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514B1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514B1
KR102401514B1 KR1020170139046A KR20170139046A KR102401514B1 KR 102401514 B1 KR102401514 B1 KR 102401514B1 KR 1020170139046 A KR1020170139046 A KR 1020170139046A KR 20170139046 A KR20170139046 A KR 20170139046A KR 102401514 B1 KR102401514 B1 KR 102401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discharge port
cooking
duc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002A (ko
Inventor
이정학
이상진
국연희
권명근
조미란
이민재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514B1/ko
Priority to EP21206923.1A priority patent/EP3971482A1/en
Priority to PCT/KR2018/012357 priority patent/WO2019083226A1/en
Priority to CN201880069673.9A priority patent/CN111263869B/zh
Priority to EP18870423.3A priority patent/EP3685103B1/en
Priority to US16/169,277 priority patent/US11015819B2/en
Publication of KR20190046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5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electrically-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Abstract

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븐을 개시한다. 오븐은, 본체, 개방된 전면(前面)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배치되는 순환팬, 상기 순환팬과 마주하는 상기 조리실의 일 벽에 형성되는 흡입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 상에 배치되는 턴 테이블 및 상기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에 마련되고, 상기 턴 테이블의 하부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븐{OVEN}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조리실과, 조리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와,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하여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오븐은 가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고, 가스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조리실의 일 측벽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은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해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조리실이 균일하게 가열될 경우, 피조리물에 대한 만족스러운 조리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조리실이 균일하게 가열되지 않을 경우, 피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흡입구 및 토출구의 설치 위치는, 조리실이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실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조리실을 순환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본체, 개방된 전면(前面)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배치되는 순환팬, 상기 순환팬과 마주하는 상기 조리실의 일 벽에 형성되는 흡입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 상에 배치되는 턴 테이블 및 상기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에 마련되고, 상기 턴 테이블의 하부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도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턴 테이블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순환팬이 수용되는 흡입 덕트 및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 덕트에 연결되는 토출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조리실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曲面)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단열재로 감싸질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은,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 1영역 및 함몰 형성된 제 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이물질을 상기 제 2영역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 1영역 및 상기 제 2영역을 연결하는 이물질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제 2영역의 깊이보다 얕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제 1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1수집부 및 상기 제 1수집부 및 상기 제 2영역을 연결하는 제 2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상기 토출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출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상기 절개부를 덮어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을 정의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스트립(stri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 및 상기 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실링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본체, 개방된 전면(前面)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조리실의 제 1벽에 형성되는 흡입구, 상기 조리실의 제 2벽에 형성되는 제 1토출구, 상기 조리실의 제 3벽에 형성되는 제 2토출구 및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조리실 사이에 배치되는 순환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 1토출구 및 상기 제 2토출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순환 덕트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덕트, 상기 제 1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 덕트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제 1토출 덕트, 및 상기 제 2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 덕트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제 2토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상기 조리실의 제 4벽에 형성되는 제 3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토출 덕트 및 상기 제 2토출 덕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 3토출구와 더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3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와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 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단열재로 감싸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본체, 개방된 전면(前面)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조리실의 일 측벽에 형성되는 흡입구,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 형성되는 제 1토출구,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에 형성되는 제 2토출구, 상기 흡입구, 상기 제 1토출구 및 상기 제 2토출구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순환 덕트 및 상기 제 1토출구 및 상기 제 2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순환 덕트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의 내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조리실의 바닥판에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가열이 어려웠던 조리실의 하단부도 충분히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의 내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도어와 인접하도록 조리실의 바닥판에 형성함으로써, 도어에 발생할 수 있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각각 조리실의 서로 다른 벽에 형성함으로써, 토출구를 통해 조리실의 내부로 토출된 공기가 조리실을 충분히 가열하지 않고 흡입구를 통해 조리실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토출구뿐만 아니라 제 2토출구를 조리실의 서로 다른 벽에 형성함으로써, 조리실을 가열하기 위해 조리실을 순환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오븐을 C-C'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I-I'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에 있어서, 턴테이블과 토출홀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P-P'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도시한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일부 구성을 A-A'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6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K-K'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6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저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7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U-U'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유량조절장치에 의해 제 1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유량조절장치에 의해 제 2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복수의 유량조절장치에 의해 제 1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 및 제 2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조리실(20)의 전후방향은 "X"로 표시하고, 조리실(20)의 좌우방향은 "Y"로 표시하며, 조리실(20)의 상하방향은 "Z"로 표시한다. 조리실(20)의 상하방향은 회전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오븐을 C-C'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리실(20)이 적용된 오븐(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본체(10)의 전면(前面)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과, 본체(10)의 측면(側面)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2)과, 본체(10)의 후면(後面)을 형성하는 후면패널(13)과, 본체(10)의 상면(上面)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의 전면 상부에는 전장실(50)의 전면(前面)을 커버하는 전장실 커버(17)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 커버(17)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이 장착될 수 있다.
측면패널(12)에는 전장실(50)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부(12a)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12a)를 통해 전장실(50)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전장실(50) 내부를 유동하며 전장품을 냉각시킬 수 있다.
오븐(1)은 개방된 전면(前面)을 가지도록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리실(20)은 전면(前面)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피조리물이 출납될 수 있다.
조리실(20)은, 조리실(20)의 상면(上面)을 정의하는 상부벽(21)과, 조리실(20)의 하면(下面)을 정의하는 하부벽(22)과, 조리실(20)의 우측면(右側面)을 정의하는 우측벽(24)(도3참고)과, 조리실(20)의 좌측면(左側面)을 정의하는 좌측벽(23)(도3참고)과, 조리실(20)의 후면(後面)을 정의하는 후벽(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실(20)의 하부벽(22)은 조리실(20)의 "바닥판"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조리실(20)의 양 측벽(23,24)에는 복수의 지지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에는 피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랙(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에는 조리실(20)을 복수 개로 분할할 수 있는 디바이더(미도시)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디바이더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된 조리실(20)은 크기가 서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디바이더는 단열 재질로 마련되어 복수 개로 분할된 조리실(20)을 단열시킬 수 있다.
오븐(1)은 조리실(20)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30)는 조리실(20)의 전면(前面)을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는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에는 도어 핸들(31)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핸들(31)은 사용자가 도어 핸들(31)을 파지하여 조리실(20)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30)의 전면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오븐(1)은 오븐(1)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0)은 전면패널(11)의 전면 상부에 마련되는 전장실 커버(17)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장실 커버(17)에는 디스플레이 모듈(40)과 별개로 사용자가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4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오븐(1)은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전장실(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장품은 디스플레이 모듈(40)을 포함한 각종 부속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품의 총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장실(50)은 조리실(2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50)과 조리실(20) 사이에는, 전장실(50)과 조리실(20)을 단열하도록 단열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단열재는 전장실(50)과 조리실(20) 사이뿐만 아니라, 조리실(20)을 오븐(1)의 외부로부터 단열시키도록 조리실(20)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오븐(1)은 전장실(50)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냉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장실(50) 내부는, 각종 전장품의 열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냉각장치는 전장실(50)에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전장실(50)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각장치는,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전장실 냉각팬(미도시)과, 배출유로(미도시)가 형성되는 배출덕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실 냉각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배출유로를 따라 이동하여 오븐(1)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오븐(1)은 조리실(20)을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히터(hea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조리실(2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 1히터(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히터(61)는 조리실(2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조리실(20)의 일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히터(61)는 조리실(2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조리실(20)의 좌측벽(23) 또는 우측벽(24)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제 1히터(61)는 흡입구(70)(도3참고)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히터(61)는 흡입구(70)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도록 흡입구(70)가 형성되는 조리실(20)의 일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히터(61)는 흡입구(70)를 통과한 공기를 일차적으로 가열하도록 흡입구(7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히터(61)는 컨벡션 히터(convection heater)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조리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히터(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히터(62)는 제 1히터(61)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히터(62)는 조리실(20)의 상부벽(21)에 인접하도록 조리실(20)의 후벽(25)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제 2히터(62)는 제 1토출구(80)(도4참고)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히터(62)는 제 1토출구(80)와 마주하도록 조리실(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히터(62)는 흡입구(70)를 통과한 공기를 이차적으로 가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히터(62)는 흡입구(70) 및 제 1토출구(80)를 차례로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도록 제 1토출구(8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히터(62)는 전기 저항체를 포함하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다만, 제 2히터(62)는 전기 히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 히터일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 2히터(62)는 그릴 히터(grill heater)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븐(1)은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배치되는 순환팬(26)(도4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26)은 조리실(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조리실(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팬(26)은 조리실(2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조리실(20)의 일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순환팬(26)은 제 1히터(61)와 인접하도록 조리실(20)의 좌측벽(23) 또는 우측벽(24)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순환팬(26)은 흡입구(7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환팬(26)은, 조리실(20) 내부의 공기가 흡입구(70)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70)가 형성되는 조리실(20)의 일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순환팬(26)은 제 1히터(61)와 함께 흡입구(70)가 형성되는 조리실(20)의 일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순환팬(26)은 컨벡션 팬(convection fan)을 포함할 수 있다.
오븐(1)은 순환팬(26)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순환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븐(1)은 조리실(20)의 일 벽에 형성되는 흡입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븐(1)은 조리실(20)의 일 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입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70)는 원형일 수 있다. 다만, 흡입구(70)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오븐(1)은, 흡입구(70)를 통과한 공기가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과 다른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90)(도4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9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I-I'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회전 가능하도록 조리실(2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턴 테이블(turn table)(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턴 테이블(100)은 회전축(rotating shaft)(10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오븐(1)은 턴 테이블(1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턴 테이블 모터(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턴 테이블(100)은, 턴 테이블 모터(1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턴 테이블 모터(110)와 연결될 수 있다. 턴 테이블 모터(110)는 조리실(20)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01)을 포함할 수 있다. 턴 테이블 모터(110)는 조리실(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턴 테이블 모터(110)는 조리실(20) 및 본체(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턴 테이블 모터(110)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 및 본체(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오븐(1)는 피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트레이(tray)(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120)는 조리실(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턴 테이블(1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오븐(1)은 트레이(1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랙(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랙(130)은 조리실(20)의 상하방향(Z)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와이어(wire)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120)는 지지랙(130)을 매개로 하여 턴 테이블(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트레이(120)는 지지랙(130)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지지랙(130)은 턴 테이블(1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트레이(120)는 턴 테이블(100) 상에 직접적으로 놓여질 수도 있고, 지지랙(130) 상에 놓여짐으로써 턴 테이블(100) 상에 간접적으로 놓여질 수도 있다.
오븐(1)은 순환팬(26)과 마주하는 조리실(20)의 일 벽에 형성되는 흡입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흡입구(70)는 순환팬(26)이 설치되는 조리실(20)의 일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흡입구(70)는 조리실(20)의 좌측벽(23)에 형성될 수 있다.
오븐(1)은, 흡입구(70)를 통과한 공기가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흡입구(70)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90)는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과 다른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되는 제 1토출구(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토출구(80)는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과 이웃하는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토출구(80)는 조리실(20)의 상부벽(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80)는 제 2히터(62)와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토출구(80)를 통해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된 공기는 제 2히터(62)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제 1토출구(80)는 다각형일 수 있다. 다만, 제 1토출구(80)의 형상은 다각형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 1토출구(80)는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90)는,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 및 제 1토출구(8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타 벽과 다른 조리실(20)의 또 다른 벽에 형성되는 제 2토출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흡입구(70)가 조리실(20)의 제 1벽에 형성되고, 제 1토출구(80)가 조리실(20)의 제 2벽에 형성될 경우, 제 2토출구(90)는 제 1벽 및 제 2벽과 다른 조리실(20)의 제 3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90)는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과 이웃하는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90)는 제 1토출구(8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과 마주하는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70)는 제 1토출구(80) 및 제 2토출구(9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2토출구(90)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90)는 턴 테이블(100)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토출구(90)는 턴 테이블(100)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90)는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제 2토출구(90)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 2토출구(90)는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토출구(90)는 조리실(20)의 전면부에 인접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90)는 도어(30)에 인접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토출구(90)는 도어(30)와 인접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제 2토출구(90)를 형성함으로써 조리실(2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리실(20)의 상단부는 제 2히터(62)의 영향으로 인해 조리실(20)의 하단부보다 온도가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실(20)이 균일하게 가열되지 못할 경우, 피조리물에 대한 만족스러운 조리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일 예로서, 조리실(20)이 균일하게 가열되지 못할 경우, 스폰지 케이크(sponge cake), 피자 등과 같은 피조리물에 대한 오븐의 베이킹(baking) 성능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제 2토출구(90)를 형성할 경우, 제 2토출구(90)를 통해 토출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조리실(20)의 하단부 역시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제 2토출구(90)를 형성함으로써 도어(30)에 발생할 수 있는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조리실(20) 내부의 온도와 조리실(20) 외부의 온도가 상당히 다를 경우, 도어(30)에 습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습기는, 제 2토출구(9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오븐(1)은 조리실(20)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순환 덕트(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조리실(20)과 연통되도록 본체(10) 및 조리실(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순환 덕트(200)는 조리실(20)과 연통되도록 조리실(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흡입구(7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덕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덕트(210)는 흡입구(70)가 형성되는 조리실(20)의 일 벽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 덕트(210)의 내부에는 순환팬(26) 및 제 1히터(61)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흡입 덕트(210)는 조리실(20)의 좌측벽(23) 또는 우측벽(24)에 결합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제 1토출구(8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 1토출 덕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토출 덕트(220)는 흡입 덕트(210)의 일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토출 덕트(220)는 조리실(20)의 상부벽(21) 상에 위치하도록 흡입 덕트(21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토출 덕트(220)는 조리실(20)의 상부벽(21)에 결합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제 2토출구(9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 2토출 덕트(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토출 덕트(230)는 흡입 덕트(210)의 타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토출 덕트(230)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 상에 위치하도록 흡입 덕트(210)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2토출 덕트(230)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팬(26)이 작동함에 따라 조리실(20)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70)를 통해 흡입 덕트(210)로 유입된다. 흡입 덕트(210)로 유입된 공기는 제 1히터(61)와의 열교환을 통해 고온의 공기가 된다. 고온의 공기 중 일부는 제 1토출 덕트(220)로 유입되어 제 1토출구(8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다. 고온의 공기 중 나머지는 제 2토출 덕트(230)로 유입되어 제 2토출구(9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다. 피조리물은,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 고온의 공기와 피조리물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될 수 있다. 제 1토출구(8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 고온의 공기는 제 2히터(62)에 의해 선택적으로 더 가열될 수 있다.
오븐(1)은 제 1토출구(80) 및 제 2토출구(9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순환 덕트(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량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q1" 및 "q2"는 적어도 하나의 유량조절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위치를 가리킨다. 적어도 하나의 유량조절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9 내지 도 21을 참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에 있어서, 턴테이블과 토출홀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의 바닥판(22)은 제 2토출구(90)가 형성되는 제 1영역(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영역(22a)은 조리실(20)의 전면부에 인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영역(22a)은 도어(30)에 인접할 수 있다.
조리실(20)의 바닥판(22)은 함몰 형성된 제 2영역(2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영역(22b)은 조리실(20)의 바닥판(22)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영역(22b)은 제 1영역(22a)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영역(22b)은 제 1영역(22a)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오븐(1)은 이물질을 수용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형성되는 이물질 수집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는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는, 피조리물로부터 유래한 이물질이 제 2토출구(9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2토출구(90)가 형성된 제 1영역(22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는 제 2영역(22b)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제 2토출구(90)는 턴 테이블(100)의 회전축(101)을 기준으로 턴 테이블(100)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토출구(90)는 턴 테이블(100)에 가려져 노출되지 않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턴 테이블(100)이 회전축(10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일 경우, 제 2토출구(90)는 턴 테이블(100)의 반경방향으로 턴 테이블(100)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토출구(90)를 턴 테이블(100)의 회전축(101)을 기준으로 턴 테이블(100)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피조리물로부터 유래한 기름, 물, 찌꺼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 2토출구(9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 2토출구(90)를 턴 테이블(100)의 회전축(101)을 기준으로 턴 테이블(100)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이 제 2토출구(90)로 유입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이물질 수집부(29)를 형성함으로써 조리실(20)의 바닥판(22)과 턴 테이블(100)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제 2토출구(90)로 유입되는 것을 이차적으로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토출 덕트(230)는, 조리실(20) 및 본체(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토출 덕트(230)는 턴 테이블 모터(110)와 간섭하지 않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토출 덕트(230)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형성되는 개구(28)(도4참고)를 막지 않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개구(28)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의 제 2영역(22b)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80)로부터 토출되어 조리실(20)의 개구(28)를 통해 조리실(20)의 외부로 토출된 공기는 턴 테이블 모터(11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 2토출 덕트(230)는 턴 테이블 모터(110) 및 조리실(20)의 개구(28)와 간섭하지 않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토출 덕트(230)는 곡면(曲面)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토출 덕트(230)는 조리실(20)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曲面)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순환 덕트(2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단열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2토출 덕트(230)의 적어도 일부는 단열재(300)로 감싸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열재(300)는 제 2토출 덕트(230)의 외면(外面)을 감쌀 수 있다. 단열재(300)는 우레탄 폼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300)는 제 2토출 덕트(230) 내부의 공기와 제 2토출 덕트(230) 외부의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차단하고, 제 2토출 덕트(230) 내부의 가열된 공기로 인해 턴 테이블 모터(11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P-P'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이물질을 수용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형성되는 이물질 수집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는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는, 피조리물로부터 유래한 이물질을 조리실(20)의 바닥판(22)의 제 2영역(22b)으로 안내하도록 제 1영역(22a) 및 제 2영역(22b)을 연결할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 제 1영역(22a) 및 제 2영역(22b)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이물질 수집부(29), 제 1영역(22a) 및 제 2영역(22b)의 깊이는 조리실(2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의 깊이(d1)는, 조리실(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 수집부(29)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 1영역(22a)의 깊이(d0)는, 조리실(20)의 바닥면으로부터 제 1영역(22a)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 2영역(22b)의 깊이(d2)는, 조리실(20)의 바닥면으로부터 제 2영역(22b)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는, 피조리물로부터 유래한 이물질이 제 2토출구(9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2토출구(90)가 형성된 제 1영역(22a)보다 깊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물질 수집부(29)의 깊이(d1)는, 제 1영역(22a)의 깊이(d0)보다 더 깊을 수 있다. 이 때, 제 1영역(22a)은 조리실(20)의 바닥판(22)과 동일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영역(22a)의 깊이(d0)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을 기준으로 "0"일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는 제 2영역(22b)보다 얕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물질 수집부(29)의 깊이(d1)는, 제 2영역(22b)의 깊이(d2)보다 더 얕을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 수집부(29)에 수용된 이물질은 제 2영역(22b)으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는, 제 1영역(22a)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1수집부(29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수집부(29a)는 제 1영역(22a)의 둘레를 따라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는, 제 1수집부(29a) 및 제 2영역(22b)을 연결하는 제 2수집부(2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수집부(29)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수집부(29b)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수집부(29b)는, 제 1수집부(29a)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출구 커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구 커버(400)는 제 2토출구(90)를 덮을 수 있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토출구 커버(400)는, 제 2토출구(9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토출구 커버(400)는, 턴 테이블(100)을 분리한 후 조리실(20)을 청소할 때, 제 2토출구(9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토출구 커버(400)는 조리실(20)을 청소할 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일부 구성을 A-A'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는 절개부(22c)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2c)는 조리실(20)의 전면부에 인접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2c)는 도어(30)에 인접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2c)는 제 2토출 덕트(230)와 연통될 수 있다.
오븐(1)은, 절개부(22c)를 덮어 조리실(20)의 바닥판(22)을 정의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트립(strip)(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2토출구(90)는 스트립(5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토출구(90)를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트립(500)에 형성함으로써, 제 2토출구(90)로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 조리실(20)의 바닥판(22)으로부터 스트립(500)을 분리한 후 제 2토출 덕트(230)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스트립(500)은, 조리실(2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22c) 및 스트립(500) 사이에는 실링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스트립(500)을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스트립(500)이 손상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절개부(22c) 및 스트립(50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제 2토출 덕트(23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링부재(600)는 절개부(22c) 및 스트립(50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실링부재(600)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500)의 양 단부는 스트립(500)의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스트립(500)의 양 단부는, 스트립(500)이 절개부(22c)를 덮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결합되었을 때, 절개부(22c) 주변의 조리실(20)의 바닥판(22)과 면 접촉할 수 있다.
제 2토출구(90)가 스트립(500)에 형성될 경우, 제 2토출구(90)는, 턴 테이블(100)의 회전축(101)을 기준으로 턴 테이블(100)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2토출구(90)는, 턴 테이블(100)의 회전축(101)을 기준으로 턴 테이블(100)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6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K-K'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6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조리실(20)의 일 벽에 형성되는 흡입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븐(1)은 조리실(20)의 일 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입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70)는, 조리실(20)의 우측벽(24) 또는 좌측벽(23)에 형성될 수 있다.
오븐(1)은, 흡입구(70)를 통과한 공기가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과 다른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700)는,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과 이웃하는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되는 제 1토출구(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토출구(80)는 조리실(20)의 상부벽(21)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700)는,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 및 제 1토출구(8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타 벽과 다른 조리실(20)의 또 다른 벽에 형성되는 제 2토출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흡입구(70)가 조리실(20)의 제 1벽에 형성되고, 제 1토출구(80)가 조리실(20)의 제 2벽에 형성될 경우, 제 2토출구(700)는 제 1벽 및 제 2벽과 다른 조리실(20)의 제 3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700)는 흡입구(70)와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토출구(700)는 흡입구(70)가 형성되는 조리실(20)의 일 벽과 마주하는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토출구(700)는, 흡입구(70)가 조리실(20)의 좌측벽(23)에 형성되는 경우 조리실(20)의 우측벽(24)에 형성될 수 있고, 흡입구(70)가 조리실(20)의 우측벽(24)에 형성되는 경우 조리실(20)의 좌측벽(23)에 형성될 수 있다.
오븐(1)은 조리실(20)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순환 덕트(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조리실(20)과 연통되도록 본체(10) 및 조리실(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순환 덕트(200)는 조리실(20)과 연통되도록 조리실(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흡입구(7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덕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덕트(210)는 흡입구(70)가 형성되는 조리실(20)의 일 벽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 덕트(210)의 내부에는 순환팬(26) 및 제 1히터(61)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흡입 덕트(210)는 조리실(20)의 좌측벽(23) 또는 우측벽(24)에 결합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제 1토출구(8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 1토출 덕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토출 덕트(220)는 흡입 덕트(210)의 일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토출 덕트(220)는 조리실(20)의 상부벽(21) 상에 위치하도록 흡입 덕트(21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토출 덕트(220)는 조리실(20)의 상부벽(21)에 결합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제 2토출구(70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 2토출 덕트(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토출 덕트(230)는 흡입 덕트(210)의 타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토출 덕트(230)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과, 제 2흡입구(70)가 형성되는 조리실(20)의 일 측벽 상에 위치하도록 흡입 덕트(210)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토출 덕트(230)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과, 조리실(20)의 일 측벽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팬(26)이 작동함에 따라 조리실(20)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70)를 통해 흡입 덕트(210)로 유입된다. 흡입 덕트(210)로 유입된 공기는 제 1히터(61)와의 열교환을 통해 고온의 공기가 된다. 고온의 공기 중 일부는 제 1토출 덕트(220)로 유입되어 제 1토출구(8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다. 고온의 공기 중 나머지는 제 2토출 덕트(230)로 유입되어 제 2토출구(70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다. 피조리물은,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 고온의 공기와 피조리물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될 수 있다. 제 1토출구(8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 고온의 공기는 제 2히터(62)에 의해 선택적으로 더 가열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7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U-U'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조리실(20)의 일 벽에 형성되는 흡입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븐(1)은 조리실(20)의 일 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입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70)는, 조리실(20)의 우측벽(24) 또는 좌측벽(23)에 형성될 수 있다.
오븐(1)은, 흡입구(70)를 통과한 공기가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과 다른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90,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90,700)는,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과 이웃하는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되는 제 1토출구(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토출구(80)는 조리실(20)의 상부벽(21)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90,700)는,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 및 제 1토출구(8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타 벽과 다른 조리실(20)의 또 다른 벽에 형성되는 제 2토출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흡입구(70)가 조리실(20)의 제 1벽에 형성되고, 제 1토출구(80)가 조리실(20)의 제 2벽에 형성될 경우, 제 2토출구(90)는 제 1벽 및 제 2벽과 다른 조리실(20)의 제 3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90)는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과 이웃하는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90)는 제 1토출구(8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과 마주하는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70)는 제 1토출구(80) 및 제 2토출구(9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2토출구(90)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90)는 턴 테이블(100)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0,90,700)는, 흡입구(7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일 벽, 제 1토출구(8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타 벽 및 제 2토출구(90)가 형성된 조리실(20)의 또 다른 벽과 다른 조리실(20)의 벽에 형성되는 제 3토출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흡입구(70)가 조리실(20)의 제 1벽에 형성되고, 제 1토출구(80)가 조리실(20)의 제 2벽에 형성되며, 제 2토출구(90)가 제 3벽에 형성될 경우, 제 3토출구(700)는 조리실(20)의 제 1벽, 제 2벽 및 제 3벽과 다른 조리실(20)의 제 4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 3토출구(700)는 흡입구(70)와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3토출구(700)는 흡입구(70)가 형성되는 조리실(20)의 일 벽과 마주하는 조리실(20)의 타 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토출구(700)는, 흡입구(70)가 조리실(20)의 좌측벽(23)에 형성되는 경우 조리실(20)의 우측벽(24)에 형성될 수 있고, 흡입구(70)가 조리실(20)의 우측벽(24)에 형성되는 경우 조리실(20)의 좌측벽(23)에 형성될 수 있다.
오븐(1)은 조리실(20)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순환 덕트(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조리실(20)과 연통되도록 본체(10) 및 조리실(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순환 덕트(200)는 조리실(20)과 연통되도록 조리실(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흡입구(7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덕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덕트(210)는 흡입구(70)가 형성되는 조리실(20)의 일 벽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 덕트(210)의 내부에는 순환팬(26) 및 제 1히터(61)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흡입 덕트(210)는 조리실(20)의 좌측벽(23) 또는 우측벽(24)에 결합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제 1토출구(8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 1토출 덕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토출 덕트(220)는 흡입 덕트(210)의 일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토출 덕트(220)는 조리실(20)의 상부벽(21) 상에 위치하도록 흡입 덕트(21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토출 덕트(220)는 조리실(20)의 상부벽(21)에 결합될 수 있다.
순환 덕트(200)는 제 2토출구(9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 2토출 덕트(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토출 덕트(230)는 흡입 덕트(210)의 타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토출 덕트(230)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 상에 위치하도록 흡입 덕트(210)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토출 덕트(230)는, 조리실(20)의 바닥판(22)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1토출 덕트(220) 및 제 2토출 덕트(230) 중 어느 하나는, 제 3토출구(700)와 더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토출 덕트(220)가 제 3토출구(700)와 더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경우, 제 1토출 덕트(220)는 제 1토출구(80) 및 제 3토출구(7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토출 덕트(230)가 제 2토출구(90)와 더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경우, 제 2토출 덕트(230)는 제 2토출구(90) 및 제 3토출구(7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토출 덕트(230)가 제 3토출구(700)와 더 연통되도록 마련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팬(26)이 작동함에 따라 조리실(20)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70)를 통해 흡입 덕트(210)로 유입된다. 흡입 덕트(210)로 유입된 공기는 제 1히터(61)와의 열교환을 통해 고온의 공기가 된다. 고온의 공기 중 일부는 제 1토출 덕트(220)로 유입되어 제 1토출구(8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다. 고온의 공기 중 나머지는 제 2토출 덕트(230)로 유입되어 제 2토출구(90) 및 제 3토출구(70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다. 피조리물은,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 고온의 공기와 피조리물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될 수 있다. 제 1토출구(8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된 고온의 공기는 제 2히터(62)에 의해 선택적으로 더 가열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유량조절장치에 의해 제 1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유량조절장치에 의해 제 2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복수의 유량조절장치에 의해 제 1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 및 제 2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장치는 순환 덕트(200)의 제 1위치(q1)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량조절장치는 제 1토출 덕트(2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 1토출 덕트(220) 또는 제 1토출 덕트(220)에 인접하도록 흡입 덕트(210)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모드 및 온도를 설정한 후 동작명령을 입력한다. 제 1히터(61)가 주로 작동하는 제 1작동모드일 경우, 유량조절장치는 제 1토출 덕트(220)를 닫는다. 이 때, 제 1히터(6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 2토출구(90)를 통해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반면, 제 1히터(61)가 주로 작동하는 제 1작동모드가 아닐 경우, 유량조절장치는 제 1토출 덕트(220)를 개방한다. 이 때, 제 1히터(6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 1토출구(80) 및 제 2토출구(9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제 1작동모드는 "컨벡션 모드(convection mode)"로 명명될 수 있다.
도 5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장치는 순환 덕트(200)의 제 2위치(q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량조절장치는 제 2토출 덕트(23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 2토출 덕트(230) 또는 제 2토출 덕트(230)에 인접하도록 흡입 덕트(210)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모드 및 온도를 설정한 후 동작명령을 입력한다. 제 2히터(62)가 주로 작동하는 제 2작동모드일 경우, 유량조절장치는 제 2토출 덕트(230)를 닫는다. 이 때, 제 1히터(6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 1토출구(80)를 통해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토출구(80)를 통해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된 공기는 제 2히터(62)에 의해 이차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반면, 제 2히터(62)가 주로 작동하는 제 2작동모드가 아닐 경우, 유량조절장치는 제 2토출 덕트(230)를 개방한다. 이 때, 제 1히터(6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 1토출구(80) 및 제 2토출구(9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제 2작동모드는 "열풍 모드(hot blast mode)"로 명명될 수 있다.
도 5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장치는 순환 덕트(200)의 제 1위치(q1) 및 제 2위치(q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량조절장치는, 제 1토출 덕트(2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 1토출 덕트(220) 또는 제 1토출 덕트(220)에 인접하게 흡입 덕트(210)에 배치되는 제 1유량조절장치와, 제 2토출 덕트(23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 2토출 덕트(230) 또는 제 2토출 덕트(230)에 인접하게 흡입 덕트(210)에 배치되는 제 2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모드 및 온도를 설정한 후 동작명령을 입력한다. 제 2히터(62)가 주로 작동하는 제 2작동모드일 경우, 제 2유량조절장치는 제 2토출 덕트(230)를 닫는다. 이 때, 제 1히터(6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 1토출구(80)를 통해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토출구(80)를 통해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된 공기는 제 2히터(62)에 의해 이차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제 2히터(62)가 주로 작동하는 제 2작동모드가 아니고, 제 1히터(61)가 주로 작동하는 제 1작동모드일 경우, 제 1유량조절장치는 제 1토출 덕트(220)를 닫는다. 이 때, 제 1히터(6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 2토출구(90)를 통해 조리실(20)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히터(62)가 주로 작동하는 제 2작동모드가 아니고, 제 1히터(61)가 주로 작동하는 제 1작동모드도 아닐 경우, 제 1유량조절장치는 제 1토출 덕트(220)를 개방하고, 제 2유량조절장치는 제 2토출 덕트(230)를 개방한다. 이 때, 제 1히터(6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 1토출구(80) 및 제 2토출구(9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오븐 10: 본체
11: 전면패널 12: 측면패널
12a: 흡입부 13: 후면패널
14: 상부패널 17: 전장실 커버
20: 조리실 21: 상부벽
22: 바닥판 22a: 제 1영역
22b: 제 2영역 22c: 절개부
23: 좌측벽 24: 우측벽
25: 후벽 26: 순환팬
27: 순환모터 28: 개구
29: 이물질 수집부 29a: 제 1수집부
29b: 제 2수집부 30: 도어
31: 도어 핸들 40: 디스플레이 모듈
41: 조작부 50: 전장실
62: 제 2히터 70: 흡입구
80: 제 1토출구 90: 제 2토출구
100: 턴 테이블 101: 회전축
110: 턴 테이블 모터 120: 트레이
130: 지지랙 200: 순환 덕트
210: 흡입 덕트 220: 제 1토출 덕트
230: 제 2토출 덕트 300: 단열재
400: 토출구 커버 500: 스트립
600: 실링부재 700: 제 3토출구
61: 제 1히터

Claims (22)

  1. 본체;
    개방된 전면(前面)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배치되는 순환팬;
    상기 순환팬과 마주하는 상기 조리실의 일 벽에 형성되는 흡입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 상에 배치되는 턴 테이블;
    상기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에 마련되고, 상기 턴 테이블의 하부에 위치하는 토출구; 및
    상기 순환팬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위치되고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고
    공기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경우 상기 제1유량조절장치는 개방되는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도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오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턴 테이블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오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순환팬이 수용되는 흡입 덕트; 및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 덕트에 연결되는 토출 덕트;를 더 포함하는 오븐.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조리실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曲面)을 포함하는 오븐.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단열재로 감싸지는 오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은,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 1영역; 및
    함몰 형성된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이물질을 상기 제 2영역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 1영역 및 상기 제 2영역을 연결하는 이물질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오븐.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제 2영역의 깊이보다 얕은 깊이를 가지는 오븐.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제 1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1수집부; 및
    상기 제 1수집부 및 상기 제 2영역을 연결하는 제 2수집부;를 포함하는 오븐.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출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오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덮어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을 정의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스트립(strip)을 더 포함하는 오븐.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 및 상기 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오븐.
  13. 본체;
    개방된 전면(前面)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조리실의 제 1벽에 형성되는 흡입구;
    상기 조리실의 제 2벽에 형성되는 제 1토출구;
    상기 조리실의 제 3벽에 형성되는 제 2토출구;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조리실 사이에 배치되는 순환 덕트; 및
    상기 순환덕트와 상기 제1토출구 사이에 위치되고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고
    공기가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경우 상기 제1유량조절장치는 개방되는 오븐.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 1토출구 및 상기 제 2토출구 사이에 위치하는 오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덕트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덕트;
    상기 제 1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 덕트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제 1토출 덕트; 및
    상기 제 2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 덕트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제 2토출 덕트;를 포함하는 오븐.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제 4벽에 형성되는 제 3토출구를 더 포함하는 오븐.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토출 덕트 및 상기 제 2토출 덕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 3토출구와 더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오븐.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와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오븐.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단열재로 감싸지는 오븐.
  20. 본체;
    개방된 전면(前面)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조리실의 일 측벽에 형성되는 흡입구;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 형성되는 제 1토출구;
    상기 조리실의 바닥판에 형성되는 제 2토출구;
    상기 흡입구, 상기 제 1토출구 및 상기 제 2토출구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순환 덕트;
    상기 순환 덕트와 상기 제1토출구 사이에 위치되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유량조절장치; 및
    상기 순환 덕트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에 위치되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량조절장치와 상기 제2유량조절장치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따라 상기 제 1토출구 및 상기 제 2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오븐.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제1토출구이고,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 형성되는 제2토출구; 및
    상기 순환팬과 상기 제2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고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유량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공기가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경우 상기 제2유량조절장치는 폐쇄되는 오븐.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덕트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에 위치되고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유량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공기가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경우 상기 제2유량조절장치는 폐쇄되는 오븐.
KR1020170139046A 2017-10-25 2017-10-25 오븐 KR102401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46A KR102401514B1 (ko) 2017-10-25 2017-10-25 오븐
EP21206923.1A EP3971482A1 (en) 2017-10-25 2018-10-18 Oven
PCT/KR2018/012357 WO2019083226A1 (en) 2017-10-25 2018-10-18 OVEN
CN201880069673.9A CN111263869B (zh) 2017-10-25 2018-10-18 烤箱
EP18870423.3A EP3685103B1 (en) 2017-10-25 2018-10-18 Oven
US16/169,277 US11015819B2 (en) 2017-10-25 2018-10-24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46A KR102401514B1 (ko) 2017-10-25 2017-10-25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02A KR20190046002A (ko) 2019-05-07
KR102401514B1 true KR102401514B1 (ko) 2022-05-25

Family

ID=6616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046A KR102401514B1 (ko) 2017-10-25 2017-10-25 오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15819B2 (ko)
EP (2) EP3971482A1 (ko)
KR (1) KR102401514B1 (ko)
CN (1) CN111263869B (ko)
WO (1) WO2019083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9717A (zh) 2017-08-09 2019-08-27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US20190254476A1 (en) 2019-02-25 2019-08-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11678765B2 (en) 2020-03-30 2023-06-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881B1 (ko) * 2004-08-09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차폐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038Y1 (ko) * 1989-09-06 1992-02-10 김영희 자동차용 옷걸이
EP0464695B1 (en) * 1990-06-30 1996-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wave oven comprising equipment for discharging overflow
CA2512321C (en) 1993-10-14 2008-02-05 Fujimak Corporation High speed oven
KR19980017801U (ko) 1996-09-24 1998-07-06 김광호 전자렌지
KR19980062344U (ko) * 1997-04-01 1998-11-16 이영서 가스오븐레인지의 컨백션 오븐장치
JP3113621B2 (ja) * 1997-04-07 2000-12-04 三洋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6060701A (en) * 1997-05-27 2000-05-09 Turbochef Technologies, Inc. Compact quick-cooking convectional oven
US6362458B1 (en) * 2001-01-30 2002-03-26 Maytag Corporation Food grilling system for oven cavity with byproduct removal
KR100646879B1 (ko) * 2004-08-09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DE202004015290U1 (de) * 2004-10-01 2006-02-09 Klouda, Jaroslav Vorrichtung zur Vergleichmäßigung des Energieeintrags in Gargut
MX2007006643A (es) 2004-12-03 2007-08-02 Turbochef Tech Inc Horno de convexion de alta velocidad.
US9211030B2 (en) 2005-10-20 2015-12-15 Conagra Foods Rdm, Inc. Steam cooking apparatus
KR101118365B1 (ko) 2009-11-09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JP6263745B2 (ja) 2014-02-05 2018-0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WO2015189788A1 (en) * 2014-06-10 2015-12-17 Duke Manufacturing Co. Oven for heating food
KR102227410B1 (ko) * 2014-09-02 2021-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KR102225965B1 (ko) * 2014-09-02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US9874358B2 (en) * 2015-05-05 2018-01-23 Appliance Innovation, Inc. Oven based on a combination of heated air and infrared heating element
US9677774B2 (en) * 2015-06-08 2017-06-13 Alto-Shaam, Inc. Multi-zone oven with variable cavity sizes
JP6214739B2 (ja) 2016-09-02 2017-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881B1 (ko) * 2004-08-09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차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3226A1 (en) 2019-05-02
EP3971482A1 (en) 2022-03-23
CN111263869B (zh) 2023-01-24
US11015819B2 (en) 2021-05-25
EP3685103A1 (en) 2020-07-29
EP3685103A4 (en) 2020-10-21
KR20190046002A (ko) 2019-05-07
US20190120504A1 (en) 2019-04-25
CN111263869A (zh) 2020-06-09
EP3685103B1 (en)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514B1 (ko) 오븐
EP1731843B1 (en) Oven
KR100988570B1 (ko) 가열조리기
EP2015610B1 (en) Convection heating unit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KR20180080062A (ko) 조리기기
US20200200396A1 (en) Oven
US8101891B2 (en) Cooking aparatus
US6956191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ojection door which extends a cooking chamber of the microwave oven
EP3702671B1 (en) Cooking apparatus
TW201814217A (zh) 加熱調理器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KR20210121955A (ko) 조리기기
KR101728917B1 (ko) 조리기기
US20240015859A1 (en) Cooking device
US6750434B1 (en) Microwave oven
KR100671839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EP1389893B1 (en) Microwave oven and more particularly a door for a microwave oven
EP1389894A2 (en) Microwave oven
KR101760948B1 (ko) 조리기기
KR101727751B1 (ko) 조리기기
KR101623853B1 (ko) 조리기기
KR101760942B1 (ko) 조리기기
KR20120033428A (ko) 조리기기
KR20140082371A (ko) 조리기기
KR20120008105A (ko) 전자레인지용 그리스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