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936B1 -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936B1
KR102400936B1 KR1020210169477A KR20210169477A KR102400936B1 KR 102400936 B1 KR102400936 B1 KR 102400936B1 KR 1020210169477 A KR1020210169477 A KR 1020210169477A KR 20210169477 A KR20210169477 A KR 20210169477A KR 102400936 B1 KR102400936 B1 KR 102400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fsm
audio
audio data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범
이우근
김진욱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to KR102021016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936B1/ko
Priority to KR1020220060728A priority patent/KR102494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936B1/ko
Priority to PCT/KR2022/018975 priority patent/WO20231013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을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나중의 인출을 위해 오디오 버퍼 내에 버퍼링하는 단계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 내에 현재 잔존하는 양을 나타내는 점유 레벨에 기반하여, 클록 제수를 1보다 크고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주어진 샘플 레이트에 대해 정해진 복수의 정수 중 하나로 설정하고, 유한 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 FSM) 클록 주파수를 갖는 FSM 클록 신호로부터, FSM 클록 주파수를 클록 제수로 나눈 것과 동일한 클록 레이트를 갖는 오디오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버퍼로부터 인출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클록 신호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AUDIO CLOCK ADJUSTMENT IN NETWORK BASED PUBLIC ADDRESS}
본 개시는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에 관련된다.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은 건물 또는 복합단지, 예컨대, 아파트 단지, 학교, 관공서, 대형빌딩, 공항, 쇼핑몰 등등과 같은 환경에 설치되어서, 넓은 구역에 걸쳐 사람들이 들을 수 있는 음량 내지 볼륨의 소리(예컨대, 안내 음성, 배경 음악 등등)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때때로, 이 시스템은 그것이 설치된 환경 내에 또는 그 주변에 발생한 비상 상황(예컨대, 화재, 폭발, 침수, 정전 지진 등등)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추기도 한다. 이러한 전관 방송을 위해 원하는 지역(가령, 회사의 지점) 별로 각종 디바이스가 설치된다.
최근에 PA 시스템의 많은 사례는 지역별 설비 여러 개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등으로 대규모로 구현되고 있다. 그러한 PA 시스템에서, PA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측에 균일한 레이트(rate)로 수신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신 측에서 레이턴시(latency)가 생길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이 본 문서에 개시된다.
예에서,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을 위한 디바이스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나중의 인출을 위해 버퍼링된(buffered) 오디오 버퍼와, 유한 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 FSM) 클록 주파수를 갖는 FSM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FSM 클록 생성부(FSM clock generation unit)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 내에 현재 잔존하는 양을 나타내는 점유 레벨(occupancy level)에 기반하여, 클록 제수(clock divisor)를 1보다 크고 디지털 오디오의 주어진 샘플 레이트에 대해 정해진 복수의 정수 중 하나로 설정하고, FSM 클록 주파수를 클록 제수로 나눈 것과 동일한 클록 레이트를 갖는 오디오 클록 신호를 FSM 클록 신호로부터 생성하는 오디오 클록 조정부(audio clock adjustment unit)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버퍼로부터 인출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클록 신호에 따라 제공하는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audio data formatting unit)를 포함한다.
전술된 개요는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후술되는 몇몇 양상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개요는 청구된 주제(subject matter)의 중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정하는 데 사용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나아가, 청구된 주제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임의의 또는 모든 이점을 제공하는 구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이를 이후에 가변적인 클록 레이트(clock rate)를 갖는 오디오 클록 신호에 맞추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과도한 버퍼링으로 인한 데이터 폐기, 불충분한 버퍼링으로 인한 데이터 삽입 등과 같이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레이턴시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정밀 시각 프로토콜(Precision Time Protocol)과 같은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스위치 없이도, 덜 복잡한 하드웨어 설계로써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클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네트워킹된 환경(networked environment)에서의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을 위한 오디오 통신의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가 구현되는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로컬 PA 서브시스템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오디오 클록 조정부의 예시적인 동작에서 구동되는 유한 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 FSM)의 예를 보여주는 도해이다.
도 6은 도 5의 FSM의 구동에 의해 생성된 비트 클록 펄스(bit clock pulse)의 예를 보여주는 도해이다.
도 7은 네트워크 기반 PA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을 위한 프로세스의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는 본 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상용 용어의 용어법으로부터 선택되는데, 이는 당업자의 의도, 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에 따라서 달리 인식될 수 있다. 특정한 사례에서, 몇몇 용어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의미가 주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히 그 명칭에 의해서가 아니라, 본 개시의 맥락에서 그 용어가 갖는 의미와 일관되게 정의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용어 "포함하다", "가지다" 등은 이후에 열거된 요소, 예컨대, 어떤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를 명시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런 용어 및 이의 변형은 다른 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제1", "제2" 등은 몇 개의 서로 닮은 요소를 식별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그러한 용어는 이들 요소의 또는 이들의 사용의 특정한 순서와 같은 한정을 부과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단지 여러 요소를 따로따로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어떤 요소가 일례에서 용어 "제1"로써 참조될 수 있는 한편 동일한 요소가 다른 예에서 "제2" 또는 "제3"과 같은 상이한 서수로써 참조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이들 용어는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여러 요소의 리스트에서 용어 "및/또는"을 사용하는 것은 열거된 항목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 개를 비롯하여 이들 항목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나아가, 단수 형태의 표현은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소정의 예가 이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다만, 본 개시는 많은 상이한 형태로 체현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 개진된 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들 예는 본 개시의 범위의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주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네트워킹된 환경에서의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을 위한 오디오 통신의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예에서, 네트워크 기반 PA 송신기(105)는 네트워크(108)를 통해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에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한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네트워크 기반 PA 송신기(105)는 소정의 샘플 레이트(sample rate) 및 소정의 비트 깊이(bit depth)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 전송 방식, 예컨대,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소정의 송신 주기(transmission period)로써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는, 예컨대,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함(join)으로써, 그러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buffer)(가령, 선입선출(First-In-First-Out: FIFO) 버퍼)에 기입하고 버퍼링된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여 이를 가변적으로 설정된 클록 레이트(clock rate)를 갖는 클록 신호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는, 네트워크(108)의 어떤 상황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그것의 송신 주기로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에 들어오지 않더라도, 네트워크 기반 수신기(1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레이턴시를 줄일 수 있다.
예로서, 네트워크 기반 PA 송신기(105)는 네트워크(108)를 통해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에 1ms의 사전결정된 송신 주기마다 스테레오 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오디오 데이터는 좌측 및 우측 채널 각각을 위해 48kHz의 샘플 레이트 및 24비트의 비트 깊이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1/1000)×2×48×1000×24 = 2304비트(즉, 288바이트)의 양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는 스테레오 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버퍼에 버퍼링할 수 있는데, 예컨대, 비-운영 체제(non-Operating System: non-OS) 설계로, 그리고 결국 어떤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도 사용하지 않고서, 주기적으로 버퍼에 버퍼링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가 어느 정도 버퍼에 쌓이면,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는 이를 소정의 내부 인터페이스 포맷, 예컨대, 집적회로간 사운드(Inter-IC Sound: I2S)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출력할 수 있다. 버퍼에 잔존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양 내지 이를 나타내는 버퍼 점유 레벨(buffer occupancy level)을 큰 변동 없이 유지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는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클록 신호의 레이트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클록 레이트는 기준 레이트(reference rate)(이는, 가령, I2S 인터페이스 포맷에 따라 각 채널에 대해 32비트 폭의 출력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에 채널별 오디오 데이터의 샘플 레이트 48kHz에 기반하여 초당 2×48×1000×32 = 3.072×106비트, 즉, 3.072MHz의 비트레이트(bitrate)로서 정해짐)에 타겟팅되면서(targeted) 현재의 버퍼 점유 레벨에 기반하여 기준 레이트 주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특정한 예에서, 네트워크(108)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기반 PA 송신기(105) 및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는 네트워크(108) 상에서 클록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는 정밀 시각 프로토콜(Precision Time Protocol: PTP)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스위치를 수반하지 않을 수 있는바, 네트워크(108)는 비-PTP(non-PTP)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2는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가 구현되는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은 대상 환경(가령, 여러 건물을 포함하는 복합단지, 여러 원격 지역에 분산된 로컬(local) 사무소의 모음(collection), 건물의 적어도 일부, 건축 구조체, 또는 유사한 것의 실내 및/또는 실외 환경) 도처에 PA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환경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PA 시스템(200)을 통해 PA를 행하는 것은 몇몇 구역에 걸쳐서 동일한 또는 상이한 메시지를 통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예시된 구현이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도시된 예에서,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로컬 PA 서브시스템(210-1, 210-2, ..., 210-k)(이는 이하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참조 번호 "210"으로 참조될 수 있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은 대상 환경 내의 대응하는 구역에서의 PA를 가능하게 하도록 해당 구역 내에(가령, 원하는 지역이나 건물별로) 시공 내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각각의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예시적인 구현이 후술될 것이다.
도 2의 예에서,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은 네트워크(280)를 통해 외부 개체(가령,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다(communicatively coupled). 네트워크(280)의 예는 인터넷(Internet),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도시 영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은 관리 서브시스템(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브시스템(220)은 네트워크(280)를 통해 로컬 PA 서브시스템(210)과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관리 서브시스템(220)은 사용자(가령,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관리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어떤 정보를 표현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GUI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예컨대, 사용자가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적어도 일부(가령,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로컬 PA 서브시스템(210-1, 210-2, ..., 210-k) 중 하나 내의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보조하는 제어 GUI, 사용자가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적어도 일부(가령,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로컬 PA 서브시스템(210-1, 210-2, ..., 210-k) 중 하나 내의 특정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보조하는 스케매틱(schematic) GUI 및/또는 다른 GUI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은 네트워크(280)를 통해 외부 서비스 시스템(270)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비스 시스템(270)은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제공자나 운영자에 의해 또는 제3자에 의해 운영되는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은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기반으로) PA 관련 서비스(예컨대,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PA 상태/플로우(flow) 모니터링 서비스, 장애복구(failover)/원격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관리 서비스 및/또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의 예에서,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은 제어 디바이스(310), 소스 디바이스(320), 앰프(330), 릴레이 디바이스(340) 및 스피커(350-1, 350-2, ..., 350-m)(이는 이하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참조 번호 "350"으로 참조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컴포넌트(가령, 컴포넌트(310, 320, 330, 340, 350)) 중 특정한 것은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내의 다른 컴포넌트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내의 디바이스 간의 그러한 통신의 예는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이 설치된 구역에 국한된 LAN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디지털 직렬 통신, 접점 라인 상에서의 통신 및 그 밖의 다양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의 통신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컴포넌트(가령, 컴포넌트(310, 320, 330, 340, 350)) 중 특정한 것은 네트워크(280)를 통해 외부 개체(가령,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이는 이하에서 참조 번호 "210'"으로 참조될 수 있고, 이의 컴포넌트, 예컨대, 제어 디바이스(310) 및 소스 디바이스(320) 역시 이하에서 각각 참조번호 "310'" 및 "320'"으로 참조될 수 있음)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예를 들어,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제어 디바이스(310)가 네트워크(280)를 통한 통신이 될 수 있는 경우에,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내의 다른 특정 컴포넌트는 제어 디바이스(310)와의 통신을 통해서, 그리고/또는 제어 디바이스(310)를 거치지 않고서,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210')(가령,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제어 디바이스(310'))와 통신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은 제어 디바이스(310)에 의한 제어에 따라 동작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어 디바이스(310)는 그것이 속한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내부 또는 외부(가령,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리 서브시스템(220) 내지 이에 포함된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310)는 제어 디바이스(310)와 커플링된 감지 디바이스(가령, 마이크, 카메라, 또는 다른 타입(type)의 센서)로부터 또는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또는 관리 서브시스템(220)(가령, 관리 서브시스템(220)에서 제어 GUI를 제공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으로부터 제어 디바이스(310)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데, 가령, 입력된 신호를 제어 신호로 사용할 수 있거나, 입력된 신호에 기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다. 그러한 제어 신호는 제어 디바이스(310)가 속한 로컬 PA 서브시스템(210)(가령,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내의 특정 디바이스)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거나,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210')(가령,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내의 특정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해 이에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내에 배치된 제어 디바이스(310)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A를 위한 오디오 신호를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내에 배치된 다른 디바이스(가령, 소스 디바이스(320))로부터 수신하고/거나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210')(가령, 그것 내의 특정 디바이스)으로부터 네트워크(280)를 통해 수신하는 것;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내에 배치된 또 다른 디바이스(가령, 앰프(330), 릴레이 디바이스(340), 또는 소정의 타입의 추가적인 디바이스)에 제공하고/거나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210')(가령, 그것 내의 특정 디바이스)에 네트워크(280)를 통해 송신하는 것;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내에 배치된 소정의 디바이스(가령, 릴레이 디바이스(340))에, 그러한 오디오 신호가 재생을 위해 해당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내의 특정 스피커(가령, 릴레이 디바이스(340)에 커플링된 스피커(350-1, 350-2, ..., 350-m) 중 적어도 일부)에 전달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 및/또는 기타 등등.
도시된 예에서, 소스 디바이스(320)는 이로부터 어떤 포맷의 오디오 신호가 유래하는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320)는 사운드 플레이어(가령, CD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CDP), MP3 플레이어, FM/AM 라디오 튜너, 인터넷 스트리밍 수신기, 카세트 데크, 다른 사운드 플레이어 등), 텍스트 대 발화(Text-To-Speech: TTS) 합성기, 마이크(가령, 원격 마이크(Remote Microphone: 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소스 디바이스(32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그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제어 디바이스(310)에 제공될 수 있고, 이후 네트워크(280)를 통해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210')(가령,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제어 디바이스(310'))에도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릴레이 디바이스(340)는 주어진 레벨(가령, 약 50V 내지 100V와 같은 앰프 내지 스피커 레벨 또는 약 1V 내지 10V와 같은 라인 레벨)의 오디오 신호가 전파되는 것이 가능한 선로(본 문서에서 "오디오 라인"으로 칭해질 수도 있음)와 접속가능하다. 따라서, 릴레이 디바이스(340)는 그러한 오디오 라인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디바이스(340)에는 제어 디바이스(31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그러한 오디오 신호는 릴레이 디바이스(340)가 속한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내부(가령, 소스 디바이스(320)) 또는 외부(가령,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210') 내의 소스 디바이스(320'), 외부 서비스 시스템(270), 기타 등등)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릴레이 디바이스(340)의 입력 오디오 신호는 제어 디바이스(31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가 릴레이 디바이스(340)와 제어 디바이스(310) 사이에 개재된 대응하는 앰프(330)를 거쳐 증폭된 후에 대응하는 오디오 라인을 통해 릴레이 디바이스(340)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310)는 라인 레벨(가령, 약 1V)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 디바이스(310) 및 앰프(330) 간에 접속된 오디오 라인에 출력할 수 있고, 앰프(330)는 제어 디바이스(31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스피커 레벨(가령, 약 100V)로 증폭하여 앰프(330) 및 릴레이 디바이스(340) 간에 접속된 오디오 라인에 출력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예시적인 구현에서, 제어 디바이스(310)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앰프(330)를 거치지 않고서 대응하는 오디오 라인을 통해 릴레이 디바이스(34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릴레이 디바이스(34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자신과 커플링된 스피커(350-1, 350-2, ..., 350-m) 중 적어도 하나로 릴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스피커(350)로의 오디오 신호의 릴레이는 제어 디바이스(310)로부터 릴레이 디바이스(340)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enable)되거나 디스에이블(disable)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디바이스(310)로부터 특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릴레이 디바이스(34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가령, 릴레이 디바이스(340)의 여러 입력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릴레이 디바이스(340)에 커플링된 스피커(350-1, 350-2, ..., 350-m) 중 적어도 하나로 릴레이하는 것을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그러면, 스피커(350)에 입력 오디오 신호가 릴레이되는 경우에 스피커(350)는 그러한 오디오 신호에 따라 소리를 발산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이러한 오디오 신호 릴레이 제어는 입력 오디오 신호 및 주어진 스피커(350) 간의 채널에 대응하는 접점의 온(on)/오프(off) 제어를 수반한다고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디바이스(340)에는 16개 채널에 대응하는 16개의 스피커가 커플링될 수 있는데, 릴레이 디바이스(34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고, 16개의 스피커 각각에 재생을 위해 입력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릴레이하는 것을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다시 말해,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채널을 위한 접점을 온이 되게 하거나 오프가 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릴레이 디바이스(340)는 오디오 신호 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 디바이스(310)와 릴레이 디바이스(340) 간에 접속된 선로(이는, 예컨대, 오디오 라인과는 별개의 선로인 접점 라인일 수 있음)를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3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는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의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에 배치되며, 로컬 PA 서브시스템(210)의 제어 디바이스(310)에 포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지만, 네트워크 기반 PA 송신기(105)는 네트워크 기반 PA 시스템(200)에 배치될 수 있는데, 예컨대, 로컬 PA 서브시스템(210-1, 210-2, ..., 210-k) 중 특정한 것의 소스 디바이스(32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의 예에서,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410), 오디오 버퍼(420), 유한 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 FSM) 클록 생성부(430),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 및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45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는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거나, 도 4에 관해서 열거된 컴포넌트 중 일부를 포함하나 전부를 포함하지는 않을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410)는 외부 인터페이스(415)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415)는 모뎀,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NIC),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반 PA 송신기(105)로부터 네트워크(가령, 네트워크(280))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령, 스테레오 채널 오디오 데이터 샘플)를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나중의 인출(retrieval)을 위해 오디오 버퍼(420) 내에 버퍼링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버퍼(420)는 원형(circular) FIFO 버퍼 또는 다른 타입의 FIFO 버퍼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FSM 클록 생성부(430)는 특정한 FSM 클록 주파수(가령, 150MHz 또는 450MHz)를 갖는 FSM 클록 신호를 생성한다. FSM 클록 신호는 연이은(successive) 펄스로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SM 클록 생성부(430)는 능동 발진기 또는 다른 타입의 발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420) 내에 현재 잔존하는 양을 나타내는 점유 레벨에 기반하여, 클록 제수(clock divisor)를 설정하고, FSM 클록 주파수를 설정된 클록 제수로 나눈 것과 동일한 클록 레이트를 갖는 오디오 클록 신호를 FSM 클록 신호로부터 생성한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는 클록 제수를 1보다 크고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주어진 샘플 레이트(가령, 48kHz, 44.1kHz, 32kHz 또는 16kHz과 같은 사전정의된 샘플 레이트)에 대해 정해지는 복수의 정수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 내지 표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록 제수는 기준 레이트(이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샘플 레이트에 달려 있음) 및 FSM 클록 주파수에 기반하여 정해지는 복수(가령, 5개 또는 6개)의 후보 제수(각각 1보다 큰 정수임) 중 하나일 수 있다.
표 1은, FSM 클록 주파수가 150MHz로 설정되고, 각 채널에 대해 48kHz 샘플 레이트 및 32 비트 폭을 갖는 스테레오 채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례에서, 6개의 후보 제수 및 6개의 대응하는 가능한 클록 레이트를 예시한다.
후보 제수 클록 레이트 (MHz) 클록 레이트 - 기준 레이트 (MHz)
46 3.26 0.188
47 3.191 0.119
48 3.125 0.053
49 3.061 -0.011
50 3 -0.072
51 2.941 -0.131
표 1에서 기준 레이트는 전술된 바와 같이 2×48×1000×32 = 3.072MHz이다.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6개의 가능한 클록 레이트는 FSM 클록 주파수를 46~51의 제수로 등분한 것이며, 기준 레이트 주위의 값을 갖는다. 특히, FSM 클록 주파수 150MHz를 49로 나눈 값의 클록 레이트 3.061MHz가 기준 레이트 3.072MHz로부터 이격된 간격 0.011MHz는 동일한 FSM 클록 주파수를 임의의 다른 양수(positive integer)로 나눈 값의 클록 레이트가 기준 레이트 3.072MHz로부터 이격된 간격보다 더 작다.
표 2 내지 표 4는 FSM 클록 주파수가 150MHz로 유지되고 비트 폭이 32로 유지되되 샘플 레이트가 각각 44.1kHz, 32kHz 및 16kHz로 설정된 사례를 보여준다.
후보 제수 클록 레이트 (MHz) 클록 레이트 - 기준 레이트 (MHz)
52 2.8846 0.0622
53 2.8301 0.0077
54 2.7777 -0.0447
55 2.7272 -0.0952
56 2.6785 -0.1439
표 2에서 기준 레이트는 2×44.1×1000×32 = 2.8224MHz이다.
후보 제수 클록 레이트 (MHz) 클록 레이트 - 기준 레이트 (MHz)
71 2.112 0.064
72 2.083 0.035
73 2.054 0.006
74 2.027 -0.021
75 2 -0.048
76 1.973 -0.075
표 3에서 기준 레이트는 2×32×1000×32 = 2.048MHz이다.
후보 제수 클록 레이트 (MHz) 클록 레이트 - 기준 레이트 (MHz)
144 1.041 0.017
145 1.034 0.01
146 1.027 0.003
147 1.02 -0.004
148 1.013 -0.011
149 1.006 -0.018
표 4에서 기준 레이트는 2×16×1000×32 = 1.024MHz이다.
유사하게, 표 5 내지 표 8은 FSM 클록 주파수가 450MHz로 주어지고 비트 폭이 32로 유지되되 샘플 레이트가 각각 48kHz, 44.1kHz, 32kHz 및 16kHz로 설정된 사례를 보여준다.
후보 제수 클록 레이트 (MHz) 클록 레이트 - 기준 레이트 (MHz)
144 3.125 0.053
145 3.103 0.031
146 3.082 0.01
147 3.061 -0.011
148 3.04 -0.032
149 3.02 -0.052
표 5에서 기준 레이트는 표 1과 마찬가지로 3.072MHz이다.
후보 제수 클록 레이트 (MHz) 클록 레이트 - 기준 레이트 (MHz)
157 2.8662 0.0438
158 2.8481 0.0257
159 2.83 0.0076
160 2.8125 -0.0099
161 2.795 -0.0274
162 2.7777 -0.0447
표 6에서 기준 레이트는 표 2와 마찬가지로 2.8224MHz이다.
후보 제수 클록 레이트 (MHz) 클록 레이트 - 기준 레이트 (MHz)
217 2.073 0.025
218 2.064 0.016
219 2.054 0.006
220 2.045 -0.003
221 2.036 -0.012
222 2.027 -0.021
표 7에서 기준 레이트는 표 3과 마찬가지로 2.048MHz이다.
후보 제수 클록 레이트 (MHz) 클록 레이트 - 기준 레이트 (MHz)
437 1.029 0.005
438 1.027 0.003
439 1.025 0.001
440 1.022 -0.002
441 1.02 -0.004
442 1.018 -0.006
표 8에서 기준 레이트는 표 4와 마찬가지로 1.024MHz이다.
표 1 내지 표 8을 참조하면, 동일한 FSM 클록 주파수에 대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어떤 샘플 레이트를 갖는 경우에 설정되는 후보 제수 각각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상이한 샘플 레이트를 갖는 경우에 설정될 임의의 가능한 후보 제수와는 상이하다. 이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클록 신호에 따라 출력된 후에 원래의 샘플 레이트가 아닌 잘못된 샘플 레이트로 처리되어 부자연스러운 소리의 PA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420) 내에 현재 잔존하는 양이 커질수록 클록 제수를 더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버퍼(420) 내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현재 많이 남아 있는 경우,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는 작은 클록 제수를 설정함으로써, 다시 말해, 더 높은 클록 레이트의 오디오 클록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오디오 버퍼(420) 내의 잔존 데이터가 더 빨리 독출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오디오 버퍼(420) 내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현재 적게 남아 있는 경우,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는 큰 클록 제수를 설정함으로써 오디오 버퍼(420) 내의 잔존 데이터가 더 천천히 독출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420) 내에 현재 잔존하는 양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410)에 의해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양과 비교함으로써 클록 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각 채널에 대해 48kHz 샘플 레이트 및 24 샘플 비트를 갖는 스테레오 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네트워크 기반 PA 송신기(105)로부터 송신되고 그러한 송신의 사전결정된 주기가 1ms인 경우,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는 PA가 끊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오디오 버퍼(420) 내에 적어도 다음과 같은 기준량의 오디오 데이터를 유지하고자 할 수 있다: 1ms에 0.5ms의 마진(margin)이 더해진 1.5ms마다 그러한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양인 (1.5/1000)×2×48×1000×24 = 3456비트(즉, 432바이트).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는 오디오 버퍼(420) 내의 잔존 오디오 데이터의 양 및 기준량 간의 차이에 따라 클록 제수를, 그리고 결국 오디오 클록 신호의 클록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서와 같이 6개의 가능한 후보 제수가 주어진 사례에서, 오디오 버퍼(420) 내의 잔존 오디오 데이터의 양 및 기준량에 기반하여 클록 제수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 잔존 오디오 데이터의 양이 기준량 이상이고 이들 간의 차이는 기준량의 1/10 미만인 경우, 6개의 가능한 후보 제수 중 3번째로 작은 수(가령, 표 1의 경우에 48);
- 잔존 오디오 데이터의 양이 기준량 미만이고 이들 간의 차이는 기준량의 1/10 이하인 경우, 6개의 가능한 후보 제수 중 3번째로 큰 수(가령, 표 1의 경우에 49);
- 잔존 오디오 데이터의 양이 기준량 이상이고 이들 간의 차이는 기준량의 1/10 이상이고 기준량의 1/5 미만인 경우, 6개의 가능한 후보 제수 중 2번째로 작은 수(가령, 표 1의 경우에 47);
- 잔존 오디오 데이터의 양이 기준량 미만이고 이들 간의 차이는 기준량의 1/10 초과이고 기준량의 1/5 이하인 경우, 6개의 가능한 후보 제수 중 2번째로 큰 수(가령, 표 1의 경우에 50);
- 잔존 오디오 데이터의 양이 기준량 이상이고 이들 간의 차이는 기준량의 1/5 이상인 경우, 6개의 가능한 후보 제수 중 가장 작은 수(가령, 표 1의 경우에 46); 그리고
- 잔존 오디오 데이터의 양이 기준량 미만이고 이들 간의 차이는 기준량의 1/5 초과인 경우, 6개의 가능한 후보 제수 중 가장 큰 수(가령, 표 1의 경우에 51).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클록 신호는 하이(high) 레벨 부분 및 로우(low) 레벨 부분을 갖는 비트 클록 펄스(bit clock pulse)(가령, 도 6에 도시된 오디오 클록 신호의 하나의 비트 클록 펄스(6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클록 신호의 하이 레벨 부분의 시간 폭은 FSM 클록 신호의 제1 카운트 수(count number)의 연이은 펄스가 걸쳐 있는 시간 폭일 수 있고, 오디오 클록 신호의 로우 레벨 부분의 시간 폭은 상기 FSM 클록의 제2 카운트 수의 연이은 펄스가 걸쳐 있는 시간 폭일 수 있는데, 제1 카운트 수 더하기(plus) 제2 카운트 수는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에 의해 설정된 클록 제수와 같다.
추가적으로, 제1 카운트 수 및 제2 카운트 수 중 적어도 하나는 클록 제수의 절반 이하의 최대 정수일 수 있다(예컨대, 클록 제수 N이 짝수인 경우에 제1 카운트 수 및 제2 카운트 수 양자 모두 N/2일 수 있고, 클록 제수 N이 홀수인 경우에 제1 카운트 수는 [N/2]+1이고 제2 카운트 수는 [N/2]일 수 있거나 그 반대일 수 있는데, 여기서 기호 [x]는 x 이하의 최대 정수를 나타냄). 그러면, 오디오 클록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가 50%에서 크게 어긋나지 않을 수 있는데, 예컨대, 표 1 내지 표 8의 사례 중에서 표 1의 후보 제수 47이 최악의 듀티비를 초래할 수 있는데, 이는 23/47, 즉, 대략 48.9%에 불과하다.
도시된 예에서,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450)는 오디오 버퍼(420)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인출하여 이를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클록 신호에 따라 내부 인터페이스(455)를 통해서 제공한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내부 인터페이스(455)는 I2S 인터페이스, 오디오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른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타입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450)는 인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내부 인터페이스(455)에 적합한 특정한 포맷으로 오디오 클록 신호에 맞추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450)는 인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내부 인터페이스(455)에 부합하도록 포맷화할 수 있고, 포맷화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1개의 비트를 오디오 클록 신호의 비트 클록 펄스마다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의 예시적인 동작에서 구동되는 FSM(500)의 예를 보여주는 도해이다.
도 5의 예에서, 오디오 클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는 FSM 클록 생성부(430)에 의해 생성된 FSM 클록 신호로써 FSM(500)을 구동하고, FSM(500)의 구동 동안에 FSM 클록 신호의 펄스를 클록 카운트(clock count)로서 카운트한다. 이 예에서, FSM(500)은 초기 상태(initial state) S0, 제1 상태 S1, 제2 상태 S2 및 제3 상태 S3를 갖는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FSM(500)은 FSM 클록 신호의 에지(edge)(가령, 펄스의 상승 에지(rising edge))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클록 카운트를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FSM(500)은 초기 상태 S0로 시작한다. 초기 상태 S0에서, 클록 카운트는 0으로 초기화될 수 있고, 클록 카운트의 최대의 가능한 값은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에 의해 설정된 클록 제수 N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초기 상태 S0 동안에 오디오 클록 신호는 제1 이진(binary) 레벨(가령,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레벨)을 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FSM(500)은 (예컨대, FSM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클록 카운트가 1로 증가되는 경우에 초기 상태 S0로부터 제1 상태 S1로 전이한다(transition). 클록 카운트가 [N/2]보다 작으면 FSM(500)은 제1 상태 S1에 머문다. 제1 상태 S1 동안에 오디오 클록 신호는 여전히 제1 이진 레벨(가령,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레벨)을 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FSM(500)은 (예컨대, FSM 클록 신호의 ([N/2]-1)회의 추가적인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클록 카운트가 [N/2]에 도달하는 경우에 제1 상태 S1로부터 제2 상태 S2로 전이한다. 클록 카운트가 [N/2]×2보다 작으면 FSM(500)은 제2 상태 S2에 머문다. 제2 상태 S2 동안에 오디오 클록 신호는 제2 이진 레벨(가령,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 레벨)을 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FSM(500)은 (예컨대, FSM 클록 신호의 [N/2]회의 더 추가적인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클록 카운트가 [N/2]×2에 도달하는 경우에 제2 상태 S2로부터 전이한다. 만일 클록 제수 N이 짝수(즉, N을 2로 나눈 나머지 N%2가 0)이고 클록 카운트가 [N/2]×2인 경우, FSM(500)은 제2 상태 S2로부터 초기 상태 S0로 전이한다. 만일 클록 제수 N이 홀수(즉, N을 2로 나눈 나머지 N%2가 1)이고 클록 카운트가 [N/2]×2인 경우, FSM(500)은 제2 상태 S2로부터 제3 상태 S3로 전이한다. 제3 상태 S3 동안에 오디오 클록 신호는 여전히 제2 이진 레벨(가령,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 레벨)을 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후에 (예컨대, FSM 클록 신호의 1회의 더 추가적인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클록 카운터가 클록 제수 N에 도달하면 FSM(500)은 제3 상태 S3로부터 초기 상태 S0로 전이한다.
도 7은 네트워크 기반 PA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을 위한 프로세스(700)의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도 7의 프로세스(700)는 네트워크 기반 PA 수신기(110)(가령, 오디오 클록 조정부(440) 및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4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700)의 다른 예시적인 흐름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700)는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동작을 포함할 수 있고/거나, 도 7에 관해서 열거된 동작 중 일부를 포함하나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거나, 도 7에 도시된 순서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동작(710)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나중의 인출을 위해 오디오 버퍼 내에 버퍼링된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네트워크(가령, IP 기반의 비-PTP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샘플일 수 있다.
동작(720)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 내에 현재 잔존하는 양을 나타내는 점유 레벨에 기반하여, 클록 제수가 복수의 후보 제수(이는 1보다 큰 정수이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주어진 샘플 레이트에 대해 정해짐) 중 하나로 설정된다. 클록 제수는 오디오 버퍼 내에 잔존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양이 커질수록 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클록 제수의 설정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는 사전결정된 주기(이는, 예컨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얼마나 수신될 것인지를 예상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음)에 또한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동작(730)에서, FSM 클록 주파수를 갖는 FSM 클록 신호로부터, FSM 클록 주파수를 설정된 클록 제수로 나눈 것과 동일한 클록 레이트를 갖는 오디오 클록 신호가 생성된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오디오 클록 신호의 생성은 FSM 클록 신호로써 FSM을 구동하는 것 및 FSM의 구동 동안에, FSM 클록 신호의 펄스를 클록 카운트로서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SM은 전술된 초기 상태 S0, 제1 상태 S1 및 제2 상태 S2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는바, 초기 상태 S0에서 클록 카운트가 초기화된 후 1에 도달하면 초기 상태 S0로부터 제1 상태 S1으로의 전이가 행해질 수 있고, 클록 카운트가 [N/2]에 도달할 때까지 제1 상태 S1이 유지될 수 있고, 이어서 제1 상태 S1으로부터 제2 상태 S2로의 전이가 행해질 수 있고, 클록 카운트가 [N/2]×2에 도달할 때까지 제2 상태 S2가 유지될 수 있다. 오디오 클록 신호는 초기 상태 S0 및 제1 상태 S1 동안에 하이 레벨을, 그리고 제2 상태 S2 동안에 로우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클록 제수 N이 짝수이고 클록 카운트가 [N/2]×2=N에 도달하는 경우에 제2 상태 S2로부터 초기 상태 S0로의 전이가 행해질 수 있다. FSM은 제3 상태 S3에 의해 또한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클록 제수 N이 홀수이고 클록 카운트가 [N/2]×2=N에 도달하는 경우에 제2 상태 S2로부터 제3 상태 S3로의 전이가 행해질 수 있다. 제3 상태 S3 동안에 오디오 클록 신호는 로우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이후에 클록 카운트가 [N/2]×2+1=N에 도달하는 경우에 제3 상태 S3로부터 초기 상태 S0로의 전이가 행해질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주어진 샘플 레이트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복수의 사전정의된 샘플 레이트(가령, 48kHz, 44.1kHz, 32kHz 및 16kHz) 중 하나로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후보 제수는 FSM 클록 주파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룹(이들 각각은 1보다 큰 다수의 정수의 그룹임)(가령, 150MHz의 FSM 클록 주파수에 대응하는, 표 1 내지 표 4에 제시된 후보 제수의 그룹) 중 하나로서 식별될 수 있다. 특정한 예에서, 각각의 그룹(가령, 표 1에 제시된 후보 제수의 그룹)은 해당 그룹 내의 각각의 정수가 복수의 그룹 중 임의의 다른 것 내의 임의의 정수와 상이하도록 정해진다(예컨대, 표 1에 제시된 후보 제수 각각은 표 2 내지 표 4에 제시된 어떤 후보 제수와도 상이함).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FSM 클록 주파수를 복수의 후보 제수 중 특정한 것으로 나눈 값이 기준 레이트(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오디오 버퍼로부터 인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타겟팅된 비트레이트로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주어진 샘플 레이트에 기반하여 정해질 수 있음)로부터 이격된 간격은 FSM 클록 주파수를 임의의 다른 양수로 나눈 값이 기준 레이트로부터 이격된 것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FSM 클록 주파수가 150MHz이고 복수의 후보 제수가 49를 포함하는 경우에, 표 1에 관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FSM 클록 주파수 150MHz를 49로 나눈 값이 기준 레이트로부터 이격된 간격은 동일한 FSM 클록 주파수를 임의의 다른 양수로 나눈 값이 동일한 기준 레이트로부터 이격된 간격보다 더 작다.
동작(740)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버퍼로부터 인출되어 오디오 클록 신호에 따라 제공된다. 인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특정한 포맷(가령, I2S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포맷)으로 오디오 클록 신호와의 동기화가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은 네트워크 기반 PA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에 관한 다양한 예이다.
예 1에서,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을 위한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나중의 인출을 위해 버퍼링된(buffered) 오디오 버퍼; 유한 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 FSM) 클록 주파수를 갖는 FSM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FSM 클록 생성부(FSM clock generation unit);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위 오디오 버퍼 내에 현재 잔존하는 양을 나타내는 점유 레벨(occupancy level)에 기반하여, 클록 제수(clock divisor)를 1보다 크고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주어진 샘플 레이트(sample rate)에 대해 정해진 복수의 정수 중 하나로 설정하고, 위 FSM 클록 주파수를 위 클록 제수로 나눈 것과 동일한 클록 레이트(clock rate)를 갖는 오디오 클록 신호를 위 FSM 클록 신호로부터 생성하는 오디오 클록 조정부(audio clock adjustment unit); 및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위 오디오 버퍼로부터 인출하여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위 생성된 오디오 클록 신호에 따라 제공하는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audio data formatting unit).
예 2는 예 1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오디오 버퍼는 선입선출(First-In-First-Out: FIFO) 버퍼이다.
예 3은 예 1 또는 예 2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클록 제수는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위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사전결정된 송신 주기에 또한 기반하여 설정된다.
예 4는 예 3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디바이스는 위 네트워크를 통해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예 5는 예 3 또는 예 4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반 네트워크이다.
예 6은 예 3 내지 예 5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네트워크는 비-정밀 시각 프로토콜(non-Precision Time Protocol: non-PTP) 네트워크이다.
예 7은 예 1 내지 예 6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클록 제수는 위 점유 레벨이 나타내는 위 양이 커질수록 더 낮게 설정된다.
예 8은 예 1 내지 예 7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생성된 오디오 클록 신호는 하이(high) 레벨 부분 및 로우(low) 레벨 부분을 갖는 비트 클록 펄스(bit clock pulse)를 포함하되, 위 하이 레벨 부분의 시간 폭은 위 FSM 클록 신호의 제1 카운트 수(count number)의 연이은(successive) 펄스가 걸쳐 있는 시간 폭이고, 위 로우 레벨 부분의 시간 폭은 위 FSM 클록의 제2 카운트 수의 연이은 펄스가 걸쳐 있는 시간 폭이고, 위 제1 카운트 수 더하기(plus) 위 제2 카운트 수는 위 클록 제수이다.
예 9는 예 8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제1 카운트 수 및 위 제2 카운트 수 중 적어도 하나는 위 클록 제수의 절반 이하의 최대 정수이다.
예 10은 예 1 내지 예 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오디오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위 FSM 클록 신호로써 FSM을 구동하는 것 및 위 FSM의 위 구동 동안에, 위 FSM 클록 신호의 펄스를 클록 카운트(clock count)로서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FSM은 다음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초기 상태(initial state)(위 초기 상태에서 위 클록 카운트는 0으로 초기화되고 위 초기 상태 동안에 위 오디오 클록 신호는 제1 이진(binary) 레벨을 취함); 제1 상태(위 클록 카운트가 1로 증가되는 경우에 위 초기 상태로부터 위 제1 상태로의 전이(transition)가 행해지고 위 제1 상태 동안에 위 오디오 클록 신호는 여전히 위 제1 이진 레벨을 취함); 및 제2 상태(위 클록 카운트가 위 클록 제수의 절반 이하의 최대 정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위 제1 상태로부터 위 제2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고 위 제2 상태 동안에 위 오디오 클록 신호는 제2 이진 레벨을 취함).
예 11은 예 10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클록 제수가 짝수이고 위 클록 카운트가 위 최대 정수의 2배에 도달하는 경우에 위 제2 상태로부터 위 초기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진다.
예 12는 예 10 또는 예 11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FSM은 또한 추가적인 상태(위 클록 제수가 홀수이고 위 클록 카운트가 위 최대 정수의 2배에 도달하는 경우에 위 제2 상태로부터 위 추가적인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고 위 추가적인 상태 동안에 위 오디오 클록 신호는 여전히 위 제2 이진 레벨을 취함)에 의해 특징지어지고, 위 클록 카운트가 위 클록 제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위 추가적인 상태로부터 위 초기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진다.
예 13은 예 1 내지 예 12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FSM 클록 주파수를 위 복수의 정수 중 특정한 것으로 나눈 것은 기준 레이트(reference rate)로부터, 위 FSM 클록 주파수를 임의의 다른 양수(positive integer)로 나눈 것이 위 기준 레이트로부터 이격된 것보다 더 작은 간격만큼 이격되고, 위 기준 레이트는 위 인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위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로부터 제공되도록 타겟팅된(targeted) 비트레이트(bitrate)로서 위 주어진 샘플 레이트에 기반하여 정해진다.
예 14는 예 13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복수의 정수는 위 FSM 클록 주파수 및 위 기준 레이트에 기반하여 정해진다.
예 15는 예 1 내지 예 14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복수의 정수 각각은 만일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상이한 샘플 레이트를 갖는 경우 설정될 임의의 가능한 클록 제수와는 상이하다.
예 16은 예 1 내지 예 15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오디오 클록 조정부는 또한, 위 주어진 샘플 레이트를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복수의 사전정의된 샘플 레이트 중 하나로서 식별하고, 위 복수의 정수를 위 FSM 클록 주파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룹 중 하나로서 식별하되, 위 복수의 그룹 각각은 1보다 큰 다수의 정수의 그룹이고, 위 각각의 그룹은 위 각각의 그룹 내의 각각의 정수가 위 복수의 그룹 중 다른 것 내의 임의의 정수와 상이하도록 정해진다.
예 17은 예 1 내지 예 16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샘플 레이트는 48kHz, 44.1kHz, 32kHz 및 16kHz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한다.
예 18은 예 1 내지 예 17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복수의 정수 전부는 연이은 것이다.
예 19는 예 1 내지 예 18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위 버퍼링을 제어하기 위해 어떤 디바이스 드라이버도 사용하지 않고서 위 오디오 버퍼 내에 버퍼링된다.
예 20은 예 1 내지 예 1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인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위 생성된 오디오 클록 신호를 따라 IC간 사운드(Inter-IC Sound: I2S)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공된다.
예 21에서,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을 위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나중의 인출을 위해 오디오 버퍼 내에 버퍼링하는 것;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위 오디오 버퍼 내에 현재 잔존하는 양을 나타내는 점유 레벨에 기반하여, 클록 제수를 1보다 크고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주어진 샘플 레이트에 대해 정해진 복수의 정수 중 하나로 설정하고, 유한 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 FSM) 클록 주파수를 갖는 FSM 클록 신호로부터, 위 FSM 클록 주파수를 위 클록 제수로 나눈 것과 동일한 클록 레이트를 갖는 오디오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것; 및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위 오디오 버퍼로부터 인출하여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위 오디오 클록 신호에 따라 제공하는 것.
예 22는 예 21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오디오 버퍼는 선입선출(First-In-First-Out: FIFO) 버퍼이다.
예 23은 예 21 또는 예 22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클록 제수는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는 사전결정된 송신 주기에 또한 기반하여 설정된다.
예 24는 예 23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방법은 위 네트워크를 통해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예 25는 예 23 또는 예 24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반 네트워크이다.
예 26은 예 23 내지 예 25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네트워크는 비-정밀 시각 프로토콜(non-Precision Time Protocol: non-PTP) 네트워크이다.
예 27은 예 21 내지 예 26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클록 제수는 위 점유 레벨이 나타내는 위 양이 커질수록 더 낮게 설정된다.
예 28은 예 21 내지 예 27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생성된 오디오 클록 신호는 하이 레벨 부분 및 로우 레벨 부분을 갖는 비트 클록 펄스를 포함하되, 위 하이 레벨 부분의 시간 폭은 위 FSM 클록 신호의 제1 카운트 수의 연이은 펄스가 걸쳐 있는 시간 폭이고, 위 로우 레벨 부분의 시간 폭은 위 FSM 클록의 제2 카운트 수의 연이은 펄스가 걸쳐 있는 시간 폭이고, 위 제1 카운트 수 더하기 위 제2 카운트 수는 위 클록 제수이다.
예 29는 예 28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제1 카운트 수 및 위 제2 카운트 수 중 적어도 하나는 위 클록 제수의 절반 이하의 최대 정수이다.
예 30은 예 21 내지 예 2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오디오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위 FSM 클록 신호로써 FSM을 구동하는 것 및 위 FSM의 위 구동 동안에, 위 FSM 클록 신호의 펄스를 클록 카운트로서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FSM은 다음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초기 상태(위 초기 상태에서 위 클록 카운트는 0으로 초기화되고 위 초기 상태 동안에 위 오디오 클록 신호는 제1 이진 레벨을 취함); 제1 상태(위 클록 카운트가 1로 증가되는 경우에 위 초기 상태로부터 위 제1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고 위 제1 상태 동안에 위 오디오 클록 신호는 여전히 위 제1 이진 레벨을 취함); 및 제2 상태(위 클록 카운트가 위 클록 제수의 절반 이하의 최대 정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위 제1 상태로부터 위 제2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고 위 제2 상태 동안에 위 오디오 클록 신호는 제2 이진 레벨을 취함).
예 31은 예 30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클록 제수가 짝수이고 위 클록 카운트가 위 최대 정수의 2배에 도달하는 경우에 위 제2 상태로부터 위 초기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진다.
예 32는 예 30 또는 예 31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FSM은 또한 추가적인 상태(위 클록 제수가 홀수이고 위 클록 카운트가 위 최대 정수의 2배에 도달하는 경우에 위 제2 상태로부터 위 추가적인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고 위 추가적인 상태 동안에 위 오디오 클록 신호는 여전히 위 제2 이진 레벨을 취함)에 의해 특징지어지고, 위 클록 카운트가 위 클록 제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위 추가적인 상태로부터 위 초기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진다.
예 33은 예 21 내지 예 32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FSM 클록 주파수를 위 복수의 정수 중 특정한 것으로 나눈 것은 기준 레이트로부터, 위 FSM 클록 주파수를 임의의 다른 양수로 나눈 것이 위 기준 레이트로부터 이격된 것보다 더 작은 간격만큼 이격되고, 위 기준 레이트는 위 인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타겟팅된 비트레이트로서 위 주어진 샘플 레이트에 기반하여 정해진다.
예 34는 예 33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복수의 정수는 위 FSM 클록 주파수 및 위 기준 레이트에 기반하여 정해진다.
예 35는 예 21 내지 예 34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복수의 정수 각각은 만일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상이한 샘플 레이트를 갖는 경우 설정될 임의의 가능한 클록 제수와는 상이하다.
예 36은 예 21 내지 예 35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방법은 위 주어진 샘플 레이트를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복수의 사전정의된 샘플 레이트 중 하나로서 식별하는 것과, 위 복수의 정수를 위 FSM 클록 주파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룹 중 하나로서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위 복수의 그룹 각각은 1보다 큰 다수의 정수의 그룹이고, 위 각각의 그룹은 위 각각의 그룹 내의 각각의 정수가 위 복수의 그룹 중 다른 것 내의 임의의 정수와 상이하도록 정해진다.
예 37은 예 21 내지 예 36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샘플 레이트는 48kHz, 44.1kHz, 32kHz 및 16kHz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한다.
예 38은 예 21 내지 예 37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복수의 정수 전부는 연이은 것이다.
예 39는 예 21 내지 예 38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위 버퍼링을 제어하기 위해 어떤 디바이스 드라이버도 사용하지 않고서 위 오디오 버퍼 내에 버퍼링된다.
예 40은 예 21 내지 예 3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인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위 생성된 오디오 클록 신호를 따라 IC간 사운드(Inter-IC Sound: I2S)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공된다.
예 41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위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갖고,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컴퓨터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 21 내지 예 40 중 임의의 것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예 42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프로세서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위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예 21 내지 예 40 중 임의의 것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된다.
특정한 예에서, 본 문서에서 언급된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 머신 등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컴퓨팅 장치이거나, 이를 포함하거나, 이에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된 다른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새로운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된 어떤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컨대,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제어기(microcontroller),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다른 하드웨어 및 로직 회로, 또는 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다양한 정보, 예컨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서 실행가능(processor executable) 명령어의 세트 및/또는 다른 정보로써 인코딩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가령,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문서에 개시된 몇몇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및/또는 그러한 동작에서 사용되는 정보, 데이터, 변수, 상수,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이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 휘발성(volatile) 메모리,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착탈가능(removable) 메모리, 비착탈가능(non-removable) 메모리, 플래시(flash)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solid-state) 메모리, 다른 타입의 메모리 디바이스,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다른 타입의 저장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또는 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예에서, 본 문서에 기술된 동작, 기법, 프로세스, 또는 이의 어떤 양상이나 부분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체현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어떤 유형의 (가령, 컴파일형(compiled) 또는 해석형(interpreted)) 프로그래밍 언어, 예컨대, 어셈블리(assembly), 기계어(machine language), 프로시저형(procedural) 언어, 객체지향(object-oriented) 언어 등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구현과 조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형태로 배포될 수 있거나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를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서버(가령, 서버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거나 일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상세하게 몇몇 예를 예시하고 기술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위의 교시에 비추어 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응당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예에서, 전술된 기법이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고/거나, 전술된 시스템, 아키텍처, 디바이스, 회로 및 유사한 것의 컴포넌트 중 일부가 상이한 방식으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컴포넌트 또는 이의 균등물에 의해 대치 또는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개시된 그 형태에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항 및 이의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5: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송신기
110: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수신기
410: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
415: 외부 인터페이스
420: 오디오 버퍼
430: 유한 상태 머신 클록 생성부
440: 오디오 클록 조정부
450: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
455: 내부 인터페이스
500: 유한 상태 머신

Claims (25)

  1.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을 위한 디바이스로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나중의 인출을 위해 버퍼링된(buffered) 오디오 버퍼와,
    유한 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 FSM) 클록 주파수를 갖는 FSM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FSM 클록 생성부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버퍼 내에 현재 잔존하는 양을 나타내는 점유 레벨(occupancy level)에 기반하여, 클록 제수(clock divisor)를 1보다 크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주어진 샘플 레이트(sample rate)에 대해 정해진 복수의 정수 중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FSM 클록 주파수를 상기 클록 제수로 나눈 것과 동일한 클록 레이트(clock rate)를 갖는 오디오 클록 신호를 상기 FSM 클록 신호로부터 생성하는 오디오 클록 조정부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버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오디오 클록 신호에 따라 제공하는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버퍼는 선입선출(First-In-First-Out: FIFO) 버퍼인,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제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사전결정된 송신 주기에 또한 기반하여 설정되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제수는 상기 점유 레벨이 나타내는 상기 양이 커질수록 더 낮게 설정되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오디오 클록 신호는 하이(high) 레벨 부분 및 로우(low) 레벨 부분을 갖는 비트 클록 펄스(bit clock pulse)를 포함하되, 상기 하이 레벨 부분의 시간 폭은 상기 FSM 클록 신호의 제1 카운트 수(count number)의 연이은(successive) 펄스가 걸쳐 있는 시간 폭이고, 상기 로우 레벨 부분의 시간 폭은 상기 FSM 클록의 제2 카운트 수의 연이은 펄스가 걸쳐 있는 시간 폭이고, 상기 제1 카운트 수 더하기(plus) 상기 제2 카운트 수는 상기 클록 제수인,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운트 수 및 상기 제2 카운트 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클록 제수의 절반 이하의 최대 정수인,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FSM 클록 신호로써 FSM을 구동하는 것과, 상기 FSM의 상기 구동 동안에, 상기 FSM 클록 신호의 펄스를 클록 카운트(clock count)로서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FSM은,
    초기 상태(initial state) - 상기 초기 상태에서 상기 클록 카운트는 0으로 초기화되고 상기 초기 상태 동안에 상기 오디오 클록 신호는 제1 이진(binary) 레벨을 취함 - 와,
    제1 상태 - 상기 클록 카운트가 1로 증가되는 경우에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의 전이(transition)가 행해지고 상기 제1 상태 동안에 상기 오디오 클록 신호는 여전히 상기 제1 이진 레벨을 취함 - 와,
    제2 상태 - 상기 클록 카운트가 상기 클록 제수의 절반 이하의 최대 정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고 상기 제2 상태 동안에 상기 오디오 클록 신호는 제2 이진 레벨을 취함 - 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제수가 짝수이고 상기 클록 카운트가 상기 최대 정수의 2배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초기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는,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FSM은 또한 추가적인 상태에 의해 특징지어지되, 상기 클록 제수가 홀수이고 상기 클록 카운트가 상기 최대 정수의 2배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고 상기 추가적인 상태 동안에 상기 오디오 클록 신호는 여전히 상기 제2 이진 레벨을 취하고, 상기 클록 카운트가 상기 클록 제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추가적인 상태로부터 상기 초기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는,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SM 클록 주파수를 상기 복수의 정수 중 특정한 것으로 나눈 것은 기준 레이트(reference rate)로부터, 상기 FSM 클록 주파수를 임의의 다른 양수(positive integer)로 나눈 것이 상기 기준 레이트로부터 이격된 것보다 더 작은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기준 레이트는 상기 인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로부터 제공되도록 타겟팅된(targeted) 비트레이트(bitrate)로서 상기 주어진 샘플 레이트에 기반하여 정해지는,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수 각각은 만일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상이한 샘플 레이트를 갖는 경우 설정될 임의의 가능한 클록 제수와는 상이한,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클록 조정부는 또한, 상기 주어진 샘플 레이트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복수의 사전정의된 샘플 레이트 중 하나로서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정수를 상기 FSM 클록 주파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룹 중 하나로서 식별하되,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은 1보다 큰 다수의 정수의 그룹이고, 상기 각각의 그룹은 상기 각각의 그룹 내의 각각의 정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다른 것 내의 임의의 정수와 상이하도록 정해지는,
    디바이스.
  13.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을 위한 방법으로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나중의 인출을 위해 오디오 버퍼 내에 버퍼링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버퍼 내에 현재 잔존하는 양을 나타내는 점유 레벨에 기반하여, 클록 제수를 1보다 크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주어진 샘플 레이트에 대해 정해진 복수의 정수 중 하나로 설정하고, 유한 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 FSM) 클록 주파수를 갖는 FSM 클록 신호로부터, 상기 FSM 클록 주파수를 상기 클록 제수로 나눈 것과 동일한 클록 레이트를 갖는 오디오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버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클록 신호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버퍼는 선입선출(First-In-First-Out: FIFO) 버퍼인,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제수는 사전결정된 송신 주기에 또한 기반하여 설정되되,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사전결정된 송신 주기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버퍼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송신되어 상기 오디오 버퍼 내에 버퍼링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제수는 상기 점유 레벨이 나타내는 상기 양이 커질수록 더 낮게 설정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오디오 클록 신호는 하이 레벨 부분 및 로우 레벨 부분을 갖는 비트 클록 펄스를 포함하되, 상기 하이 레벨 부분의 시간 폭은 상기 FSM 클록 신호의 제1 카운트 수의 연이은 펄스가 걸쳐 있는 시간 폭이고, 상기 로우 레벨 부분의 시간 폭은 상기 FSM 클록의 제2 카운트 수의 연이은 펄스가 걸쳐 있는 시간 폭이고, 상기 제1 카운트 수 더하기 상기 제2 카운트 수는 상기 클록 제수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운트 수 및 상기 제2 카운트 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클록 제수의 절반 이하의 최대 정수인,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FSM 클록 신호로써 FSM을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FSM의 상기 구동 동안에, 상기 FSM 클록 신호의 펄스를 클록 카운트(clock count)로서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SM은,
    초기 상태 - 상기 초기 상태에서 상기 클록 카운트는 0으로 초기화되고 상기 초기 상태 동안에 상기 오디오 클록 신호는 제1 이진(binary) 레벨을 취함 - 와,
    제1 상태 - 상기 클록 카운트가 1로 증가되는 경우에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의 전이(transition)가 행해지고 상기 제1 상태 동안에 상기 오디오 클록 신호는 여전히 상기 제1 이진 레벨을 취함 - 와,
    제2 상태 - 상기 클록 카운트가 상기 클록 제수의 절반 이하의 최대 정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고 상기 제2 상태 동안에 상기 오디오 클록 신호는 제2 이진 레벨을 취함 - 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제수가 짝수이고 상기 클록 카운트가 상기 최대 정수의 2배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초기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FSM은 또한 추가적인 상태에 의해 특징지어지되, 상기 클록 제수가 홀수이고 상기 클록 카운트가 상기 최대 정수의 2배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고 상기 추가적인 상태 동안에 상기 오디오 클록 신호는 여전히 상기 제2 이진 레벨을 취하고, 상기 클록 카운트가 상기 클록 제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추가적인 상태로부터 상기 초기 상태로의 전이가 행해지는,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FSM 클록 주파수를 상기 복수의 정수 중 특정한 것으로 나눈 것은 기준 레이트로부터, 상기 FSM 클록 주파수를 임의의 다른 양수로 나눈 것이 상기 기준 레이트로부터 이격된 것보다 더 작은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기준 레이트는 상기 인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 포맷화부로부터 제공되도록 타겟팅된 비트레이트로서 상기 주어진 샘플 레이트에 기반하여 정해지는,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수 각각은 만일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상이한 샘플 레이트를 갖는 경우 설정될 임의의 가능한 클록 제수와는 상이한,
    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진 샘플 레이트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복수의 사전정의된 샘플 레이트 중 하나로서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정수를 상기 FSM 클록 주파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룹 중 하나로서 식별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은 1보다 큰 다수의 정수의 그룹이고, 상기 각각의 그룹은 상기 각각의 그룹 내의 각각의 정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다른 것 내의 임의의 정수와 상이하도록 정해짐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0169477A 2021-11-30 2021-11-30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KR102400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77A KR102400936B1 (ko) 2021-11-30 2021-11-30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KR1020220060728A KR102494047B1 (ko) 2021-11-30 2022-05-18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PCT/KR2022/018975 WO2023101347A1 (ko) 2021-11-30 2022-11-28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77A KR102400936B1 (ko) 2021-11-30 2021-11-30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728A Division KR102494047B1 (ko) 2021-11-30 2022-05-18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936B1 true KR102400936B1 (ko) 2022-05-23

Family

ID=818003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477A KR102400936B1 (ko) 2021-11-30 2021-11-30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KR1020220060728A KR102494047B1 (ko) 2021-11-30 2022-05-18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728A KR102494047B1 (ko) 2021-11-30 2022-05-18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00936B1 (ko)
WO (1) WO202310134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188B1 (ko) * 2022-06-22 2022-10-31 주식회사 인터엠 자원 효율적인 오디오 클록 조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KR102460187B1 (ko) * 2022-06-22 2022-10-31 주식회사 인터엠 오류에 강한 오디오 클록 조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WO2023101347A1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인터엠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KR102611884B1 (ko) * 2023-09-26 2023-12-11 주식회사 인터엠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위한 오디오 클록 조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278B1 (ko) * 2019-10-22 2020-04-06 주식회사 인터엠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KR20200043506A (ko) * 2016-12-13 2020-04-27 에바 오토메이션, 인크. 오디오 재생의 무선 조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7707B2 (ja) * 2004-10-27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バッフ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797959B (zh) * 2004-12-23 2012-06-27 凌阳科技股份有限公司 可消除失真的△-∑脉冲宽度调变的播音装置
KR101757159B1 (ko) * 2016-12-21 2017-07-12 김종운 시간기반의 can 통신을 이용한 전관 방송 장치 및 시간 동기 방법
WO2019044892A1 (ja) * 2017-09-01 2019-03-07 株式会社クラレ 重荷重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タイヤ
KR102400936B1 (ko) * 2021-11-30 2022-05-23 주식회사 인터엠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506A (ko) * 2016-12-13 2020-04-27 에바 오토메이션, 인크. 오디오 재생의 무선 조정
KR102097278B1 (ko) * 2019-10-22 2020-04-06 주식회사 인터엠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47A1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인터엠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KR102460188B1 (ko) * 2022-06-22 2022-10-31 주식회사 인터엠 자원 효율적인 오디오 클록 조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KR102460187B1 (ko) * 2022-06-22 2022-10-31 주식회사 인터엠 오류에 강한 오디오 클록 조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KR102611884B1 (ko) * 2023-09-26 2023-12-11 주식회사 인터엠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위한 오디오 클록 조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047B1 (ko) 2023-01-31
WO2023101347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936B1 (ko)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오디오 클록 조정
KR102482049B1 (ko)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버퍼 점유 예측을 통한 오디오 클록 조정
US9948256B1 (en) Speaker volume preference learning
CN101106514B (zh) 回放装置及回放方法
ATE263474T1 (de) Drahtloses digitales lautsprechersystem
JP2020536423A (ja) 高帯域幅音波トーン生成
KR102413831B1 (ko) 오디오 클록 조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KR102460188B1 (ko) 자원 효율적인 오디오 클록 조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KR102611884B1 (ko)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위한 오디오 클록 조정
KR102460187B1 (ko) 오류에 강한 오디오 클록 조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KR102572664B1 (ko) 오디오 클록 조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WO2015066733A2 (en) Public address system with wireless audio transmission
GB2538525A (e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reducing acoustic feedback in a signal output from a speaker
US20140169573A1 (en) Audio format
US20090129363A1 (en) Automatic Volume Restoration in a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KR102517110B1 (ko)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노이즈 레벨 분석
JP6927726B2 (ja) 同報放送システム及び子局装置
KR102611882B1 (ko) 디지털 오디오 매트릭스 스위칭기 및 이를 이용한 전관 방송
US201302457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based upon characteristics of music
KR102437809B1 (ko) 간소화된 신호 상관관계 기반의 전관 방송 모니터링
KR102331893B1 (ko) 실내 환경 내의 비상 전관 방송의 제어
US20180293971A1 (e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indoors using sound transmission pipes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3258617A (ja) 放送信号切替装置
CN106657852A (zh) 对时方法、设备及系统
KR102381225B1 (ko) 구역별 비상 전관 방송의 제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