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129B1 -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 - Google Patents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129B1
KR102401129B1 KR1020220023107A KR20220023107A KR102401129B1 KR 102401129 B1 KR102401129 B1 KR 102401129B1 KR 1020220023107 A KR1020220023107 A KR 1020220023107A KR 20220023107 A KR20220023107 A KR 20220023107A KR 102401129 B1 KR102401129 B1 KR 10240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ckle
cleaning
treated water
photobioreacto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진호
Original Assignee
편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진호 filed Critical 편진호
Priority to KR1020220023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07Poultry shackle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기존에 수작업으로 수행되는 샤클의 세척을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 완료된 샤클을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샤클에 세척제를 분사하는 세척제 분사수단; 상기 세척제가 분사된 샤클의 측면을 세척하는 제1 세척수단; 상기 제1 세척수단을 통과한 샤클의 절곡부 내측을 세척하는 제2 세척수단; 및 상기 제2 세척수단을 통과한 샤클의 측면을 재세척하는 제3 세척수단을 포함하는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Shackle cleaning device for slaughter}
본 발명은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수작업으로 수행되는 샤클의 세척을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간과 역사를 함께한 식품산업 중에서 특히 가공산업의 자동화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각나라마다 고유의 식생활 습관에 따라서 특성과 차이는 다소 있다 할지라도 닭고기의 소비는 전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닭을 대표한 오리 등의 가금류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수요 증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요를 만족하기 위한 신속하고 정밀한 가금류의 가공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처리 수량이 많은 닭의 경우, 처리를 위한 자동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 다양한 형태의 자동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러한 닭고기의 육질중에서도 일정한 부위나 영계등을 찾는 소비패턴에 따라서 도체의 1차 가공처리에서부터 2 차 가공처리에 이르기까지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되도록 적합한 가공 시스템들을 필요로하고, 보다 위생적인 가공처리, 능률적인 생산성 향상 및 공정개선등 도계설비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로 연구개발이 진행되 고 있다.
이러한 도계의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도계를 생산하는 업체에서 직영으로 운영하거나 도계 생산 업체와 전략적으로 계약된 양계 농장에서는 사육(飼育)된 생계(生鷄)의 출하(出荷) 계획에 따라 배차된 차량에 상차(上車)하여 도계 생산업체로 운송(運送) 납품한다. 도계 생산업체는 납품받은 생계에 대한 사육 비용을 양계 농장(B)에 지불하기 위하여 계근(計斤)한 다음, 도계 공정에 투입한다. 도계 공정에서는 투입인 생계를 소정의 방법으로 기절시킨 다음 생계의 체내에 있는 피를 배출시키는 방혈(放血)공정을 수행한다. 이후, 방혈된 생계의 털을 뽑아내기 위하여 탕지(湯漬)한 다음 원심 분리기의 원리를 이용한 소정의 장치로 털을 분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방혈과 털이 분리된 도계는 이송 레일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어 절족(絶足)공정이 수행되 고 내장(內臟) 등의 부산물을 분리하는 적출(摘出)공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적출공정이 완료되면 세척(洗滌)공정을 통해 도계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한 다음 신선 도 유지를 위한 냉각(冷却)공정을 거처, 포장 공정으로 이송되어 낱개로의 선별 포장이 이루어져 소비자에게 공급하여 준다
도계설비로부터 가공되는 도체들은 생닭을 오버헤드 트롤리 레일상의 샤클에 거꾸로 매다는 작업에서부터 충격기 →탕적기 →탈모기 →잔모처리기 →머리분리기(A) →도체이양기(B) →항문절단기(1) →개복기(C) →내장적출기(D) 등으로 자동적으로 이송하면서 가공처리하여서 완성된 한마리의 도체를 만든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기절시킨 생계는 샤클에 거꾸로 매달려 이송되고 가공된다. 이러한 샤클의 경우 그 형상이 복잡하고, 닭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닭의 도계과정에서 발생하는 체액등이 이착되어 다량의 오염물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샤클을 다음 공정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세척과정을 필요로 하고 있지만, 이러한 세척과정이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8753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02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계과정에서 닭을 고정하는 것에 필요한 샤클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샤클 세척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여 오폐수의 배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샤클 세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 완료된 샤클을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샤클에 세척제를 분사하는 세척제 분사수단; 상기 세척제가 분사된 샤클의 측면을 세척하는 제1 세척수단; 상기 제1 세척수단을 통과한 샤클의 절곡부 내측을 세척하는 제2 세척수단; 및 상기 제2 세척수단을 통과한 샤클의 측면을 재세척하는 제3 세척수단을 포함하는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수단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 샤프트; 및 일단은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샤클의 표면을 마찰하여 샤클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제1 세척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척수단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부 세척원판 및 하부 세척원판; 일단이 상기 상부 세척원판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샤클의 절곡부 내측을 마찰하여 상기 샤클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상측 세척섬유; 일단이 상기 하부 세척원판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샤클의 절곡부 내측을 마찰하여 상기 샤클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하측 세척섬유; 및 상기 상부 세척원판 및 하부 세척원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세척수단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3 회전부; 상기 제3 회전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3 샤프트; 및 일단은 상기 제3 샤프트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샤클의 표면을 마찰하여 샤클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제3 세척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척섬유, 상기 상측 세척섬유, 상기 하측 세척섬유 및 상기 제3 세척섬유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미세구조가 형성되어 소수성을 나타내며, 상기 미세구조는 높이 50~100㎛ 직경 50~100㎛의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또는 팔각기둥으로 형성되며, 각 미세구조 사이의 간격이 50~20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는 폐수처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폐수처리수단은, 상기 샤클 세척시 발생하는 폐수를 수집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고액 분리수단; 및 상기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처리조를 포함하며, 상기 고액분리수단은, 상기 폐수에서 고체상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형 분리기; 및 상기 필터형 분리기를 통과한 처리수에서 이물질을 재차 분리하는 원심식 분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형 분리기는, 원통형의 분리기 본체; 상기 본체의 중단에 설치되어 본체의 상부와 하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다공성 필터; 상기 분리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폐수 공급부; 상기 분리기 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깔대기형의 부유물 수집부; 및 상기 분리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처리수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기 본체의 상부에는 물을 공급하여 상기 분리필터를 역세하는 역세용 세척수 공급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성 필터는, 상기 분리기 본체의 중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2~20개의 돌출부; 상기 돌출부를 일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고정하는 형상유지수단; 및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역세용 세척수 공급시 상기 다공성 필터를 진동시키는 진동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은, 상부는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하부는 아래로 좁아지는 깔대기 형으로 제작되어 내부에서 처리수가 회전하여 비중에 따라 분리되는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상기 필터형 분리기를 통과한 처리수를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상부에 접선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의 중단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중앙부에서 분리된 낮은 비중의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 배출구; 및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하단에 설치되며, 높은 비중의 부유물이 배출되는 부유물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조는,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을 통과한 처리수가 공급되어 여과하는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를 통과한 물을 재처리하는 광생물 반응기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조는 호기조 및 혐기조를 포함하며; 상기 호기조는, 4면벽과 바닥으로 형성되는 내부에 상단이 상기 4면벽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전단이 4면벽중 전면벽의 내면 중간에 고정되는 전측부와 전측부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직각 연장되며 4면벽중 후면벽의 내면과 격리되게 좌단이 4면벽중 좌면벽의 내면 후측에 고정되는 후측부와 후측부의 하단에 천공되는 유통구를 구비하는 제1격판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상기 처리수를 1차 침전시키는 침전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 낮으며 좌단은 전측부의 우면 후단에 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중 우면벽의 후측에 밀착고정하는 제2격판에 의해 침전실의 후방에 위치하게 구획 형성되어 상기 침전실을 통과한 처리수를 1차 여과하는 제1여과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는 낮고 제2격판보다는 높으며 제2격판과 4면벽중 전면벽의 우측부 사이에서 좌단은 제1격판의 전측부 우면에 밀착 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중 우면벽에 고정하며 하단부는 바닥과 격리되게 설치되어 하단부와 바닥 사이에 유통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3격판에 의해 제1여과실 우측부 전방에 구획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실을 통과한 처리수를 2차 여과하는 제2여과실; 상기 제3격판에 의해 제2여과실의 전방에 구획 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실을 통과한 처리수를 3차 여과하는 제3여과실; 상단이 상기 4면벽중 전면 벽의 우측부 상측에 천공되는 구멍에 결합 고정되어 제3여과실의 처리수를 혐기조로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침전실에 하부로부터 차례로 적층되는 광물질과 스펀지 필터 및 부직포 필터; 및 상기 제1~3여과실의 바닥에 깔아주는 광물질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혐기조는, 원통형의 혐기조 본체; 상기 혐기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혐기조 본체 내부의 임펠러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혐기조 본체 내부의 처리수를 혼합하는 임펠러;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혐기조 본체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3여과실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상기 혐기조 내부로 주입하는 공급부; 상기 혐기조 본체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혐기 반응이 완료된 물을 배출하여 광생물 반응기로 공급하는 배출부; 및 상기 혐기조에 유기성분을 공급하는 유기성분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생물반응기는, 상기 혐기조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각 광생물반응기 본체로 공급하는 분배관; 내부에 미세조류 및 처리수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이용하여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1~30개의 광생물반응기 본체;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에서 반응이 완료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 배출부; 및 상기 광생물반응기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는 광생물반응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는, 고분자필름으로 제조되어 내부에 반응공간을 형성하는 필름형 본체; 상기 반응공간에 위치하며,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미세조류; 상기 필름형 본체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필름형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공간의 내부로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필름형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반응공간 내부의 물을 상기 물 배출부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광생물반응기 프레임은,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단 수평프레임;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의 하단이 고정되는 하단 수평프레임;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과 하단수평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수직프레임과 하단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며, 길이방향으로 2~100개의 LED가 배열되어 있는 광공급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수작으로 세척되는 도계용 샤클을 자동으로 세척할수 있도록 하여 샤클의 세척이 필요한 인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샤클의 세척시 절곡부 내측까지 세척되도록 하는 것으로 세척이후 이물질의 잔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클의 세척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여 배출할 수 있으므로,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샤클 세척기구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형 분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심식 분리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기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혐기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생물반응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샤클 세척기구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사용 완료된 샤클을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샤클에 세척제를 분사하는 세척제 분사수단; 상기 세척제가 분사된 샤클의 측면을 세척하는 제1 세척수단; 상기 제1 세척수단을 통과한 샤클의 절곡부 내측을 세척하는 제2 세척수단; 및 상기 제2 세척수단을 통과한 샤클의 측면을 재세척하는 제3 세척수단을 포함하는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송부는 사용이 완료된 샤클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사클의 상부가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는 후술할 제1~제3 세척수단이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에 의한 샤클의 이송시 샤칼의 양측면을 세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는 세척제 분사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샤클에 적절한 세척제를 분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샤클은 관리의 용의성을 위하여 도계용 이송수단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에도 상기 도계용 이송수단과 동일한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샤클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시 세척제 분사수단(110)은 상기 샤클의 양측면에서 상기 샤클방향으로 세척제를 분사하는 수단으로 상기 세척제는 물과 혼합되어 분사되거나 세척제 분사수단에 별도의 물분사수단을 설치하여 적절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척제는 상기 샤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샤클에는 혈액을 비롯한 체액과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단백질성 이물질의 세척에 사용되는 염기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제 분사수단(110)은 상기 제1 세척수단의 전방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샤클 세척기구에 진입하는 샤클에 세척제를 공급할 수도 있으며, 각 세척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추가적인 세척제를 공급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3 세척수단의 이후에는 다수개의 세척제 분사수단이 설치되어 세척제로서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 세척완료된 이물질 및 계면활성제를 세척 및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척제가 분사된 샤클은 제1세척수에 의하여 1차 세척될 수 있다. 상기 제1 세척수단은 수직으로 배열된 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샤클의 측면을 세척하는 부분으로, 상기 샤클에는 대부분의 이물질이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세척수단을 통하여 대부분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세척수단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 샤프트; 및 일단은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샤클의 표면을 마찰하여 샤클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제1 세척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120)는 후술할 제1 세척섬유(122)를 회전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하방에 연결된 제1 샤프트(1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전부(120)는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동일한 거리를 가지도록 양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2개가 설치되어 세척할 수도 있지만, 상기 샤클의 오염이 심한 경우 2~10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열되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세척섬유(122)의 탄성 및 길이를 각각 달리하여 세척효율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샤프트(121)는 상기 제1 회전부(120)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 회전부(120)와 동일한 중심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120)의 회전에 의하여 동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샤프트(121)는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직결되어 회전될 수도 있지만,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유성기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그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회전부의 하단에는 내측기어를 가지는 링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샤프트의 상단 외측에는 기어산이 형성되어 선기어(Sun gear)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기어와 선기어 사이를 2~10개의 유성기어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샤프트(121)의 경우 상기 제1 회전부(120)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샤클의 세척시 발생되는 이물질의 세척을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세척섬유(122)는 일단이 상기 제1 샤프트(121)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는 섬유로 상기 제1샤프트(121)와 수직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므로 상기 제1 샤프트(121)의 방사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세척섬유(122)는 상기 제1 샤프트(12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원통형의 솔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원통형의 솔은 상기 제1 회전부(120)의 회전에 의하여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 세척섬유(122)의 타측이 상기 샤클을 마찰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세척섬유(122)의 경우 단순히 고분자 필라멘트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고분자 필라멘트의 타측이 다수개로 갈라져 하나의 필라멘트에 다수개의 섬유가 부착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필라멘트는 상기 제1 세척섬유(122)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타측에 형성되는 다수개로 갈라진 섬유는 상기 샤클을 세척하는 표면적으로 넓힘으로서, 상기 샤클의 세척이 더욱 용이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 세척섬유(122)는 상기 샤프트(122)에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탄성 및 굵기를 달리하여 샤클의 각 소재에 따른 세척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샤클의 금속부분에는 낮은 탄성 및 굵은 굵기의 세척섬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라스틱으로 된 부분과 접촉하는 세척섬유 부분은 높은 탄성 및 가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척수단의 경우 상기 샤클의 표면을 양측에서 세척할 수 있지만, 절곡된 부분의 내측의 세척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 샤클중 닭을 고정하는 부분의 경우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제1 세척수단의 수평방향 섬유로는 세척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방과 하방으로 설치되는 세척섬유를 포함하는 제2 세척수단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절곡된 부분의 내측까지 세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세척수단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부 세척원판 및 하부 세척원판; 일단이 상기 상부 세척원판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샤클의 절곡부 내측을 마찰하여 상기 샤클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상측 세척섬유; 일단이 상기 하부 세척원판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샤클의 절곡부 내측을 마찰하여 상기 샤클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하측 세척섬유; 및 상기 상부 세척원판 및 하부 세척원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세척수단은 상기 제1 세척수단과 동일한 회전부(130) 및 샤프트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세척수단의 경우 제1 세척수단과 상기 회전부 및 샤프트를 공유하는 것으로 부품의 호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샤프트와 상기 제2 회전부의 연결에도 유성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세척수단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세척원판(131) 및 상기 하부 세척원판(133)은 상기 제2 샤프트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세척원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세척섬유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상기 세척섬유의 설치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세척원판과 상기 하부 세척원판의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135)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세척원판과 상기 하부 세척원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세척원판(131)의 상부에는 일단이 상기 상부 세척원판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샤클의 절곡부 내측을 마찰하여 상기 샤클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상측 세척섬유(13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측 세척섬유(132)는 상기 샤클의 상부 하면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샤클의 절곡부 내측은 상부 하면과 하부 상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상기 제1 세척수단으로는 세척이 어려운 구조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상측 세척섬유의 경우 상기 상부 세척원판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하측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세척섬유의 경우 상기 절곡된 내측의 원활한 세척을 위하여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45°의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의 중심부에 가깝게 설지되는 상측 세척섬유의 경우 낮은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먼쪽에 설치되는 상측 세척섬유의 경우 높은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다양한 각도로 상기 샤클의 내측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세척원판(133)의 경우 상기 상부 세척원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하측 세척섬유(134)가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세척원판과 상기 하부 세척원판의 경우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다만 그 설치방향이 180°다르게 대칭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상측 세척섬유(132)의 경우 상기 샤클의 상부 하면을 세척할 수 있으며, 상기 하측 세척섬유(134)의 경우 상기 샤클의 하부 상면을 세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세척수단의 경우에도 상기 제1 세척수단과 동일하게 2~10개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회전원판 및 상기 하부 세척원판에 설치된 세척솔의 길이 및 탄성등을 달리하여 상기 샤클의 각부를 세척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세척수단은 상기 제2 세척수단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세척수단을 통과한 샤클을 최종적으로 세척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척수단과 상기 제2 세척수단을 통과한 샤클은 대부분의 이물질에 제거될 수 있지만, 상기 제2 세척수단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측면에 부착되거나 미세척된 이물질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세척수단을 이용하여 제 새척하는 것으로 이러한 이물질의 잔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3 세척수단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3 회전부(140); 상기 제3 회전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3 샤프트(141); 및 일단은 상기 제3 샤프트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샤클의 표면을 마찰하여 샤클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제3 세척섬유(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세척수단의 경우 상기 제1 세척수단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만 상기 제3 세척섬유를 상기 제1 세척섬유에 비하여 부드러운 섬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샤클의 순상을 방지하면서도 구석부분까지 세척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세척수단의 경우 단단한 섬유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지만, 상기 제3 세척수단의 경우 세척제를 이용한 화학적 세척을 주로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제1~제3 세척수단을 통과한 샤클에는 물을 분사하여 상기 세척제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이물질이 제거된 샤클은 후속되는 공정에 재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척섬유, 상측 세척섬유, 하측 세척섬유 및 제3 세척섬유의 경우 표면에 미세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섬유의 경우 두께 0.1~0.5mm의 단일 필라멘트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세척섬유의 경우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렇게 부착되는 이물질의 경우 부패되어 추가적인 오염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샤클에 재부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소수성 코팅을 통하여 상기 세척섬유의 표면을 소수성화하고 있지만, 이러한 코팅의 경우 세척제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상기 샤클과의 마찰로 인하여 빠르게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수개의 미세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표면적을 높여 소수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구조에 의한 소수성은 연잎과 같은 자연계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표면적을 대폭 상승시키는 것으로 물의 표면장력을 극대화하여 추가적인 화학처리 없이도 상기 섬유 필라멘트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미세구조는 상기 세척섬유의 표면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돌기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미세구조는 상기 세척섬유의 표면적을 늘려주게 되어 상기 세척섬유가 소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미세구조는 높이 50~100㎛ 직경 50~100㎛의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미세구조의 높이가 50㎛미만 또는 직경이 50㎛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샤클과의 마찰에 의하여 빠르게 손상될 수 있으며, 상기 미세구조의 높이가 100㎛를 초과하거나 직경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 큰 크기로 인하여 증가되는 표면적이 줄어들어 소수성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구조 사이의 간격은 80~150㎛일 수 있다. 상기 미세구조 사이의 간격이 상기 범위 내에서는 원활하게 소수성을 가질 수 있지만,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소수성이 떨어져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샤클의 세척에 사용된 폐수는 다량의 유기성 폐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성 폐시물이 포함되는 물을 그대로 배출하는 경우 많은 환경오염을 일으킴과 동시에 많은 처리비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폐수에서 고형분을 분리하고 이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폐수처리수단은, 상기 샤클 세척시 발생하는 폐수를 수집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고액 분리수단; 및 상기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처리조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고액 분리수단(200)은 상기 폐수에 포함되는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폐수에서 고체상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형 분리기; 및 상기 필터형 분리기를 통과한 처리수에서 이물질을 재차 분리하는 원심식 분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형 분리기(210)는 상기 폐수의 부유물을 1차 제거하는 부분으로 필터를 이용하여 크기가 큰 부유물을 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형 분리기는, 원통형의 분리기 본체; 상기 본체의 중단에 설치되어 본체의 상부와 하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다공성 필터; 상기 분리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폐수 공급부; 상기 분리기 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깔대기형의 부유물 수집부; 및 상기 분리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처리수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기 본체의 상부에는 물을 공급하여 상기 분리필터를 역세하는 역세용 세척수 공급부가 설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원통형의 분리기 본체(211)는 후술할 다공성 필터(213)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폐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도록 하여 부유물이 다공성 필터의 하부에 잔류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폐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상기 분리기 본체는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필터(213)는 상기 본체의 중단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상부와 하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세척이후 발생되어 수집된 폐수는 상기 하부를 통하여 유입되며, 상기 상부에서는 부유물과 분리된 처리수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수와 분리된 부유물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중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하부로 침강하여 후술할 부유물 수집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중력을 이용한 부유물 분리방법의 경우 상기 다공성 필터에 의하여 분리되는 부유물이 상기 본체의 하부로 침강하게 되므로 상기 다공성 필터의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필터(213)는 상기 부유물에 의하여 다공부가 막히더라도 역세용 세척수를 공급(218)하여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물은 상기 필터의 다공부를 막아 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지만, 이는 일방향에서 막고 있는 것일 뿐이므로, 역방향으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경우 이 부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필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공성 필터를 일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으로 상기 처리수의 흐름량을 늘려 상기 필터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다공성 필터는 상기 분리기 본체의 중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2~20개의 돌출부; 상기 돌출부를 일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고정하는 형상유지수단; 및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역세용 세척수 공급시 상기 다공성 필터를 진동시키는 진동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2)는 원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분리기 본체와 후술할 돌출부(214)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상기 연결부(212) 역시 상기 다공성필터 및 후술할 돌출부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어 폐수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연결부의 중앙에는 후술할 돌출부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다공성 필터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4)는 상기 다공성 필터(213)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다공성 필터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2~20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를 통하여 상기 다공성 필터는 그 표면적을 대폭 늘릴 수 있어 상기 폐수의 필터링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가 상기 다공성 필터를 통과할 때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통과하는 경우 상기 부유물을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집중적으로 모이게되어 크기가 큰 슬러지를 형성하게 되므로 이는 용이하게 낙하되어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할 역세 과정에 있어서도 역세용 세척수를 공급하게되면 상기 돌출부의 벽면이 압력에 의하여 마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 내부의 부유물은 역세용 세척수 및 진동을 통하여 용이하게 응집되어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214)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를 일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고정하는 형상유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돌출부는 상기 폐수의 이동 및 압력에 의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역세 과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는 진동생성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 진동생성부는 역세과정에서 상기 다공성 필터에 진동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부유물의 이탈을 가속화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역세 과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역세용 세척수 공급부(218)가 설치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필터가 부유물에 의하여 막히게 되면, 상기 폐수의 분리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유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부유물을 필터의 반대편 즉 상기 본체의 하부로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본체의 상부에는 처리수 배출구(217)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다공성 필터를 통과한 처리수를 원심식 분리수단(22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은, 상부는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하부는 아래로 좁아지는 깔대기 형으로 제작되어 내부에서 처리수가 회전하여 비중에 따라 분리되는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상기 필터형 분리기를 통과한 처리수를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상부에 접선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의 중단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중앙부에서 분리된 낮은 비중의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 배출구; 및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하단에 설치되며, 높은 비중의 부유물이 배출되는 부유물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220)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이클론 분리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원심식 분리수단(220)에서는 상기 공급되는 처리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부유물과 처리수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수의 경우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를 가동하기에 적절한 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원심식 분리기 본체에 접선방향으로 공급(222)되어 원심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기 내부에서는 상기 처리수가 원심회전하게되며, 상기 원심회전에 의하여 비중이 높은 부유물은 외측으로 이동하고 비중이 낮은 물은 내측으로 이동하여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의 중앙에는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의 중단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처리수 배출구(22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베중이 낮은 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비중이 높은 부유물의 경우 상기 원심식 분리기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침강하고 최종적으로는 하단의 부유물 배출구(2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액분리수단을 통과하여 부유물이 분리된 처리수의 경우 부유물은 분리가되었지만, 닭의 체액등이 포함되어 높은 COD 및 BOD수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대로 배출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처리조에서 정화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외부로의 폐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처리조(300)는,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220)을 통과한 처리수가 공급되어 여과하는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를 통과한 물을 재처리하는 광생물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조는 호기조와 혐기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기조는, 4면벽과 바닥으로 형성되는 내부에 상단이 상기 4면벽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전단이 4면벽중 전면벽의 내면 중간에 고정되는 전측부와 전측부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직각 연장되며 4면벽중 후면벽의 내면과 격리되게 좌단이 4면벽중 좌면벽의 내면 후측에 고정되는 후측부와 후측부의 하단에 천공되는 유통구를 구비하는 제1격판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상기 처리수를 1차 침전시키는 침전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 낮으며 좌단은 전측부의 우면 후단에 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중 우면벽의 후측에 밀착고정하는 제2격판에 의해 침전실의 후방에 위치하게 구획 형성되어 상기 침전실을 통과한 처리수를 1차 여과하는 제1여과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는 낮고 제2격판보다는 높으며 제2격판과 4면벽중 전면벽의 우측부 사이에서 좌단은 제1격판의 전측부 우면에 밀착 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중 우면벽에 고정하며 하단부는 바닥과 격리되게 설치되어 하단부와 바닥 사이에 유통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3격판에 의해 제1여과실 우측부 전방에 구획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실을 통과한 처리수를 2차 여과하는 제2여과실; 상기 제3격판에 의해 제2여과실의 전방에 구획 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실을 통과한 처리수를 3차 여과하는 제3여과실; 상단이 상기 4면벽중 전면 벽의 우측부 상측에 천공되는 구멍에 결합 고정되어 제3여과실의 처리수를 혐기조로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침전실에 하부로부터 차례로 적층되는 광물질과 스펀지 필터 및 부직포 필터; 및 상기 제1~3여과실의 바닥에 깔아주는 광물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침전실(310)은, 상단이 호기조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되며 전단이 상기 호기조의 전면벽의 중간부분 내면에 밀착고정되는 전측부와, 상기 전측부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직각연장되며 상기 호기조 후면벽의 내면과 소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좌단이 좌면벽의 내면 후측에 밀착고정되는 후측부와, 상기 후측부의 하단에 제1여과실과 통하게 천공되는 유통구를 구비하는 "ㄱ"형태의 제1격판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침전실(310)에는 하부로부터 광물질과 스펀지필터와 부직포필터가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고액분리기에서 공급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상기 부직포필터와 스펀지필터를 차례로 거치면서 불순물이 물리적으로 걸러져 여과됨은 물론 상기 필터 및 여과조 내부에 위치하는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 여과가 동시에 이루어진 다음 광물질을 거치면서 미네랄이 공급된다.
상기 제1여과실(320)은, 상단의 높이는 제1격판보다 낮으며 좌단은 상기 침전실 전측부의 우면 후단에 밀착고정하고 우단은 호기조의 우면벽의 후측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호기조의 후면벽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격판에 의해 침전실과 제2여과실의 후방에 위치하게 형성되며, 바닥에 소정두께로 깔아주는 광물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여과실(320)은, 상기 침전실에서 제1격판의 하단에 형성된 유통구를 통해 유입되는 처리수가 바닥으로부터 광물질을 거치면서 차오르는 과정에서 미네랄이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불순물이 있으면 흡착제거 될 수 있다.
그리고,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제1격판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제2격판의 상단을 통하여 제2여과실의 상부로 처리수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실(330)은, 상단의 높이가 제1격판보다는 낮고 제2격판보다는 높으며 상기 제2격판과 호기조 전면벽의 우측부 사이에서 좌단은 상기 제1격판의 전측부 우면에 밀착고정하고 우단은 상기 호기조의 우면벽에 각각 밀착고정하며 하단부는 호기조의 바닥과 소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설치되는 제3격판에 의해 제1여과실의 우측부 전방에 위치하게 형성되며, 바닥에 깔아주는 광물질과, 상기 하단부와 호기조의 바닥과 소정간격에 의해 제3여과실의 하부와 통하게 형성되는 유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여과실(330)은, 제1여과실에서 여과 및 미네랄이 공급된 처리수가 제2격판의 상단을 넘어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흐르면서 바닥에 깔린 광물질을 거치면서 미네랄이 더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불순물이 있으면 흡착 제거되게 하며, 상기 광물질을 거친 차리수는 유통부를 통해 제3여과실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3여과실(340)은 제3격판에 의해 제2여과실의 전방에 위치하게 형성되며, 바닥에 깔아주는 광물질과, 호기조 전면벽의 우측부 상측에 천공되는 구멍에 결합되며 제3여과실의 처리수를 후술할 혐기조에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여과실(330)은, 제2여과실에서 여과 및 미네랄이 공급된 처리수가 유통부를 통해 하부로 유입되어 차오르면서 바닥에 깔린 광물질을 거치게 되므로 미네랄이 더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불순물이 있으면 흡착제거되게 하며, 그 수위가 공급관의 상단에 이르면 흘러내려서 후술할 혐기조로 공급(350)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혐기조는 상기 호기조에서 여과 및 호기처리된 처리수를 혐기성 세균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곳으로 폐쇠된 공간에서 처리를 수행하는 혐기조의 특성상 폐쇠된 반응기 내부에 처리수를 공급한 다음, 이를 혐기반응시켜 인 및 질소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혐기조는 원통형의 혐기조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임펠러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물을 혼합하는 임펠러;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혐기조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3여과실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상기 혐기조 내부로 주입하는 공급부; 상기 혐기조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호기반응이 완료된 처리수를 배출하여 광생물 반응기로 공급하는 배출부; 및 상기 혐기조에 유기성분을 공급하는 유기성분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본체(410)는 상기 혐기조의 반응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공기와 접촉하여 산소가 공급되지 않을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호기조와는 달리 밀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이 용이하게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호기조를 통과한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인과 질소설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20)은 상기 혐기조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측에 임펠러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 즉 혐기조의 외부에 모터가 설치되어 있어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혐기조의 상부를 관통하되 관통된 부분으로 공기가 유동하지 않도록 밀폐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430)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혐기조 내부의 물을 혼합하는 수단으로 상기 혐기조 내부의 처리수를 지속적으로 혼합하여 혐기성 세균의 활동을 도울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는 단순히 2~6엽의 프로펠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상기 혐기조 전체를 혼합하기 위해서 고속회전이 필요하며, 이러한 고속 회전은 혐기성 세균에게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임펠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중앙부가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혐기조의 내면을 따라 연장된 주날개와 상기 주날개의 중단과 상기 회전축의 중단을 연결하는 보조날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임펠러는 저속 회전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혐기조의 구석 부분까지 혼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국지적인 이상반응이 최소화되어 원하는 제거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의 주날개는 상기와 같이 직선현 또는 평판형으로 제작된 “”형의 주날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주날개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혐기조의 상하고 상기 처리수의 유동이 더욱 강해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임펠러에 의한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혐기조의 경우 2~10개의 층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혐기조 반응의 경우 일정시간동안 혐기성 반응을 수행하여 인 및 질소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류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혐기조를 2~10개의 층으로 제작하되 각 층에는 각각의 임펠러를 설치하고 각 층사이에 일정한 통공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혐기조에 유입되는 처리수의 체류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는 각각의 모터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모터와 회전축에 다수개의 임펠러가 일렬로 연결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급부(440)와 배출부(450)는 상기 혐기조에 상기 호기조를 통과한 처리수를 주입하거나 혐기반응이 완료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부분으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혐기조의 하부에 상기 배출부는 상기 혐기조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호기조를 지난 처리수는 상기 혐기조의 하부로 공급되며 일정시간동안 상기 혐기조 내에서 체류하며 호기반응을 수행하고 상기 배출구를 거쳐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출부(450)의 경우 상기 혐기성 미생물과 처리수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배출부에는 이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 필터의 경우 원심분리기나 사이클론과 같은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단순히 적절한 공극 크기를 가지는 필터를 설치하여 상기 혐기성 미생물과 처리수를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혐기반응은 유기성분이 존재할때만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인 혐기반응은 물속에 포함되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지만 질소 또는 인 성분이 많은 경우 상기 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 만으로는 상기 혐기반응을 완료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경우 상기 유기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유기성분 공급부를 상기 혐기조에 추가하여 부족한 유기성분을 보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성분으로는 메탄올이 가장 적합하지만 상기 메탄올의 경우 처리수에 잔류하게 되면 처리에 많은 비용이 필요하므로 취급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설탕을 물과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혐기조는 혐기성 반응의 결과로 질소 기체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출하기 위한 일방향 벨브가 상기 혐기조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벨브의 경우 배출되는 질소가 일정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벨브가 개방되어 내부의 질소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외부의 산소가 상기 혐기조 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일방향 벨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혐기조를 통과한 처리수는 하술할 광생분 반응기를 통과하여 최종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광생물 반응기(500)는 상기 처리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에 남아 있는 영양염류를 영양분으로 하여 상기 처리수에 산소를 공급하는 부분으로 미세조류를 이용한 광생물 반응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는 상기 혐기조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각 광생물반응기 본체로 공급하는 분배관; 내부에 미세조류 및 처리수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이용하여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1~30개의 광생물반응기 본체;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에서 반응이 완료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 배출부; 및 상기 광생물반응기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는 광생물반응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광생물 반응기는 그 처리용량이 크지 않으며, 처리 시간도 많이 걸리고 있다. 따라서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직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원하는 산소를 공급하기 이전 상기 광생물 반응기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크기가 큰 광생물 반응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취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반응기 내부 환경 조성 및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정크기를 가지는 광생물 반응기 다수를 병렬로 설치하는 것으로 원하는 산소의 보급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분배관(510)은 상기 처리조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각 광생물 반응기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처리조와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5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배관(510)은 다수개의 분지를 가지도록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다수개의 광생물 반응기 본체(520)에 상기 처리조를 거친 처리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생물 반응기의 분리를 위하여 상기 분배관 타단의 끝에는 벨브 또는 피팅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생물 반응기의 관리를 위하여 분리하거나 일부 광생분 반응기 만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벨브 또는 피팅을 이용하여 일부 분배관의 흐름을 막는 것으로 원하는 광생물 반응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520)는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이용하여 내부의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것으로 영양염류를 제거하며, 처리수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고분자 필름으로 제조되어 내부에 반응공간을 형성하는 필름형 본체; 상기 반응공간에 위치하며,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미세조류; 상기 필름형 본체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필름형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공간의 내부로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필름형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반응공간 내부의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형 본체(521)는 상기 광생물 반응기의 외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됨에 따라 내부에 일정한 공간(반응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형 본체(521)는 단순히 튜브형 필름의 상하단을 막아 원통형의 반응기를 제작할 수 있지만, 두 장의 필름 테두리를 접합한 다음, 필름의 사이에 처리수와 미세조류를 공급하여 광생물 반응기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필름의 접합으로 제작되는 광생물 반응기의 경우 반응기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원통형 반응기에 비하여 광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름형 반응기는 기존에 사용되는 고분자 또는 유리로 제작되는 판을 이용한 반응기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우며, 반응기 자체가 연성을 가지고 있어 충격에 강하므로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필름형 본체는 상기 미세조류의 성장과 반응을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필름형 반응기는 투명하게 제작되며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광 투과 효율이 우수하여, 상기 처리수에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선택적인 미세조류의 배양을 위하여 일부 파장의 빛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필름이 특정 색상을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으로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하거나 특정 파장의 빛 만을 투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반응공간에는 미세조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조류는 물속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산소를 생성하는 미생물로, 기존의 폐수처리 시스템의 경우 폭기 또는 산소펌프를 이용하어 산소를 공급하기 때문에 스 효율이 낮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광생물 반응기내의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하고 있으므로 이산화탄소의 감소 및 산소의 증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조류는 상기 산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미세조류를 회수하여 양식용 사료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수단(522)은 상기 필름형 본체(521)를 일정한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필름형 본체를 수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필름형 본체를 배열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는 다수개의 필름형 본체가 배열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필름형 본체를 이용하여 원하는 양의 처리수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형 본체에는 처리수를 주입하기 위한 처리수 주입구(524)와 반응이 완료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 배출구(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524)의 경우 원활한 주입을 위하여 상기 필름형 본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523)의 경우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반응기 내에서 일정시간 체류한 처리수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구의 경우 상기 내부의 미세조류가 혼합되어 배출되지 않도록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생물 반응기 프레임은,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단 수평프레임;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의 하단이 고정되는 하단 수평프레임; 상기 상단 수평 프레임과 하단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수직 프레임과 하단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며, 길이방향으로 2~100개의 LED가 배열되어 있는 광공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생물 반응기 프레임은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하단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 본체는 상단이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541)에 연결되며, 하단이 상기 하단 수평 프레임(54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수직프레임(543) 사이에는 광공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공급 프레임은 상기 미세조류가 광합성을 하는 것에 필요한 빛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상기 수직프레임과 동일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표면에 다수개의 LED가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광 공급 프레임은 상기 광생물 반응기에 많은 양의 빛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LED의 경우 형광물질과 조합하는 것으로 원하는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고 전력효율이 높아 상기와 같은 광생물 반응기에는 LED를 사용하여 빛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ED는 상기 광공급프레임 1개 당 2~100개 바람직하게는 5~20개가 길이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가 1개만 설치되는 경우 원활한 빛의 공급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0개를 초과하여 배열되는 경우 소모되는 전력이 늘어나게 되어 비효율적이다.
상기와 같이 광생물 반응기를 통과한 처리수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 처리수는 상기 샤클의 세척, 분리된 세척섬유의 세척등에 재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샤클 세척기구
110 : 세척제 공급부
120 : 제1 회전부
121 : 제1 샤프트
122 : 제1 세척섬유
130 : 제2 회전부
131 : 상부 회전원판
132 : 상측 세척섬유
133 : 하부 회전원판
134 : 하측 세척섬유
135 : 스페이서
140 : 제3 회전부
141 : 제3 샤프트
142 : 제3 세척섬유
200 : 고액 분리수단
210 : 필터형 분리기
221 : 분리기 본체
212 : 연결부
213 : 다공성 필터
214 : 돌출부
215 : 폐수 공급부
216 : 부유물 배출부
217 : 처리수 배출부
218 : 역세용 세척수 공급부
220 : 원심식 분리수단
221 :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222 : 처리수 공급부
223 : 처리수 배출부
224 : 부유물 배출부
300 : 호기조
310 : 침전실
320 : 제1여과실
330 : 제2여과실
340 : 제3여과실
350 : 배출부
400 : 혐기조
410 : 본체
420 : 회전부
430 : 임펠러
440 : 유입부
450 : 배출부
500 : 광생물반응기
510 : 물공급부
520 : 반응기본체
521 : 필름형본체
522 : 고정수단
523 : 배출부
524 : 주입부
530 : 물배출부
541 : 상단수평프레임
542 : 하단수평프레임
543 : 수직프레임

Claims (3)

  1. 사용 완료된 샤클을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샤클에 세척제를 분사하는 세척제 분사수단;
    상기 세척제가 분사된 샤클의 측면을 세척하는 제1 세척수단;
    상기 제1 세척수단을 통과한 샤클의 절곡부 내측을 세척하는 제2 세척수단; 및
    상기 제2 세척수단을 통과한 샤클의 측면을 재세척하는 제3 세척수단;
    을 포함하는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수단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 샤프트; 및
    일단은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샤클의 표면을 마찰하여 샤클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제1 세척섬유;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척수단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부 세척원판 및 하부 세척원판;
    일단이 상기 상부 세척원판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샤클의 절곡부 내측을 마찰하여 상기 샤클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상측 세척섬유;
    일단이 상기 하부 세척원판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샤클의 절곡부 내측을 마찰하여 상기 샤클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하측 세척섬유; 및
    상기 상부 세척원판 및 하부 세척원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세척수단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3 회전부;
    상기 제3 회전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3 샤프트; 및
    일단은 상기 제3 샤프트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샤클의 표면을 마찰하여 샤클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제3 세척섬유;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척섬유, 상기 상측 세척섬유, 상기 하측 세척섬유 및 상기 제3 세척섬유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미세구조가 형성되어 소수성을 나타내며,
    상기 미세구조는 높이 50~100㎛ 직경 50~100㎛의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또는 팔각기둥으로 형성되며, 각 미세구조 사이의 간격이 5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는 폐수처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폐수처리수단은,
    상기 샤클 세척시 발생하는 폐수를 수집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고액 분리수단; 및
    상기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처리조;
    를 포함하며;
    상기 고액분리수단은,
    상기 폐수에서 고체상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형 분리기; 및
    상기 필터형 분리기를 통과한 처리수에서 이물질을 재차 분리하는 원심식 분리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형 분리기는,
    원통형의 분리기 본체;
    상기 본체의 중단에 설치되어 본체의 상부와 하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다공성 필터;
    상기 분리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폐수 공급부;
    상기 분리기 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깔대기형의 부유물 수집부; 및
    상기 분리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처리수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기 본체의 상부에는 물을 공급하여 상기 필터형 분리기를 역세하는 역세용 세척수 공급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성 필터는,
    상기 분리기 본체의 중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2~20개의 돌출부;
    상기 돌출부를 일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고정하는 형상유지수단; 및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역세용 세척수 공급시 상기 다공성 필터를 진동시키는 진동 생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은,
    상부는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하부는 아래로 좁아지는 깔대기 형으로 제작되어 내부에서 처리수가 회전하여 비중에 따라 분리되는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상기 필터형 분리기를 통과한 처리수를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상부에 접선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의 중단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중앙부에서 분리된 낮은 비중의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 배출구; 및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 본체 하단에 설치되며, 높은 비중의 부유물이 배출되는 부유물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조는,
    상기 원심식 분리수단을 통과한 처리수가 공급되어 여과하는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를 통과한 물을 재처리하는 광생물 반응기;
    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조는 호기조 및 혐기조를 포함하며;
    상기 호기조는,
    4면벽과 바닥으로 형성되는 내부에 상단이 상기 4면벽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전단이 4면벽중 전면벽의 내면 중간에 고정되는 전측부와 전측부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직각 연장되며 4면벽중 후면벽의 내면과 격리되게 좌단이 4면벽중 좌면벽의 내면 후측에 고정되는 후측부와 후측부의 하단에 천공되는 유통구를 구비하는 제1격판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상기 처리수를 1차 침전시키는 침전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 낮으며 좌단은 전측부의 우면 후단에 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중 우면벽의 후측에 밀착고정하는 제2격판에 의해 침전실의 후방에 위치하게 구획 형성되어 상기 침전실을 통과한 처리수를 1차 여과하는 제1여과실;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격판보다는 낮고 제2격판보다는 높으며 제2격판과 4면벽중 전면벽의 우측부 사이에서 좌단은 제1격판의 전측부 우면에 밀착 고정하고 우단은 4면벽중 우면벽에 고정하며 하단부는 바닥과 격리되게 설치되어 하단부와 바닥 사이에 유통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3격판에 의해 제1여과실 우측부 전방에 구획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실을 통과한 처리수를 2차 여과하는 제2여과실;
    상기 제3격판에 의해 제2여과실의 전방에 구획 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실을 통과한 처리수를 3차 여과하는 제3여과실;
    상단이 상기 4면벽중 전면 벽의 우측부 상측에 천공되는 구멍에 결합 고정되어 제3여과실의 처리수를 혐기조로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침전실에 하부로부터 차례로 적층되는 광물질과 스펀지 필터 및 부직포 필터; 및
    상기 제1~3여과실의 바닥에 깔아주는 광물질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혐기조는,
    원통형의 혐기조 본체;
    상기 혐기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혐기조 본체 내부의 임펠러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혐기조 본체 내부의 처리수를 혼합하는 임펠러;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혐기조 본체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3여과실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상기 혐기조 내부로 주입하는 공급부;
    상기 혐기조 본체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혐기 반응이 완료된 물을 배출하여 광생물 반응기로 공급하는 배출부; 및
    상기 혐기조에 유기성분을 공급하는 유기성분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광생물반응기는,
    상기 혐기조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각 광생물반응기 본체로 공급하는 분배관;
    내부에 미세조류 및 처리수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이용하여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1~30개의 광생물반응기 본체;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에서 반응이 완료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 배출부; 및
    상기 광생물반응기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는 광생물반응기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는,
    고분자필름으로 제조되어 내부에 반응공간을 형성하는 필름형 본체;
    상기 반응공간에 위치하며, 광생물반응을 수행하는 미세조류;
    상기 필름형 본체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필름형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공간의 내부로 상기 분배관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필름형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반응공간 내부의 물을 상기 물 배출부로 공급하는 배출구;
    를 포함하며,
    상기 광생물반응기 프레임은,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단 수평프레임;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의 하단이 고정되는 하단 수평프레임;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과 하단수평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광생물반응기 본체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수직프레임과 하단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며, 길이방향으로 2~100개의 LED가 배열되어 있는 광공급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
KR1020220023107A 2022-02-22 2022-02-22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 KR10240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107A KR102401129B1 (ko) 2022-02-22 2022-02-22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107A KR102401129B1 (ko) 2022-02-22 2022-02-22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129B1 true KR102401129B1 (ko) 2022-05-20

Family

ID=8179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107A KR102401129B1 (ko) 2022-02-22 2022-02-22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12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4890A (ko) * 1974-04-05 1975-10-25
JP2005532800A (ja) * 2002-07-10 2005-11-04 ダニスコ エイ/エス 摘出後プロセスおよび装置
US20080182496A1 (en) * 2007-01-26 2008-07-31 Johnny Allen Chattin Machine for scrubbing exterior of fowl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246429B2 (en) * 2004-01-08 2012-08-21 Ecolab Us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poultry
US9107427B2 (en) * 2012-03-28 2015-08-18 Linco Food Systems A/S Method for operating a poultry defeathering apparatus and a picking bank for use in a poultry defeathering apparatus
KR101658753B1 (ko) 2016-05-10 2016-09-30 김준형 도계가공방법 및 도계가공시스템
KR101700279B1 (ko) 2016-09-19 2017-02-06 주식회사 지티 도계용 트롤리 롤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4890A (ko) * 1974-04-05 1975-10-25
JP2005532800A (ja) * 2002-07-10 2005-11-04 ダニスコ エイ/エス 摘出後プロセスおよび装置
US8246429B2 (en) * 2004-01-08 2012-08-21 Ecolab Us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poultry
US20080182496A1 (en) * 2007-01-26 2008-07-31 Johnny Allen Chattin Machine for scrubbing exterior of fowl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107427B2 (en) * 2012-03-28 2015-08-18 Linco Food Systems A/S Method for operating a poultry defeathering apparatus and a picking bank for use in a poultry defeathering apparatus
KR101658753B1 (ko) 2016-05-10 2016-09-30 김준형 도계가공방법 및 도계가공시스템
KR101700279B1 (ko) 2016-09-19 2017-02-06 주식회사 지티 도계용 트롤리 롤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8042A (en) Aquaculture filtration system employing a rotating drum filter
CN1068238C (zh) 从污水主管中回收水的方法和装置
KR101782736B1 (ko) 집약적 순환 여과식 양식시스템
US20100279395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ultivating microorganisms and mitigation of gases
US20120252105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cultivating organisms and mitigation of gases
AU2010245049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ultivating microorganisms and mitigation of gases
WO2012040519A2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cultivating organisms and mitigation of gases
CN203152265U (zh) 一种养殖水循环净化装置
CN103112996A (zh) 一种养殖水循环净化方法及装置
KR101444206B1 (ko) 팩키지형 생물여과기를 구비하는 양식장 사육수의 복합 수처리 시스템
CN108823072B (zh) 一种微藻细胞的培养-采收一体化系统及方法
KR101934267B1 (ko) 바이오플락시스템 유기고형물 제거장치
KR20220026459A (ko) 복수의 연속 여과부를 갖는 순환 여과식 정화장치
KR100888897B1 (ko) 미세조류 및 미생물 분리 농축장치
KR101730409B1 (ko) 양만장용 수처리 시스템
KR102401129B1 (ko) 도계용 샤클 세척기구
KR101511948B1 (ko) 양어장의 물순환 시스템
CN111194721A (zh) 一种水产养殖用水循环系统
CN107318751B (zh) 一种循环水养殖系统
CN105836975B (zh) 一种水产品养殖池的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211078744U (zh) 一种餐饮废水处理装置
CN207079057U (zh) 一种分体式气提膜反应器处理装置
CN113273536A (zh) 用于成鱼工厂化养殖的循环水处理系统
CN208742022U (zh) 一种用于过滤接地棒电镀液的过滤机
WO2016163006A1 (ja) 水産物の養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