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964B1 -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964B1
KR102402964B1 KR1020210113190A KR20210113190A KR102402964B1 KR 102402964 B1 KR102402964 B1 KR 102402964B1 KR 1020210113190 A KR1020210113190 A KR 1020210113190A KR 20210113190 A KR20210113190 A KR 20210113190A KR 102402964 B1 KR102402964 B1 KR 102402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unit
transfer paper
die
di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964B9 (ko
Inventor
김관영
유성준
Original Assignee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964B1/ko
Publication of KR10240296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96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heating select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정렬장치는 다수의 작동슬롯을 매트릭스 상으로 구비하는 다이유닛; 이 다이유닛의 각 작동슬롯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하고, 각각 전사 대상물을 탑재하여 전사 대상물의 전사면을 다이유닛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다수의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 다수의 이미지가 매트릭스 상으로 인쇄되어 있는 전사지의 각 이미지들이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에 탑재된 다수의 전사 대상물에 각각 대응하도록 전사지를 세팅하는 전사지 정렬유닛; 전사지를 각 전사 대상물의 전사면들과 다이유닛의 상면에 균일하게 접촉시켜 고정하는 전사지 고정유닛; 및 다이유닛과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 상에 고정된 전사지를 가열하는 히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및 방법{POLYMER NANO COMPOSITE SHEET TRANSFER IMAGE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에 이미지를 전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전사 대상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에 대해서 이미지를 동시에 전사하는 때 각 이미지를 대응하는 복합시트에 정확히 정렬시키기 위한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정전기로 인한 트러블 방지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제품에 대전 방지 기능성 소재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전 방지 기능은 전도성 고분자 코팅제를 코팅하거나, 친수성 계면활성제 등의 화학적 첨가제나 카본블랙, 나노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을 복합소재화 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도성 고분자 코팅의 경우 대전 방지 기능의 지속 시간이 짧고, 대전 방지 복합소재의 경우에는 진공 성형을 통한 연신가공 후 전기적 특성이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높은 탄성 강도와 유연성, 전기적 및 열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를 고분자 플라스틱에 기계화학적 결합(mechano-chemical bonding) 방법으로 혼합시켜서 우수한 물성을 구유한 고분자 나노 복합소재가 제공되어 다양한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보호 케이스의 경우에도 그 특성상 갖가지 우수한 물성과 대전 방지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위와 같은 고분자 나노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휴대폰의 외형에 구속될 수밖에 없어 형상에 제약이 따른다. 이 때문에 보호 케이스 사용자는 보호 케이스의 뒷면에 사진이나 그림 또는 문자 등의 다양한 장식 문양을 새겨 넣는 경우가 많다. 보호 케이스의 표면에 장식 문양을 새겨 넣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인쇄 후 이물질이 표면에 남지 않고 발색도 좋아 실제와 유사한 질감과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승화 전사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승화 전사 방법은 전사지에 임의의 모양으로 인쇄되어 있는 전사용 잉크층을 승화시켜 전사 대상물의 표면에 침투시키는 방식으로, 전사 대상물 상에 전사지를 올려 놓은 다음 전사지를 히터 등으로 가열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양호한 전사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전사 대상물에 대한 전사지의 균일한 접촉 고정과 함께 전사 위치의 정렬이 상당히 중요하다. 특히,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을 위해서 여러 개의 전사 대상물에 동시에 전사하는 경우 더욱더 그러하다.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6957호(2013.12.04.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833846호(2018.02.23. 공고)
본 발명은 전사지의 이미지가 전사 대상물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전사될 수 있도록 전사지를 전사 대상물 상에 간편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사지를 전사 대상물의 전사면 상에 왜곡 없이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균일한 접촉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개의 전사 대상물에 동시에 이미지를 전사하는 때에도 전사지의 이미지를 대응하는 각 전사 대상물의 설정된 전사 위치에 정확히 전사시킬 수 있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를 구현하는데 적합한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는, 다수의 작동슬롯을 매트릭스 상으로 구비하는 다이유닛; 이 다이유닛의 각 작동슬롯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하고, 각각 전사 대상물을 탑재하여 전사 대상물의 전사면을 다이유닛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다수의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 다수의 이미지가 매트릭스 상으로 인쇄되어 있는 전사지의 각 이미지들이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에 탑재된 다수의 전사 대상물에 각각 대응하도록 전사지를 세팅하는 전사지 정렬유닛; 전사지를 각 전사 대상물의 전사면들과 다이유닛의 상면에 균일하게 접촉시켜 고정하는 전사지 고정유닛; 및 다이유닛과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 상에 고정된 전사지를 가열하는 히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사지 고정유닛은 다이유닛에 형성되는 다수의 흡기구멍과, 각 흡기구멍의 하단에 연결되는 진공수단을 포함 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다이유닛의 상부 표면에는 요철이 구비되고, 이 요철의 오목부를 통해 전사지의 전 부위에 흡입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전사지를 더욱 균일하게 흡착할 수 있다.
다이유닛은, 흡기구멍들과 각각 연통하고 진공수단의 흡입측과 연결되는 캐비티(cavity)를 내부에 구비하며, 각 작동슬롯과 흡기구멍을 상판에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흡기구멍들으로 통한 전사지의 흡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은, 다이유닛의 작동슬롯에 장착되고, 상단부가 다이유닛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전사 대상물을 지지하는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 및 다이유닛의 캐비티 내에 장착되어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actuator);를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구멍이 구비되고, 흡기구멍은 진공수단의 흡입측에 연결되어 전사 대상물을 흡착함으로써 매우 안정된 고정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전사지 정렬유닛은, 다수의 전사 대상물 승강수단들을 에워싸도록 다이유닛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사지의 둘레를 접촉 지지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 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사지에 인쇄되어 있는 다수의 이미지는 다이유닛에 장착되어 전사 대상물을 지지하는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들과 대응하므로 복수의 위치 결정 가이드들이 구획하는 안쪽 영역에 전사지를 투입하는 것으로 전사지의 각 이미지를 대응하는 다수의 전사 대상물과 간편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히팅유닛은, 발열수단을 내장하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고, 전사지를 누르면서 가열하는 히터 플레이트; 및 이 히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제2 액츄에이터;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러한 히팅유닛은 바람직하기로, 히터 플레이트의 둘레를 간격을 두고 감싸주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여 전사지를 가열할 때 다이유닛의 상측에 진공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각 위치 결정 가이드는 상방으로 바이어스(bias) 되고, 히팅유닛의 하강 시 커버 부재의 하면에 접촉하여 하강함으로써 커버 부재에 의한 진공형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전사 대상물은 휴대폰 보호 케이스 일 수 있고, 이 경우 다이유닛의 각 작동슬롯 내면 상부에 보호 케이스의 스커트(skirt)부가 끼워지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방법은, (a) 다수의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들을 다이의 상부로 돌출시키고, 각 지지부재 상에 전사 대상물을 로딩시키는 단계; (b) 전사 대상물이 로딩된 각 지지부재들을 하강시켜서 전사 대상물의 전사면을 다이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c) 다수의 이미지가 기설정된 형태로 인쇄되어 있는 전사지를 다이 상에 공급하고, 전사지에 인쇄된 다수의 이미지들을 다수의 지지부재 상에 로딩되어 있는 전사 대상물들과 각각 대응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 (d) 전사지를 흡착하여 다이 상에 균일하게 고정시키는 단계; 및 (e) 다이 상에 고정된 전사지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c)단계는, 다이에 각 전사 대상물들을 에워싸도록 다수의 위치 결정 가이드를 임의의 간격으로 돌출되게 구비하여, 전사지를 각 위치 결정 가이드 안쪽에 공급하는 것으로 자동 정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폴리머 소재 전사 이미지 정렬 장치에 의하면, 전사지를 위치 결정 가이드의 안쪽 영역에 투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전사지에 인쇄된 다수의 이미지가 대응하는 각 전사 대상물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일치하게 되므로 전사지를 전사 대상물 상에 매우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사 대상물이 다이유닛의 상판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사지를 전사 대상물의 전사면(상면) 상에 굴곡 등의 왜곡 없이 편평한 상태로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은 균일한 접촉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고품질의 전사물 획득이 가능해진다.
특히, 여러 개의 전사 대상물에 동시에 이미지를 전사하는 경우에도 전사지의 이미지를 대응하는 각 전사 대상물의 설정된 전사 위치에 정확히 전사시킬 수 있어 승화 전사 장치의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화 전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의 다이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를 따라 취한 발췌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 다이유닛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발췌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의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을 따라 취한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의 평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폴리머 소재 전사 이미지 정렬 장치(1)는, 전사지(F)가 상면에 탑재 고정되는 다이유닛(10)과, 전사 대상물을 각각 탑재하여 다이유닛(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는 다수의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20)과, 전사지(F)에 인쇄된 다수의 이미지(I)들이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20)에 탑재된 다수의 전사 대상물(C)에 각각 대응하도록 전사지(F)를 세팅하는 전사지 정렬유닛(30)과, 전사지(F)를 각 전사 대상물의 전사면들과 다이유닛(10)의 상면에 균일하게 접촉시켜 고정하는 전사지 고정유닛(40) 및 다이유닛(10)과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20) 상에 고정된 전사지(F)를 가열하는 히팅유닛(50)을 포함한다.
전사 대상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 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폰 보호 케이스(C)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보호 케이스(C)는 공급 트레이(T1)에 매트릭스 상으로 배치되어 공급될 수 있고, 이 때의 배치는 본 발명 전사 이미지 정렬 장치(1)의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20)들과 대응된다. 공급 트레이(T1)의 보호 케이스(C)들은 제1 픽업유닛(P1)에 의해 전사 이미지 정렬 장치(1)로 공급될 수 있다. 전사지(F)는 전사 이미지 정렬 장치(1)의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20)들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이미지(I)를 매트릭스 상으로 가질 수 있다. 이 전자지(F)는 제2 픽업유닛(P2)에 의해 전사 이미지 정렬 장치(1)에 매트릭스 상으로 탑재된 보호 케이스(C) 위에 투입될 수 있고, 히팅유닛(50)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각 이미지(I)가 대응하는 보호 케이스(C)의 전사면으로 침투하여 전사된다. 이와 같이 전사지(F)로부터 이미지(I)가 전사된 보호 케이스(C)는 다시 제1 픽업유닛(P1)에 의해 배출 트레이(T2) 상으로 옮겨져 후속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다이유닛(10)은 베이스 플레이트(2)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다이유닛(10)은 판상 또는 블록 형태의 단일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캐비티(11)를 구비할 수 있다. 캐비티(11)는 후술한 전사지 고정유닛(40)의 각 흡기구멍(41)들과 동시에 연통함으로써 진공펌프(42)에 의한 전사지(F)의 흡착 작용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이유닛(10)은 예컨대 판상의 몸체(13)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4)을 갖는 박스 형태의 바디(12)와, 이 바디(12)의 상부 개구를 차폐하는 상판(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벽(14)의 상단 개구부에는 상판(15)의 가장자리부가 안착되는 조립턱(14a)이 구비될 수 있다.
상판(15)은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20)들이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작동슬롯(16)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각 작동슬롯(16)들의 내면 상단부에는 보호 케이스(C)의 스커트부(S)가 끼워질 수 있는 안착턱(17)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턱(17)은 보호 케이스(C)와 같이 스커트부(S)를 구비하는 전사 대상물을 위한 구성으로,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사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이러한 다이유닛(10) 상판(15)의 전사지(F)와 접촉하는 표면에는 요철(1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요철(18)은 흡기구멍(41)들과 직접 대향하지 않는 전사지(F)의 다른 부분에도 진공펌프(42)에 의한 흡입력이 골고루 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사지(F)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흡착할 수 있게 한다. 즉, 요철(18)의 오목부(18a)에 의해 전사지(F)와 상판(15)의 표면 사이에는 흡기구멍(41)들과 연통하는 미세한 틈새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흡기구멍(41)에 대향하지 않는 전사지(F)의 다른 부분까지 진공펌프(42)의 흡입력이 골고루 작용함으로써 전자지(F)를 왜곡 없이 균일하게 흡착할 수 있는 것이다.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20)은 다이유닛(10)의 상판(15)에 구비된 작동슬롯(1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와, 이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를 승강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는 보호 케이스(C)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단부가 보호 케이스(C)의 스커트부(S)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보호 케이스(C)를 탑재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는 다이유닛(10)의 작동슬롯(16)을 관통하여 상단부가 다이유닛(10) 상판(15)의 상방으로 적절히 돌출된다.
제1 액츄에이터(22)는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다이유닛(10)의 캐비티(11) 내에 설치될 수 있고, 그 작동로드(23)의 선단이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의 하면에 연결됨으로써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액츄에이터(22)는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의 상단에 탑재된 보호 케이스(C)의 전사면(도면에서 상면)이 다이유닛(10) 상판(15)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위치까지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를 하강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사지(F)가 어떠한 왜곡이나 구겨지는 일 없이 본래의 편평한 상태로 다이유닛(10)의 상판(15)과 각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 위에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액츄에이터(22)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어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이와 같은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20)은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의 상단에 탑재된 보호 케이스(C)를 더욱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에 복수 개의 흡기구멍(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각 흡기구멍(24)은 흡기관(25)을 통해 전사지 고정유닛(40)의 진공펌프(42) 흡입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 케이스(C)가 진공펌프(42)의 흡입력에 의해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에 안정되게 흡착 고정됨으로써 승강 시 등에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로부터 이탈되거나 탑재 상태가 틀어지는 등의 트러블 발생 우려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전사지 정렬유닛(30)은 다이유닛(10)의 상판(15) 상부로 돌출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 가이드(31)들 일 수 있다.
각 위치 결정 가이드(31)는 다수의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20)들을 간격을 두고 에워싸는 형태로 적절히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판(15)의 네 변 중간에 1개씩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이며, 각 변에 2 이상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위치 결정 가이드(31)들은 다이유닛(10) 상에 투입된 전사지(F)의 대응하는 가장자리를 각각 접촉 지지함으로써 전사지(F)에 인쇄되어 있는 다수의 이미지(I)들을 대응하는 다수의 보호 케이스(C)들과 정렬시킬 수 있다.
이는 위치 결정 가이드(31)들이 그들의 안쪽 영역에 투입된 전사지(F)의 각 이미지(I)들이 다수의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20)에 탑재되어 있는 대응하는 보호 케이스(C)들과 정확히 정렬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이러한 전사지 정렬유닛(30)은 각 위치 결정 가이드(31)를 상방으로 바이어스 시키는 복수의 스프링(32)을 더 포함 할 수 있고, 위치 결정 가이드(31)와 스프링(32)은 다이유닛(10)의 상판(15) 하면에 리테이너(retaner:33)를 구비하여 상판(15)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한 히팅유닛(50)의 커버 부재(54)가 다이유닛(10)의 상판(15) 상부에 진공 공간을 형성할 때, 위치 결정 가이드(31)가 커버 부재(54)에 눌려 함께 하강함으로써 진공 공간 형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사지 고정유닛(40)은 다이유닛(10)의 상판(15)에 형성되는 다수의 흡기구멍(41)과, 이들 흡기구멍(41)과 연결되어 전사지(F)를 흡착하는 진공펌프(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흡기구멍(41)은 상판(15)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고, 작동슬롯(16)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매트릭스 상의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진공펌프(42)는 흡입측이 흡입관(43)을 통해 다이유닛(10)의 캐비티(11)에 연결됨으로써 상판(15)에 형성된 다수의 흡기구멍(41)들과 동시에 연통할 수 있다. 흡입관(43)은 진공펌프(42)의 흡입측에 직접 연결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의 흡기구멍(24)을 진공펌프(42)와 연결하는 흡기관(25)에 연결되어 밸브(44)에 의해 흡입력의 작용 개시 시기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의 상단부에 보호 케이스(C)가 탑재되고 난 다음 그 위에 전사지(F)가 투입되는 바, 진공펌프(42)에 의한 흡입력이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의 흡기구멍(24)에 먼저 작용한 뒤에 다이유닛(10)의 흡기구멍(16)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미지(I)의 전사가 완료되고 난 후에는 진공펌프(42)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다이유닛(10) 상판(15)에 구비된 흡기구멍(16) 및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21)에 구비된 흡기구멍(24) 모두에 작용하는 흡입력을 동시에 해제시켜도 무방하다.
히팅유닛(50)은 다이유닛(10)의 상판(15)과 다수의 보호 케이스(C) 위에 재치된 전사지(F)를 가열하는 히터 플레이트(51)와, 이 히터 플레이트(51)를 다이유닛(10)의 상부에서 승강시키는 제2 액츄에이터(52)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 플레이트(51)는 적어도 다이유닛(10)에 탑재된 다수의 보호 케이스(C)들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판상으로 구성되고, 예컨대 열선 등의 발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하여 임의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52)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상측에 복수의 포스트(4)로 연결된 탑 플레이트(3)에 수직으로 장착될 수 있고, 그 작동로드(53)의 선단이 히터 플레이트(51)에 고정됨으로써 히터 플레이트(51)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 제2 액츄에이터(52)는 임의의 스트로크로 왕복 작동하는 에어 실린더 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히팅유닛(50)은 전사지(F)를 가열하는 때, 전사지(F)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히터 플레이트(51)의 둘레를 감싸줌으로써 다이유닛(10)의 상판(15) 상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커버 부재(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54)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그 내면에 단열재(55)를 개재하여 히터 플레이트(51)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부재(54)는 전사 작업 시 다이유닛(10)의 상판(15) 상부에 일정한 진공 공간(56)을 형성해 줌으로써 전사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10: 다이유닛 11: 캐비티
12: 바디 15: 상판
16: 작동슬롯 17: 안착턱
18: 요철 18a: 오목부
20: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 21: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
22: 제1 액츄에이터 24: 흡기구멍
25: 흡기관 30: 전사지 정렬유닛
31: 위치 결정 가이드 32: 스프링
40: 전사지 고정유닛 41: 흡기구멍
42: 진공펌프 43: 흡입관
44: 밸브 50: 히팅유닛
51: 히터 플레이트 52: 제2 액츄에이터
54: 커버 부재 56: 진공 공간
F: 전사지 I: 이미지
C: 보호 케이스

Claims (15)

  1. 다수의 작동슬롯을 매트릭스 상으로 구비하는 다이유닛;
    상기 다이유닛의 각 작동슬롯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하고, 각각 전사 대상물을 탑재하여 상기 전사 대상물의 전사면을 상기 다이유닛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다수의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
    다수의 이미지가 매트릭스 상으로 인쇄되어 있는 전사지의 각 이미지들이 상기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에 탑재된 다수의 전사 대상물에 각각 대응하도록 전사지를 세팅하는 전사지 정렬유닛;
    상기 전사지를 상기 각 전사 대상물의 전사면들과 다이유닛의 상면에 균일하게 접촉시켜 고정하는 전사지 고정유닛; 및
    발열수단을 내장하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는 히터 플레이트 및 상기 히터 플레이트를 간격을 두고 감싸주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승강하며, 상기 다이유닛과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 상에 고정된 상기 전사지를 가열하는 히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지 정렬유닛은,
    상기 다수의 전사 대상물 승강수단들을 에워싸도록 상기 다이유닛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사지의 둘레를 접촉 지지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 가이드이고,
    상기 각 위치 결정 가이드는 상방으로 바이어스 되어 상기 히팅유닛의 하강 시 상기 커버 부재의 하면에 접촉하여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사지 고정유닛은,
    상기 다이유닛에 형성되는 다수의 흡기구멍과, 상기 각 흡기구멍의 하단에 연결되는 진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이유닛의 상부 표면에 요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이유닛은,
    상기 흡기구멍들과 각각 연통하고, 상기 진공수단의 흡입측과 연결되는 캐비티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각 작동슬롯과 흡기구멍을 상판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전사 대상물 승강유닛은,
    상기 다이유닛의 작동슬롯에 장착되고, 상단부가 상기 다이유닛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전사 대상물을 지지하는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
    상기 다이유닛의 캐비티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흡기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흡기구멍은 상기 진공수단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이유닛의 상판에 구비되는 흡기구멍은 밸브를 통해 상기 진공수단의 흡기측에 연결되어 흡입력의 작용 개시 시기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사 대상물이 휴대폰 보호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다이유닛의 각 작동슬롯 내면 상부에 상기 보호 케이스의 스커트부가 끼워지는 단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14. (a) 다수의 전사 대상물 지지부재들을 다이의 상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각 지지부재 상에 전사 대상물을 로딩시키는 단계;
    (b) 상기 전사 대상물이 로딩된 각 지지부재들을 하강시켜서 상기 전사 대상물의 전사면을 상기 다이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c) 다수의 이미지가 기설정된 형태로 인쇄되어 있는 전사지를 상기 다이 상에 공급하고, 상기 전사지에 인쇄된 다수의 이미지들을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 상에 로딩되어 있는 전사 대상물들과 각각 대응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
    (d) 상기 전사지를 흡착하여 상기 다이 상에 균일하게 고정시키는 단계; 및
    (e) 발열수단을 내장하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는 히터 플레이트 및 상기 히터 플레이트를 간격을 두고 감싸주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승강하는 히팅유닛에 의해 상기 다이 상에 고정된 전사지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다이에 상기 각 전사 대상물들을 에워싸도록 다수의 위치 결정 가이드를 임의의 간격으로 돌출되게 구비하여, 상기 전사지를 상기 각 위치 결정 가이드 안쪽에 공급하는 것으로 자동 정렬시키되,
    상기 각 위치 결정 가이드는 상방으로 바이어스 되어 상기 히팅유닛의 하강 시 상기 커버 부재의 하면에 접촉하여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방법.
  15. 삭제
KR1020210113190A 2021-08-26 2021-08-26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및 방법 KR102402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190A KR102402964B1 (ko) 2021-08-26 2021-08-26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190A KR102402964B1 (ko) 2021-08-26 2021-08-26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964B1 true KR102402964B1 (ko) 2022-05-30
KR102402964B9 KR102402964B9 (ko) 2023-04-12

Family

ID=8180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190A KR102402964B1 (ko) 2021-08-26 2021-08-26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96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640A (ko) * 2007-09-10 2009-03-13 (주)뷰팅크 3차원 곡면의 열승화 전사 인쇄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6856A (ko) * 2009-04-23 2010-11-02 주식회사 프리즘테크놀로지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장치
KR20130006957U (ko) 2012-05-24 2013-12-04 (주) 케이에듀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승화전사 방식으로 프린팅을 하는 열전사 장치
KR20160069108A (ko) *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피앤큐텍 휴대폰케이스 제조용 지그장치
KR101833846B1 (ko) 2016-11-07 2018-03-02 박자영 승화 전사 장치 및 시스템
KR200489382Y1 (ko) * 2019-01-22 2019-09-30 바이인터내셔널주식회사 열전사 장치
KR102278070B1 (ko) * 2020-11-13 2021-07-15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특수 기능성 폴리머 압출 이미징 정렬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640A (ko) * 2007-09-10 2009-03-13 (주)뷰팅크 3차원 곡면의 열승화 전사 인쇄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6856A (ko) * 2009-04-23 2010-11-02 주식회사 프리즘테크놀로지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장치
KR20130006957U (ko) 2012-05-24 2013-12-04 (주) 케이에듀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승화전사 방식으로 프린팅을 하는 열전사 장치
KR20160069108A (ko) *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피앤큐텍 휴대폰케이스 제조용 지그장치
KR101833846B1 (ko) 2016-11-07 2018-03-02 박자영 승화 전사 장치 및 시스템
KR200489382Y1 (ko) * 2019-01-22 2019-09-30 바이인터내셔널주식회사 열전사 장치
KR102278070B1 (ko) * 2020-11-13 2021-07-15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특수 기능성 폴리머 압출 이미징 정렬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964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1049B1 (ja) 熱板加熱による熱成形装置および熱成形方法
US7004747B2 (en) Molding die and molding method
KR100918029B1 (ko) 필름 포밍장치 및 방법
KR19980702424A (ko) 보드용 지지픽스처
KR101189752B1 (ko) 패드 인쇄장치
KR200489382Y1 (ko) 열전사 장치
CN105936124A (zh) 压印装置
KR102402964B1 (ko) 고분자 나노 복합시트 전사 이미지 정렬장치 및 방법
EP2158092B1 (en) Thermal transfer printing
JP4513960B2 (ja) スリットコート式塗布装置及びスリットコート式塗布方法
US3783073A (en) Method for transferring indicia to fabrics
KR101072265B1 (ko) 입체 형상 전자제품 케이스의 전사장치
KR20080031277A (ko) 스크린 인쇄장치 및 스크린 인쇄방법
JP2008155557A (ja)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KR101673222B1 (ko) 패드 인쇄장치
EP0252610A1 (en) Printing on non-flat surfaces, particularly computer keys
JP2017206780A (ja) 熱転写装置
KR101280247B1 (ko) 3차원 곡면의 열전사 인쇄장치
JP3017490B1 (ja) 樹脂モ―ルド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モ―ルド金型
TWI478806B (zh) 熱壓裝置
JP2020168820A (ja) 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方法
JP3074096B2 (ja) プリント基板支持装置
JP2004102106A (ja) 光拡散板の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プレス成形方法
KR101813896B1 (ko) 임프린트 장치
KR101338308B1 (ko) 패턴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