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806B1 - 하이브리드 정전척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정전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806B1
KR102401806B1 KR1020210141333A KR20210141333A KR102401806B1 KR 102401806 B1 KR102401806 B1 KR 102401806B1 KR 1020210141333 A KR1020210141333 A KR 1020210141333A KR 20210141333 A KR20210141333 A KR 20210141333A KR 102401806 B1 KR102401806 B1 KR 10240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layer
electrostatic chuck
coating layer
monop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근
이동수
민사범
김영인
이은성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스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스타텍 filed Critical (주)코리아스타텍
Priority to KR102021014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Devices for holding work using magnetic or electric force acting directly on the 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3/00Clutches or holding devices using electrostatic attraction, e.g. using Johnson-Rahbek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정전척에 관련되며, 이때 하이브리드 정전척은 진공환경, 대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척킹력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글라스 대형화에 따른 가공공정 설비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특히, 진공챔버내에서 모노폴라 전극층과 바이폴라 전극층이 복합적으로 활성화되어 냉각가스 리크(Leak) 현상을 긴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단일의 베이스기판(10) 상에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이 적층 배치되는 것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정전척 {Hybrid electrostatic chuck}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정전척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환경, 대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척킹력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글라스 대형화에 따른 가공공정 설비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특히, 진공챔버내에서 모노폴라 전극층과 바이폴라 전극층이 복합적으로 활성화되어 냉각가스 리크(Leak) 현상을 긴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정전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한 그 기반이 되는 판을 기판이라 하고, 커다란 기판을 '원장(마더글래스)' 이라 부른다. 그 크기에 따라 '세대(Generation)' 를 구분하게 된다. OLED나 LCD는 커다란 원장을 놓고 그 위에 여러 공정을 거치면서 패널을 제조하며, 패널은 사이즈별로 각각 따로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 한 장의 원장에서 제조된 패널을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제작한다.
그리고, 패널 생산이 되는 원장의 사이즈를 '세대(Generation)'라 하며, 정해진 규격은 없다. 그로 인해, 패널 생산업체(LGD, SDC, BOE등)에 따라 원장세대의 크기는 조금 다르고, 원장의 크기는 세대가 올라갈 수록 커지며, 세대가 커질수록 1장의 원장으로 만들수 있는 패널의 개수나 크기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세대가 커질수록 제조설비 비용은 많이 들지만, 동일 공정을 통하여 1세대(270*360)의 패널을 10.5세대에서는 100개 생산할 수 있는 생산면적을 가지게 되므로, 설비투자를 통해 사이즈가 더 큰 패널을 생산하여 생산량을 늘릴수 있다.
즉, 8.5세대의 LCD 패널을 생산시 65인치 TV패널을 3장 만들수 있지만, 10.5세대에서는 65인치 TV패널을 8장 만들 수 있어, 제작수량의 차이는 급격하게 차이가 나기에, 적합한 사이즈가 아닌 경우는 패널의 면취효율이 낮아진다. 현재, LCD는 국내에선 8.5세대 생산라인이 최대지만, 중국은 10.5세대 생산라인과 낮은 인건비로 결국 LCD 산업이 중국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하지만, LCD 대비 고도의 제조기술을 요하는 OLED제품은 중소OLED 시장은 SDC가 80%이상을 차지하고, 대형OLED 시장은 LGD가 90%를 차지하고 있다. 점점 OLED의 Glass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후발주자의 추격이 시작됨에 따라 세대를 높여 보다 많은 생산량으로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OLED의 경우 6세대에서 8 or 8.5세대로 사이즈를 증가시키려 하다보니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그중 8세대의 대형 패널 생산을 위한 대형 장비 개발에 어려움으로 인해 아직 양산화 및 대형화에 성공하지 못한 상태이고, 이를 위해서는 정밀한 제어에 맞는 보다 척킹력과 성능이 향상된 정전척(ESC)의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종래에 정전척은 Mono Polar ESC와 Bi Polar ESC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8세대 이상의 대형 OLED 제조공정에 적용시, Bi-Polar ESC는 냉각효율이 낮고, 이로 인해 Glass의 위치별 온도편차를 낮추기 위해 Mono Polar ESC와 같은 GAS 냉각방식이 필요하나, Mono Polar ESC의 경우 진공환경에서 작동되므로 대기중에서 사용이 불가하고, Sputter공정과 같이 이동이 필요한 공정에 맞춰, 대기환경에서 사용가능한 Bi-Polar 기능을 복합적으로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이처럼, Mono Polar ESC의 경우, 플라즈마등의 가스가 주입된 특정환경내에서만 작동하기에, 공정준비 과정 및 이동중에서는 Bi-Polar ESC의 역할로 Glass를 척킹하고, 실제 Sputter 공정에서 Mono Polar ESC를 작동시켜 가스냉각에도 Leak가 발생하지 않고 공정에 사용 할수 있는 조건의 신규 ESC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10-1934340 B1 (2018.12.26.) KR 10-2024528 B1 (2019.09.18.)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진공환경, 대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척킹력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글라스 대형화에 따른 가공공정 설비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특히, 진공챔버내에서 모노폴라 전극층과 바이폴라 전극층이 복합적으로 활성화되어 냉각가스 리크(Leak) 현상을 긴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정전척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단일의 베이스기판(10) 상에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이 절연코팅층에 의해 절연처리되도록 적층 배치되고,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모노폴라 정전척 기능과 바이폴라 정전척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정전척은, 하부코팅층(20)에 의해 표면이 절연처리되는 베이스기판(10); 상기 하부코팅층(20) 상에 형성되어 모노폴라 정전척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모노폴라 전극층(100);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 상면을 전연 처리하도록 구비되는 중간코팅층(30); 상기 중간코팅층(30) 상면에 형성되어 바이폴라 정전척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바이폴라 전극층(200); 및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 상면에 코팅되어 피가공물인 글라스(G)를 안착 지지하고, 표면에 냉각가스가 충진되는 엠보층(4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부에 댐층(43)이 구비되는 상부코팅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은 베이스기판(10) 가장자리부를 포함한 전 면적에 대해서 형성되어 댐층(43)과 대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척킹력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은 모노폴라 전극층(100)을 활성화할 수 없는 대기상태 및 진공상태에서 활성화되어 글라스(G) 척킹력이 발생되고,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은 글라스(G) 가공공정이 수행되는 진공챔버 내에서 활성화되어 엠보층(42) 내에 냉각가스 압력 대비 증가된 척킹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에 진공의 가공공정 작동상태에서 (+)(-) 전원을 인가하여 바이폴라 정전척을 동작하고 동시에 모노폴라 정전척을 사용하는 방법과,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동일하게 단일전원을 인가하여 바이폴라 전극층(200)을 모노폴라 정전척으로 전환하여 동시에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코팅층(30)은 250~45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코팅층(40)은 100~25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코팅층(30)과 상부코팅층(40) 표면에 에폭시, 실리콘, 아크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실링제를 이용하여 실링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코팅층(20)과 중간코팅층(30)은 비저항값이 1014~ 1018(Ω.㎝)인 세라믹층(Layer)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코팅층(40)은 비저항값이 109~ 1015(Ω.㎝)인 세라믹층(Layer)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진공환경, 대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척킹력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글라스 대형화에 따른 가공공정 설비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특히, 진공챔버내에서 모노폴라 전극층과 바이폴라 전극층이 복합적으로 활성화되어 냉각가스 리크(Leak) 현상을 긴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정전척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정전척의 모노폴라 전극층과 바이폴라 전극층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정전척의 모노폴라 전극층과 바이폴라 전극층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정전척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정전척의 모노폴라 전극층과 바이폴라 전극층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정전척의 모노폴라 전극층과 바이폴라 전극층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정전척에 관련되며, 이때 하이브리드 정전척은 진공환경, 대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척킹력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글라스 대형화에 따른 가공공정 설비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특히, 진공챔버 내에서 모노폴라 전극층과 바이폴라 전극층이 복합적으로 활성화되어 냉각가스 리크(Leak) 현상을 긴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단일의 베이스기판(10) 상에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이 적층 배치되는 것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정전척은 단일의 베이스기판(10) 상에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이 절연코팅층에 의해 절연처리되도록 적층 배치된다.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은 진공챔버 내에 (-)환경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척킹력이 발생되는 모노폴라 정전척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은 2종의 전극 패턴으로 구비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척킹력이 발생되는 바이폴라 정전척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은 적층 구조로 형성되어 절연코팅층에 의해 절연처리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모노폴라 정전척 기능과 바이폴라 정전척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도록 구비된다.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정전척은, 하부코팅층(20)에 의해 표면이 절연처리되는 베이스기판(10); 상기 하부코팅층(20) 상에 형성되어 모노폴라 정전척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모노폴라 전극층(100);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 상면을 전연 처리하도록 구비되는 중간코팅층(30); 상기 중간코팅층(30) 상면에 형성되어 바이폴라 정전척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바이폴라 전극층(200);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 상면에 코팅되어 피가공물인 글라스(G)를 안착 지지하고, 표면에 냉각가스가 충진되는 엠보층(4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부에 댐층(43)이 구비되는 상부코팅층(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간코팅층(30)은 250~450㎛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코팅층(30)은 바이폴라 전극층(100)과 모노폴라 전극층(200) 사이를 절연하는 구성으로, 두께가 250㎛ 미만이면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을 동시에 작동시킬때, 두 전극층간의 절연파괴현상과 전기적 간섭현상이 발생하며, 450㎛를 초과하는 경우 모노폴라 전극층(100)의 척킹력이 저하되어 냉각가스의 리크(Leak)현상이 발생되므로 2torr 이상의 높은 가스압력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코팅층(40)은 100~250㎛ 두께로 형성된다.
상부코팅층(40)은 바이폴라 전극층(200)의 척킹력을 대변하기에, 두께에 따라 바이폴라 전극층(200)의 척킹력이 결정된다. 한편, 상기 상부코팅층(40) 두께가 100㎛ 미만인 경우 절연파괴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250㎛를 초과하는 경우 바이폴라 전극층(200)의 척킹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코팅층(30)과 상부코팅층(40) 표면에 에폭시, 실리콘, 아크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실링제를 이용하여 실링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을 형성하기 전, 중간코팅층(30)이 완료되면 모노폴라 전극층(100)의 절연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차 실링을 진행한다. 이때 모노폴라 전극층(100)의 절연특성을 높이기 위해 하부코팅층(20) 표면에도 실링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상부코팅층(40)을 코팅한 후, 2차 실링을 진행하여 바이폴라 전극층(200)의 절연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중간코팅층(30), 상부코팅층(40)은 용사층으로 형성되어 3~5%정도의 빈공간인 기공층을 내포하고 있기에, 액상형 실링제를 기공부에 침투시켜 기공을 메워주는 실링처리를 진행하므로 전기적 절연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하부코팅층(20)과 중간코팅층(30)은 비저항값이 1014~ 1018(Ω.㎝)인 세라믹층(Layer)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코팅층(40)은 비저항값이 비저항값이 109~ 1015(Ω.㎝)인 세라믹층(Layer)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코팅층(20)과 중간코팅층(30)은 비교적 높은 비저항값을 가진 세라믹층(Layer)으로 형성되어 층간 절연특성을 최대한 높게 제어하는바, 바이폴라 전극층(200)을 절연하는 상부코팅층(40)은 비저항값이 비교적 낮은 세라믹 재료하는바, 각코팅층의 절연재료를 다르게 사용하는 이유는, 모노폴라 전극층(100)는 높은 절연특성에 따라 척킹력이 상승하고, 바이폴라 전극층(200)는 낮은 절연특성에 따라 척킹력이 상승하기에 절연파괴의 위험성에 대응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비저항값을 제어하여 적층형 ESC의 척킹력을 제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은 도 3 (a)처럼 모노폴라 전극층(100)을 활성화할 수 없는 대기상태 및 진공상태에서 활성화되어 글라스(G) 척킹력이 발생되고,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은 도 3 (b)와 같이 글라스(G) 가공공정이 수행되는 진공챔버 내에서 활성화되어 엠보층(42) 내에 냉각가스 압력 대비 증가된 척킹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이 적층 구조로 단일의 정전척을 구성함에 따라 글라스를 가공하는 진공챔버내에서 모노폴라 전극층(100) 또는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을 복합적으로 활성화시켜 비교적 높은 척킹력을 이용하고, 글라스를 진공챔버 내, 외부로 운반하는 대기환경에서 가공공정 작동전 환경에서는 모노폴라 전극층(100)을 비활성화하고 바이폴라 전극층(200)을 활성화하여 글라스를 고정하기 위한 척킹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글라스(G)를 가공하는 공정 조건(진공환경, 대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척킹력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므로 글라스(G) 대형화에 따른 가공공정 설비의 간소화를 도모하거나, 글라스(G)를 회전 또는 이동 시킬 수 있는 구조의 장비 특징을 가질 수 있고, 특히, 진공챔버내에서 모노폴라 전극층과 바이폴라 전극층이 복합적으로 활성화되어 냉각가스 리크(Leak) 현상을 긴밀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 (a)에서,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은 베이스기판(10) 가장자리부를 포함한 전 면적에 대해서 형성되어 댐층(43)과 대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척킹력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도 2 (b)처럼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은 가장자리의 댐층(43)과 냉각가스 유입부를 포함하는 냉각가스 리크(Leak)가 발생하기 쉬운 부분과 그외 내부영역을 일체화 또는 분리형으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은 1존 타입으로도 가능하고, 2존타입으로 적용하여, 도 2 (b)의 1안과 같이 내측부만 작동시켜 글라스 이동, 척킹등의 역할을 전공정구간에 담당하거나, 도 2 (b)의 2안처럼 외측부는 전공정구간에서 바이폴라로 작동해도 되고, 모노폴라 작동 가공공정구간에서 작동할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바이폴라 전극(200)을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동일 전원으로 모노폴라화 시켜 이중의 모노폴라를 통한 댐부의 척킹력 향상 가능하다.
그리고, 공정중, 센터부의 Leak 현상이 없도록, 내부측 바이폴라는 계속작동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내부측 바이폴라도 모노폴라화 시켜, 모노폴라 전극층(100)도 바이폴라 전극층(200)도 모두 모노폴라로 사용 가능하다.
즉, 2존 타입으로 제작하면 전체를 동일전원을 인가하여 1존타입으로 사용도 가능하고, 댐부의 척킹력 상승시만 별도 작동도 가능하므로, 공정에 필요한 조건에 따른 보조 척킹력 상승조건으로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작동도 모노폴라와 바이폴라 모두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공정조건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4 (a)는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에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동일한 전원(+)이 인가되어, 바이폴라 전극층(200)을 모노폴라 정전척으로 전환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4 (b)는 바이폴라 전극층(200)에 (+)(-) 전원이 인가되고, 모노폴라 전극층(100)에 (+)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은 대기상태에서 진공의 가공공정 작동상태까지 (+)(-) 전원이 인가되어 척킹력이 발생되고, 진공환경에서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동일하게 (+) 전원이 인가되어 바이폴라 전극층(200) 전체 영역이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함께 모노폴라 정전척으로 전환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글라스(G)를 가공하는 공정 중에, 글라스(G)를 가공하기 위해 진공챔버 내부로 투입하는 공정, 가공이 완료된 글라스(G) 진공챔버 내부로 배출하는 공정에서는 바이폴라 전극층(200)을 단독으로 활성화하고, 진공챔버 내에서 가공공정중에는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 모두 전원을 인가하여 2개의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바이폴라 전극층(20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노폴라 + 바이폴라 정전척으로 이용하거나, 모노폴라 + 모노폴라(바이폴라 전극층(200)에 모노폴라 전극층와 동일한 전원인가) 정전척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므로 글라스(G) 고정력이 고도로 향상됨과 더불어 냉각가스의 리크(Leak)현상이 방지된다.
100: 모노폴라 전극층 200: 바이폴라 전극층

Claims (9)

  1. 삭제
  2. 하부코팅층(20)에 의해 표면이 절연처리되는 베이스기판(10);
    상기 하부코팅층(20) 상에 형성되어 모노폴라 정전척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모노폴라 전극층(100);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 상면을 전연 처리하도록 구비되는 중간코팅층(30);
    상기 중간코팅층(30) 상면에 형성되어 바이폴라 정전척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바이폴라 전극층(200); 및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 상면에 코팅되어 피가공물인 글라스(G)를 안착 지지하고, 표면에 냉각가스가 충진되는 엠보층(4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부에 댐층(43)이 구비되는 상부코팅층(40);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은 대기상태 및 진공상태에서 활성화되어 글라스(G) 척킹력이 발생되고,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은 글라스(G) 가공공정이 수행되는 진공챔버 내에서 활성화되어 엠보층(42) 내에 냉각가스 압력 대비 증가된 척킹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전척.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폴라 전극층(100)은 베이스기판(10) 가장자리부를 포함한 전 면적에 대해서 형성되어 댐층(43)과 대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척킹력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전척.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전극층(200)에 진공의 가공공정 작동상태에서 (+)(-) 전원을 인가하여 바이폴라 정전척을 동작하고 동시에 모노폴라 정전척을 사용하는 방법과, 모노폴라 전극층(100)과 동일하게 단일전원을 인가하여 바이폴라 전극층(200)을 모노폴라 정전척으로 전환하여 동시에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전척.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코팅층(30)은 250~45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전척.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팅층(40)은 100~25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전척.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코팅층(30)과 상부코팅층(40) 표면에 에폭시, 실리콘, 아크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실링제를 이용하여 실링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전척.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코팅층(20)과 중간코팅층(30)은 비저항값이 1014~ 1018(Ω.㎝)인 세라믹층(Layer)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코팅층(40)은 비저항값이 비저항값이 109~ 1015(Ω.㎝)인 세라믹층(Layer)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전척.
KR1020210141333A 2021-10-21 2021-10-21 하이브리드 정전척 KR102401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333A KR102401806B1 (ko) 2021-10-21 2021-10-21 하이브리드 정전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333A KR102401806B1 (ko) 2021-10-21 2021-10-21 하이브리드 정전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806B1 true KR102401806B1 (ko) 2022-05-26

Family

ID=8180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333A KR102401806B1 (ko) 2021-10-21 2021-10-21 하이브리드 정전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8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916A (ko) * 2012-03-21 2013-10-01 주식회사 미코 정전척
KR20150039395A (ko) * 2013-10-02 2015-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KR20180131415A (ko) * 2017-05-30 2018-12-10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척 및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1934340B1 (ko) 2016-05-18 2019-01-03 (주)코리아스타텍 바이폴라 타입의 정전 척 제조방법
KR102024528B1 (ko) 2019-01-22 2019-09-25 (주)코리아스타텍 소결 합착척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916A (ko) * 2012-03-21 2013-10-01 주식회사 미코 정전척
KR20150039395A (ko) * 2013-10-02 2015-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KR101934340B1 (ko) 2016-05-18 2019-01-03 (주)코리아스타텍 바이폴라 타입의 정전 척 제조방법
KR20180131415A (ko) * 2017-05-30 2018-12-10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척 및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2024528B1 (ko) 2019-01-22 2019-09-25 (주)코리아스타텍 소결 합착척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3681A1 (en) Substrate support with multiple embedded electrodes
CN203055886U (zh) 静电吸盘
US20170271179A1 (en) Substrate support assembly having metal bonded protective layer
CN100541756C (zh) 静电吸附电极的修补方法
CN101405857B (zh) 承载基片的装置和方法
JP2004260159A5 (ko)
US6572814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wafer support chuck apparatus having small diameter gas distribution ports for distributing a heat transfer gas
KR970072101A (ko) 좁은 구멍의 충전 및 결정상으로 배열된 라이너층을 이용한 금속 상호연결선 형성
KR20120071362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US6639783B1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static chuck with integrated channel
CN105990081A (zh) 等离子体处理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401806B1 (ko) 하이브리드 정전척
CN101312125A (zh) 制备半导体衬底的方法
CN111962034A (zh) 一种覆铜板及其高速真空制备方法
US10774006B2 (en) Microwave and induction heat treatment of ceramic coatings
KR102481293B1 (ko) 단층형 하이브리드 정전척
JP7356446B2 (ja) 封止表面を有する静電チャック
CN110914971B (zh) 有冷却气体区域和相应槽及单极静电夹持电极模式的静电卡盘
CN104299889A (zh) 混合特征蚀刻和倒角蚀刻的系统
CN108383080A (zh) 纳米间隙原位活化的复合阳极键合方法
KR101605704B1 (ko) 대면적 바이폴라 정전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면적 바이폴라 정전척
JP2022553302A (ja) モノリス異方性基板支持体
KR101541051B1 (ko) 다층 전극 구조를 갖는 정전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층 전극 구조를 갖는 정전척
KR20200004499A (ko) 히터가 구비된 정전척 및 그 제조방법
CN217499408U (zh) 抗电浆腐蚀薄膜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