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135B1 -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135B1
KR100601135B1 KR1020050133511A KR20050133511A KR100601135B1 KR 100601135 B1 KR100601135 B1 KR 100601135B1 KR 1020050133511 A KR1020050133511 A KR 1020050133511A KR 20050133511 A KR20050133511 A KR 20050133511A KR 100601135 B1 KR100601135 B1 KR 100601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oosening
receptacle
circumferential surface
plu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 운 한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성 운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841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011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성 운 한 filed Critical 성 운 한
Priority to KR102005013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바디(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바디(110); 상기 플러그 바디(110)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리셉터클 바디(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나사 형태의 커플러(120);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 형성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치차열(A)이 후면에 형성되는 풀림방지턱(130);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과 커플러(120) 사이에 삽입되어 풀림방지턱(130)에 접하고, 상기 풀림방지턱(130)의 치차열(A)에 대응하는 치차열(B)이 전면에 형성되는 풀림방지 디스크(140); 풀림방지 디스크(140)를 풀림방지턱(130)에 탄력적으로 압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50); 상기 풀림방지 디스크(140)와 탄성부재(150)를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과 커플러(120)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플러그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플러그의 생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Plug structure of connector}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전기 접속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고정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플러그 110; 플러그 바디
112; 가이드 돌기 120; 커플러
122; 걸림턱 124; 체결홈
130; 풀림방지턱 140; 풀림방지 디스크
142; 체결돌기 150; 탄성부재
152, 162; 절개부 160; 고정부재
164; 오링부 170; 아답터
172; 부트부 174; 밴딩부
180, 220; 절연체 182; 접속핀
200; 리셉터클 210; 리셉터클 바디
222; 접속소켓
본 발명은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체결을 강화하여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하고, 플러그와 아답터를 일체로 형성하여 공정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 장치나 기차 등의 객차 간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전기 접속용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리셉터클(1)과, 플러그(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14)은 수나사 형태의 리셉터클 바디(3)와, 상기 리셉터클 바디(3)의 내부에 형성되는 절연체(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체(5)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다수의 접속홀(7)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1)과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플러그(2)는, 리셉터클 바디(3)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바디(4)와, 플러그 바디(4)의 내부에 형성되는 절연체(6)와, 상기 리셉터클 바디 (3)의 외부를 감싸게 되는 암나사 형태의 커플러(9)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러그의 절연체(6)에는 상기 접속홀(7)에 삽입되는 다수의 접속핀(8)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플러그(2)에 형성된 접속핀(8)이 리셉터클(1)에 형성된 접속홀(7)에 삽입됨으로써 리셉터클(1)과 플러그(2)에 연결된 양쪽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과 플러그(2)의 전기적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리셉터클(1)과 플러그(2)를 결합시킨 뒤 플러그(2)에 형성된 암나사 형태의 커플러(9)를 회전시켜서 수나사 형태의 리셉터클 바디(3)에 체결하여 리셉터클(1)과 플러그(2)의 결합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리셉터클(1)과 플러그(2)의 결합을 유지하므로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체결된 커플러(9)가 풀려버릴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9)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0)에 대응하는 플러그 바디(4)의 외주면에 톱니 형태의 치차열(4a)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10)가 치차열(4a)에 삽입되는 커넥터 연결 구조를 고안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리셉터클(1)과 플러그(2)의 결합을 유지시키기 위한 잠금 방향으로는 커플러(9)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치차열(4a)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0)에 의해 리셉터클(1)과 플러그(2)가 해체되는 풀림 방향으로 는 커플러(9)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리셉터클(1)과 플러그(2)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리셉터클(1)과 플러그(2)의 결합과 해체가 반복되면, 고정돌기(10)의 심각한 마모가 발생하여 결국 어느 순간에는 고정돌기(10)가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고정돌기의 마모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는, 수나사 형태의 리셉터클 바디와, 상기 리셉터클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리셉터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바디; 상기 플러그 바디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리셉터클 바디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나사 형태의 커플러; 플러그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 형성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치차열이 후면에 형성되는 풀림방지턱; 플러그 바디의 외주면과 커플러 사이에 삽입되어 풀림방지턱에 접하고, 상기 풀림방지턱의 치차열에 대응하는 치차열이 전면에 형성되는 풀림방지 디스크; 풀림방지 디스크를 풀림방지턱에 탄력 적으로 압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 상기 풀림방지 디스크와 탄성부재를 플러그 바디의 외주면과 커플러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구조는, 플러그 바디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고 양측 단부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부트부와, 플러그 바디의 끝단부에 결합되고 끝단부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밴딩부로 구성되는 아답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구조는, 상기 풀림방지 디스크와 커플러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풀림방지 디스크의 외주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체결돌기와; 커플러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구조의 탄성부재는, 웨이브 형태의 판스프링 또는 소정 두께의 고무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구조의 고정부재는,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압축되는 "C" 형태의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구조는, 상기 탄성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O" 형태의 오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합 전 상태와 결합 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신호 케이블의 연결을 통해 상호 전기 접속을 이루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상호 결합되는 리셉터클(200)과 플러그(1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200)은, 수나사 형태의 리셉터클 바디(210)와, 리셉터클 바디(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절연체(220), 그리고 상기 절연체(220)에 삽입되는 오목한 접속홀(2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00)는, 절연체(180)가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바디(110)와,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커플러(120),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의 결합을 유지시켜 주는 풀림방지턱(130)과 풀림방지 디스크(140), 상기 풀림방지턱(130)과 풀림방지 디스크(140)의 압착 및 고정을 위한 탄성부재(150)와 고정부재(160), 그리고 플러그 바디(110)의 후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플러그(100)와 케이블을 고정 연결시키는 아답터(17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플러그 바디(110)의 내부에는 절연체(180)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체(180)에는 접속소켓(222)에 삽입되는 접속핀(182)이 삽입된다. 그리고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플러그 바디(110)는 리셉터클 바디(210)의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플러그 바디(110)와 리셉터클 바디(210)가 결합할 때 접속핀(182)이 접속소켓(222)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플러그 바디(110)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112)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리셉터 클 바디(210)의 선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12)를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120)는 플러그 바디(110)의 선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양단이 개구된 원통 구조로 형성되고, 리셉터클 바디(2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 형태의 나사선이 형성된다. 또한 커플러(120)의 중심부 내주면에는 걸림턱(122)이 돌출 형성되고,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풀림방지턱(130)이 상기 커플러(120)의 걸림턱(122)에 걸리게 되어, 커플러(120)가 플러그 바디(110)의 선단부 외주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풀림방지턱(130)은,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후면에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치차열(A)이 형성되며, 풀림방지 디스크(140)와 대응하여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의 결합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풀림방지 디스크(140)는,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과 커플러(120) 사이에 삽입되어 풀림방지턱(130)에 접하고, 상기 풀림방지턱(130)과 접하는 전면에는 풀림방지턱(130)의 치차열(A)에 대응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치차열(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풀림방지 디스크(140)의 치차열(B)과 풀림방지턱(130)의 치차열(A)이 상호 맞물리면, 풀림방지 디스크(140)가 일측 방향으로는 원활하게 회전하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게 되고, 결국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풀림방지 디스크(140)가 커플러(1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풀림방지 디스크(140)의 외주면에는 볼록한 체결돌기(142)가 형성되고, 커플러(120)의 내주면는 상기 체결돌기(142)가 삽입되는 체결홈(124)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의 결합을 위해, 즉 커플러(120)의 내주면과 리셉터클 바디(210)의 외주면을 결합시키기 위해, 커플러(120)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플러(120)를 따라서 풀림방지 디스크(140)도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풀림방지 디스크(140)의 잠금 방향 회전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잠금 방향의 반대 방향, 즉 풀림 방향으로는 풀림방지 디스크(140)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으므로, 결국 외부의 진동 등이 커넥터에 가해지더라도 풀림방지 디스크(140)에 결합된 커플러(120)가 임의로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어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의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의 결합이 임의로 풀리지 않기 위해서는, 풀림방지 디스크(140)의 치차열(B)이 풀림방지턱(130)의 치차열(A)에 맞물려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풀림방지 디스크(140)가 풀림방지턱(130)에 압착되어야 한다. 이때 풀림방지 디스크(140)가 약하게 압착되면 각 치차열(A, B)이 서로 벌어질 염려가 있고, 또한 너무 강하게 압착되면 풀림방지 디스크(140)의 잠금 방향으로의 회전까지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150)가 풀림방지 디스크(140)를 풀림방지턱(130)에 탄력적으로 압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50)가 커플러(120)와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풀림방지 디스크(140)의 후면에 접한 상태에서, 풀림방지 디스크(140)를 탄력적으로 풀림방지턱(130)에 압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 (150)로는 웨이브 형태의 판스프링 또는 소정 두께의 고무링 등과 같이 소정 두께 범위 내에서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150)로 웨이브 형태의 판스프링이 사용될 경우, 탄성부재(150)가 커플러(120)와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50)의 일측에 절개부(152)가 형성되어 "C"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160)는, 풀림방지 디스크(140)와 탄성부재(150)를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과 커플러(120)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부재(150)의 후면에 접하면서 탄성부재(1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160)로는 일측에 절개부(162)가 형성되어 있어서 탄력적으로 압축되는 "C" 형태의 판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C"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60)를 압축한 후,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과 커플러(120) 사이에 삽입하여 탄성부재(150)를 압착시키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으로 인해 고정부재(16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과 커플러(120) 사이에서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150) 및 고정부재(160)가 각각 "C"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경우, 커넥터 체결을 위한 커플러(120)의 회전 중에 탄성부재(150)와 고정부재(160)가 서로 교차하여 엉키게 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150)와 고정부재(160) 사이에 "O" 형태의 오링부(164)를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오링부(164)는 플러그 바디 (110)의 외주면과 커플러(120)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부재(150)의 후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심선의 EMI를 차폐시키기 위한 편조를 플러그(100)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아답터(170)가 플러그 바디(110)의 후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답터(170)는 플러그 바디(110)의 후단부를 감싸는 부트부(172)와, 플러그 바디(110)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밴딩부(17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부트부(172)는, 플러그 바디(110)의 후단부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양단이 개구된 원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 단부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밴딩부(174)는, 플러그 바디(110)의 끝단부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선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끝단부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돌출된 부트부(172)의 끝단부와 밴딩부(174)의 끝단부 사이에는 편조를 고정시키기 위한 밴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돌출 형성된 부트부(172)의 양측 단부 사이에는 편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절연피복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절연피복은 부트부(172)의 외주면에서부터 편조의 끝부분까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트의 플러그를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절연체(180)가 내장된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에 커플러(120)를 결합시킨다. 이때 커플러(120)의 걸림턱(122)이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풀림방지턱(130)에 걸려서, 커플러(120)는 플러그 바디(110)의 선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풀림방지 디스크(140)를 커플러(120)와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삽입된 풀림방지 디스크(140)는 풀림방지턱(130)에 접하고, 풀림방지 디스크(140)의 치차열(B)은 풀림방지턱(130)의 치차열(A)과 서로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풀림방지 디스크(140)를 압착하기 위한 탄성부재(150)를 커플러(120)와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시킨다. 이어서, 압축된 고정부재(160)를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시켜서 풀림방지 디스크(140)와 탄성부재(150)를 고정시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60)의 삽입전에 오링부(164)를 먼저 커플러(120)와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아답터(170)의 전단부를 이루는 부트부(172)를 플러그 바디(110)의 후단에서부터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삽입시킨다. 이때 부트부(172)의 전단부가 커플러(120)의 후단부에 접할 수 있도록 억지끼움 방식으로 부트부(172)를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을 따라 압착시켜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아답터(170)의 후단부를 이루는 밴딩부(174)를 플러그 바디(110)의 끝단부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후, 플러그 바디(110) 내부의 절연체(180)에 접속핀(182)을 삽입시키고, 아답터(170)에 밴딩과 절연피복 과정을 거쳐서 커넥터의 플러그(100)를 완성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에 의하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치차열이 형성된 풀림방지 디스크로 인해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발생했던 고정돌기의 마모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아답터로 인해, 플러그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플러그와 아답터의 조립 과정을 생략하여 플러그의 생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삭제
  2. 수나사 형태의 리셉터클 바디(210)와, 상기 리셉터클 바디(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절연체(220)로 이루어지는 리셉터클(20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100)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바디(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바디(110);
    상기 플러그 바디(110)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리셉터클 바디(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나사 형태의 커플러(120);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 형성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치차열(A)이 후면에 형성되는 풀림방지턱(130);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과 커플러(120) 사이에 삽입되어 풀림방지턱(130)에 접하고, 상기 풀림방지턱(130)의 치차열(A)에 대응하는 치차열(B)이 전면에 형성되는 풀림방지 디스크(140);
    풀림방지 디스크(140)를 풀림방지턱(130)에 탄력적으로 압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50);
    상기 풀림방지 디스크(140)와 탄성부재(150)를 플러그 바디(110)의 외주면과 커플러(120)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60);
    플러그 바디(110)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고 양측 단부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부트부(172)와, 플러그 바디(110)의 끝단부에 결합되고 끝단부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밴딩부(174)로 구성되는 아답터(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50)는,
    웨이브 형태의 판스프링 또는 소정 두께의 고무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60)는,
    일측에 절개부(162)가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압축되는 "C" 형태의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50)와 고정부재(160) 사이에 위치하는 "O" 형태의 오링부(16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KR1020050133511A 2005-12-29 2005-12-29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KR100601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511A KR100601135B1 (ko) 2005-12-29 2005-12-29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511A KR100601135B1 (ko) 2005-12-29 2005-12-29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135B1 true KR100601135B1 (ko) 2006-07-19

Family

ID=3718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511A KR100601135B1 (ko) 2005-12-29 2005-12-29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1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943B1 (ko) * 2013-03-18 2014-06-02 주식회사 우진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리셉터클
KR20210157720A (ko) 2020-06-22 2021-12-2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KR20220045789A (ko) 2020-10-06 2022-04-13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CN114744440A (zh) * 2022-04-27 2022-07-1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防回退及自防松功能的卡口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7138A (en) 1995-08-11 1998-09-15 Guiol; Eric End housing for a plug-in connector
JP2001110514A (ja) 1999-09-08 2001-04-20 Amphenol Corp 電気コネクタ用の切離し防止装置
JP2003086295A (ja) 2001-09-12 2003-03-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緩み防止機構を有するねじ嵌合方式のコネクタ
KR20040072360A (ko) * 2003-02-12 2004-08-18 주식회사 대화연료펌프 연료펌프의 헤드부 연결 커넥터의 취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7138A (en) 1995-08-11 1998-09-15 Guiol; Eric End housing for a plug-in connector
JP2001110514A (ja) 1999-09-08 2001-04-20 Amphenol Corp 電気コネクタ用の切離し防止装置
JP2003086295A (ja) 2001-09-12 2003-03-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緩み防止機構を有するねじ嵌合方式のコネクタ
KR20040072360A (ko) * 2003-02-12 2004-08-18 주식회사 대화연료펌프 연료펌프의 헤드부 연결 커넥터의 취부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943B1 (ko) * 2013-03-18 2014-06-02 주식회사 우진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리셉터클
KR20210157720A (ko) 2020-06-22 2021-12-2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KR20220045789A (ko) 2020-10-06 2022-04-13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CN114744440A (zh) * 2022-04-27 2022-07-1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防回退及自防松功能的卡口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9375B2 (en) Connector for a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US4560219A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6361348B1 (en) Right angle, snap o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CA1066789A (en) Plug and socket connector assembly with diaphragm sealed contact pins
US4460230A (en) Connector hood constructions
WO2013171981A1 (en) Waterproof connector
DE102017213866A1 (de) Verbinder
KR100601135B1 (ko)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플러그 구조
JPH0131274B2 (ko)
EP2755283B1 (en) User Configurable Connector
DE112011100247T5 (de) Verbinder vom Hebeltyp
JPH04306573A (ja) 二重ロック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CA2352541A1 (en) Electrical plug housing
US4768970A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assembly for sealed electrical connection
KR101068316B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JP2002008769A (ja) コネクタ
JP5649753B1 (ja) モジュラープラグ内蔵プラグ組立体及びモジュラーコネクタ内蔵コネクタ組立体
EP0788196A2 (en) Plug socket
EP1703595B1 (en) Electric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 plug connector
JP4823844B2 (ja) ソケット端子
JPH11224728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TW202345472A (zh) 連接器插頭和連接器
EP2243199A2 (en) Connector cover
CN109841996B (zh) 屏蔽的圆形插拔连接器
WO2013054551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219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816

Effective date: 201301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816

Effective date: 20130131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