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115B1 - 커넥터용 트레이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트레이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115B1
KR102402115B1 KR1020200045062A KR20200045062A KR102402115B1 KR 102402115 B1 KR102402115 B1 KR 102402115B1 KR 1020200045062 A KR1020200045062 A KR 1020200045062A KR 20200045062 A KR20200045062 A KR 20200045062A KR 102402115 B1 KR102402115 B1 KR 10240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main body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162A (ko
Inventor
토모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2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being of the push-push ki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7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using a heart-shaped c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04B1/3818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insertion or removal of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본체에서 접속 대상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커넥터용 트레이 및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접속 대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삽입 방향을 향해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커넥터용 트레이로서, 접속 대상물을 수용하는 트레이 본체(11)와, 삽입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트레이 본체(11)에 접속되는 트레이 외장부(12)와, 트레이 본체(11)와 트레이 외장부(12)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고, 또한, 트레이 외장부(12)를 삽입 방향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11)에서 멀어진 위치인 제 1 위치와 트레이 본체에 근접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푸시 푸시 기구(P)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용 트레이 및 커넥터{CONNECTOR TRAY AND CONNECTOR}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커넥터용 트레이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의 카드 형상의 접속 대상물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접속 대상물용의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커넥터가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는 카드 홀더(1)와, 카드 홀더(1)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카드 홀더(1)에 유지된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커넥터 본체(2)를 갖고 있다. 커넥터 본체(2)는 카드 홀더(1)가 커넥터 본체(2)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 방향에 대해 카드 홀더(1)와 병렬로 배치된 소위 푸시 푸시 기구(3)를 내장하고 있다. 푸시 푸시 기구(3)는 카드 홀더(1)가 커넥터 본체(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의 손가락(4) 등에 의해 카드 홀더(1)가 커넥터 본체(2)에 더욱 압입되는 것에 의해, 카드 홀더(1)를 커넥터 본체(2)로부터 압출한다. 또한, 커넥터 본체(2)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의 하우징(5)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카드 홀더(1)는 푸시 푸시 기구(3)에 의해 압출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5)의 외부로 배출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5-11954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 있어서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카드 홀더(1)와 커넥터 본체(2) 사이의 접촉력이 푸시 푸시 기구(3)가 카드 홀더(1)를 압출하는 힘을 넘으면, 카드 홀더(1)가 하우징(5)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홀더(1)에는 오목부(6)가 형성되어 있고, 카드 홀더(1)가 하우징(5)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핀 형상의 툴을 오목부(6)에 걸고, 핀형상의 툴에 의해, 카드 홀더(1)를 커넥터 본체(2)에서 강제적으로 인발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커넥터 본체에서 접속 대상물을 원활하게 꺼낼 수 있는 커넥터용 트레이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트레이는 접속 대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삽입 방향을 향해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커넥터용 트레이로서, 접속 대상물을 수용하는 트레이 본체와, 삽입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트레이 본체에 접속되는 트레이 외장부와, 트레이 본체와 트레이 외장부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고, 또한, 트레이 외장부를 삽입 방향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로부터 먼 위치인 제 1 위치와 트레이 본체에 근접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푸시 푸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푸시 푸시 기구는 트레이 외장부를 트레이 본체에 대해 변위시키기 때문에, 트레이 본체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경우에도, 트레이 본체와 커넥터 본체 사이의 접촉력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트레이 외장부를 변위시킬 수 있다.
푸시 푸시 기구는 트레이 외장부에 접속된 캠 기구와, 삽입 방향에 있어서 캠 기구와 병렬로 배치되고 또한 트레이 본체에 대해 트레이 외장부를 삽입 방향으로 압출하는 압출 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 기구와 압출 기구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커넥터용 트레이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압출 기구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캠 기구의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스프링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스프링에 의해서 트레이 외장부의 2점을 누르는 것에 의해, 밸런스 좋게 압출할 수 있다.
캠 기구는 트레이 본체에 형성된 캠 홈과, 캠 홈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또한 타단부가 트레이 외장부에 연결된 캠 폴로어를 갖고, 캠 폴로어의 타단부는 트레이 외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캠 폴로어의 일단부는 캠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트레이 본체는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트레이 외장부는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피 가이드부를 갖고, 트레이 외장부가 트레이 본체에 대해 삽입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 피 가이드부가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또, 트레이 본체는 카드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상기의 커넥터용 트레이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대상물을 수용하는 트레이 본체와, 삽입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트레이 본체에 접속되는 트레이 외장부와, 트레이 본체와 트레이 외장부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고, 트레이 외장부를 삽입 방향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에서 먼 위치인 제 1 위치와 트레이 본체에 근접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푸시 푸시 기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에서 접속 대상물을 원활하게 꺼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트레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본체에 형성된 캠 홈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외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외장부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외장부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캠 폴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접속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접속 커버가 생략된 상태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트레이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 외장부가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트레이 본체를 향해 압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 외장부가 제 2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 외장부가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트레이 본체를 향해 더욱 압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트레이를 갖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가 하우징내에 삽입되고 또한 트레이 외장부가 제 2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가 하우징내에 삽입되고 또한 트레이 외장부가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트레이 본체를 향해 압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가 하우징내에 삽입되고 또한 트레이 외장부가 하우징에서 배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트레이(10)를 나타낸다. 커넥터용 트레이(10)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의 도시하지 않은 카드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삽입 방향을 향해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것이다. 커넥터용 트레이(10)는 접속 대상물을 수용하는 트레이 본체(11)와, 삽입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트레이 본체(11)에 접속되는 트레이 외장부(12)와, 트레이 본체(11) 및 트레이 외장부(12)에 연결되고 또한 트레이 본체(11)와 트레이 외장부(12)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접속 커버(1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편의상, 커넥터용 트레이(10)의 삽입 방향을 Y방향으로 하고, 트레이 본체(11)에서 트레이 외장부(12)를 향하는 방향을 +Y방향, Y방향에 직교하는 커넥터용 트레이(10)의 폭 방향을 X방향, X방향 및 Y방향에 직교하는 커넥터용 트레이(10)의 높이 방향을 Z방향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트레이 본체(11)와 트레이 외장부(12) 사이에는 푸시 푸시 기구(P)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 푸시 푸시 기구(P)에 의해, 트레이 외장부(12)는 Y방향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11)로부터 먼 위치인 제 1 위치와, 트레이 본체(11)에 근접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된다.
도 2는 커넥터용 트레이(1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커넥터용 트레이(10)는 도 1에 나타내는 트레이 본체(11), 트레이 외장부(12) 및 접속 커버(13) 이외에, 트레이 본체(11)와 트레이 외장부(12)에 접속되는 봉 형상의 캠 폴로어(14)와, 캠 폴로어(14)의 X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11)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스프링(15)을 갖고 있다. 트레이 본체(11), 트레이 외장부(12), 캠 폴로어(14) 및 2개의 스프링(15)을 서로 조합하는 동시에, 트레이 본체(11)와 트레이 외장부(12)에 접속 커버(13)를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용 트레이(10)가 조립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본체(11)는 Y방향으로 한 쌍의 긴 변을 갖는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Y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접속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접속 대상물 수용부(21)와, +Y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트레이 외장부(12)에 접속되는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를 갖고 있다.
접속 대상물 수용부(21)는 Z방향에서 보았을 때, Y방향으로의 한 쌍의 긴 변을 갖는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접속 대상물 수용부(21)에, +Z방향에 대해 개구되고 또한 접속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2)는 Y방향으로 한 쌍의 긴 변을 갖는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그 저부(23)에, Y방향으로 한 쌍의 긴 변을 갖는 대략 장방형의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카드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자를 -Z방향을 향하게 하여 접속 대상물을 수용 오목부(22)에 수용하는 것에 의해,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자를 수용 오목부(22)의 개구부(24)로부터 -Z방향으로 노출시켜, 개구부(24)를 통과시켜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자와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 본체를 접속할 수 있다.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는 Z방향에서 보았을 때, X방향을 따라 한 쌍의 긴 변을 갖는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에는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의 X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캠 홈(32)과, 캠 홈(32)의 X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Y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의 X방향의 양 측부에 각각, 접속 커버(13)를 부착하기 위한 접속 커버 부착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부(33)는 -Y방향 단부가 닫혀 있지만 +Y방향 및 +Z방향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YZ 평면에 대해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33)는 XY 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평탄한 가이드 저면(33A)과,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의 X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Z방향으로 돌출하면서 Y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내측 가이드벽(33B)과,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의 X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Z방향으로 돌출하면서 Y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외측 가이드벽(33C)을 갖고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부(33)는 각각, 외측 가이드벽(33C)보다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의 X방향의 외측에, Y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또한 스프링(15)을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수용 홈(33D)을 갖고 있다. 스프링 수용 홈(33D)의 저부에는 XY 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평탄한 스프링 수용 홈 저면(B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 홈(33D)의 스프링 수용 홈 저면(B1)은 스프링 수용 홈(33D)에 안정하게 스프링(15)을 수용하기 위해 가이드 저면(33A)보다 낮은 위치, 즉 가이드 저면(33A)보다 -Z방향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홈(32)은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의 X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캠 폴로어(14)의 -Y방향 단부가 삽입되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홈(32)은 닫힌 하트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캠 홈(32)의 +Y방향 단부에 상당하는 위치 G1과, 캠 홈(32)의 -Y방향 단부에 상당하는 위치 G2와, 위치 G2보다 -X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Y방향에 있어서 위치 G1과 위치 G2 사이에 배치된 위치 G3과, 위치 G3보다 -X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위치 G2와 함께 캠 홈(32)의 -Y방향 단부에 상당하는 위치 G4를 갖고 있다.
또한, +Z방향측에서 캠 홈(32)을 보았을 때, 도시하지 않은 캠 폴로어(14)의 -Y방향 단부가 캠 홈(32)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좌측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캠 홈(32)에 복수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외장부(12)는 X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판 형상의 파지부(41)와, 파지부(41)로부터 -Y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트레이 본체(11)에 접속되는 트레이 외장부측 접속부(42)를 갖고 있다.
트레이 외장부측 접속부(42)는 파지부(41)의 X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캠 폴로어(14)의 +Y방향 단부가 연결되는 캠 폴로어 연결부(43)와, 캠 폴로어 연결부(43)의 X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의 한 쌍의 가이드부(33)에 접촉하는 한 쌍의 피 가이드부(44)를 갖고 있다.
캠 폴로어 연결부(43)에, 캠 폴로어 연결부(43)를 Z방향으로 관통하는 캠 폴로어 삽입 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피 가이드부(44)의 +Z방향을 향한 상부에, Y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접속 커버(13)를 부착하기 위한 접속 커버 부착 홈(4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피 가이드부(44)에는 트레이 외장부측 접속부(42)의 X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Z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피 가이드 내측 볼록부(44B)와, 트레이 외장부측 접속부(42)의 X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Z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피 가이드 외측 볼록부(44C)와, 피 가이드 내측 볼록부(44B)와 피 가이드 외측 볼록부(44C) 사이에 위치하는 피 가이드 오목부(44D)가 형성되어 있다. 피 가이드 외측 볼록부(44C)의 Z방향의 높이 치수는 피 가이드 내측 볼록부(44B)의 Z방향의 높이 치수보다 크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 가이드 내측 볼록부(44B), 피 가이드 외측 볼록부(44C) 및 피 가이드 오목부(44D)는 모두 Y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폴로어(14)는 Y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캠 폴로어(14)의 일단부 즉 -Y방향 단부에, -Z방향으로 굴곡되는 제 1 굴곡부(14A)가 형성되고, 캠 폴로어(14)의 타단부 즉 +Y방향 단부에, -Z방향으로 굴곡되는 제 2 굴곡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커버(13)는 XY 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접속 커버 상부벽(51)과, 접속 커버 상부벽(51)에 연결되고 또한 YZ 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접속 커버 측벽(52)과, 한 쌍의 접속 커버 측벽(52)에 연결되고 또한 접속 커버 상부벽(51)보다 -Z방향측에 위치하고, XY 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접속 커버 하부벽(53)에 의해 형성되고, +Y방향 및 -Y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통형상을 갖고 있다. 접속 커버 상부벽(51)의 X방향의 중앙부에는 접속 커버 상부벽(51)의 +Y방향 단부에서 -Y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Z방향으로 경사지는 상부벽 판 스프링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접속 커버 상부벽(51)의 +Y방향 단부에, -Z방향으로 굴곡된 한 쌍의 상부벽 굴곡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접속 커버 측벽(52)에 각각, 접속 커버 측벽(52)의 -Y방향 단부에서 +Y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접속 커버(13)의 X방향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측벽 판 스프링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접속 커버(13)를 생략한 커넥터용 트레이(1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커넥터용 트레이(10)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11)와 트레이 외장부(12)가 서로 접속되어 있고, 트레이 본체(11)의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33)와 트레이 외장부(12)의 트레이 외장부측 접속부(42)에 형성된 한 쌍의 피 가이드부(44)가 서로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지만, 가이드부(33)의 가이드 저면(33A)에 피 가이드부(44)의 피 가이드 내측 볼록부(44B)의 -Z방향 단부가 접촉하고, 피 가이드 내측 볼록부(44B)가 가이드부(33)의 내측 가이드벽(33B)과 외측 가이드벽(33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33)의 외측 가이드벽(33C)이 피 가이드부(44)의 피 가이드 오목부(44D)에 수용되고, 피 가이드부(44)의 피 가이드 외측 볼록부(44C)가 가이드부(33)의 스프링 수용 홈(33D)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트레이 본체(11)의 한 쌍의 가이드부(33)와 트레이 외장부(12)의 한 쌍의 피 가이드부(44)가 서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트레이 외장부(12)는 트레이 본체(11)에 대해, Y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지만, X방향의 변위가 제한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폴로어(14)의 +Y방향 단부에 형성된 제 2 굴곡부(14B)가 트레이 외장부(12)의 캠 폴로어 연결부(43)에 형성된 캠 폴로어 삽입 구멍(43A)에 삽입되고, 캠 폴로어(14)의 -Y방향 단부에 형성된 제 1 굴곡부(14A)가 트레이 본체(11)의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에 형성된 캠 홈(32)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캠 폴로어 삽입 구멍(43A)은 원형상을 갖고 있으며, 캠 폴로어(14)의 제 2 굴곡부(14B)도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캠 폴로어(14)는 XY 평면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트레이 외장부(12)와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트레이 외장부(12)가 Y방향을 따라 변위된 경우에, 캠 폴로어(14)의 제 1 굴곡부(14A)는 캠 폴로어(14)의 제 2 굴곡부(14B)를 중심으로 해서, 원 궤도를 그리면서 캠 홈(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스프링(15)은 각각, 소위 자연 길이를 갖는 상태보다 수축된 상태에서 트레이 본체(11)의 한 쌍의 스프링 수용 홈(33D)에 수용된다. 이때, 2개의 스프링(15)의 +Y방향 단부는 트레이 외장부(12)의 피 가이드 외측 볼록부(44C)의 -Y방향 단부에 접촉한다. 그 때문에, 스프링(15)은 트레이 외장부(12)에 대해, +Y방향을 향해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트레이(10)에는 접속 커버(13)가 부착되어 있지만, 이 접속 커버(13)에 의해, 트레이 본체(11)에 대한 트레이 외장부(12)의 Z방향에 있어서의 변위가 제한된다. 그 때문에, 트레이 외장부(12)는 트레이 본체(11)에 대해 Y방향으로만 변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커버(13)의 한 쌍의 상부벽 굴곡부(51B)의 Y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트레이 외장부(12)의 트레이 외장부측 접속부(42)에 형성된 한 쌍의 접속 커버 부착 홈(44A)의 Y방향 길이보다 좁고, 한 쌍의 상부벽 굴곡부(51B)는 한 쌍의 접속 커버 부착 홈(44A)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트레이 외장부(12)는 트레이 본체(11)에 대해 Y방향을 따라 변위될 수 있지만, 한 쌍의 상부벽 굴곡부(51B)가 한 쌍의 접속 커버 부착 홈(44A)에 삽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트레이 외장부(12)는 상부벽 굴곡부(51B)가 접속 커버 부착 홈(44A)의 -Y방향 단부에 접촉하는 위치와 접속 커버 부착 홈(44A)의 +Y방향 단부에 접촉하는 위치 사이의 범위로, Y방향의 변위가 제한된다.
또한, 접속 커버(13)의 한 쌍의 측벽 판 스프링부(52A)는 트레이 본체(11)의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31)에 형성된 접속 커버 부착 오목부(35)에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 본체(11)에 대해 접속 커버(13)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15에 있어서, 접속 커버(13)의 상부벽 판 스프링부(51A)와 캠 폴로어(14)를 통과하도록 YZ 평면을 따라 커넥터용 트레이(10)를 절단한 A-A선 단면도를 도 16에 나타낸다. 접속 커버(13)의 접속 커버 상부벽(51)에 형성된 상부벽 판 스프링부(51A)는 캠 폴로어(14)와 접촉하고, 캠 폴로어(14)의 -Y방향 단부에 형성된 제 1 굴곡부(14A)에 대해 -Z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캠 폴로어(14)의 제 1 굴곡부(14A)는 +Z방향으로 부상(浮上)하는 일 없이, 캠 홈(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홈(32)과 캠 폴로어(14)에 의해, 소위 캠 기구가 형성되고, 2개의 스프링(15)에 의해, 트레이 외장부(12)를 트레이 본체(11)로부터 Y방향을 따라 압출하는 압출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 본체(11)와 트레이 외장부(12) 사이에 배치된 푸시 푸시 기구(P)는 캠 기구와 압출 기구를 갖고 있으며, 트레이 외장부(12)를, Y방향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11)에서 먼 위치인 제 1 위치와, 트레이 본체(11)에 근접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푸시 푸시 기구(P)에 기인하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트레이(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에서 먼 위치인 제 1 위치에 배치되고, 캠 폴로어(14)의 -Y방향 단부에 형성된 제 1 굴곡부(14A)가 캠 홈(32)의 위치 G1에 배치되어 있다고 한다. 이때, 트레이 외장부(12)가 2개의 스프링(15)에 의해 +Y방향을 향해 눌려 있고, 도시하지 않은 접속 커버(13)의 상부벽 굴곡부(51B)의 -Y방향 단부가 트레이 외장부(12)의 접속 커버 부착 홈(44A)의 -Y방향 단부와 부딪치기 때문에, 트레이 외장부(12)가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트레이 외장부(12)가 제 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의 손가락 등에 의해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에 대해 -Y방향을 향해 눌리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폴로어(14)의 제 1 굴곡부(14A)는 캠 홈(32)을 따라 이동한다.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이를 때까지,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에 대해 -Y방향을 향해 눌린 후, 트레이 외장부(12)를 -Y방향을 향해 누르고 있던 유저의 손가락 등이 트레이 외장부(12)에서 떨어지면, 2개의 스프링(15)에 의해 트레이 외장부(12)가 +Y방향으로 눌리는 것에 의해,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에 대해 +Y방향으로 변위된다.
여기서,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캠 폴로어(14)의 제 1 굴곡부(14A)는 캠 홈(32)의 위치 G2에 위치하고 있지만, 유저의 손가락 등이 트레이 외장부(12)에서 떨어지고, 트레이 외장부(12)가 +Y방향으로 변위되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폴로어(14)의 제 1 굴곡부(14A)가 캠 홈(32)의 위치 G3에 배치되고, 트레이 외장부(12)가 제 2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캠 홈(32)의 위치 G3에 있어서, 캠 폴로어(14)의 제 1 굴곡부(14A)는 캠 홈(32)의 +Y방향측의 측벽부에 걸리기 때문에, 트레이 외장부(12)가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캠 홈(32)에는 복수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캠 폴로어(14)의 제 1 굴곡부(14A)는 캠 홈(32)을 +Z방향측에서 보았을 때, 캠 홈(32)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캠 폴로어(14)의 제 1 굴곡부(14A)가 캠 홈(32)의 위치 G2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의 손가락 등이 트레이 외장부(12)에서 떨어졌다고 해도, 캠 폴로어(14)의 제 1 굴곡부(14A)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단 위치 G1로 되돌아오는 일은 없으며, 위치 G3에 배치된다.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에 대해 제 2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다시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에 대해 -Y방향을 향해 눌리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폴로어(14)의 제 1 굴곡부(14A)는 위치 G3에서, 캠 홈(32)을 따라 위치 G4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 외장부(12)를 -Y방향을 향해 누르는 유저의 손가락 등이 트레이 외장부(12)에서 떨어지면, 트레이 외장부(12)가 2개의 스프링(15)에 의해 +Y방향을 향해 압출된다. 이것에 의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폴로어(14)의 제 1 굴곡부(14A)가 캠 홈(32)의 선단 위치 G1에 배치되어, 트레이 외장부(12)가 다시 제 1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해서, 트레이 본체(11)와 트레이 외장부(12) 사이에 배치된 푸시 푸시 기구(P)에 의해, 트레이 외장부(12)는 트레이 본체(11)에서 먼 위치인 제 1 위치와 트레이 본체(11)에 근접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Y방향을 따라 변위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트레이(10)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의 접속 대상물을 트레이 본체(11)에 수용한 상태에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H) 내의 기판(S)에 실장된 커넥터 본체(61)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커넥터용 트레이(10)와 커넥터 본체(61)에 의해, 커넥터(C)가 구성된다. 커넥터(C)에 있어서, 커넥터용 트레이(10)가 하우징(H) 내에 배치된 커넥터 본체(6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커넥터용 트레이(10)에 수용된 접속 대상물의 도시하지 않은 접속 단자와 커넥터 본체(61)의 도시하지 않은 접속 단자가 서로 접촉하고, 접속 대상물과 커넥터 본체(6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H)에 커넥터용 트레이(10)가 삽입되는 트레이 삽입 구멍(HA)이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용 트레이(10)는 트레이 삽입 구멍(HA)을 통과하여 하우징(H) 내의 커넥터 본체(61)에 삽입된다. 이때,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외장부(12)는 트레이 본체(11)에 근접한 위치인 제 2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트레이 외장부(12)의 파지부(41)의 +Y방향측 단부는 하우징 H의 +Y방향 단부에 대해, Y방향에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에 대해 제 2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외장부(12)의 파지부(41)가 유저의 손가락 등에 의해 -Y방향으로 눌리면, 푸시 푸시 기구(P)에 의해,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로부터 압출된다. 이것에 의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에 대해 제 1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트레이 본체(11)의 위치는 하우징(H)에 삽입된 상태인 채 변위되지 않으며, 트레이 외장부(12)가 +Y방향을 향해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 외장부(12)의 파지부(41)가 하우징(H)의 외측으로 압출된다. 유저는 예를 들면, 하우징(H)의 외측에 위치하는 트레이 외장부(12)의 파지부(41)를 +Y방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커넥터용 트레이(10)를 하우징(H)에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여기서, SIM 카드 등의 접속 대상물용의 커넥터로서, 종래부터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커넥터가 개발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종래의 커넥터는 도시하지 않은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는 카드 홀더(1)와, 하우징(5)의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카드 홀더(1)가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2)를 갖고 있으며, 커넥터 본체(2)에는 카드 홀더(1)가 커넥터 본체(2)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 방향에 대해 카드 홀더(1)과 병렬로 배치된 푸시 푸시 기구(3)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 있어서, 카드 홀더(1)를 커넥터 본체(2)를 향해 누르는 것을 통해, 푸시 푸시 기구(3)에 의해 카드 홀더(1)가 하우징(5)의 외부로 압출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떠한 이유에 의해, 카드 홀더(1)와 커넥터 본체(2) 사이의 접촉력이 푸시 푸시 기구(3)가 카드 홀더(1)를 압출하는 힘을 넘으면, 카드 홀더(1)가 하우징(5)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홀더(1)에, 핀 형상의 툴을 걸기 위한 오목부(6)가 형성되고, 핀 형상의 툴에 의해, 카드 홀더(1)를 커넥터 본체(2)에서 강제적으로 인발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었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트레이(10)에 있어서는 트레이 본체(11)와 트레이 외장부(12)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푸시 푸시 기구(P)에 의해, 트레이 외장부(12)가 트레이 본체(11)에서 먼 위치인 제 1 위치와 트레이 본체(11)에 근접한 위치인 제 2 위치의 사이를 Y방향을 따라 변위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용 트레이(10)에 수용된 도시하지 않은 접속 대상물 및 커넥터용 트레이(10)와 커넥터 본체(61) 사이의 접촉력이 커도, 푸시 푸시 기구(P)에 의해, 그 접촉력에 관계없이 트레이 외장부(12)가 하우징(H)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 때문에,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트레이(10)에 의하면, 종래의 커넥터와 같이, 핀 형상의 툴 등을 이용하여 커넥터용 트레이(10)를 커넥터 본체(61)에서 강제적으로 인발하지 않으면 안 되는 사태가 미연에 방지되고, 커넥터 본체(61)에서 접속 대상물을 원활하게 꺼낼 수 있다.
1; 카드 홀더 2; 커넥터 본체
3; 푸시 푸시 기구 4; 손가락
5; 하우징 5, 6; 오목부
10; 커넥터용 트레이 11; 트레이 본체
12; 트레이 외장부 13; 접속 커버
14; 캠 폴로어 14A; 제 1 굴곡부
14B; 제 2 굴곡부 15; 스프링
21; 접속 대상물 수용부 22; 수용 오목부
23; 저부 24; 개구부
31; 트레이 본체측 접속부 32; 캠 홈
33; 가이드부 33A; 가이드 저면
33B; 내측 가이드벽 33C; 외측 가이드벽
33D; 스프링 수용 홈 35; 접속 커버 부착 오목부
41; 파지부 42; 트레이 외장부측 접속부
43; 캠 폴로어 연결부 43A; 캠 폴로어 삽입 구멍
44; 피 가이드부 44A; 접속 커버 부착 홈
44B; 피 가이드 내측 볼록부 44C; 피 가이드 외측 볼록부
51; 접속 커버 상부벽 51A; 상부벽 판 스프링부
51B; 상부벽 굴곡부 52; 접속 커버 측벽
52A; 측벽 판 스프링부 53; 접속 커버 하부벽
61; 커넥터 본체 B1; 스프링 수용 홈 저면
C; 커넥터 G1, G2, G3, G4; 위치
H; 하우징 HA; 트레이 삽입 구멍

Claims (7)

  1. 접속 대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삽입 방향을 향해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커넥터용 트레이로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수용하는 트레이 본체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상기 트레이 본체에 접속되는 트레이 외장부와,
    상기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외장부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 외장부를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본체에서 먼 위치인 제 1 위치와 상기 트레이 본체에 근접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푸시 푸시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푸시 푸시 기구는 상기 트레이 외장부가 상기 트레이 본체에 근접하도록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해 눌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 외장부를 상기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는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푸시 기구는,
    상기 트레이 외장부에 접속된 캠 기구와,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와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 본체에 대해 상기 트레이 외장부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압출하는 압출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트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의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트레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는 상기 트레이 본체에 형성된 캠 홈과, 상기 캠 홈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또한 타단부가 상기 트레이 외장부에 연결된 캠 폴로어를 갖고,
    상기 캠 폴로어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트레이 외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캠 폴로어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캠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트레이.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본체는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트레이 외장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피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트레이 외장부가 상기 트레이 본체에 대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 상기 피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트레이.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본체는 카드형상의 상기 접속 대상물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트레이.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용 트레이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00045062A 2019-04-23 2020-04-14 커넥터용 트레이 및 커넥터 KR102402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1533A JP7313886B2 (ja) 2019-04-23 2019-04-23 コネクタ用トレイおよびコネクタ
JPJP-P-2019-081533 2019-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62A KR20200124162A (ko) 2020-11-02
KR102402115B1 true KR102402115B1 (ko) 2022-05-25

Family

ID=7291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062A KR102402115B1 (ko) 2019-04-23 2020-04-14 커넥터용 트레이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03066B2 (ko)
JP (1) JP7313886B2 (ko)
KR (1) KR102402115B1 (ko)
CN (1) CN111834812B (ko)
TW (1) TWI7495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3886B2 (ja) * 2019-04-23 2023-07-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トレイおよびコネクタ
WO2024091222A1 (en) * 2022-10-25 2024-05-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king card tray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5084A (ja) * 2013-05-15 2014-12-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ホルダ及び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1980B2 (ja) 1997-08-12 2004-09-29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イン稼動形電子機器
KR100749161B1 (ko) * 2005-12-02 2007-08-14 정태봉 카드 커넥터
CN102761003B (zh) * 2011-04-29 2014-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03515781A (zh) * 2012-06-29 2014-01-1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芯片卡固持结构
US8968029B2 (en) * 2013-03-18 2015-03-03 Uju Electronics Co. Ltd. Socket for nano SIM card
JP6044994B2 (ja) * 2013-07-02 2016-1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50011954A (ko) 2013-07-24 2015-02-03 황현호 친환경 빨대 박스
JP2016134359A (ja) 2015-01-22 2016-07-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トレイおよびカードコネクタ
CN105870677B (zh) * 2015-01-23 2018-12-28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卡连接器和电子设备
JP6325996B2 (ja) * 2015-02-23 2018-05-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7220323A (ja) * 2016-06-06 2017-12-14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107959182B (zh) * 2016-10-17 2020-10-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连接器
JP6805959B2 (ja) * 2017-05-12 2020-12-23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207399192U (zh) 2017-11-09 2018-05-22 昆山德朋电子科技有限公司 卡托
CN109546385A (zh) * 2019-01-09 2019-03-29 东莞市富金电子有限公司 卡座组件以及移动终端
JP7313886B2 (ja) * 2019-04-23 2023-07-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トレイおよび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5084A (ja) * 2013-05-15 2014-12-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ホルダ及び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40887A (zh) 2020-11-01
US11303066B2 (en) 2022-04-12
TWI749528B (zh) 2021-12-11
CN111834812B (zh) 2022-04-08
JP7313886B2 (ja) 2023-07-25
JP2020177874A (ja) 2020-10-29
US20200343671A1 (en) 2020-10-29
CN111834812A (zh) 2020-10-27
KR20200124162A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2301B2 (en) Ejector mechanism for card connector
US721715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402115B1 (ko) 커넥터용 트레이 및 커넥터
KR100870186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US7070430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an eject mechanism
US7244130B2 (en) Card connector having ejection mechanism
EP1783657A2 (en) Memory card socket structure
CN100470954C (zh) 电子卡连接器
JPH08511115A (ja) Simカード及び標準カード用のsmtリーダー
JP2007234472A (ja) カードコネクタ
US7377814B2 (en) Card connector
US20020137375A1 (en) Card connector unit provided with first accommodating position and second accommodating position
US20050282440A1 (en) Card connector
JP461913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100075525A1 (en) Card Mounting Apparatus
EP1841012A1 (en) Surface mounting electric connector
WO2020170822A1 (ja)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セット
US9318832B2 (en) Connector
EP1507318A1 (en) Card connector allowing easy removal of a card after the card is ejected
KR101987097B1 (ko)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2005276676A (ja) スライダーユニット及びカードコネクタ
EP0831563A2 (en) Electrical connectors
KR101076652B1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JP5062428B2 (ja) プッシュ式メモリーカードコネクタ
KR200327769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