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481B1 - 가전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481B1
KR102401481B1 KR1020170178357A KR20170178357A KR102401481B1 KR 102401481 B1 KR102401481 B1 KR 102401481B1 KR 1020170178357 A KR1020170178357 A KR 1020170178357A KR 20170178357 A KR20170178357 A KR 20170178357A KR 102401481 B1 KR102401481 B1 KR 10240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external
appliance
identified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513A (ko
Inventor
차재훈
김성수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481B1/ko
Priority to EP18892308.0A priority patent/EP3669124A4/en
Priority to PCT/KR2018/014916 priority patent/WO2019124801A1/en
Priority to CN201880075877.3A priority patent/CN111386433A/zh
Priority to US16/217,834 priority patent/US11156974B2/en
Publication of KR2019007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513A/ko
Priority to US17/150,011 priority patent/US1153709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2Pc multi processor system
    • G05B2219/2231Master slav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462No local entry panel, only central remote programmer for all appliances

Abstract

가전 기기가 개시된다. 가전 기기는, 통신부 및 외부 가전 기기가 가전 기기에 인접한 상태로 식별되면,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 및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가 외부 가전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되면, 통신부를 통해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전송하고, 가전 기기가 외부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로 식별되면, 통신부를 통해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Applian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형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듈형 가전 기기는 다른 가전 기기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기기이다. 모듈형 가전 기기를 적층된 형태로 배치시키면 공간 활용의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모듈형 공기 청정기를 거실에 따로 배치하는 경우보다 적층된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 2개의 공기 청정기가 차지하는 평면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다만, 기존의 모듈형 가전 기기는 모듈형 가전 기기 간에 서로 부착되더라도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하였다. 즉, 부착된 복수의 모듈형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각 가전 기기에 사용자 명령을 따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적층된 모듈형 가전 기기 간 통신 연결되어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는, 통신부 및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에 인접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 및 상기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외부 가전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여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상기 제어 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여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상기 제어 권한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는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만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가전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식별하고, 상기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권한을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의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상기 가전 기기에 인접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위치한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상기 가전 기기의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가전 기기와 동일한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상기 가전 기기와 인접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공기 청정기일 수 있다.
상기 배치 상태 정보는, 적층된 복수의 외부 가전 기기 중 최 상단 배치를 나타내는 탑(top), 최 하단 배치를 나타내는 바텀(bottom) 및 상기 최 상단 및 상기 최 하단 사이의 배치를 나타내는 미들(middle)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 및 상기 외부 가전 기기는, 타 가전 기기와 물리적 연결 가능한 모듈형 기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에 인접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 및 상기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외부 가전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슬레이브 기기 또는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인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로 식별되면,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고,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는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만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가전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권한을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접한 상태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의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상기 가전 기기에 인접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인접한 상태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위치한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접한 상태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상기 가전 기기의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가전 기기와 동일한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상기 가전 기기와 인접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공기 청정기일 수 있다.
상기 배치 상태 정보는, 적층된 복수의 외부 가전 기기 중 최 상단 배치를 나타내는 탑(top), 최 하단 배치를 나타내는 바텀(bottom) 및 상기 최 상단 및 상기 최 하단 사이의 배치를 나타내는 미들(middle)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 및 상기 외부 가전 기기는, 타 가전 기기와 물리적 연결 가능한 모듈형 기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형 가전 기기가 적층되어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적층된 복수의 가전 기기가 통합적으로 제어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가전 기기가 적층되어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와의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간 제어 신호 전송 및 전원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 및 역할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가전 기기가 적층되어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자 시스템(10)은 복수의 가전 기기(100-1, 100-2 및 100-3)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전 기기(100-1, 100-2 및 100-3) 각각은 다른 가전 기기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모듈형 기기일 수 있다. 각 가전 기기(100-1, 100-2 및 100-3)는 각 가전 기기에 구비된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독립적으로 가전 기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복수의 가전 기기(100-1, 100-2 및 100-3)가 적층되는 경우 최 하단의 가전 기기에 구비된 어댑터를 통해 적층된 다른 가전 기기로 전원이 공급되어 하나의 기기와 같이 통합적으로 가전 기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가전 기기가 적층되어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적층된 복수의 가전 기기가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댑터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제1 가전 기기(100-1)의 상부에 제2 가전 기기(100-2)가 배치되어 제1 가전 기기(100-1)와 연결되면 제1 가전 기기(10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1 가전 기기(100-1) 및 제2 가전 기기(100-2)는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후, 제3 가전 기기(100-3)가 제2 가전 기기(100-2)의 상부에 배치되면, 제1 가전 기기(100-1)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제2 가전 기기(100-2)를 통해 제3 가전 기기로(100-3) 제공될 수 있고, 제1 가전 기기 내지 제3 가전 기기(100-1, 100-2, 100-3)는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타 가전 기기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모듈형 기기로서 공기 청정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습기, 스피커 등 다양한 형태의 가전 제품(home appliance)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가전 기기가 적층되어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경우, 적층된 가전 기기의 수만큼 가전 기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가 공기 청정기로 구현되고, 3개의 공기 청정기가 적층되는 경우, 3개의 공기 청정기는 하나의 기기와 같이 사용자 명령으로부터 통합적으로 제어되며 단일 공기 청정기 기능보다 3배 향상된 공기 청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가전 기기가 적층되는 경우 각 가전 기기는 인접한 가전 기기를 식별하여 각 가전 기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고, 복수의 가전 기기가 통합적으로 제어되도록 마스터 기기를 선별해야 하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가전 기기(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가전 기기(100)와 인접한 외부 가전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외부 가전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가전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I2C(Inter Integrated Circuit) 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외부 가전 기기와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외부 가전 기기와의 기정의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은 가전 기기(100)와 외부 가전 기기 간에 통신이 초기화되는 동작,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동작, 기기 페어링이 수행되는 동작 등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모든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가전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가 가전 기기(100)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양 기기 간의 페어링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 또는 외부 가전 기기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을 통해 주변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가 가전 기기(100)에 인접한 상태로 식별되면,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와 외부 가전 기기 간에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 이용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특정한 외부 가전 기기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하기 위해 주변의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외부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식별 정보에는 외부 가전 기기의 제품 명, 제품 번호,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외부 가전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외부 가전 기기와의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외부 가전 기기를 가전 기기(100)에 인접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는,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의 상부 및 하부에 특정 버튼이 구비되고, 외부 가전 기기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어 적층되는 경우, 외부 가전 기기를 가전 기기(100)에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외부 가전 기기의 하부에 구비된 돌출부에 의해 상술한 특정 버튼이 필연적으로 눌러지는 이벤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구비된 버튼이 눌러지면, 가전 기기(100)는 상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구비된 버튼이 눌러지면, 가전 기기(100)는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는, 가전 기기(10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100)는 상부 또는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이다. 여기서,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는 전압 값을 제공하거나 제공받기 위해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전압 값은 일정한 값이 유지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는 경우, 상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에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외부 가전 기기와 연결됨에 따라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변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감소되어 제1 임계치에 도달하면,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는 경우,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전압을 공급받기 위해 외부 가전 기기와 연결됨에 따라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변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증가되어 제2 임계치에 도달하면,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외부 가전 기기와의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는, 근접 통신 모듈에서 외부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식별 정보에는 외부 가전 기기의 제품 명, 제품 번호,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및 외부 가전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로 가전 기기(100)의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근접 통신 모듈을 통해 가전 기기(100)의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외부 가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근접 통신 모듈은 NFC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FID 모듈 또는 IR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가전 기기(100)와 동일한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외부 가전 기기를 가전 기기(100)와 인접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근접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외부 가전 기기의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식별 정보에 포함된 타입 정보가 가전 기기(100)의 타입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식별되면, 가전 기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NFC 모듈을 통해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포함된 타입 정보가 가전 기기(100)와 동일한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하부 NFC 모듈을 통해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포함된 타입 정보가 가전 기기(100)와 동일한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 기기(100)는 공기 청정기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전 기기(100)는 가습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가전 기기의 타입 정보가 가전 기기(100)의 타입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만 외부 가전 기기가 가전 기기(100)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전 기기(100)에 기저장된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가 식별되는 경우에도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가 공기 청정기로 구현되고, 공기 청정기 상부에 배치되는 외부 가전 기기가 가습기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와 유선 연결을 통해 가전 기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초하여 외부 가전 기기가 가전 기기(100)에 인접한 상태인지 식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가 가전 기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었는지 식별하여 인접하게 배치된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적층된 복수의 가전 기기 중에서 가전 기기(100)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 상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배치 상태 정보는, 적층된 복수의 외부 가전 기기 중 최 상단 배치를 나타내는 탑(top), 최 하단 배치를 나타내는 바텀(bottom) 및 최 상단 및 최 하단 사이의 배치를 나타내는 미들(middle)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의 상부 및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배치 상태 정보를 미들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만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배치 상태 정보를 탑으로 식별하고,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만 외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배치 상태 정보를 바텀으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인접한 상태로 식별된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포함된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초하여 외부 가전 기기가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식별되면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를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의 상부 및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특정 이벤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100)의 상부 및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명확하게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 및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를 구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포함된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 및 맥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 및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를 구별할 수 있다. 일 예로, 3개의 가전 기기가 적층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20)는 배치 상태 정보가 바텀인 외부 가전 기기를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배치된 것으로 식별하고, 배치 상태 정보가 탑인 외부 가전 기기를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와 인접하게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의 배치 상태 정보가 탑(top)이고, 인접한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미들(middle)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와 외부 가전 기기가 적층될 수 있는 구조로 식별하여 외부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 및 가전 기기(100)의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100)가 외부 가전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되면,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가전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무시하고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가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식별되면, 가전 기기(100)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여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의 배치 상태 정보가 미들이고, 가전 기기(100)에 인접하게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의 위치 상태 정보가 탑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위치 상태 정보가 탑인 외부 가전 기기로 가전 기기(100)의 제어 권한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 권한을 전송함으로써 가전 기기(100)는 독립적으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마스터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가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식별되면, 외부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여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의 배치 상태 정보가 탑이고, 가전 기기(100)에 인접하게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의 위치 상태 정보가 미들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위치 상태 정보가 미들인 외부 가전 기기로 외부 가전 기기의 제어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제어 권한이 수신됨으로써 외부 가전 기기는 독립적으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가전 기기(100)가 전송하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마스터 기기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슬레이브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가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식별되면, 가전 기기(100)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여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전송할 수도 있다.
가전 기기(100)의 배치 상태 정보가 미들이고, 가전 기기(100)에 인접하게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의 위치 상태 정보가 바텀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위치 상태 정보가 바텀인 외부 가전 기기로 외부 가전 기기의 제어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위치 상태 정보가 바텀인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권한을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위치 상태 정보가 탑인 외부 가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위치 상태 정보가 미들인 가전 기기(100)는 가전 기기(100)의 제어 권한 뿐만 아니라 수신된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의 제어 권한을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직접 제어 권한을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는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고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만 외부 가전 기기가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가전 기기(100)를 마스터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가 마스터 기기로 식별되면,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가전 기기가 적층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20)는 적층된 복수의 가전 기기 중 최 상단에 배치된 가전 기기(100)를 마스터 기기로 식별하고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배치된, 위치 상태 정보가 미들인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상태 정보가 바텀인 외부 가전 기기로도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가전 기기(100)가 마스터 기기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20)는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권한을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외부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가전 기기가 적층되어 있는 경우, 마스터 기기는 자신을 포함하는 3개의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적층된 3개의 기기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하고 적층된 3개의 전원을 오프 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배치된, 위치 상태 정보가 미들인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위치 상태 정보가 바텀인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으나, 위치 상태 정보가 미들인 외부 가전 기기를 통해 위치 상태 정보가 바텀인 외부 가전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가전 기기가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되면, 외부 가전 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가 적층된 복수의 가전 기기 중 최 하단에 배치되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가전 기기(100)는 가전 기기(100)에 구비된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100)는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외부 가전 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의 배치 상태 정보가 미들인 경우, 가전 기기(100)는 가전 기기(100)의 하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가전 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외부 가전 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가전 기기는 외부 가전 기기에 구비된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외부 가전 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가전 기기(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00) 및 외부 가전 기기는, 타 가전 기기와 물리적 연결이 가능한 모듈형 기기일 수 있다. 즉, 가전 기기(100) 및 외부 가전 기기는 타 가전 기기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가전 기기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에 따르면, 가전 기기(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20)는 CPU(121), 가전 기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및 가전 기기(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가전 기기(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21)는 저장부(13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부(1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와 외부 가전 기기 간에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 이용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특정한 외부 가전 기기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하기 위해 주변의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외부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식별 정보에는 외부 가전 기기의 제품 명, 제품 번호,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외부 가전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가전 기기(10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가전 기기(100) 및 프로세서(12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채널 설정을 위한 UI를 제공하고, UI 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30)는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 외부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 및 타입 정보가 포함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배치 상태 정보는, 적층된 복수의 가전 기기 중 최 상단 배치를 나타내는 탑(top), 최 하단 배치를 나타내는 바텀(bottom) 및 최 상단 및 최 하단 사이의 배치를 나타내는 미들(middle)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가전 기기가 적층되어 있는 최 상단에 배치된 가정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는 탑이다.
저장부(130)는 프로세서(120)에 포함된 롬(ROM),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2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13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가전 기기(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가전 기기(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가전 기기(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가전 기기(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가전 기기(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가전 기기는 제2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면 제2 가전 기기를 제1 가전 기기에 인접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의 상부 및 하부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에 기초하여 제1 가전 기기는 상부 또는 하부에 제2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는 전압 값을 제공하거나 제공받기 위해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일 수 있다.
도 3a에 따르면,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제2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전압 값을 측정할 수 있다(S310).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제2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전압 값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제2 가전 기기가 배치되는 경우, 상부에 배치된 제2 가전 기기에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제2 가전 기기와 연결됨에 따라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변화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감소되어 제1 임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320).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감소되어 제1 임계치 미만이 되면(S320-Y),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제2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S330).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340). 제1 가전 기기는 인접한 상태로 식별된 제2 가전 기기로부터 제2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포함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가전 기기를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미들(middle)이고, 제2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탑(top)인 경우,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와 제2 가전 기기가 적층될 수 있는 구조로 식별하여 제2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제1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으면(S320-N),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S330).
도 3b에 따르면,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위치한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제3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전압 값을 측정할 수 있다(S350).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제3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전압 값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제3 가전 기기가 배치되는 경우, 하부에 배치된 제3 가전 기기에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제3 가전 기기와 연결됨에 따라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변화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증가되어 제2 임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360).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증가되어 제2 임계치 이상이 되면(S360-Y),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제3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S370).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제3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380). 제1 가전 기기는 인접한 상태로 식별된 제3 가전 기기로부터 제3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포함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제3 가전 기기를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3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3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미들(middle)이고, 제3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바텀(bottom)인 경우,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와 제3 가전 기기가 적층될 수 있는 구조로 식별하여 제3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제2 임계치 이상이 되지 않으면(S360-N),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S390).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가전 기기는 제2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이 감지되면 제2 가전 기기를 제1 가전 기기에 인접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는 양 가전 기기를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가전 기기(10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돌출부 및 돌출부의 삽입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버튼부 또한 가전 기기(10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S410).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제2 가전 기기가 배치되어 적층되는 경우, 제2 가전 기기의 하부에 위치한 돌출부에 의해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버튼이 눌러질 수 있다. 제2 가전 기기를 제1 가전 기기에 안전하게 배치시키기 위해서도 제2 가전 기기의 하부에 위치한 돌출부를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버튼에 삽입시켜야 하므로, 제2 가전 기기가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필연적으로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버튼이 눌러질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버튼이 눌러지면, 제1 가전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S420).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버튼이 눌러지면,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위치한 버튼이 눌러지면,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430).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와 인접하게 배치된 가전 기기로부터 배치 상태 정보가 포함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배치된 가전 기기가 제2 가전 기기임을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2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미들(middle)이고, 제2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탑(top)인 경우,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와 제2 가전 기기가 적층될 수 있는 구조로 식별하여 제2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위치한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와 인접하게 배치된 가전 기기로부터 배치 상태 정보가 포함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가전 기기가 제3 가전 기기임을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3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3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미들(middle)이고, 제3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가 바텀(bottom)인 경우,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와 제3 가전 기기가 적층될 수 있는 구조로 식별하여 제3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버튼이 모두 눌러지는 경우,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와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가전 기기로부터 배치 상태 정보가 포함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전 기기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제2 가전 기기 및 제3 가전 기기를 구별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2 가전 기기 및 제3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만 버튼이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타 가전 기기가 배치되어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된 버튼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와의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가전 기기는 제2 가전 기기로부터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제2 가전 기기를 제1 가전 기기에 인접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는, 근접 통신 모듈에서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식별 정보에는 가전 기기의 제품 명, 제품 번호,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및 가전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타 가전 기기로 제1 가전 기기의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10).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근접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가전 기기의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타 가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근접 통신 모듈은 NFC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FID 모듈 또는 IR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타 가전 기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제1 가전 기기는 타 가전 기기가 인접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S520). 구체적으로, 제1 가전 기기는 타 가전 기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제1 가전 기기와 동일한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에 제1 가전 기기와 동일한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S520-Y),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와 인접한 위치에 타 가전 기기가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S53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가전 기기는 근접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통해 타 가전 기기가 제1 가전 기기에 인접하게 배치된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NFC 모듈을 통해 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포함된 타입 정보가 제1 가전 기기와 동일한 것으로 식별되면,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위치한 NFC 모듈을 통해 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포함된 타입 정보가 제1 가전 기기와 동일한 것으로 식별되면,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타 가전 기기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식별된 타 가전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540).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 간 제어 신호 전송 및 전원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제1 가전 기기(610)의 상부에 제2 가전 기기(620)가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전 기기(610)는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될 수 있고, 제2 가전 기기(620)는 마스터 기기로 식별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610) 및 제2 가전 기기(620)가 각각 슬레이브 기기 및 마스터 기기로 식별되는 내용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가전 기기(610)는 제1 가전 기기(610)에 구비된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제1 가전 기기(610)의 상부에 배치된 제 2 가전 기기(62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가전 기기(610)는 제2 가전 기기(6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제2 가전 기기(62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가전 기기(620)는 제2 가전 기기(620)에 구비된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제2 가전 기기(620)의 하부에 배치된 제1 가전 기기(610)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가전 기기(620)가 마스터 기기로 식별되면, 제2 가전 기기(620)는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된 제1 가전 기기(610)로 제어 권한을 요청하여 제1 가전 기기(610)의 제어 권한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2 가전 기기(620)는 제2 가전 기기(610)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전 기기(610) 및 제2 가전 기기(620)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권한을 제2 가전 기기(620)로 전송한 제1 가전 기기(610)는 사용자 명령을 무시하고, 제2 가전 기기(620)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제1 가전 기기(6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전 기기(610) 및 제2 가전 기기(62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전 기기(610)가 마스터 기기로 식별되면, 제1 가전 기기(610)가 제2 가전 기기(620)로부터 제어 권한을 수신하고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제2 가전 기기(6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 및 역할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인접한 공간에 타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가전 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가전 기기를 나타낸다. 도 7b 내지 도 7d는 복수의 가전 기기가 적층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 내지 도 7d 각각의 적층된 복수의 가전 기기는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각 가전 기기는 자신의 배치 상태 정보 및 이에 따른 역할을 식별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타 가전 기기와의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타 가전 기기를 가전 기기에 인접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에 따르면, Case 1의 가전 기기는 자신의 상부 및 하부에 인접한 타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음을 식별하여 독립적인 가전 기기로 가전 기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ase 2의 가전 기기는 상부에 인접한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고 하부에만 인접한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음을 식별하여 Case 2의 가전 기기의 위치 상태 정보는 탑이고, Case 2의 가전 기기의 역할을 마스터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Case 2의 가전 기기가 수신하여 하부에 배치된 슬레이브 기기로 해당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Case 3의 가전 기기는 하부에 인접한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고 상부에만 인접한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음을 식별하여 Case 3의 가전 기기의 위치 상태 정보는 바텀이고, Case 3의 가전 기기의 역할을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ase 4의 가전 기기는 상부 및 하부에 인접한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음을 식별하여 Case 4의 가전 기기의 위치 상태 정보를 미들이고, Case 4의 가전 기기의 역할을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 가전 기기는 제2 가전 기기가 제1 가전 기기에 인접한 상태로 식별되면, 제2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10). 제1 가전 기기는 제2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제2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제2 가전 기기와의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제2 가전 기기를 제 가전 기기에 인접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와 관련하여,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제2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위치한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제2 가전 기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2 가전 기기로 제1 가전 기기의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제2 가전 기기로부터 제1 가전 기기와 동일한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제2 가전 기기를 제1 가전 기기와 인접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는 제2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 및 제1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전 기기가 제2 외부 가전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슬레이브 기기 또는 제1 가전 기기가 제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인지 식별할 수 있다(S8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가전 기기는 제2 가전 기기가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식별되면, 제2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고, 제2 가전 기기가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식별되면, 제1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즉, 제1 가전 기기는 제1 가전 기기의 상부에는 타 가전 기기가 배치되지 않고 제1 가전 기기의 하부에만 타 가전 기기가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제1 가전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되면, 제2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전송하고,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식별되면,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된 제2 가전 기기로 제어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S830). 제1 가전 기기는 하부에 배치된 타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권한을 타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타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각 단계의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전자 장치 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전자 시스템 100: 가전 기기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Claims (20)

  1. 가전 기기에 있어서,
    통신부; 및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에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 상기 가전 기기의 상대적 위치에 관련된 배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외부 가전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로 식별되면,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가전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식별하여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여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가전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는 외부 가전 기기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만 외부 가전 기기가 연결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가전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식별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연결된 외부 가전 기기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가전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의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상기 가전 기기에 연결된 상태로 식별하는, 가전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위치한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가전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연결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가전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상기 가전 기기의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가전 기기와 동일한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상기 가전 기기와 연결된 상태로 식별하는, 가전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공기 청정기인, 가전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상태 정보는,
    적층된 복수의 가전 기기 중 최 상단 배치를 나타내는 탑(top), 최 하단 배치를 나타내는 바텀(bottom) 및 상기 최 상단 및 상기 최 하단 사이의 배치를 나타내는 미들(middle)을 포함하는 정보인, 가전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 및 상기 외부 가전 기기는,
    타 가전 기기와 물리적 연결 가능한 모듈형 기기인, 가전 기기.
  11.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에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와 상기 가전 기기의 상대적 위치에 관련된 배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외부 가전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슬레이브 기기인지 또는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인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로 식별되면,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전 기기로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가전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식별하고,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가전 기기를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는 외부 가전 기기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만 외부 가전 기기가 연결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가전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식별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서 연결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포트에서 기설정된 전압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상기 외부 가전 기기와의 근접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상기 가전 기기에 연결된 상태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위치한 제2 유선 연결 포트에서 측정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하부에 외부 가전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상부에 연결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 상기 가전 기기의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가전 기기와 동일한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 가전 기기를 상기 가전 기기와 연결된 상태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공기 청정기인,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상태 정보는,
    적층된 복수의 가전 기기 중 최 상단 배치를 나타내는 탑(top), 최 하단 배치를 나타내는 바텀(bottom) 및 상기 최 상단 및 상기 최 하단 사이의 배치를 나타내는 미들(middle)을 포함하는 정보인,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 및 상기 외부 가전 기기는,
    타 가전 기기와 물리적 연결 가능한 모듈형 기기인, 제어 방법.
KR1020170178357A 2017-12-22 2017-12-22 가전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10240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357A KR102401481B1 (ko) 2017-12-22 2017-12-22 가전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EP18892308.0A EP3669124A4 (en) 2017-12-22 2018-11-29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PCT/KR2018/014916 WO2019124801A1 (en) 2017-12-22 2018-11-29 Applian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880075877.3A CN111386433A (zh) 2017-12-22 2018-11-29 电器及其控制方法
US16/217,834 US11156974B2 (en) 2017-12-22 2018-12-12 Applian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150,011 US11537092B2 (en) 2017-12-22 2021-01-15 Applian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357A KR102401481B1 (ko) 2017-12-22 2017-12-22 가전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513A KR20190076513A (ko) 2019-07-02
KR102401481B1 true KR102401481B1 (ko) 2022-05-24

Family

ID=6695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357A KR102401481B1 (ko) 2017-12-22 2017-12-22 가전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156974B2 (ko)
EP (1) EP3669124A4 (ko)
KR (1) KR102401481B1 (ko)
CN (1) CN111386433A (ko)
WO (1) WO2019124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660B1 (ko) * 2017-12-26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EP3974738B1 (en) * 2019-08-14 202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11930980B2 (en) * 2022-05-04 2024-03-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ppliance and method for cleaning context det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7178A1 (en) * 2009-06-05 2010-12-09 Hobart Brothers Company Modular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30057076A1 (en) * 2011-09-02 2013-03-07 Pag Ltd. Battery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5096A1 (de) * 1996-11-01 1998-05-07 Clinix Gmbh Luftreinigungsgerät
JPH11299597A (ja) 1998-04-20 1999-11-02 Kongo Co Ltd 空気環境調整機能付展示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た展示ケースユニット
CN1201272C (zh) * 2002-08-23 2005-05-11 海湾安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两线制通讯总线装置
KR100552689B1 (ko) 2003-09-08 2006-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러 기기, 복수의 모듈러 기기가 연결된 통합 시스템및 그 운영 방법
KR100507996B1 (ko) 2004-02-06 2005-08-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정화장치
KR20060026319A (ko) * 2004-09-20 200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형 공기청정기
KR200378995Y1 (ko) * 2004-12-31 2005-03-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 청정기
KR20060117385A (ko) * 2005-05-10 200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을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링크 시스템에서의슬레이브 디바이스 이벤트 처리방법
US20060277875A1 (en) * 2005-06-08 2006-12-14 Rps Products, Inc. Stackable air purifier system with expandable housing
KR20080019354A (ko) 2006-08-28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기기의 설정제어방법
US20090041632A1 (en) * 2007-08-08 2009-02-12 Novapure Systems Inc. Air Purifier System and Method
CN101847801A (zh) * 2010-04-09 2010-09-2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串接方法
US8899057B2 (en) * 2010-09-17 2014-12-02 Hobart Brothers Company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KR101208212B1 (ko) 2010-12-16 2012-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757154B2 (en) * 2011-08-09 2014-06-24 Carmen Schuller Air purifier apparatus
US20140020561A1 (en) * 2012-07-18 2014-01-23 Glen Aery Segmented stackable filter assembly for filtering a ga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737842B2 (en) * 2014-04-25 2017-08-22 Fellowes, Inc. Air purifier with intelligent sensors and airflow
CN104329731B (zh) 2014-07-03 2017-07-2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气处理系统
US9732977B2 (en) * 2014-09-02 2017-08-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nd communicating with HVAC devices
KR20180019354A (ko) 2016-08-16 2018-02-26 정래옥 냉장고의 소음저감 및 소취를 위한 세라믹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791B1 (ko) * 2017-03-20 202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7178A1 (en) * 2009-06-05 2010-12-09 Hobart Brothers Company Modular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30057076A1 (en) * 2011-09-02 2013-03-07 Pag Ltd. Battery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513A (ko) 2019-07-02
US20210132563A1 (en) 2021-05-06
US11156974B2 (en) 2021-10-26
US20190196426A1 (en) 2019-06-27
WO2019124801A1 (en) 2019-06-27
EP3669124A4 (en) 2020-07-08
EP3669124A1 (en) 2020-06-24
CN111386433A (zh) 2020-07-07
US11537092B2 (en)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2262B2 (en)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protocol for automated furniture accessory integration
US11537092B2 (en) Applian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345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terogene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ing single application
TWI470970B (zh) 開放式監控系統及其操作方法
CN111527754B (zh) 家用电器和用于控制家用电器的控制方法
US85333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enabling a host apparatus to access a peripheral device
BR112014006926B1 (pt) Método para configurar a funcionalidade de dispositivo de controle
KR20140052690A (ko) 전자장치 및 시스템의 제어방법
EP3389332B1 (en) Commissioning of a plurality of devices
US11935398B1 (en) Electronic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system
JP5868476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42054B1 (ko) WⅰBro 망을 통해 시리얼 통신 에뮬레이션을 지원하는 M2M 모듈 및 그 동작 방법
WO2019180761A1 (ja)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20563B2 (ja) 通信機器、通信アダプタ、通信システム、通信パラメータ応答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66699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JP2017054428A (ja) 通信アダプタ、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28603B1 (ja) 通信アダプタ、制御システム、通信アダプタ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090140A1 (ja) 宅内機器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宅内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86191A (ja) 通信機器、設定方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