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440B1 -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440B1
KR102402440B1 KR1020200128838A KR20200128838A KR102402440B1 KR 102402440 B1 KR102402440 B1 KR 102402440B1 KR 1020200128838 A KR1020200128838 A KR 1020200128838A KR 20200128838 A KR20200128838 A KR 20200128838A KR 102402440 B1 KR102402440 B1 KR 10240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ssembly
jig
fastening
horizont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5789A (ko
Inventor
김태건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4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평부;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고정부; 및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통신 장비 등과 같은 장비에 케이블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Device for combining of calbe assembly and method for combining of cable assembly}
본 발명은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비에 케이블 조립체를 쉽게 체결시킬 수 있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장비, 전자 장비, 기계 장비 등과 같은 장비는 케이블 조립체를 통해 전원 및 신호를 전달받는다. 케이블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다발과, 케이블 다발의 단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내부핀이 형성되는 커넥터(Connetor)와, 커넥터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클램프(Clamp)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비에는 클램프를 통해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인 리셉터클(Receptacle)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장비의 성능이 높아짐에 따라 장비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고, 커넥터 내부에 형성되는 핀의 개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체결할 때 커넥터와 리셉터클 간의 수평을 더욱 정밀하게 맞춰야할 필요가 있다. 이때, 리셉터클에 체결되는 쪽에서 케이블 조립체가 수평을 이루어야 커넥터가 리셉터클과 정확하게 수평을 이룰 수 있다. 그런데 케이블 조립체를 장비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커넥터와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이 하중에 의해 아래로 쳐지게 되고, 이로 인해 커넥터와 리셉터클 간의 수평을 유지하기 어려워지게 된다. 게다가 케이블 조립체를 장비에 체결할 때, 작업자가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접촉시킨 후 클램프를 회전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커넥터와 리셉터클 간의 수평이 해제되어 커넥터에 형성된 핀이 손상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장비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조립체에서 커넥터를 분리하여 새로운 커넥터로 교체해야 한다. 그런데 케이블 조립체의 커넥터를 교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핀의 개수가 많을수록 커넥터의 가격이 높아 교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KR 10-0601135 B
본 발명은 장비에 케이블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는, 장비에 케이블 조립체를 체결하기 위한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로서,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평부;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고정부; 및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다발 및 상기 케이블 다발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는, 장비에 케이블 조립체를 체결하기 위한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로서,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부; 및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다발 및 상기 케이블 다발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 다발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수평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몸체는 상기 케이블 조립체에 체결 가능하도록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작동 몸체; 상기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접촉 부재; 및 상기 작동 몸체와 상기 제1접촉 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접촉 부재를 가압하도록 일부가 상기 작동 몸체와 상기 제1접촉 부재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가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몸체는 상기 제1가압 부재와 접촉 가능한 제1가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 돌기는 상기 작동 몸체의 내면에 상기 작동 몸체의 둘레 방향으로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 돌기는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가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 부재는 변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 부재는 일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 부재는, 상기 작동 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제1접촉 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가압 몸체; 상기 제1접촉 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가압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 몸체에는 상기 제1이동체의 일부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체는, 상기 제1삽입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부; 상기 작동 몸체와 상기 제1접촉 부재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제1가압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1가압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 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삽입홈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 몸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작동 몸체의 외면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고정 몸체; 상기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접촉 부재;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제2접촉 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접촉 부재를 가압하도록 일부가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제2접촉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압 부재; 및 상기 고정 몸체의 외면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제2가압 부재와 접촉 가능한 제2가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압 돌기는 상기 고정 몸체의 내면에 상기 고정 몸체의 둘레 방향으로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 돌기는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가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 부재는 변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 부재는,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제2접촉 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2가압 몸체; 상기 제2접촉 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2가압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수평 몸체; 상기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접촉 부재;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제2접촉 부재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2접촉 부재를 가압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압 부재; 및 상기 수평 몸체의 외면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부에 적어도 상기 수평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대; 및 상기 안착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대에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은,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치구가 일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 조립체를 둘레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상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과정; 치구의 일부를 회전시켜 케이블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제1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치구의 일부를 회전시켜 케이블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위치와 이격되는 제2위치에 접촉시켜, 상기 케이블 조립체와 상기 치구를 나란하게 배치시키는 과정; 상기 케이블 조립체와 상기 치구를 장비의 연결부에 배치하는 과정; 및 상기 연결부와 케이블 조립체를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다발과, 상기 케이블 다발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치구를 마련하는 과정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몸체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길이 이상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치구가 상기 케이블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 다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2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은, 상기 치구를 회전시켜 치구의 일부를 케이블 조립체 쪽으로 이동시켜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2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중 하나는, 치구를 상기 클램프에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치구를 상기 케이블 다발에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비의 연결부에 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치구와 상기 케이블 조립체를 상기 연결부와 나란하게 배치하는 과정; 및 상기 치구와 상기 케이블 조립체를 상기 연결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키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하는 과정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중 상기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 접촉한 치구의 일부만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2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방향으로 치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 상기 케이블 조립체가 결합되면, 상기 케이블 조립체에서 상기 치구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제1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2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과 반대 방향으로 치구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신 장비 등과 같은 장비에 케이블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즉, 케이블 조립체의 커넥터를 장비의 리셉터클에 체결할 때, 케이블 조립체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조립체의 커넥터와 리셉터클이 수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클램프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커넥터와 리셉터클 간에 수평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커넥터와 리셉터클을 보다 정확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에 커넥터에 형성되는 핀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커넥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케이블 조립체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구성하는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수평부와 작동부 및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이용하여 장비의 리셉터클에 케이블 조립체를 체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체결용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이용하여 장비의 리셉터클에 케이블 조립체를 체결하는 일부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케이블 조립체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는, 케이블 조립체(20)의 커넥터(24)를 통신 장비 등과 같은 장비(10)에 커넥터(24)를 체결 또는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된 연결부인 리셉터클(12)에 연결 또는 체결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때, 케이블 조립체(20)는 케이블 다발(22)과, 케이블 다발(22)의 단부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핀(27)이 형성되는 커넥터(24)와, 커넥터(24)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클램프(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케이블 다발(22)은 복수의 케이블을 피복하여 형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커넥터(24)는 복수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복수의 핀(27)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블 다발(22)은 100개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핀(27)은 케이블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고, 케이블의 갯수보다 많은 150개로 형성되거나 케이블 갯수보다 적은 50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클램프(26)는 커넥터(24)를 장비(10)의 리셉터클(12)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을 통해 내부에 리셉터클(12)과 나사결합함으로써 리셉터클(12)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는, 케이블 조립체(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평부(110)와, 케이블 조립체(20)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수평부(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부(130) 및 케이블 조립체(20)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수평부(1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작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에서 케이블 조립체(20)가 연장되는 방향은 길이 방향이라 하고,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은 직경 방향 또는 폭 방향이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수평부의 내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수평부의 내부를 폐쇄한 상태, 예컨대 케이블 조립체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수평부(110)는 케이블 조립체(20)의 외측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케이블 조립체(20)의 일부, 예컨대 커넥터(24)와 케이블 다발(22)이 수평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수평부(110)는 케이블 조립체(2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수평 몸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몸체(112)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양쪽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몸체(112)는 적어도 케이블 조립체(20)를 구성하는 커넥터(24)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일방향, 예컨대 케이블 조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몸체(112)는 케이블 조립체(20)에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2개의 수평 몸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몸체(112)는 적어도 케이블 다발(22)보다는 강도가 높은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 조립체(20), 예컨대 케이블 다발(22)이 자중에 의해 쳐지지 않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수평 몸체(112)는 제1수평 몸체(112a)와 제2수평 몸체(112b)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몸체(112)는 직경 방향으로 절단된 제1수평 몸체(112a) 및 제2수평 몸체(112b)와, 제1수평 몸체(112a)와 제2수평 몸체(112b)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1연결 부재(114) 및 제1수평 몸체(112a)와 제2수평 몸체(112b)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평 몸체(112a)와 제2수평 몸체(112b) 각각은 단면이 반원 모양으로 된 반원홈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평 몸체(112a)와 제2수평 몸체(112b)는 제1연결 부재(114)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그 사이에 케이블 조립체(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 부재(114)는 제1수평 몸체(112a)와 제2수평 몸체(112b)의 폭 방향으로 일측에 적어도 일부가 서로 맞물려지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제1수평 몸체(112a)와 제2수평 몸체(112b)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수평 몸체(112a)와 제2수평 몸체(112b)의 폭 방향으로 타측에는 제1고정부재(116)가 형성되어, 제1수평 몸체(112a)와 제2수평 몸체(112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고정부재(116)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16a)와 걸쇠(116b)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1수평 몸체(112a)와 제2수평 몸체(112b)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몸체(112)의 양단부에는 고정부(130)와 작동부(120)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제1체결 돌기(113a, 113b)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작동부(120)와 고정부(130)에는 제1체결 돌기(113a, 113b)와 각각 맞물려지도록 연결될 수 있는 제2체결 돌기(125)와 제3체결 돌기(13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110), 예컨대 수평 몸체(112)의 양쪽에는 작동부(120)와 고정부(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120)와 고정부(130)는 설치 위치가 다를 뿐,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작동부(12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며, 필요에 따라 고정부(130)의 구조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구성하는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작동부(120)는 클램프(26)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수평부(110)에 연결되고, 케이블 조립체(20)의 클램프(26)를 둘러싸도록 회전시켜 커넥터(24)를 리셉터클(12)에 체결시키거나, 리셉터클(12)에 체결된 커넥터(24)를 분리시킬 수 있다. 작동부(120)는 클램프(26)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한 제1접촉 부재(128)와, 케이블 조립체(20)의 일부, 즉 클램프(26)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작동 몸체(122)와, 제1접촉 부재(128)와 작동 몸체(122) 사이에 회전 가능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일부가 제1접촉 부재(128)와 작동 몸체(12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1가압 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120)는 작동 몸체(122)의 외면에 연결되는 제1레버(129)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몸체(122)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양쪽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 몸체(122)는 적어도 클램프(26)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작동 몸체(122)의 길이는 수평 몸체(1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작동 몸체(122)는 케이블 조립체(20)에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분할된 2개의 작동 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몸체(122)는 제1작동 몸체(122a)와 제2작동 몸체(122b)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작동 몸체(122)는 직경 방향으로 절단된 제1작동 몸체(122a) 및 제2작동 몸체(122b)와, 제1작동 몸체(122a)와 제2작동 몸체(122b)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2연결 부재(124) 및 제1작동 몸체(122a)와 제2작동 몸체(122b)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작동 몸체(122a)와 제2작동 몸체(122b) 각각은 단면이 반원 모양으로 된 반원홈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126)는 돌기(126a)와 걸쇠(126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몸체(122)는 도 4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반원홈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1작동 몸체(122a)와 제2작동 몸체(122b)가 제2연결 부재(12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2고정부재(126)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작동 몸체(122)는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작동 몸체(122)는 수평 몸체(11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 몸체(122)에는 제1가압 부재(124)의 일부와 접촉 가능한 제1가압 돌기(12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압 돌기(123a)는 작동 몸체(122)의 내면의 일부에 작동 몸체(122)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압 돌기(123a)는 작동 몸체(122)의 내주면에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압 돌기(123a)는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될 수도 있고, 특정 위치, 예컨대 제1가압 부재(124)에 형성되는 제1이동체(1243)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압 돌기(123a)는 작동 몸체(122)를 회전시켰을 때 제1가압 부재(124)의 제1이동체(1243)를 작동 몸체(122)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압 부재(124)는 작동 몸체(122)의 내면에 작동 몸체(122)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작동 몸체(122)의 반경 방향으로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압 돌기(123a)는 작동 몸체(122)를 회전시켰을 때 제1이동체(1243)를 작동 몸체(122)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 몸체(122)의 둘레 방향으로, 즉 제1가압 돌기(123a)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 또는 높이가 변화하도록 또는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압 돌기(123a)는 작동 몸체(122)의 내면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작동 몸체(122)의 둘레 방향으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작동 몸체(122)에는 제1가압 부재(124)를 작동 몸체(122) 내부의 정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제1가이드 돌기(123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돌기(123b)는 제1가압 돌기(123a)와의 사이에 제1가압 부재(124)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가압 부재(124)는 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가압 몸체(1241)와, 제1가압 몸체(1241)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이동체(1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 돌기(123b)는 제1가압 부재(124)와의 사이에 제1가압 몸체(1241)가 삽입될 수 있고, 제1가압 몸체(1241)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1가압 부재(124)는 제1접촉 부재(128)를 가압할 수 있도록 작동 몸체(122)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가압 부재(124)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가압 몸체(1241)와, 제1가압 몸체(1241)의 일면에 작동 몸체(122)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이동체(1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압 몸체(1241)는 작동 몸체(1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케이블 조립체(20)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중심부가 개방된 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압 몸체(1241)는 케이블 조립체(20)에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압 몸체(1241)는 직경 방향으로 2개로 분할되어, 2개의 분할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분할된 몸체는 연결핀(미도시)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분할된 2개의 몸체는 분할된 상태로 작동 몸체(122)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가압 몸체(1241)에는 제1이동체(1243)를 설치하기 위한 제1삽입홈(124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삽입홈(1241a)은 제1가압 몸체(1241)의 일면에 작동 몸체(122)의 반경 방향 또는 제1가압 몸체(124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체(1243)는 제1삽입홈(1241a)이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제1지지부(1243a)와, 제1가압 몸체(1241)의 반경 방향 또는 작동 몸체(12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가압부(1243a)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지지부(1243a)와 제1가압부(1243a)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24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압부(1243a)는 제1가압 몸체(1241)의 반경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압부(1243a)는 클램프(26)를 회전시키는 경우, 작동 몸체(122)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기 이전까지 제1가압부(1243a)가 제1접촉 부재(128)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가압부(1243a)로 제1접촉 부재(128)를 가압하여 클램프(26)에 접촉 또는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동 몸체(122)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클램프(26)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제1이동체(1243)는 제1삽입홈(1241a)에 삽입되어, 작동 몸체(122)가 회전하면, 작동 몸체(122)의 내면에 형성된 제1가압 돌기(123a)와 접촉하여 작동 몸체(122)의 반경 방향 또는 제1가압 몸체(124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제1이동체(1243)를 이용하여 제1접촉 부재(128)를 가압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제1이동체(1243)를 이용하여 제1접촉 부재(128)를 가압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로서, 작동부(120)의 측면 및 단면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이동체(1243)는 제1가압 돌기(123a)와 이격된 상태 또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26)를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 몸체(122)를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 돌기(123a)가 제1가압부(1243a)에 접촉하면서 제1가압부(1243a)를 밀어 작동 몸체(122)의 내측 또는 중심쪽으로 이동시켜 제1접촉 부재(128)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1이동체(1243)의 제1지지부(1243a)는 제1삽입홈(1241a)을 따라 케이블 조립체(20) 쪽, 예컨대 클램프(26)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1243a)와 연결되는 제1가압부(1243a)도 제1지지부(1243a)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접촉 부재(128)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 몸체(122)를 지속해서 회전시키면, 제1가압 돌기(123a)가 제1가압부(1243a)를 클램프(26) 쪽으로 더 밀려가면서 제1접촉 부재(128)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제1접촉 부재(128)는 제1가압부(1243a)에 의해 변형되면서 클램프(26)에 접촉 또는 밀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동 몸체(122)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제1접촉 부재(128)와 밀착되어 있는 클램프(26)가 작동 몸체(122)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제1가압 부재(124)는 제1이동체(1243)에 연결되는 제1탄성체(1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탄성체(1245)는 제1지지부(1243a)에 연결되어 제1삽입홈(1241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이동체(1243)와 제1가압 돌기(123a)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1이동체(1243)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1접촉 부재(128)는 케이블 조립체(2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촉 부재(128)는 외력, 즉 제1가압 부재(124)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 가능하며,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일부가 케이블 조립체(20)에 밀착될 수 있다. 제1접촉 부재(128)는 탄성을 가지는 물질, 예컨대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촉 부재(128)는 케이블 조립체(20)에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링형태, 예컨대 'C'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케이블 조립체(20)의 외측에서 커넥터(24)의 일부 및 케이블 다발(22)의 일부 또는 케이블 다발(22)의 일부만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작동부(120)를 이용하여 클램프(26)를 회전시키는 경우, 커넥터(24)와 케이블 다발(22)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파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0)는 수평부(110)에 연결되어 케이블 다발(22)을 지지함으로써 케이블 다발(22)의 일부, 예컨대 커넥터(24)에 연결되는 케이블 다발(22)의 일부가 커넥터(24)와 수평을 이룰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30)는 작동부(120)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케이블 조립체(20)의 일부, 즉 커넥터(24)와 케이블 다발(22)의 일부 또는 케이블 다발(22)의 일부와 접촉 가능한 제2접촉 부재(138)와, 케이블 조립체(20)의 일부 또는 제2접촉 부재(138)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몸체(132)와, 제2접촉 부재(138)와 고정 몸체(132) 사이에 회전 가능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일부가 제2접촉 부재(138)와 고정 몸체(13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가압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0)는 고정 몸체(132)의 외면에 연결되는 제2레버(139)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몸체(132)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양쪽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몸체(132)는 적어도 케이블 다발(2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몸체(132)의 길이는 수평 몸체(1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몸체(132)는 적어도 케이블 다발(22)보다는 강도가 높은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 조립체(20), 예컨대 케이블 다발(22)이 자중에 의해 쳐지지 않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고정 몸체(132)는 케이블 다발(22)이 커넥터(24)와 수평을 이루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30)의 구성 요소는 작동부(120)의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작용을 하며, 커넥터(24)와 케이블 다발(22) 또는 케이블 다발(22)에 접촉될 수 있다. 작동부(120)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고정부(130)의 구성 요소들은 "제2"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즉, 고정부(130)는 제2가압 돌기(133a) 및 제2가이드 돌기(133b)가 형성되는 고정 몸체(132)와, 제2접촉 부재(138) 및 제2가압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압 부재(134)는 제2가압 몸체(1341), 제2이동체(1343) 및 제2탄성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가압 몸체(1341)에는 제2이동체(1343)를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2삽입홈(134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이동체(1343)는 제2지지부(미도시), 제2연결부(미도시) 및 제2가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수평부와 작동부 및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수평부(110)에 작동부(120)와 고정부(130)를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케이블 조립체(20)에 수평부(110)를 설치하고, 수평부(110)의 양쪽에 작동부(120)와 고정부(130)를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의 (b)는 수평부(110)의 양쪽에 작동부(120)와 고정부(130)를 각각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경우, 작동부(120)에 형성된 제2체결 돌기(123)와 고정부(130)에 형성된 제3체결 돌기(133)가 수평부(110)의 양쪽에 형성된 제1체결 돌기(113a, 113b)에 각각 맞물려지게 된다. 이에 작동부(120)와 수평부(110), 그리고 고정부(130)와 수평부(110)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수평부(110)와 고정부(130)가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평부(110)와 고정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는, 케이블 조립체(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케이블 조립체(20)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부 및 케이블 조립체(20)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수평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부를 커넥터(24)와 케이블 다발(22)의 일부까지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하여 형성하고, 수평부의 내부 구조를 고정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부는 케이블 다발(22)과 접촉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작동부를 통해 클램프(26)를 회전시킬 때 케이블 다발(22)과 커넥터(24)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케이블 다발(22)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부는 수평 몸체와, 수평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2가압 부재 및 제2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는, 케이블 조립체(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평부(110)와, 수평부(1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회전에 의해 케이블 조립체(20)의 일부와 접촉 가능한 고정부(130)와, 수평부(1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케이블 조립체(20)의 일부와 접촉 가능한 작동부(120)및 수평부(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는 지지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140)는 상부에 수평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대(142)와, 안착대(142)를 지지하도록 안착대(142)에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지지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대(142)는 수평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부(110)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대(142)는 적어도 수평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부(110)와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 조립체(20)를 리셉터클(12)에 연결할 때, 수평부(110)는 물론, 수평부(110)와 연결되는 고정부(130) 및 작동부(120)를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수평부(11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안착대(142)는 수평부(110)와 접촉하는 상부면에 곡면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44)는 안착대(142), 예컨대 안착대(142)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44)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대(14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44)는 안착대(14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리셉터클(12)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안착대(142) 또는 수평부(110)의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높이 조절을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케이블 조립체를 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이용하여 장비의 리셉터클에 케이블 조립체를 체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은,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마련하는 과정과, 치구가 일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 조립체를 둘레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상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과정과, 치구의 일부를 회전시켜 케이블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제1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과, 치구의 일부를 회전시켜 케이블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제1위치와 이격되는 제2위치에 접촉시켜, 케이블 조립체와 치구를 나란하게 배치시키는 과정과, 케이블 조립체와 치구를 장비의 연결부에 배치하는 과정 및 연결부와 케이블 조립체를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방향이란 케이블 조립체(2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먼저, 케이블 조립체(20)를 장비의 연결부에 체결하기 위한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를 마련할 수 있다. 케이블 체결용 치구(100)를 마련하는 과정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2이상의 몸체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조립체(20)에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케이블 조립체(20)의 케이블 다발(22)에서 커넥터(24)에 연결된 쪽은 케이블 다발(22)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쳐져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 조립체(20)에서 커넥터(24)가 설치된 부분에 케이블 조립체(20)의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수평부(110)를 설치한 다음, 수평부(110)의 일측에 고정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30)는 제2접촉 부재(138), 제2가압 부재(134) 및 고정 몸체(132) 순으로 수평부(110)에 설치되거나, 제2접촉 부재(138), 고정 몸체(132) 및 제2가압 부재(134) 순으로 수평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후, 고정부(130)가 수평부(110)에 연결되면, 제2레버(139)를 이용하여 고정 몸체(1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고정 몸체(132)에 형성되는 제2가압 돌기(133a)가 제2가압 부재(134)의 제2이동체(1343)를 케이블 조립체(20), 예컨대 커넥터(24)와 케이블 다발(22) 또는 케이블 다발(22) 쪽으로 밀게 된다. 이에 제2이동체(1343)가 제2접촉 부재(138)를 가압하게 되고, 제2접촉 부재(138)는 제1위치, 예컨대 커넥터(24)와 케이블 다발(22) 또는 케이블 다발(22)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레버(139)를 이용하여 고정 몸체(132)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제2이동체(1343)가 제2접촉 부재(138)를 더욱 가압하게 되고, 제2접촉 부재(138)는 변형되면서 커넥터(24)와 케이블 다발(22) 또는 케이블 다발(22)에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120)를 수평부(110)의 타측에 연결할 수 있다. 작동부(120)는 케이블 조립체(20)의 클램프(26)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120)는 제1접촉 부재(128), 제1가압 부재(124) 및 작동 몸체(122) 순으로 수평부(110)에 설치되거나, 제1접촉 부재(128), 작동 몸체(122) 및 제1가압 부재(124) 순으로 수평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후, 작동부(120)가 수평부(110)에 연결되면, 제1레버(129)를 이용하여 작동 몸체(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작동 몸체(122)에 형성되는 제1가압 돌기(123a)가 제1가압 부재(124)의 제1이동체(1243)를 클램프(26) 쪽으로 밀게 된다. 이에 제1이동체(1243)가 제1접촉 부재(128)를 가압하게 되고, 제1접촉 부재(128)는 제1위치와 이격되는 제2위치, 예컨대 클램프(26)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레버(129)를 이용하여 작동 몸체(122)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제1이동체(1243)가 제1접촉 부재(128)를 더욱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제1접촉 부재(128)는 변형되면서 클램프(26)에 밀착하게 되고, 클램프(26)는 작동 몸체(12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 몸체(122)를 회전시킬 때, 작동 몸체(12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2레버(139) 또는 고정 몸체(132)를 잡아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조립체(20)에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를 설치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가 케이블 조립체(20)의 두 영역에서 접촉하여 케이블 조립체(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케이블 조립체(20), 즉 커넥터(24)와 케이블 다발(22)이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와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수평을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나란하다는 것은 치구(100)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블 다발(22)과 커넥터(24)가 굴곡 없이 평평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 조립체(20)를 리셉터클(12)에 접촉시키고, 제1레버(129)를 이용하여 작동 몸체(122)를 회전시키면, 작동부(120)의 제1접촉 부재(128)와 밀착되어 있는 클램프(26)가 회전하여 리셉터클(12)에 체결되면서, 리셉터클(12)에 케이블 조립체(20)의 커넥터(2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접촉 부재(128)를 클램프(26)에 접촉시킬 때와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 몸체(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10), 작동부(120) 및 고정부(130)에 각각 형성된 제1고정부재(116), 제2고정부재(126) 및 제3고정부재(136)를 이용하여, 케이블 조립체(20)에서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를 분리할 수 있다. 또는, 작동 몸체(122)와 고정 몸체(132)를 케이블 조립체(20)에 접촉시킬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케이블 조립체(20)에서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100)를 분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이용하여 장비의 리셉터클에 케이블 조립체를 체결하는 경우, 도 9의 (b)와 같이 수평부(110), 고정부(130) 및 작동부(120)가 설치된 케이블 조립체(20)를 지지부(140)의 안착대(142) 상부에 안착시킨 후 리셉터클(12)에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이용하여 장비의 리셉터클에 케이블 조립체를 체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장비(10)의 리셉터클(12) 전방에 지지부(14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10), 고정부(130) 및 작동부(120)가 설치된 케이블 조립체(20)를 지지부(140)의 안착대(142)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조립체(20)의 커넥터(24)와 리셉터클(12)이 수평을 형성하도록 지지대(14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조립체(20)가 리셉터클(12)이 형성된 위치 또는 높이에 배치되도록 지지대(14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10), 고정부(130) 및 작동부(120)를 케이블 조립체(20)에 연결하고, 케이블 조립체(20)의 클램프(26)를 리셉터클(12)에 체결시킴으로써 전자 장비의 리셉터클(12)에 케이블 조립체(20)의 커넥터(24)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케이블 조립체(20)의 커넥터(24)를 장비(10)의 리셉터클(12)에 연결하면, 커넥터(24)와 케이블 다발(22)의 수평은 물론, 커넥터(24)와 리셉터클(12) 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24) 내부에 형성되는 핀(27)의 손상을 억제하고, 커넥터(24)와 리셉터클(12) 간의 결합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장비 12: 리셉터클
100: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100: 수평부
112: 수평 몸체 120: 작동부
122: 작동 몸체 124: 제1가압 부재
128: 제1접촉 부재 130: 고정부
132: 고정 몸체 134: 제2가압 부재
138: 제2접촉 부재 140: 지지부

Claims (30)

  1. 장비에 케이블 조립체를 체결하기 위한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로서,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평부;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고정부; 및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는 작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수평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몸체는 상기 케이블 조립체에 체결 가능하도록 분할되어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다발 및 상기 케이블 다발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3. 장비에 케이블 조립체를 체결하기 위한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로서,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부; 및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작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수평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몸체는 상기 케이블 조립체에 체결 가능하도록 분할되어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다발 및 상기 케이블 다발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 다발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작동 몸체;
    상기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접촉 부재; 및
    상기 작동 몸체와 상기 제1접촉 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접촉 부재를 가압하도록 일부가 상기 작동 몸체와 상기 제1접촉 부재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몸체는 상기 제1가압 부재와 접촉 가능한 제1가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 돌기는 상기 작동 몸체의 내면에 상기 작동 몸체의 둘레 방향으로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 돌기는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가 변화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 부재는 변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 부재는 일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 부재는,
    상기 작동 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제1접촉 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가압 몸체;
    상기 제1접촉 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가압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 몸체에는 상기 제1이동체의 일부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체는,
    상기 제1삽입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부;
    상기 작동 몸체와 상기 제1접촉 부재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제1가압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1가압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 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삽입홈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 몸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작동 몸체의 외면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고정 몸체;
    상기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접촉 부재;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제2접촉 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접촉 부재를 가압하도록 일부가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제2접촉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압 부재; 및
    상기 고정 몸체의 외면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제2가압 부재와 접촉 가능한 제2가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압 돌기는 상기 고정 몸체의 내면에 상기 고정 몸체의 둘레 방향으로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 돌기는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가 변화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 부재는 변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 부재는,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제2접촉 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2가압 몸체;
    상기 제2접촉 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2가압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20. 장비에 케이블 조립체를 체결하기 위한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로서,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부; 및
    케이블 조립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작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수평 몸체;
    상기 케이블 조립체의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접촉 부재;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제2접촉 부재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2접촉 부재를 가압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압 부재; 및
    상기 수평 몸체의 외면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21.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부에 적어도 상기 수평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대; 및
    상기 안착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대에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23.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치구가 일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 조립체를 둘레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상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과정;
    치구의 일부를 회전시켜 케이블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제1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치구의 일부를 회전시켜 케이블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위치와 이격되는 제2위치에 접촉시켜, 상기 케이블 조립체와 상기 치구를 나란하게 배치시키는 과정;
    상기 케이블 조립체와 상기 치구를 장비의 연결부에 배치하는 과정; 및
    상기 연결부와 케이블 조립체를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다발과, 상기 케이블 다발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치구를 마련하는 과정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몸체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길이 이상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치구가 상기 케이블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 다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2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은,
    상기 치구를 회전시켜 치구의 일부를 케이블 조립체 쪽으로 이동시켜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27.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2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중 하나는, 치구를 상기 클램프에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치구를 상기 케이블 다발에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28.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장비의 연결부에 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치구와 상기 케이블 조립체를 상기 연결부와 나란하게 배치하는 과정; 및
    상기 치구와 상기 케이블 조립체를 상기 연결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키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29. 청구항 26 또는 27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는 과정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중 상기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 접촉한 치구의 일부만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2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방향으로 치구를 회전시키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30.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상기 케이블 조립체가 결합되면, 상기 케이블 조립체에서 상기 치구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제1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2위치에 접촉시키는 과정과 반대 방향으로 치구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KR1020200128838A 2020-10-06 2020-10-06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KR10240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838A KR102402440B1 (ko) 2020-10-06 2020-10-06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838A KR102402440B1 (ko) 2020-10-06 2020-10-06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789A KR20220045789A (ko) 2022-04-13
KR102402440B1 true KR102402440B1 (ko) 2022-05-26

Family

ID=8121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838A KR102402440B1 (ko) 2020-10-06 2020-10-06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3410A (ko) * 2022-07-22 2024-01-30 한국전력공사 다회선 케이블용 꼬임 방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5107A (ja) * 1999-09-09 2001-03-30 Nippon Antenna Co Ltd ロックコネクタおよびロックコネクタ用専用工具
JP2001351728A (ja) 2000-06-07 2001-12-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回転レバー付き丸型コネクタ
US20060035508A1 (en) 2004-08-11 2006-02-16 Albert Stekelenburg Protective device of extension cord
US20190074635A1 (en) 2017-04-25 2019-03-07 3-CI Partnership Lockout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cab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043U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디스플레이장치의 crt소켓 이탈방지장치
US6336822B1 (en) * 1999-01-26 2002-01-08 Veam S.R.L. Handle operated power connector
KR20030012514A (ko) * 2001-08-01 200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연결 조립체
KR100601135B1 (ko) 2005-12-29 2006-07-19 성 운 한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KR101578846B1 (ko) * 2014-03-17 2015-12-28 (주)원컨덕터 초고압 전력케이블 프리몰드 접속함의 프리몰드 유니트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5107A (ja) * 1999-09-09 2001-03-30 Nippon Antenna Co Ltd ロックコネクタおよびロックコネクタ用専用工具
JP2001351728A (ja) 2000-06-07 2001-12-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回転レバー付き丸型コネクタ
US20060035508A1 (en) 2004-08-11 2006-02-16 Albert Stekelenburg Protective device of extension cord
US20190074635A1 (en) 2017-04-25 2019-03-07 3-CI Partnership Lockout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cable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3410A (ko) * 2022-07-22 2024-01-30 한국전력공사 다회선 케이블용 꼬임 방지 장치
KR102672484B1 (ko) * 2022-07-22 2024-06-05 한국전력공사 다회선 케이블용 꼬임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789A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5603A1 (en) Floating connector
KR101156381B1 (ko) 축방향 압축 툴 및 그 사용 방법
KR102402440B1 (ko)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JP6041107B2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CN104467315A (zh) 插入方法和插入装置
CN101083886A (zh) 卡合装置
JP2013140059A (ja) プローブピン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525381B2 (ja) 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ヒンジコネクタ
US7074063B1 (en) Junction box assembly
KR102441347B1 (ko)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JP4245989B2 (ja) リング圧縮装置およびリング圧縮方法
CN105407816A (zh) 外科夹钳,尤其动脉瘤夹钳
JP4647686B2 (ja) 仮止め装置
US20030082930A1 (en) Vehicular power plug with adjustable length
CN112421534B (zh) 一种电力设备用可补偿电缆的伸缩量的紧固装置
KR20190085664A (ko) 절삭 휠 탈부착장치
CN112283543A (zh) 一种可拆装三脚架及其使用方法
JPS6226949Y2 (ko)
US6132235A (en) Connector lock mechanism
CN201348955Y (zh) 支撑结构、按键以及键盘
CN110926010A (zh) 空调器安装组件及空调器组件
KR20210036040A (ko)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KR100890548B1 (ko) 반도체 부품 접속장치
KR102611211B1 (ko) 범프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WO2015129113A1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