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060B1 -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060B1
KR102402060B1 KR1020210169893A KR20210169893A KR102402060B1 KR 102402060 B1 KR102402060 B1 KR 102402060B1 KR 1020210169893 A KR1020210169893 A KR 1020210169893A KR 20210169893 A KR20210169893 A KR 20210169893A KR 102402060 B1 KR102402060 B1 KR 10240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isinfectant
duct
mai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범
배성수
김학성
김덕배
Original Assignee
최정범
배성수
김학성
김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범, 배성수, 김학성, 김덕배 filed Critical 최정범
Priority to KR102021016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2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 F01N2560/026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for measuring or detecting N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혼합된 질소산화물 농도를 검사하는 검사장치에 마련된 덕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대차부; 및 상기 이송대차부에 상기 덕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AUTOMOTIVE EXHAUST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기 검사를 위한 덕트를 이동하게 쉽도록 구현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이 작동하면서 배기가스가 발생하며, 이러한 배기가스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머플러 및 매연저감장치를 통해 차량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엔진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는 배기매니폴드와 촉매컨버터 및 배기파이프등으로 구성된 배기계를 통해 대기 중에 정화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기계의 배기매니폴드는 실린더 헤드에 가스켓을 개재하여 볼트체결 접속되고 마찬가지로 촉매컨버터와 배기파이프등은 서로 가스켓을 개재하여 플랜지 접속하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경우 주기적으로 배기가스에 혼합된 질소산화물 농도를 검사해야 한다.
종래의 배기가스 검사장치는 자동차 배기구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흡입하는 덕트 및 덕트에 의해 흡입된 배기가스에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무거운 덕트를 직접 들고 자동차가 위치한 곳까지 옮겨야 했기 때문에 배기가스 검사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53087호
본 발명은, 배기 검사를 위한 덕트를 이동하게 쉽도록 구현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공기의 유입으로 형성된 진공을 이용하여 덕트에 배기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력을 제공함으로써, 진공펌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 검사를 위해 덕트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덕트가 움직이지 아니하고 안정적인 정착상태를 이루도록 고정할 수 있는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덕트의 연결구를 자동으로 상승시켜 자동차의 배기구에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할 수 있는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개 가능한 소독약 분사수단을 마련하여 작업자나 차주에게 소독약을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고, 한번에 여러명에게 소독약을 분사할 수 있는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은,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혼합된 질소산화물 농도를 검사하는 검사장치에 마련된 덕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대차부; 및 상기 이송대차부에 상기 덕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압축공기의 유입으로 형성된 진공을 이용하여 상기 덕트에 배기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력을 제공하는 진공 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덕트의 일정영역을 감싸며 상기 이송대차부에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착탈식 결합끈; 및 상기 이송대차부에 탑재된 덕트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착탈식 결합끈과 상기 덕트 사이의 빈 공간을 메꾸는 메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꿈부는, 상기 이송대차부에 탑재되고, 상기 착탈식 결합끈과 마주하는 일측면 및 상면에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이 각각 형성된 본체부; 상기 제1 수용홈과 제2 수용홈에 각각 수용되는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일측면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되며, 일단에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곡선 형상의 제1 가압면이 형성된 제1 가압부; 상기 제2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상측을 향해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단에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상측에 의해 가압되는 곡선 형상의 제2 가압면이 형성된 제2 가압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에어주입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제1 에어포켓;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에어주입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상측을 가압하는 제2 에어포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덕트의 선단영역에 위치되며 검사 대상 자동차의 배기구에 연결되는 연결구의 높이를 검사 대상 자동차의 배기구 높이에 대응되게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덕트의 연결구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착링; 상기 장착링의 하부 일정영역을 각각 감싸면서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들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가지부; 상기 가지부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구를 검사 대상 자동차의 배기구 높이에 일치시키도록 상기 연결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가 탑재되며 상기 이송대차부를 견인하는 견인대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검사 대상 자동차의 질소산화물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의 출입구에 배치되며, 인체에 소독약을 분사하는 소독약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독약 분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메인 분사본체부; 상기 메인 분사수단을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액상의 소독약이 저장된 메인 저장탱크; 상기 메인 저장탱크 내의 소독약을 상기 메인 분사수단에 공급하는 메인 펌프; 상기 메인 분사본체부의 후면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방향 이송실린더; 상기 수평방향 이송실린더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서로 멀어지게 전개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서브 분사본체부; 상기 서브 분사수단을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액상의 소독약이 저장된 서브 저장탱크; 및 상기 서브 저장탱크 내의 소독약을 상기 서브 분사수단에 공급하는 서브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독약 분사부의 전방으로 접근한 인체를 감지할 경우 상기 소독약이 분사되도록 상기 소독약 분사부를 작동시키는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독약 분사부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켜 분사되는 소독약의 분사방향을 가변시키는 가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메인 분사본체부의 저면을 지지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저면에 결합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메인 분사본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흡수패드; 상기 흡수패드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타격바; 상기 내부에 상기 타격바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전,후진 가이드홀이 장방향으로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타격바와 결합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타격바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정영역이 상기 전,후진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수용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절곡형 몸체로 형성된 연결바;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서 연결바와 맞물리는 맞물림바; 상기 타격바가 후진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키도록 상기 연결바를 후진시키는 후진실린더; 상기 타격바가 후진된 상태에서 상기 맞물림바가 상기 연결바의 상측으로 이탈되도록 상기 후진실린더를 상승시키는 상승실린더; 및 상기 타격바가 상기 흡수패드와 간격조절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간격조절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바가 연결바에서 이탈될 경우 상기 타격바가 전진되어 상기 흡수패드를 타격하고, 상기 타격바가 흡수패드를 타격할 경우 상기 타격바가 흡수패드와 이격되도록 간격조절실린더가 상기 수용부를 후진시켜, 상기 메인 분사본체부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배기 검사를 위한 덕트를 이동하게 쉽도록 구현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압축공기의 유입으로 형성된 진공을 이용하여 덕트에 배기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력을 제공함으로써, 진공펌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 검사를 위해 덕트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덕트가 움직이지 아니하고 안정적인 정착상태를 이루도록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덕트의 연결구를 자동으로 상승시켜 자동차의 배기구에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개 가능한 소독약 분사수단을 마련하여 작업자나 차주에게 소독약을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고, 한번에 여러명에게 소독약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이송대차부 및 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메꿈부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메꿈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꿈부를 통해 착탈식 결합끈으로 덕트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진공 발생기가 덕트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진공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높낮이 조절부를 도시한 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높낮이 조절부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소독약 분사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소독약 분사부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소독약 분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가변부를 도시한 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이송대차부 및 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메꿈부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메꿈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꿈부를 통해 착탈식 결합끈으로 덕트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진공 발생기가 덕트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진공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1)은, 이송대차부(10), 고정부(20) 및 진공 발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대차부(10)는 검사장치(2)에 마련된 덕트(2a)를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기구(3)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검사장치(2)는 덕트(2a)를 통과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혼합된 질소산화물 농도를 검사하는 장치로써, 배기가스 측정챔버(미도시)와, 농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챔버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있다.
배기가스가 측정챔버(40)에 포집되며, 농도센서는 흡인된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검사장치(2)는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대차부(10)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덕트(2a)의 일정영역을 지지하는 지지판(11) 및 지지판(11)의 저면 각 모서부리 부분에 결합되며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롤러(12)는 이송대차부(10)의 방향 전환이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판(11)의 저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자동차와 덕트(2a)가 동일선상에 위치되지 아니하더라도 이송대차부(10)의 방향을 전환하여 자동차로 덕트(2a)를 용이하게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송대차부(10)에 의해 길고 무거운 덕트(2a)를 작업자가 힘들게 들어 옮기지 않아도 되어 자동차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검사할 때 그 작업성 및 일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부(20)는 지지판(11)에 덕트(2a)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고정부(20)는 착탈식 결합끈(21) 및 메꿈부(22a,22b)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결합끈(21)은 지지판(11)의 상면 일측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일 예로, 착탈식 결합끈(21)은 일단이 지지판(11)에 타카나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지지판(11)의 상면 일측 가장자리에는 묶음홀을 형성하여 착탈식 결합끈(21)의 일단을 묶어 고정할 수도 있다.
지지판(11)의 상면 타측 가장자리에는 링형상의 고리(11a)가 형성되고, 착탈식 결합끈(21)의 타단에는 후크(21a)가 형성된다.
지지판(11)의 상면에 덕트(2a)의 일부분을 안착한 다음, 착탈식 결합끈(21)으로 덕트(2a)를 감싼 후, 후크(21a)를 고리(11a)에 걸어 고정하면 덕트(2a)부의 일부분을 지지판(11)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착탈식 결합끈(21)은 덕트(2a)의 직경에 대응되게 늘어나면서 덕트(2a)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메꿈부(22a,22b)는 이송대차부(10)에 안착된 덕트(2a)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지지판(1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착탈식 결합끈(21)과 덕트(2a) 사이의 빈 공간을 메꾼다.
메꿈부(22a)는 비닐재질로 형성되어 접힐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면적을 갖는 베이스(221a)에 다수개의 포켓부(222a)가 일정간격으로 구획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꿈부(22a)의 구획은 베이스(221a)를 일정간격으로 열접착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메꿈부(22a)의 구획된 부분은 일종의 마디 기능을 하여 포켓부(222a)는 구획된 부분을 통해 접힐 수 있다.
각각의 포켓부(222a)에는 에어가 충진되어, 메꿈부(22a)는 일정 부피를 갖는다.
따라서, 메꿈부(22a)를 일정형태로 접은 다음, 착탈식 결합끈(21)과 덕트(2a) 사이의 빈 공간에 개재하면 지지판(11)에 안착된 덕트(2a)의 일정영역이 유동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메꿈부(22b)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덕트(2a)의 직경에 따라 착탈식 결합끈(21)이 덕트(2a)에 접촉되는 면적이 상이해진다.
즉, 덕트(2a)의 직경이 비교적 작을 경우 덕트(2a)에 대한 착탈식 결합끈(21)의 접촉 면적이 작고, 덕트(2a)의 직경이 비교적 넓을 경우 덕트(2a)에 대한 착탈식 결합끈(21)의 접촉 면적이 크다.
이때, 덕트(2a)의 직경이 비교적 작아 덕트(2a)에 대한 착탈식 결합끈(21)의 접촉 면적이 작으면, 이에 대응되게 메꿈부(22b)의 크기가 커져야 착탈식 결합끈(21)과 덕트(2a) 사이의 빈 공간을 안정적으로 메꿀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메꿈부(22b)는 덕트(2a)의 직경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되어 직경이 작은 덕트(2a), 직경이 큰 덕트(2a) 모두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꿈부(22b)는 본체부(221b), 제1 실린더(222b), 제2 실린더(223b), 제1 가압부(224b), 제2 가압부(225b), 제1 에어포켓(226b), 제2 에어포켓(227b) 및 에어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21b)는 사각블록 또는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본체부(221b)가 직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본체부(221b)는 지지판(11)의 상면에 탑재되며, 덕트(2a)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221b)는 덕트(2a)를 고정하고 있는 착탈식 결합끈(21)과 마주하는 일측면 및 상면에 제1 수용홈(2211b) 및 제2 수용홈(2212b)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실린더(222b)는 제1 수용홈(2211b)에 수용되고, 제2 실린더(223b)는 제2 수용홈(2212b)에 수용된다.
제1 실린더(222b) 및 제2 실린더(223b)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판(11)에는 제1 실린더(222b) 및 제2 실린더(223b)에 각각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1개 또는 2개의 유압탱크가 탑재될 수 있다.
유압탱크가 1개로 적용되는 경우, 유압탱크는 2개의 연결라인을 통해 제1 실린더(222b) 및 제2 실린더(223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연결라인에는 온/오프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실린더(222b) 및 제2 실린더(223b)에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유압탱크가 2개로 적용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유압탱크는 제1 실린더(222b)에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유압탱크는 제2 실린더(223b)에 다른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11)에는 제1 실린더(222b)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버튼과, 제1 실린더(222b)에서 유압을 회수하기 위한 제1 회수버튼과, 제2 실린더(223b)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버튼과 제2 실린더(223b)에서 유압을 회수하기 위한 제2 회수버튼이 구비된 제어판넬(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급버튼을 누르면 제1 실린더(222b)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고, 제1 회수버튼을 누르면 제1 실린더(222b)에서 유압을 회수할 수 있다.
제1 실린더(222b)에 유압이 공급되면 피스톤이 전진되고, 유압이 회수되면 피스톤이 후진된다.
그리고, 제2 실린더(223b)에 유압이 공급되면 피스톤이 상승되고, 유압이 회수되면 피스톤이 하강된다.
이때, 유압탱크는 리모콘을 통해 원격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리모콘에는 제1 공급버튼, 제1 회수버튼, 제2 공급버튼 및 제2 회수버튼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 가압부(224b)는 제1 실린더(222b)의 피스톤에 결합된다.
제1 가압부(224b)는 제1 실린더(222b)의 피스톤이 후진한 상태에는 약 1/2 내지 1/3 정도가 제1 수용홈(2211b)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실린더(222b)의 피스톤이 전진되면 제1 수용홈(2211b)에서 완전히 인출된다.
제1 가압부(224b)의 일측면에는 제1 실린더(222b)의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착탈식 결합끈(21)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곡선 형상의 제1 가압면(2241b)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가압부(224b)는 대략 'C'자 단면 형상으로
제2 가압부(225b)는 제2 실린더(223b)의 피스톤에 결합된다.
제2 가압부(225b)는 제2 실린더(223b)의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에는 약 1/2 내지 1/3 정도가 제2 수용홈(2212b)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실린더(223b)의 피스톤이 상승되면 제2 수용홈(2212b)에서 인출된다.
제2 가압부(225b)의 일측면에는 제2 실린더(223b)의 피스톤이 상승될 경우 착탈식 결합끈(21)의 상면에 가압되는 곡선 형상의 제2 가압면(2251b)이 형성된다.
착탈식 결합끈(21)을 통해 덕트(2a)를 지지판(11)에 고정함에 있어서, 제1 가압부(224b)로 착탈식 결합끈(21)의 일측을 가압하여 팽팽한 상태로 만들 수 있고, 착탈식 결합끈(21)의 상측이 제2 가압부(225b)를 가압하면서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만들 수 있어, 덕트(2a)가 지지판(11)에서 유동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압면(2241b) 및 제2 가압면(2251b)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착탈식 결합끈(21)의 가압부분이 과도하게 절곡되지 않고, 원만한 곡선형태로 팽팽해지면서 덕트(2a)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에어포켓(226b) 및 제2 에어포켓(227b)은 제1 가압부(224b) 및 제2 가압부(225b)가 메꾸지 못한 공간을 메꾸는 구성이다.
제1 에어포켓(226b)은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에어포켓(226b)의 일측에는 에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된다.
제1 에어포켓(226b)은 에어가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튜브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에어포켓(226b)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본체부(221b)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1 에어포켓(226b)은 제1 가압부(224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다.
제2 에어포켓(227b)은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 에어포켓(227b)의 일측에도 에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된다.
제2 에어포켓(227b)은 에어가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튜브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에어포켓(227b)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본체부(221b)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2 에어포켓(227b)은 제2 가압부(225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다.
에어공급부는 지지판(11)에 탑재된다.
에어공급부는 에어펌프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에어포켓(226b)과 제2 에어포켓(227b)에 각각 에어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공지의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공급부는 2개로 적용되어 제1 에어포켓(226b)과 제2 에어포켓(227b)에 각각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전술한 제어판넬에는 제1 에어포켓(226b)에 각각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버튼과, 제1 에어포켓(226b)에서 에어를 회수하기 위한 제1 회수버튼과, 제2 에어포켓(227b)에 각각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버튼과, 제2 에어포켓(227b)에서 에어를 회수하기 위한 제2 회수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공급버튼을 눌러 제1 에어포켓(226b)에 에어를 공급하여 팽창시킬 수 있고, 제1 회수버튼을 눌러 제1 에어포켓(226b)에서 에어를 회수하여 수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공급버튼을 눌러 제2 에어포켓(227b)에 에어를 공급하여 팽창시킬 수 있고, 제2 회수버튼을 눌러 제2 에어포켓(227b)에서 에어를 회수하여 수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공급버튼과 제2 공급버튼을 통해 제1 에어포켓(226b)과 제2 에어포켓(227b)에 각각 에어를 적절히 공급하여 착탈식 결합끈(21)의 일정영역이 제1 에어포켓(226b)과 제2 에어포켓(227b)에 밀착시키면 된다.
이러한 제1 에어포켓(226b)과 제2 에어포켓(227b) 및 에어공급부를 통해 착탈식 결합끈(21)의 접촉, 밀착 면적을 더욱 넓혀서, 착탈식 결합끈(21)이 덕트(2a)를 지지판(11)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급버튼과 제1 회수버튼과 제2 공급버튼 및 제2 회수버튼을 통해 제1 에어포켓(226b)과 제2 에어포켓(227b)에 주입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여 제1 에어포켓(226b) 및 제2 에어포켓(227b)의 팽창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길이의 단일 착탈식 결합끈(21) 만으로 다양한 직경의 덕트(2a)를 모두 지지판(11)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1)에 적용된 진공 발생기에 대해 설명한다.
진공 발생기는 압축공기의 유입으로 형성된 진공을 이용하여 덕트(2a)에 배기가스를 흡인하기 흡인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압축공기는 예를 들어 에어콤프레셔 등에서 생산되는 5bar 이상의 압력을 갖는 압축공기가 이용될 수 있다.
진공 발생기는 프로브(30)와 함께 덕트(2a)에 적용된다.
그리고, 검사장치(2)는 측정챔버(40) 및 농도센서(60)를 포함하며, 측정챔버(40)가 연결관(70)을 매개로 프로브(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진공발생기(50)도 연결관(70)을 매개로 측정챔버(40)와 연결된다.
연결관(70)은 일단이 프로브(30)에 결합되어 프로브(30)에 형성된 흡입홀을 통해 흡인된 배기가스를 덕트(2a)로 우회시킨다.
프로브(30)는 일단이 막힌 중공형 배관의 외주면에 복수의 흡인홀(30a)이 형성된다.
또한, 프로브(30)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덕트(2a)의 일측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프로브(30)의 길이는 덕트(2a)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덕트(2a) 내부의 균일한 배기가스 흡인을 위해 덕트(2a) 길이방향의 중심까지 형성될 수 있다.
측정챔버(40)는 연결관(70) 상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농도센서(60)가 위치한다. 또한 측정챔버(40)는 연결관(70)을 통과한 흡인된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즉, 연결관(70)을 통과한 흡입된 배기가스가 측정챔버(40)에 포집되며 흡인된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농도센서(60)로 측정 할 수 있다.
진공 발생기(50)는,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51)와, 노즐(54) 및 진공발생 유로(55)를 포함할 수 있다.
체적으로, 바디(51)는 배기가스 유입구(52)와 압축공기 유입구(511)및 배출구(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51)의 일단에는 흡인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배기가스 유입구(52)가 형성된다.
바디(51)의 일측에는 압축공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511)가 형성된다.
배기가스 유입구(52)와 대향하는 바디(51)의 타단에는 흡인된 배기가스와 유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53)가 형성된다.
노즐(54)은 중공형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바디(51)의 내부에 위치한다.
노즐(54)은 배기가스 유입구(52)를 통해 흡인된 배기가스가 통과할 수 있게 안내한다.
진공발생 유로(55)는 압축공기 유입구(511)와 배출구(53)를 연결하는 경로 상에서 노즐(54)의 외주면과 바디(51)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다.
진공발생 유로(55)는 압축공기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가 바디(51) 내주면과 노즐(54)의 외주면 사이를 통과하는 통로이다.
즉, 압축공기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는 노즐(54)의 외주면과 바디(51)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진공발생 유로(55)를 따라 나선 형태로 회전하며 노즐(54)의 일단과 바디(51) 사이에 형성된 환상의 좁은 면적의 진공발생 유로(55)를 통과하며 유속 증가에 따른 압력강하에 의해 진공을 형성한다.
형성된 진공에 의해 흡인력이 발생하며, 흡인력은 덕트(2a)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프로브(30)에 형성된 복수의 흡인홀(30a)을 통해 흡인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1)은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효과적으로 측정 가능하다.
즉, 압축공기의 유입으로 형성된 진공을 이용하는 진공발생기(50)를 포함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펌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다.
또한, 진공발생 유로(55)의 일단에 형성되는 진공에 의해 배기가스가 흡인되기 때문에 덕트(2a)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와류와 같은 불균일한 흐름의 유동을 가져도 진공발생기(50)의 흡인력에 의해 프로브(30)에 형성된 복수의 흡인홀(30a)을 통해 흡인될 수 있어, 덕트(2a)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균일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1)에 적용된 높낮이 조절부(8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높낮이 조절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높낮이 조절부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이다.
높낮이 조절부(80)는 덕트(2a)의 선단영역에 위치되며 검사 대상 자동차의 배기구(3)에 연결되는 연결구(2b)의 높이를 검사 대상 자동차의 배기구(3) 높이에 대응되게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높낮이 조절부(80)는 장착링(81), 브라켓(82), 가지부(83), 연결바(84), 승강실린더(85) 및 견인대차부(86)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링(81)은 복수개로 적용되어 닥트의 연결구(2b)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된다.
장착링(81)은 후술되는 브라켓(82)이 장착될 수 있도록 금속이나 자석재질로 형성된다.
브라켓(82)은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링(81)의 하부 일정영역을 각각 감싼다.
브라켓(82)은 장착링(81)에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된다.
브라켓(82)은 장착링(81)이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장착링(81)과 반대극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지부(83)는 브라켓(82)들의 저면에 각각 수직결합된다.
연결바(84)는 수평 형태로 배치된다. 가지부(83)들은 저면이 연결바(84)의 상면에 볼트나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가지들은 연결바(84)를 매개로 일체로 연결된다.
승강실린더(85)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견인대차부(86)에는 승강실린더(85)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탱크가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견인대차부(86)에는 승강실린더(85)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버튼과, 승강실린더(85)에서 유압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버튼이 구비된 제어판넬(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버튼을 누르면 승강실린더(85)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고, 회수버튼을 누르면 승강실린더(85)에서 유압을 회수할 수 있다.
승강실린더(85)에 유압이 공급되면 피스톤이 연결바(84)를 상승시킨다. 연결바(84)가 상승되면 가지부(83), 브라켓(82), 장착링(81) 및 연결구(2b)가 일률적으로 상승된다.
승강실린더(85)에서 유압이 회수되면 피스톤이 연결바(84)를 하강된다. 연결바(84)가 하강되면 가지부(83), 브라켓(82), 장착링(81) 및 연결구(2b)가 일률적으로 하강된다.
이때, 공급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만 승강실린더(85)에 유압이 공급되어 피스톤이 상승되고, 공급버튼을 누르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실린더(85)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회수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만 유압탱크로 유압이 회수되고, 회수버튼을 누르지 않을 경우에는 유압탱크로 유압이 회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공급버튼 또는 회수버튼을 통해 피스톤을 조절하여 배기구(3)에 대한 연결구(2b)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구(2b)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경우, 작업자가 덕트(2a)의 선단 부분을 힘들게 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검사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높낮이 조절부(80)가 덕트(2a)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덕트(2a)에 연결구(2b)를 연결하였을 경우, 배기구(3)에 연결구(2b)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기가스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배기구(3)와 연결구(2b)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견인대차부(86)는 승강실린더(85)가 탑재되는 구성이다.
견인대차부(86)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승강실린더(85)가 상면에 설치되는 부가 지지판(861) 및 부가 지지판(861)의 저면 각 모서부리 부분에 결합되며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복수개의 부가 롤러(8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롤러(12)는 견인대차부(86)의 방향 전환이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가 지지판(861)의 저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자동차와 덕트(2a)가 동일선상에 위치되지 아니하더라도 이송대차부(10)의 방향을 전환하여 자동차로 덕트(2a)를 용이하게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견인대차부(86)는 이송대차부(10)보다 앞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견인대차부(86)를 이동시키면 이송대차부(10)가 견인대차부(86)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구(2b), 덕트(2a)를 동시에 배기구(3)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1)에 적용된 소독약 분사부(9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소독약 분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소독약 분사부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소독약 분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가변부를 도시한 도이다.
소독약 분사부(90)는 검사 대상 자동차의 질소산화물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의 출입구에 배치되어, 작업자, 검사 대상자 자동차의 주인 등에게 소독약을 분사한다.
따라서, 작업자나 차주는 소독약 분사부를 통해 신체를 소독한 후 출입구를 통해 검사장으로 들어가게 된다.
구체적으로, 소독약 분사부(90)는 메인 분사본체부(91)와, 메인 저장탱크(92)와, 메인 펌프(93)와, 수평방향 이송실린더(94)와, 서브 분사본체부(95)와, 서브 저장탱크(96) 및 서브 펌프(97)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분사본체부(91)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메인 분사본체부(91)의 전면에는 메인 분사수단(911)을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노출홀이 형성된다.
메인 분사수단(911)은 소독약을 피검사자에게 분사시키는 것으로, 호스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분사수단(911)에는 소독약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54)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분사노즐(54)은 소독약을 미립자 상태나 연무형태로 분사할 수 있는 모델로 적용될 수 있다.
메인 분사수단(911)은 소독약을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홀은 모든 메인 분사수단(911)들을 노출시키도록 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분사수단(911)은 메인 분사 본체부(221b)에 수직, 수평 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분사수단(911)은 각 열마다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저장탱크(92)는 메인 분사본체부(9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액상의 소독약이 저장된다.
이때, 소독약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독약제 제품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펌프(93)는 펌핑 작동을 통해 메인 저장탱크(92) 내의 소독약을 배출한다.
메인 펌프(93) 및 메인 분사수단(911)은 관이나 호스로 형성되는 연결라인(L1)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펌프(93)가 펌핑 작동되면 메인 저장탱크(92) 내의 소독약은 연결라인(L1)을 통해 메인 분사수단(911)으로 공급되어 피검사자에게 분사된다.
수평방향 이송실린더(94)는 메인 분사본체부(91)의 후면에 설치된다.
수평방향 이송실린더(94)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수평방향 이송실린더(94)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분사본체부(95)는 메인 분사본체부(91)와 동일한 길이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분사본체부(95)는 메인 분사본체부(91)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분사본체부(95)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서브 분사본체부(95)의 전면에는 서브 분사수단(951)을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노출홀이 형성된다.
서브 분사수단(951)은 소독약을 피검사자에게 분사시키는 것으로, 호스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분사수단(951)에는 소독약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54)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분사노즐(54)은 소독약을 미립자 상태나 연무형태로 분사할 수 있는 모델로 적용될 수 있다.
서브 분사수단(951)은 소독약을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홀은 모든 서브 분사수단(951)들을 노출시키도록 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분사수단(951)은 메인 분사 본체부(221b)에 수직, 수평 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분사수단(951)은 각 열마다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분사본체부(95)는 수평방향 이송실린더(94)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메인 분사본체부(91)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전개될 수 있다.
서브 저장탱크(96)는 서브 분사본체부(95)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액상의 소독약이 저장된다.
서브 펌프(97)는 펌핑 작동을 통해 서브 저장탱크(96) 내의 소독약을 배출한다.
서브 펌프(97) 및 서브 분사수단(951)은 관이나 호스로 형성되는 서브 연결라인(L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서브 펌프(97)가 펌핑 작동되면 서브 저장탱크(96) 내의 소독약은 연결라인(L1)을 통해 메인 분사수단(911)으로 공급되어 피검사자에게 분사된다.
전술한 수평방향 이송실린더(94)를 통해 서브 분사본체부(95)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메인 분사본체부(91)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전개한 후, 메인 펌프(93) 및 서브 펌프(97)를 작동시키면 메인 분사수단(911) 및 서브 분사수단(951)이 동시에 소독약을 분사하게 된다.
즉, 메인 분사본체부(91) 및 메인 분사수단(911)을 통해 어느 한명의 피검사자에게 소독약을 분사하고, 한 쌍의 서브 분사본체부(95) 및 서브 분사수단(951)을 통해 두명의 피검사자에게 소독약을 분사하면, 결국 한번에 세명의 피검사자에게 소독약을 분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하 피검사자들이 몸을 소독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나아가, 메인 분사본체부(91)와, 메인 분사수단(911)과, 서브 분사본체부(95) 및 서브 분사수단(951)을 통해 작업자나 차주 등 여러명에게 소독약을 동시에 분사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로 인해 여러명이 검사장으로 신속히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독약 분사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평방향 이송실린더(86)를 제어하여 한 쌍의 서브 분사본체부(95)를 가깝게 하면 크기를 축소할 수 있어 검사장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감지부(100)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100)는 메인 분사본체부(91)의 전면 상측에 설치되어 메인 분사본체부(91)의 전방으로 접근한 인체를 감지할 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메인 펌프(93) 및 서브 펌프(97)를 작동시켜 소독약이 피검사자에게 분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감지부(100)를 통해 메인 분사본체부(91)의 전방에 사람이 위치한 경우에만 소독약을 분사할 수 있다.
한편, 가변부(110)는 메인 분사본체부(91) 및 서브 분사본체부(95)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켜 분사되는 소독약의 분사방향을 가변시키는 구성이다.
가변부(110)는 지지부(111)와, 흡수패드(112)와, 타격바(113)와, 수용부(114)와, 코일스프링(115)과, 연결바(116)와, 맞물림바(117)와, 후진실린더(118)와, 상승실린더(119) 및 간격조절실린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탄성부(1111) 및 안착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1111)는 메인 분사본체부(91)의 저면을 지지한다.
탄성부(1111)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111)는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메인 분사본체부(91)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킨다.
탄성부(1111)는 'C'자 단면 형상이나 파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안착부(1112)는 탄성부(1111)의 저면에 결합된다.
안착부(1112)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면에 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흡수패드(112)는 메인 분사본체부(91)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흡수패드(112)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타격바(113)로부터 가해지는 타격력을 흡수한다.
수용부(114)는 흡수패드(112)와 마주하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타격바(11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부(114)의 상면에는 연결바(116)의 전,후진을 가이드하기 위한 전,후진 가이드홀(114a)이 장방향으로 형성된다.
코일스프링(115)은 수용부(114)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코일스프링(115)은 수용부(114)의 개방된 부분과 마주하는 끝부분이 타격바(113)의 끝부분과 결합된다.
연결바(116)는 타격바(113)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정영역이 전,후진 가이드홀(114a)을 통과하여 수용부(114)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절곡형 몸체로 형성된다.
맞물림바(117)는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부(114)의 상측에서 연결바(116)와 맞물린다.
후진실린더(118)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후진실린더(118)는 타격바(113)가 후진되면서 코일스프링(115)을 압축시키도록 연결바(116)를 후진시킨다.
상승실린더(119)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상승실린더(119)는 타격바(113)가 후진된 상태에서 맞물림바(117)가 연결바(116)의 상측으로 이탈되도록 후진실린더(118)를 상승시킨다.
간격조절실린더(120)는 타격바(113)가 흡수패드(112)와 간격조절되도록 수용부(114)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간격조절실린더(120)는 지면에 안착되는 고정대(미도시)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가변부(110)의 작동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감지부(100)는 메인 분사본체부(91)의 전방으로 접근한 인체를 감지할 시 메인 펌프(93) 및 서브 펌프(97)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후진실린더(118)와 상승실린더(119) 및 간격조절실린더(120)를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작동시킨다.
이후, 간격조절실린더(120)의 피스톤이 전진하여 타격바(113)를 흡수패드(112)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이후에, 상승실린더(119)가 후진실린더(118)를 상승시켜 연결바(116)에 맞물려있는 맞물림바(117)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115)이 팽창되면서 연결바(116) 및 타격바(113)가 함께 전진되고, 결국 타격바(113)가 흡수패드(112)를 타격한다.
간격조절실린더(120)는 상승실린더(119)가 후진실린더(118)를 상승시키는 시점에 수용부(114)를 후진시켜 타격바(113)를 흡수패드(112)에서 이격시킴으로써, 탄성부(1111)가 탄성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메인 분사본체부(91) 및 서브 분사본체부(95)가 좌,우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요동되어, 메인 분사본체부(91) 및 서브 분사본체부(95)에서 분사되는 소독약의 분사 범위가 메인 분사본체부(91) 및 서브 분사본체부(95)의 요동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확산된다.
이와 같은 경우, 메인 분사본체부(91) 및 서브 분사본체부(95)의 전방에 3명~5명이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서있더라도, 3명 ~ 5명 모두에게 소독약을 고루게 분사할 수 있다.
즉, 한번에 여러명에게 소독약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어, 소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간격조절실린더(120)가 수용부(114)를 후진시키는 과정 또는 후진시킨 상태에서는, 후진실린더(118)의 피스톤이 전진되어 연결바(116)에서 이탈되어 있던 맞물림바(117)를 연결바(116)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승실린더(119)가 후진실린더(118)를 하강시켜 맞물림바(117)가 연결바(116)와 맞물리게 한다.
이후에, 후진실린더(118)가 맞물림바(117)를 후진시켜 타격바(113)를 후진시킨다.
이로 인해 코일스프링(115)이 다시 압축되어, 타격바(113)는 장전된 상태 즉, 흡수패드(112)를 타격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메인 분사본체부(91) 및 서브 분사본체부(95)의 전방에 새롭게 위치된 다른 피검사자들에게 소독약을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소독약 분사부(90) 및 가변부(110)는 검사장의 출입구 대신 지지판(11)과 일체로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판(11)의 일측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판(미도시)을 결합하고, 설치판의 상면에 소독약 분사부 및 가변부를 나란하게 설치하면 된다.
이때, 설치판의 일측면에는 지지판(11)의 일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커플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판(11)의 가장자리 상면과 저면 및 측면을 동시에 감싼 상태에서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판의 저면 각 모서리 부분에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12)가 설치될 수 있다.
설치판의 롤러도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
10 : 이송대차부 11 : 지지판
11a : 고리 12 : 롤러
20 : 고정부 21 : 착탈식 결합끈
21a : 후크 22a, 22b : 메꿈부
221a : 베이스 222a : 포켓부
221b : 본체부 2211b : 제1 수용홈
2212b : 제2 수용홈 222b : 제1 실린더
223b : 제2 실린더 224b : 제1 가압부
2241b : 제1 가압면 225b : 제2 가압부
2251b : 제2 가압면 226b : 제1 에어포켓
227b : 제2 에어포켓 30 : 프로브
30a : 흡인홀 40 : 측정챔버
50 : 진공발생기 51 : 바디
511 : 압축공기 유입구 52 : 배기가스 유입구
53 : 배출구 54 : 노즐
55 : 진공발생 유로 60 : 농도센서
70 : 연결관 80 : 높낮이 조절부
81 : 장착링 82 : 브라켓
83 : 가지부 84 : 연결바
85 : 승강실린더 86 : 견인대차부
861 : 부가 지지판 862 : 부가 롤러
90 : 소독약 분사부 91 : 메인 분사본체부
911 : 메인 분사수단 92 : 메인 저장탱크
93 : 메인 펌프 94 : 수평방향 이송실린더
95 : 서브 분사본체부 951 : 서브 분사수단
96 : 서브 저장탱크 97 : 서브 펌프
100 : 감지부 110 : 가변부
111 : 지지부 1111 : 탄성부
112 : 안착부 112 : 흡수패드
113 : 타격바 114 : 수용부
114a : 전,후진 가이드홀 115 : 코일스프링
116 : 연결바 117 : 맞물림바
118 : 후진실린더 119 : 상승실린더
120 : 간격조절실린더

Claims (3)

  1.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혼합된 질소산화물 농도를 검사하는 검사장치에 마련된 덕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대차부;
    상기 이송대차부에 상기 덕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덕트의 선단영역에 위치되며 검사 대상 자동차의 배기구에 연결되는 연결구의 높이를 검사 대상 자동차의 배기구 높이에 대응되게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상기 검사 대상 자동차의 질소산화물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의 출입구에 배치되며, 인체에 소독약을 분사하는 소독약 분사부;
    상기 소독약 분사부의 전방으로 접근한 인체를 감지할 경우 상기 소독약이 분사되도록 상기 소독약 분사부를 작동시키는 감지부; 및
    상기 소독약 분사부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켜 분사되는 소독약의 분사방향을 가변시키는 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덕트의 일정영역을 감싸며 상기 이송대차부에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착탈식 결합끈; 및
    상기 이송대차부에 탑재된 덕트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착탈식 결합끈과 상기 덕트 사이의 빈 공간을 메꾸는 메꿈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꿈부는,
    상기 이송대차부에 탑재되고, 상기 착탈식 결합끈과 마주하는 일측면 및 상면에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이 각각 형성된 본체부;
    상기 제1 수용홈과 제2 수용홈에 각각 수용되는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일측면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되며, 일단에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곡선 형상의 제1 가압면이 형성된 제1 가압부;
    상기 제2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상측을 향해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단에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상측에 의해 가압되는 곡선 형상의 제2 가압면이 형성된 제2 가압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에어주입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제1 에어포켓;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에어주입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착탈식 결합끈의 상측을 가압하는 제2 에어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덕트의 연결구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착링;
    상기 장착링의 하부 일정영역을 각각 감싸면서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들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가지부;
    상기 가지부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구를 검사 대상 자동차의 배기구 높이에 일치시키도록 상기 연결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가 탑재되며 상기 이송대차부를 견인하는 견인대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약 분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메인 분사본체부;
    상기 메인 분사수단을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액상의 소독약이 저장된 메인 저장탱크;
    상기 메인 저장탱크 내의 소독약을 상기 메인 분사수단에 공급하는 메인 펌프;
    상기 메인 분사본체부의 후면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방향 이송실린더;
    상기 수평방향 이송실린더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서로 멀어지게 전개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서브 분사본체부;
    상기 서브 분사수단을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액상의 소독약이 저장된 서브 저장탱크; 및
    상기 서브 저장탱크 내의 소독약을 상기 서브 분사수단에 공급하는 서브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메인 분사본체부의 저면을 지지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저면에 결합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메인 분사본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흡수패드;
    상기 흡수패드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타격바;
    내부에 상기 타격바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전,후진 가이드홀이 장방향으로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타격바와 결합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타격바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정영역이 상기 전,후진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수용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절곡형 몸체로 형성된 연결바;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서 연결바와 맞물리는 맞물림바;
    상기 타격바가 후진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키도록 상기 연결바를 후진시키는 후진실린더;
    상기 타격바가 후진된 상태에서 상기 맞물림바가 상기 연결바의 상측으로 이탈되도록 상기 후진실린더를 상승시키는 상승실린더; 및
    상기 타격바가 상기 흡수패드와 간격조절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간격조절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바가 연결바에서 이탈될 경우 상기 타격바가 전진되어 상기 흡수패드를 타격하고, 상기 타격바가 흡수패드를 타격할 경우 상기 타격바가 흡수패드와 이격되도록 간격조절실린더가 상기 수용부를 후진시켜, 상기 메인 분사본체부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되는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압축공기의 유입으로 형성된 진공을 이용하여 상기 덕트에 배기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력을 제공하는 진공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
  3. 삭제
KR1020210169893A 2021-12-01 2021-12-01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 KR10240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893A KR102402060B1 (ko) 2021-12-01 2021-12-01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893A KR102402060B1 (ko) 2021-12-01 2021-12-01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060B1 true KR102402060B1 (ko) 2022-05-25

Family

ID=8180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893A KR102402060B1 (ko) 2021-12-01 2021-12-01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0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981B1 (ko) * 2006-12-29 2007-10-31 주식회사 오토기기 차량의 배기가스 집진관용 받침장치
KR20140004209U (ko) * 2012-12-28 2014-07-09 두산엔진주식회사 배기가스 측정장치
KR101553087B1 (ko) 2008-01-14 2015-09-1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후처리 시스템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981B1 (ko) * 2006-12-29 2007-10-31 주식회사 오토기기 차량의 배기가스 집진관용 받침장치
KR101553087B1 (ko) 2008-01-14 2015-09-1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후처리 시스템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장치
KR20140004209U (ko) * 2012-12-28 2014-07-09 두산엔진주식회사 배기가스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5986B2 (en) All-air vehicle lifting jack
US9126773B2 (en) Machine, a system, and a method for suctioning powders and granular materials
CN108018816B (zh) 一种市政施工用降尘洒水车
ATE443020T1 (de) Saugschlauchhe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wegen einer last mit einem saugschlauchheber
US9975747B1 (en) Jack with floating platform
US3802732A (en) Roof raising device for recreational vehicle
JP2009526722A (ja) 荷重を持ち上げるための持ち上げ装置
KR102402060B1 (ko) 자동차 배기구 검사 시스템
CN205888474U (zh) 一种管道组对装置
CN108699795A (zh) 用于引导和支撑基础部件的具有多个导向机构的支架
CN105588686B (zh) 一种测试大口径球阀密封效果的试验设备
KR100947998B1 (ko) 차량용 휠 세척장치
CN209277279U (zh) 一种渠道清污装置
CN109029854A (zh) 一种激光切割用气密性检测舱
JP6137720B1 (ja) 液体噴出装置及び液体噴出方法
JP2004019175A (ja) 清掃車両の洗浄ノズル移動装置
KR100980118B1 (ko) 변압기 방열판 자동세정장치
CN109029855A (zh) 一种激光切割用气密性检测设备
CN102553876A (zh) 一种自动伸缩式收烟装置
CN105197832B (zh) 用于飞行器发动机的维护随动系统
JP5328831B2 (ja) 被試験車両用排ガス吸引装置
CN206434970U (zh) 一种低压布袋除尘器用清灰装置
CN206095527U (zh) 用于消声器、催化器的气密性检测设备
CN220594876U (zh) 高能射线检测工装行走机构
CN105905313B (zh) 一种大型运输机整体地板安装平台及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