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473B1 -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473B1
KR102401473B1 KR1020200139792A KR20200139792A KR102401473B1 KR 102401473 B1 KR102401473 B1 KR 102401473B1 KR 1020200139792 A KR1020200139792 A KR 1020200139792A KR 20200139792 A KR20200139792 A KR 20200139792A KR 102401473 B1 KR102401473 B1 KR 10240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vulcanization mold
core pi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560A (ko
Inventor
손정한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4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가황금형에 설치되며 하부에 가황금형의 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는 실리콘 캡슐이 구비되어 상온에서는 공기배출통로를 폐쇄하고 가황시에는 공기배출통로를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몰드 개조시 또는 장기 보관시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완제품 타이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완제품 타이어 표면의 베어 불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가황금형의 벤트홀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 공기배출공을 개폐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코어핀; 및 하우징의 공기통로 하부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압축공기가 채워지며 가황 열에 의해 팽창하여 코어핀을 밀어냄으로써 하우징의 공기배출공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실리콘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Ventless Plug for Tire Cure Mold}
본 발명은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가황금형에 설치되며 하부에 가황금형의 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는 실리콘 캡슐이 구비되어 상온에서는 공기배출통로를 폐쇄하고 가황시에는 공기배출통로를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몰드 개조시 또는 장기 보관시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완제품 타이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완제품 타이어 표면의 베어 불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타이어 제조공정에서 그린타이어의 성형과정이 완료되면, 열과 압력을 그린타이어에 가하여 외주면에 트레드 패턴이 형성된 완제품 타이어로 만드는 가황공정(또는 가류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가황공정에서는 가황금형의 내부에 그린타이어를 넣은 후 블래더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동안 그린타이어의 내부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그린타이어의 외면에 트레드 패턴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런데 가황공정을 수행할 때 가황금형과 그린타이어 사이에 공기가 잔존할 수 있다. 만약, 가황금형과 그린타이어 사이의 잔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경우 완제품 타이어의 표면이 불균일해지는 외관 불량이 발생하므로, 가황공정에서 잔류 공기를 배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가황금형에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한 후, 관통홀에, 잔류공기의 배출을 위한 벤트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벤트 구조물을 통해 잔류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벤트 구조물은 잔류공기의 배출 정도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베어(bare) 불량 및 식출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완제품 타이어에 남아 있는 식출고무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트리밍 작업이 요구됨은 물론, 식출 제거 작업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원통형의 벤트 구조물로 인해 발생한 식출고무를 절단하는 트리밍 작업시, 식출고무를 깨끗하게 잘라내기 어려워 식출 흔적이 남게 됨으로써, 완제품 타이어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식출고무로 인한 완제품 타이어의 외관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벤트에 의한 식출고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벤트리스 타입의 타이어 가황금형을 사용하기도 한다. 벤트리스 타입의 가황금형은, 개폐 가능한 밸브가 구비된 벤트 플러그를 이용한 것으로, 잔류공기를 배출할 때에는 벤트 플러그의 밸브가 개방되어 잔류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타이어를 가황할 때에는 벤트 플러그의 밸브가 폐쇄됨으로써 식출고무가 발생하지 않게 하고 있다. 하지만, 벤트리스 타입의 가황금형은 벤트 플러그의 밸브를 개폐시키는 작업을 따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스프링을 이용하여 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스프링형 벤트 플러그를 사용하기도 한다. 스프링형 벤트 플러그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벤트 플러그의 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타이어 가황시 완제품 타이어의 표면에 식출고무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그린타이어와 가황금형 사이에 공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하여 타이어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타이어 표면에 식출고무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식출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후속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는 밸브를 승강시키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가 상온과 가황온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 형태가 일정하기 때문에 가황금형의 몰드를 클리닝한 후 장기간 보관시 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이물질로 인해 완제품 타이어의 표면의 베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벤트리스 플러그의 공기배출통로가 개방되어 있어 몰드를 개조할 때 개방된 공기배출통로의 내부로 각종 칩과 클리닝시 사용된 미디어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국내 특허문헌을 찾을 수 있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가류금형의 벤트홀에 삽입 설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중심통공 내에 삽입 설치되는 밸브체와, 밸브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그 종단면이 "W"형인 판스프링이며, 판스프링의 중앙홈에 밸브체가 결합되고, 판스프링의 끝단은 상기 케이싱의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기 배출능력을 향상시키고, 벤트장치 내로 고무가 유입되어 완성타이어에 벤트러버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시키며, 가류시 작동 불량을 방지하고, 벤트장치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키며, 유지보수 및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그린타이어를 가류하는 타이어 몰드의 벤트홀에 삽입되고, 그린타이어와 타이어 몰드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공이 관통형성된 하우징 및 하우징의 통공에 위치하여 상기 통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진 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밸브체는 밸브체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결합부, 밸브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및 통공 개방시 공기가 통공으로 유입되도록 하우징과 이격되고 통공 폐쇄시 그린타이어를 구성하는 고무가 통공으로 식입되지 않도록 하우징과 접촉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된, 타이어 금형의 스프링을 구비한 벤트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타이어 가류금형에 형성된 벤트홀에 끼워져 상기 가류금형 내부의 잔류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가류금형의 벤트홀에 결합되고, 공기 유동을 위한 공기통로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공기통로 속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스템과, 상기 가류금형의 내부에 수용된 고무의 압력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케이싱에 접하여 상기 공기통로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스템의 일단에 결합되는 벤트 마개를 갖는 밸브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는 밸브 스템을 관통한 관통공을 통과하여 밸브부재에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된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의할 때, 가류시 공기와 함께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타이어 고무가 밸브부재를 작동시키는 스프링에 부착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가류금형으로부터의 공기 배출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유지보수 역시 간편하여 타이어 표면의 베어 불량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스프링리스 벤트 플러그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타이어 가황금형에 형성된 벤트홀에 설치되어 가황금형 내부의 잔류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타이어 가황금형의 벤트 플러그에 있어서, 벤트홀에 끼움 결합되며, 잔류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잔류공기가 배출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며 케이싱의 통로를 밀폐하도록 케이싱에 결합되는 밸브부재; 를 포함하고, 케이싱은 상단 내측에 나선형상의 공기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역원추 구조의 가스출구를 구비함과 아울러, 밸브부재는 케이싱의 가스출구에 밀착되는 경사밀착부를 구비하여, 밸브부재를 누르면 경사밀착부가 가스출구에 밀착되면서 가스출구에 형성된 공기배출통로가 밀폐되고, 밸브부재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경사밀착부와 가스출구의 상부면 사이에 공기배출통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잔류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타이어의 외관품질이 향상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타이어 표면의 베어 불량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가황금형의 벤트 플러그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0855209 B1 특허문헌 2: KR10-1612055 B1 특허문헌 3: KR10-1879508 B1 특허문헌 4: KR10-12121375 B1
본 발명은 타이어 가황금형에 설치되며 하부에 가황금형의 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는 실리콘 캡슐이 구비되어 상온에서는 공기배출통로를 폐쇄하고 가황시에는 공기배출통로를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몰드 개조시 또는 장기 보관시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완제품 타이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완제품 타이어 표면의 베어 불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핀이 실리콘 캡슐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스프링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고무가 유입되더라도 실리콘 캡슐의 탄성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잔류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핀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 가황금형용 베트리스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황금형의 벤트홀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 공기배출공을 개폐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코어핀; 및 하우징의 공기통로 하부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압축공기가 채워지며 가황 열에 의해 팽창하여 코어핀을 밀어냄으로써 하우징의 공기배출공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실리콘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코어핀이 수용되며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수용부와, 실리콘 캡슐이 안착되도록 수용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캡슐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따르면, 상기 코어핀은 상단측의 대경부와 하단측의 소경부로 이루어진 바디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캡슐안착홈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며 바디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마감부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배출공에 대응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디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 중간 부분에 마감재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코어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캡슐에 의한 코어핀의 스트로크는 0.15∼0.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캡슐의 외주면에 공기배출을 위한 수직 방향의 공기배출홈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따르면, 가황시에는 실리콘 캡슐이 팽창하여 잔류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됨에 따라 완제품 타이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되고 상온에서 몰드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개조시에는 실리콘 캡슐이 수축되어 공기배출통로가 폐쇄됨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 완제품 타이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완제품 타이어 표면의 베어 불량이 획기적으로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따르면, 코어핀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하부에 캡슐안착홈이 형성됨에 따라 실리콘 캡슐의 설치가 용이하고 실리콘 캡슐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따르면, 하우징의 수용부 내에 스토퍼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코어핀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따르면, 실리콘 캡슐에 수직 방향의 공기배출홈이 형성됨에 따라 실리콘 캡슐이 팽창하더라도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의 분해도.
도 3은 도 2의 X-X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의 상온시 모습과 가황시 모습을 비교한 참고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황금형(도시 생략)의 벤트홀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공기유입공(12)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공기배출공(13)이 형성된 하우징(10)과; 공기배출공(13)을 개폐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코어핀(20)과; 하우징(10)의 공기통로 하부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압축공기가 채워지며 가황 열에 의해 팽창하여 코어핀(20)을 밀어냄으로써 하우징(10)의 공기배출공(13)을 통해 잔존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실리콘 캡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리콘 캡슐(30)은 내부에 채워진 압축공기가 열에 의해 부피가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팽창 또는 수축된다. 이는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온도가 1℃ 증가할 때마다 0℃때 부피의 1/273씩 증가하는 샤를의 법칙에서 착안한 것이다. 그리고 실리콘 캡슐(30)은 내부에 압축공기를 가두어 둘 수 있도록 고온에서도 형상을 유지 가능한 실리콘 고무재질의 탄성체로 제작되며, 기체의 종류와 실리콘 캡슐의 두께는 코어핀(20)의 스트로크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리콘 캡슐(3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코어핀(20)이 승강하면서 하우징의 공기배출공을 개폐시키게 되어, 상온에서 가황금형을 장기간 보관하거나 몰드를 개조하는 경우에는 도 4의 (a)와 같이, 코어핀에 의해 하우징의 공기배출공이 차단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외부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이 차단되어,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10)은 코어핀(20)이 수용되며 또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수용부(11)와, 실리콘 캡슐(30)이 안착되도록 수용부(11)의 하측에 형성되는 캡슐안착홈(15)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에 설치된 실리콘 캡슐(30)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코어핀(20)은 상단측의 대경부(21b)와 하단측의 소경부(21a)로 이루어진 바디(21)와, 하우징(10)에 구비된 캡슐안착홈(15)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바디(21)의 하부에 구비되며 바디(2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마감부(22)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배출공(13)에 대응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디(21)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헤드(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코어핀(20)이 캡슐안착홈(15)에 안착된 실리콘 캡슐(30)에 의해 코어핀(20)이 승강하여 하우징(10)의 공기배출공을 개폐하게 된다.
즉, 상온에서는 도 4의 (a)와 같이, 실리콘 캡슐(30)이 수축되고 이로 인해 코어핀(20)이 하강하여 코어핀(20)의 헤드부(23)가 하우징(10)의 공기배출공(13)을 막아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온에서 가황금형을 장시간 보관하거나 몰드를 개조하는 경우, 하우징(10)의 공기배출공(13)을 막고 있는 코어핀(20)의 헤드부(23)로 인해 공기통로가 차단되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그린타이어에 트레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황하는 경우에는 도 4의 (b)와 같이 가황 열에 의해 실리콘 캡슐(30)이 팽창하면서 코어핀(20)을 상승 이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코어핀(20)의 헤드부(23)가 하우징(10)의 공기배출공(13)으로부터 이탈되어 공기통로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금형과 그린타이어 사이의 잔류 공기가 하우징(10)의 공기유입공(12)으로 유입된 후 공기배출공(13)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실리콘 캡슐(30)에 의한 코어핀(20)의 스트로크는 0.1∼0.3㎜인 것이 바람직하며, 0.15∼0.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코어핀(20)의 스트로크가 0.1㎜ 미만일 경우에는 코어핀(30)이 상승하더라도 공기통로가 충분히 개방되지 않아 잔존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코어핀(20)의 스트로크가 0.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다하게 개방된 공기통로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코어핀(20)이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수용부(11)의 중간부분에는 코어핀(20)의 마감부(2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코어핀(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1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토퍼돌기(14)는 하우징(10)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에 수용된 코어핀(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실리콘 캡슐(30)의 가황 열에 의해 팽창하였을 때 실리콘 캡슐(30)로 인해 하우징(10)의 공기유입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캡슐(30)의 외주면에 공기배출을 위한 수직 방향의 공기배출홈(도시 생략)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고, 잔류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단부 중앙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유입공 및 유입된 공기가 하우징의 수용부로 배출되도록 유입공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는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대로의 구성과 작용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하우징
11…수용부 12…공기유입공
13…공기배출공 14…스토퍼돌기
15…캡슐안착홈
20…코어핀
21…바디 21a…소경부
21b…대경부 22…마감부
23…헤드
30…실리콘 캡슐

Claims (4)

  1. 가황금형의 벤트홀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
    공기배출공을 개폐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코어핀; 및
    하우징의 공기통로 하부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압축공기가 채워지며 가황 열에 의해 압축공기가 팽창하여 코어핀을 밀어냄으로써 하우징의 공기배출공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실리콘 캡슐을 포함하며,
    하우징으로부터 코어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돌기가 하우징의 내측 원주면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코어핀의 이동이 스토퍼돌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코어핀이 수용되며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수용부와, 실리콘 캡슐이 안착되도록 수용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캡슐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캡슐에 의한 코어핀의 스트로크는 0.1∼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캡슐의 외주면에 공기배출을 위한 수직 방향의 공기배출홈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
KR1020200139792A 2020-10-27 2020-10-27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 KR10240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792A KR102401473B1 (ko) 2020-10-27 2020-10-27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792A KR102401473B1 (ko) 2020-10-27 2020-10-27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560A KR20220055560A (ko) 2022-05-04
KR102401473B1 true KR102401473B1 (ko) 2022-05-25

Family

ID=8158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792A KR102401473B1 (ko) 2020-10-27 2020-10-27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4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375B1 (ko) * 2018-10-11 2020-06-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황금형의 벤트 플러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1831B1 (en) * 2003-12-19 2005-03-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old vent
KR100855209B1 (ko) 2007-06-13 2008-09-0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101612055B1 (ko) 2014-06-02 2016-04-1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금형의 스프링을 구비한 벤트 장치
KR101879508B1 (ko) 2016-10-10 2018-07-17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금형의 스프링리스 벤트플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375B1 (ko) * 2018-10-11 2020-06-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황금형의 벤트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560A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055B1 (ko) 타이어 금형의 스프링을 구비한 벤트 장치
CN101360594B (zh) 轮胎成形用模具、轮胎成形用模具的通气孔所使用的塞子以及使用该轮胎成形用模具制造的轮胎
CN109719870B (zh) 轮胎硫化模具以及轮胎制造方法
KR101689650B1 (ko)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벤트
JPH11333846A (ja) 成形金型のベントホ―ル開閉弁装置
US20210129390A1 (en) Valve insert and air venting valve
KR102121375B1 (ko) 타이어 가황금형의 벤트 플러그
KR100956242B1 (ko)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KR102401473B1 (ko)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리스 플러그
JP2017213858A (ja) 加硫金型
KR101879508B1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스프링리스 벤트플러그
JP7083700B2 (ja) タイヤ加硫金型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KR102080387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JP2010280171A (ja) タイヤ加硫金型
KR101010802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에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 배출구조
KR102567416B1 (ko) 타이어 가황금형의 숄더부 벤트리스 플러그
KR101861225B1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벤트 플러그
KR200182189Y1 (ko)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몰드의 구조
KR101497238B1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벤트 플러그
KR101934566B1 (ko) 타이어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KR100443706B1 (ko)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KR101914390B1 (ko) 타이어 가황금형의 스프링리스 벤트 플러그
KR20240041006A (ko) 타이어 가황금형의 벤트리스 플러그
JP2021094703A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KR100509188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