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336B1 -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336B1
KR102401336B1 KR1020210113658A KR20210113658A KR102401336B1 KR 102401336 B1 KR102401336 B1 KR 102401336B1 KR 1020210113658 A KR1020210113658 A KR 1020210113658A KR 20210113658 A KR20210113658 A KR 20210113658A KR 102401336 B1 KR102401336 B1 KR 102401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ating
weight
parts
coating gun
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오
송유성
Original Assignee
권성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오 filed Critical 권성오
Priority to KR102021011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9/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 B05C19/008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elsewhere in B05C1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driving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는, 마그넷 트랙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무버(mover)를 구비한 리니어 모터와, 상기 무버에 장착된 상태로 분체도장건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리니어 모터를 메인 샤프트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 마운트;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연장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메인 샤프트;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메인 샤프트를 회전하여 상기 마운트를 상기 메인 샤프트를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 회동하는 수동 손잡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무버의 이동을 조작하는 발판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피도장체에서 도료를 분사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피도장체가 애매한 위치에 있을 때 작업자의 수고를 덜면서 편리하게 도료를 분사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Lift device for powder coating guns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powder coating}
본 발명은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로서, 더욱 상세히는 분체 도장 공정 시 재도장이나 부분 도장을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분체도장건을 작업자의 손쉬운 조작으로 리프팅 처리하되 배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작업 환경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분체도장건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체도장부스 내에는 레일을 따라 피도장체가 이동하면서 이 피도장체를 중심으로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분체도장기가 배치되어 피도장체가 이동식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피도장체에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분체도장기는 도료를 주입받아 복수의 노즐을 통해 피도장체에 도료를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분체도장부스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분체도장기가 피도장체에 분체 도장을 수행하는데, 피도장체의 형상이나 분체도장부스 내의 다양한 환경에 의하여 1회 분체 도장으로 도장이 완료되지 못하고 분균일하게 도장 처리된 도료를 총 모양의 분체도장 에어건을 통해 에어 분사 방식으로 걷어낸 다음 다시 분체도장부스에 투입하거나 아니면 역시 총 모양을 가진 상태에서 분체도장기에 비해 소량의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를 분사하는 분체도장건을 통해 일부 도장이나 재도장을 수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여기서, 분체도장건은 총 모양을 가진 상태에서 손잡이의 방아쇠를 조작할 때 몸체에 내장되어 도료를 저장한 탱크(또는 공급관을 통해 외부 탱크와 연결)에서 펌프의 작동을 통해 도료를 노즐로 분사하는 구조와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분체도장건은 분체도장기에 장착되어 자동 분사되는 구조도 존재하나, 대부분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앞서 언급한 불균일한 도장 부분에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피도장체가 레일에 높게 매달려 있거나 아니면 반대로 너무 낮은 지점에 위치한 경우 작업자가 원활하게 분체도장건을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 피도장체의 저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 일정 영역에 도료를 분사해야 하는 경우 이 부분은 외부 분사 방식을 가진 분체도장기에 의해서 제대로 도장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분체도장건을 들고 피도장체의 내부로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서 도료를 분사하기 까다롭거나 도료에 의해 호흡기관이 금세 악화될 우려가 따른다.
선행기술인 국내 특허 제 1862095호인 피도물 크기 자동인식 도장시스템은, 분체도장 에어건 결합장치를 통해 프레임에 분체도장 에어건을 결합하여 트리거를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기술은 분체도장건의 트리거를 자동 조작하는 기능을 제공하나 앞서 설명한 문제점, 즉 피도장체의 높거나 낮은 높이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거나 아니면 피도장체의 저면 내 일부가 개방되어 이 내부 영역 일부에 효율적으로 도장을 수행하는 해결 수단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분체도장기에 의해서도 도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작업자가 조작하기 어려운 환경이나 피도장체의 특정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분체도장건의 위치는 물론 분사 시점을 효율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분체도장건 조작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체 도장 공정 시 재도장이나 부분 도장을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분체도장건을 작업자의 손쉬운 조작으로 리프팅 처리하거나 위치 설정함과 아울러 배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작업 환경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분체도장건 전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손과 발의 간편한 동작으로 누운 상태의 분체도장건을 기립한 다음 상승 및 하강하면서 분체도장건의 위치를 설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체도장건의 회동과 리프팅을 안정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피도장체의 저면 내부에 분체도장건이 진입하였을 때 내부를 밝힐 수 있는 조명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는, 마그넷 트랙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무버(mover)를 구비한 리니어 모터와, 상기 무버에 장착된 상태로 분체도장건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리니어 모터를 메인 샤프트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 마운트;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연장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메인 샤프트;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메인 샤프트를 회전하여 상기 마운트를 상기 메인 샤프트를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 회동하는 수동 손잡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무버의 이동을 조작하는 발판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동 손잡이와 발판 스위치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단부 측 바닥에 설치된 베이스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닥에 지지된 상태로 연장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기립한 베어링 고정대 및, 상기 베어링 고정대에 상기 메인 샤프트가 지나도록 장착된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1) 피도장체에서 도료를 분사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피도장체가 애매한 위치에 있을 때 작업자의 수고를 덜면서 편리하게 도료를 분사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강화하고,
2) 작업자의 손과 발의 간단한 조작으로 분체도장건을 회동하거나 승강할 수 있으며,
3) 작업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는 공간 절약 효과를 담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보조 조명을 통해 효율적으로 도장 부위를 조사할 수 있어 도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리니어 모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리니어 모터에 고정 프레임을 매개로 분체도장건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메인 샤프트 및 수동 손잡이의 핸들 바와 마운트의 연결부가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수동 손잡이의 조작으로 메인 샤프트의 회전하면서 마운트를 상승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리니어 모터의 단부 일 측에 조명부가 장착된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10)(이하, '리프트 장치'라고도 한다)는 크게 마운트(100), 메인 샤프트(200), 수동 손잡이(300), 발판 스위치(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프트 장치(10)는 작업자가 분체도장건(1)을 조작하여 도료를 분사하기 어려운 환경, 특히 저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 공간을 가지되 측면이 가려진 피도장체의 적어도 내부 일부에 도료를 분사해야 하는 환경 등에서 굳이 허리를 숙여 피도장체 내부로 몸을 넣는 동작을 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도료를 분사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강화하는 것을 주요 특성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분체도장건(1)은 총 모양을 가진 상태에서 손잡이의 방아쇠를 조작할 때 몸체에 내장되어 도료를 저장한 탱크(또는 공급관을 통해 외부 탱크와 연결)에서 펌프의 작동을 통해 도료를 노즐로 분사하는 구조와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분체도장건(1)은 공지의 분체도장부스에서 자동으로 도료를 분사하는 분체도장기(레시프로게이터)와 달리 분체도장부스를 거친 피도장체의 도장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이나 기타 방식으로 검수한 다음 불균일하게 도장된 부분이 존재할 때 해당 부분에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도료를 수동으로 분사하는 부분 도장이나 재도장 공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장치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10)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거나 자세를 취하기에 불편한 피도장체의 특정 부위에 분체도장건(1)을 통해 편리하게 재도장이나 부분 도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 1을 비롯하여 후속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1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리니어 모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리니어 모터에 고정 프레임을 매개로 분체도장건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마운트(1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취한 것으로서, 분체도장건(1)을 장착한 상태에서 분체도장건(1)을 수평(누운 상태)에서 수직(기립 상태)으로 회동하는 것은 물론 수직 방향으로 기립하였을 때 전진(상승) 또는 후진(상승)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물론 도 2,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마운트(100)는 리니어 모터(110), 고정 프레임(120), 연결부(1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리니어 모터(linear motor)(1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레일 구조의 마그넷 트랙(magnet track)(111)을 따라 선형 추진력을 발생하여 이동하는 무버(mover)(112)를 포함한 장치로서, 회전식 구동수단인 로터리 모터에 벨트, 체인과 같은 기계요소를 장착한 방식과 달리 전기에너지를 직접적인 직선 운동(직선 역학적 에너지)으로 변환하여 추진력을 발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리니어 모터(110)는 고정자와 회전자(로터)를 직선형 레일이나 스테이지로 이루어진 마그넷 트랙(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한 다음 전류가 흐르는 코일을 가진 무버(112), 즉 포셔(forcer)에 선형 추진력을 발생하는 공지의 장치로서, 모터 동력과 필요한 이동 간에 기계적인 변환이 없으므로 직접 구동 모터(다이렉트 드라이브 모터 또는 DD 모터)라고도 명명한다.
도 2를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니어 모터(110)는 선형으로 고정자와 이동자를 일정 길이를 가진 선형으로 배치한 레일, 즉 마그넷 트랙(111)을 따라 무버(112)가 이동하는 플랫 리니어 모터의 구조를 적용한 것으로서,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버(112)의 구조 내지 위치에 따라 U자형 리니어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리니어 직류 모터나 리니어 펄스 모터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리니어 모터(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 리니어 모터를 참조하면 되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고정 프레임(120)은 무버(112)의 일 측, 도 3에서는 무버(113)의 상면에 결합 또는 장착된 상태로 분체도장건(1)을 리니어 모터(110)에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120)은 바 형상의 단위체가 복수 개로 조합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분체도장건(1)을 고정 결합할 수 있는데, 분체도장건(1)의 몸체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 및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분체도장건(1)의 안전한 고정성을 확보하도록 개폐식으로 회동되는 공지의 락킹 바(lock bar)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 프레임(120)은 특정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분체도장건(1)을 무버(112)에 탈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분체도장건(1)의 방아쇠가 위치하는 손잡이 부분은 막힌 부분 없이 개방되는 것이 중요한바, 후술하겠지만 방아쇠 구동부(140)의 누름부(142)가 손잡이의 방아쇠를 누르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분체도장건(1)은 손잡이에서 방아쇠(트리거)가 별도의 고리 없이 노출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를 적용한다.
또한, 분체도장건(1)의 노즐은 리니어 모터(110)에서 연결부(130)에 연결된 단부의 반대 측을 향하도록 하여 후술할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으로 리니어 모터(110)가 수직 회동, 즉 기립하였을 때 분체도장건(1)의 노즐이 상 방향을 지향하도록 한다. 물론, 노즐이 일자형이 아니라 90도 절곡된 구조를 취하면 반드시 노즐의 단부가 상 방향이 아니라 측 방향을 지향할 수도 있다.
연결부(130)는 리니어 모터(110)를 메인 샤프트(200)의 일 측에 연결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이를 매개로 리니어 모터(110)의 일 단(분체도장건의 노즐 반대 방향 측 단부)을 메인 샤프트(200)에 연결하거나, 아니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110)의 길이에 상응한 길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리니어 모터(110)를 받치는 받침대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 받침대의 일 단(분체도장건의 노즐 반대 방향 측 단부)을 메인 샤프트(200)의 일 측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받침대 형식의 연결부(130)는 리니어 모터(110)가 바닥에 닿았을 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리니어 모터(110)를 지지하거나 충격 보호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한다.
연결부(130)와 메인 샤프트(200)의 연결 방식으로는 접착 고정식, 볼트 등에 의한 체결식 등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세부 구성을 포함한 마운트(100)는 평소에는 수평 상태, 즉 바닥에 접하여 연장된 상태로 있다가 작업자가 후술할 수동 손잡이(300)를 조작하면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기립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이러한 기립 상태에서 발판 스위치(400)의 조작으로 무버(112)를 이동시켜 분체도장건(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도 4는 메인 샤프트 및 수동 손잡이의 핸들 바와 마운트의 연결부가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샤프트(200)는 마운트(100), 구체적으로 마운트(200)의 연결부(1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축이다. 이때, 일 방향은 리니어 모터(110)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리니어 모터(110)가 누운 상태(수평 상태)에서 연장된 방향을 X축, 리니어 모터(110)가 기립한 상태(수직 상태)에서 연장된 방향을 Z축이라 할 때 이 X축 및 Z축에 수직한 Y축 방향으로 메인 샤프트(200)가 연장된다는 의미이다.
상술한 X,Y,Z축의 정의는 본 발명의 기능에 대해 하기에서 설명할 때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이 메인 샤프트(200)는 후술할 수동 손잡이(300)와 마운트(100)를 연결하여 수동 손잡이(300)의 회전력을 마운트(100)에 전달하여 마운트(100)를 수평-수직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동 손잡이(300)는 연결 샤프트(200)에서 마운트(100)에 연결된 부위의 반대 측 부위에 연결된 것으로서, 가장 기본적으로 핸들 바(handle bar)를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핸들 바 구조로 이루어진 수동 손잡이(300)는 연결 샤프트의 연장 방향에서 수직 방향(상술한 방향 기준으로, 기립 상태의 마운트(100)와 평행한 상태에서 같은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초기 상태(마운트가 바닥에 누운 상태)에서 수동 손잡이(300)는 수직(기립) 상태로 있다가 작업자가 상부 일 측을 손으로 잡고나 발을 사용하여 아래로 돌리듯이 누르면 수동 손잡이(300)가 수직 상태에서 수평(바닥에 누운) 상태로 변환되고 이에 연결된 연결 샤프트(200)가 회전하면서 바닥에 누운 상태의 마운트(100)를 기립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수동 손잡이(300)는 안정적인 회동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후술할 발판 스위치(400)와의 일체성을 보장하기 위해 베이스(500)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세부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발판 스위치(400)는 작업자의 발로 밟는 동작으로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위치로서, 이때 발판은 누름 동작으로 신호를 발생하는 기계식 구조 또는 발의 접촉/압력 동작으로 신호를 발생하는 전기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판 스위치(400)는 상술한 리니어 모터(110)의 구동부(일반적으로 액츄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판의 누름/접촉/압력 동작이 발생하면 이를 신호 처리하여 리니어 모터(110)에 전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리니어 모터(110)의 구동, 즉 무버(112)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리니어 모터(110)는 기립 상태에서 상승(전진)하거나 하강(후진)할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발판 스위치(400)가 무버(112)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신호를 구별하여 리니어 모터(110)에 전달하기 위해 무버(112)의 상승용, 하강용으로 구분된 총 2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발판 스위치(400)는 발판을 1회 밟은 동작으로 무버(112)의 동작을 지속하는 것이 아니라, 발판을 밟고 있는 순간만큼, 즉 발판을 밟았을 때만 무버 동작 신호를 발생하여 무버(112)를 상승/하강 조작하되 발판에서 발을 떼었을 때 무버(112)의 동작을 정지, 즉 OFF 처리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가 발판 스위치(발판)을 밟은 시간의 고저에 따라 무버(112)의 상승/하강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을 겸비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에 대한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수동 손잡이의 조작으로 메인 샤프트의 회전하면서 마운트를 상승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10)는 물론 다양한 도장 환경에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분체도장부스에서 1차 도장을 완료한 피도장체에 부분 도장이나 재도장을 하는 시점에 사용되는 분체도장건(1)과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편의성 담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더불어, 피도장체의 저면이 뚫려 저면 내부 아래 측을 일부 도장할 필요가 있을 때 작업자가 이 공간으로 들어가기 힘든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피도장체의 측면이 너무 높거나 낮아 작업자가 평상시 자세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 피도장체의 측면 도장을 위해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10)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우선 작업자는 기립 상태의 수동 손잡이(300)를 밀어, 즉 수평 방향으로 이눕도록 이동시키면 수동 손잡이(300)에 연결된 메인 샤프트(200)가 회전(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한다.
메인 샤프트(200)의 일 측에는 연결부(130)를 매개로 리니어 모터(110)가 연결되어 있는바, 초기 상태에서 바닥에 누운 수평 상태를 취한 리니어 모터(110)가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립 상태로 변환된다.
이때, 마운트(100)는 피도장체의 개방된 저면 아래측 바닥 또는 피도장체의 측면 아래측 바닥에 배치하여 리니어 모터(110)가 기립할 때 피도장체의 저면 내 공간에서 기립 상태를 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작업자는 굳이 허리를 숙이지 않고 편리하게 발판 스위치(400)를 밟아 리니어 모터(110)의 무버(112)를 상승 또는 하강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승/하강된 분체도장건(1)은 손잡이의 방아쇠를 당겨야 도료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방아쇠를 당긴 상태로 고정한 상태에서 발판 스위치(400)와 분체도장건(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다음 분체도장건(1)의 구동부에서 발판 스위치(400)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도료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분체도장건(1)을 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분체도장건(1)을 방아쇠와 같은 기계적 구조가 아니라 전기적 신호 조작이나 원격 조작에 의해서 도료를 분사하도록 개조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마운트(110)에서 분체도장건(1)의 방아쇠의 누름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발판 스위치(400)는 무버(112)를 하강하는 조작도 가능한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승용 스위치와 하강용 스위치로 구분한 다음 하강용 스위치를 밟는 동작으로 무버(112)를 하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무버(112)가 상승/하강하면서 고정 프레임(120)을 매개로 이 무버(112)에 고정된 분체도장건(1) 역시 상승/하강함과 아울러 이와 동시에 분체도장건(1)에서 도료를 분사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분체도장건(1)을 통해 도료를 분사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편리하게 분체도장건(1)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필요에 따라 반복하면서 도료를 피도장체에 분사하여 재도장이나 부분 도장을 수행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도 1 등을 참조하면 수동 손잡이(300)와 발판 스위치(400)는 베이스(500)를 매개로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베이스(500)는 바닥에 안착한 판상체나 패널 형상을 취한 것으로서, 이의 상면에 수동 손잡이(300)가 장착된 상태로 기립할 수 있도록 수동 손잡이(300)를 장착하고 측면 일부에 발판 스위치(40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500)는 발판 스위치(400)와 마운트(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지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데, 베이스(500)의 저면을 통해 케이블이 지날 수 있어 깔끔한 미관을 담보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발판 스위치(400)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무버(112)의 상승/하강 조작을 구분하여 수행하기 위해 2개의 스위치, 즉 제 1,2 발판 스위치(410,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발판 스위치(410)는 베이스(500)의 일 측에 형성되어 무버(112)의 상승 이동을 조작하고, 제 2 발판 스위치(420)는 이 제 1 발판 스위치(410)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베이스(500)의 타 측에 형성되어 무버(112)의 하강 이동을 조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 1,2 발판 스위치(410,420) 각각 리니어 모터(110)의 구동부, 즉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무버(112)의 상승과 하강 동작을 구분 제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무버(112)의 '상승'/'하강'이라는 방향 지시용어는 리니어 모터(110)가 수직 상태로 기립했을 때를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분체도장건(1)을 상승하면서 도료를 분사하고자 할 때 제 1 발판 스위치(410)를 밟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분체도장건(1)을 하강하면서 도료를 분사할 때에는 제 1 발판 스위치(410)에서 발을 뗀 다음 제 2 발판 스위치(420)를 밟는 동작을 유지하면서 분체도장건(1)의 이동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제 1,2 발판 스위치(410,420)의 발판에서 작업자가 발을 떼면 그 상태에서 무버(112)는 원상태로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정지한 상태를 취한다.
더불어, 연결 샤프트(200)는 서포터(210)에 의하여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2를 비롯한 도면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서포터(210)는 연결 샤프트(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바닥에 안착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지지대(211)와 베어링 고정대(212), 베어링(213)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대(211)는 메인 샤프트(200)의 하부에서 메인 샤프트(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닥에 안착된 상태로 연장된 구조체를 의미한다.
베어링 고정대(212)는 이 지지대(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기립 설치된 것으로, 후술할 베어링(213)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베어링 고정대(212)는 메인 샤프트(200)의 연장 위치에 맞는 높이로 기립한 높이를 취한다.
베어링(213)은 베어링 고정대(212)에 장착된 것으로서, 메인 샤프트(200)가 통과되는 중공을 구비한다.
이러한 서포터(210)에 의하면, 베어링(213)의 공지된 기본 기능, 즉 원활한 회전 보조 기능을 통하여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성을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베어링 고정대(212)가 메인 샤프트(200)를 적절히 지지함으로써 메인 샤프트(200)가 휘어지는 등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결과적으로 메인 샤프트(200)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앞서 분체도장건(1)의 상승/하강 동작은 물론 분체도장건(1)의 방아쇠 역시 누름 조작할 수 있는 보조 수단을 마운트(100)에 장착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는데, 하기에서는 적절한 타이밍에 맞추어 분체도장건(1)에서 도료를 분사함과 아울러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방아쇠 구동부(140)라는 추가 구조를 제시한다.
방아쇠 구동부(140)는 보조 모터(141)를 리니어 모터(110)의 일 측, 도면을 기준으로 리니어 모터(110)의 단부와 메인 샤프트(200) 사이 공간에 장착한 상태에서 보조 모터(141)의 구동으로 전진(상승)/후진(하강)하는 누름부(142)를 포함한다.
이때,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분체도장건(1)의 방아쇠는 손잡이 자체로 형성되어 손잡이를 노즐 방향으로 미는 동작으로 도료를 분사한다고 가정하고, 이에 따라 누름부(142)는 손잡이(방아쇠)를 분체도장건(1)의 노즐 방향으로 밀었을 때를 '누름'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아쇠 구동부(140)는 앞서 설명한 리니어 모터(110)와 같은 다이렉트 구동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니면 보조 모터(141)가 로터리 모터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누름부(142)가 베벨기어, 랙기어, 나사산을 구비한 스크류와 같은 동력 변환 수단 등을 포함한 상태로 연장되어 보조 모터(141)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누름부(142)는 무버(112)의 이동 범위에 상응한 길이만큼 상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계함과 아울러, 무버(112)의 상승 및 하강에 대응되도록 리니어 모터(110)와 연동된 상태에서 이동 시점과 이동 범위가 동기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방아쇠 구동부(140)에서 누름부(142)는 분체도장건(1)에서 손잡이의 방아쇠만을 누름 조작하면 되므로 무버(112)의 이동거리보다 짧지만 않도록 이동, 다시 말해 무버(112)의 이동 거리보다 더 이동하여 분체도장건(1)의 방아쇠를 눌러 압박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에 대응하여, 발판 스위치(400)는 작업자가 발판을 밟아 무버(112)의 조작 시 방아쇠를 누르도록 보조 모터(141)의 구동을 동시 조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보조 모터(141)와 리니어 모터(110)의 구동부(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연동 및 동기화하여 무버(112)의 구동과 동시에 보조 모터(141)를 구동 조작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더불어, 발판 스위치(4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2 발판 스위치(410,420)로 이루어진 경우에서는 제 1 발판 스위치(410)를 조작하면 무버(112)를 상승 이동 조작함과 아울러 누름부(142) 역시 무버(112)의 상승 이동 위치에 맞게 상승되어 분체도장건(1)의 방아쇠를 누르고, 제 2 발판 스위치(420)를 조작하면 무버(112)를 하강 이동 조작함과 아울러 누름부(142) 역시 무버(112)의 하강 이동 위치에 맞게 하강하여 분체도장건(1)의 방아쇠를 누를 수 있다.
이러한 방아쇠 구동부(140)를 통하여 분체도장건(1)의 편리한 상승/하강 조작은 물론 이와 동시에 방아쇠를 조작하여 도료를 분사하기 위해 별도로 분체도장건(1)의 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수동 손잡이(300)는 메인 샤프트(200)와의 안정적인 연결 상태를 보장하는 것은 물론 외측으로 기울거나 넘어지지 않고 회동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추가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수동 손잡이(300)는 고정대(310)와, 핸들 바(320) 및, 스토퍼(3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310)는 판상체가 핸들 바(320)의 회동 방향으로 발생한 가상면을 따라 기립(상술한 예에서 Z축 방향으로 기립)된 구조체로서, 마운트(100)의 회동 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관통된 조절공(311)을 포함한다.
즉, 이 조절공(311)이 후술할 핸들 바(320)의 회동 범위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핸들 바(320)가 정상 회동 궤도에서 벗어나거나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핸들 바(320)는 앞서 설명한 수동 손잡이(300)에서의 협의의 구성으로서, 앞서 설명한 수동 손잡이(300)의 설명과 같이 기립된 상태의 리니어 모터(11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손이나 발로 조작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단이 메인 샤프트(20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핸들 바(320)는 스토퍼(330)를 매개로 고정대(310)에 연결된다.
스토퍼(stopper)(330)는 핸들 바(320)의 일 측에서 조절공(311)을 지나도록, 즉 통과하도록 연장된 연장부(331)와, 이 연장부(331)의 단부에서 조절공(311)보다 큰 직경을 가진 블록(332)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 스토퍼(330)는 핸들 바(320)를 고정대(310)에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바, 연장부(331)가 조절공(311)을 통과하여 고정대(310)의 건너편까지 연장된 다음, 이 연장부(331)의 단부에 조절공(311)보다 큰 직경의 블록(332)을 체결하여 결과적으로 연장부(331)가 조절공(311)에서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수동 손잡이(300)의 세부 구조를 통해 수동 손잡이(300)가 쉽사리 넘어지거나 작업자의 조작 시 원치 않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6은 리니어 모터의 단부 일 측에 조명부가 장착된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10)를 통해 피도장체의 저면 내로 마운트(100) 및 분체도장건(1)이 진입하여 상승할 경우 작업자는 육안으로 대략적이라도 분체도장건(1)의 세부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피도장체의 저면 내부가 어둡거나 그늘이 지어 있으면 이같이 눈대중으로도 분체도장건(1)의 개략적인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리니어 모터(110) 일 측 단부, 구체적으로 연결부(130)에 연결된 부위의 반대 측 단부이자 기립 상태에서의 리니어 모터(110)의 상부에는 조명부(150)가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조명부(150)는 공지의 LED와 같이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151)과, 광투과성 재질, 즉 투명/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조명(151)을 보호하도록 감싸면서 조명(161)의 조명광을 외부로 발산하는 보호 커버(152)를 포함한다. 이때 보호 커버(152)는 돔(dome) 형상으로 조명(151)을 감싸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발판 스위치(400)는 작업자가 발판을 밟아 무버(112)를 조작하는 시점과 동시에 조명(151)을 구동, 즉 ON 처리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즉, 분체도장건(1)의 상승/하강 시점에 동시에 리니어 모터(110)의 상부에 조명(151)이 켜지면서 피도장체의 내부를 환하게 밝혀 분체도장건(1)의 이동 상태와 도장 상태를 어두운 환경에서보다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50)의 보호 커버(152)에는 분체도장건(1)에서 분사된 도료가 묻어 이 도료를 적시에 닦거나 제거하지 않으면 도료가 경화되면서 불투명하게 변질되어 조명(151)의 조명광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호 커버(152)의 노출면이라 할 수 있는 외주면 중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 바람직하게는 분체도장건(1)에서 분사된 도료가 묻을 가능성이 큰 상부 영역에는 방오성 첨가제를 포함한 코팅층이 코팅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코팅층의 주요 물질인 방오성 첨가제는 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3-Aminopropyl trimethoxysilane)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3-Aminopropyl trimethoxysilane)은 접착성이 뛰어나고 피막의 코팅성을 향상시키면서 방오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서, 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첨가시 피막의 코팅성이 증대되며 방오성, 즉 분체도장건(1)에서 분사된 도료를 튕기게 하거나 쉽게 닦을 수 있는 성질인 오염 방지 기능이 향상되는 특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이와 같은 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외에도 방오성 첨가제는 다른 조성물과 제조 공정을 더 포함한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오성 첨가제는,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31),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32), 방오성 첨가제를 완성하는 단계(S33)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31)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가장 먼저, 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3-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20 내지 35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5 내지 20 중량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액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3-Aminopropyl trimethoxysilane)은 접착성이 뛰어나고 피막의 코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라고 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등의 특징이 있으며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물질이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는 투명성, 접착성, 유연성이 우수한 에틸렌과 아세트산의 공중합 수지로써, 조명(161)의 조명광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항장력과 신장력이 크며 부착 시 먼지가 적게 발생한다. 저온에 굳지 않고 고온에 흐물대지 않아 모든 계절에 사용할 수 있으며, 내산화성이 강하고 독성이 없다. 여기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는 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및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용매로서의 역할을 겸비한다.
(S32)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어서, 제 1 혼합액 75 내지 90 중량부와, 도데실알코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dodecyl alcohol polyoxyethylene ether) 10 내지 15 중량부 및,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액을 제조한다.
도데실알코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dodecyl alcohol polyoxyethylene ether)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써, 첨가 시 피막의 유연도를 높이고 성분 간의 혼합성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형성된 도막의 슬립성을 높일 수 잇는 효과가 있다.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은 2-메틸-1-프로펜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고무이다. 무색 또는 엷은 노란색의 끈기가 있고 탄력성 있는 고무 모양의 반고체이며 식품에 첨가할 수 있을 정도로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하다.
따라서 점착성 향상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적당한 수준의 경도를 나타내어 보호 커버(152)에 코팅된 코팅층이 춥고 차가운 날씨에 딱딱해지고 더운 날씨에 물러지는 결점을 막을 수 있다.
(S33) 방오성 첨가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제 2 혼합액 80 내지 95 중량부와,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2-(2-n-Butoxyethoxy)ethyl acetate) 3 내지 10 중량부 및, 아인산에스터(phosphorous ester) 1 내지 5 중량부와,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을 포함하는 기능성 강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방오성 첨가제를 완성한다.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2-(2-n-Butoxyethoxy)ethyl acetate)는 용액에 점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코팅층이 보호 커버(152)의 외주면에 접착되는 접착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아인산에스터는 아인산 계열의 에스테르로서, 산화방지제의 역할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마감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이 수분, 그중에서도 산성비 등으로 인해 산화되어 품질이 저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기능성 강화제는 유효 성분으로써 벤조트리아졸을 포함하는데, 벤조트리아졸은 벤조트리아졸은 무색이며 바늘 모양의 결정 구조를 가진 입상의 화합물로, UV에 대한 안정화제의 기능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벤조트리아졸은 자외선의 침투를 감소 및 지연시켜 보호 커버(152)에 코팅된 코팅층이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산화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형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오성 첨가제 첨가에 따라, 실란계열 화합물을 통해 피막의 코팅성을 강화시켜 방오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첨가되는 다양한 물질을 통해 점착성을 높이고 도막의 슬립성을 향상시켰을 뿐 아니라, 내산화성 및 내UV성 역시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상술한 기능성 강화제는 벤조트리아졸 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능성 강화제는, 1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41), 2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42), 기능성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S43)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41) 1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첫 번째로,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 20 내지 40 중량부와, 캐롭검(Carob gum) 10 내지 20 중량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4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액을 제조한다.
벤조트리아졸은 상술한 바와 같이 UV에 대한 안정화제의 기능을 위해 첨가된다고 하였다.
캐롭검(Carob gum)은 지중해 연안에서 생육하고 있는 콩과 다년생 상록수인 카로브나무(carob tree)에서 채취한 후 배유 부분을 분리 정제하여 얻을 수 있는 성분이다.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물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기능성 강화제에 첨가 시 점착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벤조트리아졸 및 캐롭검에 대한 용매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며, 열가소성이며 내유성이 있고, 접착제 및 코팅제로써도 사용된다. 따라서 동시에 폴리비닐알코올 자체가 점착성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42) 2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두 번째로, 1차 혼합액 70 내지 85 중량부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bis(triethoxy silylpropyl)tetra sulfide) 10 내지 20 중량부 및,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액을 제조한다.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bis(tri ethoxy silylpropyl) tetra sulfide)는 계면활성제로서 첨가되는 것으로서, 기능성 강화제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의 혼합성을 높이고 혼합된 점착성 강화제의 안정성을 높이며, 점착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된다.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은 퀴놀이라고도 하는 페놀류의 하나로 방향족 유기화합물이다. 벤젠고리의 파라 위치에 하이드록시기 두 개가 붙어 있는 구조이며 무색의 바늘처럼 생긴 결정이다. 내산화성이 뛰어나 산화방지제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S43) 기능성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2차 혼합액 80 내지 95 중량부와, 비닐피롤리돈(vinylpyrrolidone) 5 내지 10 중량부 및, 폴리글리세롤폴리라이시놀리에이트(Polyglycerol polyricinoleate)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강화제를 완성한다.
비닐피롤리돈(vinylpyrrolidone)은 점성이 있는 무색의 액체이며 첨가시 용기능성 강화제에 포함된 성분들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겸할 뿐 아니라 점착성을 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폴리글리세롤 폴리라이시놀리에이트는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로서, 친수성 및 친유성 중 어느 성향을 가지는 물질인지를 나타내는 지수라고 할 수 있다.) 값이 작은 유화제로서, 기능성 강화제에 포함된 물질들에 대한 혼합 안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성 강화제를 통해 내자외선성을 강화시키고 점착성을 향상시켜 도막 강도를 증진할 수 있음과 더불어, 다양한 성분들이 안정한 액상으로 유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기능성 강화제가 첨가된 방오성 첨가제는 물론 이를 포함한 코팅층의 산화를 방지하면서 고른 품질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분체도장건 10: 리프트 장치
100: 마운트 110: 리니어 모터
111: 마그넷 트랙 112: 무버
120: 고정 프레임 130: 연결부(받침대)
140: 방아쇠 구동부 141: 보조 모터
142: 누름부 150: 조명부
151: 조명 152: 보호 커버
200: 메인 샤프트
210: 서포터 211: 지지대
212: 베어링 고정대 213: 베어링
300: 수동 손잡이 310: 고정대
311: 조절공 320: 핸들 바
330: 스토퍼 331: 연장부
332: 블록 400: 발판 스위치
410: 제 1 발판 스위치 420: 제 2 발판 스위치
500: 베이스

Claims (9)

  1.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로서,
    마그넷 트랙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무버(mover)를 구비한 리니어 모터와, 상기 무버에 장착된 상태로 분체도장건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리니어 모터를 메인 샤프트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 마운트;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연장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메인 샤프트;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메인 샤프트를 회전하여 상기 마운트를 상기 메인 샤프트를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 회동하는 수동 손잡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무버의 이동을 조작하는 발판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손잡이와 발판 스위치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단부 측 바닥에 설치된 베이스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무버의 상승 이동을 조작하는 제 1 발판 스위치와,
    상기 베이스의 타 측에 형성되어 상기 무버의 하강 이동을 조작하는 제 2 발판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닥에 지지된 상태로 연장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기립한 베어링 고정대 및,
    상기 베어링 고정대에 상기 메인 샤프트가 지나도록 장착된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보조 모터의 조작으로 상기 분체도장건의 방아쇠를 누르도록 누름부를 이동 조작하는 방아쇠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 스위치는,
    상기 무버의 조작 시 상기 방아쇠를 누르도록 보조 모터의 구동을 동시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손잡이는,
    상기 마운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관통된 조절공을 포함한 상태에서 기립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기립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하단이 상기 메인 샤프트에 연결된 핸들 바 및,
    상기 핸들 바의 일 측에서 상기 조절공을 지나도록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조절공보다 큰 직경을 가진 블록으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모터에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부위의 반대 측 단부에는,
    조명과, 광투과성 재질로서 상기 조명을 감싸는 돔 형상의 보호 커버를 포함한 조명부가 장착되고,
    상기 발판 스위치는,
    상기 무버의 조작 시 상기 조명의 구동을 동시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의 외주면 중에서 적어도 상부 영역에는, 방오성 첨가제를 포함한 코팅층이 코팅되되,
    상기 방오성 첨가제는,
    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3-Aminopropyl trimethoxysilane) 20 내지 35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5 내지 20 중량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액 75 내지 90 중량부와, 도데실알코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dodecyl alcohol polyoxyethylene ether) 10 내지 15 중량부 및,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혼합액 80 내지 95 중량부와,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2-(2-n-Butoxyethoxy)ethyl acetate) 3 내지 10 중량부 및, 아인산에스터(phosphorous ester) 1 내지 5 중량부와,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을 포함하는 기능성 강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방오성 첨가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강화제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 20 내지 40 중량부와, 캐롭검(Carob gum) 10 내지 20 중량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4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액 70 내지 85 중량부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bis(triethoxy silylpropyl)tetra sulfide) 10 내지 20 중량부 및,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혼합액 80 내지 95 중량부와, 비닐피롤리돈(vinylpyrrolidone) 5 내지 10 중량부 및, 폴리글리세롤폴리라이시놀리에이트(Polyglycerol polyricinoleate)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KR1020210113658A 2021-08-27 2021-08-27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KR102401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58A KR102401336B1 (ko) 2021-08-27 2021-08-27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58A KR102401336B1 (ko) 2021-08-27 2021-08-27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336B1 true KR102401336B1 (ko) 2022-05-23

Family

ID=8180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658A KR102401336B1 (ko) 2021-08-27 2021-08-27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3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532A (ko) * 2002-05-20 2003-11-28 사다오 나카타 수하(垂下)식 도장장치
KR20140005879U (ko) * 2013-05-09 2014-1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조향이 가능한 높이 조절형 족동식 이동 작업대
KR101498872B1 (ko) * 2014-07-24 2015-03-04 엄점동 방수성능과 내마모성능을 강화시킨 폴리머계 시멘트 방수제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190123602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고려이노테크 내오염성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오염성 하드코팅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532A (ko) * 2002-05-20 2003-11-28 사다오 나카타 수하(垂下)식 도장장치
KR20140005879U (ko) * 2013-05-09 2014-1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조향이 가능한 높이 조절형 족동식 이동 작업대
KR101498872B1 (ko) * 2014-07-24 2015-03-04 엄점동 방수성능과 내마모성능을 강화시킨 폴리머계 시멘트 방수제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190123602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고려이노테크 내오염성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오염성 하드코팅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99314B (zh) 一种用于木料加工的表面喷漆装置
CN102689308B (zh) 一种机械手爬杆器
WO2005089160A3 (en) Controlling device having multiple user interfaces
KR102401336B1 (ko) 분체도장의 편의성을 강화한 분체도장건 리프트 장치
EP2514791A4 (en) ANTHRACHINONE PIGMENT, OCULAR LENS MATERIAL THEREOF, OCULAR LENS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OCULAR LENS
CN111336480A (zh) 一种具便于清洁安装的户外照明设备
CN107321532A (zh) 一种五金制作用铝合金窗高效烤漆装置
ES2701766T3 (es) Vidrio laminado que comprende una composición coloreada serigrafiable sobre una hoja polimérica
KR100722950B1 (ko) 제어기, 분전반 또는 개폐기 캐비닛 시트
CN106276702B (zh) 一种全离地式升降梯
CN111022968A (zh) 一种可调节出光角度的射灯
CN111283842A (zh) 一种家具装饰设计用家具翻新装置
CN111706103A (zh) 墙面修补用水泥涂抹器
CN201243784Y (zh) 带翻转工作台的多功能组合橱柜
CN211388097U (zh) 一种侧立式玻璃喷淋结构
CN109381100A (zh) 自动玻璃清洁装置
CN210313400U (zh) 一种能够全向移动的升降平台
CN207999054U (zh) 一种建筑装饰辅助移动平台
CN209736949U (zh) 一种机器人组装示范系统的活动工装
CN210482910U (zh) 一种室内工程装饰用辅助支撑装置
IL107056A0 (en) Laminating adhesive compositions for packaging
CN207306475U (zh) 一种透明展示柜
CN112359700A (zh) 一种道路桥梁划线装置
CN110076731A (zh) 一种自动清灰不锈钢工作台
CN210446422U (zh) 一种环境设计用模型展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