에 형성될 경우, 제 2 흡입부(23)는 본체(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본체(21)의 중앙부로 토출될 수 있고,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본체(21)의 중앙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체(21)의 "중앙부"는 본체(21)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2 이너 토출부]
이너 토출부(25,27)는 본체(20)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너 토출부(25,27)는 본체(20)의 내부에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이너 토출부는 제1이너 토출부(25) 및 제1이너 토출부(25)과 이격된 제2 이너 토출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너 토출부(25)와 제2 이너 토출부(27)는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보다 더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너 토출부(25,27)에는 제 1 흡입부(21)에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이너 토출부(25) 및 제 2 흡입부(23)에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이너 토출부(27)가 포함된다. 제 1 이너 토출부(25)는 상기 제 2 이너 토출부(27)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이너 토출부(25)는 제 2 이너 토출부(27)가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제 2 이너 토출부(27)는 제 1 이너 토출부(25)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 1 이너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제 1 공기유동과, 제 2 이너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제 2 공기유동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제 1 이너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제 2 이너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본체(20)의 측방 또는 반경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1 이너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 1 토출유로(26)"라 이름하고, 제 2 이너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 2 토출유로(28)"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2 토출유로(26,28)를 합하여, "토출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방향 정의]
방향을 정의한다. 도 1,2를 기준으로 세로방향을 "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이라 하고, 축 방향에 수직한 가로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 이름할 수 있다.
[레그]
유동 발생장치(10)에는 본체(20)의 하측에 구비되는 레그(30)가 더 포함된다. 레그(30)는 본체(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5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50)는 지면에 놓여지는 구성으로서 본체(20) 및 레그(3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레그(30)에는 베이스(50)에 결합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레그 본체(31)가 포함된다. 그리고, 레그(30)에는 레그 본체(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레그 연장부(33,35)가 더 포함된다.
레그 연장부(33,35)에는 레그 본체(31)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레그연장부(33) 및 레그 본체(31)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레그연장부(35)가 포함된다.
제 1,2 레그연장부(33,35)는 본체(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레그 본체(30) 및 제 1,2 레그연장부(33,35)는 "Y"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모듈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20)에는 상부모듈(100) 및 상부모듈(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모듈(200)이 포함된다.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은 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부팬 및 상부 팬하우징]
상부모듈(1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팬(130) 및 제1팬(130)이 설치되는 상부팬 하우징(150)이 포함된다.
제1팬(130)은 후술하는 제2팬(230) 보다 높이가 높은 팬일 수 있고, 이하 상부팬(130)이라 칭하여 설명한다.
상부모듈(100)에는 상부 팬(130) 및 상부 팬(130)이 설치되는 상부팬 하우징(150)이 포함된다.
제1이너 토출부(25)는 상부 팬(130)에 의해 유동된 공기가 통과하는 이너 토출부일 수 있다. 제1이너 토출부(25)는 상부팬 하우징(150)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팬(13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팬(130)에는 시로코 팬(sirocco fan)이 포함될 수 있다.
상부팬 하우징(150)은 상부 팬(130)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팬(1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 유동을 상기 제1 이너 토출부(25)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조유닛]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부모듈(100)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조화 또는 정화를 위하여 작동하는 제1공조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공조유닛은 온도조절기와 청정도조절기와 습도조절 중 하나일 수 있고, 제1공조유닛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이오나이저(179)가 포함될 수 있다.
이오나이저(179)는 상부팬 하우징(150)에 구비되는 이오나이저 장착부(168)에 설치될 수 있다. 이오나이저 장착부(168)는 가이드 벽(153)에 구비된다. 이오나이저(179)는 이오나이저 장착부(168)에 설치되어 제 1 팬유로(138a)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오나이저(179)는 상부 팬(130)을 통과하는 공기에 작용하여 제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모터]
상부모듈(100)에는 상부 팬(13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부모터(170)가 더 포함된다. 상부모터(170)의 상부에는 상부모터 축(171)이 구비된다. 상부모터 축(171)은 상부모터(17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모터(170)는 상부팬 하우징(15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부모터 축(171)은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부 팬(13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록킹부]
상부모듈(100)에는 상부모터 축(171)에 결합되는 록킹부(175)가 더 포함된다. 록킹부(175)는 상부 팬(130)의 허브(131a)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부모터(170)를 상부 팬(13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한다.
[모터 댐퍼]
상부모듈(100)에는 상부모터(170)와 상부팬 하우징(150)의 사이를 댐핑하는 모터 댐퍼(173a,173b)가 더 포함된다. 모터 댐퍼(173a,173b)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모터 댐퍼(173a,173b) 중 상부 모터댐퍼(173a)는 상부팬 하우징(15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부모터 축(171)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모터 댐퍼(173) 중 하부 모터댐퍼(173b)는 상부팬 하우징(15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부모터 축(171)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하며, 상부모터(170)의 일면과 상부팬 하우징(150)의 저면 사이에 개입될 수 있다.
[상부 커버]
상부모듈(100)에는 상부 팬(130) 및 상부팬 하우징(15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상부커버(120)가 더 포함된다.
제 1 흡입부(21)는 상부 커버(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120)에는 개구된 상단부를 형성하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입하는 커버유입부(12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부커버(120)에는 개구된 하단부를 가지는 커버배출부(125)가 더 포함된다. 상부팬(130)을 통과한 공기는 커버배출부(125)를 통하여 제 1 토출유로(26)로 유동할 수 있다.
커버배출부(125)의 크기는 커버유입부(12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커버(12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끝이 잘린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부팬(130)을 통과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유동하면서 제 1 이너 토출부(25)를 통하여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
상부 모듈(100)에는 상부커버(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커버(110)가 더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커버(110)에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커버 그릴(112)이 포함된다.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커버 그릴(112)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1 프리필터]
상부모듈(100)에는 디스플레이 커버(110)에 지지되는 제 1 프리 필터(105)가 더 포함된다. 제 1 프리 필터(105)에는 필터 프레임(106) 및 필터 프레임(106)에 결합되는 필터부재(107)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은 제 1 프리 필터(105)에 의하여 걸러질 수 있다.
[탑커버 및 탑커버지지부]
상부모듈(100)에는 디스플레이 커버(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탑커버지지부(103) 및 탑커버지지부(103)의 상측에 놓여지는 탑커버(101)가 더 포함된다. 탑커버지지부(103)는 디스플레이 커버(11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탑커버지지부(103)와 디스플레이 커버(110) 사이의 공간이 제 1 흡입부(21)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탑커버지지부(103)의 중앙부는 디스플레이 커버(110)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탑커버지지부(103)의 저면은 탑커버지지부(103)의 중앙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탑커버지지부(103)의 구성에 의하여,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탑커버지지부(103)의 저면을 따라 스플레이 커버(110)의 커버그릴(112)측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
상부모듈(100)에는 상부팬 하우징(15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부팬 하우징(150)을 통과한 공기를 제 1 토출유로(26)로 가이드 하기 위한 상부 에어가이드(180)가 더 포함된다. 상부 에어가이드(180)는 상부팬 하우징(15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결합부(151b, 도 6 참조)가 포함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제 1 가이드 결합부(151b)를 통하여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제 1 하우징체결부(183)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180)는 중공의 판 형상을 가진다. 상세히, 상부 에어가이드(180)에는 상부모터(170)가 삽입되는 중앙부(180a)와,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테두리부(180b) 및 중앙부(180a)로부터 테두리부(180b)를 향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연장부(180c)가 포함된다.
가이드연장부(180c)는 중앙부(180a)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80b)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또는 하향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팬 하우징(150)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부 팬의 상세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과 상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부모듈(1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상부 팬(130) 및 상기 상부 팬(130)을 지지하며 상부 팬(130)이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상부팬 하우징(150)이 포함된다.
상부 팬(13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부 팬(130)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가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131) 및 메인 플레이트(13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하는 허브(131a)가 포함된다. 허브(131a)에는 상부모터 축(171)이 결합될 수 있다.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는 메인 플레이트(13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팬(130)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의 상측에 구비되는 측판부(135)가 더 포함된다. 측판부(135)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의 하단부는 =메인 플레이트(131)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측판부(1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팬 하우징의 하우징플레이트]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부 팬(13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우징플레이트(151) 및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부 팬(130)의 허브(131a)가 안착되는 허브 안착부(152)가 포함된다. 허브 안착부(152)는 허브(131a)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우징 플레이트(15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벽]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하우징 플레이트(15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부 팬(1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벽(153)이 더 포함된다. 가이드 벽(153)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 팬유로]
가이드 벽(153)과 상부 팬(1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의 사이에는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팬유로(138a)가 형성된다. 제 1 팬유로(138a)는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부 팬(1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 팬(1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가이드 벽(15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팬유로(138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제 1 팬유로(138a)의 단면적은 공기의 회전방향으로,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팬유로(138a)는 스파이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스파이럴 유동"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에 의하여,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부 팬(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1 경사부]
가이드 벽(153)에는 가이드 벽(153)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하우징 플레이트(15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경사부(154)가 포함된다. 하향 경사지는 방향은 제 1 팬유로(138a)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경사부(154)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 2 팬유로]
상부 커버(120)가 상부팬 하우징(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팬(130)의 외주면 일부와 상기 상부 커버(1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제 1 팬유로(138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138b)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팬유로(138b)는 제 1 팬유로(138a)으로부터 공기가 유동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팬유로(138a)를 거친 공기는 제 2 팬유로(138b)를 유동할 수 있다.
제 2 팬유로(138b)의 유동 단면적은 제 1 팬유로(138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제 1 팬유로(138a)로부터 제 2 팬유로(138b)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그 유동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부 팬(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경사부]
가이드 벽(153)에는 가이드 벽(153)의 타측 상단부로부터 하우징 플레이트(15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경사부(156)가 포함된다. 하향 경사지는 방향은, 제 2 팬유로(138b)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경사부(156)를 컷오프(cut-off)라 이름할 수 있다. 제 2 경사부(154)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 1 경사부(154) 및 제 2 경사부(156)는 가이드 벽(153)의 양측 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경사부(154)는 제 1 팬유로(138a)와 제 2 팬유로(138b)의 사이 영역에 구비되며, 제 2 경사부(156)는 제 2 팬유로(138b)와 유동 가이드부(160)의 사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동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계영역에, 제 1,2 경사부(154,156)가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유동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부]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제 2 팬유로(138b)를 지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160)가 더 포함된다. 유동 가이드부(160)는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유동 가이드부(160)는 가이드 벽(153)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부(160)의 배치에 의하여, 제 1,2 팬유로(138a,138b)를 경유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유동 가이드부(16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부(160)에는 공기의 유동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161)가 포함된다. 즉, 가이드 본체(161)는 라운드면 또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유동 가이드부(160)의 내부에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상세히,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유동 가이드부(160)의 전단부에는 제 2 팬유로(138b)를 경유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65)가 형성된다. 유입부(165)는 개방된 공간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161)는 유입부(165)로부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절개부]
하우징 플레이트(151)에는 절개부(151a)가 형성된다. 절개부(151a)는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이해된다. 유입부(165)는 절개부(151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유입부(165)는 절개부(151a)와 함께 제 1 이너 토출부(25)를 정의할 수 있다. 제 1 이너 토출부(25)는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측에 존재하는 공기 유동, 즉 제 1,2 팬유로(138a,138b)를 유동하는 공기를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팬유로(138b)를 유동한 공기는 제 1 이너 토출부(25)를 통하여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1 토출 가이드부]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저면에는 제 1 이너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유동을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제 1 토출 가이드부(158)가 구비된다.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는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중앙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는 제 1 이너 토출부(25)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151)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플레이트함몰부(158a)가 형성된다. 플레이트함몰부(158a)에 의하여,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돌출된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일부분을 하방으로 함몰시켜 플레이트함몰부(158a)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 1 토출가이드부(158)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 이너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회전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를 만나면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와 함께, 상부 에어가이드(18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상부 팬(130)을 향하여 하방으로 흡입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1 이너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공기는 제 1 토출 가이드부(158) 및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토출유로(26)를 통하여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상부모터의 지지기구]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허브 안착부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허브 안착부에 상부 모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X-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허브 안착부(152)의 하측에는 상부모터(170)의 지지기구가 구비된다. 지지기구에는 상부모터 축(171)이 관통하는 축 관통공(15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모터 축(171)은 상부모터(17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축 관통공(152a)을 관통하여 상부 팬(13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리브]
지지기구에는 상부모터(170)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52b)가 더 포함된다. 지지리브(152b)는 허브 안착부(152)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며, 상부모터(170)의 테두리부를 지지하도록 대략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
지지기구에는 지지리브(152b)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152c)가 포함될 수 있다. 보강리브(152c)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다수 개의 보강리브(152c)는 서로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체결공]
지지기구에는 체결부재(178)가 체결되는 체결공(152d)이 더 포함된다. 체결공(152d)은 축 관통공(152a)의 외측에 형성되며, 일례로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178)는 상부 모터댐퍼(173a) 및 하부 모터댐퍼(173b)를 상부모터(170)에 체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례로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부 모터댐퍼(173a)는 허브 안착부(152)의 상측에 배치되며, 하부 모터댐퍼(173b)는 허브 안착부(15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 모터댐퍼(173a)와 하부 모터댐퍼(173b)의 사이에 허브 안착부(152)가 위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178)는 상부 모터댐퍼(173a)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체결공(152d)을 경유하여 하부 모터댐퍼(173b)를 관통한다. 그리고, 체결부재(178)는 체결공(152d)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부모터(170)에 결합될 수 있다.
[배출공]
허브 안착부(152)에는 상부모터(17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52e)이 형성된다. 배출공(152e)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다수 개의 배출공(152e)은 허브 안착부(152)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다수 개의 배출공(152e)은 축 관통공(152a)의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부모터와 체결부재의 결합구조]
체결부재(178)는 상부모터(170) 중 모터고정부(170b)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부모터(170)에는 상부모터 축(171)과 함께 회전하는 모터회전부(170a) 및 모터회전부(170a)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터고정부(170b)가 포함된다. 즉, 상부모터(170)는 아우터 로터(outer rotor) 타입의 모터를 포함한다.
모터고정부(170b)에는 모터 PCB(170c)가 포함된다. 모터 PCB(170c)는 지지리브(152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모터 PCB(170c)는 지지리브(152b)의 내측에 구속되어, 상부모터(170)가 좌우방향(반경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모터의 조립방법]
상부모터(170)의 조립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부모터(170)의 모터회전부(170a)를 파지하여 상부모터(170)를 허브 안착부(152)의 하측에 위치시킨다. 이 때, 상부 모터댐퍼(173a)와 하부 모터댐퍼(173b)는 허브 안착부(152)의 상면 및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모터 축(171)이 허브 안착부(152)의 축 관통공(152a)에 삽입되도록, 상부모터(17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모터 PCB(170c)가 지지리브(152b)에 지지되도록 한다.
체결부재(178)를 이용하여 모터댐퍼(173a,173b) 및 모터고정부(170b)를 체결한다. 모터고정부(170b)에는 체결부재(178)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재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및 조립방법에 의하면, 모터 PCB(170c)가 정위치에 쉽게 배치되며, 상부모터(170)가 상부팬 하우징(15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상부모터(170)의 체결구조에 관한 설명은, 후술할 하부모터(236)의 체결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와 상부팬 하우징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원주방향 걸림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상하방향 걸림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부커버의 원주방향으로의 걸림기구, 래치 어셈블리]
도 11,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120)는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부모듈(100)에는 상부커버(120)가 상부팬 하우징(15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의 걸림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걸림기구가 포함될 수 있다. 걸림기구에는 래치어셈블리(177a,177b)가 포함된다.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래치어셈블리(177a,177b)가 결합되는 래치결합부(157a)가 구비된다. 래치결합부(157a)는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테두리부에 구비되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래치어셈블리(177a,177b)에는 상부커버(120)에 삽입되는 제 1 래치(177a) 및 래치결합부(157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래치(177b)가 포함된다. 제 1,2 래치(177a,177b)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래치(177b)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래치로서 이해되며, "래치 스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래치 수용부]
상부커버(120)에는 제 1 래치(177a)가 삽입되는 래치수용부(128)가 포함된다. 래치수용부(128)는 상부커버(12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제 1 래치(177a)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된 하단부를 가질 수 있다.
[걸림돌기]
상부커버(120)에는 제 2 래치(177b)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걸림돌기(128a)가 구비된다. 걸림돌기(128a)는 래치수용부(128)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걸림돌기(128a)는 래치수용부(128)의 하부 모서리측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래치 함몰부]
제 2 래치(177b)에는 래치함몰부(177c)가 구비된다. 래치함몰부(177c)는 제 2 래치(177b)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제 2 래치(177b)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걸림돌기(128a)는 래치함몰부(177c)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돌기(128a)의 삽입이 이루어질 때, 제 2 래치(177b)는 탄성변형되어 걸림돌기(128a)가 래치함몰부(177c)에 삽입되도록 가이드 한다. 그리고, 걸림돌기(128a)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 2 래치(177b)는 복원되어 걸림돌기(128a)와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래치 어셈블리의 작용]
제 2 래치(177b)는 한번 눌러지면 걸림돌기(128a)와의 걸림이 이루어지고, 다시 한번 눌러지면 걸림돌기(128a)와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제 2 래치(177b)의 하부를 눌러 제 2 래치(177b)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제 2 래치(177b)는 걸림돌기(128a)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 2 래치(177b)는 상부팬 하우징(150)에 삽입된 상태, 즉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 커버(12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 2 래치(177b)가 다시 한번 눌러지면, 제 2 래치(177b)는 걸림돌기(128a)와의 걸림이 해제되고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 커버(120)는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유동 발생장치(10)에 인가되는 전원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 발생장치(10)의 운전중 상부 커버가 분리되더라도 상부 팬(130)의 구동이 정지되어 사용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 2 래치(177b)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부 커버(120)를 유동 발생장치(10)에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부커버의 원주방향으로의 걸림기구]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상부모듈(100)에는 상부커버(120)가 상부팬 하우징(15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의 걸림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걸림기구가 포함될 수 있다.
걸림기구에는 후크(157b)가 포함된다. 후크(157b)는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방향으로 절곡하는 형상, 일례로 "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커버(120)에는 후크(157b)에 대응하는 형상의 후크 결합부(127)가 구비된다. 후크 결합부(127)는 상부 커버(12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커버(120)와 상부팬 하우징(150)이 결합된 상태에서, 후크 결합부(127)는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과 후크(157b)의 상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후크 결합부(127)에는 체결홈(127a)이 형성되며, 후크(157b)에는 후크돌기(157c)가 구비된다. 일례로, 체결홈(127a)은 후크 결합부(127)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후크돌기(157c)는 후크(157b)의 상부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커버(1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후크돌기(157c)는 체결홈(127a)에 삽입되어, 상부 커버(120)와 상부팬 하우징(15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후크 및 후크 결합부의 작용]
상부 커버(120)를 상부팬 하우징(150)의 외측에 끼워 후크 결합부(127)를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1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크 결합부(127)는 회전하면서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과 후크(157b)의 상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즉, 후크(157b)와 후크 결합부(127)간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작용에 의하여, 상부커버(120)는 상부팬 하우징(150)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걸림기구의 효과]
이와 같이, 상부커버(120)의 원주 방향으로의 걸림기구와, 상하 방향으로의 걸림기구에 의하여, 상부커버(120)는 상부팬 하우징(150)에 안정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120)를 상부팬 하우징(150)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부커버(120)를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분리시키면,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부 팬(130)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노출된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부 팬(130)을 청소할 수 있다. 정리하면, 유동 발생장치(1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는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부 팬(130)이 상부커버(120)에 의하여 차폐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반면에, 래치 어셈블리(177a,177b)를 간단히 조작하여 상부 커버(12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부팬 하우징(150) 또는 상부 팬(130)의 청소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한 상부커버(120)의 결합구조에 관한 설명은, 후술할 하부커버(290)의 결합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하부모듈의 구성>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하부 팬 및 하부팬 하우징]
도 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하부모듈(2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팬(230) 및 제2팬(230)이 설치되는 하부팬 하우징(220)이 포함된다.
제2팬(230)은 상부 팬(130) 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된 팬일 수 있고, 이하 하부 팬(230)이라 칭하여 설명한다. 하부모듈(2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부 팬(230) 및 하부 팬(230)이 설치되는 하부팬 하우징(220)이 포함된다.
제2이너 토출부(27)는 하부 팬(23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이너 토출부일 수 있다. 제2이너 토출부(27)는 하부팬 하우징(220)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팬(23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하부 팬(230)에는 시로코 팬(sirocco fan)이 포함될 수 있다.
하부팬 하우징(220)은 하부 팬(230)의 상측에 결합되며 하부 팬(2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 유동을 제 2 이너 토출부(27)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모터]
하부모듈(200)에는 하부 팬(23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하부모터(236)가 더 포함된다. 하부모터(236)의 하부에는 하부모터 축(236a)이 구비된다. 하부모터 축(236a)은 하부모터(23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모터(236)는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측에 배치되며, 하부모터 축(236a)은 하부팬 하우징(220) 및 하부 팬(23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팬(230)에는 하부모터 축(236a)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234, 도 19 참조)가 구비된다.
[록킹부]
하부모듈(200)에는 하부모터 축(236a)에 결합되는 록킹부(239)가 더 포함된다. 록킹부(239)는 하부 팬(230)의 허브(231a)의 하측에 배치되며, 하부모터(236)를 하부 팬(23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모터 댐퍼]
하부모듈(200)에는 하부모터(236)와 하부팬 하우징(220)의 사이를 댐핑하는 모터 댐퍼(237)가 더 포함된다. 모터 댐퍼(237)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모터 댐퍼(237) 중 어느 하나는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부모터 축(236a)의 일부분을 지지하며, 하부모터(236)의 일면과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면 사이에 개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모터 댐퍼(237) 중 다른 하나는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모터 축(236a)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부커버]
상부모듈(200)에는 하부 팬(230) 및 하부팬 하우징(2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부커버(290)가 더 포함된다.
제 2 흡입부(23)는 하부 커버(290)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하부커버(290)에는 개구된 하단부를 형성하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입하는 커버유입부(291a)가 포함된다. 그리고, 하부커버(290)에는 개구된 상단부를 가지는 커버배출부(291b)가 더 포함된다. 하부팬(230)을 통과한 공기는 커버배출부(291b)를 통하여 제 2 토출유로(28)로 유동할 수 있다.
커버배출부(291b)의 크기는 커버유입부(29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커버(29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끝이 잘린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하부팬(290)을 통과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유동하면서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통하여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보호부재]
하부모듈(200)에는 하부 커버(290)의 하측에 구비되며 히터 어셈블리(26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부재(294)가 더 포함된다. 보호부재(294)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호부재(294)는 열에 의하여 타지 않는 스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부재(294)에 의하여, 열이 제 2 프리필터(295)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제 2 프리필터(295)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제 2 프리필터]
하부모듈(200)에는 보호부재(294)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2 프리 필터(295)가 더 포함된다. 제 2 프리 필터(295)에는 필터 프레임(296) 및 필터 프레임(296)에 결합되는 필터부재(297)가 포함될 수 있다.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은 제 2 프리 필터(295)에 의하여 걸러질 수 있다. 제 2 프리 필터(295)이 하측 공간부가 제 2 흡입부(23)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부 에어가이드]
상부모듈(200)에는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부팬 하우징(220)을 통과한 공기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하부 에어가이드(210)가 더 포함된다.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중공의 판 형상을 가진다. 상세히, 하부 에어가이드(210)에는 하부모터(236)가 삽입되는 중앙부(210a)와, 하부 에어가이드(21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테두리부(210b) 및 중앙부(210a)로부터 테두리부(210b)를 향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연장부(210c)가 포함된다.
가이드연장부(210c)는 중앙부(210a)로부터 테두리부(210b)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또는 상향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부팬 하우징(220)에서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통하여 상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제 2 토출유로(28)로 유동할 수 있다.
[PCB 장치]
가이드연장부(210c)의 상면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부품에는 유동 발생장치(10)를 제어하는 메인 PCB(215)가 구비되는 PCB 장치가 포함된다. 그리고, PCB 장치에는 유동 발생장치(10)에 공급되는 전력을 안정하게 공급하는 레귤레이터(216)가 더 포함된다. 레귤레이터(216)에 의하여, 입력전원의 전압이나 주파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전압의 전력이 유동 발생장치(10)에 공급될 수 있다.
[통신모듈]
다수의 부품에는 통신모듈이 더 포함된다. 통신모듈을 통하여 유동 발생장치(1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모듈에는 와이파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LED 장치]
다수의 부품에는 LED 장치가 더 포함된다. LED 장치는 유동 발생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할 수 있다. LED 장치는 상부 에어가이드(180)와 하부 에어가이드(2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소정의 색상을 발현할 수 있다. LED 장치에서 발생되는 색상은 유동 발생장치(10)의 운전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LED 장치에는 LED가 설치되는 LED PCB(218) 및 LED PCB(218)의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며,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하기 위한 LED 커버(219)가 포함된다. LED 커버(219)를 "확산판"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와 하부 에어가이드의 결합구조]
상부 에어가이드(180)와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180)와 하부 에어가이드(210)를 합하여 "에어가이드 장치"라 이름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을 구획한다. 달리 말하면,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세히,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180) 및 하부 에어가이드(210)의 결합에 의하여, 에어가이드 장치(180,210)의 내부에는 모터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모터 설치공간에는 상부모터(170) 및 하부모터(236)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장치의 공간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래치 어셈블리]
하부커버(290)는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래치 결합부(225b, 도 11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래치결합부(225b)에는 하부커버(290)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래치어셈블리(238a,238b)가 결합된다. 래치어셈블리(238a,238b)에는 하부커버(290)에 삽입되는 제 1 래치(238a) 및 래치결합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래치(238b)가 포함된다.
하부팬 하우징(220)의 래치결합부는 상부팬 하우징(150)에 구비되는 래치결합부(157a)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2 래치(238a,238b)에 관한 설명은, 상부모듈(100)의 제 1,2 래치(177a,177b)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부 오리피스]
하부모듈(200)에는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의 일부 부품의 회전을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상부 오리피스(240)가 더 포함된다. 상부 오리피스(240)는 개구된 중앙부(240a)를 가지며,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앙부(240a)는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동장치]
구동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270)가 포함된다. 일례로, 회전모터(270)에는 회전각도 조절이 용이한 스텝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구동장치에는 회전모터(270)에 연결되는 동력전달 장치가 더 포함된다. 동력전달 장치에는 회전모터(270)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272) 및 피니언 기어(272)에 연동하는 랙 기어(276)가 포함될 수 있다. 랙 기어(276)는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의 회전곡률에 대응하여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오리피스]
하부모듈(200)에는 상부 오리피스(24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오리피스(280)가 더 포함된다. 하부 오리피스(280)는 레그(30)에 결합된다. 상세히, 하부 오리피스(280)의 양측은 제 1 레그연장부(33) 및 제 2 레그연장부(3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오리피스(280)는 하부모듈(200) 중 고정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랙 기어]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랙 기어(276)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오리피스(280)는 개구된 중앙부(280a)를 가지며,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앙부(280a)는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오리피스(280)의 중앙부(280a)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 오리피스(240)의 중앙부(240a)를 통과할 수 있다.
[제2공조유닛]
하부모듈(200)에는 하부모듈(200)을 유동하는 공기의 조화 또는 정화를 위하여 작동하는 제2공조유닛이 더 포함된다.
제1공조유닛은 온도조절기와 청정도조절기와 습도조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공조유닛은 온도조절기와 청정도조절기와 습도조절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제2공조유닛은 제1공조유닛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2공조유닛에는 하부 오리피스(280)에 지지되며 소정의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어셈블리(260)가 포함된다.
상세히, 히터 어셈블리(260)에는 히터(261)가 포함된다. 히터(261)는 하부 오리피스(240)의 개구된 중앙부(280a)에 배치되어,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일례로 히터(261)에는 PTC 히터가 포함될 수 있다.
히터 어셈블리(260)에는 히터(261)의 양측을 지지하는 히터 브라켓(263)이 더 포함된다. 히터 브라켓(263)은 하부 오리피스(280)에 결합될 수 있다.
[롤러]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롤러(278)가 구비된다. 롤러(278)는 하부 오리피스(280)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278)는 상부 오리피스(240)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부 오리피스(240)의 회전, 즉 자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서포터]
하부모듈(200)에는 히터 어셈블리(260)의 상측에 배치되는 서포터(265,267)가 더 포함된다. 서포터(265,267)에는 히터(261)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1 서포터(265) 및 제 1 서포터(265)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2 서포터(267)가 포함된다.
제 1 서포터(265)는 히터 어셈블리(260)와 하부 팬(230)을 이격시켜 히터 어셈블리(26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다른 부품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서포터(267)는 회전하는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이 회전중심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서포터(267)에는 베어링(275)이 제공되어 회전하는 부품의 움직임을 가이드 한다.
[하부팬 및 하부팬 하우징]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과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2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부 팬(230) 및 하부 팬(230)의 상측에 결합되며 하부 팬(230)이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하부팬 하우징(220)이 포함된다.
[하부팬의 상세구성]
하부 팬(23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하부 팬(230)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가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231) 및 메인 플레이트(23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하는 허브(231a)가 포함된다. 허브(231a)에는 하부모터 축(236a)이 결합될 수 있다.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는 메인 플레이트(23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팬(230)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의 하측에 구비되는 측판부(235)가 더 포함된다. 측판부(235)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의 상단부는 메인 플레이트(231)에 결합되며, 그 하단부는 측판부(2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팬과 하부팬의 크기 차이]
상부 커버(120)의 상하 높이(Ho)와, 하부 커버(290)의 상하 높이(Ho')는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유동 발생장치(10)의 외관이 컴팩트해지고 디자인이 미려해질 수 있다.
반면에, 하부 팬(230)의 상하 높이(H2)는 상부 팬(130)의 상하 높이(H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부모듈(200)에만 구비되는 히터 어셈블리(260)의 높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하부 팬(230)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부 팬(130)의 최대 능력이 하부 팬(230)의 최대 능력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상부 팬(130)과 하부 팬(230)을 동일한 회전수로 구동하였을 때, 상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은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보다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량을 동일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하부 팬(230)의 회전수를 상부 팬(130)의 회전수보다 크게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에서 배출되어 합쳐지는 공기 유동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치우쳐지지 않고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하부팬 하우징의 상세구성]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하부 팬(230)의 상측을 지지하는 하우징플레이트(221) 및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하부 팬(230)의 허브(231a)에 결합되는 허브 안착부(222)가 포함된다. 허브 안착부(222)는 허브(231a)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우징 플레이트(22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브 안착부(222a)에는 하부모터 축(236a)이 관통하는 축 관통공(222a)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하우징 플레이트(22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부 팬(2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벽(223)이 더 포함된다. 가이드 벽(223)은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하부 팬(230)의 높이(H2)가 상부 팬(130)의 높이(H1)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하부팬 하우징(220)의 가이드 벽(223)의 높이는 하부팬 하우징(150)의 가이드 벽(153)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팬유로]
가이드 벽(223)과 하부 팬(2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의 사이에는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팬유로(234a)가 형성된다. 제 1 팬유로(234a)는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하부 팬(2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 팬(2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가이드 벽(22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팬유로(234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제 1 팬유로(234a)의 단면적은 공기의 회전방향으로,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팬유로(234a)는 스파이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스파이럴 유동"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에 의하여,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부 팬(2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1 경사부]
가이드 벽(223)에는 가이드 벽(223)의 일측 하단부로부터 하우징 플레이트(22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경사부(224)가 포함된다. 상향 경사지는 방향은, 제 1 팬유로(234a)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경사부(224)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후크 및 후크 결합부의 작용]
하우징 플레이트(221)에는 하부 커버(290)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후크(225a)가 포함된다. 후크(225a)는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방향으로 절곡하는 형상, 일례로 "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커버(290)에는 후크(225a)에 대응하는 형상의 후크 결합부(292b, 도 8 참조)가 구비된다. 후크(225a)와 후크 결합부(292b)에 관한 설명은, 상부모듈(100)의 후크(157b) 및 후크 결합부(127)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제 2 팬유로]
하부 커버(290)가 하부팬 하우징(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팬(230)의 외주면 일부와 하부 커버(290)의 내주면 사이에는 제 1 팬유로(234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234b)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팬유로(234b)는 제 1 팬유로(234a)으로부터 공기가 유동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팬유로(234a)를 거친 공기는 제 2 팬유로(234b)를 유동할 수 있다.
제 2 팬유로(234b)의 유동 단면적은 제 1 팬유로(234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제 1 팬유로(234a)로부터 제 2 팬유로(234b)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그 유동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상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하부 팬(2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경사부]
가이드 벽(223)에는 가이드 벽(223)의 타측 하단부로부터 하우징 플레이트(22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경사부(226)가 포함된다. 상향 경사지는 방향은, 제 2 팬유로(234b)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경사부(226)를 컷오프(cut-off)라 이름할 수 있다. 제 2 경사부(226)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 1 경사부(224) 및 제 2 경사부(226)는 가이드 벽(223)의 양측 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경사부(224)는 제 1 팬유로(234a)와 제 2 팬유로(234b)의 사이 영역에 구비되며, 제 2 경사부(226)는 제 2 팬유로(234b)와 유동 가이드부(227)의 사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동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계영역에, 제 1,2 경사부(224,226)가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유동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부]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제 2 팬유로(234b)를 지난 공기를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227)가 더 포함된다. 유동 가이드부(227)는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모듈(100)에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부(160)를 "제 1 유동가이드부"라 하고, 하부모듈(200)에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부(227)를 "제 2 유동가이드부"라 이름한다.
그리고, 유동 가이드부(227)는 가이드 벽(223)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부(227)의 배치에 의하여, 제 1,2 팬유로(234a,234b)를 경유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유동 가이드부(227)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부(227)에는 공기의 유동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228)가 포함된다. 즉, 가이드 본체(228)는 라운드면 또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유동 가이드부(227)의 내부에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상세히,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유동 가이드부(227)의 전단부에는 제 2 팬유로(234b)를 경유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228a)가 형성된다. 유입부(228a)는 개방된 공간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228)는 유입부(228a)로부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절개부]
하우징 플레이트(221)에는 절개부(221a)가 형성된다. 절개부(221a)는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이해된다. 유입부(228a)는 절개부(221a)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유입부(228a)는 절개부(221a)와 함께 제 2 이너 토출부(27)를 정의할 수 있다. 제 2 이너 토출부(27)는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하측에 존재하는 공기 유동, 즉 제 1,2 팬유로(234a,234b)를 유동하는 공기를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팬유로(234b)를 유동한 공기는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통하여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2 토출 가이드부]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에는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유동을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제 2 토출 가이드부(229)가 구비된다.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는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중앙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는 제 2 이너 토출부(27)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221)에는 상방으로 함몰되는 플레이트함몰부(229a)가 형성된다. 플레이트함몰부(229a)에 의하여,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돌출된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일부분을 상방으로 함몰시켜 플레이트함몰부(229a)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 2 토출가이드부(229)를 구성할 수 있다.
[제 2 토출가이드부의 작용]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회전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를 만나면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와 함께, 하부 에어가이드(21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하부 팬(230)을 향하여 상방으로 흡입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 및 하부 에어가이드(21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2 토출유로(28)를 통하여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가이드 안착부]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에는 하부 에어가이드(210)가 안착되는 가이드 안착부(221c)가 구비된다.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가이드 안착부(221c)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안착부(221c)에는 하부 에어가이드(210)가 결합되는 제 2 가이드결합부(221d)가 구비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제 2 가이드결합부(221d)를 통하여 하부 에어가이드(2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에 회전 모터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부오리피스 본체]
도 3과, 도 18 내지 도 20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240)는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개구된 중앙부(241a)를 가지는 상부오리피스 본체(241)가 포함된다. 개구된 중앙부(241a)는 공기를 하부 팬(230)으로 전달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된 중앙부(241a)에 의하여, 상부오리피스 본체(241)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 가이드]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하부 팬(230)의 측판부(235)가 삽입되는 팬 가이드(244)가 포함된다. 팬 가이드(244)는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팬 가이드(244)는 개구된 중앙부(241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터지지부]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회전모터(270)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244)가 더 포함된다. 모터지지부(244)는 상부오리피스 본체(24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회전모터(27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모터(270)는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저면에 지지되며 모터지지부(244)에 삽입될 수 있다.
[구동장치]
하부 모듈(200)에는 구동력을 발생하여 상부 모듈(100) 및 하부 모듈(20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동장치가 포함된다. 구동장치에는 회전모터(270) 및 기어(272,276)가 포함된다. 기어(272,276)에는 피니언 기어(272) 및 랙 기어(276)가 포함될 수 있다.
회전모터(270)에는 피니언 기어(272)가 결합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72)는 회전모터(270)의 하측에 배치되며, 회전모터(270)의 모터축(270a)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모터(270)가 구동하면, 피니언 기어(272)는 회전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72)는 랙 기어(276)와 연동할 수 있다. 랙 기어(276)는 하부 오리피스(280)에 고정된다. 랙 기어(276)는 고정된 구성이므로 피니언 기어(272)가 회전하면, 회전모터(270)와 피니언 기어(272)는 상부 오리피스(240)의 개구된 중앙부(241a)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즉 공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모터(270)를 지지하는 상부 오리피스(240)는 자전하게 된다.
[제 2 서포터결합부]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제 2 서포터(267)에 결합되는 제 2 서포터결합부(248)가 더 포함된다. 제 2 서포터결합부(248)는 상부 오리피스(240)의 중앙부(241a)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서포터(267)에는 제 2 서포터결합부(248)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267d)가 포함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제 2 서포터결합부(248)를 통하여 제 2 체결부(267d)에 체결될 수 있다.
[커버결합부]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하부 커버(290)에 결합되는 커버결합부(249)가 더 포함된다. 커버결합부(249)는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테두리부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커버결합부(249)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결합부]
하부 커버(290)에는 커버결합부(249)에 결합되는 오리피스결합부(292a)가 구비된다. 오리피스결합부(292a)는 하부 커버(290)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커버결합부(249)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오리피스결합부(292a)를 통하여 커버결합부(249)에 체결될 수 있다.
[벽지지부]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하부팬 하우징(220)의 가이드 벽(223)을 지지하는 벽지지부(246)가 더 포함된다. 벽지지부(246)는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벽지지부(246)는 가이드 벽(223)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 오리피스와 히터 어셈블리]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터 및 동력전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팬과 제 2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하부 오리피스 본체]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260)는 하부 오리피스(280)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개구된 중앙부(281a)를 가지는 하부오리피스 본체(281)가 포함된다. 개구된 중앙부(281a)는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부 오리피스(240)의 개구된 중앙부(241a)로 전달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된 중앙부(281a)에 의하여, 하부오리피스 본체(281)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랙 결합부]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랙 기어(276)에 결합되는 랙 결합부(285)가 더 포함된다. 랙 결합부(285)는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랙 체결부재(286)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을 가진다. 랙 체결부재(286)는 랙 기어(276)를 관통하여 랙 결합부(285)에 체결될 수 있다.
[브라켓지지부]
히터 어셈블리(260)에는 히터(261) 및 히터(261)의 양측을 지지하는 히터 브라켓(263)이 포함된다. 개구된 중앙부(281a)에는 히터(261)가 삽입될 수 있다.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에는 히터 브라켓(263)이 장착되는 브라켓지지부(282)가 더 포함된다. 브라켓지지부(282)는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히터 브라켓(263)은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브라켓지지부(282)에 체결될 수 있다.
[롤러지지부]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의 상부에는 롤러(278)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부(280)가 구비된다. 상부 오리피스(2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롤러(278)는 상부 오리피스브(240)에 접촉하여 구름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서포터결합부]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에는 제 1 서포터(265)에 결합되는 제 1 서포터결합부(283)가 구비된다. 제 1 서포터결합부(283)는 중앙부(241a)의 테두리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서포터(265)에는 제 1 서포터결합부(283)에 결합되는 제 1 체결부(265e)가 포함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제 1 서포터결합부(283)를 통하여 제 1 체결부(265e)에 체결될 수 있다.
[제 1 서포터]
제 1 서포터(265)는 하부 오리피스(28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서포터(265)는 히터 어셈블리(260)의 상측에 놓여질 수 있다. 제 1 서포터(265)는 금속재질, 일례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서포터(265)는 하부모듈(200) 중 회전하는 부품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 1 서포터(265)는 제 2 서포터(267)와 함께 하부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이 히터 어셈블리(26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 1,2 서포터(265,267)는 하부 팬(130) 및 하부팬 하우징(220)이 히터 어셈블리(260)로부터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제 1 서포터(265)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는 제 1 서포터본체(265a)와, 제 1 서포터본체(265a)의 내주면 일 지점으로부터 타 지점으로 연장되는 제 1 서포터프레임(265c)이 포함된다. 제 1 서포터프레임(265c)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 개의 제 1 서포터프레임(265c)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 1 서포터프레임(265c)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서포터중심부(265b)가 구비된다. 서포터중심부(265b)에는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부(267b)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중심부(265b)에는 베어링(275)이 제공될 수 있다. 정리하면, 회전중심부(267b)의 외측에는 베어링(275)이 구비되어 회전중심부(267b)가 서포터중심부(265b) 내에서 회전할 때, 용이한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제 2 서포터]
하부 오리피스(280)와, 히터 어셈블리(260) 및 제 1 서포터(265)는 고정된 구성이며, 제 2 서포터(267) 및 제 2 서포터(267)의 상측에 구비되는 부분, 즉 하부 팬(230), 하부팬 하우징(220) 및 상부 오리피스(240)등은 회전(자전)할 수 있다.
제 2 서포터(267)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는 제 2 서포터본체(267a)와, 제 2 서포터본체(267a)의 내주면 일 지점으로부터 제 2 서포터본체(267a)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제 2 서포터프레임(267c)이 포함된다. 제 2 서포터프레임(267c)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 개의 제 2 서포터프레임(267c)은 제 2 서포터본체(267a)의 중심부에서 만날 수 있다.
제 2 서포터본체(267a)의 중심부에는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중심부(267b)가 구비된다. 회전중심부(267b)는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축을 형성한다. 그리고, 회전중심부(267b)는 제 2 서포터본체(267a)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제 1 서포터(265)의 중심부(265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 2 서포터와 록킹부의 배치구조]
복수 개의 제 2 서포터프레임(267c)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단차부(267e)가 형성된다. 단차부(267e)는 록킹부(239)의 단차진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단차부(267e)는 록킹부(239)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팬(230)의 상측에는 하부모터(236)가 배치되며, 하부모터 축(236a)은 하부모터(236)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부 팬(230)에 결합된다. 하부 팬(230)에는 하부모터 축(236a)이 관통하는 축 결합부(234)가 구비된다. 축 결합부(234)는 하부 팬(230)의 허브(231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부모터 축(236a)은 축 결합부(234)를 관통하여 하부 팬(230)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록킹부(239)에 결합된다. 록킹부(239)의 저면은 하부 팬(230)의 허브(231a)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 또는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록킹부(239)의 하측에는 제 2 서포터(267)의 단차부(267e)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록킹부(239)와 제 2 서포터(267) 간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록킹부(239)의 저면과 제 2 서포터(267)의 단차부(267e)는 설정거리(S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하부 팬(230)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하부 팬(230) 또는 록킹부(239)와 제 2 서포터(267) 간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와 하부 에어가이드의 결합구조]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 장치와 상부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 장치와 하부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 장치(180,2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부 에어가이드(180)에는 제 1 가이드결합부(188)가 구비되며, 하부 에어가이드(210)에는 제 2 가이드결합부(218)가 구비된다. 제 1 가이드결합부(188)는 제 2 가이드결합부(218)의 상측에 정렬되며,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체결부재는 제 1 가이드결합부(188)를 통하여 제 2 가이드결합부(218)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의 상부팬 하우징 지지구조]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중앙부(180a)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함몰부(187)가 구비된다. 제 1 함몰부(187)에는 상부팬 하우징(150)의 가이드지지부(152a)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지지부(152a)는 상부팬 하우징(150)의 허브 안착부(152)의 테두리측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함몰부(187)와 가이드지지부(152a)의 구성에 의하여, 상부팬 하우징(150)은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팬 하우징(150)의 제 1 가이드결합부(151b)는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제 1 하우징체결부(183)에 체결될 수 있다.
[하부 에어가이드의 하부팬 하우징 지지구조]
하부 에어가이드(210)의 중앙부(210a)에는 하부 에어가이드(210)의 가이드 안착부(221c)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우징지지부(217)가 구비된다. 가이드연장부(210c)는 하우징지지부(217)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지지부(217)와 가이드 안착부(221c)의 구성에 의하여,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에어가이드(210)에는 하부팬 하우징(220)의 제 2 가이드결합부(221d)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체결부(217a)가 포함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제 2 가이드결합부(221d)를 관통하여 제 2 하우징체결부(217a)에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50)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본체(51) 및 베이스본체(51)의 상측에 결합되는 베이스커버(53)가 포함된다.
베이스커버(53)에는 관통홀(54)이 포함된다. 관통홀(54)은 베이스커버(53)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 그리고, 베이스(50)에는 베이스본체(5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관통홀(54)을 통과하는 베이스서포터(5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서 포터(58)에는 레그 본체(31)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본체(51)에는 베이스커버(53)와 결합을 이루는 베이스커버 체결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커버 체결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베이스 본체(51)의 내부 둘레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본체(51)에는 파워PCB(57)가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55)와 파워PCB(57)는 베이스서포터(58)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배터리(55)와 상기 파워PCB(57)는 베이스서포터(58)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본체(51)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55)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가지므로 유동 발생장치(10)의 무게중심을 아래로 낮아지게 할 수 있다. 상세히,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품이 포함되는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은 유동 발생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유동 발생장치(10)의 무게중심이 유동 발생장치(10)의 상부에 형성되나, 배터리(55)가 상기 베이스(50)에 배치됨으로써, 유동 발생장치(10)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아래로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결국, 유동 발생장치(10)의 전도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베이스본체(51)에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전원선은 상기 배터리(55) 또는 파워PCB(57)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상기 배터리(55)에 저장된 전원은 상기 파워PCB(57)를 통하여 전기부품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부품에는, 상기 상부모터(170), 하부모터(236), 메인 PCB(215) 또는 회전모터(270)가 포함될 수 있다.
파워PCB(57)에는 전기선(60, 도 2 참조)이 연결될 수 있다. 전기선(60)은 베이스(5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레그(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전기선(60)은 파워PCB(57)로부터 레그 본체(31)의 내부로 연장되며, 제 1 레그연장부(33) 또는 제 2 레그연장부(35)의 내부를 경유하여 본체(20)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레그(30)는 본체(200를 지지하는 기능과 함께, 전기선(60)의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모듈에서의 공기유동]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팬(130)이 구동되면, 공기는 상부모듈(100)의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되며 상부 팬(130)을 통과하여 제 1 이너 토출부(25)에서 배출되는 유동, 즉 제 1 공기유동(Af1)이 발생될 수 있다.
상세히, 상부 팬(130)의 회전에 따라, 공기는 상부모듈(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하방으로 흡입된다.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제 1 프리필터(105)를 거쳐 상부 팬(130)의 축방향으로 흡입된다.
상부 팬(1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 팬(1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상부팬 하우징(150)의 가이드 벽(15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팬유로(138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팬유로(138a)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유로(138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138b)를 통하여 원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2 팬유로(138b)의 유동 단면적은 제 1 팬유로(138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부 팬(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팬유로(138b)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이너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되어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으로 유동한다. 이 때, 제 1 이너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이너 토출부(25)에서 배출된 공기는 유동 가이드부(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원주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부(16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에 의하여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상세히,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를 만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와 함께, 상부 에어가이드(18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는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부 커버(120)에 의하여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1 이너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공기는 제 1 토출 가이드부(158) 및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벽(153)의 외측에는 공기 중 미생물의 제균을 위한 이오나이저(179)가 설치되는 이오나이저 장착부(168)가 형성된다. 이오나이저(179)는 제 1 팬유로(138a) 또는 제 2 팬유로(138b)를 향하여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모듈(100)을 통과하는 공기는 이오나이저(179)를 통하여 제균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부모듈에서의 공기유동]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 및 하부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0 및 도 3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팬(230)이 구동되면, 공기는 상부모듈(200)의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되며 하부 팬(230)을 통과하여 제 2 이너 토출부(27)에서 배출되는 유동, 즉 제 2 공기유동(Af2)이 발생될 수 있다.
상세히, 하부 팬(230)의 회전에 따라, 공기는 하부모듈(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상방으로 흡입된다.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제 2 프리필터(295)를 거쳐 하부 팬(230)의 축방향으로 흡입된다.
하부 팬(2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 팬(2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하부팬 하우징(220)의 가이드 벽(22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팬유로(234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팬유로(234a)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유로(234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234b)를 통하여 원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2 팬유로(234b)의 유동 단면적은 제 1 팬유로(234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하부 팬(2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팬유로(234b)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어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으로 유동한다. 이 때,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제 1 이너 토출부(25)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이너 토출부(27)에서 배출된 공기는 유동 가이드부(227)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원주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부(227)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에 의하여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상세히,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를 만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와 함께, 하부 에어가이드(21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는 하부팬 하우징(220) 및 하부 커버(290)에 의하여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공기는 제 2 토출 가이드부(229) 및 상부 에어가이드(21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 1,2 이너 토출부를 통한 공기의 집중 배출]
도 32를 참조하면, 제 2 이너 토출부(27)는 에어가이드 장치(180,210)를 기준으로, 제 1 이너 토출부(25)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향하는 공기유동은 제 1 이너 토출부(25)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 1 이너 토출부(25)에서 배출되는 제 1 공기와, 제 2 이너 토출부(27)에서 배출되는 제 2 공기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이너 토출부(25)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 1 토출 가이드부(158) 및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토출유로(26)로 배출되며, 제 2 이너 토출부(27)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 2 토출 가이드부(229) 및 하부 에어가이드(229)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2 토출유로(28)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는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의 바로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제 1,2 토출유로(26,28)를 유동하는 공기는 집중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면, 유동 발생장치(10)에 작용하는 유동 압력이 균형을 이룰 수 있으므로 유동 발생장치(10)의 진동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제 2 이너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제 2 유동가이드부(227) 및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에 의하여 제 2 토출유로(28)를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하부모듈(200)에는 하부모듈(200)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어셈블리(260)가 더 포함된다. 히터 어셈블리(260)는 제 2 송풍팬(23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히터 어셈블리(260)에서 가열된 공기는 제 2 송풍팬(230)을 통과하게 된다. 히터 어셈블리(26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따뜻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히터 어셈블리(260)가 하부모듈(200)에 구비됨으로써, 히터 어셈블리(26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제 1,2 이너 토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
상부 팬(130)의 회전방향과, 하부 팬(230)의 회전방향은 반대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유동발생 장치(10)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이너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면에, 제 2 이너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부 팬(130)을 통과하여 상부팬 하우징(150)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일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반면에, 하부 팬(230)을 통과하여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일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토출가이드부(158)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우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토출가이드부(229)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좌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반대로,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토출가이드부(158)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좌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토출가이드부(229)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우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모듈(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하부모듈(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서로 반대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에 의하여 유동 발생장치(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서로 상쇄될 수 있다. 결국, 유동 발생장치(10)의 진동 및 그에 따른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용어의 정의]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을 각각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부모듈(100)에 구비되는 상부 팬(130), 상부팬 하우징(150), 상부 에어가이드(180) 및 상부 커버(120)를 각각 "제 1 팬", "제 1 팬 하우징", "제 1 에어가이드" 및 "제 1 커버"라 이름하고, 하부모듈(200)에 구비되는 하부 팬(230), 하부팬 하우징(220), 하부 에어가이드(210) 및 하부 커버(290)를 "제 2 팬", "제 2 팬 하우징", "제 2 에어가이드" 및 "제 2 커버"라 이름할 수 있다.
[유동 발생장치의 회전작용]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고정되는 부분(F)과, 회전되는 부분(R)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측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측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10)에는 일 위치에 고정되는 장치 고정부(F) 및 회전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장치 회전부(R)가 포함될 수 있다. 장치 회전부(R)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장치 고정부(F)에는 하부 모듈(100) 중 하부 오리피스(280), 랙 기어(276) 및 히터 어셈블리(260)가 포함된다. 그리고, 장치 회전부(R)에는 상부 모듈(100)과, 하부 모듈(100) 중 고정되는 부분(R)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제 1 위치]
도 34는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제 1 공기유동(Af1) 및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제 2 공기유동(Af2)을 보여준다. 일례로, "제 1 위치"는 전방으로 공기를 집중하여 토출하는 전방 토출위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토출가이드부(158) 및 제 2 토출가이드부(229)는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5는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제 1 공기유동(Af1) 및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제 2 공기유동(Af2)을 보여준다. 일례로, "제 2 위치"는 좌측방으로 공기를 집중하여 토출하는 좌측방 토출위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토출가이드부(158) 및 제 2 토출가이드부(229)는 좌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제 2 위치]
상세히, 도 34의 위치에서, 하부 모듈(200)에 구비되는 회전모터(270)가 일 방향으로 구동하면, 회전모터(270)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272)와 랙 기어(276)가 연동한다. 랙 기어(276)는 하부 오리피스(280)에 고정된 구성이므로, 피니언 기어(272)는 랙 기어(276)를 따라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회전모터(270)와 피니언 기어(272)는 하부모듈(200)의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A1)으로 공전하게 된다.
회전모터(270)는 상부 오리피스(240)에 지지되며, 상부 오리피스(240)와 제 2 서포터(267)는 서로 결합되므로, 상부 오리피스(240) 및 제 2 서포터(267)는 회전(자전)하게 된다. 이 때,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부(267b)가 상부 오리피스(240) 및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을 형성한다.
정리하면, 회전모터(270) 및 피니언 기어(272)는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부(267b)를 기준으로 공전하며, 상부 오리피스(240) 및 제 2 서포터(267)는 회전중심부(267b)를 기준으로 자전하게 된다. 이 때, 하부 오리피스(280)에 결합되는 베어링(275)은 상부 오리피스(240)의 저면에 구름 접촉한다.
그리고, 상부 오리피스(240)는 하부 커버(290)에 결합되며, 하부 커버(290)와 하부팬 하우징(220)은 걸림구조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에 있으므로, 하부 커버(290)와 하부팬 하우징(220) 또한 자전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팬 하우징(220)에 지지되는 하부 팬(230) 및 하부팬 하우징(220)에 결합되는 하부 에어가이드(210) 또한 자전하게 된다.
결국, 회전모터(270)가 구동하면, 하부모듈(200) 중, 고정된 하부 오리피스(280)에 결합된 랙 기어(276) 및 히터 어셈블리(260)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은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부(267b)를 기준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하부 에어가이드(210)와 상부 에어가이드(180)는 서로 결합되므로, 하부모듈(200)의 회전력은 에어가이드(180,210)를 통하여 상부모듈(1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부팬 하우징(150)은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결합되며, 상부 커버(120) 및 상부 팬(130)은 상부팬 하우징(150)에 결합되므로, 상부 에어가이드(180), 상부팬 하우징(150), 상부 팬(130) 및 상부 커버(120)는 일체로 자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커버(120)의 상측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커버(110), 탑커버지지부(103) 및 탑커버(101) 또한 함께 자전할 수 있다.
상부 팬(130) 및 하부 팬(230)이 구동할 때, 회전모터(270)가 구동하면, 상부모듈(100)에 구비되는 제 1 이너 토출부(25) 및 하부모듈(200)에 구비되는 제 2 이너 토출부(27) 또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결국, 도 3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2 이너 토출부(25,27)는 시계방향(A1)으로 회전하여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으로 회전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제 3 위치]
도 36은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이 제 3 위치에 있을 때, 상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제 1 공기유동(Af1) 및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제 2 공기유동(Af2)을 보여준다. 일례로, "제 3 위치"는 우측방으로 공기를 집중하여 토출하는 우측방 토출위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토출가이드부(158) 및 제 2 토출가이드부(229)는 우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의 제 3 위치는 제 1 위치에서 회전모터(270)가 타 방향으로 구동하여, 피니언 기어(272)와 랙 기어(276)가 연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72)와 랙 기어(276)의 연동에 따라, 장치 회전부(R)이 회전하는 원리에 관한 설명은, 제 2 위치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다만, 제 3 위치는 회전되는 부분(R)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A2)으로 회전하여 우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점에서, 제 2 위치와 차이가 있다. 결국, 도 3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2 이너 토출부(25,27)는 반시계방향(A2)으로 회전하여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측으로 회전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 회전부(R)의 움직임에 의하여,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8는 도 37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체]
본체(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토출부(29)가 형성될 수 있고, 제1이너 토출부(25)를 통과한 공기와 제2이너 토출부(27)를 통과한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토출부 (29)를 통해 본체(2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
아우터 토출부(29)는 본체(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로서, 본체(20) 내부의 공기는 아우터 토출부(29)를 통과하여 본체(2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의 개방 방향]
아우터 토출부(29)는 본체(20)에 반경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29)의 개방방향은 제1흡입부(21)의 개방방향 및 제2흡입부(23)의 개방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
제1흡입부(21)가 본체(2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고, 제2흡입부(23)가 본체(2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경우, 아우터 토출부(29)는 본체(20)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의 높이]
아우터 토출부(29)의 높이는 제1흡입부(21)의 높이 보다 낮고, 제2흡입부(23)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제1흡입부(21)를 통해 본체(20)로 흡입된 후 아우터 토출부(29)로 토출되는 공기는 제1흡입부(21) 보다 낮은 높이에서 본체(2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흡입부(23)을 통해 본체(20)로 흡입된 후 아우터 토출부(29)로 토출되는 공기는 제2흡입부(23) 보다 높은 높이에서 본체(2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본체(20)의 주변에는 제1흡입부(21)를 통해 흡입된 후 본체(20)의 수평방향으로 토출되는 제1입체기류와, 제2흡입부(23)를 통해 흡입된 후 본체(20)의 수평방향으로 토출되는 제2입체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입체기류는 본체(20)의 위에서 본체의 상부를 통과한 후 본체의 수평방향으로 토출되는 상측 입체기류일 수 있고, 제2입체기류는 본체(20)의 아래에서 본체의 하부를 통과한 후 본체의 수평방향으로 토출되는 하측 입체기류일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의 크기]
아우터 토출부(29)의 크기는 제1흡입부(21)의 크기와 제2흡입부(23)의 크기의 합 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29)의 크기가 작을 경우, 본체(20)의 외부로 집중풍이 토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와 아우터 토출부]
에어가이드(180)(210)는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팬 하우징(220)을 연결하는 커넥터일 수 있고,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팬 하우징(220)의 사이에 토출유로(26,28)가 형성될 수 있게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팬 하우징(220)을 연결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80,210)는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팬 하우징(220)이 평행하게 배치되게 상부팬 하우징(150)과 하부팬 하우징(22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80,210)는 제1이너 토출부(25)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1토출유로(26)를 형성하는 제1에어가이드(180)와; 제2이너 토출부(27)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제2토출유로(28)를 형성하는 제2에어가이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29)는 토출유로(26,28)와 연통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29)는 제1토출유로(26)와 제2토출유로(28)의 각각과 연통될 수 있다.
상부 팬(130)의 구동시, 공기는 제1흡입부(21)와 제1이너 토출부(2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1토출유로(26)로 토출될 수 있고, 제1토출유로(26)의 공기는 아우터 토출부(29)를 통해 본체(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하부 팬(230)의 구동시, 공기는 제2흡입부(23)과 제2이너 토출부(27)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2토출유로(28)로 토출될 수 있고, 제2토출유로(28)의 공기는 아우터 토출부(29)를 통해 본체(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
아우터 토출바디(390)는 유동 발생장치의 외관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그 외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는 에어가이드(180)(210)의 외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는 상부 커버(120)와 하부 커버(2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에는 아우터 토출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로(26,28)로 토출된 공기는 아우터 토출바디(390)에 안내되어 아우터 토출부(29)로 유동될 수 있고, 아우터 토출부(29)를 통과하여 본체(2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는 단면 형상이 호 형상일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의 일단과 타단은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의 단면 형상은 우호 형상일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29)는 아우터 토출바디(390)의 일단과 아우터 토출바디(390)의 타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에는 제1이너 토출부(2527 통과한 공기와 제2이너 토출부(27)를 통과한 공기를 아우터 토출부(29)로 안내하는 이너 곡면(39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은 이너 곡면의 반대면인 아우터 곡면(39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의 이너 곡면]
이너 곡면(391)은 에어가이드(180)(210)의 외둘레에 접촉될 수 있다.
이너 곡면(391)의 상부는 제1에어가이드(180)를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고, 이너 곡면(391)의 상부와 제1에어가이드(180)의 사이에는 제1이너 토출부(25)를 빠져나온 공기가 아우터 토출부(29)로 안내되는 제1토출유로(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곡면(391)의 하부는 제2에어가이드(210)를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고, 이너 곡면(391)의 하부와 제2에어가이드(210)의 사이에는 제2이너 토출부(27)를 빠져나온 공기가 아우터 토출부(29)로 안내되는 제2토출유로(28)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의 아우터 곡면]
아우터 곡면(392)은 상하 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볼록한 형상일 수 있고, 그 상단이 상부 커버(120)의 외면 하단과 접할 수 있고, 그 하단이 하부 커버(290)의 외면 상단과 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제 2 실시예)
도 3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체]
본 실시예의 본체(20')는 제1토출유로(26)와 연통되는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토출유로(28)와 연통되는 제2아우터 토출부(29B)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아우터 토출부(29B)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우터 토출바디]
아우터 토출바디(390)에는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아우터 토출부(29B)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아우터 토출부(29B)의 이격 방향은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3)의 이격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390)는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아우터 토출부(29B) 사이에 위치하는 차폐부(29C)를 포함할 수 있다.
[치폐부의 높이]
차폐부(29C)는 제1에어가이드(180)의 하단 외둘레 및 제2에어가이드(210)의 상단 외둘레를 함께 마주볼 수 있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의 내면]
차폐부(29C)는 에어가이드(180)(210)를 마주보는 내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내면은 제1에어가이드(180)의 하단 외둘레 및 제2에어가이드(210)의 상단 외둘레 각각과 접촉될 수 있다.
제1에어가이드(180)의 하단 외둘레 및 제2에어가이드(210)의 상단 외둘레 각각은 아우터 토출바디(390)의 이너 곡면(391)과 차폐부(29C)의 내면에 둘러싸일 수 있다.
[아우터 토출바디의 효과]
에어가이드(180)(210)는 제1에어가이드(180)와 제2에어가이드(210) 사이의 틈 전체가 아우터 토출바디(390)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외관의 고급화가 가능하면서 보다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토출유로(26)로 안내된 공기와 제2토출유로(28)로 안내된 공기가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아우터 토출부(29B)로 분산되어 토출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4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체]
본 실시예의 본체(20")는 제1토출유로(26)를 형성하는 로어 유로 바디부(120A)를 갖는 상부 커버(120')와, 제2토출유로(28)을 형성하는 어퍼 유로 바디부(290A)를 갖는 하부 커버(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20")는 상부 커버(120')와 하부 커버(29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 커버의 로어 유로 바디부]
로어 유로 바디부(120A)는 제1에어가이드(180)의 외둘레면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유로(26)는 제1에어가이드(180)의 외둘레면과 로어 유로 바디부(120A)의 내둘레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의 어퍼 유로 바디부]
어퍼 유로 바디부(290A)는 제2에어가이드(210)의 외둘레면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유로(28)은 제2에어가이드(210)의 외둘레면과 어퍼 유로 바디부(290A)의 내둘레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접촉]
상부 커버(120')의 하단(120B)은 하부 커버(290')의 상단(290B)와 접촉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
본 실시예의 아우터 토출부(29')는 상부 커버(120')와 하부 커버(29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120')에는 제1토출유로(26)와 연통되는 제1아우터 토출부(29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커버(290')에는 제2토출유로(28)와 연통되는 제2아우터 토출부(29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 토출부(29A')와 제2아우터 토출부(29B')는 상부 커버(120')와 하부 커버(290')가 접촉되었을 때, 하나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개구부는 제1토출유로(26)와 제2토출유로(28)의 각각과 연통될 수 있다.
10 : 유동 발생장치 20: 본체
21: 제1흡입부 23: 제2흡입부
25: 제1이너 토출부 27: 제2이너 토출부
29: 아우터 토출부 130: 제1팬
230: 제2팬

Claims (15)

  1. 제1흡입부와 제2흡입부가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1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1이너 토출부와 상기 제2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2이너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제2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제1흡입부와 제1이너 토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1팬과;
    상기 제2흡입부와 제2이너 토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2팬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이너 토출부가 형성된 제1팬하우징과,
    상기 제2이너 토출부가 형성된 제2팬하우징과;
    상기 제1팬하우징과 제2팬하우징의 사이에 토출유로가 형성되게 상기 제1팬하우징과 제2팬하우징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커넥터의 외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아우터 토출부가 형성된 아우터 토출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흡입부가 형성된 제1커버와,
    상기 제2흡입부가 형성된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토출바디는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사이에 배치된 유동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토출부는 상기 본체에 반경방향으로 개방된 유동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토출부의 개방방향은 상기 제1흡입부의 개방방향 및 제2흡입부의 개방방향 각각과 직교한 유동 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토출부는 상기 본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유동 발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토출부의 크기는 상기 제1흡입부의 크기와 제2흡입부의 크기의 합 보다 작은 유동 발생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토출부는 상기 토출유로와 연통되는 유동 발생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팬하우징과 제2팬하우징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제1팬하우징과 제2팬하우징이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유동 발생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흡입부와 제2흡입부가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1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1이너 토출부와 상기 제2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2이너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제2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제1흡입부와 제1이너 토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1팬과;
    상기 제2흡입부와 제2이너 토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2팬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이너 토출부가 형성된 제1팬하우징과,
    상기 제2이너 토출부가 형성된 제2팬하우징과;
    상기 제1팬하우징과 제2팬하우징의 사이에 토출유로가 형성되게 상기 제1팬하우징과 제2팬하우징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커넥터의 외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아우터 토출부가 형성된 아우터 토출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토출바디에는 상기 제1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와 제2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아우터 토출부로 안내하는 이너 곡면이 형성된 유동 발생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곡면은 상기 커넥터의 외둘레에 접촉되는 유동 발생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1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1에어가이드와;
    상기 제2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제2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2에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토출부는 상기 제1토출유로와 제2토출유로의 각각과 연통되는 유동 발생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1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1에어가이드와;
    상기 제2이너 토출부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제2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2에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토출부는 상기 제1토출유로와 연통되는 제1아우터 토출부와,
    상기 제2토출유로와 연통되는 제2아우터 토출부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부와 제2이너 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된 제1공조유닛과,
    상기 제2흡입부와 제2이너 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공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조유닛과 제2 공조유닛은 중 어느 하나는 온도조절기와 청정도조절기와 습도조절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1공조유닛과 제2 공조유닛은 중 다른 하나는 온도조절기와 청정도조절기와 습도조절기 중 다른 하나인 유동 발생장치.
KR1020170112021A 2017-09-01 2017-09-01 유동 발생장치 KR102404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021A KR102404689B1 (ko) 2017-09-01 2017-09-01 유동 발생장치
US16/641,702 US11156225B2 (en) 2017-09-01 2018-08-31 Flow generating device
EP18852192.6A EP3677786B1 (en) 2017-09-01 2018-08-31 Flow generating device
CN201890001157.8U CN211737491U (zh) 2017-09-01 2018-08-31 流动发生装置
PCT/KR2018/010140 WO2019045516A1 (ko) 2017-09-01 2018-08-31 유동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021A KR102404689B1 (ko) 2017-09-01 2017-09-01 유동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409A KR20190025409A (ko) 2019-03-11
KR102404689B1 true KR102404689B1 (ko) 2022-06-07

Family

ID=6552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021A KR102404689B1 (ko) 2017-09-01 2017-09-01 유동 발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56225B2 (ko)
EP (1) EP3677786B1 (ko)
KR (1) KR102404689B1 (ko)
CN (1) CN211737491U (ko)
WO (1) WO201904551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52097A1 (en) * 2013-10-11 2016-09-01 Sung Woo Ha Ceiling fa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6521A1 (de) * 1974-11-29 1976-08-12 Opel Adam Ag Vorrichtung zum mischen von zwei gasoder luftstroemen unterschiedlicher temperatur und/oder zusammensetzung, insbesondere zum mischen eines kalt- und warmluftstromes bei einer kraftfahrzeugheizung
US4738188A (en) * 1984-02-25 1988-04-19 Nishida Tekko Corporation Room air circulating apparatus
KR0150164B1 (ko) * 1995-12-30 1998-10-15 김광호 화상 처리장치에 있어서 오차 확산 방법에 의한 양자화 방법 및 장치
IT232119Y1 (it) * 1996-12-06 1999-09-10 Bacchiocchi Alberto Gruppo di aspirazione per cappe, forni e simili, avvalentesi di una carcassa formata da due coclee affiancate e distanziate tra loro
KR20020017126A (ko) * 2000-08-29 2002-03-07 이기환 송풍기능을 갖춘 냉난방기
KR200278255Y1 (ko) 2002-03-29 2002-06-20 (주)씨티타워 선풍기
US7158716B2 (en) * 2002-12-18 2007-01-02 Lasko Holdings, Inc. Portable pedestal electric heater
KR100919317B1 (ko) 2009-03-20 2009-10-01 김민지 중심회전날개부가 구성된 상하 대향의 팬을 구비하는 사방향 선풍기 및 사방향 선풍기의 풍량측면 유도 방법
KR101196493B1 (ko) 2009-06-28 2012-11-01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축류팬
JP5747632B2 (ja) 2011-04-26 2015-07-15 日本電産株式会社 遠心ファン
KR20130121242A (ko) * 2012-04-27 2013-11-06 김승찬 Capra hircus octamer-binding transcription factor 4 -Oct-4 에 대한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특이적 DNA oligomer
KR20150042510A (ko) * 2013-10-11 2015-04-21 하성우 주방용 후드
EP2896836A1 (en) * 2014-01-17 2015-07-22 ABB Oy Combination of two counterrotating centrifugal fans
KR101651487B1 (ko) 2014-11-05 2016-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20170059204A1 (en) * 2015-08-24 2017-03-02 Lasko Holdings, Inc. Centrifical blower and heating element apparatus
US10605249B2 (en) * 2016-07-20 2020-03-31 Lg Electronics Inc. Blower
TWI636195B (zh) * 2017-02-07 2018-09-21 周書賢 Air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52097A1 (en) * 2013-10-11 2016-09-01 Sung Woo Ha Ceiling f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7786A1 (en) 2020-07-08
US20200355191A1 (en) 2020-11-12
CN211737491U (zh) 2020-10-23
EP3677786B1 (en) 2021-11-03
US11156225B2 (en) 2021-10-26
WO2019045516A1 (ko) 2019-03-07
KR20190025409A (ko) 2019-03-11
EP3677786A4 (en)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570B1 (ko) 유동 발생장치
JP7240117B2 (ja) 個人化された空気浄化装置
KR20190025452A (ko) 유동 발생장치
EP3015784B1 (en) Air purifier
US9873127B2 (en) Air cleaner
KR20190025420A (ko) 유동 발생장치
KR20100056797A (ko) 공기청정기
KR20190142279A (ko)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WO2012144347A1 (ja) 空気清浄機
KR102404689B1 (ko) 유동 발생장치
KR102281749B1 (ko) 유동 발생장치
KR102404660B1 (ko) 유동 발생장치
JP2005241233A (ja) フード一体型電子レンジ
KR102037704B1 (ko) 유동 발생장치
US20200291950A1 (en) Blowing device
KR20190025451A (ko) 유동 발생장치
KR20190025422A (ko) 유동 발생장치
KR20190025423A (ko) 유동 발생장치
KR20190025445A (ko) 유동 발생장치
KR101852105B1 (ko) 송풍기
JP7505747B2 (ja) 調理用換気装置
KR20230084683A (ko) 이동식 후드
KR20200111897A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KR20190003111U (ko) 선풍기용 에어필터
KR20060111030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